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2494A - 광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광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2494A
KR20120132494A KR1020127023254A KR20127023254A KR20120132494A KR 20120132494 A KR20120132494 A KR 20120132494A KR 1020127023254 A KR1020127023254 A KR 1020127023254A KR 20127023254 A KR20127023254 A KR 20127023254A KR 20120132494 A KR20120132494 A KR 20120132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infrared cut
light amount
filter switching
switch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5407B1 (ko
Inventor
요시오 다카다
Original Assignee
신아고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아고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아고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2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2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081Analogue circuits
    • G03B7/085Analogue circuits for control of aper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091Digital circuits
    • G03B7/095Digital circuits for control of aper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6Two or more co-operating pivoted blades, e.g. iris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Abstract

지나치게 두꺼워짐 없이, 필요에 따라 적외선 차단 필터를 높은 신뢰성으로 이용할 수 있는 광량 조절장치를 제공할 것. 개구 면적을 변화시켜 통과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 조절 기구와, 상기 광량 조절 기구의 개구 위치에 적외선 차단 필터(43)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상기 개구 위치로부터 이탈시키는 필터 스위칭 기구를 구비하는 광량 조절장치로서, 상기 필터 스위칭 기구의 적외선 차단 필터에 대면하는 분리 부재(110)에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간섭하지 않도록 수용하는 오목형상부(110b)를 마련한다.

Description

광량 조절장치{LIGHT INTENSITY ADJUSTMENT DEVICE}
본 발명은, 광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광량의 조절뿐만 아니라, 광을 통과시키는 광로(光路)에 필터를 필요에 따라서 개재시킬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화상 촬영 장치는, 예를 들면, CCD(charge-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가 사용되어, 광량을 조정하는 광량 조절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이 화상 촬영 장치에는, 가시광 외의 적외 영역의 광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IR:infrared) 필터를 탑재하는 경우가 있고, 감시 카메라 등의 야간?암시(暗視)에서 사용하는 타이밍에는 광을 통과시키는 광로 외에 그 적외선 차단 필터를 벗길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화상 촬영 장치에는, 광량 조절장치 이외에 적외선 차단 필터를 구동시키는 장치도 필요하게 되며, 대형 카메라에서는 별체(別體)에 탑재할 수 있지만, 최근의 소형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는 기종(機種)에서는 그 광량 조절장치와 일체화하면서 소형화를 달성할 필요가 있다.
상세하게는, 광량 조절장치는,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구동 모터(10)를 탑재하고 광량 조절 기구(조리개 기구)(30)를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는데, 구동 모터(10)의 구동력에 의해, 광량 조절 부재(32, 33)가 대향하는 위치 관계에 있는 주연(周緣, 32d, 33d)의 사이에서 형성하는 개구 형상의 면적을 변화시켜 광량을 조정한다.
그리고, 광량 조절장치에 일체형으로 탑재되는 적외선 차단 필터의 스위칭 기구(40)는, 상술의 광량 조절 기구(30)와 마찬가지로, 구동 모터(20)의 구동력에 의해 필터 스위칭 틀부재(42)(적외선 차단 필터(43))를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는데, 광량 조절 부재(32, 33)의 주연(32d, 33d) 사이에서 형성하는 개구 위치에 필터 스위칭 틀부재(42)에 고착(固着)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43)를 삽입?제거한다. 이에 의해, 광량 조절장치는, 광량 조절 부재(32, 33)의 주연(32d, 33d) 사이의 개구를 덮도록 낮에는 적외선 차단 필터(43)를 위치시키는 한편, 야간이나 광량이 적어졌을 때에는 그 개구 위치로부터 적외선 차단 필터(43)를 벗기도록 스위칭하는 기능을 구비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일본 공개특허 2010-20063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2003-348398호 공보
그러나, 이러한 적외선 차단 필터 탑재의 광량 조절장치에 있어서는, 도 9에 나타내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타입과 같이, 회동(回動)시키는 필터 스위칭 틀부재(42)를 광량 조절 부재(32, 33)의 사이에 끼워넣고 그 주연(32d, 33d) 사이의 개구 위치에 적외선 차단 필터(43)를 삽입?제거시키는데, 그 적외선 차단 필터(43)는 필터 스위칭 틀부재(42)의 일면측에 단순히 고착되어 있다.
이 적외선 차단 필터(43)는, 수지제 필름으로서 얇은 부재이지만 필터 스위칭 틀부재(42)의 일면측에 고착되어 있을 뿐이므로, 좁은 공간 안을 회동할 때, 대면하는 부재와 간섭하기 쉽고, 광량 조절 부재(32, 33)의 주연(32d, 33d) 사이의 개구 위치에 적절히 삽입?제거시킬 수 없게 되거나, 광량 조절 부재(32, 33) 자체의 동작을 방해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 광량 조절 부재(32, 33) 등도 수지제이기 때문에, 정전기가 발생되기 쉽고, 그 정전기가 원활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해해버릴 가능성도 있다.
그런데, 이런 종류의 광량 조절장치에서는, 필터 스위칭 틀부재(42)가 광량 조절 부재(32, 33)와 상이한 동작을 하기 때문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사이에 분리 부재(100)를 끼워 넣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정전기의 영향 방지도 달성할 수 있지만, 그 필터 스위칭 틀부재(42)나 적외선 차단 필터(43)의 두께에 더해서 분리 부재(100)의 분만큼 장치 전체가 두껍게 되어 소형화의 장해가 되어 버린다.
또한, 이런 종류의 광량 조절장치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타입과 같이, 유리제의 적외선 차단 필터(43b)를 투명 유리(43a)와 함께 필터 스위칭 틀부재(42')에 고착하는 타입도 있다. 이 타입에서는, 그 적외선 차단 필터(43b)와 투명 유리(42a)를 스위칭해서 광량 조절 부재(32, 33)의 주연(32d, 33d) 사이의 개구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유리가 두꺼워짐에 의해 그 분만큼 장치 전체가 두껍게 되어 소형화의 장해로 되어 버린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나치게 두꺼워짐 없이, 필요에 따라서 적외선 차단 필터를 높은 신뢰성으로 이용할 수 있는 광량 조절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광량 조절장치의 발명의 일 형태는, 개구 면적을 변화시켜 통과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기구와, 상기 조리개 기구의 개구 위치로 필터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필터를 상기 개구 위치로부터 이탈시키는 필터 스위칭 기구를 구비하는 광량 조절장치로서, 상기 필터 스위칭 기구의 이동 부재에 대면하는 상대측 부재에 상기 이동 부재를 간섭하지 않도록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발명의 형태에서는, 필터 스위칭 기구의 필터 등의 이동 부재를, 다른 구성 부재와 간섭시켜 버리는 경우 없이, 대면하는 부재내의 수용 공간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 높은 동작을 확보할 수 있음에 더하여, 단순하게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스위칭 기구를 다른 구성 부재에 단순하게 중첩시킨 치수만큼 두껍게 되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필터 스위칭 기구의 필터 등의 이동 부재를 그대로 장치 전체의 두께로 되는 부재로서 적산(積算)하는 것을 회피하면서, 대면하는 다른 상대측 부재내의 수용 공간내에서 동작시켜 기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장치 전체의 박형(薄型)을 도모하면서, 다른 구성 부재와 간섭해 버리는 것을 회피하여, 필터 스위칭 기구를 신뢰성 높게 기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량 조절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그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그 구동 모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그 구동 모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그 상면도이고, (b)는 그 일방향으로부터의 측면도이며, (c)는 (b)와는 다른 방향으로부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그 광량 조절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베이스 부재와 구동 전달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b)는 (a)에 더해서 광량 조절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c)는 그 광량 조절 부재를 지지하는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그 적외선 차단 필터 스위칭 기구가 기능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커버 부재와 구동 전달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b)는 그 사시도이며, (c)는 그 필터 스위칭 틀부재를 지지하는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그 적외선 차단 필터 스위칭 기구의 퇴피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커버 부재와 구동 전달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b)는 그 사시도이다.
도 7은 그 적외선 차단 필터 스위칭 기구가 기능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분리 부재와 구동 전달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b)는 그 사시도이며, (c)는 그 구동 전달 부재를 지지하는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그 적외선 차단 필터 스위칭 기구의 퇴피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분리 부재와 구동 전달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b)는 그 사시도이다.
도 9는 그 관련 기술의 광량 조절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그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와 다른 관련 기술의 광량 조절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그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나 도 10과 다른 관련 기술의 광량 조절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그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광량 조절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는,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관련 기술과 기본 구성을 공통으로 하므로,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광량 조절장치는, 광량 조절 기구(조리개 기구)(30)와 함께 적외선 차단 필터 스위칭 기구(40)를 일체형으로 탑재하고 있으며, 광량 조절 기구(30)는 구동 모터(10)의 구동력으로 동작시키는 한편, 마찬가지로, 적외선 차단 필터 스위칭 기구(40)는 구동 모터(20)의 구동력으로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다.
광량 조절 기구(30)나 적외선 차단 필터 스위칭 기구(40)는, 구동 모터(10, 20)를 베이스 부재(52)에 조립해서 구성되어 있다. 우선, 구동 모터(1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17)에 로터 마그넷(회전체)(12)이 일체 회전하도록 부착되어 있는데, 이 회전축(17)은, 양 단부(端部)를 보빈(11, 15)에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 구멍(11a, 15a)에 끼워넣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로터 마그넷(12)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전선)(18)을 속도 검출용 코일(19)과 함께 홈부(10s, 10t)에 권회한 보빈(11, 15)을 외부장착시키는 동시에, 그 외측을 요크(강자성체)(13)로 둘러싸서, 그 보빈(11, 15)의 코일(18)에서 발생시키는 자계(磁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구성에 의해, 광량 조절 기구(30)는, 구동 모터(10)가 보빈(11, 15)의 코일(18)에서 발생시키는 자계를 로터 마그넷(12)에 효과적으로 작용시켜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킨다. 아울러, 이 구동 모터(10)는, 돌출되어 있는 회전축(17)을 베이스 부재(52)의 긴 구멍(52b)에 끼워넣고, 후술하는 광량 조절 부재(32, 33)의 주연(32d, 33d) 사이를 통과하는 광용(光用)의 광로 면적을 확보하는 개구(52a)를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 상태로 하고 도시하지 않는 후크를 하측의 보빈(11)에 거는 것에 의해 고정한다. 이후에, 요크(13)을 외장시켜 그 하부에 있는 도시하지 않은 돌기를 회전시켜, 베이스 부재(52)의 플랜지에 끼워넣어 고정한다. 이 요크(13)의 상부는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어, 상측 보빈(15)을 누르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16은 프린트 배선 기판인데, 이 프린트 배선 기판(16)은, 회전축(17)을 회전 구동하는 전류를 코일(18)에 공급하는 한편, 속도 검출용의 코일(19)을 위해서 필요한 회로도 넣어져, 요크(13)의 일면측에 컴팩트하게 조립되어 있다. 또한, 14는 절연 테이프이다.
이 광량 조절 기구(30)는, 구동 모터(10)의 회전축(17)의 일단측에, 직교 방향의 양측방으로 돌출된 레버 형상을 갖는 구동력 전달 부재(31)가 접합이나 끼워맞춤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동력 전달 부재(31)의 레버 형상 단부의 결합핀(31a, 31b)을, 차광재(遮光材)로 제작되어 있는 광량 조절 부재(32, 33)에 결합시킨다. 이 구성에 의해, 광량 조절 기구(30)는, 구동력 전달 부재(31)를 통하여 구동 모터(10)의 구동력을 광량 조절 부재(32, 33)에 전달하여, 각각의 대향하는 위치 관계에 있는 주연(32d, 33d) 사이에서 형성하는 개구 형상의 면적을 변화시켜 광량을 조정한다. 아울러, 도면 중, 34는 필터이며, 이 필터(34)로서는, 예를 들면, ND(Neutral Density:감광) 필터 등을 적절히 설치해서 구경의 크기를 확보하여, 최적의 영상을 촬상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35는 스프링이며, 이 스프링(35)은, 구동력 전달 부재(31)를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부세(付勢)해서 구동 모터(10)의 구동 제어를 간이하게 한다.
한편, 적외선 차단 필터 스위칭 기구(40)는, 광량 조절 기구(30)와 동일하게, 보빈(21, 25), 로터 마그넷(22), 요크(23), 회전축(27)을 구비하여 구동 모터(20)가 구축되어 있는데, 그 구동 모터(20)의 구동 회전(구동력)을 구동력 전달 부재(41)에 전달하여 그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레버 형상 단부의 결합핀(41a)에 결합시킨 필터 스위칭 틀부재(42)(적외선 차단 필터(43))를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적외선 차단 필터 스위칭 기구(40)는, 구동력 전달 부재(41)를 통해서 구동 모터(20)의 구동력을 필터 스위칭 틀부재(42)에 전달하여, 광량 조절 부재(32, 33)의 주연(32d, 33d) 사이에서 형성하는 개구 위치에 그 필터 스위칭 틀부재(42)에 고착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43)를 삽입?제거할 수 있는데, 그 적외선 차단 필터(43)는, 예를 들면, 주간에는 광량 조절 부재(32, 33)의 주연(32d, 33d) 사이의 개구를 덮도록 위치하는 한편, 야간이나 광량이 적어졌을 때에는 그 개구 위치로부터 벗어나도록 스위칭된다. 아울러, 이 구동 모터(20)도 구동 모터(10)와 동일하게 베이스 부재(52)에 조립되도록 되어 있으며, 프린트 배선 기판(26)을 구비한다. 또한, 도면부호 24는 절연 테이프이다.
여기서, 적외선 차단 필터 스위칭 기구(40)는, 요크(23)의 내측에 금속 핀(28) 등의 자성체(금속편이나 마그넷이어도 좋다)를 넣는 등 자기(磁氣) 밸런스를 무너뜨리거나, 그 요크(23)의 일부에 절결부(23a)를 형성하여 자기 밸런스를 무너뜨림에 의해, 전원 OFF시에는, 광량 조절 부재(32, 33)의 주연(32d, 33d) 사이의 개구를 덮는 위치 혹은 그곳에서 벗어난 위치 등의 정해진 위치에 필터 스위칭 틀부재(42)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본 실시 형태의 기구를 대신해서, 항상 통전(通電)하거나, 판 스프링이나 스프링 등의 부세 수단을 설치하여, 상기의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부세해도 좋고, 또한, 전원 OFF시에도 필터 스위칭 틀부재(42)를 스위칭 위치에 그대로 유지하거나, 위치 결정하지 않고, 자유 상태로 두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이 광량 조절장치는, 도 10이나 도 11에 나타내는 분리 부재(100)를 대신하여, 베이스 부재(52)에 조립해서 광량 조절 기구(30)의 광량 조절 부재(32, 33)와 적외선 차단 필터 스위칭 기구(40)의 필터 스위칭 틀부재(42)(적외선 차단 필터(43))의 동작 공간을 분리하는 분리 부재(110)를 구비하는데, 광량 조절 부재(32, 33)는 분리 부재(110)의 일면측에 내장되는 한편, 필터 스위칭 틀부재(42)는 커버 부재(51)에 의해 그 분리부재(110)와의 사이에 내장된다.
구체적으로는, 광량 조절 기구(3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력 전달 부재(31)가 구동 모터(10)의 회전축(17)에 설치되어 결합핀(31a, 31b)을 왕복 회전시키는 한편, 그 구동력 전달 부재(31)의 결합핀(31a, 31b)에는 광량 조절 부재(32, 33)의 도면 중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구멍의 결합홈(32l, 33l)이 결합됨에 의해, 그 결합핀(31a, 31b)의 왕복 회전을 허용하면서 광량 조절 부재(32, 33)가 연동한다. 광량 조절 부재(32, 33)는, 광학 직경 중심(Y)과 구동 모터(10)의 회전축(17)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평행한 가이드 홈(32m, 32n, 33m, 33n)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가이드 홈(32m, 32n, 33m, 33n)에는 베이스 부재(52)에 입설(立設)되어 있는 핀(52t?52v)이 각각 결합되어 그 평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어 작동(이동)시의 자세를 일정하게 한다.
이 광량 조절 부재(32, 33)는, 구동력 전달 부재(31)의 결합핀(31a, 31b)의 왕복 회전에 연동해서 광학 직경 중심(Y)과 회전축(17)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 방향의 각각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서로 대향하는 주연(32d, 33d) 사이에서 형성되는 개구 면적을 변화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이 개구 범위가 광량을 통과시키는 구경으로 되어, 광량을 조절한다.
여기서, 베이스 부재(52)에는, 광량 조절 부재(32, 33)와의 대향면측에, 단면이, 정부(頂部)가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매끄럽게 연속하는 리브 형상 돌기(52e, 52f)가 그 광량 조절 부재(32, 33)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그 리브 형상 돌기(52e, 52f)의 정부에서 광량 조절 부재(32, 33)에 맞닿아 지지된다. 이 리브 형상 돌기(52e, 52f)는, 높이를 달리해서 각각 광량 조절 부재(32, 33)의 대향면끼리가 접촉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광량 조절 부재(32, 33)는, 일반적으로 그 표면에는 반사 방지가 행하여져 있기 때문에, 표면의 면 정밀도는 낮아, 슬라이딩 이동 부하가 커지게 되지만, 리브 형상 돌기(52e, 52f)와의 접촉 부하를 정부만으로 해서 경감하는 동시에, 광량 조절 부재(32, 33) 사이에서의 접촉도 경감되어 있다.
한편, 적외선 차단 필터 스위칭 기구(40)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터 스위칭 틀부재(42)의 결합구멍(42h)이 베이스 부재(52)에 입설되어 있는 결합축(52h)에 결합됨에 의해 구동력 전달 부재(41)의 회동에 연동해서 그 결합축(52h)을 중심으로 하여 왕복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 구동력 전달 부재(41)는, 구동 모터(20)의 회전축(27)을 중심으로 왕복 회전하는 동시에, 선단측의 결합핀(41i)이 필터 스위칭 틀부재(42)의 긴 구멍(42i)에 결합되면서 회동하여 그 필터 스위칭 틀부재(42)를 연동시켜 왕복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필터 스위칭 틀부재(42)는, 통상, 0.1㎜ 이하의 수지제 필름이나 금속박 등으로 제작되는데, 이 필터 스위칭 틀부재(42)에 고착되는 적외선 차단 필터(43)는, 통상, 수지제 필름이면 0.2㎜ 이하(유리제이면 0.5㎜ 이하)이며, 접착이나 용착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여기서, 커버 부재(51)에는, 베이스 부재(52)와 마찬가지로, 필터 스위칭 틀부재(42)와의 대향면측에, 단면이, 정부가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매끄럽게 연속하는 리브 형상 돌기(51m, 51p)가 그 필터 스위칭 틀부재(42)의 이동 방향으로 닮은 꼴로 연장하도록 2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그 리브 형상 돌기(51m, 51p)의 정부에서 필터 스위칭 틀부재(42)에 맞닿아 지지되어 있다. 이 리브 형상 돌기(51m, 51p)는, 필터 스위칭 틀부재(42)의 긴 구멍(42i)으로부터 구동력 전달 부재(41)의 결합핀(41i)이 벗겨져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접촉함에 의한 슬라이딩 부하도 경감한다. 아울러, 도 6 중의 51d는 커버 부재(51)에 형성되어 있는 광로를 확보하기 위한 개구이다.
또한, 분리 부재(11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터 스위칭 틀부재(42)와의 대향면측(지면의 뒤쪽)으로 패인 오목형상부(수용 공간)(110b)가 형성되어 있다(도면 중에는 해칭(hatching)을 넣어 형성 범위를 나타낸다). 이 오목형상부(110b)는, 필터 스위칭 틀부재(42)의 일면측에 고착된 상태인 채로 이동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43)를, 접촉하지 않도록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주위(110a)에서 이동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43) 주위의 필터 스위칭 틀부재(42)를 슬라이딩 접촉으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분리 부재(110)는, 광량 조절 부재(32, 33)와의 대향면측(지면의 뒤쪽)에 리브 형상으로 돌출해서 단면이, 정부가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매끄럽게 연속하는 리브 형상 돌기(110l)가 그 광량 조절 부재(32, 33)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그 리브 형상 돌기(110l)의 정부에서 광량 조절 부재(32, 33)에 맞닿아 슬라이딩 부하를 경감하면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분리 부재(110)의 오목형상부(110b)는, 적외선 차단 필터(43)의 두께+α의 깊이로 형성되게 된다. 이 때문에, 분리 부재(110)를 광량 조절 기구(30)와 적외선 차단 필터 스위칭 기구(40)와의 사이에 끼워넣고 개재시키는 구조를 채용했다고 해도, 필터 스위칭 틀부재(42)의 두께(W), 적외선 차단 필터(43)의 두께(I), 분리 부재(110)의 두께(S)를 단순하게 적산한 두께(W+I+S)로 하지 않고, 적외선 차단 필터(43)의 두께(I)분만 감산한 두께(W+S)로 구축할 수 있다. 그 결과, 분리 부재(110)를 개재시킴에 의한 동작 품질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적외선 차단 필터(43)와 다른 구성 부재와의 간섭이 생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광량 조절 기구(30)에 더해서, 적외선 차단 필터 스위칭 기구(40)를 분리 부재(110)와 함께 일체로 탑재해도, 그 필터 스위칭 틀부재(42)의 적외선 차단 필터(43)를 분리 부재(110)와 간섭시켜 버리지 않고, 그 분리부재(110)의 오목형상부(110b)내에 수용할 수 있으며, 두껍게 되어 버리지 않아, 광량 조절 부재(32, 33)의 주연(32d, 33d)에서 형성하는 개구 위치에 적외선 차단 필터(43)를 삽입?제거시켜 높은 신뢰성으로 기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 전체의 박형을 도모하면서, 필터 스위칭 기구(40)를 높은 신뢰성으로 기능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런 종류의 광량 조절장치는, 전체의 두께가 2.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광량 조절 기구(30)에 더해서 적외선 차단 필터 스위칭 기구(40)를 일체가 되도록 탑재하면서 도 10이나 도 11에 나타내는 분리 부재(100)를 그대로 추가하면, 그 2.1㎜보다 크게 되어 버려 채용하는 것이 어렵지만, 본 실시 형태의 분리 부재(110)라면, 적외선 차단 필터(43)의 두께분만큼 여유를 확보할 수 있어, 장치 전체의 두께로서 2.1㎜ 이하를 확보하면서 높은 신뢰성으로 기능함을 달성하여, 최근의 렌즈 유닛의 소형화나 촬상 소자의 화소수의 향상에 수반하는 장치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외의 형태로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적외선 차단 필터(43)가 두꺼운(분리 부재(110)를 더 얇게 할 필요가 있음) 경우에는, 오목형상부(110b)에 대신하여, 이면측까지 관통해서 적외선 차단 필터(43)의 수용 공간을 확보하는 수용구멍 형상을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상술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 부재에 이동 부재(필터)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대면 부재에 이동 부재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면 좋은데, 예를 들면, 광량 조절 부재(32, 33)에 대면하는 구조인 경우에는, 그 대면 범위에 수용 공간을 형성해도 좋다. 단, 분리 부재를 개재시키는 편이 고품질로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상술 실시 형태를 채용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필터의 두께가 0.2㎜ 이하인 경우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분리 부재의 두께가 0.2㎜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필터의 두께는 상기 분리 부재의 두께 이하인 0.2㎜ 이하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리개 기구 및 상기 필터 스위칭 기구의 외장 부재의 두께가 2㎜ 이하인 경우에 유효하고, 상기 필터가 적외선 차단 필터 등인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도시되어 기재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것과 균등한 효과를 가져오는 모든 실시 형태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각 청구항에 의해 구분되는 발명의 특징의 조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모든 개시된 각각의 특징 중 특정한 특징의, 모든 소망하는 조합에 의해서 구분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그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실시되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10, 20 : 구동 모터
17, 27 : 회전축
30 : 광량 조절 기구
31, 41 : 구동력 전달 부재
32, 33 : 광량 조절 부재
32d, 33d : 주연
40 : 적외선 차단 필터 스위칭 기구
42 : 필터 스위칭 틀부재
43 : 적외선 차단 필터
51 : 커버 부재
51m, 51p, 52e, 52f, 110l : 리브 형상 돌기
52 : 베이스 부재
110 : 분리 부재
110b : 오목형상부

Claims (5)

  1. 개구 면적을 변화시켜 통과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기구와, 상기 조리개 기구의 개구 위치로 필터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필터를 상기 개구 위치로부터 이탈시키는 필터 스위칭 기구를 구비하는 광량 조절장치로서,
    상기 필터 스위칭 기구의 이동 부재에 대면하는 상대측 부재에 상기 이동 부재를 간섭시키지 않도록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량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스위칭 기구가 상기 필터를 일면측에 고정 설치해서 유지시키면서 이동시키는 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를 상기 이동 부재로 하여 상기 필터가 이동하는 범위에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량 조절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 기구와 상기 필터 스위칭 기구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이동 부재끼리가 간섭하지 않도록 이동 공간을 분리하는 분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 부재의 상기 필터 스위칭 기구의 상기 이동 부재에 대면하는 범위에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량 조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에 대면하는 범위가 오목형상 또는 이면측으로 관통하는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량 조절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 또는 상기 이동 부재에 대면하는 부재의 일방 혹은 쌍방에, 상기 대면 상대측에 볼록형상으로 돌출해서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량 조절장치.
KR1020127023254A 2011-01-18 2011-05-27 광량 조절장치 KR1013854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07982A JP5382740B2 (ja) 2011-01-18 2011-01-18 光量調節装置
JPJP-P-2011-007982 2011-01-18
PCT/JP2011/062196 WO2012098702A1 (ja) 2011-01-18 2011-05-27 光量調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494A true KR20120132494A (ko) 2012-12-05
KR101385407B1 KR101385407B1 (ko) 2014-04-14

Family

ID=46515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254A KR101385407B1 (ko) 2011-01-18 2011-05-27 광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293976A1 (ko)
EP (1) EP2667250A4 (ko)
JP (1) JP5382740B2 (ko)
KR (1) KR101385407B1 (ko)
CN (1) CN103329037B (ko)
WO (1) WO20120987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1434A (ja) * 2012-10-02 2014-04-21 Nippon Seimitsu Sokki Kk フィルタ切り替え装置、絞り装置およびカメラ
US10161872B2 (en) * 2016-04-14 2018-12-25 Shimadzu Corporation Optical measuring device and safety device used therein
CN107249090B (zh) * 2017-05-31 2020-09-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的摄像头组件及电子设备
JP6663901B2 (ja) * 2017-12-05 2020-03-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8398A (ja) * 2002-05-29 2003-12-05 Fujita Denki Seisakusho:Kk 赤外線カット、絞り一体装置
JP4510783B2 (ja) * 2006-05-23 2010-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機器
US7934877B2 (en) * 2007-02-23 2011-05-03 Canon Kabushiki Kaisha Diaphragm blad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ght quantity controller having the same
JP4547637B2 (ja) * 2008-05-29 2010-09-22 ソニー株式会社 光量調整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10020063A (ja) * 2008-07-10 2010-01-28 Nippon Seimitsu Sokki Kk 絞り装置
JP5508699B2 (ja) * 2008-08-25 2014-06-04 ニスカ株式会社 光量調整装置及び撮像装置
JP4735996B2 (ja) * 2008-12-18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光量調整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10204206A (ja) * 2009-02-27 2010-09-16 Sony Corp 光量調整装置、レンズ鏡筒、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67250A1 (en) 2013-11-27
KR101385407B1 (ko) 2014-04-14
US20130293976A1 (en) 2013-11-07
CN103329037B (zh) 2016-08-17
WO2012098702A1 (ja) 2012-07-26
CN103329037A (zh) 2013-09-25
JP2012150220A (ja) 2012-08-09
JP5382740B2 (ja) 2014-01-08
EP2667250A4 (en)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9542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with camera
KR100971076B1 (ko) 조리개 장치
KR101385407B1 (ko) 광량 조절장치
US20080205879A1 (e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Small Image Photographing Devices
JP2008176062A (ja) 光量調整装置及び撮像装置
KR101132209B1 (ko) 입체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CN100498405C (zh) 透镜单元和图像拾取单元
JP2005195845A (ja) 撮像装置
WO2018025471A1 (ja) 羽根駆動装置
US20070154208A1 (en) Light-filtering module for an image-capturing device
JP2008176061A (ja) 光量調整装置及び撮像装置
JP5726847B2 (ja) 光量調節装置
JP4625729B2 (ja) 絞り装置
JP2013254014A (ja) 露光条件切替装置およびカメラ
CN110088659B (zh) 拍摄用光学装置
JP2007079390A (ja) レンズ駆動装置
KR20060053992A (ko) 조리개 장치용의 광학 필터 및 조리개 장치
JP5219851B2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5448723B2 (ja) レンズ駆動装置
KR20190040869A (ko) 카메라 모듈
JP2006323029A (ja) カメラ
JP2019148699A (ja) 羽根駆動ユニット及び撮像用モジュール
JP2018010054A (ja) 羽根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JP4549132B2 (ja) 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のアクチュエータ
JP2004191750A (ja) 光量調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