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350A -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 - Google Patents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350A
KR20200107350A KR1020190026356A KR20190026356A KR20200107350A KR 20200107350 A KR20200107350 A KR 20200107350A KR 1020190026356 A KR1020190026356 A KR 1020190026356A KR 20190026356 A KR20190026356 A KR 20190026356A KR 20200107350 A KR20200107350 A KR 20200107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ffshore structure
floating offshore
guide
mooring
mo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창화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6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7350A/ko
Publication of KR20200107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해에 설치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을 유동이 발생하는 해상의 일 지점에 계류시키기 위한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로서, 해양 구조물의 좌우현 측벽에 마련되는 가이드부, 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승강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이동 유닛, 및 일단부가 이동 유닛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해저면에 고정된 앵커와 연결되는 계류 라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MOORING APPARATUS FOR FLOATING OFFSHORE STRUCTURE IN SHALLOW SEA}
본 발명은 천해에 설치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을 유동이 발생하는 해상의 일 지점에 계류시키기 위한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풍력이나 조류, 파도 등으로 인한 선체의 동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해양 구조물의 안정적인 계류 상태 유지가 가능한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유식 해양 구조물이란 LNG와 같이 극저온 상태의 액체 화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가지면서 유동이 발생하는 해상에서 부유된 채 사용되는 구조물로서,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및 FSPP(Floating Storage Power Plant) 등을 포함한다.
LNG FPSO는, 대수심의 해상에서 해저를 시추하여 천연가스를 생산하고, 이 생산된 천연가스를 해상에서 액화시켜 LNG 저장탱크 내에 저장하고, 필요 시 이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LNG를 LNG 수송선으로 옮겨 싣기 위해 사용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이다.
그리고, LNG FSRU는 연안의 해상에서 LNG 수송선으로부터 하역되는 LNG를 LNG 저장탱크에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LNG를 기화시켜 육상 수요처에 공급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이며, FSPP는 전력 생산 및 공급 등을 위한 발전 설비와 저장탱크를 탑재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육상 수요처에 공급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이다.
일반적으로, 천해에 설치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은 화물의 적하, 유지 보수, 전력 생산 등을 위해 플랫폼 또는 안벽(Quay) 등에 접안될 수 있다. 이러한 해양 구조물은 각종 계류 장치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계류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로서 선체의 데크 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계류 라인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에 연결되는 보우 라인(Bow line)(11)과, 선미에 연결되는 스턴 라인(Stern line)(12)과, 측면에 연결되는 스프링 라인(Spring line)(13)과 브레스트 라인(Breast line)(14)을 포함하고, 각 라인을 플랫폼 또는 안벽(20)에 마련된 다수의 비트(Bitt, 계주)(21)에 묶어서 계류시키게 된다.
종래에는 다수의 계류 라인(11,12,13,14)이 선체의 데크 상에 설치되어야 함으로 데크의 공간 확보가 용이하지 못하며, 다수의 계류 라인(11,12,13,14)을 비트(21)에 단순히 묶는 방식으로 큰 너울이나 조수 간만의 변화 등에 따라 각각의 계류 라인에 걸리는 장력 변화에 대응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방식은 해양 구조물의 좌우현 중 한쪽 방향만 구속되는 방식으로, 풍력이나 조류, 파도, 너울 등과 같은 측 방향 외력에 의하여 선체가 동요될 수 있다.
선체의 동요에는 롤링(Rolling, 해양 구조물의 길이 방향 중심선(종축) 주위의 회전운동 즉,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을 말한다.), 피칭(Piching, 해양 구조물의 길이 방향 중앙부의 연직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을 말한다), 및 히빙(Heaving, 해양 구조물의 선체가 상하로 평행하게 동요하는 것을 말한다)이 있다.
특히, LNG FPSO, LNG FSRU, 또는 FSPP 등과 같이 극저온 상태의 액체 화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경우, 선체가 동요되면 선체의 움직임이 저장탱크 내에 수용된 액체 화물에 전달되어 슬로싱(Sloshing, 선체의 움직임으로 인해 저장탱크 내에 수용된 액체 상태의 물질이 유동하는 현상을 말한다.)이 발생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선체가 동요되면 슬로싱으로 인한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전력 생산 및 공급 등을 위한 발전 설비의 거동으로 인한 연속적인 작업이 불가능하여 작업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체 동요가 심한 경우에는 최대 전복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988124호(2010.10.08.)
본 발명은 풍력이나 조류, 파도, 너울 등으로 인한 선체의 동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해양 구조물의 안정적인 계류 상태 유지가 가능한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해에 설치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을 유동이 발생하는 해상의 일 지점에 계류시키기 위한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로서, 상기 해양 구조물의 좌우현 측벽에 마련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승강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이동 유닛; 및 일단부가 상기 이동 유닛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해저면에 고정된 앵커와 연결되는 계류 라인을 포함하는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해양 구조물의 좌우현 측벽에서 선체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해양 구조물의 측벽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 몸체; 및 상기 가이드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 유닛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몸체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유닛의 승강 시 상기 이동 유닛의 마찰을 줄여주는 마찰 저감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유닛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부력을 가지는 이동 유닛 몸체; 및 상기 이동 유닛 몸체의 양측에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이동 유닛 몸체의 부력에 의해 해상에 부유되고 수심 변화 시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이동 유닛의 승강 시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벽에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이동 유닛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말단에 마련되어 상기 계류 라인과 연결되는 라인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천해에 설치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로서, 좌우현 측벽이 마련되는 선체; 및 상기 좌우현 측벽에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 마련되는 계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계류 장치는 상기 좌우현 측벽에 마련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승강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이동 유닛; 및 일단부가 상기 이동 유닛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해저면에 고정된 앵커와 연결되는 계류 라인을 포함하는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좌우현 측벽에 복수 개 마련되는 계류 장치를 구비하고 수심 변화에 따라 이동 유닛이 승강됨으로써, 풍력이나 조류, 파도, 너울 등으로 인한 선체의 동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천해에 설치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안정적인 계류 상태 유지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계류 장치를 추가하여,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력을 향상시키고 선체의 횡요 거동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저장탱크 내부의 화물뿐만 아니라 전력 생산 및 공급 등을 위한 발전 설비의 거동을 최소화하여 구조적 안정성 증대 및 작업의 연속성 확보로 인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데크 상에 계류 라인을 위한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데크 상부 공간 확보가 용이하며, 각각의 계류 라인에 과도한 장력이 걸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계류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계류 장치가 복수 개 구비된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계류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계류 장치가 복수 개 구비된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을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해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계류 장치는, 천해에 설치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100)을 유동이 발생하는 해상의 일 지점에 계류시키기 위한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로서, 해양 구조물(100)의 좌우현 측벽에 마련되는 가이드부(110)와, 가이드부(110)에 설치되어 승강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이동 유닛(130)과, 일단부가 이동 유닛(13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해저면에 고정되는 앵커(152)와 연결되는 계류 라인(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부(110)는 이동 유닛(130)의 승강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해양 구조물(100)의 좌우현 측벽에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는 가이드부(110)가 해양 구조물(100)의 좌우현 측벽에 마련됨으로써, 선체의 데크 상에 계류 라인을 위한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데크 상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10)는 해양 구조물(100)의 측벽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 몸체(112)와, 가이드 몸체(112)에 형성되어 가이드 몸체(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유닛(13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114)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1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 구조물(100)의 좌우현 측벽에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부(110)는 해양 구조물(100)의 좌우현 측벽에 각각 5개가 마련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가이드부(110)의 개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추가 또는 제외하여 계류력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써, LNG FPSO, LNG FSRU, 또는 FSPP 등과 같이 극저온 상태의 액체 화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경우, 해양 구조물(100)의 좌우현 측벽에 가이드부(110)를 추가하여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력을 향상시키고 선체의 횡요 거동을 감소시킴으로써, 저장탱크 내부의 화물뿐만 아니라 전력 생산 및 공급 등을 위한 발전 설비의 거동을 최소화하여 구조적 안정성 증대 및 작업의 연속성 확보로 인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이드 몸체(112)에는 이동 유닛(130)이 가이드부(110)의 개방된 상부와 하부를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동 유닛(130)의 승강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몸체(112)는 해양 구조물(100)의 측벽에 용접되거나 볼트 결합 등의 공지된 결합방식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110)는 가이드 몸체(112)의 내측에 설치되어 이동 유닛(130)의 승강 시 가이드 몸체(112)와 이동 유닛(130)의 마찰을 줄여주기 위한 마찰 저감 부재(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찰 저감 부재(116)는 이동 유닛(130)의 일부를 감싸고 가이드부(110)의 내측에 삽입되어 가이드 몸체(112)와 이동 유닛(130)의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발열 및 기계적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 마찰 저감 부재(116)로는 부시 베어링 패드(Bush Bearing Pad)가 사용될 수 있다.
이동 유닛(130)은 가이드부(110)에 설치되어 승강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 때, 이동 유닛(130)은 부력을 가지며 풍력이나 조류, 파도, 너울 등으로 인한 수심 변화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동 유닛(130)은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부력을 가지는 이동 유닛 몸체(132)와, 이동 유닛 몸체(132)의 양측에 마련되고 가이드부(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유닛 몸체(132)는 부력에 의해 해상에 부유될 수 있도록,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부력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유닛(130)은 이동 유닛 몸체(132)의 부력에 의해 해상에 부유하게 되고, 수심 변화 시 가이드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이동 유닛 몸체(132)는 이동 유닛 몸체(132)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10)의 형상 및 크기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나, 후술하게 되는 계류 라인(150)과 연결된 상태에서 해상에 부유할 수 있도록 충분한 부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이동 유닛 몸체(132)는 가이드부(110)의 형상 및 크기뿐만 아니라 계류 라인(150)의 무게 등을 고려하여 충분한 부력을 갖도록 크게 마련되어 수심 변화에 따라 승강되어 항상 해상에 부유될 수 있다.
삽입부(134)는 이동 유닛 몸체(132)가 가이드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이동 유닛 몸체(132)의 양측에 마련된다. 삽입부(134)는 이동 유닛 몸체(134)의 승강 시 가이드부(110)의 내측벽에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유닛 몸체(132)와 삽입부(13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 유닛(130)은 이동 유닛 몸체(132)로부터 돌출되어 가이드부(110)의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부(136)와, 연장부(136)의 말단에 마련되어 계류 라인(150)과 연결되는 라인 연결부(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는 이동 유닛 몸체(132)와 라인 연결부(138) 사이에 연장부(136)를 구비함으로써, 이동 유닛 몸체(132)의 승강 시 라인 연결부(138)에 연결된 계류 라인(150)이 가이드부(110)와 접촉 또는 가이드부(110) 내로의 삽입 등으로 인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유닛(130)의 구조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변형 예로써, 이동 유닛 몸체(132)는 휠(Wheel) 형태로 마련되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134)는 상기 가이드부(110)의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는 롤러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삽입부(134)가 가이드부(110)의 내부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삽입부(134)의 회전에 의해 이동 유닛 몸체(132)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도 있다.
계류 라인(150)은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거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부가 이동 유닛(13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해저면에 고정된 앵커(152)에 연결된다. 계류 라인(130)은 체인(Chain) 또는 와이어 등으로 형성되고, 고리나 후크 등의 공지된 체결방식을 통해 앵커(152)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유닛(130)이 가이드부(110)에 설치되어 해상에 부유되고, 큰 너울이나 조수 간만의 변화 등으로 인한 수심 변화에 따라 이동 유닛(130)이 가이드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또한, 풍력이나 조류, 파도, 너울 등의 측 방향 외력에 의하여 선체가 동요되는 경우에도, 이동 유닛(130)은 항상 해상에 부유되도록 승강됨으로써 계류 라인(150)에 과도한 장력이 걸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써,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가 좌현 쪽으로 기울어지면 좌현 측 이동 유닛(130)은 가이드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우현 측 이동 유닛(130)은 가이드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강하여 해상에 부유하게 된다.
도 3(b)에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100)의 선체가 기울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 위하여 과장되게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식 해양 구조물(100)의 좌우현 측벽 각각에 계류 장치를 복수 개 구비하고 풍력이나 조류 또는 파도 등으로 인한 계류 장치 각각에서의 수심 변화에 따라 이동 유닛(130)이 개별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식 해양 구조물(100)의 좌우현 측벽에 복수 개 마련되는 계류 장치를 구비하고 수심 변화에 따라 이동 유닛(130)이 승강됨으로써, 선체의 동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천해에 설치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안정적인 계류 상태 유지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계류 장치를 추가하여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력을 향상시키고 선체의 횡요 거동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저장탱크 내부의 화물뿐만 아니라 전력 생산 및 공급 등을 위한 발전 설비의 거동을 최소화하여 구조적 안정성 증대 및 작업의 연속성 확보로 인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데크 상에 계류 라인을 위한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데크 상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부유식 해양 구조물
110: 가이드부
112: 가이드 몸체
114: 가이드 홈
116: 마찰 저감 부재
130: 이동 유닛
132: 이동 유닛 몸체
134: 삽입부
136: 연장부
138: 라인 연결부
150: 계류 라인
152: 앵커

Claims (10)

  1. 천해에 설치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을 유동이 발생하는 해상의 일 지점에 계류시키기 위한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로서,
    상기 해양 구조물의 좌우현 측벽에 마련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승강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이동 유닛; 및
    일단부가 상기 이동 유닛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해저면에 고정된 앵커와 연결되는 계류 라인을 포함하는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해양 구조물의 좌우현 측벽에서 선체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 마련되는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해양 구조물의 측벽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 몸체; 및
    상기 가이드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 유닛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몸체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유닛의 승강 시 상기 이동 유닛의 마찰을 줄여주는 마찰 저감 부재를 더 포함하는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부력을 가지는 이동 유닛 몸체; 및
    상기 이동 유닛 몸체의 양측에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천해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계류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이동 유닛 몸체의 부력에 의해 해상에 부유되고 수심 변화 시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되는 천해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계류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이동 유닛의 승강 시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벽에 슬라이딩 되는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이동 유닛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말단에 마련되어 상기 계류 라인과 연결되는 라인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
  9. 천해에 설치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로서,
    좌우현 측벽이 마련되는 선체; 및
    상기 좌우현 측벽에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 마련되는 계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계류 장치는,
    상기 좌우현 측벽에 마련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승강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이동 유닛; 및
    일단부가 상기 이동 유닛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해저면에 고정된 앵커와 연결되는 계류 라인을 포함하는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 마련되고 극저온 상태의 액체 화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더 포함하는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1020190026356A 2019-03-07 2019-03-07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 KR20200107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356A KR20200107350A (ko) 2019-03-07 2019-03-07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356A KR20200107350A (ko) 2019-03-07 2019-03-07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350A true KR20200107350A (ko) 2020-09-16

Family

ID=72669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356A KR20200107350A (ko) 2019-03-07 2019-03-07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735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124B1 (ko) 2005-05-11 2010-10-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트랜드 잭을 이용한 계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124B1 (ko) 2005-05-11 2010-10-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트랜드 잭을 이용한 계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5647B2 (ja) 改良された並列係留構造物
EP2493753B1 (en) Partially submersible wind turbine transport vessel
US3620181A (en) Permanent ship mooring system
RU2422320C2 (ru) Система для загрузки и разгрузки углеводородов в водах, предрасположенных к образованию льда
US8231420B2 (en) Submersible mooring system
KR20120079447A (ko) 근해 부력식 시추, 생산, 저장 및 하역 구조물
US7287484B2 (en) Berthing method and system
NO336984B1 (no) Flytende plattform og fremgangsmåte for operasjon derav
US20110308444A1 (en) Floating offshore structure
RU2145289C1 (ru) Способ швартовки плавучего наливного судна и система для швартовки плавучего наливного судна
AU2003206256B2 (en) Multi hull barge
KR102417737B1 (ko) 탄화수소 생성물의 생산 및 저장을 위한 해양 선박
CN105555654A (zh) 串列式和并列式系泊卸载系统及相关方法
CN104619583A (zh) 半潜水式集成港口
AU2003206256A1 (en) Multi hull barge
KR20100136766A (ko) 이동/자항형 해상 하역 부유 구조물
KR20200107350A (ko) 천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장치
CN102762444B (zh) 浅水系统
US4130077A (en) Single-point mooring system
WO2015136086A1 (en) A quay structure, a quay arrangement and a method of installing such structure
US8544403B2 (en) Floating unit
KR102050794B1 (ko) 스토퍼가 구비된 선박용 완충장치
US5647295A (en) Apparatus for mooring a vessel to a submerged mooring element
US4214545A (en) Anchor stowing arrangement
KR102629003B1 (ko) 부유식 구조물의 펜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