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6621A - 통발 인양기 - Google Patents

통발 인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6621A
KR20120126621A KR1020110044559A KR20110044559A KR20120126621A KR 20120126621 A KR20120126621 A KR 20120126621A KR 1020110044559 A KR1020110044559 A KR 1020110044559A KR 20110044559 A KR20110044559 A KR 20110044559A KR 20120126621 A KR20120126621 A KR 20120126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rope
main
upper frame
dro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4771B1 (ko
Inventor
박명오
Original Assignee
박명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오 filed Critical 박명오
Priority to KR1020110044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771B1/ko
Publication of KR20120126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발 인양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갖는 본체, 상부 프레임의 외부에서 모터 구동을 통해 로프를 인양하는 메인롤러, 메인롤러의 전방에서 상부 프레임 내측으로 로프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상부 프레임의 내측 둘레변에서 선체 요동으로부터 메인로프와 통발의 안전을 도모하는 복수의 보조롤러, 메인롤러의 하부에서 로프로부터 통발을 탈락시켜 분리하는 탈락부, 및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탈락부에 의해 분리된 통발들을 받아 선내로 안내하는 유도판을 포함하는 구성이며,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로프에 연결된 통발의 원활한 분리가 가능하게 하고, 또한 인양과정에서 탈착 연결구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통발 인양기{FISH TRAP PULLING-UP MACHINE}
본 고안은 통발 인양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프에 연결된 통발의 원활한 분리가 가능하게 하고, 또한 인양과정에서 탈착 연결구의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통발 인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발과 같은 어로작업을 함에 있어서, 선박의 외벽은 로프와 통발의 인양 과정에 중대한 장애 요소가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선상에서 로프의 인양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통발 인양기의 한 형태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76313호(2002.05.09)가 있다.
이 고안의 구성을 보면, 어선의 난간에 수직으로 고정되게 설치된 지주(2)와, 지주에 부착되어 메인로프(3)의 인양을 안내하는 수평 안내 롤러(4)(4')(4'') 및 경사 안내 롤러(5)와, 본체를 구성하는 지주(2)의 상부에 설치된 한 쌍의 탈락 롤러(6)로 이루어져 한 쌍의 탈락 롤러(6) 사이로 메인로프(3)를 인양하면서 통발(100)을 탈락시키게 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한 쌍의 탈락 롤러 사이로 메인로프를 통과시켜 인양하면서 통발을 탈락시키는 경우, 탈락 롤러의 양측에서 가해지는 압력이 상당하므로 양측 롤러 사이에 끼이게 되는 통발 상부의 탈착 연결구의 파손을 초래할 수 있고 따라서 어로작업에서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로프에 연결된 통발의 원활한 분리가 가능하고, 또한 인양과정에서 탈착 연결구의 파손을 방지하는 안전한 구조를 갖는 통발 인양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갖는 본체, 상부 프레임의 외부에서 모터 구동을 통해 로프를 인양하는 메인롤러, 메인롤러의 전방에서 상부 프레임 내측으로 로프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상부 프레임의 내측 둘레변에서 선체 요동으로부터 메인로프와 통발의 안전을 도모하는 복수의 보조롤러, 메인롤러의 하부에서 로프로부터 통발을 탈락시켜 분리하는 탈락부, 및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탈락부에 의해 분리된 통발들을 받아 선내로 안내하는 유도판을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락부는 통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 하부로부터 소정 높이를 갖는 상협 하광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에는 메인로프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캡 부재, 및 이 캡 부재의 상부에서 탈착 연결구에 대하여 걸림상태를 제공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되, 걸림부재는 관통공에 대응하여 형성된 연통공을 가지며, 상기 연통공의 내측 선단은 상기 관통공의 내측 선단을 커버하며 상기 탈착 연결구의 표면이 밀착 또는 가이드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관통공은 메인로프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캡 부재의 전방으로 연장하여 개방된 형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통발 인양기는 이상 설명된 구성으로부터 로프에 연결된 통발의 원활한 분리가 가능하게 하고, 또한 인양과정에서 탈착 연결구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통발 인양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발 인양기로서, 도 2a는 외관 사시도, 도 2b는 정면도, 도 2c는 측면도;
도 3은 도 2의 통발 인양기에 구비된 탈락부로서, 도 3a는 외관 사시도, 도 3c는 평면도, 도 3c는 저면도, 도 3d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통발 인양기의 선상 설치상태와 이를 통한 통발 인양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탈락부에 의한 통발 탈락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통발이 탈락부에 진입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b는 탈락부에 의한 탈착 연결구의 연결 해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c는 통발이 로프에서 탈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통발 인양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외관 사시도, 도 2b는 정면도, 도 2c는 측면도이다.
통발 인양기의 본체(10)는 통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프레임 부재들로 둘러쳐진 상부 프레임(11)과, 이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선반 또는 걸이대 형태를 갖는 하부 프레임(12)을 포함한다.
본체의 상부, 즉 상부 프레임(11)의 상면에는 해저로부터 로프(1)를 감아올려 인양하는 메인롤러(20)가 설치되고, 바다측을 향하는 본체의 전방에는 로프(1)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30)가 구비된다. 메인롤러(20)는 모터 구동에 의해 작동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메인롤러와 모터를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롤러(30)는 바람직하게는 상부 프레임(11)의 전방으로 돌출된 정면 프레임(13)의 안쪽에 설치되어 로프를 상부 프레임(11)의 내측 상부로 안내한다.
가이드롤러(30)의 후방으로 상부 프레임(11)의 내측 둘레변에는 파도로 인해 선체가 심하게 흔들리더라도 로프와 통발을 안전하게 유도하기 위해 복수의 보조롤러(41,4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들 보조롤러(41,42)는 상부 프레임(11)의 내측면과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11)의 내측으로 메인롤러(20)의 하부에는 로프에 연결된 탈착 연결구(3)를 탈락시켜 통발을 분리하게 되는 탈락부(50)가 구비된다.
하부 프레임(12)에는 탈락부(50)에 의해 분리된 통발을 수집하여 선내로 안내하는 유도판(60)이 설치되며, 이러한 유도판(60)은 떨어지는 통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라운드진 형태를 갖추고 선상 또는 선내 측으로 소정 각도의 경사진 상태로 제공된다.
도 3은 도 2의 통발 인양기에 구비된 탈락부로서, 도 3a는 외관 사시도, 도 3c는 평면도, 도 3c는 저면도, 도 3d는 단면도이다.
탈락부(50)는 로프를 따라 인양되는 통발이 진입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캡 부재(51)와, 통발의 상단에 결합된 탈착 연결구(3)에 대하여 걸림을 제공하는 걸림부재(52)를 포함한다. 걸림부재(52)는 캡 부재(51)의 상면에 일체로 결합되어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캡 부재(51)는 통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 하부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는 상협 하광(上狹下廣)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전방부는 로프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개방되어서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53)과 이어져 있다.
걸림부재(52)는 캡 부재의 관통공(53)과 대응하여 형성된 연통공(54)을 가지며, 연통공(54)의 내측 선단은 그에 대응하는 관통공(53)의 내측 선단을 커버하되, 그 표면은 걸림상태에 있는 탈착 연결구(3)의 몸체(3a) 표면과 밀착하거나 이를 안전하게 유도하도록 소정 각도의 경사면(54a)을 이룬다.
도 4는 본 발명의 통발 인양기의 선상 설치상태와 이를 통한 통발 인양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통발 인양은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로프(1)가 선상으로 끌어올려짐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로프(1)는 정면 프레임(13)에 설치된 가이드롤러(30)를 통해 상부 프레임(11)의 내부로 진입하고 메인롤러(20)에 의해 탈락부(50)의 개방 하부로부터 상부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로프(1)에 연결된 통발은 탈락부(50)에 의해 탈락되고, 탈락된 통발(2)은 하부 프레임(12)에 설치된 유도판(60)을 따라서 선내로 안전하게 유도된다.
한편, 본 발명의 통발 인양기는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체(4)의 벽 상단이나 내벽에 설치되는 지지대(5)와 일체로 결합됨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조업 중 높은 파도에 의해서도 이탈되거나 파손되지 않고 안전한 인양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도 3의 탈락부에 의한 통발 탈락과정을 도시한 순서도로서, 도 5a는 통발이 탈락부에 진입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b는 탈락부에 의한 탈착 연결구의 연결 해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c는 통발이 로프에서 탈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통발 인양과정에서 로프(1)는 도 5a와 같이 탈락부(50)의 개방 단부를 통해 캡 부재(51)의 상단에 형성된 관통공(53)과 이에 대응하는 걸림부재(52)의 연통공(54)을 통과한다. 이 과정에서 로프(1)에 연결된 각각의 통발(2)은 캡 부재(51)의 내부로 진입하게 되고, 통발(2)의 상단에 결합된 탈착 연결구(3)는 걸림부재(52)의 연통공(54) 아래에 하향 연장된 경사면(54a)에 닿아 걸림상태로 된다.
도 5b에 따르면, 연통공(54)의 경사면(54a)에 걸림상태로 유지된 탈착 연결구(3)는 로프(1)의 당김력으로 인해 몸체(3a) 내부로부터 후크(3b)가 상향 인출되고, 이에 따라 탈착 연결구(3)는 로프로부터 탈락되어 도 4c와 같이 캡 부재(51)의 하방으로 떨어지고, 도 4와 같이 유도판(60)에 의해 선내로 안내된다.
10 : 본체 11 : 상부 프레임
12 : 하부 프레임 13 : 정면 프레임
20 : 메인롤러 30 : 가이드롤러
41,42 : 보조롤러 50 : 탈락부
51 : 캡 부재 52 : 걸림부재
53 : 관통공 54 : 연통공
54a : 경사면 60 : 유도판
1 : 로프 2 : 통발
3 : 탈착 연결구

Claims (5)

  1.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갖는 본체,
    상부 프레임의 외부에서 모터 구동을 통해 로프를 인양하는 메인롤러,
    메인롤러의 전방에서 상부 프레임 내측으로 로프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메인롤러의 하부에서 로프로부터 통발을 탈락시켜 분리하는 탈락부, 및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탈락부에 의해 분리된 통발들을 받아 선내로 안내하는 유도판을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의 내측 둘레변에 선체 요동으로부터 메인로프와 통발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복수의 보조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인양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부는, 통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 하부로부터 소정 높이를 갖는 상협 하광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에는 메인로프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캡 부재와, 이 캡 부재의 상부에서 탈착 연결구에 대하여 걸림상태를 제공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인양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메인로프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캡 부재의 전방으로 연장하여 개방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인양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관통공에 대응하여 형성된 연통공을 가지며, 상기 연통공의 내측 선단은 상기 관통공의 내측 선단을 커버하며 상기 탈착 연결구의 표면이 밀착 또는 가이드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인양기.
KR1020110044559A 2011-05-12 2011-05-12 통발 인양기 KR101314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559A KR101314771B1 (ko) 2011-05-12 2011-05-12 통발 인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559A KR101314771B1 (ko) 2011-05-12 2011-05-12 통발 인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621A true KR20120126621A (ko) 2012-11-21
KR101314771B1 KR101314771B1 (ko) 2013-10-08

Family

ID=47511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559A KR101314771B1 (ko) 2011-05-12 2011-05-12 통발 인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7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4668A1 (ko) * 2016-10-20 2018-04-26 박명오 통발 탈락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KR20180078382A (ko) * 2016-12-29 2018-07-10 박명오 통발 탈락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KR20200139578A (ko) * 2019-06-04 2020-12-14 박명오 통발 탈락장치의 개선구조와 이를 이용한 로프 인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810B1 (ko) * 2001-01-12 2003-10-17 유금범 통발양승안내장치
KR200278607Y1 (ko) * 2002-03-07 2002-06-20 조영주 통발 자동 탈락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4668A1 (ko) * 2016-10-20 2018-04-26 박명오 통발 탈락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CN108349579A (zh) * 2016-10-20 2018-07-31 朴明珸 鱼笼脱落装置及包括其的鱼笼打捞机
CN108349579B (zh) * 2016-10-20 2021-02-09 朴明珸 鱼笼脱落装置及包括其的鱼笼打捞机
KR20180078382A (ko) * 2016-12-29 2018-07-10 박명오 통발 탈락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KR20200139578A (ko) * 2019-06-04 2020-12-14 박명오 통발 탈락장치의 개선구조와 이를 이용한 로프 인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4771B1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1040B1 (ko) 폐사 물고기 포획 트랩을 가진 가두리 양식 설비
KR101724059B1 (ko) 해초수확장치
KR101314771B1 (ko) 통발 인양기
JP2010207106A (ja) 中層浮魚礁の回収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回収用金具
RU2019141936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обеспечения ловли рыб с помощью рыболовного судна
KR100626404B1 (ko) 해태망 회수장치
JPH08282588A (ja) 水中航走体の揚収装置
KR101342537B1 (ko) 권양기
CN105284749B (zh) 一种适用于抽检水产品质量的采虾工具
KR102382396B1 (ko) 통발 탈락장치의 개선구조와 이를 이용한 로프 인양방법
KR101111092B1 (ko)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
JP4161334B2 (ja) 水中浮遊物揚収支援装置及び方法
WO2018074668A1 (ko) 통발 탈락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JP5759944B2 (ja) 浮魚礁用アンカーの回収方法、およびその回収方法で使用する回収カゴ
CN109866873B (zh) 一种封闭式艏楼锚链的进舱方法
KR20100010853A (ko)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
KR19990034667A (ko) 통발 자동 탈락장치
KR200253339Y1 (ko) 통발 연결장치
KR101772168B1 (ko) 통발 회수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NL2031368B1 (en) Net driving device for aquaculture working vesse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217675426U (zh) 上料装置
KR102150063B1 (ko) 와이어 수납장치
KR102207638B1 (ko) 어로장비 연결구
KR20180078382A (ko) 통발 탈락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CN208338699U (zh) 一种脱钩限位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