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8273A -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체 - Google Patents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8273A
KR20120128273A KR1020110046109A KR20110046109A KR20120128273A KR 20120128273 A KR20120128273 A KR 20120128273A KR 1020110046109 A KR1020110046109 A KR 1020110046109A KR 20110046109 A KR20110046109 A KR 20110046109A KR 20120128273 A KR20120128273 A KR 20120128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ner packing
flange
wedg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1971B1 (ko
Inventor
박인식
Original Assignee
(주)동경건설
주식회사 빌드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경건설, 주식회사 빌드넷 filed Critical (주)동경건설
Priority to KR1020110046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971B1/ko
Publication of KR20120128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체는, 교량 및 도로에 형성되는 집수구에 구성되어 물의 배수를 도모하는 배관파이프의 연결부위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체에 있어서, 상기 배관파이프의 연결부위를 수용하며 선단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테이터 형태인 쐐기부가 형성되고 후측단부는 배관파이프의 연결부위의 단부를 수용하며 원형의 판 형태인 단턱부가 형성되는 연질의 이너패킹; 상기 이너패킹의 쐐기부를 수용하도록 선단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테이터 형태인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후측단부는 이너패킹의 단턱부와 접지되며 다수의 볼트공이 구비되는 연결판부가 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배관파이프의 연결부위에 각각 형성되는 플랜지의 볼트공 및 이너패킹의 단턱부에 관통체결되어 이너패킹과 플랜지의 고정을 도모하는 고정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쐐기부로 배관파이프를 압착하여 밀폐하면서도 단턱부로 배관파이프 간을 밀폐함으로써 2중으로 배관파이프를 밀폐하면서도 고정볼트의 체결되는 체결정도에 따라 쐐기부의 외경과 테이퍼부의 내경이 면압이 발생되어 쐐기부로 하여금 배관파이프의 압착력을 높여 밀폐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체{Device for sealing up a pipe}
본 발명은 교량 및 도로에서 우수, 오수를 포함하는 물이 배수되는 집수구와 연결되는 배관파이프용 밀폐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집수관과 연결되는 배관파이프 간의 연결부위에 배관파이프를 압착하는 이너패킹이 구성되고 상기 이너패킹의 외측을 고정하는 플랜지가 구성되어 배관파이프 간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및 도로에 강우로 인한 우수 및 주행되는 차량에 의한 오수가 발생되어 노면에 고여 있으면, 차량의 타이어와 상판에 포장된 아스콘 사이에 수막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수막으로 하여금 차량의 미끌림이 발생하여 차량의 미끌림에 의한 안정적인 주행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차량의 안전사고를 야기시킨다.
이와 같은 교량 및 도로의 노면환경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교량및 도로의 양쪽으로 집수구를 시공하여 수로로 흘러들어온 물이 신속하게 배수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집수구의 통상적인 형태는 교량의 슬래브층에서 교량의 노면에 형성된 아스콘 포장층으로 연장되는 관의 형태로 이루어는 집수관이 형성되며, 상기 집수관의 하부로는 집수관으로 유입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집수관의 상면에는 교량의 노면에서 유동되는 물을 유입함과 동시에 낙엽과 지푸라기 같은 각종 이물질이 집수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그레이팅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배수관은 다수의 배관파이프가 계속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형태의 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이와 같은 배관파이프는 집수구의 내부에 형성됨에 따라 배관파이프의 누수되는 틈으로 빗물 등과 같은 비점오염원이 교량 슬라브 하단에 녹을 발생시키거나 이를 부식시킴과 더불어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이러한 직관은 유동적이지 않은 구조를 갖기 때문에 교량이 자체 하중과 차량의 하중 및 운행에 의해 진동됨에 따라 외형상의 변형 및 파손이 가해지거나 배관파이프의 연결부위가 쉽게 이탈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변형이 가해진 경우 그 직관의 분리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파이프 간의 연결부위에 배관파이프를 압착하는 이너패킹이 구성되고 상기 이너패킹의 외측을 고정하는 플랜지가 구성되어 배관파이프 간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체는, 교량 및 도로에 형성되는 집수구에 구성되어 물의 배수를 도모하는 배관파이프의 연결부위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체에 있어서, 상기 배관파이프의 연결부위를 수용하며 선단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테이터 형태인 쐐기부가 형성되고 후측단부는 배관파이프의 연결부위의 단부를 수용하며 원형의 판 형태인 단턱부가 형성되는 연질의 이너패킹; 상기 이너패킹의 쐐기부를 수용하도록 선단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테이터 형태인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후측단부는 이너패킹의 단턱부와 접지되며 다수의 볼트공이 구비되는 연결판부가 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배관파이프의 연결부위에 각각 형성되는 플랜지의 볼트공 및 이너패킹의 단턱부에 관통체결되어 이너패킹과 플랜지의 고정을 도모하는 고정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너패킹의 쐐기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는 인입돌기를 구성하고, 상기 플랜지에는 인입돌기가 결합되는 테이퍼부의 내측으로 인입돌기가 인입될 수 있도록 수용홈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너패킹의 쐐기부 및 단턱부의 내경은 배관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가변되도록 구성되되, 이너패킹의 쐐기부 및 단턱부의 외경은 상기 플랜지의 테이퍼부의 내부 직경과 연결판부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배관파이프를 압착하는 이너패킹이 배관파이프의 연결부위를 수용하는 쐐기부 및 배관파이프의 단부를 막는 단턱부로 이루어지며 고정볼트의 체결에 의해 이너패킹을 외측에서 압착하는 플랜지가 구성되기 때문에, 쐐기부로 배관파이프를 압착하여 밀폐하면서도 단턱부로 배관파이프 간을 밀폐함으로써 2중으로 배관파이프를 밀폐하면서도 고정볼트의 체결되는 체결정도에 따라 쐐기부의 외경과 테이퍼부의 내경이 면압이 발생되어 쐐기부로 하여금 배관파이프의 압착력을 높여 밀폐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쐐기부의 외측으로 인입돌기를 구성하고 테이퍼부의 내측으로 마찰돌기가 인입되는 수용홈이 구성되기 때문에, 이너패킹과 플랜지의 결합 시에 마찰돌기가 수용홈에 수용됨으로써 이너패킹과 플랜지 간의 고정력을 높이면서도 이너패킹의 밀폐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너패킹의 쐐기부 및 단턱부의 내경은 배관파이프의 연결부위를 수용하는 배관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가변되도록 구성되고 이너패킹의 쐐기부 및 단턱부의 외경은 상기 플랜지의 테이퍼부의 내부직경과 연결판부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직경이 상호 다른 배관파이프를 연결할 때에도 접목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체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체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체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체의 바람직한 실시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 (b)는 본 발명에 의한 이너패킹의 마찰돌기가 플랜지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체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체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체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체의 바람직한 실시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상적인 집수구는 교량 노면에 유동되는 물을 집수구로 배수하면서도 이물질을 걸러주어 집수구 내부에 이물질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교량 및 도로에 형성되는 집수구에서 물을 배수하는 집수관과 연결되어 집수구에서 배수되는 물을 이동을 도모하는 배관파이프(1)에 설치되어 배관파이프(1) 간의 누수를 방지하는 배관파이프용 밀폐체에 관한 것으로, 그 형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파이프(1)를 압착하는 이너패킹(10), 상기 이너패킹(10)의 외측에 형성되어 이너패킹(10)의 압착력을 향상시키는 플랜지(20), 상기 이너패킹(10)과 플랜지(20)의 고정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고정볼트(30)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이너패킹(10)은 배관파이프(1)의 연결부위를 수용하여 배관파이프(1)를 압착할 수 있는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며 그 형태는 선단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테이터 형태인 쐐기부(13)가 형성되고 후측단부는 배관파이프(1)의 연결부위의 단부를 수용하며 원형의 판 형태인 단턱부(15)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이너패킹(10)은 연결하고자 하는 각각의 배관파이프(1) 연결부위에 각각 형성되며 연결하고자 하는 각각의 배관파이프(1)의 단부에 단턱부(15)가 위치되도록 배관파이프(1)를 수용함으로써 이너패킹(10)은 연결하고자 하는 배관파이프(1)에 상호 대칭되는 형태로 배관파이프(1)를 압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이너패킹(10)은 쐐기부(13)로 배관파이프(1)를 압착하여 밀폐하면서도 단턱부(15)로 배관파이프(1) 간을 밀폐함으로써 2중으로 배관파이프(1)를 밀폐하여 밀폐력을 향상시키면서도 배관파이프(1)가 이너패킹(10)에 슬립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플랜지(20)는 이너패킹(10)의 외측을 가압하여 이너패킹(10)으로 하여금 배관파이프(1)의 밀폐력을 향상시키면서도 이너패킹(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너패킹(10)의 쐐기부(13)를 수용하도록 선단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테이터 형태인 테이퍼부(23)가 형성되고 후측단부는 이너패킹(10)의 단턱부(15)와 동일한 직경으로 접지되며 후술되는 고정볼트(30)가 체결되는 다수의 볼트공(26)이 구비되는 연결판부(2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20) 또한 이너패킹(10)과 동일하게 연결하고자 하는 배관파이프(1)에 상호 대칭되는 형태로 이너패킹(10)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볼트(30)는 플랜지(20)와 이너패킹(10)을 상호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배관파이프(1)의 연결부위에 각각 형성되는 플랜지(20)의 볼트공(26) 및 이너패킹(10)의 단턱부(15)에 관통체결되어 이너패킹(10)과 플랜지(20)의 고정을 도모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볼트(30)가 체결되는 형태는 고정볼트(30)의 선단을 플랜지(20)의 볼트공(26)에 체결한 후 볼트공(26)을 관통한 고정볼트를 이너패킹(10)의 단턱부(15)를 관통하고 다시 플랜지(20)의 볼트공(26)에 체결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고정볼트(30)의 체결되는 체결 정도에 따라 이너패킹(10)의 쐐기부(13)가 플랜지(20)의 테이퍼부(23)의 내경에 전진되어 쐐기부(13)의 외경과 테이퍼부(23)의 내경이 면압(접촉력)이 발생되어 쐐기부(13)로 하여금 배관파이프(1)의 압착력을 높여 밀폐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플랜지(20)의 연결판부(25)가 상호 대칭되는 이너패킹(10)의 단턱부(15)를 가압함에 따라 배관파이프(1)의 연결부위 간에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 5(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너패킹(10)의 쐐기부(13)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는 인입돌기(17)를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플랜지(20)에는 인입돌기(17)가 결합되는 테이퍼부(23)의 내측으로 인입돌기(17)가 인입될 수 있도록 수용홈(27)이 구성된다.
따라서 이너패킹(10)과 플랜지(20)의 결합 시에 인입돌기(17)가 수용홈(27)에 수용됨으로써 이너패킹(10)과 플랜지(20) 간의 고정력을 높이면서도 이너패킹(10)의 밀폐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인입돌기(17)는 이너패킹(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너패킹(10)의 쐐기부(13) 외경을 감싸는 고무링이 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서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이너패킹(10)의 쐐기부(13) 및 단턱부(15)의 내경은 배관파이프(1)의 직경에 따라 가변되도록 구성되되, 이너패킹(10)의 쐐기부(13) 및 단턱부(15)의 외경은 상기 플랜지(20)의 테이퍼부(23)의 내부 직경과 연결판부(25)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직경이 상호 다른 배관파이프(1)를 연결할 때에도 접목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1 : 배관파이프 10 : 이너패킹
13 : 쐐기부 15 : 단턱부
17 : 인입돌기 20 : 플랜지
23 : 테이퍼부 25 : 연결판부
26 : 볼트공 27 : 수용홈
30 : 고정볼트

Claims (3)

  1. 교량 및 도로에 형성되는 집수구에 구성되어 물의 배수를 도모하는 배관파이프의 연결부위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체에 있어서,
    상기 배관파이프(1)의 연결부위를 수용하며 선단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테이터 형태인 쐐기부(13)가 형성되고 후측단부는 배관파이프(1)의 연결부위의 단부를 수용하며 원형의 판 형태인 단턱부(15)가 형성되는 연질의 이너패킹(10);
    상기 이너패킹(10)의 쐐기부(13)를 수용하도록 선단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테이터 형태인 테이퍼부(23)가 형성되고 후측단부는 이너패킹(10)의 단턱부(15)와 접지되며 다수의 볼트공(26)이 구비되는 연결판부(25)가 형성되는 플랜지(20);
    상기 배관파이프(1)의 연결부위에 각각 형성되는 플랜지(20)의 볼트공(26) 및 이너패킹(10)의 단턱부(15)에 관통체결되어 이너패킹(10)과 플랜지(20)의 고정을 도모하는 고정볼트(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패킹(10)의 쐐기부(13)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는 인입돌기(17)를 구성하고,
    상기 플랜지(20)에는 인입돌기(17)가 결합되는 테이퍼부(23)의 내측으로 인입돌기(17)가 인입될 수 있도록 수용홈(27)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패킹(10)의 쐐기부(13) 및 단턱부(15)의 내경은 배관파이프(1)의 직경에 따라 가변되도록 구성되되, 이너패킹(10)의 쐐기부(13) 및 단턱부(15)의 외경은 상기 플랜지(20)의 테이퍼부(23)의 내부 직경과 연결판부(25)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체.
KR1020110046109A 2011-05-17 2011-05-17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체 KR101261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109A KR101261971B1 (ko) 2011-05-17 2011-05-17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109A KR101261971B1 (ko) 2011-05-17 2011-05-17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273A true KR20120128273A (ko) 2012-11-27
KR101261971B1 KR101261971B1 (ko) 2013-05-08

Family

ID=47513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109A KR101261971B1 (ko) 2011-05-17 2011-05-17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9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33664A (zh) * 2014-06-09 2014-09-10 福派管道系统(上海)有限公司 一种双壁管的外管及其安装方法
CN104896224A (zh) * 2015-06-15 2015-09-09 孙家成 一种无补口无焊接的管道连接装置及应用方法
KR20160003902U (ko) * 2015-05-04 2016-11-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클램프 장치
CN109577871A (zh) * 2018-11-20 2019-04-05 大庆市天德忠石油科技有限公司 一种油田用法兰型油管短节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5858B2 (ja) 1997-01-23 2006-09-27 コスモ工機株式会社 管継手
JP5118981B2 (ja) * 2008-01-23 2013-01-16 日本管洗工業株式会社 フランジ継手及び金属管結合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33664A (zh) * 2014-06-09 2014-09-10 福派管道系统(上海)有限公司 一种双壁管的外管及其安装方法
KR20160003902U (ko) * 2015-05-04 2016-11-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클램프 장치
CN104896224A (zh) * 2015-06-15 2015-09-09 孙家成 一种无补口无焊接的管道连接装置及应用方法
CN109577871A (zh) * 2018-11-20 2019-04-05 大庆市天德忠石油科技有限公司 一种油田用法兰型油管短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1971B1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1971B1 (ko)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체
RU2493332C2 (ru) Водопроводное уплотн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80086334A (ko) 하수구 악취 방지장치
US8757667B2 (en) Adapters and connector assemblies for flow managing apparatuses
CN210194835U (zh) 一种市政工程下水道防溢流防臭装置
KR101182645B1 (ko) 하수구용 악취차단 및 역류유도장치
KR200461032Y1 (ko) 싱크대용 배수트랩
KR200431056Y1 (ko) 오버플로우 배관용 역류방지트랩
KR20160075179A (ko) 파형 강관을 이용한 도로 측구
KR200404280Y1 (ko) 수밀성 맨홀 뚜껑 조립체
US8844572B2 (en) Drain pipe waste water closure protection device
KR100809742B1 (ko) 배수관용 악취 차단장치
KR101193412B1 (ko)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구조
KR200431693Y1 (ko) 교량배수관용 연결구
KR101830851B1 (ko) 하수분기관 수밀캡
JP2009228812A (ja) 逆流防止弁、逆流防止弁付き管構造、逆流防止弁付き管継手、および逆流防止弁を備えたます
KR200457576Y1 (ko) 이음관 장착용 악취차단장치
JP5901594B2 (ja) 排水トラップ
KR102077282B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
KR100864678B1 (ko) 교량배수관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수관연결방법
KR100623390B1 (ko) 하수관용 연결구
KR101206969B1 (ko) 하수관용 편심 원추 역지밸브
KR200472958Y1 (ko) 맨홀의 지수관 실링용 가스킷
US8511714B2 (en) Connector assemblies for flow restricting apparatuses
CN109915665A (zh) 一种污水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