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42087A1 -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로봇 및 로봇을 통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로봇 및 로봇을 통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42087A1
WO2015142087A1 PCT/KR2015/002693 KR2015002693W WO2015142087A1 WO 2015142087 A1 WO2015142087 A1 WO 2015142087A1 KR 2015002693 W KR2015002693 W KR 2015002693W WO 2015142087 A1 WO2015142087 A1 WO 201514208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robot
command
control
command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269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병수
하인용
김기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티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티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티즈
Priority to CN201580023324.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6416126B/zh
Publication of WO201514208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4208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Definitions

  • the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of the robot instead of connecting the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of the robot by making a sensor and a display device necessary for realizing the function of the robot as a separate module, it is possible to connect a smart device that is used a lot with the controller of the robot, The function of the robot can be implemented at no cost.
  • the smart device 100 may download various applications including a control application through an application store provided by an application management server (not shown), and may store and install the downloaded application in a memory.
  • the smart device 100 may execute an installed application and perform each function according to a service provided by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 Table 1 shows a control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 table may include an address, an item, an access method, an initial value, a minimum value, a maximum value, a length, and the like.
  • Table 1 includes only a part of the control tab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control tabl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mart device 100 or the robot 200.
  • the robot 200 may generate the second command packet based on the status packet received in the 4 status packet transmission step.
  • the smart device 100 may store a list of resources used in the control table included in the control application.
  • the smart device 100 may store a resource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image files, separately manage the index number allocated to each image file, and manage the index number of the last set image file.
  • the smart device 100 may store the resource list used in the control table for each operation item. For example, if the action item is audio playback, the resource list is an audio file list. If the action item is video playback, the resource list may be a video file list, and the smart device 100 may store the resource li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미리 설정된 제어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로봇 행동 제어 프로그래밍 툴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에 할당된 아이디, 주소, 명령어 및 제어값을 포함하는 명령 패킷을 생성한 후 상기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가 상기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제어 테이블을 통해 상기 명령 패킷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로봇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로봇 및 로봇을 통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로봇 및 로봇을 통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로봇 및 로봇에 의해 생성된 명령 패킷을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로봇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로봇이 개발되고 있으며, 로봇이 응용되는 분야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에, 단순한 동작을 수행하는 로봇(예를 들면, 청소 로봇)에서, 복잡한 동작을 수행하는 로봇(예를 들면, 산업용 로봇)으로 로봇의 기능이 향상됨에 따라, 고성능의 센서, 고화질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장착된 첨단 로봇이 개발되었으나, 해당 로봇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한다.
한편, 스마트 기기의 성능이 발전함에 따라,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LCD 화면 표시, LCD 화면 터치, 스피커, 마이크, 마그네틱 센서, 카메라 등 유용한 기능들이 탑재된 스마트 기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스마트 기기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많은 사용자들이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 기기에 탑재된 고성능의 센서 및 고화질의 디스플레이가 로봇에 사용되었을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고성능의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스마트 기기를 로봇에 연결하여, 로봇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스마트 기기의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스마트 기기를 통한 로봇 제어 기술에 대해서는 개발되었지만, 로봇을 통해 스마트 기기를 토탈 제어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스마트 기기의 기능을 로봇에서 사용함으로써, 신뢰도와 정밀도가 높은 스마트 기기의 기능을 별도의 비용 부담 없이 로봇의 기능 구현에 활용하여 로봇에 의 모듈 추가를 위한 추가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로봇 및 로봇에 의해 생성된 명령 패킷을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미리 설정된 제어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로봇 행동 제어 프로그래밍 툴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에 할당된 아이디, 주소, 명령어 및 제어값을 포함하는 명령 패킷을 생성한 후 상기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가 상기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제어 테이블을 통해 상기 명령 패킷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로봇이 제공된다.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명령 패킷에 포함된 명령어가 쓰기 명령이면, 상기 제어값을 상기 주소에 대응되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주소에 지정된 동작 아이템을 상기 제어값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명령 패킷에 포함된 명령어가 읽기 명령이면, 상기 주소에 지정된 동작 아이템을 상기 제어값에 따라 수행하는 중의 상태, 수행 결과, 수행에 사용한 상기 제어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패킷을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무선 식별(RFID), 근거리 통신(NFC) 및 지그비(Zigbee) 중 미리 설정된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제어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로봇 행동 제어 프로그래밍 툴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에 할당된 아이디, 주소, 명령어 및 제어값을 포함하는 명령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명령 패킷을 미리 설정된 제어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로봇; 및 상기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로봇으로부터 상기 명령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제어 테이블을 통해 상기 명령 패킷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로봇을 통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명령 패킷에 포함된 명령어가 쓰기 명령이면, 상기 제어값을 상기 주소에 대응되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주소에 지정된 동작 아이템을 상기 제어값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명령 패킷에 포함된 명령어가 읽기 명령이면, 상기 주소에 지정된 동작 아이템을 상기 제어값에 따라 수행하는 중의 상태, 수행 결과, 수행에 사용한 상기 제어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패킷을 상기 로봇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로봇과 상기 스마트 기기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무선 식별(RFID), 근거리 통신(NFC) 및 지그비(Zigbee) 중 미리 설정된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수행되는 통신은, 상기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실행되면, 상기 로봇과 상기 스마트 기기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봇의 기능 구현에 필요한 센서 및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별도의 모듈로 제작하여 로봇의 제어기에 연결하는 대신, 많이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 기기를 로봇의 제어기와 연결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비용 부담 없이 로봇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에 포함된 고성능의 센서들을 로봇의 제어기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신뢰도와 정밀도가 높은 스마트 기기의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을 통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로봇을 통해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을 통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을 통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스마트 기기(100) 및 로봇(2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100)와 로봇(200)은 유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무선 식별(RFID), 근거리 무선 통신(NFC), 지그비(Zigbee) 등의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로봇(200)과 연결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와 같이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로봇(200)과 연결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미도시)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 할 수 있으며, 다운로드가 완료된 애플리케이션을 메모리 내에 저장하여 설치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라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 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스마트 기기(100)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후술할 로봇(200)에서 생성되는 명령 패킷에 기초하여 스마트 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명령 패킷은 헤더, 아이디, 주소, 명령어, 제어값 및 에러 체크 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명령 패킷에 대응하는 제어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테이블은 스마트 기기(100)의 상태와 동작에 관한 데이터로 구성되며, 주소, 아이템, 액세스 방식, 초기값, 최소값, 최대값, 길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표 1 및 표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스마트 기기(100) 또는 이와 통신 가능한 다른 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스마트 기기(100)에 설치된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스마트 기기(100)와 로봇(200)과의 통신이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무선 식별(RFID), 근거리 통신(NFC) 및 지그비(Zigbee) 중 미리 설정된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스마트 기기(100)와 로봇(200) 사이에 연결된 통신 방식에 따라, 로봇(200)으로부터 명령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기기(100)와 로봇(200)이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스마트 기기(100)는 블루투스 동글을 포함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로봇(200)으로부터 명령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스마트 기기(100)와 로봇(200)이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스마트 기기(100)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무선 식별(RFID), 근거리 통신(NFC) 및 지그비(Zigbee) 등의 무선 통신을 통해, 로봇(200)으로부터 명령 패킷을 수신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을 위해 필요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제어 테이블을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100)의 메모리 주소에 지정된 동작 아이템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스마트 기기(100)는 해당 주소에 저장된 제어값에 따라 결정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표 1 및 표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표 1
주소 아이템 액세스 방식 초기값 최소값 최대값 길이
10000 화면 회전 읽기/쓰기 0 0 2 1
10010 자기장 센서 읽기 0 0 65535 2
10020 음성 인식 읽기/쓰기 0 0 1 1
10030 앱 실행 읽기/쓰기 0 0 199 1
10040 배경 표시 읽기/쓰기 0 0 199 1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테이블을 나타낸 것으로, 제어 테이블은 주소, 아이템, 액세스 방식, 초기값, 최소값, 최대값, 길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 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어 테이블의 일부분만을 포함한 것으로, 제어 테이블은 스마트 기기(100) 또는 로봇(200)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주소는 데이터를 기록 또는 판독하게 되는 스마트 기기(100)의 메모리 주소를 의미할 수 있다.
아이템은 해당 주소에 지정된 스마트 기기(100)에서 수행되는 동작의 종류를 의미할 수 있다.
액세스 방식은 해당 아이템에 대한 기록 및 판독 가능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회전 기능은 읽기 및 쓰기 모두 가능한 것으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화면 회전 아이템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및 판독 모두 가능한 것임을 알 수 있으며, 자기장 센서 기능은 읽기만 가능한 것으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자기장 센서 아이템에 대한 데이터의 판독만 가능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초기값은 제어 테이블이 포함된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스마트 기기(100)에서 처음 실행될 때, 해당 주소의 초기값을 의미할 수 있다.
최소값과 최대값은 해당 아이템의 데이터에 대한 최소값과 최대값을 의미할 수 있다.
길이는 해당 아이템의 데이터에 대한 Byte 단위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표 2
주소 아이템 제어값
10000 화면 회전 (읽기) 0 : 자동, 1 : 세로, 2 : 가로(쓰기) 0 : 자동, 1 : 세로, 2 : 가로
10010 자기장 센서 자기장 센서 값
10020 음성 인식 (읽기) 0 : 동작 안함, 1 : 동작 중(쓰기) 0 : 동작 중지, 1 : 동작 시작
10030 앱 실행 (읽기) 마지막으로 실행한 앱 번호(쓰기) 실행 시킬 앱 번호
10040 배경 표시 (읽기) 마지막으로 설정된 이미지 번호(쓰기) 배경 이미지로 사용할 이미지 번호
표 2는 제어 테이블의 아이템 별로 제어값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스마트 기기(100)는 제어 테이블을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100)의 메모리 주소에 지정된 동작 아이템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 때, 명령 패킷에 포함된 아이디, 주소, 명령어, 제어값 등을 확인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수행 시, 스마트 기기(100)는 먼저 아이디를 확인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주체가 스마트 기기(100)인지 확인한 후, 주소를 확인하여 주소에 지정된 동작 아이템을 확인하고, 명령어 및 제어값을 확인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명령어는 읽기 또는 쓰기 명령일 수 있으며, 읽기 명령인 경우, 스마트 기기(100)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상태 패킷을 요청하는 명령일 수 있으며, 쓰기 명령인 경우, 스마트 기기(100)의 메모리 주소에 제어값을 저장하여, 저장된 제어값을 통해 결정되는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명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어가 '쓰기' 명령인 경우, 스마트 기기(100)에 '2' 아이디가 할당되어 있는데, 로봇(200)으로부터 아이디, 주소, 명령어, 제어값을 포함하는 명령 패킷이 수신되면, 스마트 기기(100)는 먼저 아이디가 '2'인지 확인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주체가 스마트 기기(100)인지 확인한 후, 주소를 확인하여 주소에 지정된 동작 아이템을 확인하고, '쓰기' 명령어를 확인하여 명령 패킷에 포함된 주소에 대응되는 스마트 기기(100)의 메모리 주소에 제어값을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스마트 기기(100)는 주소에 지정된 동작 아이템을 수행하는데, 주소가 '10000' 이면, 화면을 회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스마트 기기(100)는 메모리 주소에 저장된 제어값이 '1' 이면, 세로로 화면을 회전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제어값이 '2' 이면, 가로로 화면을 회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주소에 지정된 동작 아이템을 통해 동작의 종류가 결정될 수 있고, 제어값을 통해 동작의 세부 사항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어가 '읽기' 명령인 경우, 로봇(200)으로부터 아이디, 주소, 명령어를 포함하는 명령 패킷이 수신되면, 스마트 기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아이디 및 주소를 확인하여 스마트 기기(100)와 동작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고, '읽기' 명령어를 확인하여, 명령 패킷에 포함된 주소에 대응되는 스마트 기기(100)의 메모리 주소에 저장된 제어값을 판독한 후, 스마트 기기(100)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패킷을 로봇(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 패킷에 포함된 주소가 '10000'이면, 스마트 기기(100)는 주소에 지정된 동작 아이템인 화면 회전 동작을 확인하기 위해, 주소 '10000'에 대응되는 메모리 주소에 저장된 제어값을 판독할 수 있고, 판독한 제어값을 포함하는 상태 패킷을 로봇(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로봇(200)은 상태 패킷에 포함된 제어값을 확인하여, 제어값이 '1' 이면, 스마트 기기(100)의 화면 회전 상태가 세로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고, 제어값이 '2' 이면 스마트 기기(100)의 화면 회전 상태가 가로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상태 패킷 전송 시, 스마트 기기(100)는 명령 패킷에 포함된 주소에 지정된 동작 아이템을 제어값에 따라 수행하는 중의 상태, 수행 결과, 수행에 사용한 제어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패킷을 로봇(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 패킷에 포함된 주소가 '10010' 이면, 스마트 기기(100)는 주소에 지정된 동작 아이템인 자기장 센서의 동작을 수행시켜, 자기자 센서 값을 포함하는 상태 패킷을 로봇(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스마트 기기(100)는 동작 아이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 결과를 포함하는 상태 패킷을 로봇(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명령 패킷에 포함된 주소가 '10020' 이면, 스마트 기기(100)는 주소에 지정된 동작 아이템인 음성 인식이 동작 중인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고, 제어 테이블을 이용하여 동작 중이면, '1' 제어값을 포함하는 상태 패킷을 로봇(200)으로 전송하고, 동작하지 않으면, '0' 제어값을 포함하는 상태 패킷을 로봇(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스마트 기기(100)는 동작 수행중인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패킷을 로봇(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명령 패킷에 포함된 주소가 '10030'이면, 스마트 기기(100)는 주소에 지정된 동작 아이템인 앱 실행의 동작을 확인하여, 제어값(마지막으로 실행한 앱 번호)을 포함하는 상태 패킷을 로봇(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스마트 기기(100)는 동작 수행에 사용된 제어값을 포함하는 상태 패킷을 로봇(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로봇(200)은 스마트 기기(100)로 '읽기' 명령어를 포함하는 명령 패킷을 전송하고,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상태 패킷을 수신하는 과정을 통해, 스마트 기기(100)의 동작 수행 여부, 스마트 기기(100)의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태 패킷을 기초로 새로운 명령 패킷을 생성하여, 스마트 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로봇(200)은 액추에이터 모듈, 센서 모듈, 통신 모듈, 제어기 등 다양한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로봇(200)의 제어기는 모듈 별로 각각 할당된 아이디를 포함하는 명령 패킷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한 명령 패킷을 통해 아이디에 해당하는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모듈 제어 시, 로봇(200)의 제어기는 명령 패킷을 생성하고, 해당 명령 패킷을 모듈로 전송하여, 해당 모듈이 명령 패킷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로봇(200)의 제어기는 스마트 기기(100)를 하나의 모듈로 인식하여, 스마트 기기(100)에도 로봇(200)의 모듈과 같이 아이디를 할당하고, 스마트 기기(100)에 할당된 아이디를 포함하는 명령 패킷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한 명령 패킷을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로봇(200)은 스마트 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명령 패킷을 스마트 기기(100)로 전송하는데, 이 때, 스마트 기기(1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유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고, 스마트 기기(10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로봇(200)은 통신부(210) 및 제어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무선 식별(RFID), 근거리 통신(NFC) 및 지그비(Zigbee) 중 미리 설정된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스마트 기기(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신 방식에 따라 해당 통신을 지원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면, 통신부(210)는 블루투스 동글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에서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통신부(210)는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스마트 기기(100)를 감지하여, 스마트 기기(100)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통신부(210)와 스마트 기기(100)는 미리 설정된 제어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스마트 기기(100)와 통신부(210) 사이에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명령 패킷 또는 상태 패킷의 전송을 위한 제어 프로토콜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기(220)는 로봇 행동 제어 프로그래밍 툴을 통해 명령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로봇 행동 제어 프로그래밍 툴은 처리해야 하는 작업을 로봇(200)의 모듈에 할당하여, 해당 작업이 처리되도록 로봇(200)의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패킷을 생성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100)에 설치된 제어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되어 있어, 스마트 기기(100)를 하나의 로봇(200)의 모듈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명령 패킷은 헤더, 아이디, 주소, 명령어, 제어값 및 에러 체크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는 패킷의 맨앞에 위치하여 패킷을 시작을 알려줄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제어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되는 패킷이 분석되기 위한 규격이나 포맷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디는 로봇(200)의 모듈에 할당된 아이디를 의미할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100)가 로봇(200)의 모듈 중 하나로 인식되어 아이디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 스마트 기기(100)에 할당된 아이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소는 스마트 기기(100)의 메모리 주소를 의미할 수 있으며, 명령 패킷에 포함된 주소는 제어 테이블에 포함된 주소와 대응되어 해당 주소를 통해 제어하고자 하는 동작의 종류가 결정될 수 있다.
명령어는 아이디에 해당하는 로봇(200)의 모듈에게 주소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명령으로, '쓰기'인 경우, 해당 모듈의 동작을 수행하고, '읽기'인 경우 해당 모듈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명령일 수 있다.
에러 체크 코드는 패킷의 전송 시 발생된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코드로, CRC(Cyclic Redundancy Check) 등 공지된 에러 체크 방식에 따른 다양한 코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기(220)는 상술한 헤더, 아이디, 주소, 명령어, 제어값, 에러 체크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명령 패킷을 생성할 수 있고, 통신부(210)는 명령 패킷을 스마트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210)는 '읽기' 명령어를 포함하는 명령 패킷을 스마트 기기(100)로 전송한 후,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스마트 기기(100)의 동작 수행 여부 또는 스마트 기기(100)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어기(220)는 상태 패킷을 기초로 새로운 명령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210)는 '읽기' 또는 '쓰기' 명령어를 포함하는 명령 패킷을 스마트 기기(100)로 전송한 후,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명령 패킷에 대한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에러 정보는 명령 패킷에 대한 에러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로, 동작 수행 완료 여부, 동작 아이템에 대한 기 설정 여부, 동작 수행 가능 여부, 명령 패킷에 대한 오류 발생 여부, 최소값 또는 최대값 범위 내의 제어값 포함 여부, 제어값의 길이에 대한 적합 여부, 액세스 방식의 적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 명령 패킷에 대한 에러의 유무를 나타내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에러의 유무를 나타내는 다양한 정보들은 비트 단위로 할당되거나 번호로 지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100)는 에러의 유무를 나타내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에러 정보를 바이트 단위로 상태 패킷에 포함시켜, 통신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로부터 명령 패킷을 수신한 스마트 기기(100)는 명령 패킷에 포함된 '10000' 주소 및 '1' 제어값을 통해 결정되는 세로로 화면을 회전하는 동작을 수행(세로로 화면을 회전하는 동작 수행을 완료하지 못하였으면, 에러로 체크)한 후, 해당 동작에 대한 수행 완료 여부를 포함하는 상태 패킷을 통신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명령 패킷에 포함된 '20000' 주소에 지정된 동작 아이템이 기 설정되어 있는지 제어 테이블을 이용하여 확인('20000' 주소에 지정된 동작 아이템이 기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에러로 체크)한 후, 주소에 지정된 동작 아이템에 대한 기 설정 여부를 포함하는 상태 패킷을 통신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명령 패킷에 포함된 '10010' 주소에 지정된 동작 아이템에 따라, 자기장 센서의 동작 수행 가능 여부를 확인(자기장 센서가 고장, 파손 등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에러로 체크)한 후, 동작 수행 가능 여부를 포함하는 상태 패킷을 통신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명령 패킷 전송 시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해 명령 패킷에 포함된 에러 검출 코드를 확인(오류 발생하였으면, 에러로 체크)한 후, 명령 패킷에 대한 오류 발생 여부를 포함하는 상태 패킷을 통신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명령 패킷에 포함된 '10020' 주소에 설정되어 있는 최소값과 최대값을 제어 테이블을 이용하여 확인('10020' 주소에 설정되어 있는 최소값은 '0' 이고, 최대값은 '1' 이므로, 제어값이 '2'이면, 에러로 체크)한 후, 명령 패킷에 포함된 제어값이 최소값과 최대값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상태 패킷을 통신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명령 패킷에 포함된 '10010' 주소에 설정되어 있는 길이를 제어 테이블을 이용하여 확인('10010' 주소에 설정되어 있는 길이는 2바이트이므로, 제어값의 길이가 1바이트이면, 에러로 체크)한 후, 명령 패킷에 포함된 제어값이 해당 길이에 적합한지 여부를 포함하는 상태 패킷을 통신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명령 패킷에 포함된 '10010' 주소에 설정되어 있는 엑세스 방식의 적합 여부를 확인('10010' 주소에 설정되어 있는 엑세스 방식은 '읽기' 이므로, '쓰기' 명령어이면, 에러로 체크)한 후, 명령 패킷에 포함된 명령어에 대한 액세스 방식의 접학 여부를 포함하는 상태 패킷을 통신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부(210)는 명령 패킷을 스마트 기기(100)로 전송한 후,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명령 패킷에 대한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스마트 기기(100)는 명령 패킷에 해당하는 동작 수행 전, 명령 패킷의 수신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 상태 패킷을 통신부(210)로 전송할 수 있고, 명령 패킷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면서, 동작이 수행되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 상태 패킷을 통신부(210)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동작 수행 완료 후, 동작의 수행 완료 여부를 알려주기 위해 상태 패킷을 통신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기(220)는 통신부(210)가 수신한 상태 패킷을 기초로, 상태 패킷에 포함된 에러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한 에러 정보를 반영한 새로운 명령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통신부(210)는 새로운 명령 패킷을 스마트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210)는 '쓰기' 명령어를 포함하는 명령 패킷을 스마트 기기(100)로 전송한 후,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상태 패킷을 수신하지 않으면서, 새로운 명령 패킷을 더 스마트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부(210)는 '쓰기' 명령어를 포함하는 명령 패킷을 전송한 후, 해당 명령 패킷이 제대로 전송되어 명령 패킷에 해당하는 동작이 잘 수행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태 패킷 수신을 대기할 수도 있지만, 상태 패킷 수신이 이루어지지 않아도, 제어기(220)에 의해 생성된 새로운 명령 패킷을 스마트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읽기' 명령어를 포함하는 명령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명령 패킷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상태 패킷을 확인해야 하지만, '쓰기' 명령어를 포함하는 명령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동작 수행 결과를 확인해도 되고, 확인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상태 패킷의 확인 없이 새로운 명령 패킷을 스마트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새로운 명령 패킷 전송 시, 상패 패킷이 동시에 수신되면 서로 충돌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빠른 제어를 위해 '쓰기' 명령어를 포함하는 명령 패킷 전송 시 상태 패킷이 전송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통신부(210)는 '쓰기' 명령어를 포함하는 명령 패킷을 전송한 후, 상태 패킷 수신이 이루어지지 않아도, 새로운 명령 패킷을 더 스마트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기(220)는 로봇(200)의 모듈 각각에 할당된 아이디를 관리할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100)에도 해당 아이디를 할당하여, 스마트 기기(100)를 로봇(200)의 모듈과 동일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로봇(200)의 모듈을 제어하는 과정과 같이 스마트 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로봇(200)을 통해 스마트 기기(100)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스마트 기기(100)에는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설치된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스마트 기기(100)와 로봇(200) 사이에 미리 설정된 제어 프로토콜을 통한 통신이 연결될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100)는 명령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대기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① 제 1 명령 패킷 생성 단계에서, 로봇(200)은 제 1 명령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로봇(200)은 로봇(200)의 기능 구현을 위해 로봇(200)의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명령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로봇(200)은 로봇(200)의 모듈 각각에 아이디를 할당하고, 스마트 기기(100)에도 아이디를 할당하여, 할당된 아이디에 해당하는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패킷을 로봇 행동 제어 프로그래밍 툴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200)의 액추에이터 모듈에 '1' 아이디가 할당되어 있고, 센서 모듈에 '2' 아이디가 할당되어 있으며, 스마트 기기(100)에 '3'아이디가 할당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제 1 명령 패킷에 포함된 아이디가 '1' 또는 '2' 아이디인 경우, 로봇(200)은 제 1 명령 패킷을 멀티 드롭 방식으로 액추에이터 모듈 또는 센서 모듈로 전송하여, 해당 모듈이 제 1 명령 패킷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명령 패킷에 포함된 아이디가 '3' 아이디인 경우, 로봇(200)은 제 1 명령 패킷을 스마트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① 제 1 명령 패킷 생성 단계에서 생성한 제 1 명령 패킷에 포함된 아이디가 스마트 기기(100)에 할당된 아이디인 경우, 로봇(200)은 ② 제 1 명령 패킷 전송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로봇(200)이 로봇(200)을 구성하는 각각의 모듈 및 스마트 기기(100)를 모두 동일한 로봇(200)의 모듈로 인식하고, 해당 모듈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명령 패킷을 생성하는데, 이 중, 로봇(200)에 포함된 모듈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명령 패킷은 로봇(200) 내부에서 처리되고, 스마트 기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명령 패킷은 스마트 기기(100)로 전송되어 해당 명령이 스마트 기기(100)에서 처리될 수 있다.
③ 제 1 동작 수행 단계에서, 스마트 기기(100)는 제 1 명령 패킷에 해당하는 제 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스마트 기기(100)는 실행중인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제어 테이블 이용하여 제 1 명령 패킷에 해당하는 제 1 동작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으며, 분석한 데이터를 기초로 제 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명령 패킷이 '쓰기'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 스마트 기기(100)는 제 1 명령 패킷에 해당하는 제 1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 1 동작 수행 후, 새로운 명령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대기 모드로 돌아갈 수 있다. 이 때, 로봇(200)이 새로운 명령 패킷을 생성하면, 상술한 과정을 통해 스마트 기기(100)는 새로운 명령 패킷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① 제 1 명령 패킷 생성 단계부터 ③ 제 1 동작 수행 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 때, 명령 패킷만 변경되어 반복함으로써, 스마트 기기(100)는 변경되는 명령 패킷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명령 패킷이 '읽기'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 ④ 상태 패킷 전송 단계에서, 스마트 기기(100)는 제어 테이블을 이용하여 생성된 상태 패킷을 로봇(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로봇(200)은 '읽기'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 1 명령 패킷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스마트 기기(100)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⑤ 제 2 명령 패킷 생성 단계에서, 로봇(200)은 ④ 상태 패킷 전송 단계에서 수신한 상태 패킷에 기초하여, 제 2 명령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로봇(200)은 스마트 기기(100)의 현재 상태에 따라 스마트 기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 2 명령 패킷을 생성할 수 있으며, 제 1 명령 패킷을 생성할 때에도 미리 상태 패킷을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수신하여, 제 1 명령 패킷을 생성할 수도 있다.
⑥ 제 2 명령 패킷 전송 단계에서, 로봇(200)은 제 2 명령 패킷을 스마트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⑦ 제 2 동작 수행 단계에서, 스마트 기기(100)는 제 2 명령 패킷에 해당하는 제 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⑦ 제 2 동작 수행 단계 이후, 스마트 기기(100)는 새로운 명령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대기 모드로 돌아갈 수 있으며, 새로운 명령 패킷을 수신하여, 새로운 명령 패킷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① 제 1 명령 패킷 생성 단계 또는 ⑤ 제 2 명령 패킷 생성 단계부터 ⑦ 제 2 동작 수행 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 때, 명령 패킷만 변경되어 반복함으로써, 스마트 기기(100)는 변경되는 명령 패킷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⑦ 제 2 동작 수행 단계 이후, 스마트 기기(100)는 새로운 명령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대기 모드로 설정되었는데,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3분) 후에도 새로운 명령 패킷이 로봇(200)으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실행중인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스마트 기기(100)와 로봇(200) 사이에 연결된 통신은 해제되어 통신이 끊어질 수 있다.
도 4는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100)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스마트 기기(100)는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제어 테이블에서 사용되는 리소스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표 2를 참조하면, '10040' 주소에 지정된 배경 표시 동작 수행 시, 제어값으로 '읽기' 명령이면, 마지막으로 설정된 이미지 번호이고, '쓰기' 명령이면 배경 이미지로 사용할 이미지 번호이다. 이 때, 스마트 기기(100)는 복수의 이미지 파일을 포함하는 리소스 목록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미지 파일 별로 할당된 인덱스 번호를 별도로 관리하고, 마지막으로 설정된 이미지 파일의 인덱스 번호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기기(100)는 1번 인덱스 번호에 대응하는 "꽃" 이미지 파일 및 2번 인덱스 번호에 대응하는 "자동차" 이미지 파일을 포함하는 리소스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스마트 기기(100)는 로봇(200)으로부터 '10040' 주소, '쓰기' 명령어, 제어값을 포함하는 명령 패킷을 수신하여, '10040' 주소에 대응되는 메모리 주소에 제어값을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스마트 기기(100)는 '10040' 주소에 지정된 배경 표시 동작을 수행하는데, 제어값이 '1'이면, 1번 인덱스 번호에 대응하는 "꽃" 이미지 파일을 배경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고, 제어값이 '2'이면, 2번 인덱스 번호에 대응하는 "자동차" 이미지 파일을 배경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스마트 기기(100)는 제어 테이블에서 사용되는 리소스 목록을 동작 아이템 별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아이템이 오디오 재생이면, 리소스 목록은 오디오 파일 목록이고, 동작 아이템이 동영상 재생이면, 리소스 목록은 동영상 파일 목록일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100)는 해당 리소스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로봇(200) 별로 리소스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이는, 로봇(200) 별로 스마트 기기(100)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것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리소스 목록이 복수의 로봇(200)에서 생성되는 명령 패킷에 대응하는 경우, 리소스 목록이 너무 많이 늘어나 관리하기 어렵고, 리소스 목록의 일부 삭제 시 인덱스 번호의 변경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하나의 로봇(200)과 하나의 리소스 목록을 매칭하여, 각각의 리소스 목록을 프로젝트라 칭하고, 프로젝트 마다 상이한 리소스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제어 테이블을 이용하여 복수의 로봇(200)으로부터 수신되는 명령 패킷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동일한 명령 패킷이라도 리소스 목록이 상이하기 때문에 다른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기기(100)는 제 1 로봇의 리소스 목록에서 1번 인덱스 번호에 대응하는 "사자" 이미지 파일을 저장할 수 있고, 제 2 로봇의 리소스 목록에서 1번 인덱스 번호에 대응하는 "호랑이" 이미지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스마트 기기(100)는 로봇(200)으로부터 '10040' 주소, '쓰기' 명령어, '1' 제어값을 포함하는 명령 패킷을 수신하여, '10040' 주소에 지정된 배경 표시 동작을 수행하는데, 제 1 로봇으로부터 명령 패킷을 수신한 경우, "사자" 이미지 파일을 배경으로 표시할 수 있고, 제 2 로봇으로부터 명령 패킷을 수신한 경우, "호랑이" 이미지 파일을 배경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스마트 기기(100)는 명령 패킷에 해당하는 동작 수행 시, 명령 패킷을 전송하는 로봇(200) 별로 상이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100)는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미리 등록된 프로젝트와 매칭되는 로봇(200)의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로봇(200)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소정 동작(예를 들면, 한 번 짧게 터치)을 취하면, 스마트 기기(100)는 선택된 로봇(200)에 의한 제어를 대기하는 대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대기 모드로 설정된 이후, 스마트 기기(100)는 로봇(200)의 제어기에서 생성된 명령 패킷을 수신하면, 해당 명령 패킷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로봇(200)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다른 소정 동작(예를 들면, 길게 터치)을 취하면, 스마트 기기(100)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100)의 기능을 테스트할 수 있는 아이템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스마트 기기(100)의 기능이 잘 동작하지 않아 로봇(200)이 제어하더라도, 해당 기능이 동작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테스트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특정 아이템이 선택되면, 스마트 기기(100)는 아이템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동영상 재생"이 표시된 부분을 선택하면, 스마트 기기(100)는 미리 설정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아이템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편집될 수 있으며, 도 4의 (b)에 도시된 "아이템 수정 가능한 기능만 표시"의 체크박스가 선택되면, 스마트 기기(100)는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 가능한 아이템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아이템을 추가, 삭제, 수정 등의 편집을 작업할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100)는 제어 테이블을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미리 설정된 제어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로봇 행동 제어 프로그래밍 툴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에 할당된 아이디, 주소, 명령어 및 제어값을 포함하는 명령 패킷을 생성한 후 상기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가 상기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제어 테이블을 통해 상기 명령 패킷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로봇.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명령 패킷에 포함된 명령어가 쓰기 명령이면, 상기 제어값을 상기 주소에 대응되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주소에 지정된 동작 아이템을 상기 제어값에 따라 수행하는,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로봇.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명령 패킷에 포함된 명령어가 읽기 명령이면, 상기 주소에 지정된 동작 아이템을 상기 제어값에 따라 수행하는 중의 상태, 수행 결과, 수행에 사용한 상기 제어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패킷을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로봇.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무선 식별(RFID), 근거리 통신(NFC) 및 지그비(Zigbee) 중 미리 설정된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로봇.
  5.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제어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로봇 행동 제어 프로그래밍 툴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에 할당된 아이디, 주소, 명령어 및 제어값을 포함하는 명령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명령 패킷을 미리 설정된 제어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로봇; 및
    상기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로봇으로부터 상기 명령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제어 테이블을 통해 상기 명령 패킷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로봇을 통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명령 패킷에 포함된 명령어가 쓰기 명령이면, 상기 제어값을 상기 주소에 대응되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주소에 지정된 동작 아이템을 상기 제어값에 따라 수행하는, 로봇을 통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명령 패킷에 포함된 명령어가 읽기 명령이면, 상기 주소에 지정된 동작 아이템을 상기 제어값에 따라 수행하는 중의 상태, 수행 결과, 수행에 사용한 상기 제어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패킷을 상기 로봇으로 전송하는, 로봇을 통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과 상기 스마트 기기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무선 식별(RFID), 근거리 통신(NFC) 및 지그비(Zigbee) 중 미리 설정된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수행되는 통신은, 상기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실행되면, 상기 로봇과 상기 스마트 기기 사이에 연결되는, 로봇을 통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
PCT/KR2015/002693 2014-03-19 2015-03-19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로봇 및 로봇을 통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 WO201514208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80023324.XA CN106416126B (zh) 2014-03-19 2015-03-19 控制智能设备的机器人以及基于机器人的智能设备控制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373 2014-03-19
KR1020140032373A KR101856452B1 (ko) 2014-03-19 2014-03-19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로봇 및 로봇을 통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42087A1 true WO2015142087A1 (ko) 2015-09-24

Family

ID=54144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2693 WO2015142087A1 (ko) 2014-03-19 2015-03-19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로봇 및 로봇을 통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56452B1 (ko)
CN (1) CN106416126B (ko)
WO (1) WO20151420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732B1 (ko) 2015-07-31 2018-01-31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80059182A (ko) * 2016-11-25 2018-06-04 (주)로보티즈 슬레이브 기기의 동기 방법
KR101877332B1 (ko) * 2016-11-25 2018-07-11 (주)로보티즈 다중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패킷 충돌 방지 방법
CN109036046A (zh) * 2018-09-05 2018-12-18 南京阿波罗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stem触屏可编程电子积木控制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1777A1 (ko) * 2010-12-17 2012-06-21 (주)케이티 스마트 로봇 장치 및 스마트 로봇 장치를 이용한 동적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20129230A (ko) * 2011-05-19 2012-11-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마트폰 로봇
KR20130019260A (ko) * 2011-08-16 2013-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20130035314A (ko) * 2011-09-30 2013-04-09 김형순 모션 장치로 동작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스마트 단말 및 방법, 그리고 모션 장치
US20130268119A1 (en) * 2011-10-28 2013-10-10 Tovbot Smartphone and internet service enabled robot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086B1 (ko) * 2009-12-22 2011-10-10 전자부품연구원 로봇 통신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CN103019118A (zh) * 2012-12-07 2013-04-03 麦活鹏 基于Android平台的机器动作控制系统
CN103399548A (zh) * 2013-07-31 2013-11-2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遥控智能设备的方法、移动终端、智能设备及系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1777A1 (ko) * 2010-12-17 2012-06-21 (주)케이티 스마트 로봇 장치 및 스마트 로봇 장치를 이용한 동적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20129230A (ko) * 2011-05-19 2012-11-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마트폰 로봇
KR20130019260A (ko) * 2011-08-16 2013-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20130035314A (ko) * 2011-09-30 2013-04-09 김형순 모션 장치로 동작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스마트 단말 및 방법, 그리고 모션 장치
US20130268119A1 (en) * 2011-10-28 2013-10-10 Tovbot Smartphone and internet service enabled robot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16126B (zh) 2019-12-10
KR101856452B1 (ko) 2018-05-10
CN106416126A (zh) 2017-02-15
KR20150109217A (ko) 201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42087A1 (ko)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로봇 및 로봇을 통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
WO2016060370A1 (en) Terminal for internet of thing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WO20150414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s for smart home service
WO2013048141A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usage history of applications executed between devices
WO2019093856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icrophone according to connection of external accessory
WO2019057089A1 (zh) 网卡镜像抓包方法、终端以及可读存储介质
WO2017026835A1 (ko) 모바일 단말기 및 터치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 방법
WO2013094881A1 (ko)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6036110A1 (ko) 네트워크 접속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WO2019039740A1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PDAT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ID METHOD
WO2022010136A1 (ko) 클라우드 서버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0186780A1 (zh) 用户操作录制还原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WO2017069502A1 (ko)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통합 리모컨 설정 방법 및 시스템
EP3669124A1 (en) Applianc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1153962A1 (ko) 스트리밍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WO2019035617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HEREFOR
WO2021025340A1 (en) Display apparatus, audio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WO2017065522A1 (en)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9177396A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9078527A1 (ko)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WO2023146199A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108716A1 (en) Messag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WO2023013896A1 (ko) 원격 제어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WO2022169124A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영상 출력 방법
WO2017150841A1 (ko) 전자장치,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7658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658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