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0628A - 폐수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폐수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0628A
KR20120130628A KR1020110048716A KR20110048716A KR20120130628A KR 20120130628 A KR20120130628 A KR 20120130628A KR 1020110048716 A KR1020110048716 A KR 1020110048716A KR 20110048716 A KR20110048716 A KR 20110048716A KR 20120130628 A KR20120130628 A KR 20120130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il
chamber
waste oil
pu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3396B1 (ko
Inventor
최진혁
김영상
Original Assignee
김영상
최진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상, 최진혁 filed Critical 김영상
Priority to KR1020110048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396B1/ko
Publication of KR20120130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4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industrial activ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2F2103/12 - C02F2103/32
    • C02F2103/36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industrial activ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2F2103/12 - C02F2103/32 from the manufacture of organic compounds
    • C02F2103/365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industrial activ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2F2103/12 - C02F2103/32 from the manufacture of organic compounds from petrochemical industry (e.g. refine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44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vehicle washing facil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4Tim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세차장이나, 카센터, 자동차 정비소 등과 같이 기름이 배출되는 생활폐수를 다단계로 이루어진 정화장치를 거치게 하여 기름과 물을 정화처리하여 분리함으로써 정화율을 높인 최종 처리수의 재활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폐수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생활폐수를 폐유(60)와 처리수(70)를 유수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하부에는 처리수배출공(21)와 상부에는 폐유배출공(22)가 천공된 수직격벽(20)에 의해 제1 유수분리실(30)과 제 2유수분리실(40)을 형성하고, 상기 제 1유수분리실(30)에서 분리된 폐유를 다시 유수분리하기 위해 제 2유수분리실(40)의 중앙부에 폐유흡착제(50)를 설치하여 지하에 매설한 제 1처리조(10)와,
상기 제 1처리조(10)에서 유수분리된 폐유(60)와 처리수(70)를 각각 모터펌프(P)로 펌핑하여 다시 한번 정화율을 높이기 위하여 수직격벽(80)에 의해 분리된 처리수정화실(90)과 폐유정화실(100)에는 각각 제 1 및 제 2수평분리망(110)(111)을 설치한 후, 상기 처리수정화실(90)의 제 1수평분리망(110) 위에는 여과재(120)를 수장하고, 제 2수평분리망(111) 위에는 흡착포(130)를 수장하여 처리수(70)를 정화하고, 폐유정화실(100)의 제 1수평분리망(110) 위에는 흡착포(141)가 수장된 폐유정화필터(140)를 장착하고, 제 2수평분리망(111) 위에는 여과재(120)를 수장하여 폐유를 정화하여 처리수가 수장되도록 수직격벽(80)의 하부에 처리수 수장실(150)을 형성하여 지상에 설치된 제 2처리조(16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수 정화장치{WAST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폐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세차장이나, 카센터, 자동차 정비소 등과 같이 기름이 배출되는 생활폐수를 다단계로 이루어진 정화장치를 거치게 하여 기름과 물을 정화처리하여 분리함으로써 정화율을 높인 최종 처리수의 재활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폐수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생활폐수나 세차장의 폐수정화 장치의 경우 외부의 에어펌프로 부터 제공되는 산화용 공기로 폭기시켜 정화처리되도록 하는 접촉폭기식과 부패실로부터 침전분리실, 산화실을 경료시켜 산화 처리하는 산화형 정화조가 공지되고 있는바, 접촉폭기식의 경우는 외부의 에어펌프를 별도로 가동하고 지속적인 관리를 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관리비용과 유지보수비용이 많이 들고 관리자가 상주하여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대규모 빌딩의 정화 처리에 사용될 수 있으나 중소규모의 건물의 경우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고, 산화형 정화조는 부폐실, 침전분리실 및 산화실이 각기 연속되어 있고 그 상부가 밀폐된 구조로 되어 각 단계별 오수의 체류시간이 짧고 외부공기와의 접촉이 차단됨으로 산화에 필요한 충분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정화조 내부의 각 처리실이 각기 격리되지 않기 때문에 침전 슬러지의 제거시 정화조 내부의 전체오수를 제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특허등록제0179958호에 의한 다단계처리정화조를 제시한 바 있으며, 이것은 폐수 또는 분뇨를 부폐실-침전실-침전분리실 -상등수월류실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제1실에 투입시킨후 내부 파이프를 통하여 침전실-상등수월류실로 구성된 제2실로 유입시키고 제2실로 부터의 월류수는 내부 파이프를 통하여 균질화실-산화실-최종 배출수 월류실로 구성된 제3실을 경유하도록 하는 과정에서 정화처리되어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부하가 큰 분뇨처리에도 매우 효과적인 정화장치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화장치는 오수나 분뇨 및 축산폐수의 처리의 성능시험결과 B.O.D제거율이 78%(성능기준 50%)를 상회함으로서 분뇨등의 정화효과가 매우 뛰어나며, 일반생활하수나 세차장의 폐수처리에도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의 변경없이 생활하수나 세차장의 폐수 처리에 직접적용하더라도 방류수의 수질기준을 만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세차장 등과 같이 많은 량의 물을 소비하는 대표적인 업종으로서 대부분의 경우 발생폐수의 정화 후 재활용하지 않고 방출수의 처리기준만 충족시킨 상태로 정화하여 그대로 방출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세차장에서 정화처리된 폐수가 재활용 가능한 정도의 수질을 갖지 못하기 때문으로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과 지하수의 생산비용을 고려하였을 때 정화처리수의 재활용방안이 시급히 강구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방출수의 최종 정화율을 높임으로써 하천수의 수질개선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 정비소, 카센터, 세차장 등에서 발생하는 기름이 혼합된 폐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방출수의 수질을 개선하고,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통하여 세차장 등에 간편하게 설치사용할 수 있도록 한 폐수 정화장치를 제시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하에 매립되는 제 1처리조와 지상설치되는 제 2처리조에 의해 단계적 정화처리가 이루어지는 폐수 정화장치를 새로이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활폐수를 폐유(60)와 처리수(70)를 유수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하부에는 처리수배출공(21)와 상부에는 폐유배출공(22)가 천공된 수직격벽(20)에 의해 제1 유수분리실(30)과 제 2유수분리실(40)을 형성하고, 상기 제 1유수분리실(30)에서 분리된 폐유를 다시 유수분리하기 위해 제 2유수분리실(40)의 중앙부에 폐유흡착제(50)를 설치하여 지하에 매설한 제 1처리조(10)와,
상기 제 1처리조(10)에서 유수분리된 폐유(60)와 처리수(70)를 각각 모터펌프(P)로 펌핑하여 다시 한번 정화율을 높이기 위하여 수직격벽(80)에 의해 분리된 처리수정화실(90)과 폐유정화실(100)에는 각각 제 1 및 제 2수평분리망(110)(111)을 설치한 후, 상기 처리수정화실(90)의 제 1수평분리망(110) 위에는 여과재(120)를 수장하고, 제 2수평분리망(111) 위에는 흡착포(130)를 수장하여 처리수(70)를 정화하고, 폐유정화실(100)의 제 1수평분리망(110) 위에는 흡착포(141)가 수장된 폐유정화필터(140)를 장착하고, 제 2수평분리망(111) 위에는 여과재(120)를 수장하여 폐유를 정화하여 처리수가 수장되도록 수직격벽(80)의 하부에 처리수 수장실(150)을 형성하여 지상에 설치된 제 2처리조(16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격벽(20)의 상부에 천공된 폐유배출공(22)으로 배출되는 폐유를 제 2유수분리실(40)에 설치된 폐유흡착제(50)로 유도하기 위하여 폐유배출공(22) 주변에 폐유유도관(23)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처리수정화실(90)과 폐유정화실(100)의 상부에는 타이머(170)에 입력된 시간에 맞추어 각각 유처리제가 공급되도록 유처리제수장실(180)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처리조(10)의 수직격벽(20) 하부에 천공된 처리수배출공(21)에는 본체(191)의 내부에 분말흡착제(192)를 수장하고 양측에는 흡착포(193)를 형성한 처리수 여과필터(190)를 장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폐수처리가 단계적으로 정화처리되게 함으로써 최종 처리수의 수질기준을 매우 높게 정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처리수를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세차장 등에서 방류되는 폐수를 정화하기 위한 유수분리기를 지하에 매설하고, 정화장치를 지상에 설치함으로써, 작은 공간에서도 생활폐수를 높은 효율로 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생활폐수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정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화장치의 구성을 도 1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카센터, 자동차 정비센터, 세차장 등에서 방류되는 생활폐수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정화하기 위한 폐수 정화장치를 작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게 생활폐수를 유수분리하기 위한 제 1처리조(10)는 지하에 매설하고, 제 1처리조(10)에서 분리된 폐유(60)와 처리수(70)를 다시 한번 깨끗하게 정화할 수 있도록 정화하는 제 2처리조(160)는 지상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처리조(10)는 유도관(220)을 타고 유입되는 생활폐수를 1차 및 2차에 걸쳐 유수분리할 수 있도록 내부에 격벽(20)을 형성하여 제 1유수분리실(30)과 제 2유수분리실(4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유수분리실(30)에서 유수분리되어 상부로 부유되는 폐유(60)는 격벽(20)의 상부에 천공된 폐유배출공(22)으로 배출하여 제 2유수분리실(40)로 배출되게 하고, 폐유(70)와 분리된 처리수(70)는 격벽(20)의 하부에 천공된 처리수배출공(21)으로 배출하여 제 2유수분리실(40)로 배출되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폐유배출공(22)으로 배출된 폐유(70)를 다시 유수분리함과 동시에 폐유(70)를 흡착할 수 있도록 제 2유수분리실(40)의 중앙에는 폐유흡착제(50)를 설치함과 동시에 폐유배출공(22)으로 배출되는 폐유(70)를 폐유흡착제(50)로 유도할 수 있도록 폐유배출공(22) 주변에는 폐유유도관(23)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격벽(20)의 하부에 천공된 처리수배출공(21)에는 처리수(70)에 함유된 잔여 폐유(60)를 흡착하여 제 2유수분리실(40)로 배출하기 위하여 본체(191)의 내부에 분말흡착제(192)를 수장하고 양측에 흡착포(193)가 형성된 처리수여과필터(190)를 장착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 1처리조(10)의 제 2유수분리실(40)에서 유수분리된 폐유(60)와 처리수(70)를 각각 모터펌프(P)에 의하여 제 2처리조(160)로 유도한다. 이때 제 2처리조(160)는 유수분리된 폐유(60)와 처리수(70)를 각각 다시 정화할 수 있도록 수직격벽(80)에 의하여 폐유정화실(100)과 처리수정화실(90)로 구분되게 형성하여 펌핑된 처리수(70)는 처리수정화실(90)로 유입하고, 폐유(60)는 폐유정화실(100)로 유입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처리수정화실(90)로 유입된 처리수(70)와 폐유정화실(100)로 유입된 폐유(60)를 각각 2차에 걸쳐 상부와 하부에서 정화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수평분리망(110)(111)을 각각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처리수정화실(90)에 설치된 제 1수평분리망(110) 위에는 처리수(70)를 1차 여과하여 정화할 수 있게 여과제(120)를 수장하고, 제 2수평분리망(111) 위에는 상기 1차 여과된 처리수(70)를 2차에 걸쳐 여과할 수 있게 흡착포(130)를 수장하여 구성하고, 폐유정화실(100)에 설치된 제 1수평분리망(110) 위에는 폐유(60)를 1차 여과하여 정화할 수 있게 흡착포(141)가 수장된 폐유정화필터(140)를 장착하고, 제 2수평분리망(111) 위에는 정화된 처리수(70)에 잔존하는 폐유(60)를 다시 2차에 걸쳐 정화하기 위하여 여과제(120)를 수장하여 구성한다.
상기 폐유정화필터(140)는 하부가 폐쇄되고 측면에는 2중의 격자망을 형성하여 격자망 내부에 흡착포(141)를 수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처리수정화실(90)과 폐유정화실(100)에서 정화된 처리수를 수장할 수 있게 수직격벽(80)의 하부에는 처리수 수장실(150)을 형성하고, 정화된 처리수(70)를 재사용할 수 있게 처리수 수장실(150)의 하부에는 처리수 배출공(200)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처리조(160)의 처리수정화실(90)과 폐유정화실(100)로 유입된 처리수와 폐유의 정화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폐유정화실(100)과 처리수정화실(90)에는 각각 유처리제를 유입할 수 있게 제 2처리조(160)의 상부에 유처리제를 수장한 유처리제수장실(180)이 구성된다. 이때 유처리제를 일정시간 마다 공급할 수 있게 타이머(170)가 유처리제수장실(180)과 연결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유처리제수장실(180)에 수장된 유처리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타이머(180)에 시간을 설정하면 된다.
그리고 도면에 미설명부호 (210)은 제 1처리조(10)의 제 1유수분리실(30)과 제 2유수분리실(40)의 상부에 설치된 뚜껑으로 내부를 확인하거나 폐유흡착제 등을 교한할 때 사용한다. 또한, 제 2처리조(160)의 상부에 설치된 뚜껑(161)으로 내부의 각종 필터 여과제 등을 교환할 때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생활폐수를 정화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자동차 정비소, 카센터, 세차장 등에서 방류되는 생활폐수를 정화하기 위하여 지하에 매설된 제 1처리조(10)의 제 1유수분리실(30)과 연결된 유도관(220)을 통해 생활폐수를 유입한다.
제 1유수분리실(30)에서는 생활폐수가 유수분리되어 상부에는 폐유(60)가 부유되고 하부에는 처리수(70)로 분리된다. 상기 유수분리된 폐유(60)는 격벽(20)의 상부에 천공된 폐유배출공(22)을 통해 제 2유수분리실(40)로 배출됨과 동시에 폐유배출공(22)의 주변에 형성된 폐유유도관(23)을 따라 제 2유수분리실(40)의 중앙에 설치된 폐유흡착제(50)로 유도되어 폐유흡착제(50)에 폐유가 흡착됨과 동시에 폐유(60)에 혼합된 처리수(70)는 하부로 분리된다.
그리고 유수분리된 처리수(70)는 격벽(20)의 하부에 천공된 처리수배출공(21)에 설치된 처리수여과필터(190)를 거쳐 제 2유수분리실(40)로 배출된다.
따라서 생활폐수는 지하에 매설된 제 1처리조(10)에서 1차 및 2차에 걸쳐 폐유(60)와 처리수(70)로 유수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제 1처리조(10)에서 유수분리된 폐유(60)와 처리수(70)를 각각 모터펌프(P)로 펌핑해서 제 2처리조(160)의 수직격벽(80)에 의해 형성된 처리수정화실(90)과 폐유정화실(100)로 유도한다.
이때 처리수정화실(90)과 폐유정화실(100)로 유도된 처리수(70)와 폐유(60)의 정화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유처리제수장실(180)에 수장된 유처리제를 타이머(190)에 설정된 시간마다 공급하여 정화시킨다.
그리고 처리수정화실(90)에서 유처리제에 의해 정하된 처리수(70)는 다시 처리수정화실(90)의 제 1수평분리망(110) 위에 설치된 여과제(120)와 제 2수평분리망(111) 위에 수장된 흡착포(130)를 거치면서 처리수(70)에 함유된 잔여 폐유(60)를 흡착하여 정화시킨 다음에 수직격벽(80)의 하부에 형성된 처리수수장실(150)에 수장한다.
또한, 폐유정화실(100)에서 유처리제 의해 정화된 폐유(60)는 다시 폐유저장실(100)의 제 1수평분리망(110) 위에 설치된 폐유정하필터(140)와 제 2수평분리망(111) 위에 설치된 여과제(120)에서 폐유(60)를 최종적으로 흡착하여 처리수(70)를 수직격벽(80)의 하부에 형성된 처리수저장실(150)에 수장한다.
이와 같이 제 2처리조(160)의 처리수정화실(90)과 폐유정화실(100)에서 2차에 걸쳐 처리수에 함유된 폐유(60)를 정화시키기 때문에 정화효율이 높은 것이다.
상기 처리수수장실(90)에 수장된 처리수(70)는 처리수수장실(90)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관(200)을 통해 재사용되는 것이다.
10. 제 1처리조 20. 수직격벼
21. 처리수배출공 22. 폐유배출공
23. 폐유유도관 30. 제 1유수분리실
40. 제 2유수분리실 50. 폐유흡착제
60. 폐유 70. 처리수
80. 수직격벽 90. 처리수정화실
100. 폐유정화실 110. 제 1수평분리망
111. 제 2수평분리망 120. 여과제
130. 흡착포 140. 폐유여과필터
141. 흡착포 150. 처리수수장실
160. 제 2처리조 161, 210. 뚜겅
170. 타이머 180. 유처리제수장실
190. 처리수여과필터 191. 본체
192. 분말흡착제 193. 흡착포
200. 처리수배출공 220. 유도관

Claims (4)

  1. 생활폐수를 폐유(60)와 처리수(70)를 유수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하부에는 처리수배출공(21)와 상부에는 폐유배출공(22)가 천공된 수직격벽(20)에 의해 제1 유수분리실(30)과 제 2유수분리실(40)을 형성하고, 상기 제 1유수분리실(30)에서 분리된 폐유를 다시 유수분리하기 위해 제 2유수분리실(40)의 중앙부에 폐유흡착제(50)를 설치하여 지하에 매설한 제 1처리조(10)와,
    상기 제 1처리조(10)에서 유수분리된 폐유(60)와 처리수(70)를 각각 모터펌프(P)로 펌핑하여 다시 한번 정화율을 높이기 위하여 수직격벽(80)에 의해 분리된 처리수정화실(90)과 폐유정화실(100)에는 각각 제 1 및 제 2수평분리망(110)(111)을 설치한 후, 상기 처리수정화실(90)의 제 1수평분리망(110) 위에는 여과재(120)를 수장하고, 제 2수평분리망(111) 위에는 흡착포(130)를 수장하여 처리수(70)를 정화하고, 폐유정화실(100)의 제 1수평분리망(110) 위에는 흡착포(141)가 수장된 폐유정화필터(140)를 장착하고, 제 2수평분리망(111) 위에는 여과재(120)를 수장하여 폐유를 정화하여 처리수가 수장되도록 수직격벽(80)의 하부에 처리수 수장실(150)을 형성하여 지상에 설치된 제 2처리조(16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격벽(20)의 상부에 천공된 폐유배출공(22)으로 배출되는 폐유를 제 2유수분리실(40)에 설치된 폐유흡착제(50)로 유도하기 위하여 폐유배출공(22) 주변에 폐유유도관(23)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정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정화실(90)과 폐유정화실(100)의 상부에는 타이머(170)에 입력된 시간에 맞추어 각각 유처리제가 공급되도록 유처리제수장실(180)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정화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처리조(10)의 수직격벽(20) 하부에 천공된 처리수배출공(21)에는 본체(191)의 내부에 분말흡착제(192)를 수장하고 양측에는 흡착포(193)를 형성한 처리수 여과필터(190)를 장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정화장치.
KR1020110048716A 2011-05-23 2011-05-23 폐수 정화장치 KR101213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716A KR101213396B1 (ko) 2011-05-23 2011-05-23 폐수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716A KR101213396B1 (ko) 2011-05-23 2011-05-23 폐수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628A true KR20120130628A (ko) 2012-12-03
KR101213396B1 KR101213396B1 (ko) 2013-01-03

Family

ID=47514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716A KR101213396B1 (ko) 2011-05-23 2011-05-23 폐수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3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55361A (zh) * 2014-11-12 2015-02-18 宁夏嘉翔自控技术有限公司 一种石英砂过滤的污水处理系统的刮油器的筛网
KR102291334B1 (ko) * 2020-12-04 2021-08-20 주식회사 예일 토양오염 정화를 위한 토양오염 정화를 위한 토양 오염수내의 오일성분 회수 및 오염수 정화기능을 갖는 오염수 처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942B1 (ko) 2017-09-21 2018-09-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류오염 지하수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9777B2 (ja) * 1992-05-28 1999-02-24 建設省関東地方建設局長 流出油の回収装置および回収方法
JP3546359B2 (ja) * 2001-11-06 2004-07-28 株式会社環境建設エンジニアリング 油水分離装置
JP5250526B2 (ja) * 2009-10-16 2013-07-31 東洋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油水分離装置、油水分離システム、油水分離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水再利用方法
KR100982203B1 (ko) * 2010-06-07 2010-09-14 (주)클레슨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55361A (zh) * 2014-11-12 2015-02-18 宁夏嘉翔自控技术有限公司 一种石英砂过滤的污水处理系统的刮油器的筛网
KR102291334B1 (ko) * 2020-12-04 2021-08-20 주식회사 예일 토양오염 정화를 위한 토양오염 정화를 위한 토양 오염수내의 오일성분 회수 및 오염수 정화기능을 갖는 오염수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3396B1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3396B1 (ko) 폐수 정화장치
CN101952015B (zh) 废水处理设备和处理废水的方法
KR101730411B1 (ko) 우수 또는 잡배수를 재이용수로 처리하는 일체형 여과장치
KR20170072502A (ko) 이동식 수처리 장치
KR100882452B1 (ko) 오존접촉식 여과흡착장치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장치
KR20150014097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307926B1 (ko) 오폐수처리 시스템
KR101431325B1 (ko) 폐수 정화처리장치
CN213724966U (zh) 一种碳氢溶剂循环利用设备用油水分离器
KR200334439Y1 (ko) 오ㆍ폐수 처리장치
KR102136957B1 (ko) 다단적층형 필터를 갖는 역세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0825680B1 (ko) 플랜지 이음 정화 수단을 갖는 물탱크
CN207986960U (zh) 一种废液分离回收系统
KR100511379B1 (ko) 일체형 수처리기
RU2607220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промышленных и ливневых сточных вод титано-магниево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RU15523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KR101172837B1 (ko) 탈취기능을 향상시킨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RU2792735C1 (ru) Септик
KR100323852B1 (ko) 현탁물질제거 및 난분해성 물질제거장치
CN208776524U (zh) 食品生产重油污水处理系统
CN210065339U (zh) 一种净水装置
CN211141723U (zh) 一种高级氧化消毒杀菌装置
RU197273U1 (ru) Компактный усреднитель 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CN215250157U (zh) 一种abaf生活污水专用处理设备
RU132793U1 (ru) Станция глубокой биохим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хозяйственно-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