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8390A -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코너 키 및 이 코너 키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고정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코너 키 및 이 코너 키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고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8390A
KR20120128390A KR1020110046295A KR20110046295A KR20120128390A KR 20120128390 A KR20120128390 A KR 20120128390A KR 1020110046295 A KR1020110046295 A KR 1020110046295A KR 20110046295 A KR20110046295 A KR 20110046295A KR 20120128390 A KR20120128390 A KR 20120128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vertical
insertion portion
corner
displa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규
박상우
박진우
서창영
박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양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양강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양강철
Priority to KR1020110046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8390A/ko
Publication of KR20120128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8Segmented fram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같은 각종 디스플레이의 외곽 틀을 이루는 사각형의 프레임에서 직각으로 접하는 코너 부위를 서로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코너 키와 이 코너 키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고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기 시작하는 코너 키의 가로 삽입부와 세로 삽입부 각각의 초입 부분 내?외측면 중 어느 일측면이 삽입방향을 향해 두께가 감소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로 삽입부와 세로 삽입부가 서로 만나는 코너 부위의 내?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는 삽입홈에 억지 끼워맞춤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돌기가 형성된 코너 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코너 키 및 이 코너 키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고정 방법{Corner key of display frame and fixing method of display fram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에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같은 각종 디스플레이의 외곽 틀을 이루는 사각형의 프레임에서 직각으로 접하는 코너 부위를 서로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코너 키와 이 코너 키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고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량화에 유리하고 우수한 소비 전력 특성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존의 음극선관(CRT : Cathode Ray Tube)을 거의 완전히 대체하고 있는 상황에 이르고 있다.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는 액정 패널 모듈과 화상 신호 처리 회로 및 외곽의 프레임 등으로 구성이 되는데, 액정 패널 모듈은 자체 발광 소자를 갖지 않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며, 이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 패널의 아래에 위치하여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액정 패널 측으로 제공하게 된다.
백라이트 유닛은, 빛을 발산하는 광원인 발광다이오드(LED)와 같은 램프와, 이 램프로부터 발산된 빛을 면광원으로 전환하는 도광판(Light Guide Plate), 이 도광판의 배면에 배치되어 도광판의 후방으로 방출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 시트(Reflection Sheet), 그리고 도광판의 상면에 적층되는 확산 시트(Diffusion Sheet) 및 프리즘 시트(Prism Sheet)와 같은 광학 시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액정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탑 샤시와 백라이트 유닛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바텀 샤시에 의해 고정이 되는데, 상기 프레임은 이들 탑 샤시와 바텀 샤시 등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프레임 구성 부품들은, 예를 들어 탑 샤시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가로 부재와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른 한 쌍의 세로 부재가 서로 용접에 의해 사각형으로 결합이 됨으로써 하나의 프레임 샤시를 구성하게 된다.
특히, 프레임의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를 서로 용접하기에 앞서, 이들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의 말단부가 직각으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의 직각으로 접하는 코너 부위에 코너 키(corner key)를 삽입하기도 한다. 이러한 코너 키의 예로는, 공개특허 제10-2011-0019225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이처럼, 종래의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코너 결합 구조는 코너 키를 이용하여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를 연결한 상태에서 코너 부위를 용접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코너 키는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에 형성된 홈의 치수에 대응하는 두께로 이루어져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이 되지만, 코너 키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기 때문에 홈에 완전히 삽입하는 데에 힘이 많이 들고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의 코너 부위를 연결하기 위한 코너 키의 삽입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의 코너 부위를 견고하게 결합하게 되는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코너 키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코너 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를 서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고정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의 서로 만나는 코너 부위에 각각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를 직각으로 연결 고정하도록, 가로 부재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가로 삽입부 및 이 가로 삽입부와 직각을 이루면서 세로 부재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세로 삽입부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코너 키를 제공하되, 그 특징적인 구성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실시 양태를 제공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기 시작하는 가로 삽입부와 세로 삽입부 각각의 초입 부분 내?외측면 중 어느 일측면은 삽입방향을 향해 두께가 감소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로 삽입부와 세로 삽입부가 서로 만나는 코너 부위의 내?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는 상기 삽입홈에 억지 끼워맞춤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코너 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가로 삽입부의 내?외측면 중 어느 일측면과 상기 세로 삽입부의 내?외측면 중 어느 일측면은 각각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기 시작하는 초입 부분을 향해 두께가 감소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가로 삽입부와 세로 삽입부가 서로 만나는 코너 부위의 내?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는 삽입홈에 억지 끼워맞춤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코너 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기 시작하는 상기 가로 삽입부와 세로 삽입부 각각의 초입 부분 내?외측면은 삽입방향을 향해 두께가 감소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가로 삽입부와 세로 삽입부가 서로 만나는 코너 부위의 내?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는 삽입홈에 억지 끼워맞춤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코너 키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들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가로 삽입부와 세로 삽입부 각각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선형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의 서로 만나는 코너 부위에 각각 형성된 삽입홈에 대하여 상기 코너 키의 가로 삽입부와 세로 삽입부를 삽입한 다음, 상기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의 서로 만나는 코너 부위를 마찰교반용접 또는 표면마찰용접으로 접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코너 키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고정 방법을 제공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코너 키는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의 코너 부위를 연결하기 위한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의 코너 부위를 견고하게 결합함으로써,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너 키의 삽입과 마찰교반용접(또는 표면마찰용접)에 의한 접합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를 서로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 제품의 품질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너 키와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코너 키에 대한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코너 키에 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코너 키에 대한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코너 키에 대한 제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코너 키에 대한 제5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코너 키에 대한 제6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코너 키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고정방법에 대한 제1과정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과정에 이어 마찰교반용접을 실시하는 과정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고정 작업이 완료된 상태의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들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너 키와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은 상?하의 가로 부재(1,2)와 좌?우의 세로 부재(3,4)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가로 부재(1,2)와 세로 부재(3,4)에는 각각 코너 키(K)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G)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로 부재(1,2)와 세로 부재(3,4)의 서로 만나는 코너 부위에서 삽입홈(G)에 코너 키(K)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면 사각형의 프레임 형태가 된다.
본 발명의 코너 키(K)는 상기 프레임의 가로 부재(1,2)와 세로 부재(3,4)를 직각으로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ㄱ'자 형태를 기본 구조로 하고 있는데, 구체적인 구조는 다음의 실시예들과 같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코너 키에 대한 제1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1실시예의 코너 키(10)는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가로 부재(1,2)와 세로 부재(3,4)를 직각으로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가로 부재(1,2)의 삽입홈(G)에 삽입되는 가로 삽입부(11)와, 이 가로 삽입부(11)에 대해 직각을 이루면서 세로 부재(3,4)의 삽입홈(G)에 삽입되는 세로 삽입부(12)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삽입홈(G)에 삽입되기 시작하는 가로 삽입부(11)와 세로 삽입부(12) 각각의 초입(初入) 부분 '내측면'이 삽입방향을 향해 두께가 감소하는 경사면(11a,12a)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코너 키(10)를 삽입홈(G)에 삽입할 때 적은 힘으로도 쉽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내측면'은 가로 삽입부(11)와 세로 삽입부(12)의 서로 마주보는 면을 지칭하며, 그 반대면은 '외측면'이라 하고, 이하의 실시예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가로 삽입부(11)와 세로 삽입부(12)가 서로 만나는 코너 부위의 내측면은 두께가 일정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는 삽입홈(G)에 억지 끼워맞춤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돌기(11b,1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11b,12b)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데, 도 2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가로 삽입부(11)와 세로 삽입부(12) 각각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선형(線形) 돌기(11b,12b)는 코너 키(10)가 삽입홈(G)에 삽입된 상태에서 잘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큰 마찰력을 작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가로 삽입부(11)와 세로 삽입부(12) 각각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선형 돌기로 이루어지거나, 융기된 형태의 돌기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 설명된 코너 키(10)는, 프레임의 가로 부재(1,2)와 세로 부재(3,4)의 삽입홈(G)에 각각 삽입되는 가로 삽입부(11)와 세로 삽입부(12)에 삽입 방향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경사면(11a,12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가로 삽입부(11)와 세로 삽입부(12)의 서로 만나는 코너 부위는 일정한 두께로 이루어지면서 삽입홈(G)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돌기(11b,12b)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가로 부재(1,2)와 세로 부재(3,4)를 견고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코너 키에 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것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비교할 때, 경사면과 돌기의 형성 부위에서 차이가 있다.
즉, 경사면의 형성 부위를 보면, 제1실시예의 코너 키(10)의 경우 삽입홈(G)에 삽입되기 시작하는 가로 삽입부(11)와 세로 삽입부(12) 각각의 초입 부분 '내측면'에 경사면(11a,12a)이 형성되어 있는 반면, 제2실시예의 코너 키(20)의 경우에는 삽입홈(G)에 삽입되기 시작하는 가로 삽입부(21)와 세로 삽입부(22) 각각의 초입 부분 '외측면'에 경사면(21a,22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돌기의 형성 부위를 보면, 제1실시예의 코너 키(10)의 경우 가로 삽입부(11)와 세로 삽입부(12)가 서로 만나는 코너 부위의 '내측면'에 돌기(11b,12b)가 형성되어 있는 반면, 제2실시예의 코너 키(20)의 경우에는 가로 삽입부(21)와 세로 삽입부(22)가 서로 만나는 코너 부위의 '외측면'에 돌기(21b,22b)가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경사면과 돌기는 실시예에 따라 형성 부위가 변경될 수 있는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 이외에도, 도 2에 도시된 돌기(11b,21b)는 그 반대쪽 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돌기(21b,22b) 역시 그 반대쪽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돌기는 상기 코너 부위의 내측면과 외측면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코너 키에 대한 제3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3실시예의 코너 키(30)에서는, 가로 삽입부(31)의 '내측면'이 삽입홈(G)에 삽입되기 시작하는 초입 부분을 향해 전체적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경사면(31a)으로 이루어지고, 세로 삽입부(32)의 '내측면' 역시 삽입홈(G)에 삽입되기 시작하는 초입 부분을 향해 전체적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경사면(32a)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31a,32a)의 반대쪽 면인 '외측면'은 두께가 일정하게 이루어져 있고, 가로 삽입부(31)와 세로 삽입부(32)가 서로 만나는 코너 부위의 '외측면'에는 삽입홈(G)에 억지 끼워맞춤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선형 돌기와 같은 돌기(31b,32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3실시예의 코너 키(30) 역시, 가로 삽입부(31)와 세로 삽입부(32)에 형성된 경사면(31a,32a)으로 인해 프레임의 삽입홈(G)에 대한 삽입 작업을 쉽게 할 수 있게 되며, 가로 삽입부(31)와 세로 삽입부(32)의 코너 부위에 형성된 돌기(31b,32b)가 삽입홈(G)에 억지 끼워맞춤이 되므로 프레임의 가로 부재(1,2)와 세로 부재(3,4)를 견고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코너 키에 대한 제4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4실시예의 코너 키(40)는 제3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가로 삽입부(41)의 '외측면'이 삽입홈(G)에 삽입되기 시작하는 초입 부분을 향해 전체적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경사면(41a)으로 이루어지고, 세로 삽입부(42)의 '외측면'도 삽입홈(G)에 삽입되기 시작하는 초입 부분을 향해 전체적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경사면(42a)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41a,42a)의 반대쪽 면인 '내측면'은 두께가 일정하게 이루어져 있고, 가로 삽입부(41)와 세로 삽입부(42)가 서로 만나는 코너 부위의 '내측면'에는 삽입홈(G)에 억지 끼워맞춤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돌기(41b,42b)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코너 키에 대한 제5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5실시예의 코너 키(50)는 가로 삽입부(51)와 세로 삽입부(52)의 서로 만나는 코너 부위는 '내측면'과 '외측면' 모두 두께가 일정하게 이루어지되, 프레임의 삽입홈(G)에 삽입되기 시작하는 초입 부분의 내?외측면은 삽입방향을 향해 두께가 감소하는 경사면(51a,51a',52a,52a')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로 삽입부(51)와 세로 삽입부(52)가 서로 만나는 코너 부위의 내측면에는 프레임의 삽입홈(G)에 억지 끼워맞춤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돌기(51b,52b)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코너 키에 대한 제6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6실시예의 코너 키(60)는 제5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로 삽입부(61)와 세로 삽입부(62)의 서로 만나는 코너 부위가 '내측면'과 '외측면' 모두 일정한 두께로 이루어지면서, 프레임의 삽입홈(G)에 삽입되기 시작하는 초입 부분의 내?외측면은 삽입방향을 향해 두께가 감소하는 경사면(61a,61a',62a,62a')으로 형성되어 있다.
반면에, 제5실시예와는 달리, 프레임의 삽입홈(G)에 억지 끼워맞춤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돌기(61b,62b)는 가로 삽입부(61)와 세로 삽입부(62)가 서로 만나는 코너 부위의 외측면에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것처럼, 본 발명의 코너 키(10,20,30,40,50,60)는 경사면(11a,12a,21a,22a,31a,32a,41a,42a,51a,51a',52a,52a',61a,61a',62a,62a')을 가진 구조에 의해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삽입홈(G)에 대한 삽입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지게 되며, 돌기(11b,12b,21b,22b,31b,32b,41b,42b,51b,52b,61b,62b) 구조에 의해 삽입홈(G)에 억지 끼워맞춤이 됨으로써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코너 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을 고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도 8에 예시된 것처럼,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가로 부재(1)와 세로 부재(4)를 코너 부위가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하고, 이 코너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G)에 대하여 코너 키(10)를 삽입한다. 즉, 가로 부재(1)의 삽입홈(G)에 코너 키(10)의 가로 삽입부(11)를 삽입하고, 세로 부재(4)의 삽입홈(G)에는 코너 키(10)의 세로 삽입부(12)를 삽입한다. 이때, 가로 삽입부(11)와 세로 삽입부(12)의 삽입되는 초입부에 형성된 경사면(11a,12a)으로 인해 삽입이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가로 삽입부(11)와 세로 삽입부(12)의 돌기(11b,12b) 구조로 인해 삽입홈(G) 내에서 가로 삽입부(11)와 세로 삽입부(12)가 억지 끼워맞춤식으로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이렇게 코너 키(10)에 의해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가로 부재(1)와 세로 부재(4)의 서로 만나는 코너 부위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가로 부재(1)와 세로 부재(4)의 코너 부위에 절곡 형성된 플랜지면(1a,4a)을 마찰교반용접(Friction Stir Welding : FSW)이나 표면마찰용접(Surface friction Welding : SFW)으로 접합한다.
마찰교반용접의 경우, 나사산 형태의 돌기(probe)를 가진 비소모성 공구(T)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가로 부재(1)와 세로 부재(4)의 플랜지면(1a,4a)에 대면 공구(T)와 플랜지면(1a,4a)의 상호마찰에 의해 열이 발생하며, 이러한 마찰열에 의해 공구(T) 주변의 재료는 연화되고 공구(T)의 교반에 의한 재료의 소성 유동으로 접합면 양쪽의 재료들이 강제적으로 혼합되면서 가로 부재(1)와 세로 부재(4)의 용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마찰교반용접은 기존의 용융 접합에 비해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접합부를 형성하며, 접합용 공구와 피접합재의 마찰열을 이용하므로 기존의 용융 용접에 비해 낮은 입열로 용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잔류 응력과 변형이 적은 장점이 있다.
표면마찰용접의 경우에는 공구(T)에 돌기(probe)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차이점 외에 기본적인 접합 원리는 마찰교반용접과 유사한 용접 방법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위와 같이 코너 키(10)에 의한 연결 후, 마찰교반용접 또는 표면마찰용접에 의해 가로 부재(1)와 세로 부재(4)의 플랜지면(1a,4a)이 접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코너 부위에 대한 사진이다. 플랜지면(1a,4a)의 용접부(W)가 깔끔한 외관으로 접합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가로 부재(1)와 세로 부재(4)를 본 발명의 코너 키(10)로 연결 고정함과 아울러, 가로 부재(1)와 세로 부재(4)의 코너 부위에 절곡 형성된 플랜지면(1a,4a)을 마찰교반용접이나 표면마찰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고정 상태가 매우 견고하면서도 외관이 깔끔한 디스플레이용 프레임 제품을 제조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2 :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가로 부재
3,4 :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가로 부재
1a,4a : 플랜지면
10,20,30,40,50,60 : 코너 키
11,21,31,41,51,61 : 가로 삽입부
12,22,32,42,52,62 : 세로 삽입부
11a,12a,21a,22a,31a,32a,41a,42a,51a,51a',52a,52a',61a,61a',62a,62a' : 경사면
11b,12b,21b,22b,31b,32b,41b,42b,51b,52b,61b,62b : 돌기
G : 삽입홈

Claims (5)

  1.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의 서로 만나는 코너 부위에 각각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를 직각으로 연결 고정하도록, 상기 가로 부재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가로 삽입부 및 이 가로 삽입부와 직각을 이루면서 상기 세로 부재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세로 삽입부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코너 키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기 시작하는 상기 가로 삽입부와 세로 삽입부 각각의 초입 부분 내?외측면 중 어느 일측면은 삽입방향을 향해 두께가 감소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로 삽입부와 상기 세로 삽입부가 서로 만나는 코너 부위의 내?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는 상기 삽입홈에 억지 끼워맞춤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코너 키.
  2.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의 서로 만나는 코너 부위에 각각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를 직각으로 연결 고정하도록, 상기 가로 부재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가로 삽입부 및 이 가로 삽입부와 직각을 이루면서 상기 세로 부재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세로 삽입부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코너 키에 있어서,
    상기 가로 삽입부의 내?외측면 중 어느 일측면과 상기 세로 삽입부의 내?외측면 중 어느 일측면은 각각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기 시작하는 초입 부분을 향해 두께가 감소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로 삽입부와 세로 삽입부가 서로 만나는 코너 부위의 내?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는 상기 삽입홈에 억지 끼워맞춤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코너 키.
  3.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의 서로 만나는 코너 부위에 각각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를 직각으로 연결 고정하도록, 상기 가로 부재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가로 삽입부 및 이 가로 삽입부와 직각을 이루면서 상기 세로 부재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세로 삽입부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코너 키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기 시작하는 상기 가로 삽입부와 세로 삽입부 각각의 초입 부분 내?외측면은 삽입방향을 향해 두께가 감소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로 삽입부와 상기 세로 삽입부가 서로 만나는 코너 부위의 내?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는 상기 삽입홈에 억지 끼워맞춤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코너 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가로 삽입부와 상기 세로 삽입부 각각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선형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코너 키.
  5.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의 서로 만나는 코너 부위에 각각 형성된 삽입홈에 대하여 상기 청구항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너 키의 가로 삽입부와 세로 삽입부를 삽입한 다음, 상기 가로 부재와 세로 부재의 서로 만나는 코너 부위를 마찰교반용접 또는 표면마찰용접으로 접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코너 키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고정 방법.
KR1020110046295A 2011-05-17 2011-05-17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코너 키 및 이 코너 키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고정 방법 KR20120128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295A KR20120128390A (ko) 2011-05-17 2011-05-17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코너 키 및 이 코너 키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고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295A KR20120128390A (ko) 2011-05-17 2011-05-17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코너 키 및 이 코너 키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고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390A true KR20120128390A (ko) 2012-11-27

Family

ID=47513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295A KR20120128390A (ko) 2011-05-17 2011-05-17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코너 키 및 이 코너 키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고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83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2536A (ko) * 2014-11-25 2016-06-02 주식회사 에이치엠알텍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몰드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2536A (ko) * 2014-11-25 2016-06-02 주식회사 에이치엠알텍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몰드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0934B (zh) 顯示裝置
TWI514036B (zh) 彎曲型液晶顯示裝置
TWI611382B (zh) 顯示裝置及其組裝之方法
TWI402572B (zh) 背光單元、用於組裝背光單元的方法、及使用該背光單元的液晶顯示裝置
KR101262179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케이스
WO2017054649A1 (zh) 液晶显示装置的模组及其制造方法
JP2008197166A (ja) 液晶表示装置
TW201513069A (zh) 影像補償元件、顯示裝置及拼接式顯示器
JP2008129583A (ja) 液晶パネルの組み立て方法
TWI262279B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tilizing the same
TW201137444A (en) Display apparatus
US10302851B2 (en) Display apparatus
JP5778126B2 (ja) 画像表示装置
KR20120128390A (ko)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코너 키 및 이 코너 키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고정 방법
TWM468689U (zh) 一種液晶顯示器之金屬框架
US20140139783A1 (en) Back plate capable of resisting external forces, backlight module hav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US11856715B2 (en) Splicing assembly and splicing display screen
KR101638987B1 (ko)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몰드프레임
WO2010146934A1 (ja) 表示装置、テレビ受信装置
KR101109077B1 (ko)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탑 새시 및 그 제조방법
JP5722005B2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250369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슬림형 베젤 프레임과 그 제조방법
KR101165249B1 (ko) 디스플레이용 프레임의 결합 방법
JP5895040B2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0008939A (ja) 液晶表示装置の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311

Effective date: 2014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