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4120A - 부동 유닛을 위한 능동적인 위치 유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동 유닛을 위한 능동적인 위치 유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4120A
KR20120134120A KR1020127023155A KR20127023155A KR20120134120A KR 20120134120 A KR20120134120 A KR 20120134120A KR 1020127023155 A KR1020127023155 A KR 1020127023155A KR 20127023155 A KR20127023155 A KR 20127023155A KR 20120134120 A KR20120134120 A KR 20120134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abed
tail portion
mooring line
hand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 아스트란트
Original Assignee
지브이에이 컨설턴츠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브이에이 컨설턴츠 에이비 filed Critical 지브이에이 컨설턴츠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20134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1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1/507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with mooring turrets
    • B63B21/508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with mooring turrets connected to submerged buo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5/00Marine propulsion by use of vessel-mounted driving mechanisms co-operating with anchored chai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10Fairleads

Abstract

본 발명은 해저가 있는 수역에서 부동하도록 된 유닛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닛은 정박 라인을 포함하는 위치 유지 시스템을 구비하고, 정박 라인은 연결부와 테일 부분을 포함하며, 유닛이 부동할 때에, 상기 수역은 상기 유닛의 잔잔한 흘수선에 도달하고, 상기 연결부는 해저로부터 상기 유닛의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로 연장된다. 상기 핸들링 장치는 상기 연결부의 길이를 능동적으로 변경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정박 라인이 영구적인 정박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테일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수역 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부동 유닛을 위한 능동적인 위치 유지 시스템{ACTIVE STATION-KEEPING SYSTEM FOR FLOATING UNIT}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라 수역에서 부동(浮動)하도록 된 유닛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청구항 7의 전제부에 따라 수역에서 부동하도록 된 유닛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13의 전제부에 따라 수역에서 부동하는 유닛을 위한 영구적인 위치 유지 시스템을 얻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역에서 부동하도록 된 유닛, 특히 탄화수소 등의 천연 자원의 생산 또는 드릴링을 위한 유닛에는 일반적으로 유닛의 기하학적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위치 유지 시스템이 마련된다. 그러한 위치 유지 시스템은 복수 개의 스러스터(thruster)를 또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정박 라인 및/또는 동적 위치 결정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정박 라인을 포함하는 위치 유지 시스템을 구비하는 유닛은 특히 권양기 및/또는 체인 잭을 포함하는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를 구비하여, 유닛과 해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정박 라인 부분(이하, 이 부분을 연결부라고 지칭함)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그러한 변경은 예컨대 유닛의 위치가 변화될 필요가 있다는 점에 원인이 있을 수 있다. 정박 라인의 테일 부분, 즉 연결부에 비해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정박 라인의 부분은 대체로 유닛 내에 보관된다. 예컨대, 테일 부분은 유닛의 체인 파이프 및/또는 체인 로커에 보관될 수 있다.
그러나, 테일 부분의 선상 보관에 관한 문제가 있다. 예컨대, 테일 부분은 대체로 실질적인 중량을 갖고 있기 때문에, 선상 보관은 유닛의 수직 중력 중심(VCG; vertical centre of gravity)의 증가에 기여하고, 이는 다시 유닛의 하중 지지 능력을 악화시킨다. 더욱이, 유닛이 손상된 상태에 있어 유닛이 크게 기울어져 있다면, 체인 파이프 및/또는 체인 로커에 해수가 채워질 수 있고 이는 유닛을 더욱 더 크게 기울어지게 한다는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US 2005/0022712호는 테일 부분과 체인 파이프 사이에 시일을 제공하는 밀봉 장치의 사용을 제안하고 있다. '712호의 해법은 많은 경우에 손상된 상태 중에 추가의 기울기를 피한다는 관점에서 적절하지만, 증가되는 VCG의 문제는 '712호의 해법에 의해 해결되지 않는다.
상기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정박 라인을 포함하는 유닛의 개선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정박 라인의 테일 라인의 보관이 유닛의 복원성, 특히 손상 복원성을 전통적인 정박 보관 시스템을 구비한 유닛에 비해 덜 불리한 범위로 영향을 미치는, 수역에서 부동하도록 된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극복 또는 개선하거나, 유용한 변경예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들 중 적어도 하나는 청구항 1에 따른 해양 구조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해저가 있는 수역에서 부동하도록 된 유닛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닛은 정박 라인을 포함하는 위치 유지 시스템(16)을 구비하고, 정박 라인은 연결부와 테일 부분을 포함하며, 유닛이 부동할 때에, 상기 수역은 상기 유닛의 잔잔한 흘수선에 도달하고, 상기 연결부는 해저로부터 상기 유닛의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로 연장된다. 상기 핸들링 장치는 상기 연결부의 길이를 능동적으로 변경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라는 표현은 연결부의 길이를 능동적으로 변경시키도록 된 임의의 장치를 포함한다. 순전히 일례로서, 그러한 장치는 권양기 및/또는 체인 잭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링 장치가 복수 개의 권양기 및/또는 체인 잭을 포함한다면, 정박 라인의 테일 부분은 해저로부터 유닛을 향한 방향에서 정박 라인을 따라 복수 개의 권양기 및/또는 체인 잭 중 마지막의 권양기 및/또는 체인 잭에서 시작하도록 고려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박 라인이 영구적인 정박 위치에 있을 때에, 테일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수역 내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영구적인 정박 위치"라는 표현은 위치 유지 시스템의 영구적인 상태 뿐만 아니라 유닛의 영구적인, 예컨대 생존 또는 작동 상태 중에 있도록 의도되는 위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정박 라인의 설치 위치(예컨대, 정박 라인의 텐셔닝 중)는 영구적인 정박 라인의 상기 정의 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더욱이, 상기 정의에 따라, 정박 라인은 손상 상태가 유닛의 영구적인 상태로서 간주되지 않기 때문에 유닛이 손상 상태에 있을 때에 영구적인 정박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에 따른 유닛은 전통적인 테일 부분 보관 장치를 갖는 유닛에 비해 유닛의 VCG가 감소될, 즉 떨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유닛이 가능하게는 낮은 높이로 배치되는 테일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테일 부분의 일부는 사실상 유닛의 용골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테일 부분은 이 테일 부분이 종결되는 테일 부분 단부를 포함한다. 더욱이, 정박 라인이 영구적인 정박 위치에 있을 때에, 테일 부분 단부는 해저 위의 수역 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닛은 캐비티를 더 포함하고, 유닛이 부동할 때에 상기 캐비티를 통해 상기 테일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는 정수면 아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의 상기 배치는 정박 라인의 하중 적용 지점을 낮게 하고, 이는 다시 낮은 VCG를 초래하며, 그 결과 유닛의 하중 지지 능력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닛은 연결부 상에서 이동하도록 된 체이서를 포함하고, 테일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체이서에 부착된다.
체이서를 이용함으로써, 테일 부분의 위치는, 예컨대 테일 부분의 원치않는 선회가 감소되고 몇몇의 실시에서는 심지어는 회피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닛은 정수면 아래에 배치되도록 된 플로트를 포함하고, 유닛은 복수 개의 지지 컬럼을 더 포함하며, 지지 컬럼의 각각은 플로트로부터 연장되고 정수면(26)과 교차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해저가 있는 수역에서 부동하도록 된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유닛이 부동할 때에, 수역은 상기 유닛(10)의 잔잔한 흘수선에 도달한다. 유닛은 유닛의 위치 유지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정박 라인을 핸들링하도록 된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를 포함하며,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는 상기 정박 라인의 연결부가 상기 핸들링 장치로부터 상기 해저로 연장되는 반면 상기 정박 라인의 테일 부분이 연결부에 비해 핸들링 장치의 반대쪽에 배치되도록 상기 정박 라인과 능동적으로 상호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유닛은 캐비티 입구를 통해 테일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된 캐비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캐비티는 상기 캐비티와 상기 유닛의 주위 환경 간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캐비티 출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캐비티 출구는 정수면 아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캐비티는 상기 유닛의 외측 표피의 일체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닛은 정수면 아래에 배치되도록 된 플로트를 포함하고, 유닛은 복수 개의 지지 컬럼을 더 포함하며, 지지 컬럼의 각각은 상기 플로트로부터 연장되고 정수면과 교차하도록 되어 있다. 캐비티는 상기 지지 컬럼 중 적어도 하나의 지지 컬럼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캐비티는 플로트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또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닛은 정박 라인을 포함하고, 유닛은 연결부 상에서 이동하도록 된 체이서를 더 포함하며, 테일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체이서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수역에서 부동하는 유닛을 위한 영구적인 위치 유지 시스템을 얻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수역은 해저를 포함한다. 상기 유닛은 유닛의 위치 유지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정박 라인을 핸들링하도록 된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방법은,
-정박 라인의 일부를 해저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정박 라인의 연결부가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와 해저 사이에 얻어지고 정박 라인의 테일 부분이 연결부에 비해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의 반대쪽에 얻어지도록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에 정박 라인을 연결하는 단계; 및
-테일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수역 내에 배치되도록 테일 부분을 영구적인 보관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로서 더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닛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닛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닛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닛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닛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닛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닛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닛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닛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FPSO 타입의 유닛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포함되는 것으로서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도 1은 해저(14)가 있는 수역(12)에서 부동하도록 된 유닛(10)을 도시하고 있다. 간소성을 위해, 수역(12)이 해양, 바다, 호수 또는 강의 구역에 있는지에 상관없이 "해저"라고 지칭한다. 유닛(10)은 제1 정박 라인(18)을 구비하는 위치 유지 시스템(16)을 포함한다. 더욱이, 도 1에서, 위치 유지 시스템은 제2 정박 라인(20)을 포함한다. 도 1에는 단 2개의 정박 라인이 도시되어 있지만 위치 유지 시스템(16)은 복수 개의 정박 라인, 몇몇의 경우에 최대 20개 또는 30개의 정박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전술한 정박 라인에 추가하여, 위치 유지 시스템은 스러스터 등의 추진 조립체(도 1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정박 라인(18, 20)은 와이어 세그먼트, 체인 세그먼트, 또는 와이어 세그먼트와 체인 세그먼트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체인 세그먼트 뿐만 아니라 와이어 세그먼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강 등의 금속으로 제조된다. 도 1에 도시된 제2 정박 라인(20)의 실시는 바닥 체인 세그먼트(20'), 상부 체인 세그먼트(20"'), 및 바닥 체인 세그먼트(20')로부터 상부 체인 세그먼트(20"')로 연장되는 와이어 세그먼트(20")를 포함한다. 제1 정박 라인(18)은 동일한 3개의 세그먼트 타입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정박 라인(18, 20)의 상기 실시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 특히 아래에 제공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바람직한 실시이다.
더욱이, 도 1은 정박 라인(18)이 연결부(22)와 테일 부분(24)을 포함하고, 유닛(10)이 부동할 때에, 수역(12)은 유닛(10)의 잔잔한 흘수선(26; 정수면)에 도달하고 연결부(22)는 해저(14)로부터 유닛(10)의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28)로 연장된다. 핸들링 장치(28)는 연결부(22)의 길이를 능동적으로 변경시키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링 장치(28)는 권양기 및/또는 체인 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핸들링 장치(28)의 실시에 있어서, 핸들링 장치(28)는 권양기를 포함한다.
도 1은 정박 라인(18)이 영구적인 정박 위치에 있을 때에, 테일 부분(24)의 적어도 일부가 수역(12)에 배치된다는 것을 또한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체 테일 부분(24)이 수역 내에 배치된다. 테일 부분(24)은 바람직하게는 체인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고, 몇몇 실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체인 세그먼트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도 1은 테일 부분(24)이 테일 부분 단부(29)를 포함하고, 이 테일 부분 단부에서 테일 부분(24)이 종결되며, 테일 부분 단부(29)가 해저(14) 위에서 수역(12) 내에 배치된다는 것을 또한 도시하고 있다. 더욱이,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 경우에 권양기인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28)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수면(26) 아래에 배치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권양기는 정수면 아래에 전체적으로 배치된다.
도 1의 유닛(10)은 정수면(26) 아래에 배치되도록 된 플로트(30)를 포함하는 소위 반침수형 유닛(10)이다. 더욱이, 도 1의 유닛(10)은 복수 개의 지지 컬럼을 포함하는데, 도 1에는 단 2개의 지지 컬럼(32, 34)만이 보이고, 지지 컬럼 각각은 플로트(30)로부터 연장되어 정수면(26)과 교차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유닛(10)이 컬럼에 의해 지지되는 덱크 구조물(36)을 포함한다는 것을 또한 도시하고 있다. 반침수형 유닛은 본 발명을 예시할 때에 일례로서 사용되지만, 본 발명은 선박, FPSO 또는 부표(도시 생략)와 같은 다른 타입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순전히 일례로서, 작동 조건에서 유닛(10)의 배수량은 10,000 내지 300,000 톤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다시 순전히 일례로서, 물의 깊이, 즉 해저로부터 정수면까지의 거리는 50 내지 3000 미터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도 2는 유닛(10)이 캐비티(38)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유닛(10)이 부동할 때에 캐비티를 통해 테일 부분(24)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된다. 도 2의 캐비티(38)는 흔히 체인 파이프 또는 정박 라인 파이프로서 지칭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상부(38')를 포함한다. 더욱이, 캐비티(38)는 흔히 체인 로커 또는 정박 라인 로커로서 지칭되는 하부(38")를 포함한다.
도 2는 이 경우에 권양기인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28)가 유닛의 데크 구조체(36) 상에 배치된다는 것을 또한 도시하고 있다. 유닛(10)의 다른 실시예에서,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28)는 체인 잭일 수 있다. 유닛(10)에는 정박 라인 당 하나의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가 반드시 설치될 필요는 없다. 대신에, 유닛(10)에는 정박 라인들 중 일부 또는 전부에 공통적인 하나 이상의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가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특정한 정박 라인의 연결부의 길이를 변경하기를 바란다면 보다 많은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가 특정한 정박 라인으로 운송되어 결합하도록 될 수 있다. 도 2는 또한 연결부(22)가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28)에 도달하기 전에 정박 라인의 연결부(22)와 결합하는 페어리드(31; fairlead)를 포함한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도 2 실시예에 따르면, 캐비티(38)는 캐비티 입구(40)를 포함하고, 캐비티(38)는 캐비티 입구(40)를 통해 테일 부분(24)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2에 개시된 유닛(10)의 실시예에서, 캐비티는 캐비티(38)와 유닛(10)의 주위 환경 간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캐비티 출구(42)를 더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체 연통은 유닛(10)이 영구적인 상태로 부동할 때에 캐비티(38)와 수역(12) 사이에 유체 연통이 존재하도록 제공된다. 바꿔 말하면, 캐비티 출구(42)는 도 2에서 정수면(26) 아래에 배치된다. 그러나, 캐비티의 다른 실시는 정수면(26) 위에 배치된 공기와 캐비티(38) 간에 유체 연통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유체 연통은 복수 개의 방식으로 얻을 수 있다. 순전히 일례로서, 유닛(10) 내에는 캐비티(38), 바람직하게는 캐비티의 하부(38")를 주위 환경과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덕트(도시 생략)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캐비티(38)의 하부(38")의 최하 한계가 복수 개의 개구(43)가 있는 패널을 포함하는 캐비티의 바람직한 실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최하 한계는 테일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는 격자를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38) 한계의 일부에 안착하는 대신에, 테일 부분(24)은 실제로 캐비티 출구(42)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일 부분(24)의 일부는 수역(12)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가능성이 도 3의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 실시예 모두에서, 캐비티(38)는 유닛(10)의 외측 표피의 일체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더욱이, 캐비티(38)는 도 2 및 도 3 실시에서 컬럼(32)의 일부 뿐만 아니라 플로트(30)의 일부를 통해 연장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유닛(10)의 다른 실시예에서, 캐비티는 컬럼(도시 생략)의 일부만을 또는 플로트(도시 생략)의 일부만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캐비티(38)의 상기 배치 대신에 또는 추가하여, 캐비티는 몇몇의 다른 실시예에서 데크 구조체(도시 생략)의 일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도 4는 캐비티(38)의 다른 실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닛(10)의 선체의 일부를 통해 연장하기보다, 캐비티(38)는 도 4의 실시예에서 대신에 선체에 부착된 부재에 제공된다. 도 4에 도시된 특정한 실시에 있어서, 부재는 관형 부재(44)이다.
최종적으로, 도 5는 유닛이 연결부(22)에서 이동하도록 된 체이서(46)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유닛(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체이서"라는 표현은 체이서가 연결부(22)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연결부(22)의 일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주하도록 되어 있는 부재에 관한 것이다. 순전히 일례로서, 체이서는 정박 라인(18)을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에 연결하기 전에 정박 라인(18)에 나사 체결될 수 있는 관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테일 부분(24)은 복수 개의 방식으로 체이서(46)에 연결될 수 있다. 순전히 일례로서, 테일 부분(24)은 체이서(46)에 용접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체이서에는 브래킷이 마련될 수 있고, 테일 부분(24)은 클램프(도시 생략) 등의 부착 부재에 의해 브래킷에 부착될 수 있다. 체이서(46)는 또한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다.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4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특징에 추가하여, 도 6의 실시예는 테일 부분(24)의 적어도 일부의 중량 공격점이 유닛(10)의 비교적 낮은 수직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보장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이하, 그러한 수단은 테일 부분(24)의 하중 핸들링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고려될 것이다). 이를 위해, 유닛(10)의 최좌측 부분은 유닛(10)의 낮은 높이에, 바람직하게는 유닛(10)의 용골 아래에 배치되는 풀리 또는 롤러(48)를 포함한다. 테일 부분(24)은 풀리(48) 위를 지나감으로써, 그 최하측 부분(24')이 풀리(48)로부터 매달려 있고, 그 결과로서 최하측 부분(24')의 중량 공격점이 풀리(48)의 위치가 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유닛(10)에는 테일 부분 단부(29)가 예컨대 볼트 조인트에 의해 부착되는 브래킷(50)이 마련되어, 테일 부분(24)은 정박 라인(20)을 감아올릴 때[예컨대, 정박 라인(20)을 느슨하게 할 때]에 낙하하지 않는다. 풀리(48)와 브래킷(50)은 도 6에 별개의 실시로 도시되어 있지만, 풀리(48)와 브래킷(50)은 또한 테일 부분(24)의 하중 핸들링 장치(도시 생략)의 다른 실시를 형성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풀리(48) 및/또는 브래킷(50)을 포함하는 테일 부분(24)의 하중 핸들링 장치의 전술한 실시는 또한 본 발명의 도 3의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브래킷(50)의 변경예로서, 테일 부분(24)은 정지 부재(도시 생략)를 포함하는 정지 장치를 이용하여 바닷속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데, 정지 부재는 테일 부분(24)에, 바람직하게는 정지 부재가 테일 부분(24)의 외부 치수보다 큰 외부 치수를 갖는 테일 부분 단부(29)에 부착된다. 정지 장치는 예컨대 캐비티(38) 내에 접촉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정지 부재는 이 접촉 부재에 대해 접촉되어 추가 상방 이동이 저지될 수 있다. 순전히 일례로서, 그러한 접촉 부재는 캐비티(38) 내에 수축부를 포함할 수 있고, 그 내부 치수는 정지 부재의 외부 치수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부재는 캐비티(38)의 최상측 부분, 즉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28)에 가장 가까운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풀리(48) 또는 브래킷(50)은 대응하는 캐비티(38) 또는 관형 부재(44)에 가깝게 배치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반대로, 테일 부분(24)의 하중 핸들링 장치의 많은 실시에서는, 풀리(48) 및/또는 브래킷(50)이 대응하는 캐비티(38) 또는 관형 부재(44)로부터 거리를 두고, 예컨대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부교(30)의 중앙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한 위치의 한가지 이점은 테일 부분(24)의 자유 현수 길이, 즉 그 최하측 부분(24')이 감소되고, 이는 다시 라이저, 엄빌리컬(umbilical) 또는 해수 유입 파이프(도 7에 도시되지 않음)와 같이 수역에 배치되는 유닛(10)의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예컨대 충돌 우려를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도 8은 각 테일 부분(24)의 최하측 부분(24')이 대응하는 상부보다 유닛(10)의 중앙선에 가깝게 배치되도록 테일 부분(24)이 경사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테일 부분의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전부가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진다. 그러한 실시예의 이점은 복수 개의 테일 부분(24)의 각각의 최하측 부분(24')이 서로 인접하게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수역에 배치되는 유닛(10)의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예컨대 충돌 우려가 낮은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나타낸 지점은 유닛(10)의 중앙에 가깝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지점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서, 제1 정박 라인의 테일 부분(24)이 제2 정박 라인(20)의 테일 부분(24)에 연결되도록 제1 정박 라인(18)과 제2 정박 라인(20)이 유닛(10) 아래에서 서로 연결된다. 도 9의 실시예의 한가지 이점은 제1 정박 라인(18)의 조임이 흔히 제2 정박 라인(20)의 대응하는 처짐과 동시에 수행되기 때문에(반대도 마찬가지임), 제1 정박 라인(18)과 제2 정박 라인(20)의 전체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인 정박 위치에서, 테일 부분(24)의 최하측 부분(24')은 바람직하게는 유닛(10)의 바닥으로부터 수직 거리에[즉, 유닛(10) 아래에] 배치되어, 유닛(10)이 도 9의 평면 내외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허용한다. 적어도 2개의 정박 라인의 테일 부분의 전술한 연결은 도 1 또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정박 라인(18)과 제2 정박 라인(20)은 대신에 해저로부터, 유닛(10) 위로 그리고 다시 해저로 연장되는 하나의 연속적인 정박 라인이 얻어지도록 데크 구조체(26) 위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정박 라인은 데크 구조체(36)와 유닛의 용골 사이의 높이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은 부동 유닛(10)이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유닛(10) 또는 FPO(Floating Production and Offloading) 유닛(10)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의 실시예는 복수 개의 정박 라인을 포함하는데, 도 10에는 그 중 단 2개의 정박 라인(18, 20)만이 보인다. 도 1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정박 라인(18, 20)의 각각의 일부는 대응하는 캐비티(38)를 통해 연장될 수 있고, 캐비티의 각각은 다시 유닛(10)의 선체를 통해 연장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유닛(10)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박 라인(18)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유닛(10)에 연결될 수 있다.
-정박 라인(18)의 일부를 해저에 연결하는 단계;
-정박 라인의 연결부(22)가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28)와 해저(14) 사이에 얻어지고 정박 라인의 테일 부분(24)이 연결부(22)에 비해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28)의 반대쪽에 얻어지도록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28)에 정박 라인(18)을 연결하는 단계; 및
-테일 부분(24) 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역(24) 내에 배치되도록 테일 부분(24)을 영구적인 보관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정박 라인(18)의 일부를 해저(14)에 연결하는 상기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연결부(22)의 일부를 해저에 부착된 앵커(도시 생략)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되고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컨대, 체인 및 와이어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정박 라인이 상기 실시예들에 사용되었지만, 본 발명은 또한 폴리스터 로프 등의 다른 타입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정박 라인에도 유용한다. 따라서, 당업계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많은 변경 및 수정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Claims (13)

  1. 해저(14)가 있는 수역(12)에서 부동하도록 된 유닛(10)으로서, 상기 유닛(10)은 정박 라인(18)을 포함하는 위치 유지 시스템(16)을 구비하고, 상기 정박 라인(18)은 연결부(22)와 테일 부분(24)을 포함하며, 유닛(10)이 부동할 때에, 상기 수역(12)은 상기 유닛(10)의 잔잔한 흘수선(26; 정수면)에 도달하고, 상기 연결부(22)는 해저(14)로부터 상기 유닛(10)의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28)로 연장되며, 상기 핸들링 장치(28)는 상기 연결부(22)의 길이를 능동적으로 변경시키도록 되어 있는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정박 라인(18)이 영구적인 정박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테일 부분(24)의 적어도 일부가 수역(12)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가 있는 수역에서 부동하도록 된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 부분(24)은 상기 테일 부분(24)이 종결되는 테일 부분 단부(29)를 포함하고, 상기 정박 라인(18)이 영구적인 정박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테일 부분 단부(29)는 상기 해저(14) 위에서 상기 수역(12) 내에 배치되는 것인 해저가 있는 수역에서 부동하도록 된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10)은 캐비티(38)를 더 포함하고, 유닛(10)이 부동할 때에 상기 캐비티를 통해 상기 테일 부분(24)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는 것인 해저가 있는 수역에서 부동하도록 된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28)는 상기 정수면(26) 아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해저가 있는 수역에서 부동하도록 된 유닛.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10)은 상기 연결부(22) 상에서 이동하도록 된 체이서(46)를 포함하고, 상기 테일 부분(2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체이서(46)에 부착되는 것인 해저가 있는 수역에서 부동하도록 된 유닛.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10)은 상기 정수면(26) 아래에 배치되도록 된 플로트(30)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10)은 복수 개의 지지 컬럼(32; 34)을 더 포함하며, 지지 컬럼의 각각은 상기 플로트(3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정수면(26)과 교차하도록 된 것인 해저가 있는 수역에서 부동하도록 된 유닛.
  7. 해저(14)가 있는 수역(12)에서 부동하도록 된 유닛(10)으로서, 상기 유닛(10)이 부동할 때에, 상기 수역(12)은 상기 유닛(10)의 잔잔한 흘수선(26; 정수면)에 도달하고, 상기 유닛은 유닛의 위치 유지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정박 라인(18)을 핸들링하도록 된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28)를 포함하며, 상기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28)는 상기 정박 라인(18)의 연결부(22)가 상기 핸들링 장치(28)로부터 상기 해저(14)로 연장되는 반면 상기 정박 라인(18)의 테일 부분(24)이 상기 연결부(22)에 비해 상기 핸들링 장치(28)의 반대쪽에 배치되도록 상기 정박 라인(18)과 능동적으로 상호 작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핸들링 장치(28)는 상기 연결부(22)의 길이를 능동적으로 변경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유닛(10)은 캐비티 입구(40)를 통해 상기 테일 부분(24)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된 캐비티(38)를 포함하는 유닛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38)는 상기 캐비티(38)와 상기 유닛(10)의 주위 환경 간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캐비티 출구(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가 있는 수역에서 부동하도록 된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출구(42)는 상기 정수면(26) 아래에 배치되는 것인 해저가 있는 수역에서 부동하도록 된 유닛.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38)는 상기 유닛(10)의 외측 표피의 일체부를 형성하는 것인 해저가 있는 수역에서 부동하도록 된 유닛.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10)은 상기 정수면(26) 아래에 배치되도록 된 플로트(30)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10)은 복수 개의 지지 컬럼(32; 34)을 더 포함하며, 지지 컬럼의 각각은 상기 플로트(3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정수면(26)과 교차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캐비티(38)는 상기 지지 컬럼(32; 34) 중 적어도 하나의 지지 컬럼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것인 해저가 있는 수역에서 부동하도록 된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38)는 상기 플로트(30)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또한 연장되는 것인 해저가 있는 수역에서 부동하도록 된 유닛.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10)은 상기 정박 라인(18)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10)은 상기 연결부(22) 상에서 이동하도록 된 체이서(46)를 더 포함하며, 상기 테일 부분(2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체이서(46)에 부착되는 것인 해저가 있는 수역에서 부동하도록 된 유닛.
  13. 수역(12)에서 부동하는 유닛(10)을 위한 영구적인 위치 유지 시스템(16)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수역(12)은 해저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10)은 유닛(10)의 위치 유지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정박 라인(18)을 핸들링하도록 된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28)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링 장치(28)는 상기 정박 라인(18)의 연결부(22)의 길이를 능동적으로 변경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방법은,
    -정박 라인(18)의 일부를 해저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부(22)가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28)와 해저(14) 사이에 얻어지고 정박 라인(18)의 테일 부분(24)이 연결부(22)에 비해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28)의 반대쪽에 얻어지도록 정박 라인 핸들링 장치(28)에 정박 라인(18)을 연결하는 단계; 및
    -테일 부분(24)의 적어도 일부가 수역 내에 배치되도록 테일 부분(24)을 영구적인 보관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수역에서 부동하는 유닛을 위한 영구적인 위치 유지 시스템을 얻기 위한 방법.
KR1020127023155A 2010-02-05 2011-02-04 부동 유닛을 위한 능동적인 위치 유지 시스템 KR201201341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0167310P 2010-02-05 2010-02-05
SE1050112A SE534498C2 (sv) 2010-02-05 2010-02-05 Permanent lägeshållningssystem för flytande enhet
SE1050112-0 2010-02-05
US61/301,673 2010-02-05
PCT/SE2011/050125 WO2011096883A1 (en) 2010-02-05 2011-02-04 Active station-keeping system for floating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120A true KR20120134120A (ko) 2012-12-11

Family

ID=44352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155A KR20120134120A (ko) 2010-02-05 2011-02-04 부동 유닛을 위한 능동적인 위치 유지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44403B2 (ko)
EP (1) EP2531398A1 (ko)
KR (1) KR20120134120A (ko)
SE (1) SE534498C2 (ko)
WO (1) WO20110968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8072B1 (en) * 2009-12-14 2014-11-18 T&T Engineering Services, Inc. Underwater fairlead assembly
FI124313B (en) * 2012-11-23 2014-06-30 Almaco Group Oy A floating island structure, a method for preventing the floating island structure from swinging,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floating island structure
CN109178207B (zh) * 2018-08-30 2020-03-24 中国科学院广州能源研究所 恒张力锚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504315D0 (en) * 1985-02-20 1985-03-20 Essex Marine Associates Ltd Anchor chain stowage arrangements
US5222453A (en) * 1990-03-05 1993-06-29 Odec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motion response of marine structures
US5390618A (en) * 1993-05-17 1995-02-21 Reading & Bates Development Co. Offshore mooring system
US5816182A (en) * 1996-10-30 1998-10-06 Imodo, Inc. Tension mooring system
US6983714B2 (en) * 2001-06-15 2006-01-10 Technip France Method of and apparatus for offshore mooring
US6651580B2 (en) * 2002-02-22 2003-11-25 Globalsantaf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oring
SE526122C2 (sv) * 2003-05-14 2005-07-05 Gva Consultants Ab Anordning och metod för förebyggande av sjögångsinducerade kättingslag mellan en kätting och en kättingtrunk
SE526076C2 (sv) * 2003-05-14 2005-06-28 Gva Consultants Ab Tätningsanordning och metod för tätning mellan en kätting och ett kättingschakt
US7104214B2 (en) * 2003-10-03 2006-09-12 Hydralift Amclyde, Inc. Fairlead with integrated chain stopper
RU2009124445A (ru) * 2006-11-28 2011-01-10 Трансоушен Седко Форекс Венчерз Лимитед (Us) Швартов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корпуса судна со сквозным отверстие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44403B2 (en) 2013-10-01
EP2531398A1 (en) 2012-12-12
WO2011096883A1 (en) 2011-08-11
SE1050112A1 (sv) 2011-08-06
US20110192336A1 (en) 2011-08-11
SE534498C2 (sv) 2011-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907B1 (ko) 근해 부력식 시추, 생산, 저장 및 하역 구조물
RU2196701C2 (ru) Система для загрузки судов в море
AU701557B2 (en) Offshore apparatus and method for oil operations
US8544404B2 (en) Mono-column FPSO
CN111601753A (zh) 浮动式钻机
EP2192260B1 (en) Riser disconnect and support mechanism
WO2009111767A1 (en) Offshore floating structure with motion dampers
AU2007350722B2 (en) Mooring system
KR20100124733A (ko) 해수 외부에 롤러 베어링을 포함하는 릴을 갖는 부유식 지지물
US10059409B2 (en) Taut inverted catenary mooring system
US20040182297A1 (en) Riser pipe support system and method
EP1725447B1 (en) Floating structure
US6457536B1 (en) Method and system for exploiting natural resources under the seabed
KR20120134120A (ko) 부동 유닛을 위한 능동적인 위치 유지 시스템
US11708132B2 (en) Mooring assembly and vessel provided therewith
US20120114421A1 (en) Semi-submersible floating structure
WO2015136086A1 (en) A quay structure, a quay arrangement and a method of installing such structure
WO2013191543A1 (en) Off-shore installation vessel, method of operating an off-shore installation vessel
US9011046B2 (en) Retractable chain connector
GB2467938A (en) Deep water and ultra deep water mooring system
EP3437979A1 (en) Docking riser barge for fpso
US20040161303A1 (en) Catenary anchor leg mooring system
KR20200107350A (ko)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
WO2001072580A1 (en) Device for positioning of a 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