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0109A - 좌변기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0109A
KR20120130109A KR1020110047615A KR20110047615A KR20120130109A KR 20120130109 A KR20120130109 A KR 20120130109A KR 1020110047615 A KR1020110047615 A KR 1020110047615A KR 20110047615 A KR20110047615 A KR 20110047615A KR 20120130109 A KR20120130109 A KR 20120130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tient
toilet seat
r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록곤
Original Assignee
김록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록곤 filed Critical 김록곤
Priority to KR1020110047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0109A/ko
Publication of KR20120130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1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01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61G7/1007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mounted on or in combination with a toi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7Pivoting arms, e.g. crane typ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88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96Knee, upper or lower 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좌변기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장애로 인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용변보기가 힘들고 특히, 용변을 보기 위하여 하의를 벗거나 입는 일은 더욱 힘이 든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좌변기용 리프트는 환자가 용변을 볼 때 하의를 벗거나 입는 것을 편리하게 한 것이다. 좌변기용 리프트(1)는 베이스프레임(2)이 하부에 배치되고, 직립프레임(3)은 상기한 베이스프레임(2)의 후방에 배치되며, 승강프레임(4)은 후방이 상기한 직립프레임(3)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한 승강프레임(4)의 전방에는 좌우에 행거파이프(5)가 배치되며, 상기한 행거파이프(5)에는 고정 고리(6)와 유동 고리(7)가 배치되고, 액추에이터(8)는 상부가 승강프레임(4)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한 액추에이터(8)의 하부는 직립프레임(3)의 하부와 힌지 결합되고, 허리받침대(9)는 승강프레임(4)과 지지프레임(10)에 힌지 결합하여 설치되며, 상기한 지지프레임(10)은 후방이 상기한 직립프레임(3)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며, 하부받침대(11)는 벨트 고리(12)를 이용하여 행거파이프(5)의 고정 고리(6)와 유동 고리(7)에 걸어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좌변기용 리프트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용변을 볼 때 편리하게 하의를 벗거나 입을 수 있게 하고 있다.

Description

좌변기용 리프트 {Lifting Device For A Toilet Bowl}
본 발명은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좌변기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장애로 인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용변을 보기 위하여 하의를 벗거나 입는 일은 매우 불편하였다.
이와 같이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앉아 있으면 환자의 엉덩이와 바닥면 사이에는 환자 상체를 중심으로 한 체중이 엉덩이를 통하여 바닥면에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하의를 벗거나 입는 것은 매우 불편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용변을 볼 때 하의를 벗거나 입기가 편리하도록 한 기술로서는 승강장치를 구비한 휠체어가 있다. 이 기술에는 환자가 휠체어를 타고 용변을 볼 때 상체승강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체를 들거나 내릴 수 있게 구성하고, 환자가 용변을 볼 때 상체승강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체를 들어주면 환자는 하의를 벗거나 입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문헌 1] KR 740424 B1 2007. 7. 10. 도 1
상기한 기술은 휠체어 후방의 좌우에 상체걸대를 구비하고 있어서 환자는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상기한 상체걸대에 겨드랑이를 걸쳐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한 상체걸대에 환자의 겨드랑이를 지지하고 있을 때 상기한 상체걸대가 소정의 방법으로 승강함으로서 환자 상체를 들거나 내리게 하는 기술이다. 환자의 상체가 들리면 환자 엉덩이와 시트면 사이에 공간이 생기기 때문에 환자의 하의를 벗거나 입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체걸대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체가 들리면 환자의 양손은 아래로 내리기가 어렵기 때문에 환자 스스로 하의를 벗거나 입을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환자는 간병 도우미에 의해서 하의를 벗거나 입을 수밖에 없었다.
둘째, 환자가 환자의 겨드랑이 부위를 상체걸대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힘이 부족할 경우에는 환자의 겨드랑이가 상체걸대로부터 이탈될 수 있어서 환자 상체를 승강시킬 수가 없는 경우도 있다.
셋째, 상체걸대를 이용하여 환자상체를 들면 환자 상체를 중심으로 한 체중이 상체걸대에 집중하여 부가되기 때문에 환자는 겨드랑이 부위에 가해지는 압박감으로 인하여 매우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환자가 용변을 볼 때 하의를 편리하게 벗거나 입을 수 있는 좌변기용 리프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용 리프트는
첫째 거동이 불편한 환자일지라도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용 리프트를 사용하면 환자는 스스로 하의를 편리하게 벗거나 입을 수 있고,
둘째 힘이 없는 환자라도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용 리프트를 이용할 수 있으며,
셋째 환자가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용 리프트를 사용할 때에는 불쾌감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좌변기용 리프트에서 바닥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한 베이스프레임의 후단에는 직립프레임이 배치되고, 승강프레임은 후방이 상기한 직립프레임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한 승강프레임의 전방은 좌우에 행거파이프가 배치되며, 상기한 행거파이프에는 고정 고리와 유동 고리가 구비되고, 액추에이터는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한 승강프레임과 상기한 직립프레임에 힌지 결합하여 승강프레임에 회동력을 부여할 수 있게 설치되며, 지지프레임은 회동가능하게 후방이 상기한 직립프레임의 상단과 힌지 결합되고, 허리받침대는 회동가능하게 상기한 승강프레임과 상기한 지지프레임에 힌지 결합하여 설치되며, 하부받침대는 좌우에 각각 벨트 고리가 구비되고, 상기한 벨트 고리는 상기한 고정 고리와 유동 고리에 걸어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용 리프트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편리함이 있다.
첫째, 좌변기용 리프트를 이용하여 환자 몸체를 상승시키더라도 환자는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서 스스로 하의를 편리하게 벗거나 입을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용 리프트는 환자가 힘이 없더라도 환자의 몸체를 승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좌변기용 리프트를 이용할 수 있는 환자의 폭이 매우 넓다.
셋째, 환자가 좌변기용 리프트를 이용할 때 환자를 들기 위하여 지지하는 부위는 허벅지 부위와 허리 쪽으로 분산하고 있어서 좌변기용 리프트를 사용하더라도 불편함을 거의 없게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좌변기용 리프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받침대가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허리받침대 후방의 부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리 부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리프트가 좌변기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리프트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a은 본 발명에 따른 고리의 구조가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부분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유동 고리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리프트의 다른 실시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리프트는
바닥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한 베이스프레임의 후단에는 직립프레임이 배치되고, 승강프레임은 후방이 상기한 직립프레임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한 승강프레임의 전방은 좌우에 행거파이프가 배치되며, 상기한 행거파이프에는 고정 고리와 유동 고리가 구비되고, 액추에이터는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한 승강프레임과 상기한 직립프레임에 힌지 결합하여 승강프레임에 회동력을 부여할 수 있게 설치되며, 지지프레임은 회동가능하게 후방이 상기한 직립프레임의 상단과 힌지 결합되고, 허리받침대는 회동가능하게 상기한 승강프레임과 상기한 지지프레임에 힌지 결합하여 설치되며, 하부받침대는 좌우에 각각 벨트 고리가 구비되고, 상기한 벨트 고리는 상기한 고정 고리와 유동 고리에 걸어서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좌변기용 리프트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리프트(1)에서, 바닥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2)은 후방이 개방된 ?quot;자 형상이고, 상기한 베이스프레임(2)의 후단에는 직립프레임(3)이 설치되고, 상기한 직립프레임(3)의 상부에는 승강프레임(4)의 후방이 힌지 결합되어 승강프레임(4)의 전방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고, 상기한 승강프레임(4)의 전방 좌우에는 행거파이프(5)가 배치되며, 상기한 행거파이프(5)에는 고정 고리(6)와 유동 고리(7)가 구비되고, 액추에이터(8)는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한 승강프레임(4)과 상기한 직립프레임(3)에 힌지 결합하여 승강프레임(4)에 회동력을 부여할 수 있게 설치되며, 허리받침대(9)는 하부가 상기한 승강프레임(4)의 전방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한 허리받침대(9)의 후방은 지지프레임(10)의 전방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한 지지프레임(10)은 후방이 상기한 직립프레임(3)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고, 하부받침대(11)는 좌우에 벨트 고리(12)가 구비되며, 상기한 벨트 고리(12)는 상기한 고정 고리(6)와 유동 고리(7)에 걸어서 설치된다.
상기한 승강프레임(4)은 직립프레임(3)의 상단에 구비된 브라켓(15)에 설치된 힌지 축(16)에 승강프레임(4)의 후방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서 승강프레임(4)은 전방이 상기한 힌지 축(16)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이 가능하다. 상기한 액추에이터(8)는 상부가 승강프레임(4)의 하부에 구비된 승강브라켓(17)에 설치된 힌지 축(18)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액추에이터(8)의 하부는 직립프레임(3)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브라켓(19)에 설치된 힌지 축(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액추에이터(8)의 구동으로 구동부가 승강되면 상기한 승강프레임(4)의 전방이 승강된다. 상기한 지지프레임(10)의 후방은 직립프레임(3)의 상부에 구비된 브라켓(15)과 설치된 힌지 축(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지지프레임(10)의 전방은 상기한 힌지 축(21)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이 가능하다. 상기한 지지프레임(10)을 설치한 힌지 축(21)은 상기한 승강프레임(4)을 설치한 힌지 축(16) 보다는 상부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브라켓(15)에 설치된다. 한편, 베이스프레임(2)의 하부에는 모서리 부위에 레벨푸트(30)가 설치되고, 베이스프레임(2)의 전방에는 발받침프레임(31)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하부받침대(11)는 환자의 체중을 견디면서 벨트 고리(12)를 고정할 수 있게 강판 등으로 제작된 밑판(11a)과 접촉감과 쿠션이 좋게 서폰지 등으로 제작된 상판(11b)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하부받침대(11)는 레자 등을 이용하여 밑판(11a)과 상판(11b)을 모두 감싸게 구성하여도 좋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받침대가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허리받침대 후방 부위의 부분도이다.
지지프레임(10)의 전방은 허리받침대(9)의 후방에 힌지밴드(22)로 유동가능하게 조립되어서 허리받침대(9)는 지지프레임(10)의 외주를 따라 회동이 가능하다. 상기한 지지프레임(10)은 원통형상의 파이프로 구성하면 허리받침대(9)의 회동은 보다 원활하게 된다. 상기한 허리받침대(9)는 후방의 하부에 구비된 브라켓(23)과 상기한 승강프레임(4)의 전방에 구비된 블록(24)과는 힌지 축(25)으로 조립되어서 허리받침대(9)는 상기한 힌지 축(25)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동이 가능하다. 상기한 허리받침대(9)는 외력을 충분히 견디면서 힌지밴드(22)와 브라켓(23)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후방에는 강판 등으로 제작된 보강판(9a)과 접촉감과 쿠션이 좋은 서폰지 등으로 제작된 상판(9b)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허리받침대(9)에서 환자가 닿는 부위를 중심으로 레자 등을 이용하여 보강판(9a)과 상판(9b)을 모두 감싸게 구성하여도 좋다. 도면의 미 설명 부호 26은 힌지밴드(22)를 고정한 볼트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리 부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도이다.
행거파이프(5)의 전방에는 고정 고리(6)가 구비되고, 행거파이프(5)의 후방에는 유동 고리(7)가 배치된다. 상기한 유동 고리(7)는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지지대(27)가 구비되고, 지지대(27)의 수직 방향으로는 로드(28)가 배치되며, 로드(28)의 하단은 행거파이프(5)에 설치된 힌지 축(29)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한 유동 고리(7)는 상기한 힌지 축(29)을 중심으로 전방 내지 후방으로 회동이 가능하며, 유동 고리(7)가 전방 내지 후방으로 회동될 때 지지대(27)가 행거파이프(5)의 상부에 걸려서 유동 고리(7)의 회동 범위를 제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리프트(1)를 좌변기에 설치한 일실시례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리프트가 좌변기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좌변기용 리프트(1)를 좌변기(a)에 설치하는 것은 다음과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좌변기용 리프트(1)에서 베이스프레임(2)은 좌변기(a)의 좌우에 치우치지 않도록 하고, 좌변기용 리프트(1)가 수평을 이루도록 베이스프레임(2)의 하부에 구비된 레벨푸트(30)를 조정하여 맞춘다. 이어서 승강프레임(4)이 상하로 구동할 때 승강프레임(4)이나 지지프레임(10) 그리고 허리 받침대(9) 등이 좌변기(a)에 간섭을 되지 않는 범위의 내에서 좌변기용 리프트(1)를 좌변기(a)의 후방으로 최대한 이동시켜 자리를 잡는다. 이어서 앵커볼트(도면에 미 표시) 등을 이용하여 좌변기용 리프트(1)를 바닥에 고정시키면 설치가 완료된다.
다음은 환자가 좌변기(a)에 설치된 좌변기용 리프트(1)를 사용하는 바람직한 실시례를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리프트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환자가 좌변기(a)에 앉기 전에 좌변기용 리프트(1)는 다음과 같이 조정하여야 한다. 먼저, 액추에이터(8)를 구동하여 승강프레임(4)의 전방을 최대한 하강시키면 승강프레임(4)의 전방에 구비된 행거파이프(5)가 하강하여 하부받침대(11)는 좌변기(a)의 상부에 놓인다. 좌변기(a)의 상부에 놓인 하부받침대(11)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유동 고리(7)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벨트 고리(12)가 전방으로 유동 고리(7)가 이동한 거리만큼 이동되기 때문에 하부받침대(11)는 좌변기(a)의 전방으로 더 이동할 수 있는 여유가 생기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변기(a)의 전방 아래로 내릴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가 되면 환자는 좌변기(a)로 이동하여 앉는다. 환자가 좌변기(a)에 앉을 때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하부받침대(11)를 좌변기(a)의 상부에 둔 상태에서는 하부받침대(11)로 인하여 환자가 좌변기(a)로 이동하는 것이 불편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받침대(1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변기(a)의 전방 아래로 내려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만약 환자가 좌변기(a)로 이동하는데 하부받침대(11)가 좌변기(a)의 상부에 있어도 불편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하부받침대(11)를 좌변기(a)의 상부에 두고 좌변기로 이동하여 앉아도 된다.
환자가 좌변기(a)에 앉으면 환자의 허리를 허리받침대(9)에 밀착하고, 환자의 발은 베이스프레임(2)의 전방에 구비된 발받침프레임(31)의 위에 올려놓는다. 그러면 환자의 무릎부위 안쪽으로부터 허벅지와 좌변기(a)의 사이에는 공간이 생기고, 상기한 공간을 이용하여 하부받침대(11)는 엉덩이 방향인 좌변기(a)의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유동 고리(7)를 후방으로 회동시키면 벨트 고리(12)가 당겨져서 하부받침대(11)는 좌변기(a)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한편, 환자의 무릎부위 안쪽으로부터 허벅지와 좌변기(a)의 사이에 적절한 공간이 생기도록 상기한 발받침프레임(31)의 높이를 적절하게 제작하여야 편리하다.
이어서 액추에이터(8)를 구동하여 승강프레임(4)을 밀어 올리면 승강프레임(4)의 전방과 승강프레임(4)의 전방에 설치된 행거파이프(5)가 상승하고, 허리받침대(9)와 하부받침대(11)도 함께 상승하며, 환자는 상기한 하부받침대(11)와 허리받침대(9)에 의해 상승된다. 환자의 엉덩이가 좌변기(a)로부터 들리면 액추에이터(8)를 구동을 멈춘다. 환자의 엉덩이가 좌변기(a)로부터 들리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는 허리받침대(9)의 아래로부터 엉덩이를 지나서 하부받침대(11)가 있는 허벅지까지는 아무런 간섭을 받지 않는 개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환자는 환자가 입고 있는 하의를 하부받침대가(11)가 있는 곳까지 스스로 편리하게 벗어 내리면 된다.
환자는 하의를 벗은 다음 상기한 액추에이터(8)를 구동하여 승강프레임(4)의 전방이 하강하면 승강프레임(4)의 전방에 설치된 행거파이프(5)가 하강하고, 허리받침대(9)와 하부받침대(11)도 함께 하강하여 환자는 다시 좌변기(a)에 내려앉는다. 환자는 유동 고리(7)를 전방으로 회동시키고 하부받침대(11)와 하의를 무릎 쪽으로 최대한 이동시킨 다음 용변을 본다. 만약, 하부받침대(11)가 용변을 보는데 불편하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받침대(11)를 좌변기(a)의 전방의 아래로 내린 다음 용변을 보면 된다.
환자가 용변을 보고나면 환자는 무릎 쪽으로 이동시켰던 하의를 원래의 위치인 허벅지 상부로 최대한 접어서 올리고, 하부받침대(11)도 역시 접혀져 올려진 하의를 누르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원래의 위치인 좌변기(a)의 후방으로 이동시킨 다음 유동 고리(7)를 후방으로 회동시킨다. 이어서 액추에이터(8)를 구동하여 승강프레임(4)을 상승시키면 승강프레임(4)과 행거파이프(5)가 상승하면서 하부받침대(11)와 허리받침대(9)가 상승하여 환자는 다시 상승된다. 환자의 상승으로 환자의 엉덩이가 좌변기(a)로부터 들리면 액추에이터(8)의 구동을 멈춘다. 환자의 엉덩이가 좌변기(a)로부터 들리면 환자는 허리받침대(9)의 아래로부터 엉덩이를 지나서 하부받침대(11)가 있는 허벅지까지는 다시 아무런 간섭을 받지 않는 개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환자는 하부받침대(11)의 상부에 접혀져 있는 하의를 스스로 편리하게 입는다. 환자가 하의를 입고나면 상기한 액추에이터(8)를 구동하여 승강프레임(4)을 하강시키면 승강프레임(4)과 행거파이프(5)가 내려가고, 허리받침대(9)와 하부받침대(11)도 함께 하강하여 환자는 다시 좌변기(a)에 내려앉는다. 이어서 환자가 좌변기(a)로부터 내려오면 용변을 보는 과정이 완료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좌변기용 리프트(1)는 환자를 들거나 내릴 때 좌변기용 리프트(1)는 이를 충분히 견딜 수 있게 제작되어야 하고, 액추에이터(8)는 충분한 힘을 가지고 있어야 됨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허리받침대(9)는 후방이 상기한 지지프레임(10)과 힌지밴드(22)와 조립되어 있고, 허리받침대(9)의 하부는 승강프레임(4)과 힌지 축(25)과 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프레임(4)의 전방이 승강되면 허리받침대(9)가 승강되면서 지지프레임(10)의 전방도 승강프레임(4)의 전방과 함께 승강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승강프레임(4)이 상하로 회동되는 중심인 힌지 축(16)과 지지프레임(10)이 상하로 회동되는 중심인 힌지 축(21)의 위치를 다르게 구성하고 있다. 그래서 지지프레임(10)의 전방은 회동되는 위치에 따라서 상기한 허리받침대(9)의 상부를 밀거나 당기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프레임(10)이 상하로 회동되면서 허리받침대(9)를 밀거나 당기는 것은 승강프레임(4)이 상하로 회동하여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허리받침대(9)는 최적의 각도로 환자의 허리를 받쳐주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좌변기용 리프트(1)를 사용할 때 주의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허리받침대(9)가 환자의 하의에 구비된 허리벨트 보다는 높은 위치가 되도록 하의를 입어야 한다. 만약 하의의 벨트 부위가 허리받침대(9)와 환자의 허리 사이에 위치하면 벨트 부위가 환자의 허리 부위와 허리받침대(9)의 사이에 끼어서 환자는 하의를 벗기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하부받침대(11)를 행거파이프(5)의 고정 고리(6)와 유동 고리(7)에 설치한 벨트 고리(12)의 길이가 너무 길면 안 된다. 벨트 고리(12)의 길이가 너무 길면 하부받침대(11)와 허리받침대(9)의 사이에 공간이 넓어져서 환자는 엉덩이를 중심으로 몸체가 하부받침대(11)와 허리받침대(9)의 사이의 아래로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환자가 하부받침대(11)와 허리받침대(9)의 사이의 아래로 빠지면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리프트(1)는 환자를 들 수가 없다. 따라서 좌변기용 리프트(1)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체격이 비슷할 경우에는 상기한 벨트 고리(12)의 길이는 체격에 맞게 제작하면 된다. 그러나 좌변기용 리프트(1)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체격이 다양할 경우에는 벨트 고리(12)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게 링 등을 벨트 고리(12)에 설치하여 사용하면 문제가 해결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고리의 구조가 다른 실시례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고리의 구조가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부분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유동 고리 부분의 확대도이다.
승강프레임(4a)에 설치된 행거파이프(5a)의 전방에는 고정 고리(6a)가 구비되고, 유동 고리(7a)는 행거파이프(5a)에 끼워서 조립된다. 상기한 유동 고리(7a)는 내주의 크기가 벨트 고리(12a)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하로 소정의 거리를 움직일 수 있고, 유동 고리(7a)의 상부에는 손잡이(34)가 배치되고, 손잡이 아래로는 유동 고리(7a)의 내부를 향하여 핀(35)이 형성되어 있다. 행거파이프(5)에는 가운데 부근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다수의 홀(36a, 36b, 36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홀(36a, 36b, 36c)에는 상기한 유동 고리(7a)의 핀(35)이 삽입 내지 분리될 수 있다.
상기의 유동 고리(7a)는 행거파이프(5a)의 전 후로 이동하면서 행거파이프(5a)에 형성된 홀(36a, 36b, 36c)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유동 고리(7a)의 핀(35)을 삽입하면 삽입된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한 유동 고리(7a)를 상부로 들어 올리면 유동 고리(7a)에 구비된 핀(35)이 상기한 행거파이프(5a)에서 조립되었던 홀(36a, 36b, 36c)로부터 분리가 되기 때문에 유동 고리(7a)는 행거파이프(5a)의 전후로 다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한 유동 고리(7a)는 유동 고리(7a)에 구비된 핀(35)을 행거파이프(5a)에 형성된 다수의 홀(36a, 36b, 36c) 중에서 제일 전방에 위치한 홀(36a)에 삽입하면 벨트 고리(12a)의 길이는 제일 길게 사용하는 상태가 되고, 유동 고리(7a)의 핀(35)을 행거파이프(5a)에서 후방에 위치한 홀(36b) 내지 그 후방에 있는 홀(36c)로 이동하여 삽입하면 벨트 고리(12a)의 길이는 이동한 거리만큼 길이가 짧은 벨트 고리(12a)를 사용하는 효과를 얻는다. 따라서 유동 고리(7a)는 유동 고리(7a)에 구비된 핀(35)을 행거파이프(5a)에 구비된 홀(36a, 36b, 36c)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삽입하면 적절한 길이의 벨트 고리(12a)를 편리하게 얻을 수 있다. 즉, 체격이 다양한 환자가 좌변기용 리프트를 사용할 때 환자의 체격에 따라 유동 고리(7a)에 구비된 핀(35)을 행거파이프(5a)에 구비된 홀(36a, 36b, 36c)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삽입하면 벨트 고리(12a)의 길이를 줄이거나 널리는 수단이 없어도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서는 행거파이프(5a)에 형성된 홀(36a, 36b, 36c)이 세 개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한정된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그 수를 줄이거나 늘려도 된다.
한편, 하부받침대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유동 고리(7a)의 핀(35)을 행거파이프(5a)에 형성된 홀(36a, 36b, 36c)로부터 분리한 뒤 유동 고리(7a)를 행거파이프(5a)의 전방으로 이동한 뒤 고정 고리(6a)의 근처에 구비된 홀(37)에 유동 고리(7a)의 핀(35)을 삽입하면 된다. 그러면 벨트 고리(12a)에 여유가 생기기 때문에 하부받침대를 전방으로 필요한 만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베이스프레임과 직립프레임, 승강프레임, 지지프레임 그리고 발받침프레임의 구조를 달리한 실시례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리프트의 다른 실시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좌변기용 리프트(1b)는 베이스프레임(2b)이 후방이 개방된 ?quot;자 형상이고, 직립프레임(3b)은 상기한 베이스프레임(2b)의 후방에 배치되며, 승강프레임(4b)은 후방이 상기한 직립프레임(3b)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한 승강프레임(4b)의 전방에는 좌우에 행거파이프(5b)가 배치되며, 상기한 행거파이프(5b)에는 고정 고리(6b)와 유동 고리(7b)가 배치되고, 액추에이터(8b)는 상부가 승강프레임(4b)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한 액추에이터(8b)의 하부는 직립프레임(3b)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고, 허리받침대(9c)는 하부가 상기한 승강프레임(4b)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한 허리받침대(9c)의 후방은 지지프레임(10b)의 전방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한 지지프레임(10b)은 후방이 상기한 직립프레임(3b)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며, 하부받침대(11c)는 좌우에 벨트 고리(12b)가 구비되고, 상기한 벨트 고리(12b)는 상기한 행거파이프(5b)의 고정 고리(6b)와 유동 고리(7b)에 걸어서 설치된다.
발받침프레임(31b)은 전방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후방이 베이스프레임(2b)에 구비된 브라켓의 힌지 축(40)에 설치되고, 조정볼트(41)는 힌지 축(40)의 근처에 발받침프레임(31b)에 나사로 조립하여 베이스프레임(2b)에 상부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한 좌변기용 리프트(1b)는 승강프레임(4b)과 지지프레임(10b)을 한쪽에서만 지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직립프레임(3b)도 한쪽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베이스프레임(2b)과 직립프레임(3b), 승강프레임(4b) 그리고 지지프레임(10b) 등은 편심하중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리프트(1b)는 상기한 편심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제품을 설계제작 한다면 기능에는 문제는 없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리프트(1b)는 제품의 구조가 비교적 단순해지기 때문에 자재비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발받침프레임(31b)은 조정볼트(41)를 조이면 발받침프레임(31b)의 전방은 상부로 올라가고 조정볼트(41)를 풀면 발받침프레임(31b)의 전방은 아래로 내려간다. 따라서 환자가 발받침프레임(31b)의 높이를 원하는 높이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 조정볼트(41)는 발받침프레임(31b)의 좌우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한정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한쪽만 설치하여 사용해도 되고, 좌우에 조정볼트(41)를 설치한 경우에는 좌우의 조정볼트(41)의 높이를 동일하게 맞추어 주면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액추에이터(8)의 동력은 일반 가정이나 직장에서 사용하는 교류전원이나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해도 되고, 제어스위치도 리모컨 스위치 방식이나 유선 방식 등을 적용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2: 베이스프레임 3: 직립프레임 4: 승강프레임
5: 행거파이프 6: 고정 고리 7: 유동 고리
8: 액추에이터 9: 허리받침대 10:지지프레임
11: 하부받침대 12: 벨트 고리

Claims (1)

  1. 바닥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한 베이스프레임의 후단에는 직립프레임이 배치되고, 승강프레임은 후방이 상기한 직립프레임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한 승강프레임의 전방은 좌우에 행거파이프가 배치되며, 상기한 행거파이프에는 고정 고리와 유동 고리가 구비되고, 액추에이터는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한 승강프레임과 상기한 직립프레임에 힌지 결합하여 승강프레임에 회동력을 부여할 수 있게 설치되며, 지지프레임은 회동가능하게 후방이 상기한 직립프레임의 상단과 힌지 결합되고, 허리받침대는 회동가능하게 상기한 승강프레임과 상기한 지지프레임에 힌지 결합하여 설치되며, 하부받침대는 좌우에 각각 벨트 고리가 구비되고, 상기한 벨트 고리는 상기한 고정 고리와 유동 고리에 걸어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리프트.
KR1020110047615A 2011-05-20 2011-05-20 좌변기용 리프트 KR201201301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615A KR20120130109A (ko) 2011-05-20 2011-05-20 좌변기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615A KR20120130109A (ko) 2011-05-20 2011-05-20 좌변기용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109A true KR20120130109A (ko) 2012-11-29

Family

ID=47514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615A KR20120130109A (ko) 2011-05-20 2011-05-20 좌변기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010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44048A (zh) * 2013-11-22 2015-05-27 姜博仑 坐便器多功能辅助起坐系统
CN104997460A (zh) * 2015-07-08 2015-10-28 罗少楠 一种人体蹲坐状态保持装置
KR20220122262A (ko) * 2021-02-26 2022-09-02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보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44048A (zh) * 2013-11-22 2015-05-27 姜博仑 坐便器多功能辅助起坐系统
CN104997460A (zh) * 2015-07-08 2015-10-28 罗少楠 一种人体蹲坐状态保持装置
KR20220122262A (ko) * 2021-02-26 2022-09-02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2132A1 (en) Device for assisting disabled persons
JP6733906B2 (ja) 入浴介護装置
KR20160125037A (ko) 거동불편자용 목욕의자
JP6450441B1 (ja) 介護用椅子
KR20120130109A (ko) 좌변기용 리프트
KR100740424B1 (ko) 승강장치를 구비한 휠체어
KR101462378B1 (ko)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
JP5531344B2 (ja) 移乗器具
CN204500010U (zh) 一种新型可调节座椅
JP2021062015A (ja) トイレ介助用昇降装置及びトイレ介助方法
EP2419069B1 (en) Seating furniture facilitating rising
KR101374075B1 (ko) 자중에 의해 허리지지력이 강화되는 의자
JP2014226528A (ja) 着座部が傾斜変位できる椅子
JP6989935B2 (ja) 移送装置
CN108338874B (zh) 医疗用护理病床
JP6773317B2 (ja) 入浴介護装置
JP6695070B2 (ja) 便座装置
KR20090002049U (ko) 전동 승강 의자
KR20130037603A (ko) 환자용 좌변의자
KR20200002852U (ko) 간병인이 용이하게 환자를 케어할 수 있도록 하는 휠체어
JP2672480B2 (ja) 介護装置
JP6680116B2 (ja) 着衣支援便座
CN216416553U (zh) 一种适老椅
KR102419189B1 (ko) 장애인의 이동을 위한 간병의자
JP3051238U (ja) 介護用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