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6790A - 상면여과 또는 여과조 단백질제거 일체형 장치 - Google Patents

상면여과 또는 여과조 단백질제거 일체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6790A
KR20120126790A KR1020110044840A KR20110044840A KR20120126790A KR 20120126790 A KR20120126790 A KR 20120126790A KR 1020110044840 A KR1020110044840 A KR 1020110044840A KR 20110044840 A KR20110044840 A KR 20110044840A KR 20120126790 A KR20120126790 A KR 20120126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ration
protein removal
removal device
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명산
Original Assignee
황명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명산 filed Critical 황명산
Priority to KR1020110044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6790A/ko
Publication of KR20120126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79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01Making filter elemen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상기와 같이 상면여과에 단백질 제거 기능을 접합시킴으로써 수질 오염 물질인 유기화합물을 자연현상으로 제거와 2차적 여과를 진행하는 일체형으로 기존 여과, 단백질 제거등이 분리된 기능으로 고비용, 복잡한 기구 사용 방법보다도 저비용, 간편 설치, 월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상면여과 단백질제거 일체형 장치{UP TOP TRICKLE FILTER WITH SKIMMER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본 발명은 담수, 해수 여과와 단백질 제거를 위한 것으로 수질정화, 개선을 할 수 있는 담수, 해수 상면 여과 단백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수, 해수 수질오염은 물고기 배설, 먹이, 유기물, 부유물, 중금속등 원인으로 산화가 진행되어 부패되고 암모니아, 아질산, 질산염등 다양한 요인으로 생물에 치명적인 다양한 질환을 유발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수질오염 물질은 생물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어 수질을 정화, 안정, 개선에 많은 장치가 제안 되고 있다.
이러한 담수, 해수 수질정화 장치는 여과제 기능을 이용한 내부여과, 외부여과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단순히 물의 유입과 유출을 통해 정화시켜주는 각각 분리된 기능의 필터식 여과장치가 한정적이었다.
또한, 단백질 제거에서는 니들휠을 이용한 모터, 우드스톤을 이용한 에어펌프로 포말을 유발하고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물의 부력으로 단백질 제거를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각각 분리된 기구, 기능으로 고비용과 여러 가지 장치를 별도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오염된 수질을 공기중에 노출함으로써 탈질화를 유도하고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고 여과 효과를 증진함은 물론 여과와 스키밍을 동시에 수행함으로 수질을 정화, 안정, 개선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고 여과 장치(여과기)와 단백질 제거기(일명 스키머)를 동시 가능하게 하는 상호작용과 일체형으로 비용을 줄이고 장치를 간소화하여 기능 효율을 극대화하고 수질정화에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담수, 해수 수족관 여과 단백질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의 제품은 여과와 단백질 제거(스키머)가 각각 분리된 제품으로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고비용과 수중 내부에서 기능이 진행되어 여러 가지 유기물, 부유물등 연속적인 순환으로 탈질화 제거를 이루기가 어려웠으며 수중에 있는 여과필터에 쌓여있는 유기물이 지속 부패되어 내부 순환되며 암모니아, 아질산, 질산염등의 증가로 효율적인 제거가 어려웠으며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현재도 고비용과 유기물, 질산제거, 개선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수질을 정화, 안정, 개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몸체 일단에는 유입구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유출구를 형성하며 몸체 아래 포말을 발생시키는 수중모터와 포말이 유입되어 스키밍되는 단백질 제거장치와 스키밍 된 물을 흘려 보내어 각각의 구분된 여과조에 여과제 충진 후 수류를 형성시켜 물리적, 생물학적 여과를 하여 유기물, 부유물 제거, 물을 공기중에 노출하여 탈질화를 할 수 있는 상면여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 해수 수족관 여과 단백질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몸체 일단에는 유입구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유출구를 형성하여 몸체 상부로는 덮개를 형성한 후 내측에는 여과와 단백질 제거 장치로 구분되며 기존 여과장치와 단백질 제거기능(스키밍)이 분리되어 저효율화된 기능을 일체형으로 발명하여 저비용과 효율을 최대화하였으며 기존 수중에서 작동하는 여과 기능들을 대기 중에 노출하여 자연적인 탈질화를 유도하고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며 포말(거품)을 발생시켜 다시 낙차와 교반작용으로 효과를 최대화하였으며 이러한 방법으로 수중의 부유물, 유기물 제거, 탈질화를 진행하는데 효과를 최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 해수 수족관 여과 단백질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저비용과 수류를 대기중에 노출이 되게 하여 탈질화와 파도, 폭포, 시냇물 흐름을 이용한 자연현상을 적용하여 빠르게 수질을 정화, 안정, 개선을 유도하며 여과와 단백질 제거를 동시에 진행하여 수조 내 생물에 건강을 회복시켜 주어 담수, 해수 여과 및 단백질 제거 기능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 상면여과 단백질 제거 일체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 상면여과 단백질 제거 일체형을 나타낸 저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 상면여과 단백질 제거 일체형을 나타낸 정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 상면여과 단백질 제거 일체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수족관 상면여과 단백질 제거 일체형의 외관을 이루는 사각 통체의 몸체(16) 일단에는 유입구(18)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유출구(15)를 형성하며 구성 위치는 좌,우 반대로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몸체(16) 상측으로는 개방 또는 패쇄할 수 있는 덮개(22)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하측에 공기를 유입시켜 포말(12)을 유도한 수중모터(10)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수중모터에 연결된 유입구(9)는 1자, ㄱ자 또는 T자형 엘보를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몸체(16) 내측에 수중모터(10)에서 형성된 포말을 유입시켜 분리할 단백질 제거 장치(5,6,7)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몸체(16) 내측에 포말을 형성시켜 단백질을 수집하는 장치 컵(19)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몸체 내측에 여과조(22,23)를 형성하여 여과재(24,25)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여과재(24,25)는 물리적, 생물학적 여과를 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물리적 여과제(24,25)는 여과솜등을 이용하여 단순히 부유물 제거 기능을 하며 생물학적 여과제(24,25)는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다공질 재질로 수질정화, 개선에 도움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몸체 내측에 여과조(22,23)의 수위 또는 단백질 제거 시 농도를 조절하는 패널(2)을 설치한다.
이러한 과정을 갖는 단백질 제거 과정을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몸체(6) 하측에 위치한 수중모터(10)에서 공기의 유입(14)으로 미세한 포말을 발생하여 유입관(9)을 통해 컵(19)에 분사를 하면 반대쪽 패널(17)에 낙차(11)하고 패널(17,6)사이에서 교반(11)하면서 단백질을 분리하면 수류는 패널(5) 아래(13)로 흐르고 낙차한 포말(11)을 패널(5)이 받쳐 주면서 단백질 포말 내부 기체들이 부력으로 상승(12)하여 단백질 수집 컵(9)으로 모여준다.
상기 몸체(6) 하측에 위치한 수중모터(10)에서는 공기 유입관(14)을 흡입구(20)에 설치하여 산소 유입으로 용존 산소량을 최대화하고 부유물과 단백질 분리를 위한 미세한 포말을 형성한다.
용존산소량은 수중에 유기물이 늘어나면 산소가 소비되어 그 양이 줄기 때문에 용존산소는 수조 내 자정작용이나 수중생물에 없어서는 안 된다.
17:몸체
10:수중모터
9:유입구
15:유출구
16:덮개
18:단백질 제거 컵
16:1차 패널
6:2차 패널
2:수위 조절패널

Claims (3)

  1. 몸체(17) 일단에는 유입구(9)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유출구(15)를 형성하며 몸체 상측으로는 덮개(16)를 형상한 후 하측에는 수중모터(10)와, 상기 유입구(17) 일측에는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포말을 형성하는 수중모터와 상기 몸체 내측에 단백질을 모으는 컵(18)과 상기 물을 낙차, 교반시키는 패널(16,6)과 상기 낙차, 교반시켜 포말을 형성한 거품을 위로 올리는 패널(5)과 상기 공간(19,20)에 여과재가 위치하고 상기 패널(2)이 수위를 조절하는 패널과 상기 물이 오버되는 물 유출관(1) 상기 물이 유출하는 출수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단백질제거 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여과재(19,20)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백질을 모으는 컵(18)은 분리가 가능하여 오염물을 버리고 수위를 조절하는 패널(2)로 포말의 농도 제거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3. 청구항2에 있어서 패널(16,6)은 물을 낙차,교반을 시켜 단백질을 분리하는 역할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제거 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발명에 따른 여과 단백질 제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발명에 따른 여과 단백질 제거 장치를 나타낸 저면도,
    도 3은 발명에 따른 여과 단백질 제거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발명에 따른 여과 단백질 제거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도2
    Figure pat00003

    도3
    Figure pat00004

    도4
    Figure pat00005

KR1020110044840A 2011-05-13 2011-05-13 상면여과 또는 여과조 단백질제거 일체형 장치 KR201201267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840A KR20120126790A (ko) 2011-05-13 2011-05-13 상면여과 또는 여과조 단백질제거 일체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840A KR20120126790A (ko) 2011-05-13 2011-05-13 상면여과 또는 여과조 단백질제거 일체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790A true KR20120126790A (ko) 2012-11-21

Family

ID=47512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840A KR20120126790A (ko) 2011-05-13 2011-05-13 상면여과 또는 여과조 단백질제거 일체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67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00577A (ja) * 2019-06-19 2021-01-07 順幸 佐藤 水質浄化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00577A (ja) * 2019-06-19 2021-01-07 順幸 佐藤 水質浄化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9747B1 (ko) 수조식 양식장용 급배수 정화 시스템
CN210261217U (zh) 一种基于油水分离膜的油水分离装置
US5736034A (en) Protein removal system
CN107998746A (zh) 一种水产养殖原位过滤方法与装置
KR20130019164A (ko) 흡착팩을 이용한 연속식 수질정화장치
JP3676157B2 (ja) 泡沫分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水浄化システム
JP2003340489A (ja) 閉鎖性水域の浄水装置
KR20180128595A (ko) 수조용 여과 장치
KR20120126790A (ko) 상면여과 또는 여과조 단백질제거 일체형 장치
JP3621859B2 (ja) 泡沫分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水浄化システム
CN205873993U (zh) 一种前置曝气下向流生物滤池
CN209567950U (zh) 一种带过滤的生物处理器
CN208500544U (zh) 一种采用陶瓷膜的净水装置
JP4586147B2 (ja) 浄水処理装置
LV15092B (lv) Zivju audzēšanas komplekss un ūdens reģenerēšanas paņēmiens tajā
KR200349658Y1 (ko) 수족관 여과기
KR100668420B1 (ko) 수처리 장치
JP3203633U (ja) 排水処理装置
CN209567949U (zh) 一种用于渔业养殖尾水处理的一体化装置
KR100534553B1 (ko) 소하천 수질 정화시설물
CN213950819U (zh) 一种多级废水处理装置
JP2010089064A (ja) 泡沫分離槽付濾過装置
CN210163213U (zh) 海水养殖废水中抗生素的去除设备
JP2005169288A (ja) 自動水質浄化装置及び水質浄化方法
JP3692441B2 (ja) 水質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