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4039A - 배선 덕트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배선 덕트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4039A
KR20120134039A KR1020120056243A KR20120056243A KR20120134039A KR 20120134039 A KR20120134039 A KR 20120134039A KR 1020120056243 A KR1020120056243 A KR 1020120056243A KR 20120056243 A KR20120056243 A KR 20120056243A KR 20120134039 A KR20120134039 A KR 20120134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duct
elastic body
fixing plate
elastic
cont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3423B1 (ko
Inventor
마사토 도키
유키히로 마츠노부
신이치로 야노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134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Landscapes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접속 장치 본체(9)가 가지는 삽입부(1)에, 접촉자(2)를 외측쪽으로 밀어 내는 도전성의 탄성체(7)를 구비한다. 탄성체(7)는 긴 부재형상을 이루는 지지편부(11)의 양단으로부터, 외측쪽을 향해 굴곡하는 굴곡편부(12)를 거쳐, 탄성편부(13)를 연장 설치한 것이다. 양측의 탄성편부(13)에 각각 접촉자(2)를 고정시킴으로써, 삽입부(1)의 측면으로부터 각각 복수의 접촉자(2)가 외측쪽으로 돌출되도록 마련한다.

Description

배선 덕트 접속 장치{WIRING DUCT CONNECTOR}
본 발명은 배선 덕트의 단부에 접속되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배선 덕트(100)에 전원을 인입(引入)하거나, 배선 덕트(100)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배선 덕트 접속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도 6에 나타내는 구조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배선 덕트(100)의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201)와, 삽입부(201)로부터 외측쪽으로 돌출된 접촉자(202)와, 접촉자(202)를 일단부에 고정시킨 탄성판 형상의 도통 부재(203)와, 이 도통 부재(203)의 타단부측에 고정되는 속결(速結) 단자부(20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삽입부(201)를 배선 덕트(100)내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이 배선 덕트(100)가 가지는 도체(110)에 대해, 접촉자(202)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구조이다.
그런데, 도 6에 나타내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배선 덕트(100)의 각 도체(110)에 대해, 접촉자(2)가 1개만 접촉하는 구조이다. 그 때문에, 접촉의 신뢰성이라는 점에서는 충분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특허문헌 2에는 접촉자를 길이 방향으로 한 쌍 병설하고, 배선 덕트(100)의 각 도체(110)에 대해, 한 쌍의 접촉자가 각각 접촉하도록 마련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각 접촉자는 탄성판 형상인 전용의 도통 부재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일본 특허 공보 제4088441호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9-283423호
전술한 특허문헌 2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판 형상의 도통 부재를 이용하여, 각 도통 부재의 선단에 접촉자를 캔틸레버형상으로 지지하는 구조이다. 그 때문에, 접촉자마다 전용의 도통 부재를 마련할 필요가 있고, 조립성이나 비용면에서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배선 덕트의 각 도체에 대한 접촉 개소를 2개소 이상으로 해서 전기 접속의 신뢰성을 높이고, 또한, 조립성이나 비용면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접속 장치 본체에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이 자유롭도록 상기 삽입부에 유지된 접촉자와, 상기 접촉자를 외측쪽으로 밀어 내는 도전성의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체는 지지편부의 양단측을 굴곡시켜 탄성편부를 연장 설치한 것이며, 양측의 탄성편부에 각각 상기 접촉자를 마련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체의 상기 지지편부에 접속되는 도전성의 고정 플레이트와, 외부 전선에 접속되는 속결 단자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속결 단자부가 전기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때,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속결 단자부가, 코킹 고정에 의해서 전기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속결 단자부가, 가요성의 전선을 거쳐서 전기 접속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속결 단자부가, 압력에 의해 접점끼리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를 통하여 전기 접속되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접속 장치 본체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일단측에 배치되는 상기 탄성체의 상기 지지편부와, 상기 삽입부의 타단측에 배치되는 상기 탄성체의 상기 지지편부가, 각각 도전성의 고정 플레이트에 접속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 및 양측의 상기 탄성체를 통해, 양측의 상기 삽입부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접촉자가 서로 전기 접속되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배선 덕트의 각 도체에 대한 접촉 개소를 2개소 이상으로 해서 전기 접속의 신뢰성을 높이고, 또한 조립성이나 비용면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구비하는 탄성체의 변형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도 7은 배선 덕트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면 전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종래 기술로서 전술한 특허문헌 1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와 마찬가지로, 배선 덕트(100)에 장착해서 이용하는 것이며, 여기서는 배선 덕트(100)의 도체(110)에 대해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급전을 실행하는 피드 인 박스(배선 덕트 레일용 전원 연결 부품)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배선 덕트(100)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 덕트(100)는 그 길이 방향 X에 직교하는 단면이 립(lip)을 가지는 ‘コ’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한 긴 통형상부재이며, 상부벽(101)과, 상부벽(101)의 양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측벽(102)과, 각 측벽(102)의 선단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립부를 이루는 저벽(103)을 가진다. 립부로 되는 양 저벽(103)간의 간극이 배선 덕트(10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104)로 된다. 배선 덕트(100)는 개구(104)가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개구(104)보다도 내부의 공간이 긴 홈형의 코어(105)로 된다.
측벽(102)의 내면에는 내측쪽을 향해 도체 유지부(106)를 돌출 설치하고 있고, 이 도체 유지부(106)의 선단부에, 도체(110)를 고정시키고 있다. 도체(110)는 배선 덕트(100)의 길이 방향 X를 따라 배치되고, 일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긴 직사각형형상의 평탄한 접속면(111)을 코어(105)내에 노출시키고 있다. 한 쌍의 도체(110)의 서로의 접속면(111)은 코어(105)를 거쳐서 대향하도록, 동일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배선 덕트(100)에 장착하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배선 덕트(100) 단부 개구를 통해 코어(105)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1)를, 접속 장치 본체(9)의 길이 방향 X의 일단부에 구비하고 있다. 삽입부(1)에는 그 양측면으로부터 소정 범위내에서 외측쪽으로 돌출이 자유롭도록, 판형상의 접촉자(2)를 양측에 한 쌍씩 구비하고 있다.
접속 장치 본체(9)의 길이 방향 X의 타단부측에는 외부 전선을 접속시키기 위한 속결 단자부(4)를 한 쌍 배치하고 있다. 각 속결 단자부(4)에는 후술하는 탄성체(7)나 고정 플레이트(20)를 거쳐, 대응하는 한 쌍의 접촉자(2)가 전기 접속된다. 길이 방향 X로 병설되는 한 쌍의 접촉자(2)는 삽입부(1)가 배선 덕트(100)의 코어(105)내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대응하는 도체(110)에 탄성 접촉하고, 전기 접속되는 것이다.
이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각 구성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접속 장치 본체(9)의 삽입부(1)내에는 길이 방향 X를 따라 연장되도록 칸막이벽(6)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폭방향 Y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칸막이벽(6)과, 이것에 인접하는 접촉자(2)의 사이에는 접촉자(2)에 접촉해서 외측쪽으로의 편향력(biasing force)을 부여하는 탄성체(7)를 배치하고 있다.
여기서의 폭방향 Y는 길이 방향 X와 직교하는 방향이다. 또, 삽입부(1)의 설명에 이용하는 길이 방향 X는 배선 덕트(100)의 설명에서 이용한 길이 방향 X와 일치하는 방향이다.
탄성체(7)는 한 쌍의 접촉자(2)의 각각에 독립적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이며, 길이 방향 X로 병설되는 한 쌍의 접촉자(2)의 내측쪽에 대응하는 탄성체(7)를 1개 배치하고 있다. 이 탄성체(7)는 양단을 굴곡시킨 형상을 가지는 도전성의 탄성판 부재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각 탄성체(7)는 길이 방향 X에 일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지지편부(1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외측쪽을 향해 U자형상으로 굴곡하는 굴곡편부(12)를 연장시키고, 양측의 굴곡편부(12)의 선단으로부터,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탄성편부(13)를 연장시킨 것이다.
각 탄성편부(13)는 경사가 다른 제 1 부분(14)과 제 2 부분(15)을 ‘ヘ’형상으로 연속시킨 형상을 가진다. 제 1 부분(14)은 굴곡편부(12)의 선단으로부터 일단 내측쪽으로 기울어서 연장된 직선형상의 탄성편이며, 제 2 부분(15)은 이 제 1 부분(14)의 선단으로부터 외측쪽으로 기울어서 연장된 직선형상의 탄성편이다. 이 제 2 부분(15)의 선단부에, 외측쪽을 향해 돌출하도록 접촉자(2)를 각각 고정시키고 있다. 접촉자(2)의 외측가장자리는 외측쪽을 향해 돌출되는 완만한 원호형상으로 마련하고 있다. 이 접촉자(2)의 외측 가장자리 상의 점에 있어서, 접촉자(2)와 배선 덕트(100)의 도체(110)가 접촉한다.
접속 장치 본체(9)에 구비한 속결 단자부(4)와 탄성체(7)는 긴 판형상인 도전성의 고정 플레이트(20)를 거쳐서, 일대일로 전기 접속된다. 이 탄성체(7)가 한 쌍의 접촉자(2)에 대해 기계적으로 접속되고, 탄성력을 부여함과 함께, 전기적으로도 접속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설명하는 접속 구조를 구비한다.
속결 단자부(4)의 단면으로부터는 길이 방향 X를 향해 연장되도록 도전성 부재(21)를 연장 설치하고 있다. 이 도전성 부재(21)는 길이 방향 X로 긴 도전판을 크랭크형상으로 굴곡시킨 형상이다. 긴 판형상의 고정 플레이트(20)는 이 도전성 부재(21)보다도 길이 방향 X의 일단측에 배치되고, 고정 플레이트(20)와 도전성 부재(21)의 서로의 단부끼리가 폭방향 Y에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이 중첩 부분에 있어서, 고정 플레이트(20)와 도전성 부재(21)가 코킹 고정된다.
고정 플레이트(20)는 폭방향 Y 중앙의 칸막이벽(6)과, 이 칸막이벽(6)에 인접하는 탄성체(7)의 지지편부(11)의 사이에 놓이도록 배치된다. 고정 플레이트(20)와, 탄성체(7)의 지지편부(11)는 이 지지편부(11)의 길이 방향 X 중앙부분에 있어서 코킹 고정된다. 이 코킹 고정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20)와 탄성체(7)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들 접속 구조는 평면에서 보아 배선 덕트 접속 장치를 폭방향 Y로 이분하는 선 C1을 대칭축으로서, 선대칭인 구조로 된다. 즉, 폭방향 Y 중앙에 칸막이벽(6)이 위치하고, 이 칸막이벽(6)을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도록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20)가 배치되고, 또한 이들 고정 플레이트(20)를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도록 한 쌍의 탄성체(7)가 배치된다. 그리고, 각 탄성체(7)가 가지는 한 쌍의 탄성편부(13)의 선단 부분에 각각 접촉자(2)가 접속되는 구조이다.
상기한 접속 구조에 의하면, 배선 덕트(100)의 각 도체(110)에 대한 접촉 개소를 복수 개소(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소)로 해서, 전기 접속의 신뢰성을 높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접촉자(2)에 대해 독립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7)를 하나의 부재로서 제공할 수 있고, 조립성이나 비용면에서도 우수한 것으로 된다.
또한, 탄성체(7) 및 이것에 지지되는 접촉자(2)는 평면에서 보아, 지지편부(11) 중앙의 코킹 고정의 부분을 통과해서 폭방향 Y로 연장되는 선 C2를 대칭축으로서, 선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또한, 동일 가압량에 대해 각 접촉자(2)에 부여되는 탄성력도 균일화된다.
도 2에는 탄성체(7)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탄성체(7)에 있어서도, 긴 부재형상을 이루는 지지편부(11)의 양단으로부터, 외측쪽을 향해서 굴곡하는 굴곡편부(12)를 거쳐, 탄성편부(13)를 연장 설치하고 있다. 양측의 탄성편부(13)에는 각각 접촉자(2)를 고정시키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탄성체(7)와는 달리, 양측의 탄성편부(13)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도, 탄성체(7) 및 이에 지지되는 접촉자(2)는 평면에서 보아, 지지편부(11) 중앙(고정 플레이트(20)에 코킹 고정되는 개소)을 통과해서 폭방향 Y로 연장되는 선 C2를 대칭축으로서, 선대칭으로 구성된다.
(제 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대해,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실시형태 1과는 상이한 본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해 이하에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길이 방향 X로 병설되는 속결 단자부(4)와 고정 플레이트(20)를, 가요성의 전선(30)을 거쳐서 전기 접속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설명하는 접속 구조를 구비한다.
속결 단자부(4)의 단면으로부터는 길이 방향 X를 향해 접속편(31)을 연장시키고 있다. 긴 판형상인 고정 플레이트(20)는 길이 방향 X의 단부(32)를 크랭크형상으로 굴곡 형성한 것이며, 이 단부(32)의 외측쪽을 향하는 면에, 전선(30)의 일단부가 전기 접속된다. 전선(30)의 타단부는 속결 단자부(4)의 접속편(31)의 내측쪽을 향하는 면에 전기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속결 단자부(4)와 접촉자(2)를 전기 접속시키는 일련의 접속 구조는 평면에서 보아 배선 덕트 접속 장치를 폭방향 Y로 이분하는 선 C1을 대칭축으로서, 선대칭인 구조로 된다.
(제 3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대해, 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실시형태 1과는 상이한 본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해 이하에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길이 방향 X로 병설되는 속결 단자부(4)와 고정 플레이트(20)를, 서로의 접점끼리를 접촉시키는 접점 구조를 통하여 전기 접속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설명하는 접속 구조를 구비한다.
속결 단자부(4)의 단면으로부터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의 크랭크형상을 가지는 도전성 부재(21)를 연장 설치하고 있다. 고정 플레이트(20)와 도전성 부재(21)는 서로의 단부끼리가 폭방향 Y에 중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첩 부분에 있어서, 고정 플레이트(20)의 외측쪽을 향하는 면에 접점부(41)를 형성하고, 도전성 부재(21)의 내측쪽을 향하는 면에 접점부(42)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정 플레이트(20)와 도전성 부재(21)의 서로의 대향면에 형성되는 접점부(41, 42)끼리가 폭방향 Y의 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양 접점부(41, 42)는 모두 볼록형상이지만, 한쪽만이 볼록형상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속결 단자부(4)와 접촉자(2)를 전기 접속시키는 일련의 접속 구조는 평면에서 보아 배선 덕트 접속 장치를 폭방향 Y로 이분하는 선 C1을 대칭축으로서, 선대칭인 구조로 된다.
(제 4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대해,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실시형태 1과는 상이한 본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해 이하에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형상인 접속 장치 본체(9)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하는 삽입부(1)를, 길이 방향 X의 양측에 가지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실시형태 1과 같은 피드인 박스가 아닌, 배선 덕트(100)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덕트 커플러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한 쌍의 삽입부(1) 중 한쪽을 「제 1 삽입부(1A)」로 하고, 다른 쪽을 「제 2 삽입부(1B)」로 한다. 제 1 및 제 2 삽입부(1A, 1B)는 동일한 부재를 구비한 것이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별을 위해, 제 1 삽입부(1A)에 구비하는 접촉자(2)를 「제 1 접촉자(2A)」로 하고, 탄성체(7)를 「제 1 탄성체(7A)」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삽입부(1B)에 구비하는 접촉자(2)를 「제 2 접촉자(2B)」로 하고, 탄성체(7)를 「제 2 탄성체(7B)」로 한다.
제 1 접촉자(2A)의 내측쪽에는 이들을 외측쪽으로 밀어 내는 제 1 탄성체(7A)가 배치된다. 제 2 접촉자(2B)의 내측쪽에는 이들을 외측쪽으로 밀어 내는 제 2 탄성체(7B)가 배치된다.
이 접속 장치 본체(9)내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 삽입부(1A, 1B)에 한 쌍씩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탄성체(7A, 7B) 중, 길이 방향 X로 병설되는 제 1 탄성체(7A)와 제 2 탄성체(7B)의 조합끼리를, 길이 방향 X에 길게 형성한 1개의 고정 플레이트(20)에 의해 전기 접속시키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접속 구조는 이하에 설명하는 구조이다.
본 실시형태의 접속 장치 본체(9)에서는 제 1 삽입부(1A)에서 제 2 삽입부(1B)에 걸쳐 칸막이벽(6)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고정 플레이트(20)도, 제 1 삽입부(1A)에서 제 2 삽입부(1B)에 걸쳐 배치되는 것이며, 칸막이벽(6)을 폭방향 Y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도록 1쌍 배치된다. 그리고, 각 고정 플레이트(20) 중 제 1 삽입부(1A)측의 부분에 있어서, 제 1 탄성체(7A)의 지지편부(11)에 대해 코킹 고정되고, 각 고정 플레이트(20) 중 제 2 삽입부(1B)측의 부분에 있어서, 제 2 탄성체(7B)의 지지편부(11)에 대해 코킹 고정된다. 이 코킹 고정에 의해, 제 1 탄성체(7A)와 제 2 탄성체(7B)가 고정 플레이트(20)를 거쳐서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폭방향 Y 중앙에 칸막이벽(6)이 위치하고, 이 칸막이벽(6)을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도록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20)가 배치되고, 이들 고정 플레이트(20)를 또한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도록, 제 1 탄성체(7A)와 제 2 탄성체(7B)의 각 쌍이 배치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제 1 탄성체(7A)가 가지는 한 쌍의 탄성편부(13)의 선단 부분에 각각 제 1 접촉자(2A)가 접속되고, 제 2 탄성체(7B)가 가지는 한 쌍의 탄성편부(13)의 선단 부분에 각각 제 1 접촉자(2B)가 접속된다.
상기한 접속 구조에 의하면, 배선 덕트(100)의 각 도체(110)에 대한 접촉 개소를 복수 개소(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소)로 해서, 전기 접속의 신뢰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촉자(2)에 부여되는 탄성력의 편차도 억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 4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접속 장치 본체(9)에 형성된 삽입부(1)와, 삽입부(1)에 그 양측면으로부터 돌출이 자유롭도록 유지된 접촉자(2)와, 접촉자(2)를 외측쪽으로 밀어 내는 도전성의 탄성체(7)를 구비한다. 탄성체(7)는 지지편부(11)의 양단측을 굴곡시켜 탄성편부(13)를 연장 설치한 것이며, 양측의 탄성편부(13)에 각각 접촉자(2)를 마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접촉자(2)에 대해 독립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7)를 하나의 부재로 제공할 수 있고, 조립성이나 비용면에서도 우수한 것으로 된다. 또한, 각 탄성체(7)에 있어서, 지지편부(11)의 일단측으로부터 연장 설치되는 탄성편부(13)와, 타단측으로부터 연장 설치되는 탄성편부(13)를, 동일한 (선대칭인) 치수형상으로 마련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양측의 탄성편부(13)에 마련되는 접촉자(2)를, 마찬가지의 탄성력으로 외측쪽으로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고, 각 접촉자(2)의, 배선 덕트(100)의 도체(110)에 대한 접촉압이 균일화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 3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있어서는 탄성체(7)의 지지편부(11)에 접속되는 도전성의 고정 플레이트(20)와, 외부전선에 접속되는 속결 단자부(4)를 구비하고, 고정 플레이트(20)과 속결 단자부(4)가 전기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탄성체(7)를 고정 플레이트(20)에 의해서 접속 장치 본체(9)내에 안정적으로 지지시킴과 함께, 탄성체(7)와 속결 단자부(4)를 이 고정 플레이트(20)에 의해서 전기 접속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접속 장치 본체(9)내에서의 기계적 접속과 전기적 접속을 더욱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있어서는 고정 플레이트(20)와 속결 단자부(4)가 코킹 고정에 의해서 전기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접촉자(2)와 속결 단자부(4)의 사이에 있어서의 기계적 접속과 전기적 접속이 더욱 확실한 것으로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있어서는 고정 플레이트(20)와 속결 단자부(4)가, 가요성의 전선(30)을 거쳐서 전기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접촉자(2)와 속결 단자부(4)의 사이에 있어서의 전기적접속이 더욱 확실한 것으로 된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20)를 속결 단자부(4)측까지 연장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비용 삭감이나 경량화에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있어서는 고정 플레이트(20)와 속결 단자부(4)가, 압력에 의해 접점끼리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구조를 거쳐서 전기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접점구조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접촉자(2)와 속결 단자부(4)의 사이에 있어서의 전기적 접속이 더욱 확실한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있어서는 삽입부(1)가, 접속 장치 본체(9)의 길이 방향 X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단측의 삽입부(1)에 배치되는 탄성체(7)의 지지편부(11)와, 타단측의 삽입부(1)에 배치되는 탄성체(7)의 지지편부(11)가 각각 도전성의 고정 플레이트(20)에 전기 접속되고, 고정 플레이트(20) 및 양측의 탄성체(7)를 통해, 양측의 삽입부(1)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접촉자(2)끼리가 전기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양측의 삽입부(1)에 있어서 탄성체(7)를 고정 플레이트(20)에 지지시킴과 함께, 양측의 삽입부(1)에 배치되는 탄성체(7)끼리를, 이 고정 플레이트(20)에 의해서 전기 접속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접속 장치 본체(9)내에서의 기계적 접속과 전기적 접속을 더욱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삽입부(1)에 있어서 하나의 고정 플레이트(20)에 2이상의 탄성체(7)을 코킹 고정하는 구조라도 좋다. 즉, 본 발명은 이들 특정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 및 그 균등물에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경 및 변형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1: 삽입부
2: 접촉자
4: 속결 단자부
7: 탄성체
9: 접속 장치 본체
11: 지지편부
12: 굴곡편부
13: 탄성편부
20: 고정 플레이트
30: 전선
100: 배선 덕트
110: 도체
X: 길이 방향

Claims (6)

  1. 접속 장치 본체에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이 자유롭도록 상기 삽입부에 유지된 접촉자와,
    상기 접촉자를 외측쪽으로 밀어 내는 도전성의 탄성체
    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체는 지지편부의 양단측을 굴곡시켜 탄성편부를 연장 설치한 것이며, 양측의 탄성편부에 각각 상기 접촉자를 마련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상기 지지편부에 접속되는 도전성의 고정 플레이트와,
    외부 전선에 접속되는 속결 단자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속결 단자부가 전기 접속되어 있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속결 단자부가, 코킹 고정에 의해서 전기 접속되어 있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속결 단자부가, 가요성의 전선을 거쳐서 전기 접속되어 있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속결 단자부가, 압력에 의해 접점끼리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점 구조를 통하여 전기 접속되어 있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가, 상기 접속 장치 본체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양측의 삽입부에는 각각 상기 탄성체 및 상기 접촉자가 배치되고,
    상기 삽입부의 일단측에 배치되는 상기 탄성체의 상기 지지편부와, 상기 삽입부의 타단측에 배치되는 상기 탄성체의 상기 지지편부가, 각각 도전성의 고정 플레이트에 접속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 및 양측의 상기 탄성체를 통해, 양측의 상기 삽입부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접촉자가 서로 전기 접속되어 있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KR1020120056243A 2011-05-31 2012-05-25 배선 덕트 접속 장치 KR1013334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22578 2011-05-31
JP2011122578A JP5793705B2 (ja) 2011-05-31 2011-05-31 配線ダクト接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039A true KR20120134039A (ko) 2012-12-11
KR101333423B1 KR101333423B1 (ko) 2013-11-26

Family

ID=4723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243A KR101333423B1 (ko) 2011-05-31 2012-05-25 배선 덕트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93705B2 (ko)
KR (1) KR101333423B1 (ko)
CN (1) CN102810780B (ko)
TW (1) TWI48722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553A (ko) 2014-12-31 2016-07-08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중공사형 정삼투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80376A (ko) 2014-12-29 2016-07-08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중공사형 정삼투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80377A (ko) 2014-12-29 2016-07-08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중공사형 정삼투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426Y2 (ja) * 1978-10-30 1984-04-07 日立電線株式会社 配線ダクト用ジヨイント
JP2001126830A (ja) * 1999-10-22 2001-05-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ダクト接続装置
JP4178750B2 (ja) * 2000-12-22 2008-11-12 松下電工株式会社 配線ダクト用電気接続器
JP4088441B2 (ja) * 2001-12-26 2008-05-21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配線器具、配線装置およびライティングダクト装置
JP2008130317A (ja) * 2006-11-20 2008-06-05 Namio Nakazawa 配線ダクトおよび配電ダクト連結器
JP5081064B2 (ja) * 2008-05-26 2012-11-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配線ダクト接続装置
JP5789770B2 (ja) * 2011-04-18 2015-10-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配線ダクト接続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376A (ko) 2014-12-29 2016-07-08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중공사형 정삼투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80377A (ko) 2014-12-29 2016-07-08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중공사형 정삼투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81553A (ko) 2014-12-31 2016-07-08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중공사형 정삼투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10780B (zh) 2014-11-12
KR101333423B1 (ko) 2013-11-26
JP2012252805A (ja) 2012-12-20
JP5793705B2 (ja) 2015-10-14
TW201310832A (zh) 2013-03-01
TWI487228B (zh) 2015-06-01
CN102810780A (zh)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26929B (zh) 支撑组件
US9252508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deformable terminals
TW200729646A (en) Electric connector
KR100966225B1 (ko) 접촉 안정부를 갖춘 전기 소켓 단자
US9508964B2 (en) Structure for holding voltage detecting terminal
KR101333423B1 (ko) 배선 덕트 접속 장치
US8308508B2 (en) Connector
US9136660B2 (en) Female terminal
JP6120168B2 (ja)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JP5650316B2 (ja) 電気プラグイン接触子
KR101359236B1 (ko) 배선 덕트 접속 장치
JP4807395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KR101306516B1 (ko) 배선 덕트 접속 장치
CN102957019A (zh) 插塞连接器
KR101569777B1 (ko) 다접점 컨넥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접촉편, 플러그, 소켓
CN220086442U (zh) 一种连接器母端端子结构
CN204118385U (zh) 板对板连接器
KR101340182B1 (ko) 배선 덕트 접속 장치
CN210927248U (zh) 定子组件和具有其的电机
CN210692820U (zh) 高强度连接插头及电子设备
KR200454278Y1 (ko) 차량용 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