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7517A - 무선 통신 장치, 정보 처리 장치 및 무선 통신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장치, 정보 처리 장치 및 무선 통신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7517A
KR20120127517A KR1020127025382A KR20127025382A KR20120127517A KR 20120127517 A KR20120127517 A KR 20120127517A KR 1020127025382 A KR1020127025382 A KR 1020127025382A KR 20127025382 A KR20127025382 A KR 20127025382A KR 20120127517 A KR20120127517 A KR 20120127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ority
data
speed
inpu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5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5094B1 (ko
Inventor
유스케 모토나미
나오즈미 안자이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7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에 따라 무선 통신의 통신 속도를 변경함으로써 전력 절약화를 도모한다. 입력 수단(1a)은 입력 데이터가 입력된다. 우선도 판정 수단(1b)은, 입력 수단(1a)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의 우선도를 판정한다. 속도 제어 수단(1c)은 우선도 판정 수단(1b)에 의해 판정된 데이터의 우선도에 따라, 출력 수단(1d)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의 무선 통신의 통신 속도를 설정함과 함께, 데이터의 입력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출력 수단(1d)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 통신의 통신 속도를 데이터의 입력이 검출되어 있는 경우보다도 느리게 설정한다. 출력 수단(1d)은, 설정된 통신 속도로 출력 데이터를 무선 통신에 의해 출력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 정보 처리 장치 및 무선 통신 제어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본 건은 무선 통신 장치, 정보 처리 장치 및 무선 통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환경 문제나 에너지 문제에 대한 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에너지 스타(Energy Star)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다양한 장치에 대하여 에너지 절약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것은,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해서도 예외가 아니며, 무선 통신시의 소비 전력 저감이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무선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에서는 일반적으로 전파 상태에 의해 동적으로 통신 속도를 변화시키고, 항상 가능한 최고 속도로 접속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본국 특개2003-169363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4-356855호 공보
그러나, 무선 통신시의 소비 전력은 일반적으로, 통신 규격이나 통신 모드, 무선 전송 레이트 등에 따라 상이하다. 예를 들면, 종래의 IEEE 802.11a, 802.11b, 802.11g 등과 비교해서,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기술을 이용한 IEEE 802.11n의 고속 통신에서는, 무선 통신시의 제어칩의 소비 전력은 수백㎽만큼 커진다. 또한, 종래의 대역폭의 2배의 40㎒ 폭을 사용하는 하이 스루풋(high throughput) 모드(HT40)에서 운용할 경우, 더욱 소비 전력은 커진다.
여기서, 항상 고속 통신이 필요할 경우에는, 이러한 고속화 기술을 항시 사용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러나,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이러한 통신 방식으로 고속의 데이터 통신이나 고품질의 보증이 요구되고 있는 통신(또한 데이터 통신 자체)이, 항상 행해지고 있다고만 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소비 전력이 큰 고속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쓸모없는 전력 소비이며, 에너지 절약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건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데이터 무선 통신의 우선도에 따라 통신 속도를 변경함으로써, 전력 소비량이 많은 고속 통신을 합리적으로 삭감해서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는 무선 통신 장치, 정보 처리 장치 및 무선 통신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와 같은 무선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개시의 무선 통신 장치에서는, 입력 수단은 데이터가 입력된다. 우선도 판정 수단은 데이터의 우선도를 판정한다. 출력 수단은 설정된 통신 속도로 데이터를 무선 통신에 의해 출력한다. 속도 제어 수단은 우선도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데이터의 우선도에 따라,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 통신의 통신 속도를 설정함과 함께, 데이터의 입력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 통신의 통신 속도를 데이터의 입력이 검출되어 있는 경우보다도 느리게 설정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개시의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우선도 판정 수단은, 데이터의 우선도를 판정한다. 출력 수단은 설정된 통신 속도로 데이터를 무선 통신에 의해 출력한다. 속도 제어 수단은 우선도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데이터의 우선도에 따라,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 통신의 통신 속도를 설정함과 함께, 데이터의 출력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 통신의 통신 속도를 데이터의 출력이 검출되어 있을 경우보다도 느리게 설정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와 같은 무선 통신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개시의 무선 통신 제어 방법에서는, 우선도 판정 수단이,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우선도를 판정한다. 속도 제어 수단이 우선도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데이터의 우선도에 따라,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 통신의 통신 속도를 설정함과 함께, 데이터의 입력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 통신의 통신 속도를 데이터의 입력이 검출되어 있을 경우보다도 느리게 설정한다.
개시의 무선 통신 장치, 정보 처리 장치 및 무선 통신 제어 방법에 의하면, 데이터 무선 통신의 우선도에 의거하여 통신 속도를 변경함으로써, 우선도가 낮은 데이터의 통신 속도를 억제해서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의 예로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설명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제 2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제 2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인트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제 2 실시형태의 무선 LAN의 프레임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제 2 실시형태의 유선 LAN의 프레임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제 2 실시형태의 무선 LAN의 Beacon 프레임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 2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제 2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인트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제 2 실시형태의 유선 LAN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의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의 우선도 변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의 속도 판정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의 속도 제어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4는 제 2 실시형태의 우선도 판정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5는 제 2 실시형태의 링크의 접속 순서를 나타내는 시퀸스도.
도 16은 제 3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7은 제 3 실시형태의 패킷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제 3 실시형태의 우선도 판정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9는 제 4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0은 제 4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제 4 실시형태의 무선 LAN의 Probe Request 프레임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제 4 실시형태의 무선 LAN의 Probe Respose 프레임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제 4 실시형태의 드라이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4는 제 4 실시형태의 속도 제어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25는 제 4 실시형태의 링크의 접속 순서를 나타내는 시퀸스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장치(1)는 데이터의 우선도에 따라 통신 속도를 변경하는 무선 통신 장치이다. 무선 통신 장치(1)는 입력 수단(1a), 우선도 판정 수단(1b), 속도 제어 수단(1c), 출력 수단(1d)을 갖는다. 또한, 출력 수단(1d)에는 안테나(1d1)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 수단(1a)은 다른 통신 장치나 정보 처리 장치 등의 무선 통신 기능 및 유선 통신 기능을 갖는 장치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 가능하다. 입력 수단(1a)은 이들 장치로부터 송신된 입력 데이터가 입력된다.
우선도 판정 수단(1b)은 입력 수단(1a)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의 우선도를 판정한다. 데이터의 우선도는 예를 들면 데이터의 헤더가 갖는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제어 신호가 나타내는, QoS(Quality of Service)의 설정을 나타내는 유선 LAN, 또는 무선 LAN의 LAN 프레임(Local Area Network frame)의 VLAN(Virtual LAN) 태그나 IP(Internet Protocol) 패킷(packet)의 ToS(Type of Service) 필드에 포함되는 프라이어리티, 마찬가지로 LAN 프레임이나 IP 패킷에 포함되는 수신처 어드레스, IP 패킷에 포함되는 수신처 포트 번호 등의, 그 데이터가 고속으로 송신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에 의거하여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QoS는 어떤 특정한 통신을 위한 대역을 예약하고, 일정한 통신 속도를 보증하는 기술이며, 음성이나 동화상의 리얼타임 배신이나 화상 전화 등, 통신의 지연이나 정지를 방지하고자 하는 서비스에서 이용된다. QoS의 표준 규격에는 IEEE 802.1p이나, IEEE 802.11e 등이 있다.
속도 제어 수단(1c)은 우선도 판정 수단(1b)에 의해 판정된 데이터의 우선도에 따라, 출력 수단(1d)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 통신의 통신 속도를 설정함과 함께, 데이터의 입력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출력 수단(1d)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 통신의 통신 속도를 데이터의 입력이 검출되어 있을 경우보다도 느리게 설정한다. 이에 따라, 우선도 판정 수단(1b)에서 판정된 우선도에 따른 통신 속도로, 무선 통신에 의해 출력 수단(1d)으로부터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 수단(1d)은 설정된 통신 속도로 출력 데이터를 무선 통신에 의해 출력한다. 출력 수단(1d)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안테나(1d1)로부터 무선 LAN 등의 무선 통신에 의해 다른 무선 통신 장치 등에 전송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무선 통신의 우선도에 의거하여 통신 속도를 변경함으로써, 우선도가 낮은 데이터의 통신 속도를 억제함으로써 전력 소비량이 많은 고속 통신을 합리적으로 삭감해서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실시형태]
도 2는 제 2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은, 무선 LAN에 의한 통신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200)와, 네트워크(10)로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400)나 서버(500) 등의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도록, 본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인트(100)가 데이터 링크층의 프레임을 중계하는 것이다. 여기서,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참조 모델에 있어서의 레이어2의 데이터의 단위를, 패킷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부 프레임으로 통일해서 표현한다.
도 2에 나타내는 통신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100), 정보 처리 장치(200, 400), 중계 장치(300), 서버(500)를 갖는다. 액세스 포인트(100)는 중계 장치(300)를 통해서 정보 처리 장치(400), 서버(500)와 네트워크(10)로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10)는 예를 들면 유선 LAN으로 구성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무선 LAN이나 전용선 등의 다른 방식으로 구성해도 된다.
액세스 포인트(100)는 무선 LAN에 의한 통신 기능을 갖고있으며, 정보 처리 장치(200)와 무선 LAN에 의한 접속이 가능하다.
정보 처리 장치(200)는 유저가 사용하는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이다. 정보 처리 장치(200)는 액세스 포인트(100) 및 중계 장치(300)를 통해서, 정보 처리 장치(400)나 서버(500)와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200)는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정보 처리 장치(400)와 IP 전화나 텔레비전 전화에 의한 통화, 데이터 통신을 행하거나, 서버(500)로부터 배신되는 동화상이나 음성 콘텐츠를 취득하거나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행하거나 할 수 있다.
중계 장치(300)는 액세스 포인트(100), 정보 처리 장치(400), 서버(500) 등의 노드 간의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 송신원의 노드로부터 수신처의 노드까지 프레임을 중계한다.
정보 처리 장치(400)는 다른 유저가 사용하는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이다. 정보 처리 장치(400)는 네트워크(10)를 통해서 중계 장치(300)와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또한, 액세스 포인트(100)를 통해서 정보 처리 장치(200)와 통신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400)는 정보 처리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IP 전화나 텔레비전 전화에 의한 통화, 데이터 통신 등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서버(500)는 데이터 통신에 의해 축적하고 있는 데이터를 배신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이다. 서버(500)는 네트워크(10)를 통해서 중계 장치(300)와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또한 액세스 포인트(100)를 통해서 정보 처리 장치(200)와 통신할 수 있다. 서버(500)는 정보 처리 장치(200)와 통신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200)에 대하여 동화상이나 음성의 콘텐츠나 데이터를 배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3은 제 2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인트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액세스 포인트(100)는 무선 및 유선에 의한 통신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Central Processing Unit)(101), RAM(Random-Access Memory)(102), 플래시 ROM(Flash Read-Only Memory)(103), 전원부(106), 유선 LAN 인터페이스부(107),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110)를 갖는다.
CPU(101)는 액세스 포인트(100) 전체를 제어하고 있다. CPU(101)는 프로그램에 의한 처리를 실행한다. CPU(101)는 플래시 ROM(103)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마찬가지로 플래시 ROM(103)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CPU(101)는 유선 LAN 인터페이스부(107),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서, 정보 처리 장치(200) 등의 다른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커맨드를 수신함과 함께, 커맨드에 대한 실행 결과를 다른 장치에 응답한다.
RAM(102)은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되며, 액세스 포인트(100)의 통신이나 제어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플래시 ROM(103)은 프로그램 기록부, 데이터 기록부의 일례이며, 전술의 OS(Operating System)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억함과 함께, 데이터 기록부에는 우선도 변환 테이블이나 속도 판정 테이블 등의 각종 테이블을 기억하고 있다.
전원부(106)는 CPU(101)나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110) 등의 각 부에 대하여 구동 전력을 공급한다.
유선 LAN 인터페이스부(107)는 유선 LAN으로 접속된 통신 기능을 갖는 장치에 대하여, 유선 LAN에 의한 통신 접속을 행하는 인터페이스이다.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110)는 무선 LAN으로 접속 가능한 통신 기능을 갖는 접속 장치에 대한 무선 LAN에 의한 통신 접속을 행하는 인터페이스이다.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110)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11), 트랜시버(112), 전력 증폭기(113), 안테나(114)를 갖는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11)는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신호를 발생한다. 트랜시버(112)는 베이스밴드 신호로 반송 신호를 변조해서 송신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수신 신호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를 복조한다. 전력 증폭기(113)는 송신 신호 또는 수신 신호를 증폭한다. 안테나(114)는 전력 증폭기(113)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신호를 정보 처리 장치(200) 등의 무선 LAN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다른 장치에 무선 신호로서 송출하거나,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신호로서 전력 증폭기(113)에 입력한다.
도 4는 제 2 실시형태의 무선 LAN의 프레임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프레임이, 도 2에 있어서 전술한 액세스 포인트(100)의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서, 무선 LAN으로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송수신된다.
도 4에 나타내는 프레임은, IEEE 802.11e의 MAC 프레임 형식이며, 2바이트의 영역인 Frame Control, 2바이트의 영역인 Duration ID, 6바이트의 영역인 Address 1, 6바이트의 영역인 Address 2, 6바이트의 영역인 Address 3, 2바이트의 영역인 Sequence Control, 6바이트의 영역인 Address 4, 2바이트의 영역인 QoS Control, 가변 길이의 영역인 페이로드, 4바이트의 영역인 FCS(Frame Check Sequence)를 갖는다.
여기서, QoS Control은 IEEE 802.11e의 무선 LAN의 프레임의 우선 순위를 나타낸다. QoS Control은 트래픽의 우선 순위 설정에 사용되는 프레임의 우선 순위 레벨을 4단계의 액세스 카테고리로 나타낸다.
도 5는 제 2 실시형태의 유선 LAN의 프레임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프레임이, 도 2에 있어서 전술한 액세스 포인트(100)의 유선 LAN 인터페이스부(107)를 통해서, 네트워크(10)로 접속된 중계 장치(300)와의 사이에서 송수신된다.
도 5에 나타내는 프레임은, 8바이트의 영역인 프리앰블(preamble), 6바이트의 영역인 수신처 MAC 어드레스, 6바이트의 영역인 송신원 MAC 어드레스, 2바이트의 영역인 TPID(Tag Protocol Identifier: 태그·프로토콜(protocol) 식별자), 2바이트의 영역인 VLAN 태그, 2바이트의 영역인 타입, 가변 길이의 영역인 페이로드, 4바이트의 영역인 FCS(Frame Check Sequence)를 갖는다. 또한, VLAN 태그는, 3비트의 영역인 프라이어리티(priority), 1비트의 영역인 CFI(Canonical Format Indicator), 12비트의 영역인 VLAN ID를 갖는다.
여기서, VLAN 태그가 갖는 프라이어리티는 IEEE 802.1p의 우선 순위를 나타낸다. 프라이어리티는 트래픽의 우선 순위 설정에 사용되는 프레임의 우선 순위 레벨을 8단계로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인트(100)는 무선 LAN의 프레임의 우선도에 의거하여, 무선 LAN의 링크 속도를 판정한다. 무선 LAN의 프레임의 우선도에 의거하여, 무선 LAN의 링크 속도를 판정할 경우, 액세스 포인트(100)는 도 4에 나타낸 무선 LAN의 프레임의 QoS Control에 의거하여 무선 LAN으로 통신되는 프레임의 우선도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액세스 포인트(100)는 취득한 무선 LAN의 프레임의 우선도에 의거하여 무선 LAN의 링크 속도를 판정한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100)는 유선 LAN의 프레임의 우선도에 의거하여, 무선 LAN의 링크 속도를 판정할 수도 있다. 유선 LAN의 프레임의 우선도에 의거하여 링크 속도를 판정할 경우, 액세스 포인트(100)는 도 5에 나타낸 유선 LAN의 프레임의 VLAN 태그의 프라이어리티에 의거하여, LAN으로 통신되는 프레임의 우선도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액세스 포인트(100)는 취득한 유선 LAN의 프레임의 우선도를, 무선 LAN의 우선도로 변환하고, 변환해서 얻어진 무선 LAN의 우선도에 의거하여 무선 LAN의 링크 속도를 판정한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의 무선 LAN의 Beacon 프레임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Beacon 프레임이, 액세스 포인트(100)의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200)에 대하여 브로드캐스트 통신에 의해 송신됨으로써, 패시브 스캔이 행해진다.
도 6에 나타내는 Beacon 프레임은, 8바이트의 영역인 Time Stamp, 2바이트의 영역인 Beacon Interval, 2바이트의 영역인 Capability Information, 2∼34바이트의 영역인 Service Set ID, 3∼10바이트의 영역인 Supported Rates, 7바이트의 영역인 FH Parameter Set, 3바이트의 영역인 DS Parameter Set, 8바이트의 영역인 CF Parameter Set, 4바이트의 영역인 IBSS Parameter Set, 6∼256바이트의 영역인 TIM(Traffic Indication Message)을 갖는다.
여기서, Supported Rates는 본 실시형태의 속도 제어 처리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100)에 의해 링크 속도가 설정되는 영역이다. 이 Supported Rates에 링크 속도가 설정된 Beacon이 액세스 포인트(100)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200)에 송신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100)와 정보 처리 장치(200) 사이의 무선 LAN의 링크 속도가 제어된다.
한편, 프레임의 데이터 구조는 네트워크의 운용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변형예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나타낸 것 이외의 정보가 부가될 경우도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나타낸 정보의 일부가 생략될 경우도 있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인트(100)는 QoS 등의,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데이터가 분할된 프레임에 의해 나타나는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에 따라, 프레임이 송신되는 통신 속도를 변경한다. 액세스 포인트(100)는 입력부(121), 우선도 판정부(122), 속도 제어부(123), 출력부(124), 우선도 변환부(125), 우선도 변환 정보 기억부(151), 속도 판정 정보 기억부(152)를 갖는다. 또한, 출력부(124)에는 안테나(114)가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인트(100)는 데이터를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해서 송수신한다. 데이터가 분할된 프레임은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하는 제어 정보를 갖는다. 제어 정보에는 무선 LAN의 데이터의 통신에 있어서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우선 정보, 프레임의 수신처 MAC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수신처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입력부(121)는 무선 통신 장치나 정보 처리 장치 등의 통신 기능을 갖는 다른 장치와, 예를 들면 유선 LAN이나 무선 LAN 등의 물리 링크에 의해 접속 가능하다. 입력부(121)는 이들 장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가 입력 프레임으로서 프레임 형식으로 입력된다.
우선도 판정부(122)는 입력부(121)에 의해 프레임 형식으로 입력된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를 판정한다. 우선도 판정부(122)는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를 프레임의 제어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무선 LAN의 제어 신호가 나타내는 프라이어리티, 수신처 MAC 어드레스 등의, 그 데이터가 고속으로 송신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에 의거하여 판정한다. 또한, 우선도 판정부(122)는 액세스 포인트(100)에 입력된 데이터의 우선도의 형식이, 판정에 사용하고 있는 무선 LAN의 우선도의 형식과 상이할 경우, 우선도 변환부(125)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의 플로의 무선 통신의 우선도를 판정한다.
또한, 우선도 판정부(122)는 입력부(12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프레임의 제어 정보가 갖는 수신처 MAC 어드레스가, 송신처의 MAC 어드레스 등의 소정의 어드레스를 나타낼 경우에는, 프라이어리티의 값에 상관없이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를 높게 판정한다. 한편, 우선도 판정부(122)는 입력부(12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프레임의 제어 정보가 갖는 수신처 MAC 어드레스가 소정의 어드레스가 아닐 경우에는,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를 낮게 판정한다. 이에 따라, 소정의 장치와 통신할 경우에는 우선도를 높게 해서, 고속의 통신을 확보할 수 있다.
속도 제어부(123)는 속도 판정 정보 기억부(152)에 기억되어 있는 속도 판정 정보에 의거하여 우선도 판정부(122)에 의해 판정된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에 따라, 출력부(124)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 통신의 통신 속도를 설정한다. 이에 따라, 판정된 우선도에 따른 통신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속도 제어부(123)는 우선도 판정부(122)에 의해 판정된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가 높을 경우에는, 출력부(124)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통신 속도가 빠른 통신 규격(예를 들면, IEEE 802.11n)을 설정한다. 한편, 속도 제어부(123)는 우선도 판정부(122)에 의해 판정된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가 낮을 경우에는, 출력부(124)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통신 속도가 느린 통신 규격(예를 들면, IEEE 802.11b나 IEEE 802.11g)을 설정한다.
속도 제어부(123)는 QoS가 설정된 데이터의 플로의 입력이 소정 시간(예를 들면, 수분간) 이상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출력부(124)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 통신의 통신 속도를, QoS가 설정된 데이터의 입력이 검출되어 있을 경우보다도 느리게 설정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통신이 없을 경우에는 링크 속도를 저속으로 설정함으로써,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출력부(124)는 설정된 통신 속도로 데이터를 출력 프레임으로서 프레임 형식으로 출력한다. 출력부(124)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예를 들면 무선 LAN 등의 무선 통신의 물리 링크를 통해서, 안테나(114, 200a)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200) 등의 다른 장치에 전송된다. 이때, 출력부(124)는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110)와 데이터의 송신처인 정보 처리 장치(200) 사이에서 링크의 확립을 제어하는 Beacon 등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해서 니고시에이션(negotiation)을 행하고, 확립하고 있는 링크의 통신 속도를, 우선도 판정부(122)에 의한 우선도의 판정 결과에 따른 통신 속도로 변경한다.
우선도 변환부(125)는 입력부(12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우선도의 형식이, 판정에 사용하고 있는 무선 LAN의 우선도의 형식과 상이한 등, 무선 LAN의 우선도와 상이한 형식의 우선도가 설정된 데이터가 입력부(121)로부터 입력되었을 경우, 우선도 변환 정보 기억부(151)에 기억되어 있는 우선도 변환 정보에 의거하여, 입력부(121)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를 무선 통신의 우선도로 변환한다.
우선도 변환 정보 기억부(151)는 유선 LAN의 프레임의 데이터의 우선도 등, 무선 LAN의 우선도와 상이한 형식의 우선도를, 무선 LAN의 프레임의 데이터의 우선도로 변환하는 우선도 변환 정보를 기억한다. 우선도 변환 정보에 대해서는 상세하게는 도 11에 있어서 후술한다.
속도 판정 정보 기억부(152)는 입력부(121)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와 무선 통신의 통신 속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속도 판정 정보를 기억한다. 속도 판정 정보에 대해서는, 상세하게는 도 12에 있어서 후술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력부(121)로부터 입력된 프레임의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우선도가 판정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출력부(124)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의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우선도를 판정해도 된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인트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전술한 액세스 포인트(10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선 LAN 인터페이스부(107)로부터 입력된 유선 LAN측 입력 프레임에 대해서, 우선도 변환부(125)에 있어서 유선 LAN의 프레임의 우선도가 무선 LAN의 프레임의 우선도로 변환되고,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무선 LAN측 출력 프레임으로서 출력된다. 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100)에 유선 LAN측으로부터 입력된 프레임이 무선 LAN측의 수신처를 향해서 중계된다. 이때, 유선 LAN의 프레임의 우선도가, 무선 LAN으로 변환되므로, 유선 LAN의 우선도에 의거하여 무선 LAN의 링크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100)에 무선 LAN측으로부터 입력된 프레임이 유선 LAN측의 수신처를 향해서 중계되지만,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의 유선 LAN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유선 LAN 인터페이스부(107)는 플로 검출부(107a), 대역 감시부(107b), 마커부(107c), 우선도 지정부(107d)를 갖는다.
플로 검출부(107a)는 본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인트(100)에 입력된 유선 LAN측 입력 프레임의 일련의 흐름인 플로가 입력되면, 입력된 플로를 프레임의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검출한다.
대역 감시부(107b)는 유선 LAN 인터페이스부(107)에 입력된 플로의 대역을 감시한다.
마커부(107c)는 검출한 플로의 우선도를 개서한다. 이에 따라, 필요에 따라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인트(100)에서는 프라이어리티(도 5에 있어서 전술함)를 개서한다. 한편, 이에 한정하지 않고, 액세스 포인트(100)가 레이어3 스위치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패킷이 입력될 경우에는, 입력되는 플로의 패킷이 갖는 ToS 필드에 포함되는 프라이어리티를 개서해도 된다. 한편, 패킷의 프라이어리티를 나타내기 위해서, DSCP(DiffServ Code Point)를 이용하여도 된다.
우선도 지정부(107d)는 플로의 출력 우선도 및 큐에 기억될 때의 큐잉(queuing)의 우선도를 결정한다.
그 후, 도 8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00)에 입력된 유선 LAN측 입력 프레임은, 우선도 변환부(125)에 있어서 유선 LAN의 우선도가 무선 LAN의 우선도로 변환된다.
한편,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데이터의 플로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의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110)는 우선도 변환부(125)에 의해 유선 LAN의 우선도가 무선 LAN의 우선도로 변환된 플로에 대해서, 변환된 우선도에 따른 링크 속도로 액세스 포인트(100)와 접속된 다른 무선 통신 장치나 정보 처리 장치에 출력한다.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110)는 플로 검출부(110a), 대역 감시부(110b), 마커부(110c), 우선도 지정부(110d), 우선도 검출부(110e), 링크 확인부(110f), 링크 제어부(110h), 폐기 제어부(110k), 셰이퍼부(110m), 출력큐부(110p)를 갖는다.
플로 검출부(110a)는 우선도 변환부(125)에서 우선도가 변환된 플로를 프레임의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검출한다.
대역 감시부(110b)는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출력되는 플로의 대역을 감시한다.
마커부(110c)는 검출한 플로의 우선도를 필요에 따라 개서한다.
우선도 지정부(110d)는 플로의 출력 우선도 및 큐에 기억될 때의 큐잉 우선도를 결정한다.
우선도 검출부(110e)는 우선도 지정부(110d)에서 결정된 프레임이 나타내는 우선도 변환부(125)에서 변환된 우선도를 검출하고, 링크 제어부(110h)의 제어를 행한다.
링크 확인부(110f)는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110)에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200)와의 사이의 링크 속도 등의 링크의 상태 확인과 전회의 링크의 상태를 나타내는 링크 상태 데이터의 유지를 행한다.
링크 제어부(110h)는 우선도 검출부(110e)에 의한 우선도의 검출 결과 및 링크 확인부(110f)에 의해 확인된 현재의 링크 속도에 의거하여 데이터가 송신되는 무선 LAN의 링크의 통신 속도를 변경한다. 링크 제어부(110h)에 의한 제어에 의거하여,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출력되는 무선 LAN의 프레임의 통신 속도가 제어된다.
폐기 제어부(110k)는 프레임을 큐잉할지 폐기할지를 제어한다. 셰이퍼부(110m)는 프레임의 출력 순서나 출력 대역을 제어한다. 출력큐부(110p)는 출력 대기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존한다. 보존된 출력 대기의 데이터는 일정한 규칙에 의거해서 독출되고, 독출된 데이터는 그 후 출력한다.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의 우선도 변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우선도 변환 테이블(151a)은 우선도 변환 정보 기억부(151)에 기억되어 있다. 우선도 변환 테이블(151a)은 액세스 포인트(100)에 입력되는 유선 LAN의 프레임의 우선도와 액세스 포인트(100)에서 링크 속도의 제어에 사용되는 무선 LAN의 프레임의 우선도의 대응 관계를 설정하는 우선도 변환 정보를 기억하는 테이블이다.
우선도 변환 테이블(151a)에는, 항목으로서 "LAN 우선도", "무선 LAN 우선도"가 설정되어 있다. 우선도 변환 테이블(151a)에 있어서, 각 항목의 횡방향으로 나열된 정보들이 우선도 변환 정보로서 서로 관련되어 있다.
LAN 우선도는 유선 LAN으로부터 입력된 프레임에 설정되어 있는 우선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LAN 우선도는 IEEE 802.1P의 유저 프라이어리티에 따라서 설정된다. LAN 우선도의 괄호 내의 수치는 유선 LAN의 프레임에 설정되는 프라이어리티의 값을 나타낸다. 이 설정된 값에 따라, 유선 LAN으로부터 입력된 프레임의 우선도가 검출된다.
무선 LAN 우선도는 무선 LAN으로부터 입력된 프레임 및 유선 LAN으로부터 입력된 프레임에 대하여 변환에 의해 설정되는 무선 LAN의 우선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무선 LAN 우선도는 IEEE 802.11e의 액세스 카테고리에 따라서 설정된다. 무선 LAN 우선도의 괄호 내의 수치는 무선 LAN의 프레임에 설정되는 액세스 카테고리의 값을 나타낸다. 이 설정된 값에 따라, 무선 LAN의 프레임으로서의 우선도가 나타내진다.
우선도 변환 테이블(151a)에서는, LAN 우선도와 무선 LAN 우선도가 대응되어 있다. 유선 LAN으로부터 LAN 우선도가 설정된 프레임이 입력되면, 우선도 변환부(125)에 의해 입력된 프레임의 우선도가, 우선도 변환 테이블(151a)에서 대응되어 있는 무선 LAN의 우선도로 변환된다. 또한, LAN 우선도는 (1)Background가 가장 낮고, (7)Network Control이 가장 높은 것으로 한다. 또한, 무선 LAN 우선도는 (1)AC_BK가 가장 낮고, (4)AC_VO가 가장 높은 것으로 한다.
우선도 변환 테이블(151a)에서는 LAN 우선도의 (1)Background 및 (2)Spare가, 무선 LAN 우선도의 (1)AC_BK와 대응되어 있다. 예를 들면, 유선 LAN으로부터 (1)Background의 프레임 또는 (2)Spare의 프레임이 입력되었을 경우, 입력된 프레임의 우선도는 무선 LAN 우선도의 (1)AC_BK로 변환된다.
마찬가지로, 우선도 변환 테이블(151a)에서는, LAN 우선도의 (0)Best Effort 및 (3)Exellent Effort가, 무선 LAN 우선도의 (2)AC_BE와 대응되어 있다. 또한, LAN 우선도의 (4) Controlled Load 및 (5) Video가, 무선 LAN 우선도의 (3)AC_VI와 대응되어 있다. 또한, LAN 우선도의 (6)Voice 및 (7)Network Control이 무선 LAN 우선도의 (4)AC_VO와 대응되어 있다.
한편, 도 11에서는 IEEE 802.1P의 우선도를 IEEE 802.11e의 우선도로 변환하는 우선도 변환 정보의 예를 나타냈지만, 패킷의 우선도를 IEEE 802.11e의 우선도로 변환하는 등, 다른 형식의 우선도로부터 액세스 포인트(100)에서 판정에 사용하는 우선도로 변환할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우선도 변환 정보를 설정해서 우선도 변환부(125)에 의해 우선도를 변환할 수 있다.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의 속도 판정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속도 판정 테이블(152a)은 속도 판정 정보 기억부(152)에 기억되어 있다. 속도 판정 테이블(152a)은 액세스 포인트(100)에 있어서의 무선 LAN의 우선도와 무선 LAN의 링크 속도의 대응 관계를 설정하는 속도 판정 정보를 기억하는 테이블이다.
속도 판정 테이블(152a)에는, 항목으로서 "무선 LAN 우선도", "링크 속도"가 설정되어 있다. 속도 판정 테이블(152a)에 있어서, 각 항목의 횡방향으로 나열된 정보들이 판정 정보로서 서로 관련되어 있다.
무선 LAN 우선도는 액세스 포인트(100)에 입력된 프레임에 우선도를 나타낸다. 즉, 무선 LAN 우선도는 무선 LAN으로부터 입력된 프레임의 우선도, 또는 우선도 변환부(125)에 의해 우선도 변환 테이블(151a)에 따라서 유선 LAN으로부터 입력된 프레임의 우선도가 변환된 무선 LAN의 우선도를 나타낸다.
링크 속도는 액세스 포인트(100)에 있어서 무선 LAN에 의한 통신에 사용하는 사용 규격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세스 포인트(100)는 복수의 무선 LAN의 사용 규격을 사용 가능한 것으로 하고, 또한 무선 LAN의 링크 속도는 각 사용 규격에 대응하는 것으로 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인트(100)는 무선 LAN의 사용 규격을 변경함으로써, 무선 LAN의 링크 속도를 제어한다.
속도 판정 테이블(152a)에서는, 무선 LAN 우선도와 링크 속도가 대응되어 있다. 액세스 포인트(100)에 대하여, 유선 LAN으로부터 유선 LAN의 프레임이 입력되ㄱ고유선 LAN의 프레임의 우선도가 무선 LAN의 우선도로 변환되었을 경우, 또는 무선 LAN으로부터 무선 LAN의 프레임이 입력되었을 경우, 속도 제어부(123)에 의해, 입력된 프레임의 변환된 무선 LAN의 우선도에 의거하여, 속도 판정 테이블(152a)에서 대응되어 있는 무선 LAN의 링크 속도가 판정된다. 또한, 무선 LAN의 링크 속도는 IEEE 802.11b가 가장 저속이고, IEEE 802.11n이 가장 고속인 것으로 한다.
속도 판정 테이블(152a)에서는, 무선 LAN 우선도의 (1)AC_BK 및 (2)AC_BE가, 링크 속도의 IEEE 802.11g와 대응되어 있다. 예를 들면, 무선 LAN의 우선도가 (1)AC_BK의 프레임 또는 (2)AC_BE의 프레임이 입력되었을 경우, 무선 LAN의 링크 속도로서 IEEE 802.11g이 판정된다.
마찬가지로, 속도 판정 테이블(152a)에서는 무선 LAN 우선도의 (3)AC_VI 및 (4)AC_VO가 링크 속도의 IEEE 802.11n과 대응되어 있다. 또한, 소정 시간(예를 들면, 수분간) 이상 QoS 데이터의 프레임의 통신이 없을 경우, 무선 LAN의 링크 속도로서 가장 저속인 IEEE 802.11b가 판정된다.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의 속도 제어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속도 제어 처리는 액세스 포인트(100)가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에 따라 링크 속도를 제어하는 처리이다. 본 실시형태의 속도 제어 처리는 액세스 포인트(100)의 통신의 시작에 따라 실행된다.
[스텝 S11] 우선도 판정부(122)는 우선도 판정 처리(도 14에 있어서 후술)를 실행한다.
[스텝 S12] 속도 제어부(123)는 무선 LAN에서 사용하고 있는 링크 속도를 확인한다.
[스텝 S13] 속도 제어부(123)는 속도 판정 정보 기억부(152)에 기억되어 있는 속도 판정 정보를 취득한다.
[스텝 S14] 속도 제어부(123)는 스텝 S11에서 판정한 프레임의 우선도 및 스텝 S12에서 확인한 링크 속도에 대해서, 스텝 S13에서 취득한 속도 판정 정보에 따라서 비교한다. 이때, 속도 제어부(123)는 소정 시간 이상 QoS 데이터를 갖는 프레임의 검출이 없을 경우에는 프레임의 우선도를 검출할 수 없으므로, 우선도를 QoS 데이터를 갖는 프레임이 검출되어 있던 경우보다도 낮게 설정해서 링크 속도와 비교한다.
[스텝 S15] 속도 제어부(123)는 스텝 S14에서 비교한 프레임의 우선도 및 링크 속도가 대응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프레임의 우선도 및 링크 속도가 대응하면(스텝 S15 YES), 처리는 스텝 S12로 진행된다. 한편, 프레임의 우선도 및 링크 속도가 대응하고 있지 않으면(스텝 S15 NO), 처리는 스텝 S16으로 진행된다.
[스텝 S16] 속도 제어부(123)는 Beacon에, 스텝 S11에서 판정한 우선도에 대응하는 링크 속도를 설정한다.
[스텝 S17] 속도 제어부(123)는 스텝 S16에서 링크 속도를 설정한 Beacon을 접속처인 정보 처리 장치(200)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스텝 S11에서 판정한 우선도에 대응하는 속도의 링크 무선 LAN에 의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속도 제어 처리에서는 스텝 S12에 있어서 링크 속도를 확인한 후에 스텝 S13에 있어서 속도 판정 정보를 취득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속도 판정 정보를 취득한 후에 링크 속도를 확인해도 된다.
도 14는 제 2 실시형태의 우선도 판정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우선도 판정 처리는 액세스 포인트(100)에 입력된 프레임에 의거하여, 데이터의 우선도를 판정하는 처리이다. 본 실시형태의 우선도 판정 처리는 속도 제어 처리의 스텝 S11에서 호출되어 실행된다.
[스텝 S21] 우선도 판정부(122)는 액세스 포인트(100)에 입력된 프레임의 제어 정보가 나타내는 수신처 MAC 어드레스가 소정의 MAC 어드레스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수신처 MAC 어드레스가 소정의 MAC 어드레스가면(스텝 S21 YES), 처리는 스텝 S26으로 진행된다. 한편, 수신처 MAC 어드레스가 소정의 MAC 어드레스가 아니면(스텝 S21 NO), 처리는 스텝 S22로 진행된다.
[스텝 S22] 우선도 판정부(122)는 액세스 포인트(100)에 입력된 데이터의 프레임의 우선도를 검출한다. 이때, 액세스 포인트(100)에 입력된 프레임이 무선 LAN으로부터 입력된 것이면, 송신원에서 설정된 프레임의 우선도가 검출된다. 한편, 액세스 포인트(100)에 입력된 프레임이, 유선 LAN으로부터 입력된 것이면, 우선도 변환부(125)에서 무선 LAN의 우선도로 변환된 프레임의 우선도가 검출된다.
[스텝 S23] 우선도 판정부(122)는 스텝 S22에서 액세스 포인트(100)에 입력된 데이터의 프레임의 우선도에 대해서, 복수의 종류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복수의 종류의 우선도가 검출되면(스텝 S23 YES), 처리는 스텝 S24로 진행된다. 한편, 1종류의 우선도만 검출되면(스텝 S25 NO), 처리는 스텝 S25로 진행된다.
[스텝 S24] 우선도 판정부(122)는 스텝 S22에서 검출한 우선도 중 가장 높은 것을, 데이터의 프레임의 우선도로 설정한다. 그 후, 처리는 복귀한다.
[스텝 S25] 우선도 판정부(122)는 스텝 S22에서 검출한 우선도를, 데이터의 프레임의 우선도로 설정한다. 그 후, 처리는 복귀한다.
[스텝 S26] 우선도 판정부(122)는 데이터의 프레임의 우선도에 최고의 우선도(예를 들면, 액세스 카테고리의 AC_VO)를 설정한다. 그 후, 처리는 복귀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우선도 판정 처리에서는 스텝 S21에 있어서 데이터의 수신처가 소정의 MAC 어드레스인지의 여부를 판정한 후에 스텝 S23에 있어서 복수의 우선도를 취득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우선도를 취득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 후에 데이터의 수신처가 소정의 MAC 어드레스인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도 15는 제 2 실시형태의 링크의 접속 순서를 나타내는 시퀸스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링크의 접속 개시 시 및 링크 속도의 변경 시에, 액세스 포인트(100)가 패시브 스캔에 의해 Beacon을 송신한다. 이때, 액세스 포인트(100)는 송신하는 Beacon에, 프레임의 우선도에 따른 링크 속도를 설정해서 송신한다. 이것을 수신한 접속처인 정보 처리 장치(200)는 수신한 Beacon에 설정된 링크 속도로 무선 LAN의 통신의 설정을 행한다. 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100)와 정보 처리 장치(200) 사이에서, 프레임의 우선도에 따른 속도로 무선 LAN의 링크가 확립된다. 이하에, 도 15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100)와 정보 처리 장치(200) 사이에서 무선 LAN의 링크가 확립될 때까지의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스텝 S101] 액세스 포인트(100)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 대하여 프레임의 우선도에 대응하는 링크 속도를 설정한 Beacon을 송신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의 우선도에 대응하는 링크 속도가 정보 처리 장치(200)에 통지된다.
[스텝 S102] 정보 처리 장치(200)는 스텝 S101에서 액세스 포인트(100)로부터 송신된 Beacon을 수신하면, 액세스 포인트(100)에 대하여 Authentication을 송신한다.
[스텝 S103] 액세스 포인트(100)는 스텝 S102에서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 송신된 Authentication을 수신하면, 정보 처리 장치(200)에 대하여 Authentication에 대한 Ack(ACKnowledgement)를 송신한다.
[스텝 S104] 액세스 포인트(100)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 대하여 Authentication을 송신한다.
[스텝 S105] 정보 처리 장치(200)는 스텝 S104에서 액세스 포인트(100)로부터 송신된 Authentication을 수신하면, 액세스 포인트(100)에 대하여 Authentication에 대한 Ack를 송신한다.
[스텝 S106] 정보 처리 장치(200)는 액세스 포인트(100)에 대하여 Association Request를 송신한다.
[스텝 S107] 액세스 포인트(100)는 스텝 S106에서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 송신된 Association Request를 수신하면, 정보 처리 장치(200)에 대하여 Association Request에 대한 Ack를 송신한다.
[스텝 S108] 액세스 포인트(100)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 대하여 Association Response를 송신한다.
[스텝 S109] 정보 처리 장치(200)는 스텝 S108에서 액세스 포인트(100)로부터 송신된 Association Response를 수신하면, 액세스 포인트(100)에 대하여 Association Response에 대한 Ack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100)와 정보 처리 장치(200) 사이에서, 프레임의 우선도에 대응하는 링크 속도로 무선 LAN에 의한 통신이 확립된다.
[스텝 S110] 정보 처리 장치(200)는 액세스 포인트(100)에 대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스텝 S111] 액세스 포인트(100)는 스텝 S110에서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 송신된 Data를 수신하면, 정보 처리 장치(200)에 대하여 Data에 대한 Ack를 송신한다.
이상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프레임의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우선도나 수신처 MAC 어드레스에 의거하여 판정된 우선도에 따라 링크 속도가 변경되므로, 우선도가 낮은 데이터의 통신 속도를 억제할 수 있고, 전력 소비량이 많은 고속 통신을 합리적으로 삭감하여, 액세스 포인트(100)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3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의 제 2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마찬가지의 사항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함과 함께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데이터에 대해서 IP 어드레스에 의거하여 중계되는 네트워크 층의 패킷의 우선도에 의거하여 무선 LAN의 링크 속도를 판정할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OSI 참조 모델에 있어서의 레이어3의 데이터의 단위를 전부 패킷으로 통일해서 표현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프로토콜에 의거하는 TCP 패킷을 전송할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UDP(User Datagram Protocol) 프로토콜에 의거하는 UDP 패킷이나 그 밖의 프로토콜에 의거하는 패킷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6은 제 3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인트(600)는 도 2에 나타내는 시스템과 마찬가지의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와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인트(600)는 QoS 등의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포함되어있는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데이터가 분할된 패킷에 의해 나타나는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에 따라, 패킷이 송신되는 통신 속도를 변경한다. 액세스 포인트(600)는 입력부(621), 우선도 판정부(622), 속도 제어부(623), 출력부(624), 우선도 변환부(625), 우선도 변환 정보 기억부(651), 속도 판정 정보 기억부(652)를 갖는다. 또한, 출력부(624)에는 안테나(614)가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인트(600)는 데이터를 복수의 패킷으로 분할해서 송수신한다. 데이터가 분할된 패킷은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하는 제어 정보를 갖는다. 제어 정보에는 데이터의 통신에 있어서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우선 정보, 데이터의 송신처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수신처 I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 있다.
입력부(621)는 무선 통신 장치나 정보 처리 장치 등의 통신 기능을 갖는 다른 장치와, 예를 들면 유선 LAN이나 무선 LAN 등의 물리 링크에 의해 접속 가능하다. 입력부(621)는 이들 장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가 입력 패킷으로서 패킷 형식으로 입력된다.
우선도 판정부(622)는 입력부(621)에 의해 패킷 형식으로 입력된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를 판정한다. 우선도 판정부(622)는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를, 패킷의 헤더가 갖는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제어 신호가 나타내는, ToS 필드에 포함되는 프라이어리티, 수신처 IP 어드레스, 패킷의 송신처의 포트 번호를 나타내는 포트 번호 정보 등의, 그 데이터가 고속으로 송신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에 의거하여 판정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선도 판정부(622)는 입력부(62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우선도의 형식이 패킷의 우선도의 형식이며, 판정에 사용하고 있는 무선 LAN의 우선도의 형식과 다르기 때문에, 우선도 변환부(625)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의 플로의 무선 통신의 우선도를 판정한다.
또한, 우선도 판정부(622)는 입력부(62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패킷의 제어 정보가 갖는 수신처 IP 어드레스가 소정의 어드레스를 나타낼 경우에는, 프라이어리티의 값에 상관없이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를 높게 판정한다. 한편, 우선도 판정부(622)는 입력부(62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패킷의 제어 정보가 갖는 수신처 IP 어드레스가 소정의 어드레스가 아닐 경우에는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를 낮게 판정한다.
여기서, IP 어드레스는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대방의 정보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 상대의 정보 처리 장치마다에 따라 우선도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우선도 판정부(622)는 입력부(62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패킷의 제어 정보가 갖는 송신처의 포트 번호 정보가 소정의 포트 번호를 나타낼 경우에는 프라이어리티의 값에 상관없이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를 높게 판정한다. 한편, 우선도 판정부(622)는 입력부(62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패킷의 제어 정보가 갖는 송신처의 포트 번호 정보가 소정의 포트 번호가 아닐 경우에는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를 낮게 판정한다.
여기서, TCP 및 UDP의 포트 번호는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대방의 정보 처리 장치에서 동작하고 있으며,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를 나타낸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송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에 따라 우선도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FTP(File Transfer Protocol)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의 통신 속도를 중시할 경우에는 FTP의 포트 번호인 "20" 및 "21"을, 소정의 포트 번호로서 미리 설정해 둔다. 이에 따라, FTP의 패킷의 우선도의 판정 결과가 높아진다. 이에 따라, 데이터가 송신되는 링크의 통신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FTP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의 통신 속도를 중시하지 않고, 전력 절약화를 우선할 경우에는, 포트 번호가 "20"인 패킷의 프라이어리티를 낮게 함으로써 링크의 통신 속도가 낮아져서,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렇게, 패킷의 포트 번호로부터 데이터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특정함으로써, 데이터의 용도에 따라 상세하면서도 적절히 우선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송신처의 정보 처리 장치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를 조합시켜서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를 판정할 수 있다.
속도 제어부(623)는 속도 판정 정보 기억부(652)에 기억되어 있는 속도 판정 정보에 의거하여, 우선도 판정부(622)에 의해 판정된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에 따라, 출력부(624)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 통신의 통신 속도를 설정한다. 이에 따라, 판정된 우선도에 따른 통신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속도 제어부(623)는 QoS가 설정된 데이터의 플로의 입력이 소정 시간(예를 들면, 수분간) 이상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출력부(624)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 통신의 통신 속도를, QoS가 설정된 데이터의 입력이 검출되어 있을 경우보다도 느리게 설정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통신이 없을 경우에는 링크 속도를 저속으로 설정함으로써,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출력부(624)는 설정된 통신 속도로 데이터를 출력 패킷으로서 패킷 형식으로 출력한다. 출력부(624)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예를 들면 무선 LAN 등의 무선 통신의 물리 링크를 통해서, 안테나(614, 200a)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200) 등의 다른 장치에 전송된다. 이때, 출력부(624)는 도시하지 않은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와 데이터의 송신처인 정보 처리 장치(200) 사이에서 링크의 확립을 제어하는 Beacon 등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해서 니고시에이션을 행하고, 확립하고 있는 링크의 통신 속도를, 우선도 판정부(622)에 의한 우선도의 판정 결과에 따른 통신 속도로 변경한다.
우선도 변환부(625)는 입력부(62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우선도의 형식이 패킷의 우선도의 형식이며, 판정에 사용하고 있는 무선 LAN의 우선도의 형식과 상이하기 때문에, 우선도 변환 정보 기억부(651)에 기억되어 있는 우선도 변환 정보에 의거하여, 입력부(621)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를 무선 통신의 우선도로 변환한다.
우선도 변환 정보 기억부(651)는 패킷의 데이터의 우선도 등, 무선 LAN의 우선도와 상이한 형식의 우선도를, 무선 LAN의 패킷의 데이터의 우선도로 변환하는 우선도 변환 정보를 기억한다.
속도 판정 정보 기억부(652)는 입력부(621)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와 무선 통신의 통신 속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속도 판정 정보를 기억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력부(621)로부터 입력된 패킷의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우선도가 판정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출력부(624)로부터 출력되는 패킷의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우선도를 판정해도 된다.
도 17은 제 3 실시형태의 패킷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7에 나타내는 패킷이, 도 2에 있어서 전술한 액세스 포인트(100)의 도 3에 있어서 전술한 제 2 실시형태의 유선 LAN 인터페이스부(107) 및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110)와 마찬가지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그 외의 도시하지 않은 정보 처리 장치나 중계 장치 등의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송수신된다.
도 17에 나타내는 패킷은, 함께 제어 정보를 갖는, IP 헤더 및 TCP 헤더를 갖는다.
IP 헤더는 4비트의 영역인 버전 번호, 4비트의 영역인 헤더 길이, 8비트의 영역인 ToS 필드, 16비트의 영역인 패킷 길이, 16비트의 영역인 식별자, 3비트의 영역인 플래그, 13비트의 영역인 프래그먼트 오프셋, 8비트의 영역인 TTL(Time To Live), 8비트의 영역인 프로토콜 번호, 16비트의 영역인 헤더 체크섬, 32비트의 영역인 송신원 IP 어드레스, 32비트의 영역인 수신처 IP 어드레스를 갖는다. 또한, ToS 필드는 3비트의 영역인 프라이어리티, 5비트의 그 밖의 영역을 갖는다.
TCP 헤더는 16비트의 영역인 송신원 포트 번호, 16비트의 영역인 수신처 포트 번호, 32비트의 영역인 시퀸스 번호, 32비트의 영역인 확인 응답 번호, 4비트의 영역인 데이터 오프셋, 6비트의 영역인 예약 영역, 6비트의 영역인 코드 비트, 16비트의 영역인 윈도우 사이즈, 16비트의 영역인 체크섬, 16비트의 영역인 긴급 포인터를 갖는다.
또한, 패킷은 이들 IP 헤더 및 TCP 헤더와 함께 데이터 필드를 갖는다.
여기서, ToS 필드가 갖는 프라이어리티는 패킷의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액세스 포인트(600)는 입력된 패킷의 우선도에 의거하여 무선 LAN의 링크 속도를 판정한다. 패킷의 우선도에 의거하여 무선 LAN의 링크 속도를 판정할 경우, 액세스 포인트(600)는 도 17에 나타낸 패킷의 프라이어리티에 의거하여 무선 LAN에서 통신되는 패킷의 우선도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액세스 포인트(600)는 취득한 패킷의 우선도에 의거하여 무선 LAN의 링크 속도를 판정한다.
한편, 패킷의 데이터 구조는 네트워크의 운용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변형예가 생각된다.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낸 것 이외의 정보가 부가될 경우도 있다. 한편, 도 17에 나타낸 정보의 일부가 생략될 경우도 있다.
도 18은 제 3 실시형태의 우선도 판정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우선도 판정 처리는 액세스 포인트(600)에 입력된 패킷에 의거하여 데이터의 우선도를 판정하는 처리이다. 본 실시형태의 우선도 판정 처리는 속도 제어 처리의 스텝 S11에서 호출되어 실행된다.
[스텝 S31] 우선도 판정부(622)는 액세스 포인트(600)에 입력된 패킷의 제어 정보가 나타내는 수신처 IP 어드레스가 소정의 IP 어드레스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수신처 IP 어드레스가 소정의 IP 어드레스이면(스텝 S31 YES), 처리는 스텝 S36으로 진행된다. 한편, 수신처 IP 어드레스가 소정의 IP 어드레스가 아니면(스텝 S31 NO), 처리는 스텝 S32로 진행된다.
[스텝 S32] 우선도 판정부(622)는 액세스 포인트(600)에 입력된 데이터의 패킷의 우선도를 검출한다. 이때, 액세스 포인트(600)에 입력된 패킷의 우선도로서, 우선도 변환부(625)에서 변환된 무선 LAN의 패킷의 우선도가 검출된다.
[스텝 S33] 우선도 판정부(622)는 스텝 S32에서 액세스 포인트(600)에 입력된 데이터의 패킷의 우선도에 대해서, 복수의 종류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복수의 종류의 우선도가 검출되면(스텝 S33 YES), 처리는 스텝 S34로 진행된다. 한편, 1종류의 우선도만 검출되면(스텝 S33 NO), 처리는 스텝 S35로 진행된다.
[스텝 S34] 우선도 판정부(622)는 스텝 S32에서 검출한 우선도 중 가장 높은 것을, 데이터의 패킷의 우선도로 설정한다. 그 후, 처리는 복귀한다.
[스텝 S35] 우선도 판정부(622)는 스텝 S32에서 검출한 우선도를, 데이터의 패킷의 우선도로 설정한다. 그 후, 처리는 복귀한다.
[스텝 S36] 우선도 판정부(622)는 패킷의 제어 정보가 나타내는 송신처 포트 번호 또는 송신원 포트 번호가 소정의 포트 번호(예를 들면 "20" 또는 "21")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송신처의 포트 번호나 송신원 포트 번호 중 어느 하나가 소정의 포트 번호이면(스텝 S36 YES), 처리는 스텝 S37로 진행된다. 한편, 송신처 포트 번호 및 송신원 포트 번호의 어느 것도 소정의 포트 번호가 아니면(스텝 S36 NO), 처리는 스텝 S32로 진행된다.
[스텝 S37] 우선도 판정부(622)는 데이터의 패킷의 우선도에 최고의 우선도(예를 들면, 액세스 카테고리의 AC_VO)를 설정한다. 그 후, 처리는 복귀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우선도 판정 처리에서는, 스텝 S31에 있어서 데이터의 수신처가 소정의 IP 어드레스인지의 여부를 판정한 후에 스텝 S33에 있어서 복수의 우선도를 취득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우선도를 취득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 후에 데이터의 수신처가 소정의 IP 어드레스인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우선도 판정 처리에서는, 스텝 S31에 있어서 데이터의 수신처가 소정의 IP 어드레스인지의 여부를 판정한 후에, 스텝 S36에 있어서 데이터의 사용하는 포트가 소정의 포트 번호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데이터의 사용하는 포트가 소정의 포트 번호인지의 여부를 판정한 후에 데이터의 수신처가 소정의 IP 어드레스인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우선도 판정 처리에서는, 스텝 S36에 있어서 데이터의 사용하는 포트가 소정의 포트 번호인지의 여부를 판정한 후에 스텝 S33에 있어서 복수의 우선도를 취득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우선도를 취득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 후에 데이터의 사용하는 포트가 소정의 포트 번호인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이상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액세스 포인트(600)가 IP 패킷의 전송을 행할 경우에도, IP 패킷이 갖는 ToS 필드의 프라이어리티를 이용함으로써,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는 포트 번호에 의거하여 우선도가 판정되므로, 클라이언트측의 정보 처리 장치에서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우선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링크 속도를 빠르게 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플로의 패킷에 대해서는 우선도를 높여서 고속으로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4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의 제 2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마찬가지의 사항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함과 함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는 제 4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700)는 도 2에 나타내는 시스템과 마찬가지의 시스템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800)와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700)는 QoS 등의,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데이터가 분할된 프레임에 의해 나타내지는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에 따라, 프레임이 송신되는 통신 속도를 변경한다. 정보 처리 장치(700)는 입력부(721), 우선도 판정부(722), 속도 제어부(723), 출력부(724), 우선도 변환부(725), 우선도 변환 정보 기억부(751), 속도 판정 정보 기억부(752)를 갖는다. 또한, 출력부(724)에는 안테나(714)가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700)는 레이어2 프레임으로 통신 가능하며, 데이터를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해서 송수신한다. 데이터가 분할된 프레임은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하는 제어 정보를 갖는다. 제어 정보에는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우선 정보, 프레임의 수신처 MAC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수신처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입력부(721)는 무선 통신 장치나 정보 처리 장치 등의 통신 기능을 갖는 다른 장치와, 예를 들면 유선 LAN이나 무선 LAN 등의 물리 링크에 의해 접속 가능하다. 입력부(721)는 이들 장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가 입력 프레임으로서 프레임 형식으로 입력된다.
우선도 판정부(722)는 출력부(724)에 의해 프레임 형식으로 출력되는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를 판정한다. 우선도 판정부(722)는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를 프레임의 제어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무선 LAN의 제어 신호가 나타내는 프라이어리티, 수신처 MAC 어드레스 등의, 그 데이터가 고속으로 송신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에 의거하여 판정한다.
또한, 우선도 판정부(722)는 정보 처리 장치(7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우선도의 형식이, 판정에 사용하고 있는 무선 LAN의 우선도의 형식과 상이한 경우, 우선도 변환부(725)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의 플로의 무선 통신의 우선도를 판정한다.
또한, 우선도 판정부(722)는 출력부(724)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프레임의 제어 정보가 갖는 수신처 MAC 어드레스가, 송신처의 MAC 어드레스 등의, 소정의 어드레스를 나타낼 경우에는,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를 높게 판정한다. 한편, 우선도 판정부(722)는 출력부(724)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프레임의 제어 정보가 갖는 수신처 MAC 어드레스가 소정의 어드레스가 아닐 경우에는,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를 낮게 판정한다. 이에 따라, 소정의 장치와 통신할 경우에는 우선도를 높게 해서, 고속의 통신을 확보할 수 있다.
속도 제어부(723)는 속도 판정 정보 기억부(752)에 기억되어 있는 속도 판정 정보에 의거하여 우선도 판정부(722)에 의해 판정된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에 따라, 출력부(724)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통신 속도를 설정한다. 이에 따라, 판정된 우선도에 따른 통신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속도 제어부(723)는 QoS가 설정된 데이터의 플로의 출력이 소정 시간(예를 들면, 수분간) 이상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출력부(724)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 통신의 통신 속도를, QoS가 설정된 데이터의 출력이 검출되어 있을 경우보다도 느리게 설정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통신이 없을 경우에는 링크 속도를 저속으로 설정함으로써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출력부(724)는 설정된 통신 속도로 데이터를 출력 프레임으로서 프레임 형식으로 출력한다. 출력부(724)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예를 들면 무선 LAN 등의 무선 통신의 물리 링크를 통해서, 안테나(714, 800a)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800) 등의 다른 장치에 전송된다. 이때, 출력부(724)는 도 20에 있어서 후술하는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와 데이터의 송신처인 액세스 포인트(800) 사이에서 링크의 확립을 제어하는 Probe Request 등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해서 니고시에이션을 행하고, 확립하고 있는 링크의 통신 속도를, 우선도 판정부(722)에 의한 우선도의 판정 결과에 따른 통신 속도로 변경한다.
우선도 변환부(725)는 출력부(724)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우선도의 형식이, 판정에 사용하고 있는 무선 LAN의 우선도의 형식과 상이한 경우 등, 무선 LAN의 우선도와 상이한 형식의 우선도가 설정된 데이터가 정보 처리 장치(700)로부터 출력될 경우, 우선도 변환 정보 기억부(751)에 기억되어 있는 우선도 변환 정보에 의거하여, 출력부(724)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를 무선 통신의 우선도로 변환한다.
우선도 변환 정보 기억부(751)는 유선 LAN의 프레임의 데이터의 우선도 등, 무선 LAN의 우선도와 상이한 형식의 우선도를, 무선 LAN의 프레임의 데이터의 우선도로 변환하는 우선도 변환 정보를 기억한다.
속도 판정 정보 기억부(752)는 출력부(724)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와 무선 통신의 통신 속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속도 판정 정보를 기억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출력부(724)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의 정보에 의거하여 우선도가 판정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입력부(721)에 입력된 프레임의 정보에 의거하여 우선도를 판정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00)는 레이어2 프레임에 의거하여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를 판정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레이어3 패킷에 의거하여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를 판정해도 된다.
도 20은 제 4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정보 처리 장치(700)는 CPU(701)에 의해 장치 전체가 제어되고 있다. CPU(701)에는 버스(708)을 통해서 RAM(702) 및 복수의 주변 기기가 접속되어 있다.
RAM(702)은 정보 처리 장치(700)의 주 기억 장치로서 사용된다. RAM(702)에는 CPU(701)에 실행시키는 OS의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또한, RAM(702)에는 CPU(701)에 의한 처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버스(708)에 접속되어 있는 주변 기기로서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703), 그래픽 처리 장치(704), 입력 인터페이스(705), 광학 드라이브 장치(706), 유선 LAN 인터페이스부(707),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710)가 있다.
HDD(703)는 내장한 디스크에 대하여, 자기적으로 데이터의 기입 및 독출을 행한다. HDD(703)는 정보 처리 장치(700)의 2차 기억 장치로서 사용된다. HDD(703)에는 OS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한편, 2차 기억 장치로서는, 플래쉬 메모리 등의 반도체 기억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704)에는 모니터(11)가 접속되어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704)는 CPU(701)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화상을 모니터(11)의 화면에 표시시킨다. 모니터(11)로서는, CRT(Cathode Ray Tube)를 이용한 표시 장치나 액정 표시 장치 등이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705)에는 키보드(12)와 마우스(13)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705)는 키보드(12)나 마우스(13)로부터 보내져 오는 신호를 CPU(701)에 송신한다. 한편, 마우스(13)는 포인팅 디바이스의 일례이며, 다른 포인팅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포인팅 디바이스로서는, 터치 패널, 태블릿, 터치 패드, 트랙볼 등이 있다.
광학 드라이브 장치(706)는 레이저광 등을 이용해서, 광디스크(14)에 기록된 데이터의 판독을 행한다. 광디스크(14)는 광의 반사에 의해 판독 가능하게 데이터가 기록된 가반형의 기록 매체이다. 광디스크(14)에는, DVD(Digital Versatile Disc), DVD-RAM, CD(Compact Disc)-ROM, CD-R(Recordable)/RW(ReWritable) 등이 있다.
유선 LAN 인터페이스부(707)는 LAN으로 구성된 네트워크(10)에 접속되어 있다. 유선 LAN 인터페이스부(707)는 네트워크(10)를 통해서, 다른 컴퓨터 또는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710)는 무선 LAN으로 액세스 포인트(800) 또는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접속 가능하다.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710)는 무선 LAN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800) 또는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710)의 상세는, 도 3에 있어서 전술한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110)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처리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도 21은, 제 4 실시형태의 무선 LAN의 Probe Request 프레임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1에 나타내는 Probe Request 프레임이, 정보 처리 장치(700)의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710)로부터, 액세스 포인트(800)에 대하여 브로드캐스트 통신에 의해 송신됨으로써, 액티브 스캔이 행해진다.
도 21에 나타내는 Probe Request 프레임은, 2바이트의 영역인 Capability Information, 2∼34바이트의 영역인 Service Set ID, 3∼10바이트의 영역인 Supported Rates를 갖는다.
여기서, Supported Rates는 본 실시형태의 속도 제어 처리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700)에 의해 판정된 프레임의 우선도에 대응하는 링크 속도가 설정되는 영역이다. 이 Supported Rates에 링크 속도가 설정된 Probe Request가 정보 처리 장치(700)로부터 액세스 포인트(800)에 송신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800)와 정보 처리 장치(700) 사이의 무선 LAN으로 송수신되는 프레임의 우선도에 대응하는 링크 속도가 액세스 포인트(800)에 통지된다.
도 22는 제 4 실시형태의 무선 LAN의 Probe Response 프레임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2에 나타내는 Probe Response 프레임이, 정보 처리 장치(700)의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710)로부터, 액세스 포인트(800)에 대하여 Probe Request 프레임의 응답으로서, 액세스 포인트(800)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700)의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710)에 대하여 송신된다.
도 22에 나타내는 Probe Response 프레임은, 8바이트의 영역인 Time Stamp, 2바이트의 영역인 Beacon Interval, 2바이트의 영역인 Capability Information, 2∼34바이트의 영역인 Service Set ID, 3∼10바이트의 영역인 Supported Rates, 7바이트의 영역인 FH Parameter Set, 3바이트의 영역인 DS Parameter Set, 8바이트의 영역인 CF Parameter Set, 4바이트의 영역인 IBSS Parameter Set를 갖는다.
여기서, Supported Rates는 본 실시형태의 속도 제어 처리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800)에 의해 링크 속도가 설정되는 영역이다. 이 Supported Rates에 링크 속도가 설정된 Probe Response가 액세스 포인트(800)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700)에 송신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800)와 정보 처리 장치(700) 사이의 무선 LAN의 링크 속도가 제어된다.
한편, 프레임의 데이터 구조는 네트워크의 운용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변형예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나타낸 것 이외의 정보가 부가될 경우도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나타낸 정보의 일부가 생략될 경우도 있다.
도 23은 제 4 실시형태의 드라이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정보 처리 장치(700)에서 기능하는 드라이버(731)는 정보 처리 장치(70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프레임을, 무선 LAN으로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800) 등에 출력한다. 드라이버(731)는 플로 검출부(731a), 우선도 검출부(731e), 링크 확인부(731f), 우선도 결정부(731g), 링크 제어부(731h)를 갖는다.
플로 검출부(731a)는 정보 처리 장치(700)로부터 무선 LAN으로 송신되는 플로를 프레임의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검출한다.
우선도 검출부(731e)는 정보 처리 장치(700)로부터 송신되는 프레임의 제어 정보로부터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를 검출하여, 링크 제어부(731h)의 제어를 행한다.
링크 확인부(731f)는 정보 처리 장치(700)의 액세스 포인트(800)와의 사이의 무선 LAN에 의한 링크 속도 등의 링크의 상태 확인과 전회의 링크의 상태를 나타내는 링크 상태 데이터의 유지를 행한다.
링크 제어부(731h)는 우선도 검출부(731e)에 의한 우선도의 검출 결과 및 링크 확인부(731f)에 의해 확인된 현재의 링크 속도에 의거하여, 데이터가 송신되는 무선 LAN의 링크의 통신 속도를 변경한다. 링크 제어부(731h)에 의한 제어에 근거하여, 무선 LAN 인터페이스부(710)로부터 출력되는 무선 LAN의 프레임의 통신 속도가 제어된다.
도 24는 제 4 실시형태의 속도 제어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4에 나타내는 속도 제어 처리는 정보 처리 장치(700)가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에 따라 링크 속도를 제어하는 처리이다. 본 실시형태의 속도 제어 처리는 정보 처리 장치(700)의 통신의 개시에 따라 실행된다.
[스텝 S41] 우선도 판정부(722)는 우선도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42] 속도 제어부(723)는 무선 LAN에서 사용하고 있는 링크 속도를 확인한다.
[스텝 S43] 속도 제어부(723)는 속도 판정 정보 기억부(752)에 기억되어 있는 속도 판정 정보를 취득한다.
[스텝 S44] 속도 제어부(723)는 스텝 S41에서 판정한 프레임의 우선도 및 스텝 S42에서 확인한 링크 속도에 대해서, 스텝 S43에서 취득한 속도 판정 정보에 따라서 비교한다. 이때, 속도 제어부(723)는, 소정 시간 이상 QoS 데이터를 갖는 프레임의 검출이 없을 경우에는 프레임의 우선도를 검출할 수 없으므로, 우선도를 QoS 데이터를 갖는 프레임이 검출되어 있었을 경우보다도 낮게 설정해서 링크 속도와 비교한다.
[스텝 S45] 속도 제어부(723)는 스텝 S44에서 비교한 프레임의 우선도 및 링크 속도가 대응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프레임의 우선도 및 링크 속도가 대응하면(스텝 S45 YES), 처리는 스텝 S42로 진행된다. 한편, 프레임의 우선도 및 링크 속도가 대응하고 있지 않으면(스텝 S45 NO), 처리는 스텝 S46으로 진행된다.
[스텝 S46] 속도 제어부(723)는 Probe Request에, 스텝 S41에서 판정한 우선도에 대응하는 링크 속도를 설정한다.
[스텝 S47] 속도 제어부(723)는 스텝 S46에서 링크 속도를 설정한 Probe Request를 접속처인 액세스 포인트(800)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800)와의 사이에서, 스텝 S41에서 판정한 우선도에 대응하는 속도의 링크 무선 LAN에 의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속도 제어 처리에서는 스텝 S42에 있어서 링크 속도를 확인한 후에 스텝 S43에 있어서 속도 판정 정보를 취득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속도 판정 정보를 취득한 후에 링크 속도를 확인해도 된다.
도 25는 제 4 실시형태의 링크의 접속 순서를 나타내는 시퀸스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링크의 접속 개시 시 및 링크 속도의 변경 시에, 정보 처리 장치(700)가 액티브 스캔에 의해 Probe Request를 송신한다. 이때, 정보 처리 장치(700)는 송신하는 Probe Request에, 프레임의 우선도에 따른 링크 속도를 설정해서 송신한다. 이것을 수신한 접속처인 액세스 포인트(800)는 수신한 Probe Request에 설정된 링크 속도로 무선 LAN의 통신의 설정을 행한다. 이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700)와 액세스 포인트(800) 사이에서, 프레임의 우선도에 따른 속도로 무선 LAN의 링크가 확립된다. 이하에, 도 25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700)와 액세스 포인트(800) 사이에서 무선 LAN의 링크가 확립될 때까지의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스텝 S201] 정보 처리 장치(700)는 액세스 포인트(800)에 대하여 프레임의 우선도에 대응하는 링크 속도가 설정된 Probe Request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의 우선도에 대응하는 링크 속도가 액세스 포인트(800)에 통지된다.
[스텝 S202] 액세스 포인트(800)는 스텝 S201에서 정보 처리 장치(700)로부터 송신된 Probe Request를 수신하면, 정보 처리 장치(700)에 대하여 Probe Response를 송신한다.
[스텝 S203] 정보 처리 장치(700)는 스텝 S202에서 액세스 포인트(800)로부터 송신된 Probe Response를 수신하면, 액세스 포인트(800)에 대하여 Authentication을 송신한다.
[스텝 S204] 액세스 포인트(800)는 스텝 S203에서 정보 처리 장치(700)로부터 송신된 Authentication을 수신하면, 정보 처리 장치(700)에 대하여 Authentication에 대한 Ack를 송신한다.
[스텝 S205] 액세스 포인트(800)는 정보 처리 장치(700)에 대하여 Authentication을 송신한다.
[스텝 S206] 정보 처리 장치(700)는 스텝 S205에서 액세스 포인트(800)로부터 송신된 Authentication을 수신하면, 액세스 포인트(800)에 대하여 Authentication에 대한 Ack를 송신한다.
[스텝 S207] 정보 처리 장치(700)는 액세스 포인트(800)에 대하여 Association Request를 송신한다.
[스텝 S208] 액세스 포인트(800)는 스텝 S207에서 정보 처리 장치(700)로부터 송신된 Association Request를 수신하면, 정보 처리 장치(700)에 대하여 Association Request에 대한 Ack를 송신한다.
[스텝 S209] 액세스 포인트(800)는 정보 처리 장치(700)에 대하여 Association Response를 송신한다.
[스텝 S210] 정보 처리 장치(700)는 스텝 S209에서 액세스 포인트(800)로부터 송신된 Association Response를 수신하면, 액세스 포인트(800)에 대하여 Association Response에 대한 Ack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800)와 정보 처리 장치(700) 사이에서, 프레임의 우선도에 대응하는 링크 속도로 무선 LAN에 의한 통신이 확립된다.
[스텝 S211] 정보 처리 장치(700)는 액세스 포인트(800)에 대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스텝 S212] 액세스 포인트(800)는 스텝 S211에서 정보 처리 장치(70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면, 정보 처리 장치(700)에 대하여 데이터에 대한 Ack를 송신한다.
이상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실시형태에 의하면, 통신에 있어서의 클라이언트측인, 유저가 사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700)에 있어서,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를 설정해서 통신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정보 처리 장치(700)가 유저나 애플리케이션의 판단에 따라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프레임이나 패킷의 종류에 따라 형식적 또는 기계적으로 데이터의 플로의 우선도를 판정할 경우와 비교해서, 유연하면서도 상세하게 우선도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00)가 우선도에 의거하여 링크의 통신 속도를 설정하는 기능을 가짐으로써, 클라이언트측인 정보 처리 장치(700)와 액세스 포인트(800) 등의 무선 통신 장치 사이의 무선 LAN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700)로부터 데이터가 송신될 경우에도 적절한 통신 속도로 링크를 확립할 수 있으며, 전력 절약의 효과가 보다 커진다.
한편, 상기의 처리 기능은, 컴퓨터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그 경우, 액세스 포인트(100), 액세스 포인트(600), 정보 처리 장치(700)가 가져야 할 기능의 처리 내용을 기술한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그 프로그램을 컴퓨터에서 실행함으로써, 상기 처리 기능이 컴퓨터상 에서 실현된다.
처리 내용을 기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해 둘 수 있다.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자기 기록 장치, 광 디스크, 광자기 기록 매체, 반도체 메모리 등이 있다. 자기 기록 장치에는 HDD, 플렉시블 디스크(FD), 자기 테이프(MT) 등이 있다. 광 디스크에는 DVD, DVD-RAM, CD-ROM, CD-R/RW 등이 있다. 광자기 기록 매체에는 MO(Magneto-Optical disk) 등이 있다.
상기 프로그램을 유통시킬 경우에는 예를 들면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DVD, CD-ROM 등의 가반형 기록 매체가 판매된다. 또한 프로그램을 서버 컴퓨터에 저장해두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 컴퓨터로부터 다른 컴퓨터에 그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는 예를 들면 가반형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또는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프로그램을, 자기(自己)의 기억 장치에 저장한다. 그리고, 컴퓨터는 자기의 기억 장치로부터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컴퓨터는 가반형 기록 매체로부터 직접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그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는 서버 컴퓨터로부터 프로그램이 전송될 때마다, 차례 차례로 받은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할 수도 있다.
이상, 개시의 무선 통신 장치, 정보 처리 장치 및 무선 통신 제어 방법을 도시의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각 부의 구성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임의의 구성인 것으로 치환할 수 있다. 또한, 개시의 기술에 다른 임의의 구성물이나 공정이 부가되어도 된다. 또한, 개시의 기술은 전술한 실시형태 중의 임의의 2 이상의 구성을 조합시킨 것이어도 된다.
상기에 대해서는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다수의 변형, 변경이 당업자에게 있어서 가능하고, 개시의 기술은 상기에 나타내며, 설명한 정확한 구성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않고, 대응하는 모든 변형예 및 균등물은, 첨부의 청구항 및 그 균등물에 의한 본 발명의 범위로 간주된다.
1 무선 통신 장치
1a 입력 수단
1b 우선도 판정 수단
1c 속도 제어 수단
1d 출력 수단
1d1 안테나
2 통신 장치
2a 안테나

Claims (13)

  1.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 수단과,
    상기 데이터의 우선도를 판정하는 우선도 판정 수단과,
    설정된 통신 속도로 상기 데이터를 무선 통신에 의해 출력하는 출력 수단과,
    상기 우선도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상기 데이터의 상기 우선도에 따라,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무선 통신의 상기 통신 속도를 설정함과 함께, 상기 데이터의 입력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무선 통신의 상기 통신 속도를 상기 데이터의 입력이 검출되어 있을 경우보다도 느리게 설정하는 속도 제어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의 통신에 있어서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우선 정보를 갖고,
    상기 우선도 판정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데이터가 갖는 상기 우선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의 상기 우선도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의 송신처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수신처 어드레스 정보를 갖고,
    상기 우선도 판정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데이터가 갖는 상기 수신처 어드레스 정보가 소정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우선도를 상기 수신처 어드레스 정보가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 이외의 경우보다 높게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의 송신처의 포트 번호를 나타내는 포트 번호 정보를 갖고,
    상기 우선도 판정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데이터가 갖는 상기 포트 번호 정보가 소정의 상기 포트 번호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우선도를 상기 포트 번호 정보가 소정의 상기 포트 번호 이외의 경우보다 높게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데이터의 송신처와의 사이에서 링크의 확립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에 상기 우선도 판정 수단에 의한 상기 우선도의 판정 결과에 따른 상기 통신 속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서 상기 데이터의 송신처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송신처와의 상기 통신 속도의 설정을 상기 우선도의 판정 결과에 따른 상기 통신 속도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제어 수단은, 상기 데이터의 입력이 소정 시간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무선 통신의 상기 통신 속도를 상기 데이터의 입력이 검출되어 있을 경우보다도 느리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유선 통신의 데이터의 우선도를 무선 통신의 데이터의 우선도로 변환하는 우선도 변환 정보를 기억하는 우선도 변환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우선도 변환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우선도 변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데이터의 우선도를 무선 통신의 우선도로 변환하는 우선도 변환 수단을 갖고,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데이터가 입력되고,
    상기 우선도 판정 수단은, 상기 우선도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상기 데이터의 상기 무선 통신의 우선도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상기 우선도와 상기 무선 통신의 상기 통신 속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속도 판정 정보를 기억하는 속도 판정 정보 기억 수단을 갖고,
    상기 속도 제어 수단은, 상기 속도 판정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속도 판정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우선도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상기 데이터의 상기 우선도에 따라,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무선 통신의 상기 통신 속도를 설정함과 함께, 상기 데이터의 입력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무선 통신의 상기통신 속도를 상기 데이터의 입력이 검출되어 있을 경우보다도 느리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처 어드레스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송신처의 MAC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상기 데이터를, 상기 MAC 어드레스로 나타낸 상기 수신처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으로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처 어드레스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송신처의 IP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상기 데이터를, 상기 IP 어드레스로 나타낸 상기 수신처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으로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1. 데이터의 우선도를 판정하는 우선도 판정 수단과,
    설정된 통신 속도로 상기 데이터를 무선 통신에 의해 출력하는 출력 수단과,
    상기 우선도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상기 데이터의 상기 우선도에 따라,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무선 통신의 상기 통신 속도를 설정함과 함께, 상기 데이터의 출력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무선 통신의 상기 통신 속도를 상기 데이터의 출력이 검출되어 있을 경우보다도 느리게 설정하는 속도 제어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제어 수단은, 상기 데이터의 출력이 소정 시간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무선 통신의 상기 통신 속도를 상기 데이터의 출력이 검출되어 있을 경우보다도 느리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3. 우선도 판정 수단이,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우선도를 판정하고,
    속도 제어 수단이, 상기 우선도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상기 데이터의 상기 우선도에 따라,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데이터의 무선 통신의 통신 속도를 설정함과 함께, 상기 데이터의 입력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데이터의 상기 무선 통신의 상기 통신 속도를 상기 데이터의 입력이 검출되어 있을 경우보다도 느리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제어 방법.
KR1020127025382A 2010-04-06 2010-04-06 무선 통신 장치, 정보 처리 장치 및 무선 통신 제어 방법 KR101435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56235 WO2011125175A1 (ja) 2010-04-06 2010-04-06 無線通信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無線通信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517A true KR20120127517A (ko) 2012-11-21
KR101435094B1 KR101435094B1 (ko) 2014-08-27

Family

ID=44762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382A KR101435094B1 (ko) 2010-04-06 2010-04-06 무선 통신 장치, 정보 처리 장치 및 무선 통신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82858B2 (ko)
EP (1) EP2557891B1 (ko)
JP (1) JP5472450B2 (ko)
KR (1) KR101435094B1 (ko)
CN (1) CN102939790B (ko)
WO (1) WO20111251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4028788A2 (pt) * 2012-05-18 2017-06-27 Mediatek Inc transmissão aperfeiçoada de dados de ue para otimizar o consumo de energia
EP2923471B1 (en) * 2012-11-26 2020-01-08 Koninklijke KPN N.V. Routing data in a network
CN104539650A (zh) * 2014-12-03 2015-04-22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于车载系统的外接wifi设备
US10015772B2 (en) * 2015-12-03 2018-07-03 Dell Products L.P. Geo-tagged beacons for Wi-Fi performance optimization
JP6356168B2 (ja) * 2016-03-02 2018-07-11 矢崎総業株式会社 有線無線複合通信システム及び有線無線複合通信方法
CN106453121B (zh) * 2016-09-14 2019-05-21 上海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链路动态负载配置方法、系统以及服务器
CN109005126B (zh) * 2017-06-06 2020-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流的处理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002A (ja) * 2000-10-13 2002-04-26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送信方法、及びデータ受信方法
US7136355B2 (en) * 2001-01-16 2006-11-14 Admtek Incorporated Transmission components for processing VLAN tag and priority packets supported by using single chip's buffer structure
JP3895165B2 (ja) 2001-12-03 2007-03-2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制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通信基地局及び移動端末
JP2003283545A (ja) * 2002-03-22 2003-10-03 Toshiba Corp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システムのコネクション制御方法
JP3799285B2 (ja) * 2002-03-29 2006-07-19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無線lan基地局、無線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US7551561B2 (en) * 2003-05-15 2009-06-23 Panasonic Corporation Packet communication terminal
JP2004356855A (ja) 2003-05-28 2004-12-16 Tdk Corp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0542346B1 (ko) * 2003-07-30 2006-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랜 액세스 포인트의 패킷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EP1681883A4 (en) 2003-10-31 2011-06-15 Kyocera Corp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RATE, BASE ST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TERMINAL APPARATUS
US7613153B2 (en) * 2003-11-06 2009-11-0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Access points with selective communication rate and scheduling control and related method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JP2006019808A (ja) * 2004-06-30 2006-01-19 Toshiba Corp 中継装置および中継装置の優先制御方法
JP2006191455A (ja) * 2005-01-07 2006-07-20 Nec Corp 無線移動通信方法、無線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制御装置及び無線移動端末
JP2007179555A (ja) * 2005-03-01 2007-07-12 Omron Corp 監視システム
EP1699028B1 (en) * 2005-03-01 2014-05-07 OMRON Corporation Wireless alarm system with remote alarm receipt
US7492752B2 (en) * 2005-05-25 2009-02-1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channel maintenance signaling
US8798571B2 (en) * 2005-10-11 2014-08-05 Via Technologies Inc. Method of managing power consumption of portable computer and portable computer using the same
JP4769076B2 (ja) * 2005-12-05 2011-09-07 ベルク工業有限会社 静電印刷装置
JP4935156B2 (ja) 2006-04-05 2012-05-23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lan装置、無線lan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通信方法
JP4142068B2 (ja) * 2006-06-16 2008-08-27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アクセス制御方法
KR101002907B1 (ko) * 2007-03-26 2010-12-21 한국과학기술원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JP2008299612A (ja) * 2007-05-31 2008-12-11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4974078B2 (ja) * 2007-07-26 2012-07-11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
US20090103435A1 (en) * 2007-10-17 2009-04-23 Nokia Corporation Dynamic rate adaptation for distributed wireless network
JP4663761B2 (ja) * 2008-06-20 2011-04-06 アラクサラ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パケット中継装置
CN101552726B (zh) * 2009-05-14 2012-01-11 北京交通大学 一种分级服务边缘路由器
WO2011007437A1 (ja) * 2009-07-16 2011-01-20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58320A1 (en) 2013-03-07
EP2557891A4 (en) 2015-07-15
JP5472450B2 (ja) 2014-04-16
EP2557891A1 (en) 2013-02-13
CN102939790A (zh) 2013-02-20
US8982858B2 (en) 2015-03-17
EP2557891B1 (en) 2018-09-26
CN102939790B (zh) 2017-02-15
WO2011125175A1 (ja) 2011-10-13
JPWO2011125175A1 (ja) 2013-07-08
KR101435094B1 (ko)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5881B1 (en) End-to--end packet aggregation in mesh networks
CN105282114B (zh) 一种数据帧传输的方法、发送装置和接收装置
KR20120127517A (ko) 무선 통신 장치, 정보 처리 장치 및 무선 통신 제어 방법
US11418999B2 (en) Buffer status report for high priority transmission
JP5255096B2 (ja) 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
JP6983885B2 (ja) 基地局装置及び無線区間のQoS制御方法
EP2790434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60234752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LWA PDU Routing
WO2021232568A1 (zh) 无线局域网收发数据的方法、终端和系统及网络接入设备
JP2003298592A (ja) 無線lanシステム、主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3543219B (zh) 通信方法和装置
WO2003058896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iority based flow control in an ethernet architecture
KR20080041261A (ko) 인터넷 프로토콜 흐름을 위해 무선 링크 프로토콜을구성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CN106664735A (zh) 用户设备的最大传输单元尺寸报告和发现
US20090010258A1 (en) Packet prioritization in ad hoc networks
JP2005341575A (ja) 調整子基盤の無線ネットワーク通信方法及び、バックボーンネットワークと連結された調整子基盤の無線ネットワーク間の通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JP2007028233A (ja) 無線lanシステム
US20140146740A1 (en) Priority control method, server, and storage medium
US20090290565A1 (en) Communication system, a router and 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2007068054A (ja) 無線装置
US20020067696A1 (en) Extended quality of service capabilities for WLAN and WPAN applications
JP4437761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装置、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ネットワーク分割方法
EP1381198A1 (en) Convergence layers for network device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traffic
TWI390934B (zh) 傳遞媒體獨立交接能力資訊之無線通信方法及系統
JP2005278028A (ja) 通信装置およ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