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6310A - 가변 안내 표시판 - Google Patents

가변 안내 표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6310A
KR20120126310A KR1020110044007A KR20110044007A KR20120126310A KR 20120126310 A KR20120126310 A KR 20120126310A KR 1020110044007 A KR1020110044007 A KR 1020110044007A KR 20110044007 A KR20110044007 A KR 20110044007A KR 20120126310 A KR20120126310 A KR 20120126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isplay unit
support
respect
gea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3174B1 (ko
Inventor
유치만
박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텍스
Priority to KR1020110044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174B1/ko
Publication of KR20120126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20Use of light guides, e.g. fibre-optic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안내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의 가변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이 이루어지고 직각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지주대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지주대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가 상하로 승강됨은 물론 좌우로 회동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의 고장발생이나 부품교환시 작업자가 일부 차선을 차단한 상태에서 사다리 등을 타고 올라가서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어 안전사고의 우려가 없고, 또한 차선을 차단하지 않아도 되어 차량의 통행 체층을 야기하지 않고도 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가변 안내 표시판{Structure for variable message sign}
본 발명은 가변 안내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내 표지판의 디스플레이부를 회전 및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의 고장수리 및 부품교환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가변 안내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로 상에는 운전자에게 교통정보 및 각종 기타 정보 등을 제공하여 교통시설의 이용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한 가변 안내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다.
즉, 안내 표지판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교통정보, 도로환경, 날씨를 비롯한 각종 정보를 문자 등으로 디스플레이시켜 운전자가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장치로서, 대체로 도로의 가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대와, 이 지주대의 상단측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도로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한 쌍의 가로대와, 이 가로대에 고정장착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변 안내 표지판은, 지주대의 상단측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가로대에 디스플레이부가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는바, 디스플레이부에 고장발생시 또는 부품교환시 이를 수리하거나 부품교환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 가변 안내 표지판의 디스플레이부가 고장나거나 부품교환이 필요한 경우, 차량 통행이 적은 시간에 일부 차선을 막고 작업자가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올라가서 직접 수리작업을 수행하거나 부품교환을 수행해야 함으로써, 그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작업자가 차선을 막은 상태에서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서 작업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컸으며, 차량 흐름을 저해하여 병목현상에 따른 교통체층 현상을 야기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부가 상하로 승강됨은 물론 좌우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의 고장발생이나 부품교환시 안전사고의 우려가 없고, 차량의 통행 체층을 야기하지 않고도 그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가변 안내 표지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안내 표지판은, 도로의 가변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이 이루어지고 직각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지주대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지주대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지주대의 일측에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안착,설치되되, 그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봉기어와; 상기 봉기어와 치합되고,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상기 봉기어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하로 승강이 이루어지는 승강조절 스크류와; 상기 승강조절 스크류가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지주대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와 상하로 연동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지주대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어박스에는, 상기 봉기어가 관통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의 일측에 상기 승강조절 스크류가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조절 스크류의 구동축에는 종동 헬리컬 베벨기어가 축설되고, 상기 종동 헬리컬 베벨기어는 구동 헬리컬 베벨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구동 헬리컬 베벨기어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승강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가이드봉의 선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봉이 상기 기어박스와 상하로 연동되어 승강되고, 상기 기어박스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기어박스의 관통공에 삽입된 가이드봉의 선단부 외측 둘레에 억지끼워 맞춤으로 삽입,설치된 웜휠과; 상기 웜휠과 치합되는 윔기어와; 상기 웜기어와 그 구동축이 축설된 회전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주대의 상단부 일측의 하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제1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주대에 대하여 승강되는 기어박스의 상면에는 상기 기어박스가 최대로 상승하였을 경우, 상기 제1톱니부와 치합이 이루어지는 제2톱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지주대의 일측에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봉기어와; 상기 봉기어의 일단과 축연결되는 승강모터와; 상기 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지주대의 저부에 설치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봉기어와 치합되는 암나사공이 형성된 삽입부가 그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봉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주대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한편,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지주대를 지지하는 기어박스의 상면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스퍼어 기어와; 상기 제1스퍼어 기어와 치합되는 제2스퍼어 기어와; 상기 제2스퍼어 기어와 구동축으로 연결된 회전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대는, 그 저면부가 상기 제1스퍼어 기어의 상부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제1스퍼어 기어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지주대의 상단부 일측의 하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제1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주대에 대하여 승강되는 가이드봉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봉이 최대로 상승하였을 경우, 상기 제1톱니부와 치합이 이루어지는 제2톱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안내 표지판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가 상하로 승강됨은 물론 좌우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의 고장발생이나 부품교환시 작업자가 일부 차선을 차단한 상태에서 사다리 등을 타고 올라가서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어 안전사고의 우려가 없고, 또한 차선을 차단하지 않아도 되어 차량의 통행 체층을 야기하지 않고도 그 작업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안내 표지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서 가로대 및 디스플레이부를 승강 및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박스의 구성을 확대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b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안내 표지판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디스플레이부가 하강된 상태의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5의 회전수단을 확대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안내 표지판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서 가로대 및 디스플레이부를 승강 및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박스의 구성을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b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확대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안내 표지판(10)은, 도로의 가변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대(20)와, 이 지주대(20)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이 이루어지고 직각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28)와, 이 디스플레이부(28)를 상하로 승강시키거나 또는 직각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승강수단 및 회전수단이 설치된 기어박스(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주대(20)의 일측에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제1지지부(22) 및 제2지지부(2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제1,2지지부(22,24)에는 각각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착홈들에 양단이 끼워져서 제자리에서 회전운동을 하는 봉기어(3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봉기어(30)는 후술되는 기어박스(50)의 가이드공(58)에 삽입된 상태로 제1,2지지부(22,24)에 설치되고, 가이드공(58)의 일측에는 봉기어(30)와 맞물리는 승강조절 스크류(미도시됨)가 설치되어 있는바, 승강조절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기어박스(50)가 승강을 이루게 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기어박스(50)는 지주대(20)를 감싸되, 이 지주대(20)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봉(40)이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고, 이 가이드봉(40)의 일측에는 한 쌍의 가로대(26)가 설치되며, 이 가로대(26)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28)가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기어박스(50)는 가이드봉(4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되, 상하로는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기어박스(50)의 승강시 가이드봉(40)도 승강하게 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8)가 연동하여 승강이 이루어지고, 이 기어박스(50)에 설치된 회전수단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봉(40)이 90도 각도로 수평회전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8)가 연동하여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기어박스(50)는 상부케이스(52)와 하부케이스(54)로 이루어지며, 각각 지주대(20)가 관통되도록 하는 관통공(5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부케이스(54)의 관통공(56)에는 가이드봉(40)의 선단부(42)가 삽입되어 끼워맞춤되고, 이 가이드봉(40)의 선단부(42)에는 그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웜휠(74)이 억지끼워 맞춤으로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웜휠(74)의 나사부와 치합되는 웜 기어(72)가 기어박스(5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 웜 기어(72)는 회전모터(70)와 연결,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봉기어(30)와 치합되는 승강조절 스크류를 구동시키기 위한 승강수단 또한 기어박스(5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데, 여기서 승강조절 스크류와 봉기어(30)의 나사부는 헬리컬 기어로 형성하여 서로 맞물림에 따라 봉기어(30)가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조절 스크류는 승강모터(60)와 직접 연결되어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고,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리컬 베벨기어를 적용하여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승강모터(60)의 구동축에 구동 헬리컬 베벨기어(62)를 설치하고, 이 구동 헬리컬 베벨기어(62)와 치합되는 종동 헬리컬 베벨기어(64)를 승강조절 스크류의 구동축과 축연결함으로써, 상기 승강모터(60)의 구동에 따라 승강조절 스크류가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안내 표지판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대(20)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28)가 상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8)의 고장이나 부품교환의 필요로 수리작업 및 부품교환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28)를 지주대(20)에 대하여 아래로 하강시키고 90도 각도로 회전시켜서 디스플레이부(28)가 도로가변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차량 통행을 저해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8)를 하강시킨 후 도로가변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키게 되면, 차량통행에 저해될 우려가 있으므로, 먼저 디스플레이부(28)를 도로가변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킨 후, 하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자가 회전모터(70)에 전기적 신호를 입력하여 구동되도록 하면, 회전모터(70)의 구동축과 연결된 웜 기어(72)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웜 기어(72)와 치합된 웜휠(74)이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웜휠(74)은 가이드봉(40)의 선단부에 억지끼워 맞춤으로 삽입되어 있는바, 웜휠(74)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봉(40)도 연동하여 지주대(20)에 대하여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8)는 한 쌍의 가로대(26)에 의해 가이드봉(40)에 고정되게 연결,설치되어 있으므로, 가이드봉(40)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승강모터(60)에 전기적 신호를 입력하여 구동되도록 하면, 승강모터(60)의 구동축과 연결된 구동 헬리컬 베벨기어(62)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이 구동 헬리컬 베벨기어(62)와 치합된 종동 헬리컬 베벨기어(64)가 연동하여 회전되는바, 이 종동 헬리컬 베벨기어(64)의 구동축과 연결된 승강조절 스크류가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조절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그 나사부가 치합된 봉기어(30)가 지주대(20)의 제1,2지지부(22,24)에 대하여 제자리에서 회전을 하게 되는바, 이 봉기어(30)의 회전에 따라 기어박스(50)가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기어박스(50)는 상기 가이드봉(40)과 상하로 연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기어박스(50)의 하강에 따라 가이드봉(40)이 지주대(20)에 대하여 슬라이드 되면서 아래로 하강하게 되며, 이 가이드봉(40)에는 한 쌍의 가로대(26)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8)가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28) 또한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8)가 지주대(20)에 대하여 회전하여 도로가변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아래로 하강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디스플레이부(28)의 고장수리 또는 부품교환 등의 작업을 수행하면 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우려가 불식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8)의 고장수리 또는 부품교환 등의 작업을 위하여 차선 일부를 통제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차량통행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도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8)를 지주대(20)에 대하여 회전, 하강시켜 작업을 마친 후에는, 승강모터(60) 및 회전모터(70)에 각각 역회전신호를 입력하여 앞서 설명한 바의 반대로 회전 및 상승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다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8)가 지주대(20)의 상단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제 2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안내 표지판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디스플레이부가 하강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도 5에서 회전수단의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안내 표지판(100)은 앞서 설명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안내 표지판(10)과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부(110)가 지주대(102)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됨과 아울러 90도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그 승강수단과 회전수단에 구성만 상이할 뿐, 그 외의 부가 구성이나 목적 및 작용효과는 동일함 것임을 밝혀둔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안내 표지판은, 도로의 가변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대(102)와, 이 지주대(102)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이 이루어지고 직각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110)와, 이 디스플레이부(110)를 상하로 승강시키거나 또는 직각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어박스(1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어박스(108)는 앞선 제 1실시 예에서와는 달리, 지주대(102)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주대(102)의 일측에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제1지지부(104) 및 제2지지부(106)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제1,2지지부(104,106)에는 각각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착홈들에 양단이 끼워져서 제자리에서 회전운동을 하는 봉기어(13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봉기어(130)는 그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그 하단부는 제2지지부(106)의 안착홈을 관통하여 기어박스(108)에 내설되는 승강모터(미도시됨)와 축연결되어, 이 승강모터의 구동에 따라 봉기어(130)가 제자리에서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주대(102)의 외면을 감싸되, 지주대(102)에 대하여 상하로는 슬라이드 되면서 승강이 이루어지고, 회전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봉(12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봉(120)의 일측으로 디스플레이부(110)가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를 뒷받침하는 도 5 및 도 6에서는 상기 가이드봉(120)에 디스플레이부(110)가 직접 고정,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 1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가로대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가 고정,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봉(120)의 일측에는 상하에 걸쳐 각각 암나사공이 형성된 삽입부(122,1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부(122,124)의 암나사공에는 상기 봉기어(130)가 삽입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봉기어(13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부는, 가이드봉(120)의 삽입부에 형성된 암나사공과 치합된 상태를 이루며, 이에 봉기어(130)의 제자리 회전에 따라 가이드봉(120)이 상하로 승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주대(102)의 저면부와 기어박스(108)의 사이에는 회전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수단은, 지주대(102)를 지지하는 기어박스(108)의 상면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스퍼어 기어(160)와, 이 제1스퍼어 기어(160)와 치합되는 제2스퍼어 기어(152)와, 이 제2스퍼어 기어(152)와 구동축으로 연결된 회전모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주대(102)는, 그 저면부가 상기 제1스퍼어 기어(160)의 상부에 고정결합되어, 제1스퍼어 기어(160)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즉, 회전모터(150)에 전기적 신호를 입력하면, 이 회전모터(150)의 구동에 따라 제2스퍼어 기어(152)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2스퍼어 기어(152)와 치합된 제1스퍼어 기어(160)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지주대(102) 전체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지주대(102)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봉(120)과 디스플레이부(110)가 연동하여 회전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작동관계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안내 표지판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대(102)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110)가 상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0)의 고장이나 부품교환의 필요로 수리작업 및 부품교환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지주대(102)에 대하여 아래로 하강시키고 90도 각도로 회전시켜서 디스플레이부(110)가 도로가변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차량 통행을 저해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10)를 하강시킨 후 도로가변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키게 되면, 차량통행에 저해될 우려가 있으므로, 먼저 디스플레이부(110)를 도로가변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킨 후, 하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자가 회전모터(150)에 전기적 신호를 입력하여 구동되도록 하면, 회전모터(150)의 구동축과 연결된 제2스퍼어 기어(152)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2스퍼어 기어(152)와 치합된 제1스퍼어 기어(160)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스퍼어 기어(160)의 회전에 따라 지주대(102) 전체가 연동하여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가이드봉(120) 및 디스플레이부(110) 또한 연동하여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승강모터에 전기적 신호를 입력하여 구동되도록 하면, 봉기어(130)가 지주대(102)의 제1,2지지부에 대하여 제자리에서 회전을 하게 되는바, 이 봉기어(130)의 나사부가 가이드봉(120)의 삽입부(122,124)에 형성된 암나사공과 치합됨에 따라 가이드봉(120)을 하강시키게 된다. 여기서, 이 가이드봉(120)에는 디스플레이부(110)가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110) 또한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지주대(102)에 대하여 회전하여 도로가변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아래로 하강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디스플레이부(110)의 고장수리 또는 부품교환 등의 작업을 수행하면 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우려가 불식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의 고장수리 또는 부품교환 등의 작업을 위하여 차선 일부를 통제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차량통행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도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를 지주대(102)에 대하여 회전시키고 하강시켜 작업을 마친 후에는, 승강모터 및 회전모터(150)에 각각 역회전신호를 입력하여 앞서 설명한 바의 반대로 회전 및 상승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다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지주대(102)의 상단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안내 표지판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지주대(102)의 상단측에 수평방향으로 안정되게 설치되기는 하나, 종래에서와 같이 지주대(102)에 대하여 일체형으로 고정,설치되는 것이 아니고, 상하로 승강 및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강풍이 불 경우 디스플레이부(110)가 지주대(102)에 대하여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디스플레이부(110)가 지주대(102)에 대하여 외적 환경 즉, 강풍 등에 의하여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대(102)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지지부(104)의 하면쪽에는 일정간격으로 제1톱니부(104a)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봉(120)의 상면쪽에는 상기 제1지지부(104)의 제1톱니부(104a)와 대응하는 제2톱니부(120a)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지지부(104)의 하면쪽에 제1톱니부(104a)를 형성하고, 가이드봉(120)의 상면쪽에 제2톱니부(120a)를 형성하게 되면, 가이드봉(120) 및 디스플레이부(110)가 지주대(102)에 대하여 상승한 위치에서 상기 제1톱니부(104a)와 제2톱니부(102a)가 치합된 상태를 이룸으로써, 강풍이 발생하더라도 가이드봉(120)이 지주대(102)에 대하여 회전됨이 예방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를 뒷받침하는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1톱니부와 제2톱니부의 구성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 1실시 예에서도 지주대(20)의 상부쪽과 승강이 이루어지는 기어박스(50)의 상면쪽에 각각 대응하는 제1톱니부와 제2톱니부의 구성을 부가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동일한 작용효과를 거둘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제 1실시 예>
10 : 가변 안내 표지판 20 : 지주대
22 : 제1지지부 24 : 제2지지부
26 : 가로대 28 : 디스플레이부
30 : 봉기어 40 : 가이드봉
42 : 선단부 50 : 기어박스
52 : 상부케이스 54 : 하부케이스
60 : 승강모터 62 : 구동 헬리컬 베벨기어
64 : 종동 헬리컬 베벨기어 70 : 회전모터
72 : 윔 기어 74 : 윔휠
<제 2실시 예>
100 : 가변 안내 표지판 102 : 지주대
104 : 제1지지부 104a : 제1톱니부
106 : 제2지지부 108 : 기어박스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가이드봉
120a : 제2톱니부 122,124 : 삽입부
130 : 봉기어 150 : 회전모터
152 : 제2스퍼어 기어 160 : 제1스퍼어 기어

Claims (10)

  1. 도로의 가변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이 이루어지고 직각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지주대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지주대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안내 표지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지주대의 일측에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안착,설치되되, 그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봉기어와;
    상기 봉기어와 치합되고,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상기 봉기어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하로 승강이 이루어지는 승강조절 스크류와;
    상기 승강조절 스크류가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지주대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와 상하로 연동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지주대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안내 표지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에는, 상기 봉기어가 관통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의 일측에 상기 승강조절 스크류가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안내 표지판.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조절 스크류의 구동축에는 종동 헬리컬 베벨기어가 축설되고, 상기 종동 헬리컬 베벨기어는 구동 헬리컬 베벨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구동 헬리컬 베벨기어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승강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안내 표지판.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가이드봉의 선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봉이 상기 기어박스와 상하로 연동되어 승강되고, 상기 기어박스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안내 표지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기어박스의 관통공에 삽입된 가이드봉의 선단부 외측 둘레에 억지끼워 맞춤으로 삽입,설치된 웜휠과;
    상기 웜휠과 치합되는 윔기어와;
    상기 웜기어와 그 구동축이 축설된 회전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안내 표지판.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의 상단부 일측의 하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제1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주대에 대하여 승강되는 기어박스의 상면에는 상기 기어박스가 최대로 상승하였을 경우, 상기 제1톱니부와 치합이 이루어지는 제2톱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안내 표지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지주대의 일측에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봉기어와;
    상기 봉기어의 일단과 축연결되는 승강모터와;
    상기 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지주대의 저부에 설치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봉기어와 치합되는 암나사공이 형성된 삽입부가 그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봉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주대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안내 표지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지주대를 지지하는 기어박스의 상면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스퍼어 기어와;
    상기 제1스퍼어 기어와 치합되는 제2스퍼어 기어와;
    상기 제2스퍼어 기어와 구동축으로 연결된 회전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대는, 그 저면부가 상기 제1스퍼어 기어의 상부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제1스퍼어 기어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안내 표지판.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의 상단부 일측의 하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제1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주대에 대하여 승강되는 가이드봉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봉이 최대로 상승하였을 경우, 상기 제1톱니부와 치합이 이루어지는 제2톱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안내 표지판.
KR1020110044007A 2011-05-11 2011-05-11 가변 안내 표시판 KR101223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007A KR101223174B1 (ko) 2011-05-11 2011-05-11 가변 안내 표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007A KR101223174B1 (ko) 2011-05-11 2011-05-11 가변 안내 표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310A true KR20120126310A (ko) 2012-11-21
KR101223174B1 KR101223174B1 (ko) 2013-02-05

Family

ID=47511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007A KR101223174B1 (ko) 2011-05-11 2011-05-11 가변 안내 표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17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716A (ko) * 2016-12-01 2018-06-11 장용선 결합이 용이한 표지판의 구조
KR20180062724A (ko) * 2016-12-01 2018-06-11 장용선 고정력과 결합력이 우수한 표지판
CN109282128A (zh) * 2018-09-25 2019-01-29 苏州睿达矩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方便维护维修的交通监控设备支架
KR102275592B1 (ko) * 2020-05-20 2021-07-12 김채은 가변형 배너
CN114267249A (zh) * 2021-10-25 2022-04-01 刘贤东 一种多样化乡村旅游用宣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6538A (ko) * 2003-07-15 2003-08-09 최광철 도로용 안내표시판
JP2008116889A (ja) * 2006-11-06 2008-05-22 Kiyonobu Enomoto 上下降装置付看板支柱
KR101026679B1 (ko) * 2008-12-30 2011-04-07 주식회사 모텍스 롤러형 커터의 착탈장치
KR100960334B1 (ko) * 2009-06-25 2010-06-07 안규영 회전식 도로용 지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716A (ko) * 2016-12-01 2018-06-11 장용선 결합이 용이한 표지판의 구조
KR20180062724A (ko) * 2016-12-01 2018-06-11 장용선 고정력과 결합력이 우수한 표지판
CN109282128A (zh) * 2018-09-25 2019-01-29 苏州睿达矩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方便维护维修的交通监控设备支架
KR102275592B1 (ko) * 2020-05-20 2021-07-12 김채은 가변형 배너
CN114267249A (zh) * 2021-10-25 2022-04-01 刘贤东 一种多样化乡村旅游用宣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3174B1 (ko)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174B1 (ko) 가변 안내 표시판
KR101848835B1 (ko)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CN204803794U (zh) 可升降道路护栏
KR200429331Y1 (ko) 폐쇄회로 티브이용 카메라 승강 구조
CN204370858U (zh) 一种四立柱门架式两层停车设备上台板螺杆升降驱动系统
CN104453309B (zh) 一种四立柱门架式两层停车设备钢索或链条升降驱动系统
CN104481184A (zh) 一种四立柱门架式两层停车设备上台板螺杆升降驱动系统
KR20090084190A (ko) 이동식 작업장
CN108915229B (zh) 一种多功能装修施工架
CN215926636U (zh) 一种建筑工程施工脚手架防护结构
CN106524015A (zh) 一种带有自动升降系统的路灯装置
KR20160087365A (ko) 수동으로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
CN107182618B (zh) 利用升降系统的植物栽培装置
KR101166348B1 (ko) 가변 안내 표시판
KR101376538B1 (ko) 회전방지수단을 갖는 가변 안내 표시판
KR101308057B1 (ko) 하중 지지수단을 갖는 가변 안내 표시판
CN213950460U (zh) 一种轨道交通检修装备用顶升装置
KR101308056B1 (ko) 절곡된 연결대를 갖는 가변 안내 표시판
CN212103757U (zh) 一种水利工程施工用安全警示装置
DE20111569U1 (de) Verglasungsanordnung mit Innenjalousie-Führung
KR101273645B1 (ko)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
CN101704492B (zh) 双桅杆攀爬式高空作业平台
CN206347453U (zh) 一种带有自动升降系统的路灯装置
KR102562903B1 (ko) 횡단보도용 안전장치
CN214530357U (zh) 一种公路桥梁限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