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3422A - 반송장치 - Google Patents

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3422A
KR20120103422A KR20110128310A KR20110128310A KR20120103422A KR 20120103422 A KR20120103422 A KR 20120103422A KR 20110128310 A KR20110128310 A KR 20110128310A KR 20110128310 A KR20110128310 A KR 20110128310A KR 20120103422 A KR20120103422 A KR 20120103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unit
support
rollers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28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치 하야시다
마사카즈 시모무라
히데히코 무라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120103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422A/ko

Links

Images

Landscapes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반송장치의 기기대에 대한 복수의 롤러, 롤러지지대, 회전 구동체 및 회전운동 구동기구의 착탈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반송장치의 조립성의 향상 및 유지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물품의 반송방향 및 반송로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반송용 롤러를 구비하는 분류장치에 있어서, 유닛 롤러군(G)의 각 롤러(120)를 지지하는 롤러지지대(140), 유닛 롤러군(G)의 각 롤러(120)을 회전구동하는 라인 샤프트(170) 및 롤러지지대(140)를 개재하여 롤러(120)를 회전운동시키는 회전운동 구동기구(150)는 라인 샤프트(17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부(194)를 갖는 유닛 지지체(190)에 장착됨으로써 유닛 롤러군(G) 및 유닛 지지체(190)와 함께 하나의 롤러유닛(U)을 구성한다. 롤러유닛(U)은 유닛 지지체(190)가 분류장치의 기기대에 대하여 착탈됨으로써 상기 기기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Description

반송장치{TRANSPORT DEVICE}
본 발명은 수평축선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동시에 수직축선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한 반송용 롤러를 구비하고, 그 롤러에 의해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반송장치는 예를 들면 물품의 반송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분류장치이다.
반송장치(예를 들면, 분류장치)가 물품의 반송방향 및 반송로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롤러, 각 롤러를 수평축선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수직축선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는 롤러지지대, 복수의 롤러를 함께 회전운동시키는 1 이상의 회전운동 구동기구, 각 롤러를 회전구동하는 회전 구동체 (예를 들면, 라인 샤프트)와 기기대를 구비하고, 상기 기기대가 롤러지지대 및 회전 구동체를 지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3 참조).
일본국 특허 제3349084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평 6-219522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평 3-138215호 공보
그런데, 반송장치로서의 분류장치의 기기대에 대하여, 모두 복수의 롤러지지대, 회전운동 구동기구 및 회전 구동체가 개별적으로 착탈될 경우에는, 기기대에 대하여 착탈되는 부재의 수가 많아지므로 손이 많이 간다. 이 때문에, 분류장치의 조립시나 유지보수시에 있어서, 이들 부재를 기기대에 장착하거나 분리하는 데에 손이 많이 가기 때문에 분류장치의 조립성이나 유지보수성의 저하를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기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대가 갖는 회전운동용 지지축이 축받이를 유지하는 축받이통을 개재하여 지지되는 것에서는, 회전운동용 지지축을 지지하기 위한 전용 부재인 축받이통이 필요하고, 또한 회전운동용 지지축이 길어지는 경우가 있어서, 롤러지지대의 중량증가 및 상하방향에서의 대형화, 나아가서는 분류장치의 중량증가 및 대형화를 초래하고, 또한 부품 수가 증가하여 가격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롤러가 상방으로 돌출하는 롤러 돌출용 구멍이 설치된 커버가 기기대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커버가 볼트에 의해 기기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커버를 기기대에 장착하는데에 손이 많이 가고, 게다가 롤러 돌출용 구멍으로부터의 롤러의 돌출 높이의 조정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그 목적은 반송장치의 기기대에 대한 복수의 롤러, 롤러지지대, 회전 구동체 및 회전운동 구동기구의 착탈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반송장치의 조립성의 향상 및 유지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송장치의 경량화 또는 상하방향에서의 소형화를 도모하여 가격절감을 도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롤러 돌출용 구멍이 설치된 커버의 기기대에 대한 조립성의 향상 또는 롤러 돌출용 구멍으로부터의 롤러의 돌출높이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고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반송로(101)에서의 물품(10)의 반송방향(20) 및 상기 반송로(101)의 폭 방향(23)으로 배열된 복수인 제1 소정수의 반송용 롤러(120), 복수의 상기 롤러(120)를 수평축선(Lh)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수직축선(Lv)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롤러지지대(140), 상기 롤러지지대(140)를 개재하여 상기 롤러(120)를 상기 수직축선(Lv)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복수의 회전운동 구동기구(150), 상기 각 롤러(120)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회전 구동체(170)와, 상기 각 롤러지지대(140), 상기 회전운동 구동기구(150) 및 상기 회전 구동체(170)가 조립된 기기대(110)를 구비하는 반송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정수 미만의 복수인 제2 소정수의 상기 롤러(120)로 구성되는 유닛 롤러군(G)에 속하는 복수의 상기 롤러(120)를 지지하는 복수의 상기 롤러지지대(140)인 유닛용 롤러 지지대(140)를 지지하는 유닛 지지체(190)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구동체(170)는 상기 유닛 롤러군(G)에 속하는 복수의 상기 롤러(120)를 회전구동하는 유닛용 회전 구동체(17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운동 구동기구(150)는 상기 각 유닛용 롤러 지지대(140)를 개재하여 상기 롤러(120)를 회전운동시키는 유닛용 회전운동 구동기구(150)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용 롤러지지대(140), 상기 유닛용 회전구동체(170) 및 상기 유닛용 회전운동 구동기구(150)는 상기 유닛 지지체(190)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유닛 롤러군(G) 및 상기 유닛 지지체(190)와 함께, 하나의 롤러유닛(U)을 구성하고, 상기 롤러유닛(U)은 상기 유닛 지지체(190)가 상기 기기대(110)에 대하여 착탈됨으로써 상기 기기대(1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유닛 지지체(190)는 상기 반송방향(20)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지지체(191) 및 제2 지지체(192)와, 상기 제1 지지체(191) 및 상기 제2 지지체(192)를 연결하는 연결부(193)를 갖고, 상기 유닛 롤러군(G)은 상기 폭 방향(23)에서의 제1 롤러열(R1)을 구성하는 제1 유닛 롤러군(G1)과 상기 폭 방향(23)에서의 제2 롤러열(R2)을 구성하는 제2 유닛 롤러군(G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롤러열(R1) 및 상기 제2 롤러열(R2)은 상기 반송방향(20)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유닛용 롤러지지대(140)는 상기 제1 롤러열(R1)의 복수의 상기 롤러(120)를 지지하는 제1 롤러지지대(140a)와 상기 제2 롤러열(R2)의 복수의 상기 롤러(120)를 지지하는 제2 롤러지지대(14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롤러지지대(140a)는 상기 제1 지지체(191)에 지지되고, 상기 제2 롤러지지대(140b)는 상기 제2 지지체(192)에 지지되며, 상기 유닛용 회전운동 구동기구(150)는 상기 제1 롤러지지대(140a) 및 상기 제2 롤러지지대(140b)를 같은 회전운동 방향으로 함께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각 롤러(120)의 일부가 롤러돌출부(120a)로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롤러 돌출용 구멍(131)이 형성된 커버(130)와, 상기 롤러돌출부(120a)의 돌출 높이(H)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기기대(110)에 대한 상기 커버(130)의 상하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부재(200)를 구비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조정부재(200)는 상기 커버(130)가 상방으로부터 탑재되는 탑재부(206)를 갖는 커버 유지부(200) 이며, 상기 커버 유지부(200)는 상기 기기대(110)에 대한 상하방향에서의 위치가 조정 가능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롤러지지대(140)는 상기 롤러(120)를 상기 수직축선(Lv)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유닛 지지체(190)에 지지되는 회전운동용 지지축(145)을 갖고, 상기 회전운동용 지지축(145)의 거의 전체는 상기 유닛지지체(190) 내에 수용되어 있음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기기대(110)에 지지되는 모든 상기 롤러(120)인 상기 제1 소정수의 상기 롤러(120)는 복수의 상기 유닛 롤러군(G) 중 어느 하나에 속하고, 상기 제2 소정수, 상기 유닛용 롤러지지대(140)의 수, 상기 유닛용 회전 구동체 (170)의 수 및 상기 유닛용 회전운동 구동기구(150)의 수는 상기 각 롤러유닛(U)에 있어서 동일 또는 다른 값인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제2 소정수의 유닛 롤러군, 유닛용 롤러지지대, 유닛용 회전 구동체, 유닛용 회전운동 구동기구 및 유닛 지지체가 하나의 롤러유닛을 구성하므로, 유닛 롤러군, 유닛용 롤러지지대, 유닛용 회전구동체 및 유닛용 회전운동 구동기구를 롤러유닛단위로 기기대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다. 이 결과, 유닛롤러군, 롤러지지대, 회전구동체 및 회전운동 구동기구를 기기대에 장착하기가 쉬워지므로 반송장치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지보수시에는 유닛 롤러군, 롤러지지대, 회전 구동체 및 회전운동 구동기구를 기기대로부터 분리하기가 쉬워지므로 반송장치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롤러유닛단위의 교환에 의해 롤러의 배열형태의 다양화가 용이해진다. 또한, 롤러나 롤러지지대 등에 불량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불량이 발생한 부품을 포함하는 롤러유닛과 정상인 롤러유닛을 교환하기가 쉬워지므로 반송장치의 가동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이 거두는 효과에 덧붙여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롤러유닛을 구성하는 롤러 유닛군에 있어서, 반송방향에서 이격되는 제1 및 제2 롤러열에 속하는 동시에, 제1 및 제2 롤러지지대에 지지되는 모든 롤러가 같은 회전운동방향으로 함께 회전운동하므로, 제1 및 제2 롤러열을 포함하는 롤러유닛의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제1 및 제2 롤러열을 포함하는 롤러유닛의 경량화, 나아가서는 반송장치의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롤러열의 롤러를 지지하는 제1 롤러지지대 및 제2 롤러열의 롤러를 지지하는 제2 롤러지지대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체가 반송방향에서 이격되어 있음으로써 양 지지체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므로, 제1 및 제2 롤러지지대가 공통의 지지체에 지지되는 경우에 비하여 롤러유닛의 경량화, 나아가서는 반송장치의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이 거두는 효과에 덧붙여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돌출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반송되는 물품이 커버와 접촉하는 정도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롤러에 의한 지지 중량과 커버에 의한 지지 중량의 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이 결과, 롤러와 물품 사이의 마찰력을 조정할 수 있어 롤러에 의한 반송력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물품에 따른 적절한 반송력을 설정할 수 있게 되어 반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커버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롤러의 위치가 조정될 경우에 비해 돌출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구조가 간단해지고, 또한 각각의 롤러를 위치 조정하는 경우에 비해 반송장치가 구비하는 제1 소정수의 롤러의 높이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이 거두는 효과에 덧붙여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커버는 커버 유지부의 탑재부에 상방으로부터 탑재되면 되므로, 기기대에 대한 커버의 착탈이 용이해진다. 게다가, 커버가 커버 유지부에 탑재되는 것을 이용하여 기기대에 대하여 커버 유지부를 상하방향에서 위치 조정함으로써 기기대에 대한 상하방향에서의 커버의 위치가 변경되므로 롤러 돌출높이의 조정이 용이해진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명이 거두는 효과에 덧붙여서, 다음과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롤러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해 롤러지지대가 갖는 회전운동용 지지축은 유닛용 회전 구동체 및 유닛용 회전운동 구동기구가 장착되는 유닛 지지체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유닛 지지체 자체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회전운동용 지지축을 지지하기 위한 전용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고, 또한 회전운동용 지지축의 거의 전체가 유닛지지체 내에 수용되므로, 회전운동용 지지축의 축 길이가 단축될 수 있기 때문에 롤러유닛의 경량화 및 상하방향에서의 소형화, 나아가서는 반송장치의 경량화 및 상하방향에서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명이 거두는 효과에 덧붙여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반송장치가 구비하는 모든 롤러가 어느 하나의 롤러유닛에 속하므로, 반송장치의 조립성 및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롤러유닛에 있어서, 제2 소정수, 유닛용 롤러지지대의 수, 유닛용 회전 구동체의 수 및 유닛용 회전운동 구동기구의 수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반송장치가 구비하는 모든 롤러유닛을 공통화할 수 있어 반송장치의 가격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류장치를 구비하는 물품반송 시스템의 요부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분류장치의 Ⅱ화살표에서의 요부의 도면.
도 3은 도 1의 분류장치의 Ⅲ화살표에서의 요부의 도면.
도 4는 도 3의 요부확대도.
도 5는 도 1의 분류장치의 롤러유닛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Ⅶ-Ⅶ선 단면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 단면도.
도 9는 도 1의 분류장치의 커버 위치 결정부를 중심으로 하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커버 위치 결정부의 단면도.
본 발명의 반송장치는 반송로에서의 물품의 반송방향 및 상기 반송로의 폭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인 제1 소정수의 반송용 롤러, 복수의 상기 롤러를 수평축선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수직축선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롤러지지대, 상기 롤러지지대를 개재하여 상기 롤러를 상기 수직축선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복수의 회전운동 구동기구와, 상기 각 롤러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회전 구동체와, 상기 각 롤러지지대, 상기 회전운동 구동기구 및 상기 회전구동체가 장착된 기기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소정수 미만의 복수인 제2 소정수의 상기 롤러로 구성되는 유닛 롤러군에 속하는 복수의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복수의 상기 롤러지지대인 유닛용 롤러지지대를 지지하는 유닛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구동체는 상기 유닛 롤러군에 속하는 복수의 상기 롤러를 회전구동하는 유닛용 회전구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운동 구동기구는 상기 각 유닛용 롤러지지대를 개재하여 상기 롤러를 회전운동시키는 유닛용 회전운동 구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용 롤러지지대, 상기 유닛용 회전구동체 및 상기 유닛용 회전운동 구동기구는 상기 유닛 지지체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유닛 롤러군 및 상기 유닛 지지체와 함께 하나의 롤러유닛을 구성하고, 상기 롤러유닛은 상기 유닛 지지체가 상기 기기대에 대하여 착탈되는 것에 의해 상기 기기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함으로써, 반송장치의 기기대에 대한 복수의 롤러, 롤러지지대, 회전 구동체 및 회전운동 구동기구의 착탈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반송장치의 조립성의 향상 및 유지보수성의 향상이 가능한 것이면 그 구체적인 형태는 어떠한 것이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반송장치는 분류장치 이외에, 반송되는 물품의 종류나 형상에 대응하여 반송로 상에서 반송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반송장치여도 된다.
반송장치가 구비하는 제1 소정수의 롤러에는 유닛 롤러군을 구성하지 않는 롤러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반송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유닛을 구비하고, 롤러유닛을 구성하지 않는 롤러에 관하여 롤러유닛(U)을 구성하지 않는 회전 구동체 및 회전운동 구동기구가 구비된다. 따라서, 이 경우의 반송장치에 있어서, 회전 구동체는 유닛용 회전 구동체를 포함하고, 회전운동 구동기구는 유닛용 회전운동 구동기구를 포함한다.
회전운동 구동기구는 유닛 지지체에 설치된 랙과 롤러지지대에 설치되는 피니언으로 구성되는 랙ㆍ피니언 기구여도 된다.
(실시 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류장치(100)를 구비하는 물품반송 시스템(1)의 요부평면도인 도 1을 참조하면, 물품반송 시스템(1)은 물품(10)(예를 들면, 결속된 신문 다발 등의 결속된 물품 또는 포장된 물품)을 반송하는 복수의 반송용 롤러(120)를 구비하는 반송장치로서의 분류장치(100), 상기 분류장치(100)에 물품 (10)을 반입하기 위한 반입용 반송장치(2)(예를 들면, 벨트 컨베이어)와 분류장치 (100)에 의해 반송된 물품(10)을 반출하기 위한 반출용 반송장치(3)(예를 들면, 벨트 컨베이어)를 구비한다.
반출용 반송장치(3)는 분류장치(100)에 의해 기본반송방향(21)으로 반송된 물품(10)을 반출하기 위한 기본반출용 반송장치(3a)와 기본반송방향(21)에 대하여 교차하는 반송방향인 분기반송방향(22)으로 반송된 물품(10)을 반출하기 위한 분기반출용 반송장치(3b)로 구성된다.
그리고, 반입용 반송장치(2)에서 분류장치(100)로 반입된 물품(10)은 수직축선(Lv)(도 7 참조)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한 롤러(120)의 회전운동위치(P)(도 5 참조)에 따라 반송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분류장치(100)에 의해 반송되어 양 반출용 반송장치(3a, 3b)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되어 반출된다.
여기에서, 기본반송방향(21)은 분류장치(100)에 있어서, 분류장치(100)의 롤러(120)가 수직축선(Lv)(도 7 참조) 방향의 회전운동위치(P)로서 후술하는 기본회전운동위치(P0)(도 5 참조)를 점유할 때의 물품(10)의 반송방향(20)이며, 반입용 반송장치(2) 및 기본반출용 반송장치(3a)에서의 물품(10)의 반송방향(20)과 같은 방향이다.
분기 반송방향(21)은 롤러(120)가 회전운동위치(P)로서 후술하는 제1 최대회전운동위치 P1(도 5 참조)을 점유할 때의 물품(10)의 반송방향이다.
다른 예로서, 분기반출용 반송장치(3b)는 분류장치(100)에서의 반송로(101)의 폭 방향(23)에서, 반송로(101)의 1 방향 측에 배치되는 대신에, 도 1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로(101)의 타방향 측에 배치되어도 되고, 이 경우에는 롤러(120)는 회전운동위치 P로서 후술하는 제2 최대회전운동위치 P2(도 5 참조)를 점유한다.
또한, 분기반출용 반송장치(3b)는 폭 방향(23)에서 반송로(101)의 양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기본반송방향(21)을 단지 반송방향(21)이라 한다.
도 1, 도 1의 분류장치(100)의 Ⅱ화살표에서의 요부의 도면인 도 2, 도 1의 분류장치(100)의 Ⅲ화살표에서의 요부의 도면인 도 3 및 도 3의 요부 확대도이며, 일부가 파단되어 단면도로 나타내는 도 4를 참조하면, 분류장치(100)는 그 설치 장소인 바닥면(5)에 설치되는 기기대(110), 물품(10)이 반송되는 반송로(101)를 형성하는 동시에, 물품(10)의 반송방향(20) 및 반송로(101)의 폭방향(23)으로 배열된 복수인 제1 소정수의 롤러(120), 각 롤러(120)와 함께 반송로(101)를 형성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커버(130)(도 2, 도 3에서는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각 롤러(120)를 수평축선(Lh)(도 7 참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각 롤러(120)를 수직축선(Lv)(도 7 참조)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복수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소정수의 롤러지지대(140), 롤러지지대(140)를 개재하여 복수인 특정수의 롤러(120)를 함께 수직축선(Lv)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본 실시 예에서는 5개의 회전운동 구동기구(150), 폭 방향(23) 또는 반송방향(20)으로 나열된 복수의 롤러(120)를 회전구동하는 복수의, 본 실시 예에서는 5개의 회전 구동체로서의 라인 샤프트(170), 상기 라인 샤프트(170)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기구(180), 기기대(1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유닛 지지체(190), 커버(130)를 기기대(110)에 유지하기 위한 커버 유지부(200), 각 롤러(120)에 대하여 커버(130)를 위치 결정하는 커버 위치 결정부(A)(도 9 참조)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롤러(120)의 회전운동 중심선인 수직축선(Lv)(도 7 참조)은 롤러지지대(140)의 롤러지지 기체(142)(도 7 참조) 또는 회전운동용 지지축(145)(도 7 참조)에 의해 규정되고, 상하방향(즉, 수직방향)으로 거의 평행하다. 그리고, 수직축선(Lv)이 롤러(120)의 회전중심선인 수평축선(Lh)(도 7 참조)과 직교할 때, 수직축선(Lv)은 롤러(120)의 중심을 지나간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반송방향(21)과 폭방향(23)이 거의 직교한다.
한편, 「거의」라는 표현은, 「거의」라는 수식어가 없을 경우를 포함하는 동시에, 「거의」라는 수식어가 없을 경우와는 엄밀하게는 일치하지 않지만, 「거의」라는 수식어가 없는 경우에 비해서 작용 효과에 관해서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는 범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특정 수는 본 실시 예에서는 후술하는 제2 소정 수이지만, 다른 예로서 제2 소정 수 미만이어도 된다.
도 1 ? 도 3을 참조하면, 기기대(110)에는 분류장치(100)가 구비하는 모든 롤러(120)인 제1 소정수의 롤러(120)를 지지하는 롤러지지대(140), 회전운동 구동기구(150), 라인 샤프트(170), 회전구동기구(180) 및 커버(130)가 장착된다.
기기대(110)는 반송방향(21) 및 폭 방향(23)으로 서로 이격하여 바닥에 설치되는 4개의 다리부(111?114), 상기 4개의 다리부(111?114)를 그 하부에서 연결하는 하측 연결부재(119), 폭 방향(23)으로 이격하고 있는 한 쌍의 기기대 프레임(115, 116)을 구비한다. 한 쌍의 기기대 프레임(115, 116)은 반송방향(21)에서 이격하는 한 쌍의 다리부(111, 113 ; 112, 114)끼리를, 그 상부에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단부에서 연결하는 상측 연결부재이며, 기기대(110)의 상단부를 구성한다.
각 기기대 프레임(115 ; 116)은 반송방향(21)으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서, 횡단면형상이 L자형인 장척부재이며, 한쌍의 다리부(111, 113 ; 112, 114)끼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바닥 벽(115a ; 116a)과, 상기 바닥 벽(115a ; 116a)으로부터 세워지는 측벽(115b ; 116b)을 갖는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분류장치(100)가 구비하는 모든 롤러(120)는 반송방향(21)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인 열의 수, 본 실시 예에서는 10열의 롤러열(R)을 형성하도록, 또한 각 롤러(120)의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에서 기기대 프레임(115, 116)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폭 방향(23)에서의 열인 각 롤러열(R)은 폭 방향(23)과 같은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롤러(120)로 구성된다.
아울러, 도 1의 분류장치(100)의 롤러유닛(U)의 평면도인 도 5 및 도 5의 Ⅵ-Ⅵ선 단면도인 도 6을 참조하면, 1 이상의 소정열 수, 본 실시 예에서는 복수로서의 2개의 롤러열(R)인 제1 롤러열(R1) 및 제2 롤러열(R2)은 하나의 롤러유닛(U)에 서의 유닛용 롤러열(Ru)을 구성한다.
유닛용 롤러열(Ru)은 제1 롤러열(R1) 및 제2 롤러열(R2)에 속하는 모든 롤러(120), 즉 제2 소정수의 롤러(120)로 구성되는 유닛롤러군(G) (도 5 참조)을 갖는다. 여기에서, 이 제2 소정수는 상기 제1 소정수 미만이되 복수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롤러열(R1)은 제1 유닛롤러군(G1)을 구성하는 7개의 롤러(120)로 구성되고, 제2 롤러열(R2)은 제2 유닛롤러군(G2)을 구성하는 8개의 롤러(120)로 구성된다. 또한, 다른 예로서 각 롤러열(R1, R2)에 속하는 복수의 롤러(120)의 수는 이들 수 이외의 수여도 된다.
따라서, 유닛롤러군(G)은 제1 유닛롤러군(G1)과 제2 유닛롤러군(G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롤러열(R1, R2)이 반송방향(21)으로 이 순서로 배열되고, 또한 반송방향(21)으로 번갈아 배열됨으로써 분류장치(100)의 모든 롤러(120)가 기기대(110)에 배치된다.
유닛용 롤러열(Ru)에서는 반송방향(21)에서 인접하는 롤러열(R)에 관하여 일방의 롤러열(R)의 각 롤러(120)는 폭 방향(23)에서 다른 쪽의 롤러열(R)에서의 폭방향(23)에서 인접하는 롤러(120)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다른 예로서 유닛용 롤러열(Ru)의 각 롤러열(R)의 각 롤러(120)가 폭 방향(23)에서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그리고, 기기대(110)에 롤러 지지대(140)를 개재하여 지지되는 모든(즉, 제1 소정수의) 롤러(120)는 복수의 유닛 롤러군(G), 본 실시 예에서는 5개의 유닛 롤러군(G) 중 어느 하나에, 바꾸어 말하면 분류장치(100)가 구비하는 5개의 롤러유닛(U)인 롤러유닛(U1?U5)(도 1, 도 3 참조) 중 어느 하나에 속한다.
도 5의 Ⅶ-Ⅶ선 단면도인 도 7 및 도 7의 Ⅷ-Ⅷ선 단면도인 도 8을 참조하면, 라인 샤프트(170)에 의해 마찰 구동되어 회전하는 각 롤러(120)는 라인 샤프트(170)와의 접촉면인 외주면(121)을 형성하는 부분이 고무재료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외주면(121)이 고마찰 계수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외주면(121)은 롤러(120)가 기본회전운동위치(P0)(도 5 참조)를 차지할 때에 라인 샤프트(170)와 접촉하는 원기둥면으로 구성되는 기본 접촉면(122)과, 롤러(120)가 기본 회전운동위치(P0)로부터 수직축선(Lv) 방향의 양 회전운동방향의 각각에서 가장 회전운동한 양 최대회전운동위치(P1, P2)(도 5 참조)를 점유할 때에 라인 샤프트(170)와 접촉하는 구면 또는 테이퍼면의 일부로 구성되는 한 쌍의 회전 방향 접촉면(123, 124)을 갖는다. 다른 예로서, 기본 접촉면(122) 및 각 회전 방향 접촉면(123, 124)이 구면의 일부로 구성되어도 된다.
각 롤러(120)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커버(130)에는 원형의 롤러 돌출용 구멍(131)(도 1 참조)이 설치된다. 각 롤러(120)의 일부는 커버(130) 상에서 반송되는 물품(10)에 접촉하는 롤러돌출부(120a)로서, 롤러 돌출용 구멍(131)을 관통하여 커버(130)의 상면(132)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높이(H)의 돌출량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류장치(100)에 있어서, 물품(10)은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120)에 순차 지지되어 롤러(120)와의 사이에서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반송방향(21) 또는 분기반송방향(22)으로 반송된다.
도 2, 도 3, 도 5?도 7을 참조하면, 각 롤러유닛(U)은 유닛 롤러군(G), 유닛롤러군(G)에 속하는 복수의 롤러(120)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본 실시예에서는 유닛 롤러군(G)의 각 롤러(120)를 지지하기 위한 제2 소정수의 유닛용 롤러지지대로서의 롤러지지대(140), 상기 롤러지지대(140)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유닛 지지체(190), 유닛 롤러군(G)의 각 롤러(120)를 회전구동하는 하나의 유닛용 회전 구동체로서의 라인 샤프트(170), 유닛 롤러군(G)의 각 롤러(120)를 롤러지지대(140)를 개재하여 수직축선(Lv)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기 위해 각 롤러지지대(140)를 회전운동시키는 하나의 유닛용 회전운동 구동기구로서의 회전운동 구동기구(150)로 구성된다.
그리고, 롤러유닛(U)마다 롤러(120)를 지지한 롤러지지대(140), 라인샤프트(170) 및 회전운동 구동기구(150)는 유닛 지지체(190)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각 롤러유닛(U)은 동일한 구조를 갖고, 따라서 제2 소정수, 유닛용 롤러지지대(140)의 수, 상기 유닛용 회전 구동체의 수 및 상기 유닛용 회전운동 구동기구의 수는 각 롤러유닛(U)에 있어서 같다. 이 때문에, 임의의 롤러유닛(U)끼리를 반송방향(21)에서 교체하여 기기대 프레임(115, 116)에 장착할 수 있다.
이하, 롤러유닛(U)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도 8을 주로 참조하고, 도 2, 도 3을 적절히 참조하면, 한쌍의 기기대 프레임(115, 11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닛 지지체(190)는 반송방향(21)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본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지지체로서의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91, 192)과, 폭 방향(23)으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91, 192)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93)와 라인 샤프트(17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축받이부(194)를 갖는다.
각 지지프레임(191, 192)은 폭 방향(23)에서 한 쌍의 기기대 프레임(115, 116)의 측벽 (115b ; 116b)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유닛 지지체(190)는 각 지지프레임(191, 192)이 폭 방향(23)에서의 제1 및 제2지지프레임(191, 192)의 양단부(191a, 19lb ; 192a, 192b)에 있어서, 한 쌍의 기기대 프레임(115, 116)에 결합도구로서의 볼트(B1)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양 기기대 프레임(115, 116)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 때문에, 각 지지프레임(191, 192)은 한쌍의 기기대 프레임(115, 116)을 폭 방향(23)에서의 사이에서 연결하는 보강프레임으로서도 기능하므로, 한 쌍의 기기대 프레임(115, 116)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용의 보강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 또는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기기대(110)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면서 롤러유닛(U)의 유닛 지지체(190)를 이용하여 한 쌍의 기기대 프레임(115, 116)의 강성, 나아가서는 기기대(110)(도 1, 도 2 참조)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각 지지프레임(191, 192)은 봉 형상의 부재이며, 폭 방향(23)으로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지지프레임(191, 192)의 단면형상은 폭 방향(23)에서의 임의인 위치에서 거의 일정하되 직사각형(도 3, 도 4, 도 7 참조)이다.
연결부(193)는 양 지지프레임(191, 192)을 폭 방향(23)에서의 한쌍의 축받이부(194)의 사이에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본 실시 예에서는 복수로서의 3개의 연결부(193)이다. 3개의 연결부(193)는 폭 방향(23)으로 같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각각 결합수단으로서의 볼트(B2)에 의해 각 지지프레임(191, 192)과 결합된다. 다른 예로서, 모든 연결부(193)의 적어도 일부의 연결부(193)는 양 지지프레임(191, 192)의 적어도 한쪽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양 축받이부(194)는 각각 기기대 프레임(115, 116)과의 결합부로서의 각 단부(191a, 192a ; 19lb, 192b)끼리에 걸치는 상태로, 결합수단으로서의 볼트(B3)에 의해 결합된다.
각 축받이부(194)는 각 단부(191a, 192a ; 19lb, 192b)끼리에 볼트(B3)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부(195)과, 기부(195)에 결합구로서의 볼트(B4)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받이 홀더(196)와, 축받이 홀더(196)에 유지되는 동시에 라인 샤프트(170)에서의 저널부로서의 단부(171, 17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197)(도 4 참조)를 갖는다.
도 4를 아울러 참조하면, 기부(195)는 각 지지프레임(191, 192)에 대하여 상방에 배치되며, 각 단부(191a, 192a ; 19lb, 192b)에 고정되는 하부로서의 하프렌지(195a), 상하방향에서 하프렌지(195a)와 대향하는 동시에 축받이 홀더(196)가 고정되는 상부로서의 상프렌지(195b)와 하프렌지(195a) 및 상프렌지(195b)를 연결하는 중간부로서의 웨브(195c)를 갖는 굴곡한 판재로 구성된다. 하프렌지(195a)는 기기대 프레임(115, 116)의 상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프렌지(195b)는 기기대 프레임(115, 116)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각 기부(195)는 양 지지프레임(191, 192)을 연결하기 때문에 양 지지프레임(191, 19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로서 기능하고, 연결부(193)와 함께 롤러유닛(U)의 강성을 높이고 있다.
도 7, 도 8을 참조하면, 롤러유닛(U)에 있어서, 복수로서의 제2 소정수의 롤러지지대(140)는 모두 동일한 구조이며, 제1 롤러열(R1)의 각 롤러(120)를 회전운동시키는 제1 롤러지지대(140a)와 제2 롤러열(R2)의 각 롤러(120)를 회전운동시키는 제2 롤러지지대(14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있어서, 롤러(120)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회전운동용 롤러지지대인 롤러지지대(140)는 롤러(120)마다 설치된다.
그리고, 제1 롤러지지대(140a)는 제1 지지프레임(191)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 롤러지지대(140b)는 제2 지지프레임(192)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각 롤러(120)를 기기대(110)(도 2 참조) 및 지지프레임(191, 192)에 대하여 회전 및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각 롤러지지대(140)는 롤러(120)를 수평축선(Lh)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틀(141), 롤러지지틀(141)을 수평축선(Lh)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수직축선(Lv)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한 롤러지지 기체(142)와, 롤러(120)를 라인 샤프트(170)에 누르는 탄성지지력을 롤러(120)에 부여하는 탄성 지지부재로서의 탄성지지 스프링(147)을 갖는다.
롤러지지틀(141)은 롤러(1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축(141a)을 갖는다.
롤러지지 기체(142)는 각 지지프레임(191, 192)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롤러(120) 및 롤러지지틀(141)을 수직축선(Lv)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다. 이 롤러지지 기체(142)는 회전운동 암(143a)을 갖는 회전운동 지지체(143), 회전운동 지지체(143)에 유지되어 롤러지지틀(141)을 수평축선(Lh)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관절축(144), 회전운동 지지체(143)에 상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회전운동 지지체(143)와 일체로 회전운동하는 회전운동용 지지축(145)과 각 지지프레임(191, 192)에 직접 유지되는 축받이로서의 부시(146)를 갖는다.
탄성지지 스프링(147)은 관절축(144)에 감긴 상태로 롤러지지틀(141)과 회전운동 지지체(143) 사이에 배치되고, 롤러(120)가 라인 샤프트(170)와 상시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롤러지지틀(141)을 개재하여 롤러(120)를 탄성 지지한다.
탄성지지 스프링(147)은 폭 방향(23)에서의 중앙부(147c)에서 롤러지지틀(141) 및 회전운동 지지체(143)의 한쪽, 본 실시 예에서는 회전운동 지지체(143)를 탄성 지지하고, 폭 방향(23)에서의 양단부(147a, 147b)에서 롤러지지틀(141) 및 회전운동 지지체(143)의 다른 쪽, 본 실시 예에서는 롤러지지틀(141)을 탄성 지지한다. 이로 인하여 롤러지지틀(141) 및 롤러지지 기체(142)의 각각에 작용하는 탄성지지력을 수평축선(Lh)에 평행한 방향(또는, 폭 방향(23))에서 균등화할 수 있으므로, 마모 등의 시간경과 변화에 기인하여 롤러지지틀(141)이 폭 방향(23)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롤러(120)이 폭 방향(23)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회전운동용 지지축(145)은 각 지지프레임(191, 192)에 부시(147)를 개재하여 각 지지프레임(191, 192)에 대하여 수직축선(Lv)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이, 회전운동용 지지축(145)은 각 지지프레임(191, 192)에 설치된 삽입공(190c) 내에 삽입되어 장착된 부시(147)에 삽입되어 있음으로써 각 지지프레임(191, 192) 자체가 축받이 유지체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회전운동용 지지축(145)을 지지하기 위한 전용 부재 (예를 들면, 기기대(110)에 고정되는 부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는 통 형상의 지지부재(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축받이통))가 필요 없고, 더구나 회전운동용 지지축(145)의 거의 전체는 각 지지프레임(191, 192)에 수용되어 기기대(110)에 고정된 각 지지프레임(191, 192)과 상하방향에서 같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회전운동 지지체(143) 및 롤러지지틀(141), 나아가서는 롤러(120)를 상하방향에서 롤러지지대(140)를 지지하는 각 지지프레임(191, 192)에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에서 롤러(120)의 최대외경(d)의 2배의 범위 내에 상하방향에서의 롤러(120)의 전체 및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91, 192)의 상하방향에서의 전체가 배치됨으로써, 상하방향에서 롤러(120) 및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91, 192)을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상하방향에서의 롤러유닛(U)의 소형화, 나아가서는 상하방향에서의 분류장치(100)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도 5?도 7을 참조하면, 롤러지지틀(141)을 포함하는 롤러지지대(140)와 롤러(120)를 수직축선(Lv)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회전운동 구동기구(150)는 하나의 유닛용 롤러열(Ru)에 속하는 모든 롤러(120)를 함께 구동해서 회전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로서의 실린더기구인 에어 실린더(151)와 에어 실린더(151)와 각 회전운동 지지체(143)의 회전운동 암(143a)을 연결하는 연결기구(160)를 구비한다.
에어 실린더(151)는 탠덤식 실린더기구이며,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91, 192)의 아래쪽으로 배치되고, 상기 에어 실린더(151)의 설치부(151a) (도 3, 도 4 참조)에 있어서,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91, 192)에 고정된다.
에어 실린더(151)는 한 쌍의 피스톤(도시생략)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실린더(152)와, 상기 한 쌍의 피스톤에 각각 결합되어 실린더(152)에 대하여 신축 가능한 한쌍의 제1 및 제2 작동로드(153, 154)를 갖는다.
제1 작동 로드(153)는 그 선단부에 있어서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91, 192)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요동 암(162a, 162b)에 반송방향(21)으로 거의 평행한 축선 방향으로 원추운동이 가능하게 원추형 고정된다. 제2 작동 로드(154)는 그 선단부에 있어서 설치부(151a)에 반송방향(21)에 거의 평행한 축선 방향으로 원추운동 가능하게 원추형 고정된다.
주지한 바와 같이, 실린더(152)에 설치되는 압력실에 대해서는 소정의 작동압을 갖는 작동 유체로서의 공기가, 분류장치(100)(도 1 참조)가 구비하는 제어장치(도시생략)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밸브(도시생략)에 의해 제어되어 도관(도시 생략)을 통해 공급배출된다.
상기 제어장치는 물품(10)(도 1 참조)을 검출하는 센서(도시생략)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밸브를 제어하여 에어 실린더(151)의 동작을 제어한다.
연결기구(160)는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91, 192)을 관통하여 상기 양 지지프레임(191, 192)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연결축(161)과, 연결축(161)에 일체로 일체 요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한 쌍의 작동 로드(153, 154)에 의해 구동되어 요동하는 요동 암(162)과, 각 회전운동 암(143a)이 결합핀(165)을 개재하여 원추형 접합된 판형상의 연결체(163)와, 요동 암(162)과 연결체(163)를 연결하는 중계링크(164)를 구비한다.
요동 암(162)은 반송방향(21)에서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91, 192)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요동 암(162a)과, 반송방향(21)에서 하나의 롤러열(R)로서의 제2 롤러열(R2)을 사이에 두고 제1 요동 암(162a)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 요동 암(162b)으로 구성된다. 제1 요동 암(162a)에는 제1 작동 로드(153)가 원추형 접합된다.
제1 및 제2 요동 암(162a, 162b)을 요동 가능하게 하는 연결축(161)은 롤러지지대(140)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91, 192) 자체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상기 연결축(161)을 지지하는 전용의 지지부가 필요없게 되어 롤러유닛(U), 나아가서는 분류장치(100)의 경량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연결체(163)는 제1 롤러열(R1)의 각 롤러(120)를 회전운동시키는 각 회전운동 암(143a)이 원추형 접합되는 제1 연결체(163a)와, 제2 롤러열(R2)의 각 롤러(120)을 회전운동시키는 각 회전운동 암(143a)이 원추형 접합되는 제2 연결체(163b)로 구성된다. 그리고, 중계링크(164)는 제1 요동 암(162a)과 제1 연결체(163a)를 연결하는 제1 중계링크(164a)와, 제2 요동 암(162b)과 제2 연결체(163b)를 연결하는 제2 중계링크(164b)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 중계링크(164a ,164b)는 각각 제1 및 제2 연결체(163a, 163b)에 있어서, 폭 방향(23)에서의 거의 중앙위치에서 중심축(166)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회전운동 구동기구(150)에 의해 각 작동 로드(153, 154)의 신축에 따라 요동 암(162), 중계링크(164), 연결체(163) 및 회전운동 지지체(143) 및 롤러지지틀(141)을 개재하여 롤러(120)가 수직축선(Lv) 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작동 로드(153)가 신장되고, 또 제2 작동 로드(154)가 수축할 때, 롤러(120)는 기본회전 운동위치(P0)(도 5에 실선으로 나타낸다)를 차지하여 롤러(120)의 수평축선(Lh)이 폭 방향(23)에 거의 평행하게 된다.
또한, 제1 작동 로드(153)가 수축하고, 또 제2 작동 로드(154)가 수축할 때, 제1 롤러열(R1)의 모든 롤러(120)는 제1 최대회전운동위치(P1)(도 5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다)를 차지하여 롤러(120) 및 수평축선(Lh)이 폭 방향(23)에 대하여 경사하고, 제1 작동 로드(153)가 신장되고, 또 제2 작동 로드(154)가 신장될 때, 롤러(120)는 제2 최대회전운동위치(P2)(도 5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다)를 차지하여, 롤러(120) 및 수평축선(Lh)은 롤러(120)가 제1 최대회전운동위치(P1)를 차지할 때와는 반대측으로 경사진다.
한편, 도 5에서는 도면이 복잡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하나의 롤러(120)에 대하여 각 최대회전운동위치(P1, P2)가 나타나 있다.
각 롤러유닛(U)에 있어서, 제1 및 제2 롤러열(R1, R2)의 모든 롤러(120)는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91, 192)에 한쌍의 축받이부(194)를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하나의 라인샤프트(170)에 의해 마찰 구동되어 함께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폭 방향(23)은 라인 샤프트(170)의 회전중심선에 평행한 방향이기도 한다.
따라서, 라인 샤프트(170)는 유닛 롤러군(G)에 있어서, 폭 방향(23) 및 반송방향(21)으로 나란한 복수의 롤러(120)를 회전구동한다.
도 2, 도 3, 도 5를 참조하면, 각 라인 샤프트(170)를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기구(180)는 연결 부재(119)에 있어서 기기대(110)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원으로서의 하나의 전동모터(181)와 전동모터(181)의 동력을 각 라인 샤프트(17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182)를 구비한다.
동력전달기구(182)는 전동모터(181)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구동 회전부품으로서의 구동 풀리(183), 피동 회전부품으로서의 피동 풀리(184), 한쪽의 기기대 프레임(116)의 측벽(116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의 아이들 풀리(185), 이들 풀리(183, 184, 185)에 감겨진 무단의 감김 전동체로서의 벨트(186) 갖는 감김 전동기구이다.
피동 풀리(184)는 라인 샤프트(170)의 한쪽 단부(172)(도 5 참조)가 축받이부(196)의 상기 축받이(197)를 관통하여 연장되어 있는 연장돌출부(172a)에 결합되어서 설치된다. 이 피동 풀리(184)는 롤러유닛(U)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전동모터(181)에 의해 분류장치(100)의 모든 라인 샤프트(170)가 모두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도 1?도 4를 참조하면, 각 지지프레임(191, 192) 및 기기대 프레임(115, 116)의 상방에서 커버(130)를 유지하기 위한 커버 유지부(200)는 각 기기대 프레임(115, 116)의 바로 위에 반송방향(21)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로서의 4개씩 배치되고, 또 분류장치(100)의 반입단부 측 및 반출단부 측의 2개씩의 롤러유닛(U1, U2 ; U4, U5)에 각 롤러유닛(U1, U2, U4, U5)에 있어서 폭 방향(23)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1대씩 설치된다.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각 커버 유지부(200)는 롤러유닛(U)의 기부(195)의 상프렌지(195b)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설치된다.
커버 유지부(200)는 각 기기대 프레임(115, 116)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기부(195)의 상프렌지(195b)에 설치되므로, 커버 유지부(200)가 기기대 프레임(115, 116)에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상하방향에서의 커버 유지부(200)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커버(130)의 중량을 지탱하기 위한 강성을 확보하면서 커버유지부(200)를 구비하는 분류장치(100)를 경량화할 수 있다.
각 커버 유지부(200)는 상프렌지(195b)에 상하방향에서의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로서의 축부(201)와, 축부(201)의 상단에 설치되어 커버 유지부(200)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커버(130)가 상방으로부터 탑재되는 탑재부(206)를 갖는다. 탑재부(206)는 탄성재료(예를 들면, 고무나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형상 또는 원기둥형상의 부재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201)는 기부(195) 상프렌지(195b)에 설치된 관통공(198, 199)(도 5 참조)에 삽입통과되는 나사부(203)와, 상프렌지(195b)을 사이에 두고 상기 나사부(203)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축부(201)를 상프렌지(195b)에 고정하는 고정도구로서의 한 쌍의 너트(204)로 구성되는 위치조정부(202)를 갖는다.
여기에서, 축부(201)는 롤러유닛(U1) 및 롤러유닛(U4)(도 5 참조)에서는 관통공(198)에 삽입통과되고, 롤러유닛(U2) 및 롤러유닛(U5)(도 5 참조)에서는 관통공(199)에 삽입통과된다.
그리고, 이 위치조정부(202)를 통해 상프렌지(195b)에 대한 커버유지부(200)의 상하방향에서의 위치, 따라서 탑재부(206)의 상하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탑재부(206)의 상하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기기대 프레임(115, 116) 및 롤러(120)에 대하여, 상하방향에서의 커버(130)의 위치조정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커버 유지부(200)는 기기대(110)에 대하여 상하방향에서의 커버(130)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롤러돌출부(120a)의 돌출높이(H) (도 7 참조)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조정 부재이기도 하다.
도 1, 도 3, 도 4를 참조하면, 기기대(110)에 대하여 커버(130)를 폭방향(23) 및 반송방향(21)에서 위치 결정하는 커버 위치 결정부(A)는 각 기기대 프레임(115, 116)의 바로 위에 하나 이상, 본 실시 예에서는 반송방향(21)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로서의 2개씩 배치되고, 또 분류장치(100)의 반입측 및 반출측의 2개씩의 롤러유닛(U1, U2 ; U4, U5)의 적어도 한쪽에, 본 실시 예에서는 2개의 롤러유닛(U1, U2 ; U4, U5)에 걸쳐, 또 폭 방향(23)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한쌍씩 설치된다.
각 기기대 프레임(115, 116)의 바로 위에서, 커버 위치결정부(A)는 반송방향(21)에서 한 쌍의 커버 유지부(200)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커버 유지부(200) 및 커버 위치 결정부(A)는 분류장치(100)가 구비하는 각 라인 샤프트(170)를 반송방향(21)에서 하나씩 끼우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3 참조).
도 4,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각 커버 위치결정부(A)는 기기대측 위치 결정부(210)와 커버측 위치 결정부(220)로 구성된다.
판형상부재인 기기대측 위치 결정부(210)는 반송방향(21)에서 인접하는 롤러유닛(U1, U2 ; U4, U5)의 기부(195)의 상프렌지(195b)에 걸쳐, 그 상프렌지(195b)에 결합도구로서의 볼트(B5)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된다.
각 기기대측 위치 결정부(210)는 상프렌지(195b)에 설치된 관통공(198, 199)에 삽입통과되는 볼트(B5)에 의해 상프렌지(195b)와 일체화되는 결합부(211)와, 폭방향(23)에서의 커버(130)의 위치결정을 행하기 위한 판형상의 폭방향 위치결정부(212)와, 반송방향(21) 및 상기 반송방향과는 반대방향 (이하, 「반송 평행방향」이라 함)에서의 커버(130)의 위치결정을 행하기 위한 반송방향 위치결정부로서의 볼록부(215)를 갖는다.
여기에서, 볼트(B5)는 롤러유닛(U1) 및 롤러유닛(U4)(도 5 참조)에서는 관통공(199)에 삽입통과되고, 롤러유닛(U2) 및 롤러유닛(U5)(도 5 참조)에서는 관통공(198)에 삽입통과된다.
폭방향 위치 결정부(212)는 그 상단부에 상방으로 향함에 따라 폭방향(23)에서의 타방측인 외측으로 경사지며, 커버측 위치 결정부(220)를 폭 방향(23)에서 안내하는 안내부(213)를 갖는다.
폭방향 위치 결정부(212)에 설치되는 볼록부(215)는 폭방향 위치결정부(212)로부터 폭 방향(23)에서의 일측인 안쪽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있어 커버측 위치 결정부(220)와 상기 반송 평행방향에서 걸어 맞추어지는 기기대측 걸어 맞춤부이다. 볼록부(215)는 폭방향 위치 결정부(2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나사부품이다.
한편, 커버측 위치 결정부(220)는 커버(130)의 하면(133)에 결합수단으로서의 볼트(B6)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된다.
판형상부재인 커버측 위치 결정부(220)는 볼트(B6)에 의해 커버(130)와 일체화되는 결합부(221)와, 폭 방향(23)에서의 커버(130)의 위치결정을 행하기 위해서 폭방향(23)에서 기기대측 위치 결정부(210)의 폭방향 위치결정부(212)와 접촉 가능한 판형상의 폭 방향 위치 결정부(222)와 상기 반송 평행방향에서의 커버(130)의 위치결정을 행하기 위해 상기 반송 평행방향에서 볼록부(215)에 걸어맞출 수 있는 반송방향 위치 결정부로서의 요부(225)를 갖는다.
폭방향 위치 결정부(222)는 커버(130)로부터 아래쪽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2 갈래 형상의 분기돌출부(222a)를 갖는다. 그리고, 각 분기돌출부(222a)는 그 하단부에 아래쪽으로 향함에 따라 폭 방향(23)에서의 일방측인 안쪽으로 경사져서 커버(130)가 기기대(110)에 대하여 폭 방향(23)에서 안쪽으로 향하여 안내되는 피안내부(223)를 갖는다.
폭방향 위치 결정부(222)에 설치되는 요부(225)는 볼록부(215)와 상기 반송 평행방향에서 걸어 맞추어지는 커버측 걸어맞춤부이다. 한 쌍의 분기돌출부(222a)에 의해 형성되는 요부(225)는 상하방향으로 직선상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어 있는 직선부 (226)와, 하단부 부근에서 아래쪽으로 향함에 따라 반출 평행방향으로 확장개방되는 동시에, 아래쪽으로 향하여 개방되어 있는 확장 개방부(227)를 갖는다.
상하방향에서의 직선부(226)의 형성범위는 커버(130)의 위치가 커버유지부(200)에 의해 상하방향에서 위치조정될 때에, 항상 볼록부(215)와 걸어맞출 수 있도록 설정된다.
기기대(110)에 커버(130)를 설치할 때에 상방으로부터 안내부(213)로 접촉할 때 기기대측 위치 결정부(210)의 안내부(213)에 커버측 위치 결정부(220)의 피안내부(223)가 접촉함으로써 기기대(110)에 장착된 롤러(120) 또는 기기대(110)에 대하여 커버(130)가 폭 방향(23)에서 안쪽으로 향하여 안내되어 폭 방향(23)으로 위치결정된다. 기기대(110)에 대하여 커버(130)가 폭 방향(23)에서 위치결정된 후, 확장개방부(227)에 의해 볼록부(215)와 걸어 맞추어지기 쉽게 되어 있는 오목부(225)가 볼록부(215)와 걸어 맞추어지고, 상기 반송 평행방향에서의 직선부(226)와 볼록부(215)와 걸어 맞추어짐에 따라 기기대(110)에 대하여 커버(130)가 상기 반송 평행방향에서 위치결정된다.
커버 위치 결정부(A)에 의해 각 롤러(120)의 수직축선(Lv)이 롤러돌출용 구멍(131)의 중심에 거의 위치하도록 기기대(110) 또는 각 롤러(120)에 대하여 커버(130)가 위치결정된다.
또한, 기부(195)에 있어서 커버 유지부(200) 및 기기대측 위치 결정부(210)를 상프렌지(195b)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상프렌지(195b)에 설치되는 각 관통공(198,199)은 커버 유지부(200) 및 기기대측 위치 결정부(210)를 상프렌지(195b)에 각각 결합하는 축부(201) 및 볼트(B5)가 삽입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축부(201) 및 볼트(B5)에 공용 가능하다. 따라서, 분류장치(100)가 구비하는 각 롤러유닛(U)의 어느 것에도 커버 유지부(200) 및 기기대측 위치 결정부(210)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커버 유지부(200) 및 커버 위치 결정부(A)의 배치의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시 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분류장치(100)에 있어서, 라인 샤프트(17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부(194)를 갖는 하나의 유닛 지지체(190)는 제2 소정수의 롤러(120)로 구성되는 유닛롤러군(G)의 각 롤러(120)를 지지하는 유닛용 롤러지지대인 롤러지지대(140)를 지지하고, 유닛용 회전구동체인 하나의 라인 샤프트(170)는 유닛 롤러군(G)의 각 롤러(120)를 회전구동하고, 유닛용 회전운동 구동기구인 하나의 회전운동 구동기구(150)는 상기 유닛용 롤러지지대를 개재하여 롤러(120)를 회전운동시키고, 롤러지지대(140), 라인 샤프트(170) 및 회전운동 구동기구(150)는 유닛 지지체(190)에 장착됨으로써 유닛 롤러군(G) 및 유닛 지지체(190)와 함께 하나의 롤러유닛(U)을 구성하고, 롤러유닛(U)은 유닛 지지체(190)가 기기대(110)에 대하여 착탈됨으로써 기기대(1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이 구조에 의해, 유닛 롤러군(G), 롤러지지대(140), 라인샤프트(170), 회전운동 구동기구(150) 및 유닛 지지체(190)가 하나의 롤러유닛(U)을 구성하므로, 유닛롤러군(G), 롤러지지대(140), 라인 샤프트(170), 회전운동 구동기구(150)를 롤러유닛(U) 단위로 기기대(110)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다.
이 결과, 기기대(110)에 유닛 롤러군(G), 롤러지지대(140), 라인 샤프트(170), 회전운동 구동기구(150)를 조립하기가 쉬워지므로 장치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지보수시에는 기기대(110)에서 유닛 롤러군(G), 롤러지지대(140), 라인 샤프트(170), 회전운동 구동기구(150)를 분리하기가 쉬워지므로 분류장치(100)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롤러유닛(U) 단위의 교환에 의해 롤러(120)의 배열형태의 다양화가 용이해진다. 또한, 롤러(120)나 롤러지지대(140) 등에 불량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불량이 발생한 부품을 포함하는 롤러유닛(U)과 정상인 롤러유닛(U)을 교환하기가 쉬워짐으로써 분류장치(100)의 가동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유닛 지지체(190)는 반송방향(21)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지지프레임(191) 및 제2 지지프레임(192)과,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91, 192)을 연결하는 연결부(193)를 갖고, 유닛 롤러군(G)은 제1 롤러열(R1)을 구성하는 제1 유닛롤러군(G1)과, 제2 롤러열(R2)을 구성하는 제2 유닛 롤러군(G2)을 포함하고, 제1 롤러열(R1) 및 제2 롤러열(R2)은 반송방향(21)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롤러지지대(140)는 제1 롤러열(R1)의 롤러(120)를 지지하는 제1 롤러지지대(140a)와, 제2 롤러열(R2)의 롤러(120)을 지지하는 제2 롤러지지대(140b)를 포함하고, 제1 롤러지지대(140a)는 제1 지지프레임(191)에 지지되고, 제2 롤러지지대(140b)은 제2 지지프레임(192)에 지지되며, 회전운동 구동기구(150)는 제1 롤러지지대(140a) 및 제2 롤러지지대(140b)를 같은 회전운동방향으로 함께 회전운동시킨다.
이 구조에 의해 롤러유닛(U)을 구성하는 유닛 롤러군(G)에 있어서, 반송방향(21)에서 이격되는 제1 및 제2 롤러열(R1, R2)에 속하는 모든 롤러(120)가 같은 회전운동방향으로 함께 회전운동하므로, 제1 및 제2 롤러열(R1, R2)을 포함하는 롤러유닛(U)의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제1 및 제2 롤러열(R1, R2)을 포함하는 롤러유닛(U)의 경량화, 나아가서는 분류장치(100)의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롤러열(R1)의 롤러(120)를 지지하는 제1 롤러지지대(140a) 및 제2 롤러열(R2)의 롤러(120)를 지지하는 제2 롤러지지대(140b)를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91, 192)이 반송방향(21)에서 이격되어 있음으로써, 양 지지프레임(191, 192)의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므로, 제1 및 제2 롤러지지대(140a, 140b)가 공통의 지지체에 지지되는 경우에 비해 롤러유닛(U)의 경량화, 나아가서는 분류장치(100)의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분류장치(100)는 각 롤러(120)의 일부가 롤러돌출부(120a)로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롤러 돌출용 구멍(131)이 형성된 커버(130)와, 롤러돌출부(120a)의 돌출높이(H)를 조정하기 위해 기기대(110)에 대한 커버(130)의 상하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 부재로서의 커버 유지부(200)를 구비한다.
이 구조에 의해 돌출높이(H)를 조정함으로써 반송되는 물품(10)이 커버(130)와 접촉하는 정도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롤러(120)에 의한 지지 중량과 커버(130)에 의한 지지 중량의 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이 결과, 롤러(120)와 물품(10) 사이의 마찰력을 조정할 수 있어 롤러(120)에 의한 반송력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물품(10)에 따른 적절한 반송력을 설정할 수 있게 되어 반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높이(H)를 조정하기 위해 커버(130)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롤러(120)의 위치가 조정되는 경우에 비해 돌출높이(H)를 조정하기 위한 구조가 간단하게 되고, 또한 각각의 롤러(120)의 위치조정을 하는 경우에 비해 분류장치(100)가 구비하는 모든 롤러(120)의 높이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상하방향에서의 커버(130)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 부재는 커버(130)가 상방으로부터 탑재되는 탑재부(206)를 갖는 커버 유지부(200)이며, 커버 유지부(200)는 기기대(110)에 대한 상하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구조에 의해 커버(130)는 커버 유지부(200)의 탑재부(206)에 상방으로부터 탑재되면 되므로, 기기대(110)에 대한 커버(130)의 착탈이 용이해진다. 더구나, 커버(130)가 커버 유지부(200)에 탑재되는 것을 이용하여 기기대(110)에 대하여 커버 유지부(200)를 상하방향에서 위치 조정함으로써 기기대(110)에 대한 상하방향에서의 커버(130)의 위치가 변경되므로 롤러 돌출높이(H)의 조정이 용이해진다.
롤러지지대(140)는 롤러(120)를 수직축선(Lv)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유닛 지지체(190)에 지지되는 회전운동용 지지축(145)을 갖고, 회전운동용 지지축(145)의 거의 전체는 유닛 지지체(190)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롤러(120)을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해 롤러지지대(140)가 갖는 회전운동용 지지축(145)은 라인 샤프트(170) 및 회전운동 구동기구(150)가 장착되는 유닛 지지체(190)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유닛 지지체(190) 자체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회전운동용 지지축(145)을 지지하기 위한 전용 부재가 필요없게 되는 것, 및 회전운동용 지지축(145)의 거의 전체가 유닛 지지체(190) 내에 수용되므로, 회전운동용 지지축(145)의 축 길이를 단축할 수 있게 되므로 롤러유닛(U)의 경량화 및 상하방향에서의 소형화, 나아가서는 분류장치(100)의 경량화 및 상하방향에서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분류장치(100)에 있어서, 기기대(110)에 지지되는 모든 롤러(120)인 제1 소정수의 롤러(120)는 복수의 유닛 롤러군(G)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롤러유닛(U) 중 어느 하나에 속하고, 유닛 롤러군(G)을 구성하는 모든 롤러의 수인 제2 소정수, 롤러지지대(140)의 수, 라인 샤프트(170)의 수 및 회전운동 구동기구(150)의 수는 각 롤러유닛(U)에 있어서 동일하다.
이 구조에 의해 분류장치(100)가 구비하는 모든 롤러(120)가 어느 하나의 롤러유닛(U)에 속하므로 분류장치(100)의 조립성 및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롤러유닛(U)에 있어서, 제2 소정수, 롤러지지대(140)의 수, 라인샤프트(170)의 수 및 회전운동 구동기구(150)의 수가 동일함으로써 분류장치(100)가 구비하는 모든 롤러유닛(U)을 공통화할 수 있어 분류장치(100)의 비용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술한 실시예의 일부 구성을 변경한 실시예에 대하여 변경된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회전 구동체는 라인 샤프트(170) 이외의 부재, 롤러(120)에 결합된 회전축 또는 롤러(120)에 감겨진 벨트여도 된다.
라인 샤프트(170) 또는 회전 구동체는 반송방향(21)으로 나란한 복수의 롤러(120)를 회전구동하는 것이어도 된다.
롤러(120)를 회전구동하는 회전 구동체는 하나의 롤러(120)마다 설치되어도 된다.
전동모터(181)는 역회전이 가능한 것이어도 되고, 전동모터(181)를 역회전시킴으로써 반송방향(21)을 상기 실시 예와는 반대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롤러지지대(140)에 있어서, 회전운동용 지지축(145)이 유닛 지지체(190)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고, 회전운동 지지체(143)가 회전운동용 지지축(145)에 수직축선(Lv)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도 되며, 이 경우에도 롤러(120)는 롤러지지대(140)를 개재하여 회전운동기구에 의해 구동되어 수직축선(Lv)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 구조에 의해 회전운동 구동기구(150)에 의해 회전운동되는 부재의 중량을 경량화할 수 있어 롤러(120)의 회전운동 응답성의 향상이나 에어 실린더(151)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적어도 일부의 롤러지지대(140), 적어도 일부의 롤러지지 기체(142) 또는 적어도 일부의 롤러지지틀(141)은 복수의 롤러(120)마다 하나씩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롤러지지대(140), 롤러지지 기체(142) 또는 롤러지지틀(141)은 제1 소정수 및 제2 소정수보다 작은 수가 된다.
각 롤러유닛(U)은 복수의 유닛용 회전 구동체 또는 복수의 유닛용 회전운동 구동기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제2 소정수, 유닛용 회전 구동체의 수 또는 유닛용 회전운동 구동기구의 수는 각각 롤러유닛(U)마다 상기 실시 예에서는 같았지만, 달라도 된다.
롤러유닛(U)을 구성하는 롤러열(R)인 유닛용 롤러열(Ru)의 수인 소정열 수는 1 또는 3 이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롤러유닛(U)에 있어서, 유닛 지지체(190)는 1 또는 3 이상의 지지프레임에 의해 구성되고, 유닛 롤러군(G)은 하나의 롤러열(R)의 롤러(120), 또는 3 이상의 롤러열(R)의 롤러(120)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3 이상의 롤러열(R)일 경우, 유닛 롤러군(G)은 제1 및 제2 유닛롤러군(G1, G2) 이외에 1 이상의 유닛롤러군을 포함하고, 유닛 지지체(190)는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91, 192) 이외에 1 이상의 지지체로서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게 된다.
기기대측 위치 결정부(210)가 오목부를 갖고, 커버측 위치 결정부(220)가 상기 오목부와 걸어 맞추어지는 볼록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축받이부(194)의 기부(195)는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91, 192) 중 어느 한쪽에 결합되어 설치되어도 되고, 또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91, 192) 중 어느 한쪽과 일체로 성형되어도 된다.
제2 소정수에는 상기 회전운동용 롤러지지대 이외에, 롤러(120)를 수직축선(Lv)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지 않는 비회전운동용 롤러지지대에 지지되는 롤러(120)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특정수는 제2 소정수보다도 작은 값이 된다.
커버 유지부(200)에 있어서, 축부(201)에서의 위치조정에 아울러서, 또는 그 대신에, 탑재부(206)가 예를 들면 나사구조에 의해 축부(201)에 대하여 상하방향에서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커버 유지부(200)의 탑재부(206)와 맞닿는 맞닿음부가 커버(130)에 설치되고, 나사기구 등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 상기 맞닿음부에 의해 조정부재가 구성되어도 된다.
커버 유지부가 커버(130)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 유지부가 기부(195)의 상프렌지(195b)에 맞닿음으로서 커버(130)가 기기대(110)에 유지되어도 된다.
회전운동 구동기구(150)는 각 지지프레임(191, 192)에 설치된 랙과, 각 롤러지지기체(142)에 설치되는 피니언으로 구성되는 랙ㆍ피니언 기구여도 된다.
분류장치에 있어서, 기기대에 지지되는 모든 롤러(120)인 제1 소정수의 롤러(120)는 복수의 유닛 롤러군(G)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롤러유닛(U) 중 어느 하나에 속하고, 상기 제2 소정수, 유닛용 롤러지지대의 수, 유닛용 회전 구동체의 수 및 유닛용 회전운동 구동기구의 수는 각 롤러유닛(U)에 있어서 다른 값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분류장치(100)가 구비하는 모든 롤러(120)가 어느 하나의 롤러유닛(U)에 속하므로, 분류장치(100)의 조립성 및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 물품 20, 21, 22 : 반송방향
23 : 폭방향 100 : 분류장치
110 : 기기대 115, 116 : 기기대 프레임
120 : 롤러 120a : 롤러돌출부
130 : 커버 131 : 롤러 돌출용 구멍
140 : 롤러지지대 141 : 롤러지지틀
150 : 회전운동 구동기구 170 : 라인 샤프트
180 : 회전구동기구 190 : 유닛 지지체
191, 192 : 지지프레임 193 : 연결부
200 : 바 유지부 206 : 탑재부
A : 커버 위치 결정부 R, R1, R2 : 롤러열
H : 돌출높이 G, G1, G2 : 유닛 롤러군
U : 롤러유닛 Lv : 수직축선
Lh : 수평축선

Claims (6)

  1. 반송로에서의 물품의 반송방향 및 상기 반송로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인 제1 소정수의 반송용 롤러, 복수의 상기 롤러를 수평축선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수직축선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롤러지지대, 상기 롤러지지대를 개재하여 상기 롤러를 상기 수직축선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복수의 회전운동 구동기구, 상기 각 롤러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회전 구동체와, 상기 각 롤러지지대, 상기 회전운동 구동기구 및 상기 회전 구동체가 장착된 기기대를 구비하는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정수 미만의 복수인 제2 소정수의 상기 롤러로 구성되는 유닛 롤러군에 속하는 복수의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복수의 상기 롤러지지대인 유닛용 롤러지지대를 지지하는 유닛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구동체는 상기 유닛 롤러군에 속하는 복수의 상기 롤러를 회전구동하는 유닛용 회전 구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운동 구동기구는 상기 각 유닛용 롤러지지대를 개재하여 상기 롤러를 회전운동시키는 유닛용 회전운동 구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용 롤러지지대, 상기 유닛용 회전 구동체 및 상기 유닛용 회전운동 구동기구는 상기 유닛 지지체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유닛 롤러군 및 상기 유닛 지지체와 함께 하나의 롤러유닛을 구성하고,
    상기 롤러유닛은 상기 유닛 지지체가 상기 기기대에 대하여 착탈됨으로써 상기 기기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지지체는 상기 반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와, 상기 제1 지지체 및 상기 제2 지지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유닛 롤러군은 상기 폭 방향에서의 제1 롤러열을 구성하는 제1 유닛롤러군과, 상기 폭 방향에서의 제2 롤러열을 구성하는 제2 유닛 롤러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롤러열 및 상기 제2 롤러열은 상기 반송방향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유닛용 롤러지지대는 상기 제1 롤러열의 복수의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제1 롤러지지대와, 상기 제2 롤러열의 복수의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제2 롤러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롤러지지대는 상기 제1 지지체에 지지되고,
    상기 제2 롤러지지대는 상기 제2 지지체에 지지되고,
    상기 유닛용 회전운동 구동기구는 상기 제1 롤러지지대 및 상기 제2 롤러지지대를 같은 회전운동방향으로 함께 회전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롤러의 일부가 롤러돌출부로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롤러 돌출용 구멍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롤러돌출부의 돌출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기기대에 대한 상기 커버의 상하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커버가 상방으로부터 탑재되는 탑재부를 갖는 커버 유지부이며,
    상기 커버 유지부는 상기 기기대에 대한 상하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지지대는 상기 롤러를 상기 수직축선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유닛 지지체에 지지되는 회전운동용 지지축을 갖고,
    상기 회전운동용 지지축의 거의 전체는 상기 유닛 지지체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대에 지지되는 모든 상기 롤러인 상기 제1 소정수의 상기 롤러는 복수의 상기 유닛 롤러군의 어느 하나에 속하고,
    상기 제2 소정수, 상기 유닛용 롤러지지대의 수, 상기 유닛용 회전구동체의 수 및 상기 유닛용 회전운동 구동기구의 수는 상기 각 롤러유닛에 있어서 동일 또는 다른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KR20110128310A 2011-03-11 2011-12-02 반송장치 KR201201034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54371A JP2012188263A (ja) 2011-03-11 2011-03-11 搬送装置
JPJP-P-2011-054371 2011-03-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422A true KR20120103422A (ko) 2012-09-19

Family

ID=47081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128310A KR20120103422A (ko) 2011-03-11 2011-12-02 반송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2188263A (ko)
KR (1) KR20120103422A (ko)
CN (1) CN20282869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9856A (ko) * 2017-04-17 2019-12-18 교와기까이가부시끼가이샤 반송장치
KR102099107B1 (ko) * 2019-07-09 2020-04-09 화동하이테크 주식회사 물류이송 콘베이어용 디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14379A (zh) * 2014-07-25 2016-02-10 上海嘉峥机械有限公司 一种可升降转向轮的分拣装置
CN105438808A (zh) * 2015-12-25 2016-03-30 东莞市伟创东洋自动化设备有限公司 滚筒旋转分流及汇流机
CN107555065A (zh) * 2016-07-01 2018-01-09 青岛科捷物流科技有限公司 一种转向轮分拣模块
CN106144543A (zh) * 2016-08-17 2016-11-23 苏州冠科工业设备有限公司 一种物流分拣系统的滚轮分拨装置
EP3357840A1 (de) 2017-02-02 2018-08-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Fördereinheit mit einstellbaren transportrollen
CN107009028B (zh) * 2017-05-18 2019-04-23 深圳市升达康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打标系统
CN112930314B (zh) * 2018-10-22 2022-08-23 莱特拉姆有限责任公司 多角度分拣器
CN109482504A (zh) * 2018-11-14 2019-03-19 湖北迪迈威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分拣机构和分拣机以及分拣系统
CN110015540A (zh) * 2019-04-03 2019-07-16 苏州金峰物流设备有限公司 轮式输送线
CN113371002A (zh) * 2020-02-21 2021-09-10 大众汽车股份公司 运输系统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6343B1 (ja) * 2002-06-20 2004-04-05 旭精機工業株式会社 搬送装置及び搬送システム
JP4828801B2 (ja) * 2004-03-29 2011-11-30 株式会社岡村製作所 コンベヤにおける搬送物の方向転換方法
JP5190782B2 (ja) * 2008-07-23 2013-04-2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の仕分け設備と仕分け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9856A (ko) * 2017-04-17 2019-12-18 교와기까이가부시끼가이샤 반송장치
KR102099107B1 (ko) * 2019-07-09 2020-04-09 화동하이테크 주식회사 물류이송 콘베이어용 디버터
US11091325B2 (en) 2019-07-09 2021-08-17 Hwadong Hightech Co., Ltd Diverter for transferring convey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2828695U (zh) 2013-03-27
JP2012188263A (ja)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3422A (ko) 반송장치
KR101377096B1 (ko) 반송장치
US8474596B2 (en) Transfer conveying apparatus
KR950003595B1 (ko) 전환장치
US6997307B2 (en) Device for tensioning and loosening of an endless conveyor belt which is guided over deflection means
JP6834082B2 (ja) 多列搬送コンベアおよび選別装置
US20150020620A1 (en) Six-degree-of-freedom cam-controlled support platform
ES2938908T3 (es) Dispositivo de transporte
EP1943168B1 (en) Improvements in a conveyor system
JP5783833B2 (ja) 搬送装置
KR20120135000A (ko) 롤러 조립체를 구비하는 반송장치
US9376258B2 (en) Accumulation pallet conveyor, for recirculating a plurality of pallets in an endless horizontal carouse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is conveyor
KR20050016134A (ko) 전환설비
US10124960B2 (en) Chain conveyor with adjustable distance between shafts
US6073755A (en) Conveyor tensioning system for a folder apparatus
DK2882541T3 (en) TREATMENT LIQUID CONTAINER
JP5197269B2 (ja) 仕分けトランサ
CN1185496A (zh) 梭口成型装置、它的安装过程以及具有该装置的雅卡尔型织机
JP3919216B2 (ja) 駆動アセンブリ
KR100534163B1 (ko) 분류설비
CN209051918U (zh) 分拣机
US20200245547A1 (en) Conveying device
JP2008501594A5 (ko)
CN212952596U (zh) 一种物品输送机构及分拣机
CN205151122U (zh) 一种窄带分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