KR20120135000A - 롤러 조립체를 구비하는 반송장치 - Google Patents

롤러 조립체를 구비하는 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5000A
KR20120135000A KR20110144838A KR20110144838A KR20120135000A KR 20120135000 A KR20120135000 A KR 20120135000A KR 20110144838 A KR20110144838 A KR 20110144838A KR 20110144838 A KR20110144838 A KR 20110144838A KR 20120135000 A KR20120135000 A KR 20120135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haft
support
rotary motion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44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카즈 시모무라
신이치 하야시다
히로카즈 이바
히데히코 무라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120135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000A/ko

Links

Images

Landscapes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체 및 회전운동체를 갖는 롤러조립체의 경량화에 의해 조립성이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구나 롤러조립체의 회전운동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송장치를 제공한다.
구분장치는 롤러(120)와 롤러지지체(130) 및 회전운동체(140)로 구성되는 롤러지지대(A1)를 갖는 복수의 롤러조립체(A)와, 롤러(120)를 수평축선(Lv)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기구와, 회전운동체(140)를 통하여 롤러(120)를 수직축선(Lv)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회전운동 구동기구와, 롤러조립체(A)가 장착되는 유지프레임(191, 192)을 구비한다. 롤러지지체(130)의 롤러축(131) 및 그 롤러축(131)을 지지하는 지지체 본체(132)와, 회전운동체(140)의 관절축(141) 및 그 관절축(141)을 지지하는 회전운동체 본체(142)가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롤러 조립체를 구비하는 반송장치{Transfer apparatus having roller assembly}
본 발명은 수평축선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동시에, 수직축선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반송용 롤러를 갖는 롤러 조립체를 구비하고, 그 롤러의 회전운동에 의해 물품의 반송방향을 전향 가능한 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반송장치는 예를 들어 물품의 반송방향을 전향함으로써 물품을 구분하는 구분장치이다.
반송장치가 반송용 롤러를 갖는 롤러 조립체, 롤러를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기구와 롤러를 회전운동시키는 회전운동 구동기구를 구비하고, 롤러 조립체가 상기 롤러 외에, 롤러를 수평축선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지지체와, 롤러 지지체를 지지하는 동시에, 수직축선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한 회전운동체를 갖는 것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특허 제3349084호 공보(단락0024-0032, 도 4, 도 5)
그런데, 롤러 조립체를 구성하는 롤러지지체 및 회전운동체가 모두 금속제인 경우에는 롤러조립체가 중량이 크기 때문에 롤러조립체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유지부재에 대한 롤러조립체의 장착성이나 분리성이 저하하여 반송장치의 조립성이나 유지보수성이 저하된다는 문제나, 회전운동 구동기구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운동하는 롤러의 회전운동 응답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롤러에 필요한 회전운동 응답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전운동 구동기구의 에너지 소비의 증가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이 있었다.
또한, 롤러 조립체가 갖는 롤러축 등의 각 축이 볼트나 스냅 링에 의해 장착되는 것에서는 각 축의 장착이나 분리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롤러 조립체의 조립성이나 유지보수성이 저하하여 역시 반송장치의 조립성이나 유지보수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회전운동체를 유지부재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회전운동체의 회전운동 지지축이 축받이를 유지하는 축받이 홀더를 통하여 지지되는 것에서는 회전운동 지지축을 지지하기 위한 전용의 부재인 축받이 홀더가 필요하거나, 또한 회전운동 지지축이 길어지는 경우가 있어, 회전운동체, 나아가서는 롤러 조립체의 중량 증가 및 수직축선 방향에서의 대형화를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지지체 및 회전운동체를 갖는 롤러 조립체의 경량화에 의해 조립성이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구나 롤러 조립체의 회전운동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또한 롤러축 및 관절축을 갖는 롤러 조립체의 조립성 및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또한 롤러 조립체의 롤러축 및 관절축이 동일한 축부품이므로 비용을 삭감할 수 있는 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또한 롤러 조립체를 수직축선 방향에서 소형화함으로써 수직축선 방향에서 소형화할 수 있는 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우선,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회전함으로써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용 롤러와 상기 롤러를 수평축선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지지체와 상기 롤러 지지체를 지지함 동시에, 수직축선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운동체를 갖는 복수의 롤러 조립체, 상기 롤러를 상기 수평축선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기구, 상기 회전운동체를 상기 수직축선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회전운동 구동기구, 상기 롤러 조립체가 장착되는 유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 및 상기 롤러 지지체가 상기 회전운동체와 함께 회전운동함으로써 상기 롤러에 의한 반송방향이 전향되는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 지지체 및 상기 회전운동체가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구성에 덧붙여서, 상기 롤러 지지체가 상기 롤러를 상기 롤러 지지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을 지지하는 지지체 본체를 갖고, 상기 회전운동체가 상기 롤러 지지체를 상기 회전운동체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관절축과 상기 관절축을 지지하는 회전운동체 본체를 갖고, 상기 지지체 본체, 상기 롤러축, 상기 회전운동체 본체 및 상기 관절축이 상기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롤러축이 상기 지지체 본체에 상기 관절축이 상기 지지체 본체 또는 상기 회전운동체 본체에 각각 스냅 결합에 의해 장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의 구성에 덧붙여서, 상기 롤러축 및 상기 관절축의 각각이 상기 롤러축 및 상기 관절축에 공용의 축부품인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부터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관한 발명의 구성에 덧붙여서, 상기 회전운동체가 상기 유지부재에 형성된 삽입통과구멍에 삽입통과되어 상기 유지부재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운동 지지축을 갖고, 상기 회전운동 지지축의 거의 전체가 상기 유지부재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의 구성에 덧붙여서, 상기 회전운동 지지축이 상기 유지부재에 스냅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송장치는 회전하는 것에 의해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용 롤러와 롤러를 수평축선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지지체와 롤러 지지체를 지지하는 동시에 수직축선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한 회전운동체를 갖는 복수의 롤러조립체, 롤러를 수평축선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기구, 회전운동체를 수직축선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회전운동 구동기구, 롤러 조립체가 장착되는 유지부재를 구비하고, 롤러 및 롤러 지지체가 회전운동체와 함께 회전운동함으로써 롤러에 의한 반송방향이 전향되는 것에 의해 회전운동 구동기구가 회전운동체 및 롤러 지지체를 통하여 롤러를 회전운동시킴으로써, 롤러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의 반송방향을 전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하와 같은 본 발명에 특유의 효과를 얻는다.
즉, 청구항 1에 관한 본 발명의 반송장치에 의하면, 롤러 지지체 및 회전운동체가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회전운동 구동기구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운동하는 회전운동체와 이 회전운동체와 함께 회전운동하는 롤러 지지체가 경량화되므로, 경량화에 의해 롤러 조립체의 장착 및 분리가 쉬워지기 때문에 반송장치의 조립성 및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구나 회전운동체 및 롤러 지지체와 함께 회전운동하는 롤러에서의 물품의 반송방향을 전향하게 위한 회전운동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본 발명의 반송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이 얻는 효과에 덧붙여서 다음의 효과가 얻어진다.
롤러 지지체가 롤러를 롤러 지지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롤러축과 롤러축을 지지하는 지지체 본체를 갖고, 회전운동체가 롤러 지지체를 회전운동체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관절축과 관절축을 지지하는 회전운동체 본체를 갖고, 지지체 본체, 롤러축, 회전운동체 본체 및 관절축이 상기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롤러 조립체에 있어서 회전운동 중심선인 수직축선으로부터 먼 곳까지 연장되어 있는 구성부품인 롤러축, 지지체 본체, 관절축 및 회전운동체 본체가 모두 수지로 형성됨으로써 경량화되므로, 롤러 조립체에 있어서 수직축선 방향의 관성 모멘트가 감소하고, 롤러의 회전운동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롤러축이 지지체 본체에, 관절축이 지지체 본체 또는 회전운동체 본체에 각각 스냅 결합에 의해 장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롤러 조립체에서의 롤러축 및 관절축의 장착이 수지끼리의 부재인 것을 이용한 스냅 결합에 의해 행해지므로, 롤러축 및 관절축의 장착성 및 분리성이 향상되어 롤러 조립체 나아가서는 반송장치의 조립성 및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본 발명의 반송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이 얻는 효과에 덧붙여서 다음의 효과가 얻어진다.
롤러축 및 관절축의 각각이 롤러축 및 관절축에 공용의 축부품인 것에 의해 롤러축 및 관절축이 동일한 축부품이므로 롤러축 및 관절축이 별개의 축부품인 경우에 비하여 롤러 조립체의 비용이 삭감됨으로써 반송장치의 비용을 삭감할 수 있고, 더구나 롤러 조립체의 조립성 및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본 발명의 반송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부터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관한 발명이 얻는 효과에 덧붙여서 다음의 효과가 얻어진다.
회전운동체가 유지부재에 설치된 삽입통과구멍에 삽입통과되어 유지부재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운동 지지축을 갖고, 회전운동 지지축의 거의 전체가 유지부재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에 의해 롤러 조립체의 회전운동 지지축은 유지부재 자체에 의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롤러 조립체가 장착되는 유지부재가 회전운동 지지축을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 홀더를 겸하므로 회전운동 지지축을 지지하기 위한 전용의 축받이 홀더가 불필요가 되기 때문, 및 회전운동 지지축의 거의 전체가 유지부재 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회전운동 지지축의 축길이의 단축화가 가능하게 되고, 롤러 조립체를 경량화하거나, 수직축선 방향에서 소형화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반송장치를 수직축선 방향에서 소형화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관한 본 발명의 반송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이 얻는 효과에 덧붙여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회전운동 지지축이 유지부재에 스냅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유지부재에 대한 롤러 조립체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게 되므로 반송장치의 조립성 및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구분장치를 구비하는 물품반송 시스템의 요부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분장치의 Ⅱ화살표에서의 요부의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구분장치의 Ⅲ화살표에서의 요부의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구분장치의 롤러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Ⅵ-Ⅵ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Ⅷ화살표에서의 롤러 조립체의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Ⅸ-Ⅸ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반송장치는 회전하는 것에 의해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용 롤러와 상기 롤러를 수평축선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지지체와 상기 롤러 지지체를 지지함 동시에, 수직축선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한 회전운동체를 갖는 복수의 롤러 조립체, 상기 롤러를 상기 수평축선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기구, 상기 회전운동체를 상기 수직축선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회전운동 구동기구, 상기 롤러 조립체가 장착되는 유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 및 상기 롤러 지지체가 상기 회전운동체와 함께 회전운동함으로써 상기 롤러에 의한 반송방향이 전향되고, 상기 롤러 지지체 및 상기 회전운동체가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지지체 및 회전운동체를 갖는 롤러 조립체의 경량화에 의해 조립성이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구나 롤러 조립체의 회전운동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면 그 구체적인 형태는 어떠한 것이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반송장치는 구분장치 이외에 반송되는 물품의 종류나 형상에 대응하여 반송로 상에서 반송방향을 전향할 수 있는 반송장치여도 된다.
롤러는 전동체이면 되고, 원통상인 것 외에, 구체상의 것을 포함한다.
회전구동기구 및 회전운동 구동기구의 적어도 한쪽은, 예를 들어 전동모터를 갖고, 롤러 조립체마다 설치되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인 반송장치로서의 구분장치(100)를 구비하는 물품반송 시스템(1)은 물품(10)(예를 들어, 묶어진 신문 다발 등의 결속된 물품 또는 포장된 물품)을 반송하는 복수인 제 1 소정수의 롤러 조립체(A)(도 2, 도 5 참조)를 구비하는 구분장치(100), 그 구분장치(100)에 물품(100)을 반입하기 위한 반입용 반송장치(2)(예를 들어, 롤러 컨베이어), 구분장치(100)에 의해 반송된 물품(10)을 반출하기 위한 반출용 반송장치(3)(예를 들어, 롤러 컨베이어)를 구비한다.
반출용 반송장치(3)는 구분장치(100)에 의해 기본 반송방향(21)으로 반송된 물품(10)을 반출하기 위한 기본 반출용 반송장치(3a), 기본 반송방향(21)에 대하여 교차하는 반송방향인 분기반송방향(22)으로 반송된 물품(10)을 반출하기 위한 분기반출용 반송장치(3b)를 구비한다.
그리고, 반입용 반송장치(2)로부터 구분장치(100)에 반입된 물품(10)은 수직축선(Lv)(도 6 참조)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한 각 롤러 조립체(A)의 롤러(120)의 회전운동위치(P)(도 4 참조)에 따라 반송방향을 전향할 수 있는 구분장치(100)에 의해 반송되어 양 반출용 반송장치(3a, 3b) 중 어느 하나로 나누어 반출된다.
여기에서, 기본 반송방향(21)(이하, 「반송방향(21)」이라 함)은 구분장치(100)에 있어서 롤러(120)가 수직축선(Lv)(도 6 참조) 방향으로 회전운동위치(P)로서 후술하는 기준위치(P0)(도 4 참조)를 차지할 때의 물품(10)의 반송방향(20)이며, 반입용 반송장치(2) 및 기본 반출용 반송장치(3a)에서의 반송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반송방향(20)이 반송방향(21)에서 전향된 분기반송방향(22)은 롤러(12)가 회전운동위치(P)로서 후술하는 제 1 전향위치(P1)(도 4 참조)를 차지할 때의 반송방향이다.
또한, 분기반출용 반송장치(3b)는 구분장치(100)에서의 반송로(101)의 폭방향(24)에서 반송로(101)의 일방향측에 배치되는 대신에 도 1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로(101)의 타방향측에 배치되어도 되고, 이 경우에는 분기반송방향(23)으로 물품을 반송하기 위해 롤러(120)는 회전운동위치(P)로서 후술하는 제 2 전향위치(P2)(도 4 참조)를 차지한다.
또한, 분기반출용 반송장치(3b)는 폭방향(24)에서 반송로(101)의 양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도 1~도 4를 참조하면, 구분장치(100)는 그 설치부로서의 바닥면(5)에 설치되는 기기대(110)와, 물품(10)이 반송되는 반송로(101)를 형성하는 동시에, 반송방향(21) 및 반송로(101)의 폭방향(24)으로 배열된 상기 제 1 소정수의 롤러(120), 각 롤러(120)를 수평축선(Lh)(도 6 참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수직축선(Lv)(도 6 참조)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한 상기 제 1 소정수의 롤러지지대(A1), 폭방향(24)으로 나란한 복수의 롤러(120)를 회전 구동하는 복수의, 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회전구동체로서의 라인샤프트(171)를 갖는 회전구동기구(170), 롤러지지대(A1)를 통하여 복수인 제 2 소정수의 롤러(120)를 일제히 수직축선(Lv)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회전운동 구동기구(150), 기기대(1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유닛지지체(190), 각 롤러(120)와 함께 반송로(101)를 형성하는 커버(180)(도 2, 도 3에서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커버(180)를 기기대(180)에 유지하기 위한 커버유지부(185)를 구비한다.
회전하는 것에 의해 물품(10)을 반송하는 롤러(120)와 롤러지지대(A1)는 롤러 조립체(A)를 구성한다.
여기에서, 롤러(120)의 회전운동 중심선인 수직축선(Lv)(도 6 참조)은 롤러 조립체(A)의 회전운동 지지축(146)(도 6 참조)에 의해 규정되고, 상하방향(이 실시예에서는 수직축선(Lv)에 평행한 수직축선방향이기도 하다)에 거의 평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반송방향(21)과 축방향(24)이 거의 직교한다.
또한, 「거의」라는 표현은 「거의」라는 수식어가 없는 경우를 포함하는 동시에, 「거의」라는 수식어가 없는 경우와는 엄밀하게는 일치하지 않지만, 「거의」라는 수식어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작용효과에 관하여 유의할 차이가 없는 범위를 의미한다.
도 1~도 3을 참조하면, 기기대(110)에는 롤러 조립체(A), 회전구동기구(170), 회전운동 구동기구(150), 유닛 지지체(190) 및 커버(180)가 장착된다.
기기대(110)는 4개의 다리부(111~114)(도 1 참조)와, 폭방향(24)으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기기대 프레임(115, 115)을 구비한다.
구분장치(100)가 구비하는 모든 롤러(120)는 반송방향(21)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인 열수, 본 실시예에서는 10열의 롤러열(R)을 형성한다. 폭방향(24)에서의 열인 롤러열(R)은 폭방향(24)으로 같은 각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롤러(120)로 구성된다.
아울러서, 도 4, 도 5를 참조하면, 1 이상의 소정열 수,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로서의 2개의 롤러열(R)인 제 1 롤러열(R1) 및 제 2 롤러열(R2)은 구분장치(100)가 구비하는 1 이상의 유닛수,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인 5개의 롤러유닛(U1~U5)(도 1, 도 3 참조)의 각 롤러유닛(U)에서의 유닛용 롤러열(Ru)을 구성한다.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라인샤프트(171)에 의해 마찰 구동되어 회전하는 각 롤러(120)는 라인샤프트(171)와의 접촉면인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주부(121)가 고무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각 롤러(120)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커버(180)에는 원형의 롤러돌출용 구멍(181)(도 1도 참조)이 형성된다. 외주부(121)의 일부는 커버(180) 상에서 반송되는 물품(10)에 접촉하도록 롤러돌출용 구멍(181)을 관통하여 커버(18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분장치(100)에 있어서 물품(10)은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120)에 차례로 지지되어 롤러(120)와의 사이에서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반송방향(21) 또는 분기반송방향(22)으로 반송된다.
도 2~도 5를 참조하면, 각 롤러유닛(U)은 유닛롤러군(G), 유닛롤러군(G)에 속하는 제 2 소정수의 롤러(120)를 각각 지지하기 위한 상기 제 2 소정수의 롤러지지대(A1), 그 롤러지지대(A1)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유닛지지체(190), 유닛롤러군(G)의 각 롤러(120)를 회전구동하는 유닛용 회전구동체로서의 하나의 라인샤프트(171), 유닛롤러군(G)의 각 롤러(120)를 롤러지지대(A1)를 통하여 수직축선(Lv)(도 6 참조)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기 위해 롤러지지대(A1)를 회전운동시키는 유닛용 회전운동 구동기구로서의 하나의 회전운동 구동기구(150)를 갖는다.
각 롤러유닛(U)에 있어서, 상기 제 2 소정수의 롤러조립체(A), 라인샤프트(171) 및 회전운동 구동기구(150)는 유닛지지체(190)에 장착되어 있다.
각 롤러유닛(U)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하, 롤러유닛(U)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도 7을 주로 참조하고, 도 2, 도 3을 적절히 참조하면, 한 쌍의 기기대 프레임(115, 11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닛지지체(190)는 롤러조립체(A)가 장착되는 유지부재로서의 반송방향(21)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제 1, 제 2 유지프레임(191, 192), 폭방향(24)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제 1, 제 2 지지프레임(191, 192)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93), 라인샤프트(17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축받이부(194)를 갖는다.
유닛지지체(190)는 장착된 롤러조립체(A)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각 유지프레임(191, 192)이 한 쌍의 기기대 프레임(115, 116)에 결합구로서의 볼트(B1)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양 기기대 프레임(115, 116)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로 인하여, 각 유지프레임(191, 192)은 한 쌍의 기기대 프레임(115, 116)을 연결하는 보강프레임으로서도 기능하므로, 롤러유닛(U)의 유닛 지지체(190)를 이용하여 한 쌍의 기기대 프레임(115, 116)의 강성, 나아가서는 기기대(110)(도 1, 도 2 참조)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각 유지프레임(191, 192)은 봉형상의 부재이며, 폭방향(24)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유지프레임(191, 192)의 단면형상은 폭방향(24)에서의 임의의 위치에서 거의 일정하며, 또 직사각형(도 3, 도 6 참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로서의 3개의 연결부(193)는 각각 결합수단으로서의 볼트(B2)에 의해 각 유지프레임(191, 192)과 결합된다.
양 축받이부(194)는 각각 기기대 프레임(115, 116)의 각 단부끼리에 결치는 상태로, 결합수단으로서의 볼트(B3)에 의해 결합된다.
각 축받이부(194)는 각 유지프레임(191, 192)의 각 단부끼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초부(195), 라인샤프트(17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도시생략)를 유지하는 동시에, 기초부(19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받이 홀더(196)를 갖는다.
이어서, 롤러조립체(A)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도 8을 참조하면, 롤러유닛(U)의 각 롤러조립체(A)는 각 롤러열(R1, R2)마다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이며, 롤러(120), 롤러(120)를 수평축선(Lh)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체(130), 롤러지지체(130)를 지지하는 동시에, 수직축선(Lv)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한 회전운동체(140), 롤러(120)를 라인샤프트(171)로 밀어붙이는 탄성지지력을 롤러(120)에 부여하는 탄성지지부재로서의 탄성지지 스프링(S)을 갖는다.
하나의 롤러유닛(U)의 모든 롤러조립체(A)는 제 1, 제 2 지지프레임(191, 192)으로 나뉘어져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롤러(120)는 외주부(121)와, 롤러지지체(1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코어부(122)를 갖는다. 코어부(122)는 외주부(121)에 의해 직경방향 바깥쪽으로부터 피복되어 있는 외주코어부(123)와 후술하는 축받이(137)가 장착되는 내주코어부(124)와, 복수의 보강용 직경방향 리브(125)를 갖는다.
직경방향에서 외주코어부(123)와 내주코어부(124) 사이에는 원통상의 환상공간이 코어부(122)의 4개의 직경방향 리브(125)에 의해 둘레방향으로 구분되어 형성되는 부분원통형상의 복수의 내부공간(126)이 축받이(137)보다도 직경방향 바깥쪽에 형성된다. 내부공간(126)은 롤러(120)의 최대직경(d)의 1/6 이상의 직경방향폭(W1)을 갖는 최대폭부분(126a)이 수평축선 방향에서, 그 수평축선 방향에서의 롤러(120)의 폭인 횡폭(W2)의 1/2 이상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직경방향 리브(125)가 없고 내부공간(126)이 하나의 환상공간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롤러(120)는 코어부(122)에 내부공간(126)이 형성된 셸 구조를 가짐으로써 내부공간(126)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경량화되어 있다.
또한, 특별히 단정하지 않는 한, 직경 방향 및 둘레방향은 각각 수평축선(Lh)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 방향 및 둘레방향이다. 또한 수평축선방향은 수평축선(Lh)에 평행한 방향이다.
롤러지지체(130)는 롤러(120)를 롤러지지체(1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축(131)과, 그 롤러축(131)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벽(133, 134)을 갖는 지지체 본체(132)와, 직경 방향에서 롤러축(131)과 내주코어부(124) 사이에 유지되는 축받이인 한 쌍의 축받이(137)를 갖는다.
지지체 본체(132)는 한 쌍의 판형상의 롤러축용 지지벽(133, 134)과, 그 한 쌍의 지지벽(133, 134)을 연결하는 판형상의 연결벽(135)을 갖는다. 각 지지벽(133, 134)은 수평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롤러축(131)이 삽입통과되는 삽입통과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롤러축(131)을 지지하는 롤러축 지지부(133a, 134a)와, 수평축선방향으로 관통하는 관절축(141)이 삽입통과되는 삽입통과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관절벽(141)을 지지하는 관절축 지지부(133b, 134b)를 갖는다.
각 지지벽(133, 134)의 바깥쪽의 측면(도 6에는 하나의 지지벽(133)의 측면(133e)이 도시되어 있다)에는 지지벽(133, 134)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수지로 형성되는 지지벽(133, 134)의 성형시에 금형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직선형상의 보강용 리브(136)가 교차하여 설치되어 있다.
연결벽(135)은 수직축선(Lv)과 교차하는 위치에서 롤러(120)(따라서, 롤러축(131))와 후술하는 관절축(141) 사이에 배치되어 둘레방향에서 관절축(141)의 외경보다 큰 범위에 걸쳐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도 6 참조).
회전운동체(140)는 롤러지지체(130)를 회전운동체(140)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관절축(141)과, 그 관절축(141)을 지지하는 회전운동체 본체(142)와, 유지 프레임(191, 192)에 형성된 삽입통과구멍(198)에 삽입통과되어 유지 프레임(191, 192) 자체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회저운동 지지축(146)과, 각 유지 프레임(191, 192)에 직접 유지되는 축받이로서의 부시(149)를 갖는다.
회전운동체 본체(142)는 수평축선 방향에서 한 쌍의 지지벽(133, 134)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판형상의 관절축용 지지벽(143, 144)과, 그 한 쌍의 지지벽(143, 144)을 연결하는 판형상의 연결벽인 저벽(145)을 갖는다. 각 지지벽(143, 144)은 수평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절축(141)이 삽입통과되는 삽입통과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관절축(141)을 지지하는 관절축 지지부(143b, 144b)를 갖는다. 각 관절축 지지부(143b, 144b)는 각 지지벽(143, 144)에 인서트된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저벽(145)은 후술하는 연결체(163a, 163b)가 추착되는 회전운동 아암(145a)을 갖는다.
관절축(141)은 롤러지지체(130)의 지지벽(133, 134) 및 회전운동체(140)의 지지벽(143, 144)을 관통하는 동시에, 그들 지지벽(133, 134 ; 143, 144)에 지지되어 롤러지지체(130)와 그 롤러 지지체(130)를 통하여 롤러(120)를 수평축선(Lh)에 평행한 요동축선(Ls)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롤러축(131) 및 관절축(141)의 각각은 롤러축(131) 및 관절축(141)에 공용의 축부품(T)이다. 이 축부품(T)은 중심부에 축방향(롤러축(131) 및 관절축(141)에서의 수평축선 방향이기도 하다)으로 연장되어 있는 원기둥형상의 중공부(T3)가 설치된 축이며, 플랜지(T1)와 이탈방지부(T2)를 양단부로서 갖는다. 또한, 축부품(T)은 중공부(T3)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경량화되어 있다. 이 중공부(T3)는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이 있는 구멍이지만, 축부품(T)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어도 된다.
롤러축(131) 및 관절축(141)에 있어서, 맞닿음부로서의 플랜지(T1)는 각 축(131, 141)의 수평축선 방향에서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롤러 지지체(130)의 하나의 지지벽(134)과 맞닿을 수 있다.
또한, 플랜지(T1)는 지지벽(134)의 지지부(134a ,134b)가 갖는 걸어맞춤부로서의 볼록부(134d)와 각 축(131,141)의 둘레방향에서 걸어맞추어지는 회전방지부(T1d)를 각 축(131,141)의 둘레방향에서의 일부에 갖는다. 회전방지부(T1d)는 롤러지지체(130)의 한 쌍의 지지벽(133, 134)에 대한 롤러축(131) 및 한 쌍의 지지벽(133, 134)과 회전운동체(140)의 한 쌍의 지지벽(143, 144)에 대한 관절축(141)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축측 걸어맞춤부로서의 오목부에 의해 구성된다.
롤러축(131) 및 관절축(141)에 있어서, 이탈방지부(T2)는 롤러지지체(130)에 있어서 플랜지(T)가 맞닿는 지지벽(134)과는 별도의 지지벽(133)과 걸어맞추어짐으로써 롤러축(131)이 지지벽(133, 134)으로부터 이탈되거나 관절축(141)이 지지벽(133, 134 ; 143, 14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탈방지부(T2)는 지지벽(133)과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로서의, 복수로서의 4개의 걸어맞춤편(T2a)에 의해 구성된다. 이러한 걸어맞춤편(T2a)은 축부품(T)의 둘레방향으로 같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탄성 변형에 의해 직경이 축소되거나 확대되는 각 걸어맞춤편(T2a)은 폴(pawl)(T2b)을 갖는다. 각 폴(T2b)은 각 지지부(133a, 134a, 133b, 134b, 143b, 144b)의 삽입통과구멍 내에서 직경이 축소될 수 있는 동시에, 롤러장착체(A)에 롤러축(131) 및 관절축(141)이 장착완료된 상태에서 각 지지부(133a, 133b, 143b)의 삽입통과구멍의 외부에서 그 삽입통과구멍의 구멍직경보다 크게 확장되어 지지벽(133, 143)의 각 지지부 (133a, 133b, 143b)와 걸어맞추어진다.
회전운동체(140)에 있어서, 각 지지벽(143, 144) 및 저벽(145)과는 별개의 부재인 회전운동 지지축(146)은 저벽(145)에 매설된 원기둥형상의 축부품(F)의 저벽(145)으로부터의 노출부에 의해 구성되고, 저벽(145)과 일체화되어 있다. 회전운동 지지축(146)은 저벽(145)과의 연결되어 있는 고강성부로서의 기축부(147)와, 부시(149)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기축부(147)보다도 강성이 낮은 저강성부로서의 이탈방지부(148)를 갖는다.
회전운동 지지축(146)은 기축부(147)의 전체가 수직축선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부시(149)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유지프레임(191, 192)에 유지되어 있다.
이탈방지부(148)는 유지프레임(191, 192)으로부터의 회전운동 지지축(146), 따라서 회전운동체(140) 및 롤러조립체(A)의 이탈방지를 행한다.
회전운동 지지축(146)의 선단부인 이탈방지부(148)는 유지프레임(191, 192)을 관통하고 있는 회전운동 지지축(146)에 있어서 삽입통과구멍(198)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 기축부(147)에 결합수단으로서의 나사결합에 의해 기축부(147)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이탈방지부(148)는 유지프레임(191, 192)과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로서의 한 쌍의 걸어맞춤편(148a)과, 회전운동 지지축(146)의 둘레방향에서 한 쌍의 걸어맞춤편(148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하나의 돌출편(148c)과, 기축부(147)의 단부에 설치된 결합부로서의 나사부인 암나사부(147d)에 비틀어 박히는 나사부인 수나사부(148d)를 갖는다.
탄성 변형에 의해 직경이 축소되거나 확대되는 각 걸어맞춤편(148a)은 폴(148b)을 갖는다. 각 폴(148b)은 삽입통과구멍(198) 내에서 직경이 축소될 수 있는 동시에, 삽입통과구멍(198)의 외부에서 삽입통과구멍(198)의 구멍직경보다 크게 확장되어 유지프레임(191, 192)과 걸어맞추어진다. 이탈방지부(148)에는 그 이탈방지부(148)를 기축부(147)에 비틀어 넣기 위한 공구 걸어맞춤부로서의 육각구멍(148e)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돌출편(148c)은 각 걸어맞춤편(148a)과 함께 회전운동 지지축(146)을 삽입통과구멍(198)에 삽입해 쉽게 하기 위한 안내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이, 롤러축(131), 관절축(141) 및 회전운동 지지축(146)의 각 이탈방지부(T2, 148)는 스냅피트구조를 갖고, 롤러축(131) 및 관절축(141)은 롤러지지체(130)의 지지벽(133)에 스냅결합되고, 회전운동 지지축(146)은 프레임부재에 스냅 결합되어 있다.
롤러지지체(130) 및 회전운동체(140)는 합성수지인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지는 강도가 높은 수지, 예를 들면 섬유강화수지(일례로서, 폴리옥시메틸렌이 사용된 섬유강화수지)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롤러지지체(130)의 지지체 본체(132)의 전체와, 롤러축(131) 및 관절축(141)이 되는 축부품(T)의 전체의 각각은 수지에 의해 일체성형되어 있다.
또한, 회전운동체(140)의 회전운동체 본체(142)는 금속 또는 회전운동체 본체(142)를 형성하고 있는 수지보다도 고강도의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관절축 지지부(143b, 144b)를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수지에 의해 일체성형되어 있다.
회전운동 지지축(146)의 이탈방지부(148)의 전체는 수지에 의해 일체성형되어 있다. 한편, 기축부(147)는 금속 또는 회전운동체 본체(142)를 형성하고 있는 수지보다도 고강도의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시(149)는 금속 또는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운동체(140)의 전체가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롤러축(131), 관절축(141) 및 회전운동 지지축(146)은 걸어맞춤편(148a)의 탄성변형을 이용한 스냅 결합에 의해 간단히 장착된다.
또한, 롤러지지체(130) 및 회전운동체(140)에 있어서,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별개의 부재는 동일 종류의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도 되고, 다른 종류의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그리고, 롤러조립체(A)에 있어서, 회전운동 중심선인 수직축선(Lv)으로부터 회전운동 지지축(146)에 비해 먼 곳까지 연장되어 있는 구성부품인 롤러축(131), 지지체 본체(132), 관절축(141) 및 회전운동체 본체(142)는 모두 수지로 형성됨으로서 경량화되므로, 롤러축(131), 지지체 본체(132), 관절축(141) 및 회전운동체 본체(142)가 금속제인 경우에 비하여 롤러조립체(A)에 있어서 수직축선(Lv) 방향의 관성 모멘트가 감소된다.
탄성지지 스프링(S)은 관절축(141)에 감겨진 상태로 연결벽(135)과 저벽(145) 사이에 배치되고, 롤러(120)가 라인샤프트(171)와 상시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롤러지지체(130)를 통하여 롤러(120)를 탄성지지한다.
탄성지지 스프링(S)은 롤러(120)가 기준위치(P0)(도 4 참조)를 차지할 때의 수평축선(Lh)에 평행한 방향에서의 중앙부(S1)에서, 롤러지지체(130) 및 회전운동체(140, 143)의 일방,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운동체(140)를 탄성지지하고, 폭방향(24)에서의 양단부(S2)에서 롤러지지체(130) 및 회전운동체(140)의 타방, 본 실시예에서는 롤러지지체(130)를 탄성지지한다. 이로 인하여, 롤러지지체(130) 및 회전운동체(140)의 각각에 작용하는 탄성지지력을 수평축선(Lh)에 평행한 방향(또는, 폭방향(24))에서 균등화할 수 있으므로, 마모 등의 시간경과변화에 기인하여 롤러지지틀(141)이 폭방향(24)으로 경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롤러(120)가 폭방향(24)으로 경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어떤 회전운동위치(P)에 있어서도 라인샤프트(171)에 의해 롤러(120)를 효율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롤러지지체(130)의 연결벽(135)에는 탄성지지 스프링(S)의 각 단부(S2)를 수용하는 동시에 수평축선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한 쌍의 수용홈(135s) (도 2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이 수용홈(135s)에 의해 탄성지지 스프링(S)이 소정위치에 유지되므로, 탄성지지 스프링(S)에 의한 상기 탄성지지력의 변동이 억제되어 라인샤프트(171)에 대한 롤러(120)의 탄성지지 상태가 안정화되어 롤러(120)의 회전변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롤러(120)에 의한 물품의 반송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회전운동 지지축(146)은 그 기축부(147)에 있어서, 각 유지프레임(191, 192)에 부시(149)을 통하여 각 유지프레임(191, 192)에 대하여 수직축선(Lv) 방향에 회전운동 가능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회전운동 지지축(146)은 각 유지프레임(191, 192)에 형성된 삽입통과구멍(198) 내에 삽입되어서 장착된 부시(149)에 삽입되어 있음으로써 각 유지프레임(191, 192) 자체가 축받이 홀더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회전운동 지지축(146)을 지지하기 위한 전용의 부재 (예를 들면, 기기대 (110)에 고정되는 부재료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통형상의 축받이 홀더(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축받이통))가 불필요하게 되고, 더구나 회전운동 지지축(146)의 거의 전체는 유지 프레임(191, 192)에 수용되어 기기대(110)에 고정된 각 유지프레임(191, 192)과 상하방향에서 같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회전운동체(140)의 관절축(141) 및 롤러지지체(130), 나아가서는 롤러(120)를 상하방향에서, 각 유지프레임(191, 192)에 근접시켜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에서 롤러(120)의 최대외경(d)의 2배의 범위 내에 상하방향에서의 롤러(120)의 전체 및 제 1, 제 2 유지프레임(191, 192)의 상하방향에서의 전체가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하방향에서 롤러(120) 및 제 1, 제 2 유지프레임(191, 192)을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상하방향에서의 롤러유닛(U)의 소형화, 나아가서는 상하방향에서의 구분장치(100)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도 2?도 5를 참조하면, 각 롤러유닛(U)에 있어서, 롤러조립체(A)를, 따라서 롤러(120)를 수직축선(Lv)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회전운동 구동기구(150)는 액추에이터로서의 에어실린더(151)와, 그 에어실린더(151)와 각 롤러조립체(A)의 롤러지지대(A1)에서의 회전운동 아암(145a)을 연결하는 연결기구(160)를 구비한다.
각 유지프레임(191, 192)에 고정되어 있는 에어실린더(151)는 탠덤식 실린더기구이며, 실린더(152)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 한 쌍의 피스톤(도시생략)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작동로드(153, 154)를 갖는다.
제 1 작동로드(153)는 제 1, 제 2 유지프레임(191, 192)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요동아암(162)에 추착(樞着)되고, 제 2 작동로드(154)는 제 1, 제 2 유지프레임(191, 192)에 고정된 설치부(158)에 추착되어 있다.
실린더(152)에 설치되는 압력실(도시생략)에는 소정의 작동압을 갖는 작동유체로서의 공기가 제어장치(도시생략)가 제어하는 제어밸브 (도시생략) 에 의해 제어되어 도관(도시생략)을 통해 공급배출된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연결기구(160)는 각 유지프레임(191, 192)을 관통하여 그 유지프레임(191, 192)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연결축(161)과, 그 연결축(161)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요동아암(162)을 구성하는 한 쌍의 요동아암(162a, 162b)과, 회전운동 아암(145a)이 추착되어 있는 연결체(163)로서의 한 쌍의 연결체(163a, 163b) (도 6 참조)와, 한 쌍의 요동아암(162a, 162b)과 한 쌍의 연결체(163a, 163b)를 각각 연결하는 중계링크(164)로서의 한 쌍의 중계링크(164a, 164b) (도 6 참조)를 갖는다. 한 쌍의 작동로드(153, 154)는 요동아암(162a)(도 6 참조)에 추착되어 양 요동아암(162a, 162b)을 연결축(161)과 함께 일체로 요동시킨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운동 구동기구(150)에 의해 구동되어 수직축선(Lv)(도 6 참조)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각 롤러(120), 따라서 롤러군(R)은 그 회전운동위치(P)로서, 롤러군(R)이 반송방향(21)으로 물품(10)을 반송할 때의 기준위치(P0)와, 롤러군(R)이 기준위치(P0)로부터 회전운동하여 분기반송방향(22, 23)(도 1 참조)으로 물품(10)을 반출할 때의 하나 이상의,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로서의 2개의 전향위치(P1, P2)를 차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제 2 작동로드(153, 154)의 신장 및 수축에 따라 각 롤러(120), 따라서 롤러군(R)은 그 회전운동위치(P)로서, 기준위치(P0)(도 4에 실선에서 나타냄), 기준위치(P0)로부터 일방의 회전운동방향(도 4에서는 우회전의 회전운동방향임)으로 회전운동한 제 1 전향위치(P1)(도 4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냄) 및 기준위치(P0)로부터 상기 일방의 회전운동방향과는 반대의 회전운동방향(도 4에서는 좌회전의 회전운동방향임)으로 회전운동한 제 2 전향위치(P2)(도 4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냄)를 차지한다.
한편, 도 4에서는 도면의 복잡화를 피하기 위해 하나의 롤러(120)에 대해서 각 전향위치(P1, P2)가 나타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회전구동기구(170)는 라인샤프트(171)와, 그 라인샤프트(171)를 회전구동하는 구동기구(172)를 갖는다. 구동기구(172)는 기기대(110)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원으로서의 전동모터(173)와, 그 전동모터(173)의 동력을 각 라인샤프트(171)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인 벨트(175)를 갖는 권취전동기구(174)를 구비한다.
전동모터(173)는 구분장치(100)의 각 라인샤프트(171)를 일제히 같은 회전방향으로 회전구동한다.
도 1?도 4를 참조하면, 각 유지프레임(191, 192) 및 기기대 프레임(115, 116)의 윗쪽에서 커버(180)를 유지하기 위한 커버유지부(185)는 각 기기대 프레임(115, 116)의 바로 위에 반송방향(21)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씩 배치된다. 또한, 커버(180)는 도시하지 않은 고정수단(예를 들면, 걸어맞춤부재 또는 나사)에 의해 기초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분장치(100)는 롤러(120)와, 롤러지지체(130) 및 회전운동체(140)로 구성되는 롤러지지대(A1)를 갖는 복수의 롤러조립체(A)와, 롤러(120)를 수평축선(Lh)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기구(170)와, 회전운동체(140)를 수직축선(Lv)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회전운동 구동기구(150)와, 롤러조립체(A)가 장착되는 유지프레임(191, 192)을 구비하고, 롤러(120) 및 롤러지지체(130)가 회전운동체(140)와 함께 회전운동함으로써 롤러(120)에 의한 반송방향이 전향됨으로써 회전운동 구동기구(150)가 회전운동체(140) 및 롤러지지체(130)을 통해 롤러(120)를 회전운동시킴으로써 롤러(120)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의 반송방향을 전향할 수 있다.
롤러지지대(A1)에 있어서, 롤러지지체(130) 및 회전운동체(140)가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회전운동 구동기구(150)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운동하는 회전운동체(140)와 그 회전운동체(140)와 함께 회전운동하는 롤러지지체(130)가 경량화되므로, 이 경량화에 의해 롤러조립체(A)의 장착 및 분리가 쉬워지기 때문에 구분장치(100)의 조립성 및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구나 회전운동체(140) 및 롤러지지체(130)와 함께 회전운동하는 롤러(120)에서의 물품의 반송방향(20)을 전향하기 위한 회전운동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롤러(120)에는 코어부(122, 123, 124)에 내부공간(126)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공간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롤러(120)가 경량화되어 있으므로, 롤러조립체(A)가 한층 경량화되어, 경량화에 의한 구분장치(100)의 조립성 및 유지보수성과 롤러(120)의 회전운동 응답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롤러조립체(A)가 경량화됨으로써 회전운동 구동기구(150)에서의 롤러(120)를 회전운동시키기 위한 구동 에너지의 소비를 줄이고, 나아가서는 구분장치(100)의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고, 또 회전운동 구동기구(150)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롤러지지체(130)가 롤러축(131)과 그 롤러축(131)을 지지하는 지지체 본체(132)를 갖고, 회전운동체(140)가 관절축(141)과 그 관절축(141)을 지지하는 회전운동체 본체(142)를 갖고, 지지체 본체(132), 롤러축(131), 회전운동체 본체(142) 및 관절축(141)이 수지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롤러조립체(A)에 있어서 회전운동 중심선인 수직축선(Lv)으로부터 먼 곳까지 연장되어 있는 구성부품인 롤러축(131), 지지체 본체(132), 관절축(141) 및 회전운동체 본체(142)가 모두 수지로 형성됨으로써 경량화되므로, 롤러조립체(A)에 있어서 수직축선(Lv) 방향의 관성 모멘트가 감소하여 롤러(120)의 회전운동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롤러축(131)이 지지체 본체(132)에 관절축(141)이 지지체 본체(132) 또는 회전운동체 본체(142)에 각각 스냅결합에 의해 장착되어 있음으로써 롤러 조립체(A)에서의 롤러축(131) 및 관절축(141)의 장착이 수지끼리의 부재인 것을 이용한 스냅결합에 의해 행해지므로 롤러축(131) 및 관절축(141)의 장착성 및 분리성이 향상되어 롤러조립체(A), 나아가서는 구분장치(100)의 조립성 및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롤러축(131) 및 관절축(141)의 각각이 롤러축(131) 및 관절축(141)에 공용의 축부품(T)이기 때문에 롤러축(131) 및 관절축(141)이 동일한 축부품(T)이므로, 롤러축(131) 및 관절축(141)이 별개인 축부품인 경우에 비하여 롤러조립체(A)의 비용이 삭감됨으로써 구분장치(100)의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더구나 롤러조립체(A)의 조립성 및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회전운동체(140)가 유지프레임(191, 192)에 형성된 삽입통과구멍(198)에 삽입통과되어 유지프레임(191, 192)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운동 지지축(146)을 갖고, 회전운동 지지축(146)의 거의 전체가 유지프레임(191, 192) 내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롤러조립체(A)의 회전운동 지지축(146)은 유지프레임(191, 192) 자체에 의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롤러조립체(A)가 장착되는 유지프레임(191, 192)이 회전운동 지지축(146)을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 홀더를 겸하므로, 회전운동 지지축(146)을 지지하기 위한 전용의 축받이 홀더가 불필요하게 되거나, 회전운동 지지축(146)의 거의 전체가 유지프레임(191, 192) 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회전운동 지지축(146)의 축길이의 단축화가 가능하게 되어 롤러조립체(A)를 경량화하거나 상하방향에서 소형화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구분장치(100)를 상하방향에서 소형화할 수 있다.
회전운동 지지축(146)이 유지프레임(191, 192)에 스냅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프레임(191, 192)에 대한 롤러조립체(A)의 장착 및 분리가 쉬워지므로 구분장치(100)의 조립성 및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닛롤러군(G), 롤러지지대(A1), 라인샤프트(171), 회전운동 구동기구(150, 150) 및 유닛지지체(190)가 하나의 롤러유닛(U)을 구성하고, 그 롤러유닛(U)은 유닛지지체(190)가 기기대(110)에 대하여 착탈됨으로써 기기대(110)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기 때문에 유닛롤러군(G), 롤러지지대(A1), 라인샤프트(171), 회전운동 구동기구(150)를 롤러유닛(U) 단위로 기기대(110)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다.
이 결과, 기기대(110)로의 유닛롤러군(G), 롤러지지대(A1), 라인샤프트(171), 회전운동 구동기구(150)의 장착이 쉬워지므로 구분장치(100)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지보수시에는 기기대(110)로부터의 유닛롤러군(G), 롤러지지대(A1), 라인샤프트(171), 회전운동 구동기구(150)의 분리가 쉬워지므로 구분장치(100)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롤러유닛(U) 단위의 교환에 의해 롤러(120)의 배열형태의 다양화가 용이해진다. 또한, 롤러(120)나 롤러지지대(A1) 등에 불량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결함이 발생한 부품을 포함하는 롤러유닛(U)과 정상인 롤러유닛(U)을 쉽게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구분장치(100)의 가동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상술한 실시예의 일부 구성을 변경한 실시예에 대하여, 변경된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롤러축(131)과 관절축(141)은 다른 축부품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회전운동체(140)의 한 쌍의 지지벽(143, 144)이 롤러지지체(130)의 한 쌍의 지지벽(133, 134)의 바깥쪽에 배치되어도 되고, 이 경우에 관절축(141)은 하나의 지지벽(144)에 플랜지(T1)가 맞닿은 상태로, 각 지지벽(133, 134, 143, 144)을 관통하여 하나의 지지벽(143)에 스냅결합되게 된다.
수평축선(Lh)은 수직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평행하지 않아도 되고, 수직축선(Lv)은 수직방향으로 평행하지 않아도 된다.
롤러(120)의 코어부(122)가 금속 대신에 수지로 형성됨으로써 롤러조립체(A)가 한층 경량화된다.
롤러지지대(A1)가 회전구동기구로서의 전동모터를 탑재하는 것이어도 된다.
100 : 구분 장치 120 : 롤러
130 : 롤러지지체 131 : 롤러축
132 : 지지체 본체 140 : 회전운동체
141 : 관절축 142 : 회전운동체 본체
146 : 회전운동 지지축 148 : 이탈방지부
150 : 회전운동 구동기구 170 : 회전구동기구
191, 192 : 유지프레임 A : 롤러조립체
T : 축부품 T2 : 이탈방지부

Claims (5)

  1. 회전하는 것에 의해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용 롤러와 상기 롤러를 수평축선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지지체와 상기 롤러 지지체를 지지함 동시에, 수직축선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운동체를 갖는 복수의 롤러 조립체, 상기 롤러를 상기 수평축선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기구, 상기 회전운동체를 상기 수직축선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회전운동 구동기구, 상기 롤러 조립체가 장착되는 유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 및 상기 롤러 지지체가 상기 회전운동체와 함께 회전운동함으로써 상기 롤러에 의한 반송방향이 전향되는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 지지체 및 상기 회전운동체가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지지체가 상기 롤러를 상기 롤러 지지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을 지지하는 지지체 본체를 갖고,
    상기 회전운동체가 상기 롤러 지지체를 상기 회전운동체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관절축과 상기 관절축을 지지하는 회전운동체 본체를 갖고,
    상기 지지체 본체, 상기 롤러축, 상기 회전운동체 본체 및 상기 관절축이 상기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롤러축이 상기 지지체 본체에 상기 관절축이 상기 지지체 본체 또는 상기 회전운동체 본체에 각각 스냅 결합에 의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축 및 상기 관절축의 각각이 상기 롤러축 및 상기 관절축에 공용의 축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체가 상기 유지부재에 설치된 삽입통과구멍에 삽입통과되어 상기 유지부재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운동 지지축을 갖고,
    상기 회전운동 지지축의 거의 전체가 상기 유지부재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 지지축이 상기 유지부재에 스냅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KR20110144838A 2011-06-03 2011-12-28 롤러 조립체를 구비하는 반송장치 KR201201350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25638A JP5414742B2 (ja) 2011-06-03 2011-06-03 ローラ組立体を備える搬送装置
JPJP-P-2011-125638 2011-06-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000A true KR20120135000A (ko) 2012-12-12

Family

ID=47452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144838A KR20120135000A (ko) 2011-06-03 2011-12-28 롤러 조립체를 구비하는 반송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414742B2 (ko)
KR (1) KR20120135000A (ko)
CN (1) CN20265767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70816B (zh) * 2014-06-24 2017-08-25 中邮科技有限责任公司 带有防卡夹装置的分流机构摆动轮
CN105314379A (zh) * 2014-07-25 2016-02-10 上海嘉峥机械有限公司 一种可升降转向轮的分拣装置
CN105438808A (zh) * 2015-12-25 2016-03-30 东莞市伟创东洋自动化设备有限公司 滚筒旋转分流及汇流机
CN106144543A (zh) * 2016-08-17 2016-11-23 苏州冠科工业设备有限公司 一种物流分拣系统的滚轮分拨装置
CN108246637A (zh) * 2017-12-13 2018-07-06 苏州金峰物流设备有限公司 高效偏转轮分拣机
CN108163443A (zh) * 2017-12-13 2018-06-15 苏州金峰物流设备有限公司 自适应偏转球分拣装置
CN110015540A (zh) * 2019-04-03 2019-07-16 苏州金峰物流设备有限公司 轮式输送线
CN110015539A (zh) * 2019-04-03 2019-07-16 苏州金峰物流设备有限公司 输送装置
CN110040490A (zh) * 2019-04-03 2019-07-23 苏州金峰物流设备有限公司 基于多向分拣轮的分合流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27948Y1 (ko) * 1968-09-30 1971-09-28
JPH0222494Y2 (ko) * 1985-03-11 1990-06-18
JPH0222495Y2 (ko) * 1985-05-10 1990-06-18
JPH0640450Y2 (ja) * 1989-03-17 1994-10-19 日工株式会社 モータプーリ
JPH0474724U (ko) * 1990-10-31 1992-06-30
JP3349084B2 (ja) * 1998-01-29 2002-11-2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物品の分岐仕分装置
US6367617B1 (en) * 1999-10-14 2002-04-09 Rapistan Systems Advertising Corp. Axle holding yoke for conveyor roller
JP2004307197A (ja) * 2003-04-10 2004-11-04 Asahi Eng Co Ltd 搬送用ローラー
JP5295594B2 (ja) * 2007-03-26 2013-09-18 株式会社イシダ 振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14742B2 (ja) 2014-02-12
JP2012250824A (ja) 2012-12-20
CN202657671U (zh)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5000A (ko) 롤러 조립체를 구비하는 반송장치
JP5783834B2 (ja) 搬送装置
JP5783833B2 (ja) 搬送装置
KR20120103422A (ko) 반송장치
ES2524583T3 (es) Dispositivo de transporte por transferencia
JP6571170B2 (ja) ロボット型機械的マニピュレータ構造、組み立て式ケーブルアセンブリ及びロボット型マニピュレータリンク
CN102300682B (zh) 包含具有无支撑臂的重量平衡装置的操纵器
JP4091002B2 (ja) ベルト緊張装置
JP7459061B2 (ja) 四節リンクを備えるロボットおよびロボット用のジョイント軸受を組み立てる方法
US10046461B2 (en) Link structure and assembly including cable guide system for robotic mechanical manipulator structure
CN102822563B (zh) 管线布线设备、尤其是能量导引链
CN109312777B (zh) 包括分段活动部分的海洋运载工具的驱动单元轴承的环
US20080274847A1 (en) Belt tensioning device
CN101688413A (zh) 用于滑动门的联动装置
CN101947784A (zh) 一种可拆装模块化并联机器人
US20160214708A1 (en) Method for rotating an aircraft wheel
US20110036686A1 (en) Conveyer device
CN106467086B (zh) 刮水器设备
KR20190042015A (ko) 다중부분 스프로켓 휠
RU2011153337A (ru) Способ переоборудования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редуктора для нескольких ведомых элементов
ES2829335T3 (es) Cilindro de ajuste de paso para ajuste de un ángulo de paso de una pala de una turbina eólica
CN212244981U (zh) 一种用于输送机的张紧机构
CN201004586Y (zh) 一种电机
JP6928769B2 (ja) ロボットの腰部骨格及びロボット
CN104704152B (zh) 用于递送纬线的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