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6712A - 차량용 에어 드라이어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 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6712A
KR20120126712A KR1020110044729A KR20110044729A KR20120126712A KR 20120126712 A KR20120126712 A KR 20120126712A KR 1020110044729 A KR1020110044729 A KR 1020110044729A KR 20110044729 A KR20110044729 A KR 20110044729A KR 20120126712 A KR20120126712 A KR 20120126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alve
dryer
filling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8884B1 (ko
Inventor
변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to KR1020110044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884B1/ko
Publication of KR20120126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02Air treatmen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4Arrangements of piping, valves in the piping, e.g. cut-off valves, couplings or air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6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압축기에 연결되며 내측에 수용공간과 설치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흡입포트가 구비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흡입포트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서 이물질과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드라이어부와; 상기 드라이어부과 설치공간 사이를 공기가 왕복 이동되도록 하는 교축밸브와; 상기 드라이어부에서 설치공간으로만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는 원웨이 배출밸브와;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교축밸브와 원웨이 배출밸브에 관로로 연결되는 배기 및 충진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배기 및 충진 솔레노이드 밸브에 각각 관로로 연결되며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및 충진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공기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자식 제어밸브인 충진 및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드라이어부가 구비되는 하우징에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에어 드라이어에서 정확한 공기량 제어를 할 수 있고, 필요한 시점에서 드라이어부의 건조제를 재생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압축 공기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 드라이어 {AIR DRY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라이어의 수분 제거 기능 및 제어 밸브의 유량제어 기능을 하나의 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합하여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정확한 유량제어가 가능한 차량용 에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와 같은 소형차량에서는 페달에 가해지는 힘을 전달받아 배력장치에서 배력을 생성하여 차량을 제동하고 있으나, 상용(대형)차에서는 배력장치에서 생성된 배력만으로 차량을 제동하기가 충분하지가 않는다. 그래서 고압으로 압축된 압축에어를 제동력으로 이용하는데, 이를 간단히 설명한다.
풋브레이크 밸브 및 에어 마스터 실린더에는 에어탱크에서 유입된 고압의 공기가 충만되어 있고 풋브레이크 밸브는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마스터 실린더와 브레이크 사이의 유로에는 오일탱크의 오일이 충만되어 있다. 차량의 주행중 차량을 제동시키기 위해 페달을 밟으면 풋브레이크 밸브가 개방되어 고압의 공기가 에어마스터 실린더로 유입되고, 풋브레이크 밸브측에서 유입된 공기에 의하여 에어탱크와 연통된 에어 마스터실린더의 유로가 개방되어 에어 마스터실린더는 에어탱크와 직접 연통된다. 그리고 오일탱크와 연통된 에어 마스터실린더의 유로가 개방되어 고압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브레이크측으로 오일이 전달되어 차량이 제동되는 것이다.
한편, 에어 마스터실린더와 브레이크 밸브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탱크는 압축기와 연통되어 있고, 압축기와 에어탱크의 사이에는 에어드라이어(Air dryer)가 설치된다. 이 에어 드라이어는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고온, 고압의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즉, 압축기에는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오일이 공급되어 있는데, 이 오일은 압축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할 때 공기에 함유되어 에어탱크측으로 토출된다.
또한, 압축기에서 고온으로 압축되는 공기는 외기와의 차이로 인해 수분이 발생된다. 이때 에어 드라이어는 오일과 수분 및 기타 이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에어 드라이어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에서 압축된 공기가 하우징(2)으로 유입되면, 공기는 스퀘어시일(Square seal)(2a)을 통하여 원통체의 제1필터(3)와 건조제(4), 그리고 제2필터(5)를 통하여 퍼지탱크(6)를 충진하기 시작한다.
퍼지탱크(6)가 충만 되면,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체크밸브(7)가 개방되고 에어탱크(8)에 공기가 충진된다. 퍼지탱크(6)가 충만 되면, 이에 연통되는 가버너밸브(9)의 유입관(9a)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가버너 피스톤(9b)을 슬라이딩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가버너 피스톤(9b)의 내측에 마련되는 가버너관(9c)의 측면입구(9d)가 유입관(9a)에 연통된다. 이로 인하여, 퍼지밸브(10)와 연결되는 연통유로(11)를 통해 공기가 이동되어 퍼지피스톤(10a)을 하강시키게 된다.
퍼지피스톤(10a)의 하강으로 압축기(1)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하우징(2)과 퍼지피스톤(10a)의 틈새로 유출됨과 동시에, 퍼지탱크(6)에 충진된 공기도 제2필터(5)와 건조제(4), 그리고 제1필터(3)와 스퀘어시일(2a)을 통하여 유출된다. 이와 동시에 제2필터(5)와 건조제(4) 및 제1필터(3)에 묻어 있던 이물질도 하우징(2)과 퍼지피스톤(10a)의 틈새를 통하여 댐퍼(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가버너 피스톤(9b)이 스프링(9e)에 의해 복원되면 가버너관(9c)의 측면입구(9d)는 유입관(9a)과 차단되는 동시에 가버너 피스톤(9b)과의 사이를 통하여 스프링(9e)이 마련되어 있는 밸브커버(9f)의 내부와 연통된다.
이로써 연통유로(11)에 잔류하는 잔압은 밸브커버(9f)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잔압은 가버너 피스톤(9a)의 외측에 마련되는 가버너 실린더(9g)에 일측이 고정되고 자유단인 타측이 밸브커버(9f)에 밀착되는 배출밸브판(9h)을 개방시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어드라이어는 유량을 제어하는 가버너 밸브(9)가 기계식 체크밸브로 구성되므로 정확한 유량제어가 어려우므로 정확한 유량제어가 요구될 경우, 에어탱크(8) 전반부에 별도의 전자식 유량 제어밸브를 추가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추가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에어탱크(8)에 압축공기를 충진하는 과정에서 에어퍼지가 이루어지는 구조로 구성되므로, 압력을 충진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이 물질 및 수분 제거를 위한 공기 방출이 매번 반복되는 구조라 불필요한 압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자 제어가 가능한 충진 및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성하여, 정확한 유량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한 에어 드라이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전자 제어가 가능한 충진 및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필요한 시점에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드라이어 내부 건조제의 재생이 가능하고, 불필요한 압축공기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 드라이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드라이어부의 하우징에 릴리프 밸브를 구성하여 드라이어 내부에 과압이 발생할 경우 릴리프 밸브가 작동되어 드라이어의 내부에 있는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과압에 의해 드라이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 드라이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축기에 연결되며 내측에 수용공간과 설치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고 흡입포트가 구비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흡입포트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에서 이물질과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드라이어부와; 상기 드라이어부와 설치공간 사이를 압축공기가 왕복 이동되도록 하는 교축밸브와; 상기 드라이어부에서 설치공간으로만 공기가 이동되도록 하는 원웨이 배출밸브와;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교축밸브와 원웨이 배출밸브에 관로로 연결되는 배기 및 충진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배기 및 충진 솔레노이드 밸브에 각각 관로로 연결되며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및 충진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흡입포트를 통해 드라이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다시 상기 흡입포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원웨이 흡입 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라이어부는,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양측단부에 구비되어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부재와; 상기 양측 필터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필터와; 상기 내부케이스에 구비되는 수분필터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라이어부에는 일정 이상의 과압이 발생할 때 상기 드라이어부의 압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압력 저감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축공기가 리저버에 충진되는 충진모드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충진 솔레노이드 밸브는 개방상태가 되고, 상기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폐쇄상태가 되면, 상기 커버부재의 흡입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드라이어부에서 이물질과 수분이 제거되고, 상기 교축밸브와 원웨이 배출밸브를 통해 설치공간으로 배출된 후에, 상기 충진 솔레노이드 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충진포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리저버에 저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라이어부를 재생하기 위한 에어 배기모드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충진 및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모두 개방 상태가 되면, 리저버에 저장된 압축공기는 상기 충진 포트를 통해 상기 설치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충진 솔레노이드 밸브를 경유한 후에, 일부 압축공기는 상기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배기포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나머지 압축공기는 상기 교축밸브를 통해 상기 드라이어부로 유입되어 상기 수분필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한 후에 상기 원웨이 배출밸브를 통해 설치공간으로 배출되고, 상기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배기포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자식 제어밸브인 충진 및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드라이어부가 구비되는 하우징에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에어 드라이어에서 정확한 공기량을 제어할 수 있고, 필요한 시점에서 드라이어부의 건조제를 재생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압축 공기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라이어부에서 일정이상의 과압이 발생할 경우 드라이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릴리프 밸브가 구비됨으로써, 과압에 의하여 수분필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 드라이어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드라이어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에어드라이어에서 에어 충진모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에어드라이어에서 에어 배기모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드라이어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에어드라이어에서 에어 충진모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에어드라이어에서 에어 배기모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드라이어는 압축기, 하우징(110), 커버부재(120), 에어량 제어부(130), 드라이어부(140)로 크게 구성되는 것으로, 하우징(110)의 일측에 에어량 제어부(130)를 구비하고, 타측에 드라이어부(140)를 구비하며, 에어량 제어부(130)에 전자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131)(132)를 구성하여, 공기의 유량과 방향을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구조이다.
하우징(110)은 에어 드라이어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일측에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되는 드라이어부(140)가 구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타측에는 각종 부품들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일측 개구부는 별도의 커버부재(12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며, 커버부재(120)는 하우징(110)의 일측부에 나사 결합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커버부재(120)는 압축기에 연결되고,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에어량 제어부(130)는 하우징(110)의 타측 내에 설치되는 충진 및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131)(132)와, 하우징(110)의 일측 공간과 타측의 설치공간 사이에 설치되는 교축밸브(133) 및 원웨이 배출밸브(134)와, 충진 및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131)(13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35)와, 하우징(110)의 타측에 구비되며 드라이어부(140)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및 충진 포트(136)(1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충진 및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131)(132)는 하우징(110)의 타측 내에 설치되되,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단자(138)에 전선으로 연결되고, 단자(138)는 충진 및 솔레노이드 밸브(131)(13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35)에 연결된다.
충진 솔레노이드 밸브(131)는 충진 포트(137)에 관로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교축밸브(133)에 관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충진포트(137)에는 하우징(110) 외부에 구비되는 별도의 리저버(150)나 에어 스프링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즉, 리저버(150)는 충진포트(137)에 연결되어 수분이 제거된 압축공기를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132)는 배기 포트(136)에 관로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원웨이 배출용 밸브(134)에 관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부(135)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에어 드라이어에서 수분제거 기능과 드라이어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에어 드라이어의 충진 및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131)(132)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원웨이 배출 밸브(134)는 하우징(110)에서 부품이 설치되는 설치공간과 드라이어부(14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드라이어부(140)의 압축공기가 에어량 제어부(130)의 충진 및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131)(132) 쪽으로만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원웨이 배출밸브(134)는 드라이어부(140)의 압축공기가 일정 이상의 압력이 되면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교축밸브(133)는 부품이 설치되는 공간과 드라이어부(140) 사이에 구비되어 상호 연통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충진 포트(137)에 연결되는 리저버(150)에 있는 공기가 충진 솔레노이드 밸브(131)를 경유하고 교축밸브(133)를 통해 드라이어부(140)로 유입되거나, 드라이어부(140)의 압축공기가 교축밸브(133)를 통해 충진 솔레노이드 밸브(131) 쪽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충진 솔레노이드 밸브(131)와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132)는 서로 연결관로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로에 상기 원웨이 배출밸브(134)와 교축밸브(133)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즉, 에어 드라이어의 충진 모드시 원웨이 배출밸브(134)를 통해 배출되는 드라이어부(140)의 압축공기가 연결관로를 통해 충진 솔레노이드 밸브(131)를 경유하여 충진포트(137)로 배출되어 리저버(150)에 저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드라이어부(140)는 내부 케이스(141), 원웨이 유입밸브(142), 필터부재(143), 수분필터(144), 탄성부재(145)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내부 케이스(141)는 하우징(110)의 일측에서 구비된 수용공간에 설치되되, 외주가 케이스 가이드(141a)에 지지되어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된다. 즉, 상기 내부 케이스(141)의 외주가 케이스 가이드(141a)에 지지되어 내부 케이스(141)와 하우징(110) 사이에 에어 드라이어의 외부에서 들어오는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유로(141d)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내부 케이스(141) 일측에는 후술하게 되는 수분필터(144)를 가압하기 위한 별도의 가압부재(141b)가 고정된다.
이 가압부재(141b)에는 복수의 유입홀(141c)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원웨이 유입밸브(14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내부 케이스(141)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내부 케이스(141)의 타측에는 교축밸브(133)와 원웨이 배출밸브(134)가 설치되되, 내부 케이스(141)의 내측과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내부 케이스(141)의 양쪽 내측면에는 공기중에 함유된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부재(143)가 구비되고, 양쪽의 필터부재(143) 사이에는 수분필터(144)가 구비되어 필터부재(143)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내부케이스(141)의 중앙에는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 커버부재(120)의 흡입포트(1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공기 통로와 유로(141d)를 지나 가압부재(141b)의 유입홀(141c)을 통해 내부 케이스(141)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탄성부재(145)는 가압부재(141b)가 내부 케이스(141)에 수용된 수분필터(144)를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부재(141b)를 탄력 지지지하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한편, 드라이어부(140)에는 충진 및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131)(132)의 오작동이나 유로(141d)상에서 유량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해 드라이어부(140) 내부에 발생되는 과압을 저감시키기 위한 압력 저감부(146)가 더 구비된다.
상기 압력 저감부(146)는 드라이어부(140)에서 발생되는 압력이 일정 이상으로 상승되면 드라이어부(140)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한 릴리프 밸브로 구성된다.
상기 압력 저감부(146)는 드라이어부(140)에서 발생되는 과압을 저감시켜서 수분필터(144)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릴리프 밸브는 드라이어부(140)에서 일정 이상의 과압이 발생할 때에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즉, 릴리프 밸브를 개방하기 위하여 드라이어부(140)에 발생되는 압력은 실험에 의하여 설정되고, 설정된 실험값에 의하여 릴리프 밸브가 선정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릴리프 밸브는 드라이어부(140)에서 발생되는 압력이 실험에 의해 설정된 압력 값이 되었을 때 작동하여 드라이어부(140)의 공기를 배기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원웨이 유입밸브(142)는 커버부재(120)에 구비되되, 커버부재(120)에 형성되는 흡입포트(121)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흡입포트(1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다시 흡입포트(1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공기가 흡입포트(121)에서 내부케이스(141) 쪽으로만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드라이어의 작용을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에어 드라이어에서 공기가 제습되고 리저버에 충진되는 충진 모드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에어 드라이어가 충진 모드로 되면 제어부(135)는 충진 및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131)(132)를 각각 제어하여, 충진 솔레노이드 밸브(131)는 개방상태가 되도록 하고,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132)는 폐쇄 상태가 되도록 한다.
커버부재(120)의 흡입포트(1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원웨이 유입밸브(142)를 통해 커버부재(120)와 내부케이스(141) 사이에 구비되는 공간으로 유입되어 내부케이스(141)의 중앙에 구비되는 공기통로를 통하여 내부케이스(141)의 타측까지 이동한다. 이후에 공기는 내부케이스(141)와 하우징(110) 사이에 구비되는 유로(141d)를 경유하여 가압부재(141b)의 유입홀(141c)을 통해 내부 케이스(141) 내로 유입된다.
이렇게 내부 케이스(141)에 공기가 유입될 때 가압부재(141b)에 구비되는 필터부재(143)에 의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걸러지고, 다시 수분필터(144)에 의해 수분이 제거된 후에 다시 내부케이스(141)의 타측에 구비되는 필터부재(143)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필터부재(143)와 수분필터(144)에서 이물질과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교축밸브(133)와 원웨이 배출 밸브(134)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렇게 교축밸브(133)와 원웨이 배출밸브(134)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132)와 충진 솔레노이드 밸브(131) 사이에 연결되는 관로로 이동되고, 개방되어 있는 충진 솔레노이드 밸브(131)를 통해 배출되어 외부에 구비되는 리저버(150)에 저장되는 것이다.
또한, 드라이어부(140)의 수분필터(144)를 재생하기 위한 에어 배기 모드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에어 드라이어가 수분필터를 재생하기 위한 에어 배기 모드가 되면 제어부(135)는 충진 및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131)(132)를 각각 제어하여, 충진 솔레노이드 밸브(131)와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132)를 개방 상태가 되도록 한다
리저버(140)에 저장된 압축 공기는 충진 솔레노이드 밸브(131)를 통해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유입된 후에, 일부는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132)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되어 관로에서의 공기 이동 속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공기의 나머지 일부는 교축밸브(133)를 통해 드라이어부(140)의 내측케이스(141)로 유입된 후에, 수분필터(144)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이후에, 수분필터(144)에서 수분을 제거한 공기는 원웨이 배출 밸브(134)를 통과하여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132)와 배기포트(136)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하우징
120 : 커버부재 121 : 흡입포트
130 : 에어량 제어부 131 : 충진 솔레노이드 밸브
132 :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 133 : 교축밸브
134 : 원웨이 배출밸브 135 : 제어부
136 : 배기포트 137 : 충진포트
140 : 드라이어부 141 : 내부케이스
142 : 원웨이 유입밸브 143 : 필터부재
144 : 수분필터 145 : 탄성부재
146 : 압력저감부
150 : 리저버

Claims (7)

  1. 압축기에 연결되며 내측에 수용공간과 설치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고 흡입포트가 구비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흡입포트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에서 이물질과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드라이어부와;
    상기 드라이어부와 설치공간 사이를 압축공기가 왕복 이동되도록 하는 교축밸브와;
    상기 드라이어부에서 설치공간으로만 공기가 이동되도록 하는 원웨이 배출밸브와;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교축밸브와 원웨이 배출밸브에 관로로 연결되는 배기 및 충진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배기 및 충진 솔레노이드 밸브에 각각 관로로 연결되며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및 충진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드라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흡입포트를 통해 드라이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다시 상기 흡입포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원웨이 흡입 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드라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어부는,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양측단부에 구비되어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부재와;
    상기 양측 필터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필터와;
    상기 내부케이스에 구비되는 수분필터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드라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어부에는 일정 이상의 과압이 발생할 때 상기 드라이어부의 압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압력 저감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드라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저감부는,
    상기 드라이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릴리프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드라이어.
  6. 제1항에 있어서,
    압축공기가 리저버에 충진되는 충진모드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충진 솔레노이드 밸브는 개방상태가 되고, 상기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폐쇄상태가 되면,
    상기 커버부재의 흡입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드라이어부에서 이물질과 수분이 제거되고, 상기 교축밸브와 원웨이 배출밸브를 통해 설치공간으로 배출된 후에,
    상기 충진 솔레노이드 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충진포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리저버에 저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드라이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어부를 재생하기 위한 에어 배기모드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충진 및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모두 개방 상태가 되면,
    리저버에 저장된 압축공기는 상기 충진 포트를 통해 상기 설치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충진 솔레노이드 밸브를 경유한 후에, 일부 압축공기는 상기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배기포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나머지 압축공기는 상기 교축밸브를 통해 상기 드라이어부로 유입되어 상기 수분필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한 후에 상기 원웨이 배출밸브를 통해 설치공간으로 배출되고,
    상기 배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배기포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드라이어.
KR1020110044729A 2011-05-12 2011-05-12 차량용 에어 드라이어 KR101278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729A KR101278884B1 (ko) 2011-05-12 2011-05-12 차량용 에어 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729A KR101278884B1 (ko) 2011-05-12 2011-05-12 차량용 에어 드라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712A true KR20120126712A (ko) 2012-11-21
KR101278884B1 KR101278884B1 (ko) 2013-06-26

Family

ID=47511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729A KR101278884B1 (ko) 2011-05-12 2011-05-12 차량용 에어 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88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3405A1 (ko) * 2017-07-14 2019-01-17 손부경 진공 밀폐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5701B1 (ko) * 1995-01-06 1996-11-2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대형차량 에어브레이크 시스템의 에어 드라이어 장치
US5595588A (en) * 1995-07-24 1997-01-21 Alliedsignal Truck Brake Systems Co. Air dryer cartridge mounting system
GB9923723D0 (en) * 1999-10-08 1999-12-08 Wabco Automotive Uk Vehicle air braking systems
KR100403011B1 (en) * 2003-03-24 2003-10-23 Gyung Jong Hong Air dryer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3405A1 (ko) * 2017-07-14 2019-01-17 손부경 진공 밀폐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8884B1 (ko)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3757B2 (ja) 圧縮空気乾燥装置
JP5951256B2 (ja) 車両用の閉じた自動車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におけるエアドライヤ用再生成サイクルをコントロールする方法
KR102357742B1 (ko) 압축 공기 공급 장치, 공압 시스템 및 압축 공기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US8745982B2 (en) Method for regenerating a compressed air supply device, control unit and compressed air supply device
US6391098B1 (en) Air braking system component
US8500885B2 (en) Air drier for air suspension of vehicle
EP1652745A1 (en) Vehicular brake fluid pressure controller
RU2628024C2 (ru) Осушитель воздуха для пневмат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US8585809B2 (en) Air dryer cartridge
KR101278884B1 (ko) 차량용 에어 드라이어
WO2015182584A1 (ja) オイルセパレータ及び車両用油分分離システム
JP5876709B2 (ja) エア供給システム
KR100623585B1 (ko) 차량의 에어 브레이크 시스템
EP0867351B1 (en) Vehicle air braking system
JP6144154B2 (ja) 圧縮空気乾燥装置
JPS60102920A (ja) 圧縮空気乾燥方法
KR20220075785A (ko) 연비 향상을 위한 차량용 eapu 모듈 제어 방법
JP4112057B2 (ja) エア供給装置
JPH0660425U (ja) 車両用空気貯蔵装置
JPH0112531B2 (ko)
KR960015701B1 (ko) 대형차량 에어브레이크 시스템의 에어 드라이어 장치
JPH0525687Y2 (ko)
JPH0752775Y2 (ja) 車両のエアブレーキシステム
KR100261116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공기탱크 구조
JPH0640943B2 (ja) 圧縮空気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