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9230A - 스마트폰 로봇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9230A
KR20120129230A KR1020110047352A KR20110047352A KR20120129230A KR 20120129230 A KR20120129230 A KR 20120129230A KR 1020110047352 A KR1020110047352 A KR 1020110047352A KR 20110047352 A KR20110047352 A KR 20110047352A KR 20120129230 A KR20120129230 A KR 20120129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robot
unit
smart phon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지웅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7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9230A/ko
Publication of KR20120129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25J13/08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with position, velocity or acceleration sensors
    • B25J13/089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robot with reference to its enviro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폰을 장착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며, 스마트폰에서 이용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종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 로봇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은,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거치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부; 상기 본체에 탑재되어 상기 거치대에 거치되어 있는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어온 제어신호에 따라, 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탑재되는 음성출력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통신부와 상기 음성출력부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탑재되는 로봇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로봇{Smart Phone Robot}
본 발명은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폰이 장착되는 스마트폰 로봇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폰은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단순히 음성 또는 메시지와 관련된 통신뿐만 아니라, 인터넷,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및 각종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스마트폰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폰은 휴대폰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스마트폰은 단순히 음성 통신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각종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음악,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사진촬영, 게임, 영화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폰이 공장과 같은 넓은 공간에서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용도로 이용되는 경우, 스마트폰이 특정 위치에 놓여져 있거나 또는 특정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다면, 실질적으로 이를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이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들이 있다.
또한, 장애인, 노약자 또는 어린이가 이러한 복잡한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 또한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스마트폰은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응용프로그램들을 제공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 내에 배터리가 소모되며, 따라서, 자주 충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이러한 충전을 일일이 시간에 맞춰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꼭 필요한 시점에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폰을 장착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로봇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로봇들은 폰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로봇이거나, 또는 단순히 폰을 거치하고 이동할 수 있는 로봇이거나, 또는 전용 폰 만이 이용가능한 로봇 형태로 제작되고 있기 때문에, 현재 이용 가능한 모든 스마트폰에 범용적으로 이용될 수 없으며, 스마트폰의 각종 응용프로그램들을 이용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우선, 폰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로봇은 상기한 바와 같이 다른 종류의 스마트폰이 적용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고, 폰을 거치하고 이동하는 로봇은 스마트폰의 각종 응용프로그램들을 이용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전용 폰을 이용한 로봇의 경우에는 이용 가능한 스마트폰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응용프로그램이 로봇 자체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로봇을 위한 별도의 응용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로봇들은 스마트폰과의 연계성이 미흡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로봇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이 스마트폰의 응용프로그램과는 별도로 개발이 진행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있거나, 또는 스마트폰에 탑재가 가능한 각종 응용프로그램들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을 장착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며, 스마트폰에서 이용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종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 로봇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은,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거치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부; 상기 본체에 탑재되어 상기 거치대에 거치되어 있는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어온 제어신호에 따라, 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탑재되는 음성출력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통신부와 상기 음성출력부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탑재되는 로봇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해결 수단에 따라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서 이용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종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과 별도로 응용프로그램을 구축할 필요가 없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장착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의 일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에 스마트폰을 착탈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의 일실시예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에 스마트폰을 착탈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100)은 스마트폰(10)을 거치한 상태에서 이동부(바퀴)(130)를 이용하여 다양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각종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마트폰은 휴대폰과 같은 형태의 무선단말기뿐만 아니라, 아이패드와 같은 테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의 외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이 거치될 수 있는 거치대(120)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100) 및 본체에 장착되며 미도시된 로봇제어부에 의해 구동되어 본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바퀴)(130)를 포함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은 스마트폰(10)을 거치시키거나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거치대(120)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거치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특정 위치에서 본체 내부로 움푹파여진 형상을 하고 있는 거치부(121) 및 거치부의 개방된 입구에 형성되어 스마트폰이 거치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스마트폰을 지지하고 있는 착탈부(122)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착탈부(1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거치부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착탈부에 안착시킨 후 눌러주면, 스마트폰이 거치부에 안착되며, 이와 동시에 착탈부가 회전되면서 스마트폰의 전면을 감싸게 된다. 따라서, 거치부에 안착된 스마트폰은 착탈부에 의해 눌려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일정한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 거치부를 이탈하지 않게 된다.
한편, 스마트폰(10)을 거치대(120)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거치부(121)로부터 들어올리면, 착탈부(122)가 회전하면서 스마트폰과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거치부(121) 및 착탈부(122)의 형태는 도 2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본체에 스마트폰이 착탈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거치대(120)에는 무선으로 스마트폰을 충전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충전기(241)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스마트폰은 충전기의 전극에 직접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충전이 가능하도록 제작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의 거치대(12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스마트폰충전기(24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충전기(241)는 거치부(121) 내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에는 스마트폰과 무선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140)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스마트폰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음성 통신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과 같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각종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에는, 스마트폰이 무선을 통해 외부의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해 스마트폰에 장착되어 있는 각종 무선 통신 모듈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스마트폰은 음성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음성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 랜 모듈을 이용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적외선 모듈을 이용하여 근거리에서 적외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의 본체(11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통신 모듈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140)가 장착되어 있어서, 스마트폰과 무선을 통한 통신을 통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과 인접되어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은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음성의 볼륨을 증폭시켜 출력하기 위해 음성출력부(스피커)(170)를 더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음성출력부(스피커)(1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그 외에도 본체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은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영상을 출력하기 위해 영상출력부(모니터)(160)를 더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영상출력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정면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그 외에도 본체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음성출력부(170)와 영상출력부(160)는 스마트폰을 통해 출력되는 음성 또는 영상을 보다 큰 음량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보다 확대된 영상으로 출력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음성 또는 영상을 보다 편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의 내부 구성이 설명된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되는 스마트폰 로봇의 각종 구성들은 본체의 내부 또는 표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40), 이동부(130), 저장부(180), 음성출력부(170), 광출력부(190), 영상출력부(160), 유비쿼터스부(260), 제어신호입력부(200), 카메라부(210), 음성입력부(220), 충전단자탐지부(230), 충전부(240), 전원공급부(250) 및 로봇제어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통신부(140)는 스마트폰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 이동부(130)는 본체(110)에 형성되어 있는 바퀴 및 바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본체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 저장부(180)는 스마트폰 로봇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에는 카메라부(210)와 음성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된 영상 또는 음성이 저장될 수도 있으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영상 또는 음성이 저장될 수도 있다.
다음, 음성출력부(17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음성출력부는 스마트폰 로봇 자체에서 생성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 광출력부(190)는 빛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LED 또는 램프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광출력부는 시간 알람 기능 등을 제공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다음, 영상출력부(16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 유비쿼터스부(260)는 가정 또는 사무실 내에 구비된 각종 유비쿼터스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유비쿼터스부는 스마트폰을 통해 수신된 유비쿼터스장치 제어신호를 해당 유비쿼터스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유비쿼터스부(260)는 스마트폰과 유비쿼터스장치들을 중계하는 중계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제어신호입력부(200)는 사용자가 스마트폰 로봇을 이용하여 필요한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종 버튼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터치스크린 형태의 영상출력부(160)와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다음, 카메라부(210)는 각종 영상을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에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가 카메라부(210)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 음성입력부(220)는 각종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마이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마이크가 음성입력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 충전단자탐지부(230)는 스마트폰 로봇이 외부의 충전단자를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현재 청소로봇 등에 장착되어, 청소로봇의 배터리가 소진된 경우, 청소로봇을 외부의 충전단자로 이동시키기 위해 청소로봇에 구비되어 있는 충전단자탐지부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 충전부(240)는 외부의 충전단자로부터 전력을 충전받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을 충전시키기 위한 스마트폰충전기(241) 및 스마트폰 로봇을 충전시키기 위한 자가충전기(2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 전원공급부(250)는 상기 충전부를 통해 충전된 전원을 상기 모든 구성요소들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로봇제어부(270)는 상기 모든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은 별도의 응용프로그램이 구비되어 각종 기능을 스마트폰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의 본질적인 특징은, 별도의 응용프로그램을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각종 응용프로그램들에 의해 실행되는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선,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 통신응용프로그램을 스마트폰으로 다운로드받아 스마트폰에 설치한다(S100). 이러한 스마트폰 통신응용프로그램은 스마트폰으로 전송되어온 통신신호를 스마트폰 로봇으로 자동 전송하거나, 또는 스마트폰 로봇으로부터 전송되어온 통신신호에 따라 해당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도 스마트폰과의 통신을 위해 별도의 로봇 통신응용프로그램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처럼 로봇 통신응용프로그램이 필요하거나 또는 스마트폰 로봇의 기능 실행을 위한 별도의 로봇 응용프로그램이 필요한 경우에는, 스마트폰을 통해 해당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은 후 스마트폰에서 스마트폰 로봇으로 해당 응용프로그램을 전송하여 스마트폰 로봇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폰 로봇에 상기한 바와 같은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그 일예로서, 스마트폰에서 스마트폰 통신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스마트폰 로봇에 해당 응용프로그램을 인스톨시킬 수 있는 메뉴를 선택하여 스마트폰 로봇에 해당 응용프로그램을 인스톨 시키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해당 응용프로그램이 스마트폰을 통해 스마트폰 로봇으로 전송되면, 스마트폰 로봇의 로봇제어부가 자동적으로 해당 응용프로그램을 스마트폰 로봇에 설치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스마트폰을 통해 해당 응용프로그램을 스마트폰 로봇으로 전송시킨 후, 스마트폰 로봇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신호입력부(200)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로봇에서 직접 실행명령을 입력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로봇 통신응용프로그램은 스마트폰 통신응용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스마트폰 로봇에서 생성된 통신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자동 전송하거나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어온 통신신호에 따라 해당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신호란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스마트폰과 스마트폰 로봇 간에 송수신되는 모든 신호를 말하는 것이며, 제어신호는 통신신호 중 특히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말한다.
즉, 스마트폰 통신응용프로그램과 로봇 통신응용프로그램은 스마트폰과 스마트폰 로봇 간에 자동적으로 통신신호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통신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제어신호에 따라 스마트폰의 폰제어부 또는 스마트폰 로봇의 로봇제어부가 해당 제어신호에 해당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제어부는 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되면 응용프로그램의 기능(음악을 출력하거나,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거나, 음성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 등)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구성요소(스피커, 카메라, 마이크와 스피커 등)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스마트폰의 응용프로그램 구동에 의한 기능 실행이 스마트폰 로봇의 제어부를 통해 스마트폰 로봇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스마트폰 통신 응용프로그램은, 각 기능 실행을 위한 제어신호를 스마트폰 로봇의 각 구성요소들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은 상기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제어신호에 따라 수동적으로 구동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스마트폰과 독립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스마트폰 로봇은 자체적인 제어부(270)를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 통신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제어신호는 스마트폰 로봇의 해당 구성요소를 직접 구동시켜 해당 기능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로봇의 제어부(270)를 구동시켜 로봇제어부가 해당 제어신호에 따라 스마트폰 로봇의 해당 구성요소를 구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과의 통신을 통해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해당 구성요소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각 구성요소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모듈이 스마트폰 로봇에 구비되어 있어야 하므로, 어떠한 경우이든지 간에, 스마트폰 로봇에는 로봇제어부가 구비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스마트폰 통신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스마트폰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스마트폰 로봇이 구동되는 경우가 설명되었으나, 그 반대의 기능도 가능하다.
즉, 로봇 통신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스마트폰 로봇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스마트폰 로봇이 구동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과 스마트폰 로봇에 통신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스마트폰과 스마트폰 로봇 간에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다음, 스마트폰을 스마트폰 로봇에 장착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스마트폰에서 스마트폰 통신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스마트폰에서 발생된 통신신호가 자동적으로 스마트폰 로봇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자동 통신기능을 실행한 후(S200), 스마트폰을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체의 거치대(120)에 장착시킨다(S300).
마지막으로, 스마트폰의 폰제어부 또는 스마트폰 로봇의 로봇제어부(270)는 자체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 또는 다른 개체(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로봇)에서 전송되어온 제어신호의 종류를 판단(S400)하여, 그에 해당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500, S600, S700).
즉, 이러한 제어신호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으로부터 스마트폰 로봇으로 전송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스마트폰이 스마트폰 로봇을 제어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S500).
또한, 이러한 제어신호는 스마트폰 로봇으로부터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스마트폰 로봇이 스마트폰을 제어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S700).
또한, 이러한 제어신호는 스마트폰 로봇에서 발생되어 스마트폰 로봇 자체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스마트폰 로봇이 자체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S600).
우선, 스마트폰이 스마트폰 로봇을 제어하는(S500) 기능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을 수 있다.
첫 번째 예로서, 음성 통화기능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 스마트폰 로봇의 거치대에 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음성 통화가 수신되면, 폰제어부는 스마트폰 통신응용프로그램에 따라 음성 통화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제어신호를 스마트폰 로봇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로봇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로봇제어부의 음성출력부(스피커)(170)를 구동시켜 기 설정되어 있는 벨소리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로봇제어부(270)는 LED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광출력부(190)를 구동시켜 빛을 통해 음성 통화가 수신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제어신호입력부(200)에 구비되어 있는 통화버튼을 선택하면 폰제어부는 수신된 음성신호를 스마트폰 로봇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로봇제어부는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한 바와 같이 음성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스마트폰 로봇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신호입력부(200) 중 통화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선택신호가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며, 폰제어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신된 음성신호를 스마트폰 로봇으로 전송한다.
이때, 로봇제어부는 음성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로봇 통신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한 폰제어부는 수신된 음성을 스마트폰의 통신부를 이용하여 송신자에게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폰 로봇에 거치되어 있는 스마트폰을 직접 손으로 들지 않은 상태에서도 스마트폰을 통해 상대방과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다.
두 번째 예로서, 화상 통화기능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화상 통화는 스마트폰 로봇에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보다 더 큰 영상출력부(160)가 구비된 경우에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마트폰 로봇의 영상출력부(160)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보다 더 크다면 사용자는 스마트폰 보다는 영상출력부를 통해 상대방의 얼굴을 보면서 통화를 하는 것이 더 좋을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통신응용프로그램과 로봇 통신응용프로그램 간의 통신시, 스마트폰 로봇에 영상출력부(160)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리는 신호가 송수신될 수 있다. 즉, 로봇제어부(270)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을 음성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하는 한편, 영상출력부(160)를 통해서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세 번째 예는, 상기한 두 번째 예와 유사한 기능으로서, 스마트폰 로봇은 스마트폰으로 수신된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영상출력부(160)를 통해 출력시킬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스마트폰 로봇의 영상출력부를 통해 보다 확대된 상태로 읽을 수 있다.
네 번째 예로서, 스마트폰에, 텍스트로 되어 있는 문서를 음성으로 출력시켜주는 응용프로그램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폰에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하면, 폰제어부는 출력될 음성신호를 스마트폰 로봇으로 전송하게 되며, 이를 수신한 로봇제어부가 음성출력부(170)로 상기 음성을 출력해 줄 수 있다. 즉, 스마트폰의 스피커는 그 음량이 작고, 이어폰을 스마트폰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듣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보다 성능이 좋은 스마트폰 로봇의 음성출력부(170)를 통해 문서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줄 수 있다.
다섯 번째 예로서, 스마트폰에서 실행되고 있는, 음악 또는 멀티미디어 방송 또는 영화를 두 번째 예에서와 같이, 영상출력부와 음성출력부를 통해 출력시켜주는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여섯 번째 예로서,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알람을 설정해 놓으면, 해당 시간에 폰제어부가 스마트폰으로부터 알람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출력부를 통해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일곱 번째 예로서, 기 설정시간이 도래하면, 폰제어부가 스마트폰의 배터리 양을 스마트폰 로봇으로 전송하는 기능이 있을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시간마다 폰제어부가 배터리양을 체크하여 해당 정보를 스마트폰 로봇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특히, 스마트폰의 배터리 양이 적어 충전이 요구되는 경우, 폰제어부는 스마트폰의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배터리 양이 적어 충전이 필요하다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출력을 위한 제어신호는 스마트폰 로봇으로도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 로봇제어부는 스마트폰 로봇의 음성출력부와 영상출력부를 통해 배터리에 충전이 필요하다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로봇제어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배터리 충전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전원공급부(250)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을 충전부의 스마트폰충전기(241)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함으로써, 스마트폰이 충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 로봇의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거치대(120)에는 무선을 통해 스마트폰을 충전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충전기(241)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경우, 로봇제어부가 스마트폰충전기로 전원공급부(250)의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스마트폰이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로봇제어부가 충전단자탐지부(230)와 이동부(130)를 구동시켜 스마트폰 로봇을 직접 외부의 충전단자로 이동시킨 후, 충전단자를 스마트폰충전기(241)에 연결시켜, 외부의 충전단자와 스마트폰충전기를 통해 스마트폰이 충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동일한 기능으로서, 로봇제어부는 전원공급부(250)의 충전량을 판단하여, 충전량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외부의 충전단자로 이동하여, 외부의 충전단자와 자가충전기(242)를 연결시킴으로써, 전원공급부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
즉, 로봇제어부는 스마트폰 또는 자신의 전원공급부에 충전되어 있는 충전량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직접 스마트폰 로봇을 외부의 충전단자가 있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방법은 현재, 청소로봇이 그 충전을 위해 외부의 충전단자를 찾아 가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은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부(130), 음성출력부(170), 광출력부(190), 영상출력부(160), 충전단자탐지부(230), 충전부(240) 등을 구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기능은 스마트폰 로봇이 아닌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있는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은 음성통화, 영상통화, 문자메시지 전송 등을 위한 별도의 응용프로그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음성 및 영상을 출력할 수 있고,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시켜주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문자를 음성으로 출력시켜 줄 수도 있으며, 알람 기능이 없는 상태에서도 스마트폰으로부터 알람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음성 또는 빛으로 알람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은 스마트폰의 충전양을 판단하는 응용프로그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제어신호에 따라 충전단자탐지부(230)를 구동시켜 스마트폰을 충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에는 스마트폰 충전을 위해 충전단자탐지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응용프로그램, 자신의 배터리충전량을 판단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과 같이, 일부의 응용프로그램이 필요하나, 이러한 응용프로그램은 해당 구성요소 자체의 기능을 위한 필수 응용프로그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은 이러한 필수 응용프로그램 외에는 별도의 응용프로그램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필수 응용프로그램은 이하에서 설명될 스마트폰 로봇이 자체기능을 제어(S600)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되는 응용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로봇은 스마트폰 자체에서 실행되는 각종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되는 결과물, 예를 들어, 음성 또는 영상 또는 시간 알람 등의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해당 정보를 출력하는 구성요소들을 통해 출력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다음, 스마트폰 로봇이 스마트폰을 제어하는(S700) 기능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을 수 있다.
첫 번째 예로서, 제어신호입력부(20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해당 제어신호에 따른 응용프로그램이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도록 하는 기능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또는 화상 통화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제어신호입력부에 장착되어 있는 음성 또는 화상 통화버튼을 선택할 수 있으며, 로봇제어부는 상기 버튼을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폰제어부는 스마트폰의 입력부를 통해 통화 버튼이 입력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입력창을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며, 이를 스마트폰 로봇의 영상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제어신호입력부에 장착되어 있는 문자 메시지 전송 버튼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한 음성 통화와 마찬가지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또는 스마트폰 로봇의 영상 출력부를 통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창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또는 스마트폰 로봇의 영상출력부를 통해 문자 또는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스마트폰 로봇의 제어신호입력부(200)를 통해 음성통화, 화상통화, 문자 메시지 전송을 위한 버튼을 선택하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또는 스마트폰 로봇의 영상출력부를 통해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입력창이 출력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입력창을 이용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신호입력부를 통해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통화를 위한 입력창이 출력되는 것이 아니라, 이에 따른 제어신호가 단순히 스마트폰을 활성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경우,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 특정 버튼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화면에 기본 화면이 출력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제어신호입력부를 통해 버튼이 선택되면, 이에 따른 제어신호는 스마트폰으로 전송되어 스마트폰을 활성화시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이 필요한 이유는, 거의 대부분의 스마트폰이 터치스크린을 이용하고 있으며, 스마트폰의 좌우측면 또는 상하측면에 버튼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스마트폰이 스마트폰 로봇의 거치대(120)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 스마트폰의 좌우측면 또는 상하측면은 거치대에 의해 둘러쌓여지기 때문에, 좌우측면 또는 상하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버튼을 선택하여 스마트폰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로봇의 제어신호입력부에 구비되어 있는 버튼을 통해 스마트폰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후에는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 또는 스마트폰 로봇의 영상출력부(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통해 스마트폰을 제어할 수 있는 각종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두 번째 예로서, 카메라부 또는 음성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영상 또는 음성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기능은 상기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에서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등을 위한 음성 또는 영상이 전송된 경우에, 이에 따라 구동된 카메라부(210) 또는 음성입력부(220)를 통해 영상 또는 음성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카메라 구동 제어신호가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면, 스마트폰의 응용프로그램이 스마트폰 로봇(210)의 카메라부(210)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로봇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으며, 로봇 제어부는 카메라부(210)를 구동시켜 영상을 수집하여, 이를 다시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폰의 폰제어부는 스마트폰 로봇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영상을 무선을 통해 송신자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로봇 제어부는 상기와 같은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부를 구동시켜 수집된 영상을 저장부(18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후, 저장부(180)로부터 해당 영상파일을 다운로드받아 촬영된 영상을 볼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은 외부에 나가있는 사용자가 스마트폰 로봇이 있는 공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의 응용프로그램에 스마트폰 로봇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다면, 원격지의 사용자는 스마트폰으로 스마트폰 로봇을 이동시킬 수 있는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스마트폰 로봇이 이동하면서 영상을 수집하도록 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로봇이 자체 기능을 제어하는(S600) 기능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을 수 있다.
첫 번째 예로서, 스마트폰이 스마트폰 로봇을 제어하는(S500) 기능의 예 중 다섯 번째로 설명된 바와 같은, 충전기능이 있을 수 있다. 즉, 로봇제어부는 전원공급부의 충전량을 체크하여, 기설정된 양보다 적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충전단자탐지부(230) 및 이동부(130)를 구동시켜, 스마트폰 로봇을 충전단자가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자가 충전기를 통해 전원 공급부를 충전시킬 수 있다.
두 번째 예로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음성과 매칭되어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음성입력부(220)가 본체의 전후좌우 등에 복 수개 설치되어 있고, 로봇제어부에 음성 인식 기능 또는 위치 탐지 기능이 있는 경우, 로봇제어부가 음성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의 내용을 인식하여, 인식된 음성이 기 설정된 제어신호와 매칭된 음성인 경우, 인식된 음성에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스마트폰 로봇 또는 스마트폰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인식 결과, '이쪽으로와', '저쪽으로 가', '동쪽으로', '서쪽으로' 등과 같이 스마트폰을 이동시키는 제어신호와 매칭되어 있는 음성인 경우, 로봇제어부는 복수의 음성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의 크기를 분석하여 음성이 수신되고 있는 방향을 판단한 후, 이동부를 구동시켜 해당 위치로 스마트폰 로봇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판단은 로봇제어부가 아닌 폰제어부가 음성 인식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스마트폰 로봇에 최소한의 응용프로그램만을 설치하고, 가능한 스마트폰을 주 제어부로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성입력부(220)를 통해 음성이 입력되면, 폰제어부가 음성 인식 및 각 음성 입력부별 음성의 크기를 판단하여, 스마트폰 로봇으로 해당 제어신호를 전송하면, 로봇제어부가 이동부를 구동시켜 스마트폰 로봇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음성인식 결과, '통화', '전화' 등과 같이 통화와 관련된 음성인 경우, 폰제어부 또는 로봇제어부는 스마트폰 로봇이 스마트폰을 제어하는(S700) 기능 중 첫 번째로 설명된 방법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음성인식 결과, '사진', '촬영' 등과 같이 사진 촬영과 관련된 음성인 경우, 폰제어부는 카메라부를 구동시켜 촬영을 한 후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으며, 또는 촬영된 이미지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스마트폰에 저장하거나, 기 설정된 사용자의 단말기 번호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은 스마트폰 로봇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결합된 기능들로서, 스마트폰 로봇이 스마트폰을 제어하는(S700) 기능의 예로서도 설명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있는 각종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기능들이 스마트폰 로봇에서도 실행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스마트폰 로봇에는 상기와 같은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한 별도의 응용프로그램들이 탑재되어 있을 필요가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에는 스마트폰 로봇의 기능을 증대시키기 위해, 스마트폰 자체에서 실행되거나 또는 스마트폰으로 각종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응용프로그램들이 탑재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과 스마트폰 로봇 간의 통신은 폰 통신응용프로그램 및 로봇 통신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로봇에 탑재되어야할 로봇 통신응용프로그램 및 기타 필요한 응용프로그램들은 스마트폰을 통해 다운로드된 후, 스마트폰 로봇으로 전송되어 스마트폰 로봇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스마트폰 100 : 스마트폰 로봇
110 : 본체 120 : 거치대
121 : 거치부 122 : 착탈부

Claims (12)

  1.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거치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부;
    상기 본체에 탑재되어 상기 거치대에 거치되어 있는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어온 제어신호에 따라, 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탑재되는 음성출력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통신부와 상기 음성출력부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탑재되는 로봇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로봇.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스마트폰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폰을 상기 거치부에 착탈시키기 위한 착탈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로봇.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중 상기 거치대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을 충전시키기 위한 스마트폰충전기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 로봇.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충전기는 무선을 통해 상기 거치대에 안착되어 있는 스마트폰을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로봇.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또 다른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어온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탑재되는 영상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 로봇.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또 다른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어온 제어신호에 따라, 광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탑재되어 있는 광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 로봇.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들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에 전원을 충전시키기 위한 자가충전기; 및
    외부의 충전단자를 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탑재되어 있는 충전단자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봇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에 전원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동부와 상기 충전단자탐지부를 구동시켜, 상기 본체를 상기 충전단자로 이동시킨 후, 상기 자가충전기를 상기 충전단자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로봇.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또 다른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어온 상기 스마트폰의 배터리 충전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로봇제어부가 상기 이동부와 상기 충전단자탐지부를 구동시켜, 상기 본체를 상기 충전단자로 이동시킨 후, 상기 스마트폰을 충전시키기 위해 상기 거치대에 장착되어 있는 스마트폰충전기를 상기 충전단자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로봇.
  9.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제어신호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신호입력부를 통해 상기 거치대에 거치되어 있는 상기 스마트폰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로봇제어부가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로봇.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또 다른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어온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을 수집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탑재되어 있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 로봇.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또 다른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어온 제어신호에 따라, 음성을 수집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탑재되어 있는 음성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 로봇.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제어부는, 상기 영상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며.
    상기 또 다른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방향이동 제어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로봇제어부가 상기 카메라부를 구동시켜 영상을 수집하면서 상기 이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방향이동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로봇.
KR1020110047352A 2011-05-19 2011-05-19 스마트폰 로봇 KR20120129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352A KR20120129230A (ko) 2011-05-19 2011-05-19 스마트폰 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352A KR20120129230A (ko) 2011-05-19 2011-05-19 스마트폰 로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230A true KR20120129230A (ko) 2012-11-28

Family

ID=47513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352A KR20120129230A (ko) 2011-05-19 2011-05-19 스마트폰 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9230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4531A1 (ko) * 2012-12-28 2014-07-03 (주) 퓨처로봇 퍼스널 로봇
WO2014101714A1 (zh) * 2012-12-24 2014-07-03 Li Bo 手机驱动机器人
CN103971682A (zh) * 2014-05-14 2014-08-06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冰雪机器人的语音控制方法
KR101488894B1 (ko) * 2013-07-06 2015-02-04 마산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단말기로 운전 가능한 이동 로봇
KR101494600B1 (ko) * 2014-01-10 2015-02-23 주식회사 로보로보 교육용 또는 완구용 음성인식 기반 로봇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제어방법
KR200476810Y1 (ko) * 2013-01-28 2015-04-07 (주)이삭전자 서비스센터용 핸드폰 거치대
WO2015077025A1 (en) * 2013-11-20 2015-05-28 Qualcomm Incorporated Autonomous robot for a mobile device
WO2015142087A1 (ko) * 2014-03-19 2015-09-24 주식회사 로보티즈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로봇 및 로봇을 통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
KR20160042717A (ko) * 2014-10-10 2016-04-20 황윤도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시간 감시 장치
CN107309880A (zh) * 2017-07-06 2017-11-03 优必选教育(深圳)有限公司 一种人形机器人装置、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WO2018105836A1 (ko) * 2016-12-07 2018-06-14 송수한 이동형 자동급식 장치, 반려동물 케어 로봇, 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190116547A (ko) * 2012-10-31 2019-10-14 사르코스 엘씨 뱀형 로봇 크롤러
KR20210074009A (ko) * 2019-12-11 2021-06-2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단말기를 수용하는 로봇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547A (ko) * 2012-10-31 2019-10-14 사르코스 엘씨 뱀형 로봇 크롤러
WO2014101714A1 (zh) * 2012-12-24 2014-07-03 Li Bo 手机驱动机器人
US9873200B2 (en) 2012-12-28 2018-01-23 Future Robot Co., Ltd. Personal robot
WO2014104531A1 (ko) * 2012-12-28 2014-07-03 (주) 퓨처로봇 퍼스널 로봇
KR200476810Y1 (ko) * 2013-01-28 2015-04-07 (주)이삭전자 서비스센터용 핸드폰 거치대
KR101488894B1 (ko) * 2013-07-06 2015-02-04 마산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단말기로 운전 가능한 이동 로봇
WO2015077025A1 (en) * 2013-11-20 2015-05-28 Qualcomm Incorporated Autonomous robot for a mobile device
CN105873731A (zh) * 2013-11-20 2016-08-17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移动设备的自主机器人
US9501056B2 (en) 2013-11-20 2016-11-22 Qualcomm Incorporated Autonomous robot for a mobile device
KR101494600B1 (ko) * 2014-01-10 2015-02-23 주식회사 로보로보 교육용 또는 완구용 음성인식 기반 로봇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제어방법
WO2015142087A1 (ko) * 2014-03-19 2015-09-24 주식회사 로보티즈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로봇 및 로봇을 통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
CN106416126A (zh) * 2014-03-19 2017-02-15 株式会社乐博特思 控制智能设备的机器人以及基于机器人的智能设备控制系统
CN106416126B (zh) * 2014-03-19 2019-12-10 株式会社乐博特思 控制智能设备的机器人以及基于机器人的智能设备控制系统
CN103971682A (zh) * 2014-05-14 2014-08-06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冰雪机器人的语音控制方法
KR20160042717A (ko) * 2014-10-10 2016-04-20 황윤도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시간 감시 장치
WO2018105836A1 (ko) * 2016-12-07 2018-06-14 송수한 이동형 자동급식 장치, 반려동물 케어 로봇, 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N107309880A (zh) * 2017-07-06 2017-11-03 优必选教育(深圳)有限公司 一种人形机器人装置、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20210074009A (ko) * 2019-12-11 2021-06-2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단말기를 수용하는 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9230A (ko) 스마트폰 로봇
JP6360601B2 (ja) ヘッドセットに基づく通信プラットホーム
US10219100B2 (en) Determining proximity for devices interacting with media devices
TWI443501B (zh) 附件電源管理
KR101675247B1 (ko) 촬영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JP6178929B2 (ja) モード切替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16119458A1 (zh) 遥控方法及装置
JP6285615B2 (ja) リモートアシスタンス方法、クライアント、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4500709A (zh) 个人无线媒体站
WO2020078330A1 (zh) 一种基于语音通话的翻译方法及电子设备
JP2015523830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情報伝送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14339693A (zh) 一种多设备蓝牙配对的通信方法和系统
AU2014236092A1 (en) Proximity-based control of media devices
KR101478257B1 (ko) 스마트 기기가 장착된 로봇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57286A (ko) 이동 단말기
JP2018506084A (ja) スマート家電製品の複数のサーバ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方法、装置、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238965B1 (ko) 스마트 기기 결합 카메라
JP2014241524A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通信装置の使用方法
CN111917190B (zh) 无线耳机充电方法、终端以及无线耳机
CN111638934B (zh) 交互控件的状态同步方法、装置及手持相机
KR101474415B1 (ko) 휴대 단말기
WO2023246881A1 (zh) 一种插件控制方法、系统及相关装置
WO2022022722A1 (zh) 配件主题自适应方法、装置和系统
CN113225106A (zh) 无线充电座、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15706431A (zh) 附属功能模块的充电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