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6959A - 기립보조기 - Google Patents

기립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6959A
KR20120126959A KR1020110045132A KR20110045132A KR20120126959A KR 20120126959 A KR20120126959 A KR 20120126959A KR 1020110045132 A KR1020110045132 A KR 1020110045132A KR 20110045132 A KR20110045132 A KR 20110045132A KR 20120126959 A KR20120126959 A KR 20120126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ylinder
axis
standing
wheels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0368B1 (ko
Inventor
김동호
Original Assignee
김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호 filed Critical 김동호
Priority to KR1020110045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368B1/ko
Publication of KR20120126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6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with forearm rests, i.e. for non-used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반신 부자유로 기립 및 보행이 곤란하여 휠체어에 의지하는 하반신 장애인에게 매우 간단한 작동을 통해 기립 및 이동을 보조하여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이동할 수 있는 기립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측에 위치한 실린더 및 상측에 위치한 실린더로드를 포함하여 길이 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이 가능한 가스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로드 상부에 형성되며 하반신 장애인의 체중을 지지하는 겨드랑이지지대부; 상기 가스실린더부 하단에 형성되며 지면과 접촉되는 3개 이상의 바퀴를 구비한 가스실린더지지부; 상기 가스실린더부의 가스 압력을 조절하는 제1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반신 장애인은 상기 제1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가스실린더부의 가스 압력을 제어하며, 상기 3개 이상의 바퀴는 상기 가스실린더지지부 하면의 장축(제1 축) 방향으로 구비되되,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원호 구조로 배치되어 상기 하반신 장애인이 상기 손잡이부를 잡고 회전 운동을 하면서 앞으로 나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보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립보조기{AUXILIARY APPARATUS OF STANDING}
본 발명은 기립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반신 부자유로 기립이 곤란하여 휠체어에 의지하는 하반신 장애인에게 매우 간단한 작동을 통해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기립할 수 있는 기립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정상인과 달리 소아마비나 중한 교통사고 등에 의해 보행 능력을 완전히 상실한 보행 불능자들은 휠체어에 의지하여 이동하여야 한다. 이와 달리 노약자나 중풍 환자, 또는 상대적으로 경미한 교통사고 환자 등 보행 능력을 일부 상실하여 보행에 곤란을 겪고 있는 보행 곤란자들은 보조자의 부축을 받아 이동할 수가 있다.
그러나 보조자가 언제나 보행 곤란자의 곁을 지키고 있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데, 보조자가 없으면 보행 곤란자들은 장거리 이동뿐만 아니라 집안에서의 단거리 이동조차도 쉽게 하지 못하여 상기 보행 불능자와 다를 바 없는 처지가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인 "보행 곤란자를 위한 보조기(출원번호 제10-2002-0080161호)"에 개시된 하반신 장애인에 대한 기립 보조 기구는 엉덩이를 받쳐주는 엉덩이 받침대나 또는 겨드랑이를 받쳐주는 겨드랑이 지지부를 장애인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구동장치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움직여주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보조 기구들은 이동 및 휴대성을 고려하지 않아서 장애인이 이동 중에 휴대하며 사용하기는 곤란하여 병원이나 집 등에서 고정 배치하고 장애인의 재활 운동에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인 "공기압식 신축 목발(일본등록실용 제3112349호)"에는 본체 파이프 내부로 지지 파이프가 삽입되는 공기압 방식의 신축 목발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종래기술은 가스를 일정한 압력으로 충전한 가스실을 포함하는 피스톤과 피스톤 로드를 이용하여 하반신 장애를 가진 노약자에게 약한 힘으로 기립을 돕도록 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보조 기구들은 이동 및 휴대성은 가능하나 하반신을 전혀 사용할 수 없는 하반신 장애인에게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인 "체중의 압력을 이용한 보행보조기구(한국등록특허 제10-0957379호)"에는 신발로부터 발생되는 유압에 의해 무릎 부위에 장착된 유압실린더의 피스톤을 작동시켜 다리근력을 보조하는 기구가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종래 기술은 장애인의 허벅지와 종아리에 유압실린더를 연결하여 장애인의 다리 근력을 보조하는 장치로서 하반신이 완전히 마비된 장애인의 경우에는 상기 기구를 통하여 이동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반신 부자유로 인하여 보조자의 부축 없이는 기립할 수 없는 하반신 장애인이 스스로 안전하고 확실하게 기립 또는 앉을 수 있도록 보조 작용하고, 또한 기립 후 자립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립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반신 장애인이 간단한 손동작으로 길이 방향으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고, 하반신 장애인의 상체 힘에 의해 좌우로 교차 회전하면서 진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기립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측에 위치한 실린더 및 상측에 위치한 실린더로드를 포함하여 길이 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이 가능한 가스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로드 및 실린더 상단을 감싸고 실린더로드를 보호하는 가스실린더보호부; 상기 실린더로드 상부에 형성되며 하반신 장애인의 체중을 지지하는 겨드랑이지지대부; 상기 가스실린더부 하단에 형성되며 지면과 접촉되는 3개 이상의 바퀴를 구비한 가스실린더지지부; 상기 가스실린더부의 가스 압력을 조절하는 제1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는 손잡이부; 상기 팽창된 가스실린더부를 수축시키는 수축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반신 장애인은 상기 제1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가스실린더부의 가스 압력을 제어하며, 상기 3개 이상의 바퀴는 상기 가스실린더지지부 하면의 장축(제1 축) 방향으로 구비되되,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원호 구조로 배치되어 상기 하반신 장애인이 상기 손잡이부를 잡고 회전 운동을 하면서 앞으로 나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 기립보조기는 상기 3개 이상의 바퀴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는 브레이크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는 장착되어 상기 브레이크부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반신 장애인이 상기 제2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브레이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겨드랑이지지대부 상에 장착되며, 상기 수축기부는 가스실린더보호부 상에 장착되며, 상기 가스실린더지지부는 하면의 중심으로부터 서로 직교하는 장축(제1 축) 및 단축(제2 축)을 갖고, 상기 3개 이상의 바퀴 중에 적어도 하나의 바퀴가 형성하는 회전축이 상기 장축(제1 축)과 수직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동모터와 접속되어 회전하는 스크류쉬프트, 상기 스크류쉬프트의 나사선과 맞물려 상기 스크류쉬프트의 회전축과 동일 선상에서 구동되는 너트튜브 및 상기 너트튜브가 삽입되는 외부튜브로 구성된 엑추에이터부; 상기 너트튜브 및 외부튜브의 상단을 감싸고 너트튜브를 보호하는 엑추에이터보호부; 상기 외부튜브 상부에 형성되며 하반신 장애인의 체중을 지지하는 겨드랑이지지대부; 상기 엑추에이터부 하단에 형성되며 지면과 접촉되는 3개 이상의 바퀴를 구비한 엑추에이터지지부;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1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반신 장애인은 상기 제1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며, 상기 3개 이상의 바퀴는 상기 엑추에이터지지부 하면의 장축(제1 축) 방향으로 구비되되,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원호 구조로 배치되어 상기 하반신 장애인이 상기 손잡이부를 잡고 회전 운동을 하면서 앞으로 나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겨드랑이지지대부 상에 장착되고, 상기 엑추에이터지지부는 하면의 중심으로부터 서로 직교하는 장축(제1 축) 및 단축(제2 축)을 갖고, 상기 3개 이상의 바퀴 중에 적어도 하나의 바퀴가 형성하는 회전축이 상기 장축(제 1축)과 수직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하반신 장애인의 기립 및 이동을 보조하는 기립보조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하반신 장애인이 보조자의 부축 없이 보조기의 신축작용으로 안전하게 일어서거나 앉을 수 있다.
둘째, 하반신 장애인이 장시간 동안 휠체어에서 동일한 자세로 앉아 있다 보면 엉덩이에 욕창이 생기거나 상체의 계속적인 압박으로 척추나 내장기능이 저하되는데 보조기를 이용하여 기립 상태를 유지하면서 엉덩이나 척추에 가해지는 압박을 제거하여 생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하반신 장애인이 보조기를 이용하여 일상생활 공간에서 휠체어로부터 다른 곳(화장실의 변기, 침실의 침대, 거실의 쇼파 등)으로 자립 이동할 수 있어 자신의 프라이버시를 지키면서 생활할 수 있다.
넷째, 일시적인 하반신 장애인의 재활치료에 사용가능하며 보행능력을 빠르게 회복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 실린더를 이용한 기립보조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엑추에이터를 이용한 기립보조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 실린더를 이용한 기립보조기의 측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 실린더를 이용한 기립보조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 실린더를 이용한 기립보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의자에서 기립 및 착석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 실린더를 이용한 기립보조기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 실린더를 이용한 기립보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그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 실린더를 이용한 기립보조기의 정면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립보조기는 가스실린더부(101, 102), 가스실린더보호부(103), 겨드랑이지지대부(104), 손잡이부(105), 수축기부(113) 및 가스실린더지지부(106)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실린더부(101, 102)는 실린더로드(102) 및 실린더(101)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101)의 어느 특정 부분에는 하반신 장애인의 몸무게에 따라 가스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가스주입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가스실린더부(101, 102)의 가스 압력에 의해 하반신 장애인은 자신의 몸을 수월하게 기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스실린더부(101, 102)의 형상 및 구조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가스실린더부(101, 102)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스실린더보호부(103)는 실린더로드(102) 및 실린더(101)의 상단을 감싸고, 오염 이나 물리적 충격으로 부터 실린더로드(102)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겨드랑이지지대부(104)는 하반신 장애인의 양쪽 겨드랑이에 끼워져 하반신 장애인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겨드랑이지지대부(104)와 신체가 접촉하는 부위에는 쿠션부재(108)가 구비되어 있어 하반신 장애인의 신체에 과도한 자극을 주지 않는다. 상기 겨드랑이지지대부(104)의 재료는 무게, 내구성, 경도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하반신 장애인 신체에 자연스럽게 접촉하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겨드랑이지지대부(104)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손잡이부(105)는 상기 겨드랑이지지대부(104) 상에 왼손과 오른손이 각각 잡을수 있도록 중앙에서 좌측과 우측에 각각 한개씩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부(105)에는 상기 실린더로드(102)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어봉(112)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1 스위치(107)와 상기 가스실린더지지부(106)에 장착된 바퀴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브레이크부(도시되지 않음)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107)에는 상기 제어봉(112)과 접속되는 제1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에는 상기 브레이크부와 접속되는 제2 케이블이 연결된다. 도 1에는 상기 손잡이부(105)가 상기 겨드랑이지지대부(104)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손잡이부(105)가 상기 가스실린더보호부(103)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스위치(107)와 상기 제2 스위치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스위치(107)와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손잡이부(105)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스위치로 위 2가지 기능 모두 구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축기부(113)는 상기 가스실린더보호부(103)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가스실린더(101)의 하단까지 연결된 금속 케이블(도시되지 않음)과 상기 금속 케이블의 다른 끝이 연결된 도르래와 상기 도르래에 연결된 회전레버 또는 회전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레버 또는 회전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도르래를 회전시키며 금속 케이블을 감아주어서 팽창되었던 가스실린더부(101,102)를 수축시키기 위한 힘을 제공하며, 상기 힘과 장애인이 겨드랑이지지대부(104)에 의지한 몸무게의 중력의 총합에 의하여 팽창력을 갖는 가스압력에 저항하여 가스실린더부(101,102)를 수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스실린더지지부(106)는 상기 가스실린더부(101, 102)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실린더지지부(106)의 하면에는 바퀴를 체결하기 위한 3개 이상의 홈부(110)가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홈부(110)에는 지면과 접촉되는 바퀴(111)가 장착됨으로써 하반신 장애인이 본 발명을 이용하여 앞으로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지면과 접촉된 바퀴(111)의 회전에 의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스실린더지지부(106)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상부에 상기 가스실린더부(101, 102)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도시되지 않음)가 존재한다. 상기 바퀴(111)가 설치되는 구조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엑추에이터를 이용한 기립보조기의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엑추이에터를 이용한 기립보조기는 도 1에 도시된 가스 실린더를 이용한 기립보조기와 그 구조가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하여만 상술한다. 상기 엑추에이터를 이용한 기립보조기는 겨드랑이지지대부(206), 손잡이부(208), 엑추에이터부(201, 202, 203, 204), 엑추에이터보호부(205) 및 엑추에이터지지부(207)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 실린더를 이용한 기립보조기와의 차이는 가스실린더부에 엑추에이터부(201, 202, 203, 204)가 설치된다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가스 실린더를 이용한 기립보조기의 손잡이부(105)도 본 발명이 그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해당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엑추에이터부(201, 202, 203, 204)는 구동모터(201), 스크류쉬프트(202), 너트튜브(203) 및 외부튜브(204)를 포함한다. 전원이 상기 구동모터(201)에 공급되면 상기 스크류쉬프트(202)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너트튜브(203)가 상기 스크류쉬프트(202)의 나사선과 맞물려 상기 스크류쉬프트(202)의 회전축과 동일선 상에서 구동되고, 상기 너트튜브(203)가 상기 외부튜브(204) 속으로 삽입 및 외부로 돌출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엑추에이터를 이용한 기립보조기가 길이 방향으로 수축 및 팽창을 하게 된다. 상기 엑추에이터부(201, 202, 203, 204)의 형상 및 구조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엑추에이터부(201, 202, 203, 204)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전원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동성 등을 고려하여 충전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 실린더를 이용한 기립보조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 실린더를 이용한 기립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가스 실린더를 이용한 기립보조기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엑추에이터를 이용한 기립보조기도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이용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겨드랑이지지대부(104)는 하반신 장애인의 가슴 부분을 고려한 곡선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겨드랑이지지대부(104)는 위치, 재료, 형상, 개수 등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반신 장애인의 신체에 적합한 다양한 위치, 재료, 형상, 갯수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 실린더를 이용한 기립보조기를 이용하여 하반신 장애인이 의자에서 기립 및 착석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그림이다. 도 5의 좌측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립보조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는데, 하반신 장애인은 의자에 앉아 있을 때에 손잡이부(105)의 브레이크부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바퀴의 브레이크를 잡은 다음에, 상기 겨드랑이지지대부(104)를 겨드랑이 아래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어봉(112)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가스 실린더의 가스 압력을 열어주어 실린더로드(102)가 실린더(101)로 부터 밀려나오며 기립보조기를 팽창시켜 하반신 장애인이 앉은 상태에서 쉽게 서 있는 상태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도 5의 좌측 도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기립보조기가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기립보조기가 앉아 있는 하반신 장애인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겨드랑이지지대부(104)가 하반신 장애인의 겨드랑이에 끼워진 다음에 기립하면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을 포함한다.
도 5의 우측 도면은 하반신 장애인이 본 발명에 따른 기립보조기를 이용하여 착석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것으로, 도 5의 좌측 도면에 도시된 것과 반대로 동작한다. 즉, 하반신 장애인은 손잡이부(105)의 브레이크부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바퀴의 브레이크를 잡은 다음에, 상기 겨드랑이지지대부(104)를 겨드랑이 아래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어봉(112)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가스 실린더의 가스 압력을 열어주고, 상기 수축기부(113)의 회전레버 또는 회전모터를 이용하여 금속 케이블을 감아주며 실린더로드(102)를 실린더(101)로 삽입시켜서 기립보조기를 수축시키면서 서있는 상태에서 앉은 상태로 쉽게 움직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 실린더를 이용한 기립보조기의 저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스실린더지지부(106)의 하면에는 3개 이상의 바퀴가 장착될 수 있는데, 상기 바퀴는 하반신 장애인이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전방)에 평행하도록 장착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기립보조기가 하나의 바퀴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바퀴가 원호 궤도를 따르는 구조로 장착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스실린더지지부(106)는 하면 상의 중심으로부터 서로 직교하는 장축(제1 축) 및 단축(제2 축)을 갖고, 상기 3개의 바퀴 중 전단에 배치된 제1 바퀴는 진행 방향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회전형 바퀴가 장착되었고, 후단에 배치된 제2 바퀴 및 제3 바퀴는 각각 상대 바퀴를 중심으로 회전 진행이 가능하도록 원호 형상으로 고정형 바퀴가 장착되었고, 특히 상기 제2 및 제3 바퀴의 회전축은 장축(제1 축)과 수직으로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도 6에는 가스실린더지지부(106) 하면에 3개의 바퀴가 장착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개 이상의 바퀴가 원호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원호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립보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는 동작으로서,
도 7(a)처럼 제2 바퀴를 브레이크 장치를 이용하여 정지시키고 사용자가 한쪽 어깨에 힘을 주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면 제1 바퀴 및 제3 바퀴가 상기 제2 바퀴를 중심점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동을 하면서 기립보조기가 도 7(b)처럼 이동하게 되고, 다시 도 7(c)처럼 제3 바퀴를 브레이크 장치를 이용하여 정지시키고 사용자가 한쪽 어깨에 힘을 주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면 제1 바퀴 및 제2 바퀴가 상기 제3 바퀴를 중심점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이동을 하면서 기립보조기가 도 7(d)처럼 이동하게 되고, 상기 회전이동을 반복하면 도 7(e)처럼 지그재그 앞으로 이동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몇몇 실시예들을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한 설명을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102 : 가스실린더부 103 : 가스실린더보호부
104, 206 : 겨드랑이지지대부 105, 208 : 손잡이부
106 : 가스실린더지지부 113 : 수축기부
201, 202, 203, 204 : 엑추에이터부 205 : 엑추에이터보호부
207 : 엑추에이터지지부

Claims (11)

  1. 하측에 위치한 실린더 및 상측에 위치한 실린더로드를 포함하여 길이 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이 가능한 가스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로드 상부에 형성되며 하반신 장애인의 체중을 지지하는 겨드랑이지지대부;
    상기 가스실린더부 하단에 형성되며 지면과 접촉되는 3개 이상의 바퀴를 구비한 가스실린더지지부;
    상기 가스실린더부의 가스 압력을 조절하는 제1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반신 장애인은 상기 제1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가스실린더부의 가스 압력을 제어하여 상기 가스실린더부를 길이 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개 이상의 바퀴는 상기 가스실린더지지부 하면의 장축(제1 축) 방향으로 구비되되, 적어도 1개 이상의 바퀴는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원호 구조로 배치되어 상기 하반신 장애인이 상기 손잡이부를 잡고 회전 운동을 하면서 앞으로 나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보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보조기는
    상기 실린더로드 및 실린더 상단을 감싸는 가스실린더보호부; 및 상기 가스실린더보호부 상에 형성되며 가스실린더부를 수축시키는 수축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축기부는 상기 실린더 하단에 한끝이 연결된 금속 케이블; 상기 금속 케이블의 다른 끝이 연결된 도르래; 및 상기 금속 케이블을 감아 올릴 수 있도록 상기 도르래에 연결된 회전레버 또는 회전모터를 구비하되, 상기 팽창된 가스실린더를 도르래를 회전시켜서 수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보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3개 이상의 바퀴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는 브레이크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장착되어 상기 브레이크부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반신 장애인이 상기 제2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브레이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보조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가스실린더보호부 또는 상기 겨드랑이지지대부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보조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실린더지지부는 하면의 중심으로부터 서로 직교하는 장축(제1 축) 및 단축(제2 축)을 갖고, 상기 3개 이상의 바퀴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바퀴가 형성하는 회전축이 상기 장축(제1 축)과 수직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보조기.
  7. 구동모터와 접속되어 회전하는 스크류쉬프트, 상기 스크류쉬프트의 나사선과 맞물려 상기 스크류쉬프트의 회전축과 동일 선상에서 구동되는 너트튜브 및 상기 너트튜브가 삽입되는 외부튜브로 구성된 엑추에이터부;
    상기 외부튜브 상부에 형성되며 하반신 장애인의 체중을 지지하는 겨드랑이지지대부;
    상기 엑추에이터부 하단에 형성되며 지면과 접촉되는 3개 이상의 바퀴를 구비한 엑추에이터지지부; 및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1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반신 장애인은 상기 제1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엑추에이터부를 길이 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보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3개 이상의 바퀴는 상기 엑추에이터지지부 하면의 장축(제1 축) 방향으로 구비되되, 적어도 1개 이상의 바퀴는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원호 구조로 배치되어 상기 하반신 장애인이 상기 손잡이부를 잡고 회전 운동을 하면서 앞으로 나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보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3개 이상의 바퀴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는 브레이크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장착되어 상기 브레이크부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 상기 하반신 장애인이 상기 제2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브레이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보조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보조기는
    상기 너트튜브 및 외부튜브 상단을 감싸고 너트튜브를 보호하는 엑추에이터 보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엑추에이터보호부 또는 상기 겨드랑이지지대부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보조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엑추에이터지지부는 하면의 중심으로부터 서로 직교하는 장축(제1 축) 및 단축(제2 축)을 갖고, 상기 3개 이상의 바퀴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바퀴가 형성하는 회전축이 상기 장축(제1 축)과 수직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보조기.

KR1020110045132A 2011-05-13 2011-05-13 기립보조기 KR101270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132A KR101270368B1 (ko) 2011-05-13 2011-05-13 기립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132A KR101270368B1 (ko) 2011-05-13 2011-05-13 기립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959A true KR20120126959A (ko) 2012-11-21
KR101270368B1 KR101270368B1 (ko) 2013-06-05

Family

ID=47512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132A KR101270368B1 (ko) 2011-05-13 2011-05-13 기립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3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8233A1 (ko) * 2017-01-04 2018-07-12 엑소아틀레트아시아 주식회사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목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61743B2 (ja) * 2018-05-18 2022-10-27 学校法人 中央大学 アシス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2795A (ja) * 2001-09-28 2003-04-08 Kongo Seisakusho:Kk 歩行器
JP4613312B2 (ja) * 2005-03-10 2011-01-19 国立大学法人富山大学 移乗作業支援器具
JP3112349U (ja) * 2005-05-09 2005-08-11 美娟 曾 空気圧式伸縮松葉杖
KR200416352Y1 (ko) 2006-02-28 2006-05-15 하종수 피스톤 목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8233A1 (ko) * 2017-01-04 2018-07-12 엑소아틀레트아시아 주식회사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목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0368B1 (ko)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6893A (en) Physical therapy apparatus
US8151812B2 (en) Sit down and stand up walker with seat assembly
US11202730B2 (en) Patient transfer and training aid
US20130253385A1 (en) Motorized exoskeleton unit
KR20100041707A (ko) 균형 및 신체 방향 지지 장치
WO2016138497A1 (en) Exoskeleton device with sitting support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20070173380A1 (en) Exercise, rehabilitation and mobilization device for paraplegic and motorically handicapped persons
TWI589287B (zh) Moving car
US7445217B1 (en) Walk aid
WO2017093830A1 (es) Exoesqueleto dual convertible en asistente caminador y sillas de ruedas
TW201943396A (zh) 起身輔助裝置
WO2001021128A1 (en) A mobility aid
KR101190293B1 (ko) 기립 이동 보조기
KR101270368B1 (ko) 기립보조기
JP2007111422A (ja) 椅子
KR101299351B1 (ko) 휠체어 결합형 하지 운동/재활훈련 장치
JP2001321404A (ja) 歩行器兼用車椅子
JP5164095B2 (ja) 移動支援装置
KR20130127750A (ko) 하지 재활 운동 로봇 및 이 로봇의 탑승 및 구동방법
GB2291362A (en) Orthopaedic apparatus
KR20180110694A (ko) 전동보행보조기
KR20020054574A (ko) 보행장애인의 재활훈련을 위한 복지용 로봇
CN209899989U (zh) 一种复合式外骨骼助行设备
Thapa et al. A robotic knee orthosis for sit-to-stand assistance
US20200113759A1 (en) Ambulatory assis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