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567B1 -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 및 도어 개폐 방법 - Google Patents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 및 도어 개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567B1
KR101113567B1 KR1020090099574A KR20090099574A KR101113567B1 KR 101113567 B1 KR101113567 B1 KR 101113567B1 KR 1020090099574 A KR1020090099574 A KR 1020090099574A KR 20090099574 A KR20090099574 A KR 20090099574A KR 101113567 B1 KR101113567 B1 KR 101113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user
vein
fingerprin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2759A (ko
Inventor
지삼현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케빛테크놀로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케빛테크놀로지(주)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99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567B1/ko
Publication of KR20110042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 및 도어 개폐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맥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를 내부에 포함하는 경통부, 상기 경통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면에 키패드 입력부, 및 상기 하우징 상면에 진행상황 정보를 나타내는 출력부로 구성하되, 상기 하우징 하단에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 핸들을 더 구비한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도어 개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맥 인식, 지문 인식, 도어 개폐, 도어 핸들.

Description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 및 도어 개폐 방법{DEVICE FOR VEIN RECOGNITION WITH DOOR HANDLE AND DOOR OPENING AND SHUTTING METHOD}
본 발명은 정맥 인식 장치와 도어의 핸들을 일체화하여 형성하는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출입 통제 및 보안을 위해 사용자 인증을 요구하는 시스템에서는 마그네틱 카드, 스마트 카드, RF카드 등을 이용한 카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도난 및 오용, 분실 등으로 인해 여러 문제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수가 대규모인 경우에는 개인에게 지급되는 카드 수가 많아지므로 경제적 부담이 커지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신원 확인, 신원 인증 및 출입 통제에 사용될 수 있는 생체 인식 시스템이 상용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생체 인식 시스템은 대개 지문패턴을 이용한 지문인식 시스템, 얼굴의 형상을 인식하는 시스템, 손의 형태를 이용하는 시스템등이 있는데, 이러한 시스템 들은 생체 특징의 변형, 외부 환경, 액세서리 등으로 인해 안정적인 인식 성능을 얻기 힘들다.
이러한 기존 생체 인식 시스템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피하에 위치하는 사용자 손등의 정맥패턴을 인식하는 정맥 인식 장치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정맥 인식 장치를 이용한 도어락의 경우, 별도의 생체 인식 장치와 도어 핸들을 각각 따로 분리하여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생체 인식 장치를 통하여 인증을 거친 후에 도어 핸들을 이용하여 문을 열 수 있는 것과 같이 각각의 단계가 따로 이루어져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정맥 인식 도어락 또는 디지털 도어락에서 인증을 받고도 도어를 열지 않은 경우,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잠금 상태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가 그 시간 동안 기다린 후에 잠금부가 잠금 상태로 전환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자리를 이동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맥 인식 장치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도어 핸들을 이용하여 원터치로 정맥 인식 및 인증과 동시에 도어를 개방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어 핸들 그립(Grip) 여부로 도어락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거나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는, 정맥 인식 장치에 있어서, 정맥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를 내부에 포함하는 경통부와; 상기 경통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면에 구비하여 기능 입력을 위한 키패드 입력부와; 상기 하우징 상면에 진행상황 정보를 나타내는 출력부와; 상기 하우징 하단에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 핸들과; 상기 도어 핸들 일측에 사용자 엄지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와; 상기 도어 핸들에 사용자 손의 접촉 여부를 확인하는 접촉 인식부; 및 상기 도어 핸들에 사용자의 손등 정맥을 촬영하기 위해 경통부 끝단에 닿는 사용자 손을 고정시키는 손가락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도어 개폐 방법은 도어 핸들에 구비된 접촉 인식부로 도어 핸들의 그립 여부를 인식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도어 핸들에 구비된 지문 인식부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도어 핸들에 고정된 사용자의 손등을 경통구 끝단에 밀착하도록 위치시켜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을 등록된 지문 DB와 매칭하고, 촬영된 사용자의 손등 정맥을 등록된 정맥 DB와 매칭하여 인증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지문 및 정맥을 인증 한 후, 잠금부를 해제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잠금부 해제 후, 도어 핸들을 이용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제6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도어 개폐 방법은 상기 제1 단계에서 접촉 인식부가 인식하지 않는 경우, 잠금부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거나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정맥 인식 장치와 도어 핸들을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원터치로 정 맥 인식, 인증 및 도어 개폐를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맥 인식 및 인증으로 잠금부가 해제된 상태에서 도어 핸들에 사용자가 손을 놓으면 자동으로 도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여 보안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촉각을 이용한 도어 잠금 상태로의 전환, 지문 및 정맥 인증으로 인한 다중 보안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는 경통부(110), 하우징(120), 키패드 입력부(130), 출력부(140), 및 도어 핸들(150)로 구성한다.
경통부(110)는 정맥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미도시) 및 적외선 필터(미도시)를 내부에 포함하여 일측 끝단에 사용자의 손등을 밀착하여 내부의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손등의 정맥을 촬영한다. 도 3에서는 적외선 카메라를 정맥 인식부(230)로 칭한다.
하우징(120)은 상기 경통부(110)를 내부에 포함하여 외형적으로 다양한 형태 로 형성한다.
키패드 입력부(130)는 상기 하우징(120) 상면에 형성하여 기능 및 사용자의 등록번호를 입력한다.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키패드 입력부(130)는 숫자, 아스트리크(*), 및 샵(#)을 구비하였지만 이밖에 다양한 기능을 가진 기능키(Function Key)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상기 하우징(120) 상면에 형성하여 키패드 입력부(130)로 입력된 입력 내용 또는 인증에 필요한 진행 상황 정보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출력부(140)은 LCD 패널을 이용하여 형성하거나, 신호를 표시하기 위해 LED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도어 핸들(150)은 상기 하우징(120) 하단에 구비하여 도어를 개폐한다. 이때, 상기 도어 핸들(150)은 일측에 사용자 엄지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220)와, 사용자 손의 접촉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도록 접촉 인식부(21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도어 핸들(150)은 사용자의 손등 정맥을 촬영하기 위해 경통부(110) 끝단에 닿는 사용자 손을 고정시키는 손가락 고정부재(151)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외부 구성을 가진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의 내부 구성은 촉각 인식부(210), 지문 인식부(220), 정맥 인식부(230), 지문 DB(221), 정맥 DB(231), 지문 비교부(222), 정맥 비교부(232), 중앙 처리 장치(240), 잠금부(250), 및 도어 개페부(260)로 구성한다.
촉각 인식부(210)는 도어 핸들(150)의 어느 일측에 구비하여 사용자가 도어 핸들(150)을 그립(Grip)하였는지 인식한다. 이때, 사용자가 도어 핸들(150)을 그립하지 않은 경우 잠금부(250) 상태는 잠금 상태이거나, 잠금 해제 상태였더라도 잠금 상태로 전환한다.
지문 인식부(220)는 도어 핸들(150)의 엄지 손가락이 닿는 위치에 구비하여 엄지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한다.
정맥 인식부(230)는 도 2에서 설명한 외부 구성의 경통구(110) 내부에 있는 적외선 카메라를 의미하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손등의 정맥을 촬영한다.
지문 DB(221)는 사용자 등록을 위해 지문 인식부(22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를 저장한다.
정맥 DB(231)는 사용자 등록을 위해 정맥 인식부(23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정맥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정맥 DB(231)에 저장된 정맥 데이터는 사용자가 촬영한 영상을 이진화 영상으로 전환하여 저장한다. 이진화 영상으로 전환함으로써 정맥 데이터가 차지하는 메모리의 양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문 비교부(222)는 잠금부(250)의 해제를 위한 지문 인증에서 사용자가 지문 인식부(220)를 통해 인식한 지문 데이터와 지문 DB(221)에 기등록된 지문 데이터를 비교한다.
정맥 비교부(232)는 잠금부(250)의 해제를 위한 정맥 인증에서 사용자가 정맥 인식부(230)를 통해 인식한 정맥 데이터와 정맥 DB(231)에 기등록된 지문 데이터를 비교한다.
중앙 처리 장치(240)는 촉각 인식부(210)에서 인식한 데이터, 지문 비교 부(222)에서 비교한 데이터, 정맥 비교부(232)에서 비교한 데이터를 받아들여, 모두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이때, 하나라도 일치하지 않은 데이터가 있으면, 중앙 처리 장치(240)는 사용자 확인 인증에서 불일치 메시지를 출력부(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잠금부(250)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240)에서 판단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잠금부(250)의 잠금 및 해제를 결정한다.
도어 개폐부(260)는 상기 잠금부(250)를 통해 잠금 해제가 될 때, 사용자가 도어 핸들(150)을 이용하여 도어를 개방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정맥 인식 장치 내부 구성 및 외부 구성에 전원이 공급되어야 함은 자명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를 이용한 도어 개폐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폐 방법은 먼저, 도어 핸들(150)에 구비된 접촉 인식부(210)로 도어 핸들(150)의 그립 여부를 인식한다(S310). 이때, 상기 접촉 인식부(210)가 인식하지 않는 경우, 잠금부(250)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거나 잠금 상태로 전환한다.
이어서, 상기 도어 핸들(150)에 구비된 지문 인식부(220)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한다(S320).
이어서, 상기 도어 핸들(150)에 고정된 사용자의 손등을 경통구(110) 끝단에 밀착하도록 위치시켜 이미지를 촬영한다(S330). 이때, 상기 경통구(110)내부에 장 착된 적외선 카메라, 즉 정맥 인식부(230)를 통해 사용자의 손등의 정맥을 인식한다.
여기서, 상기 지문 인식부(220) 및 정맥 인식부(230)를 통한 지문 및 정맥을 인식하여 추출하는 상세한 방법은 일반적인 기술로 본 발명의 요지와 다른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을 등록된 지문 DB(221)와 매칭하고, 촬영된 사용자의 손등 정맥을 등록된 정맥 DB(231)와 매칭하여 인증한다(S340). 이때, 상기 인증은 지문 및 정맥뿐만 아니라 접촉 인식부(210)에서 인식한 데이터도 함께 인식하여 인증한다. 여기서, 하나의 데이터라도 인증하지 못하면 중앙 처리 장치(240)는 사용자에 대하여 인증을 하지 않는다.
이어서, 상기 지문 및 정맥을 인증 한 후, 잠금부(250)를 해제한다(S350). 이때, 접촉 인식, 지문 인증, 및 정맥 인증으로 잠금부(250)가 해제되어도 사용자가 도어 핸들에서 손을 놓아 접촉 인식부(210)에서 인식을 하지 못하는 경우 잠금부(250)는 바로 잠금 상태로 전환한다.
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인증을 거쳐 잠금부(250)를 해제한 후에 사용자 뒤에 괴한(怪漢)이 있음을 감지하여도 시간 간격을 두어 잠금부(250)를 잠금 상태로 전환을 하는 경우, 괴한이 집안으로 침임할 수 있는 불상사가 발생한다. 따라서, 접촉 인식부(210)의 접촉 여부로 잠금 해제 상태를 잠금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괴한이 집안으로 침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잠금부(250) 해제 후, 도어 핸들(150)을 이용하여 도어를 개방한다(S36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를 이용한 도어 개폐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경통부 120 : 하우징
130 : 키패드 입력부 140 : 출력부
150 : 도어 핸들 151 : 고정부재
210 : 접촉 인식부 220 : 지문 인식부
221 : 지문 DB 222 : 지문 비교부
230 : 정맥 인식부 231 : 정맥 DB
232 : 정맥 비교부 240 : 중앙 처리 장치
250 : 잠금부 260 : 도어 개폐부

Claims (6)

  1. 정맥 인식 장치에 있어서,
    정맥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를 내부에 포함하는 경통부와;
    상기 경통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면에 구비하여 기능 입력을 위한 키패드 입력부와;
    상기 하우징 상면에 진행상황 정보를 나타내는 출력부와;
    상기 하우징 하단에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 핸들과;
    상기 도어 핸들 일측에 사용자 엄지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와;
    상기 도어 핸들에 사용자 손의 접촉 여부를 확인하는 접촉 인식부; 및
    상기 도어 핸들에 사용자의 손등 정맥을 촬영하기 위해 경통부 끝단에 닿는 사용자 손을 고정시키는 손가락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도어 핸들에 구비된 접촉 인식부로 도어 핸들의 그립 여부를 인식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도어 핸들에 구비된 지문 인식부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도어 핸들에 고정된 사용자의 손등을 경통구 끝단에 밀착하도록 위치시켜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을 등록된 지문 DB와 매칭하고, 촬영된 사용자의 손등 정맥을 등록된 정맥 DB와 매칭하여 인증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지문 및 정맥을 인증 한 후, 잠금부를 해제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잠금부 해제 후, 도어 핸들을 이용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제6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접촉 인식부가 인식하지 않는 경우, 잠금부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거나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방법.
KR1020090099574A 2009-10-20 2009-10-20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 및 도어 개폐 방법 KR101113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574A KR101113567B1 (ko) 2009-10-20 2009-10-20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 및 도어 개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574A KR101113567B1 (ko) 2009-10-20 2009-10-20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 및 도어 개폐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759A KR20110042759A (ko) 2011-04-27
KR101113567B1 true KR101113567B1 (ko) 2012-02-22

Family

ID=44048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574A KR101113567B1 (ko) 2009-10-20 2009-10-20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 및 도어 개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5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890B1 (ko) * 2014-10-08 2015-07-30 이호석 다중 인식이 가능한 비접촉식 생체 인식 장치
KR20210145556A (ko) * 2020-05-25 2021-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맥인증 기능을 구비한 도어핸들
KR102592285B1 (ko) * 2021-12-02 2023-10-2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락 및 그의 구동 방법
CN117437665A (zh) * 2023-11-27 2024-01-23 江苏芯灵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手指静脉特征提取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163B1 (ko) * 1999-08-20 2003-06-11 주식회사 케이코하이텍 지문인식 도어록손잡이
KR20070042362A (ko) * 2005-10-18 2007-04-2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정맥인식 도어락 인증장치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163B1 (ko) * 1999-08-20 2003-06-11 주식회사 케이코하이텍 지문인식 도어록손잡이
KR20070042362A (ko) * 2005-10-18 2007-04-2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정맥인식 도어락 인증장치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759A (ko)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80260A1 (e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of switching locked state of electronic device
US20090258667A1 (en) Function unlocking system, function unlocking method, and function unlocking program
JP2007075305A (ja) 個人認証装置及び方法
JP4668237B2 (ja) 個人認証システム
CN107615301B (zh) 指纹相关元素的安全存储
KR101113567B1 (ko)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 및 도어 개폐 방법
WO2016188230A1 (zh) 一种解锁方法及装置
CN106326706B (zh) 电子设备、电子设备访问控制系统及方法
JP2020115361A (ja) 認証装置、防犯システム、認証装置による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eh et al. NFC smartphone based access control system using information hiding
KR20100010465A (ko) 개인 식별 문자 및 생체 인식 정보 비교를 통한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
JP5315091B2 (ja) ロッカー装置
CN108229125A (zh) 一种控制方法和电子设备
KR20070042362A (ko) 정맥인식 도어락 인증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06815505A (zh) 一种身份识别及解锁终端的方法及终端
KR20120133794A (ko) 도어 핸들을 구비한 정맥 인식 장치 및 도어 개폐 방법
JP6891355B1 (ja) 認証システム、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39533B1 (ko) 타인의 신분증 불법 촬영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방법 및 장치
KR20000024249A (ko) 컴퓨터 보안장치 및 그에 따른 보안방법
JP2015046061A (ja) 携帯端末装置、認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M464755U (zh) 紅外線人臉辨識系統
KR20060073293A (ko) 잠금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7151830B2 (ja) 情報処理装置、防犯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70023460A (ko) 사용자의 지문과 그립 패턴 인식을 이용한 문고리형 도어락 결합체
KR101418988B1 (ko) 파일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