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3794A -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 및 도어 개폐 방법 - Google Patents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 및 도어 개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3794A
KR20120133794A KR1020110052636A KR20110052636A KR20120133794A KR 20120133794 A KR20120133794 A KR 20120133794A KR 1020110052636 A KR1020110052636 A KR 1020110052636A KR 20110052636 A KR20110052636 A KR 20110052636A KR 20120133794 A KR20120133794 A KR 20120133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ein
door
user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삼현
Original Assignee
케빛테크놀로지(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빛테크놀로지(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케빛테크놀로지(주)
Priority to KR1020110052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3794A/ko
Publication of KR20120133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7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에 있어서,정맥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를 내부에 포함하는 경통부와 상기 경통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장착되는 문과 상기 하우징 상면에 구비하여 기능 입력을 위한 키패드 입력부와 상기 하우징 상면에 진행상황 정보를 나타내는 출력부와 상기 하우징 하단에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 핸들과 상기 도어 핸들 일측에 사용자 엄지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와 상기 도어 핸들에 사용자 손의 접촉 여부를 확인하는 접촉 인식부 및 상기 도어 핸들에 사용자의 손등 정맥을 촬영하기 위해 경통부 끝단에 닿는 사용자 손을 고정시키는 손가락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 및 도어 개폐 방법{DEVICE FOR VEIN RECOGNITION WITH DOOR HANDLE AND DOOR OPENING AND SHUTTING METHOD}
본 발명은 정맥 인식 장치와 도어의 핸들을 일체화하여 형성하는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출입 통제 및 보안을 위해 사용자 인증을 요구하는 시스템에서는 마그네틱 카드, 스마트 카드, RF카드 등을 이용한 카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도난 및 오용, 분실 등으로 인해 여러 문제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수가 대규모인 경우에는 개인에게 지급되는 카드 수가 많아지므로 경제적 부담이 커지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신원 확인, 신원 인증 및 출입 통제에 사용될 수 있는 생체 인식 시스템이 상용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생체 인식 시스템은 대개 지문패턴을 이용한 지문인식 시스템, 얼굴의 형상을 인식하는 시스템, 손의 형태를 이용하는 시스템 등이 있는데, 이러한 시스템들은 생체 특징의 변형, 외부 환경, 액세서리 등으로 인해 안정적인 인식 성능을 얻기 힘들다.
이러한 기존 생체 인식 시스템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피하에 위치하는 사용자 손등의 정맥패턴을 인식하는 정맥 인식 장치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정맥 인식 장치를 이용한 도어락의 경우, 별도의 생체 인식 장치와 도어 핸들을 각각 따로 분리하여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생체 인식 장치를 통하여 인증을 거친 후에 도어 핸들을 이용하여 문을 열 수 있는 것과 같이 각각의 단계가 따로 이루어져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정맥 인식 도어락 또는 디지털 도어락에서 인증을 받고도 도어를 열지 않은 경우,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잠금 상태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가 그 시간 동안 기다린 후에 잠금부가 잠금 상태로 전환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자리를 이동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맥 인식 장치와 홍채 인식 및 음성 인식 장치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도어 핸들을 이용하여 정맥 인식과 홍채 인식 및 음성 인식을 통해 사용자 인증과 동시에 도어를 개방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어 핸들 그립(Grip) 여부로 도어락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거나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에 있어서, 정맥 인식 장치에 있어서, 정맥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를 내부에 포함하는 경통부와 상기 경통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장착되는 문과 상기 하우징 상면에 구비하여 기능 입력을 위한 키패드 입력부와 상기 하우징 상면에 진행상황 정보를 나타내는 출력부와 상기 하우징 하단에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 핸들과 상기 도어 핸들 일측에 사용자 엄지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와 상기 도어 핸들에 사용자 손의 접촉 여부를 확인하는 접촉 인식부 및 상기 도어 핸들에 사용자의 손등 정맥을 촬영하기 위해 경통부 끝단에 닿는 사용자 손을 고정시키는 손가락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키패드 입력부 좌/우 일측에 위치하며 사용자 본인 인증에 필요한 음성을 인식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 하단에 위치하며 사용자 본인 인증에 필요한 절차를 음성으로 안내해 주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은 하우징 상측 일면에 사용자 본인 인증을 위한 홍채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정맥 인식 장치와 홍채 인식 장치 및 음성 인식 장치를 도어 핸들과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정맥 인식, 홍채 인식 및 음성 인식 인증을 통해 도어 개폐를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맥 인식, 홍채 인식 및 음성 인식 인증으로 잠금부가 해제된 상태에서 도어 핸들에 사용자가 손을 놓으면 자동으로 도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여 보안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촉각을 이용한 도어 잠금 상태로의 전환, 지문 및 정맥 인증, 홍채 인증 및 음성 인증으로 인한 다중 보안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는 경통부(110), 하우징(120), 키패드 입력부(130), 출력부(140), 및 도어 핸들(150)로 구성한다.
경통부(110)는 정맥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미도시) 및 적외선 필터(미도시)를 내부에 포함하여 일측 끝단에 사용자의 손등을 밀착하여 내부의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손등의 정맥을 쵤영한다. 도 2에서는 적외선 카메라를 정맥 인식부(230)로 칭한다.
하우징(120)은 상기 경통부(110)를 내부에 포함하여 외형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한다.
문(300)은 하우징(120)이 장착되며, 사용자 본인 인증절차를 거치게 되며, 상부에 홍채 인식부(240)를 더 포함한다.
이때, 홍채 인식부(240)는 문의 상측 정면 또는 하우징(120)의 상측 어느 곳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키패드 입력부(130)는 상기 하우징(120) 상면에 형성하여 가능 및 사용자의 등록번호를 입력한다.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키패드 입력부(130)는 숫자, 아스트리크(*), 및 샵(#)을 구비하였지만 이밖에 다양한 기능을 가진 기능키(Function Key)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마이크(160)는 키패드 입력부(130) 좌/우 일측에 형성되어 음성을 인식한다.
이때, 마이크(160)는 사용자 본인 인증에 필요한 음성을 인식하게 되는데, 입력된 음성은 중앙 처리 장치(260)에 저장된다.
스피커(161)는 키패드 입력부(130) 좌/우 일측에 형성되며, 마이크(160) 하부에 위치해 사용자 본인 인증에 필요한 모든 절차를 음성으로 지원한다.
출력부(140)는 상기 하우징(120) 상면에 형성하여 키패드 입력부(130)로 입력된 입력 내용 또는 인증에 필요한 진행 상황 정보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출력부(140)은 LCD 패널을 이용하여 형성하거나, 신호를 표시하기 위해 LED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도어 핸들(150)은 상기 하우징(120) 하단에 구비하여 도어를 개폐한다. 이때, 상기 도어 핸들(150)은 일측에 사용자 엄지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220)와, 사용자 손의 접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접촉 인식부(21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도어 핸들(150)은 사용자의 손등 정맥을 촬영하기 위해 경통부(110) 끝단에 닿는 사용자 손을 고정시키는 손가락 고정부재(151)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외부 구성을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의 내부 구성은 촉각 인식부(210), 지문 인식부(220), 정맥 인식부(230), 지문 DB(221), 정맥 DB(231), 지문 비교부(222), 정맥 비교부(232), 홍채 인식부(240), 홍채 DB(241), 홍채 비교부(242), 음성 인식부(250), 음성 DB(251), 음성 비교부(252), 중앙 처리 장치(260), 잠금부(270), 및 도어 개폐부(280)로 구성한다.
촉각 인식부(210)는 도어 핸들(150)의 어느 일측에 구비하여 사용자가 도어 핸들(150)을 그립(Grip)하였는지 인식한다. 이때, 사용자가 도어 핸들(150)을 그립하지 않은 경우 잠금부(250) 상태는 잠금 상태이거나, 잠금 해제 상태였더라도 잠금 상태로 전환한다.
지문 인식부(220)는 도어 핸들(150)의 엄지 손가락이 닿는 위치에 구비하여 엄지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한다.
정맥 인식부(230)는 도 2에서 설명한 외부 구성의 경통구(110) 내부에 있는 적외선 카메라를 의미하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손등의 정맥을 촬영한다.
지문 DB(221)는 사용자 등록을 위해 지문 인식부(22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를 저장한다.
정맥 DB(231)는 사용자 등록을 위해 정맥 인식부(23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정맥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정맥 DB(231)에 저장된 정맥 데이터는 사용자가 촬영한 영상을 이진화 영상으로 전환하여 저장한다. 이진화 영상으로 전화함으로써 정맥 데이터가 차지하는 메모리의 양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문 비교부(222)는 잠금부(250)의 해제를 위한 지문 인증에서 사용자가 지문 인식부(220)를 통해 인식한 지문 데이터와 지문 DB(221)에 기등록된 지문 데이터를 비교한다.
홍채 인식부(240)는 도 1에서 설명한 문(300)에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120)의 상측 또는 문(300)의 상측 중앙에 위치하여 사용자 본인 인증을 거치게 되는데, 촬영된 홍채의 영상으로부터 홍채의 섬유조직, 열공(lacuna), 음와(crypts), 자율신경의 형태 등 다수의 파라미터를 산출하여 사용자 본인을 구별해 낼 수 있다.
홍채 DB(241)는 사용자 등록을 위해 홍채 인식부(24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홍채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홍채 DB(241)에 저장된 홍채 데이터는 홍채 섬유 구조, 동공 반응 및 자율 신경 반응, 열공의 위치, 형태 존재 유무 등을 저장한다.
홍채 비교부(242)는 잠금부(250)의 해제를 위한 홍채 인증에서 사용자가 홍채 인식부(240)를 통해 인식한 홍채 데이터와 홍채 DB(241)에 기등록된 홍채 데이터를 비교한다.
음성 인식부(250)는 도 1에 설명한 하우징(120)에 장착되어 입력된 음성을 판별하는데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통해 인식하게 된다.
음성 DB(251)는 음성 인식부(25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음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음성 비교부(251)는 잠금부(250)의 해체를 위한 음성 인증에서 사용자의 음성 인식부(250)를 통해 음성 데이터와 음성 DB(251)에 기등록된 음성 데이터를 비교한다.
중앙 처리 장치(260)는 촉각 인식부(210)에서 인식한 데이터, 지문 비교부(222)에서 비교한 데이터, 정맥 비교부(232)에서 비교한 데이터, 홍채 비교부(242)에서 비교한 데이터, 음성 비교부(252)에서 비교한 데이터를 받아들여, 모두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이때, 하나라도 일치하지 않은 데이터가 있으면, 중앙 처리 장치(260)는 사용자 확인 인증에서 불일치 메시지를 출력부(140) 및 마이크(16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잠금부(270)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260)에서 판단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잠금부(270)의 잠금 및 해제를 결정한다.
도어 개폐부(280)는 상기 잠금부(270)를 통해 잠금 해제가 될 때, 사용자가 도어 핸들(150)을 이용하여 도어를 개방한다.
110 : 경통부 120 : 하우징
130 : 키패드 입력부 140 : 출력부
150 : 도어 핸들 151 : 고정부재
160 : 마이크 161 : 스피커
210 : 접촉 인식부 220 : 지문 인식부
221 : 지문 DB 222 : 지문 비교부
230 : 정맥 인식부 231 : 정맥 DB
232 : 정맥 비교부 240 : 홍채 인식부
241 : 홍채 DB 242 : 홍채 인식부
250 : 음성 인식부 251 : 음성 DB
252 : 음성 비교부 260 : 중앙 처리 장치
270 : 잠금부 280 : 도어 개폐부

Claims (3)

  1. 정맥 인식 장치에 있어서,
    정맥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를 내부에 포함하는 경통부와;
    상기 경통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장착되는 문과;
    상기 하우징 상면에 구비하여 기능 입력을 위한 키패드 입력부와;
    상기 하우징 상면에 진행상황 정보를 나타내는 출력부와;
    상기 하우징 하단에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 핸들과;
    상기 도어 핸들 일측에 사용자 엄지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와;
    상기 도어 핸들에 사용자 손의 접촉 여부를 확인하는 접촉 인식부; 및
    상기 도어 핸들에 사용자의 손등 정맥을 촬영하기 위해 경통부 끝단에 닿는 사용자 손을 고정시키는 손가락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키패드 입력부 좌/우 일측에 위치하며 사용자 본인 인증에 필요한 음성을 인식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 하단에 위치하며 사용자 본인 인증에 필요한 절차를 음성으로 안내해 주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은 하우징 상측 일면에 사용자 본인 인증을 위한 홍채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
KR1020110052636A 2011-06-01 2011-06-01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 및 도어 개폐 방법 KR201201337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636A KR20120133794A (ko) 2011-06-01 2011-06-01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 및 도어 개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636A KR20120133794A (ko) 2011-06-01 2011-06-01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 및 도어 개폐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794A true KR20120133794A (ko) 2012-12-11

Family

ID=47517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636A KR20120133794A (ko) 2011-06-01 2011-06-01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 및 도어 개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37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082A (ko) * 2013-03-05 2014-09-15 주식회사 이리언스 홍채 인증으로 보호되는 금고
KR20200108730A (ko) * 2019-03-11 2020-09-21 (주)필리아테크놀러지 생체 정보 누적율을 출력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082A (ko) * 2013-03-05 2014-09-15 주식회사 이리언스 홍채 인증으로 보호되는 금고
KR20200108730A (ko) * 2019-03-11 2020-09-21 (주)필리아테크놀러지 생체 정보 누적율을 출력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3643B2 (e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of switching locked state of electronic device
WO2017067431A1 (zh) 权限控制系统和方法、鼠标器以及计算机系统
KR100952540B1 (ko)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JP2017049867A (ja) 認証装置、防犯システム、認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7094052A1 (ja) 携帯端末及びそれを用いた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または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その認証方法
JP2020510261A (ja) マルチ生体データを用いた非接触式マルチ生体認識方法及びマルチ生体認識装置
KR101555451B1 (ko) 액세서리에 커스터마이즈 가능한, 신체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디바이스
JP7023139B2 (ja) 解錠システム、解錠装置、解錠方法、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20122587A (ko) 지문 및 얼굴인식을 이용한 휴대단말기 보안장치 및 방법
JP6897831B2 (ja) 認証装置、防犯システム、認証装置による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428242B2 (ja) 認証装置、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および認証プログラム
KR101113567B1 (ko)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 및 도어 개폐 방법
JP4919684B2 (ja) 生体認証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取引装置
KR20120133794A (ko)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 및 도어 개폐 방법
JP2000220333A (ja) 人物認証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10182056A (ja) パスワード入力装置及びパスワード照合システム
JP2015018413A (ja) 携帯端末、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229125A (zh) 一种控制方法和电子设备
JP6100467B2 (ja) 出入管理システム及び認証装置
CN111809963A (zh) 一种高集成智能门把手
JP2010196436A (ja) ロッカー装置
JP5285889B2 (ja) 保管庫管理システム
CN107729795A (zh) 一种运用面部识别的信息处理方式
CN106815505A (zh) 一种身份识别及解锁终端的方法及终端
KR20170061989A (ko) 생체정보와 터치 패턴을 조합한 복합 인증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