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4809A -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 합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널합착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 합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널합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4809A
KR20120124809A KR1020110042664A KR20110042664A KR20120124809A KR 20120124809 A KR20120124809 A KR 20120124809A KR 1020110042664 A KR1020110042664 A KR 1020110042664A KR 20110042664 A KR20110042664 A KR 20110042664A KR 20120124809 A KR20120124809 A KR 20120124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onding
bonded
touch panel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9558B1 (ko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2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558B1/ko
Publication of KR20120124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합착시스템은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공급하는 합착전 패널 공급부; 상기 패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각각 이송하는 합착전 패널 이송 로봇; 상기 합착전 패널 이송 로봇으로부터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전달받아 합착하는 패널 합착부; 상기 패널 합착부에서 합착된 패널을 이송하는 합착된 패널 이송 로봇; 상기 합착된 패널 이송로봇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합착된 패널을 검사하는 검사부; 상기 검사부에서 검사된 상기 합착된 패널을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합착시스템 및 패널합착방법은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자동으로 합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크기가 다양한 디스플레이에 터치 패널을 합착할 수 있도록 하여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부터 검사까지 일괄적인 공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 합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널합착방법{PANEL BONDING APPARATUS FOR BONDING TOUCH PANEL AND DISPLAY PANEL AND PANEL BONDING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패널합착시스템 및 패널합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서로 정렬하여 합착하는 패널합착시스템 및 패널합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입력수단으로 디스플레이 패널 표면에 부착된 터치 패널이 사용되고 있다.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별도로 제작된 후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에 부착되고,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은 이후 전자장치에 설치된다.
터치 패널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서로 부착될 때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은 최종적으로 전자장치에 장착되기 위한 최종 제품으로 제조가 완료된 것이고,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도 제조가 완료된 것이다.
따라서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회로 배선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며, 이러한 회로 배선들이 연결된 상태에서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이 합착되기 때문에 합착을 위한 두 패널의 위치 정렬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장치마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터치 패널도 다양한 크기로 제조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에 합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은 대부분이 사람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생산 원가가 높아지고, 생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자동으로 합착할 수 있도록 하는 패널합착시스템 및 패널합착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과 관련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터치 패널을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합착할 수 있도록 하는 패널합착시스템 및 패널합착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합착시스템은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공급하는 합착전 패널 공급부; 상기 패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각각 이송하는 합착전 패널 이송 로봇; 상기 합착전 패널 이송 로봇으로부터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전달받아 합착하는 패널 합착부; 상기 패널 합착부에서 합착된 패널을 이송하는 합착된 패널 이송 로봇; 상기 합착된 패널 이송로봇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합착된 패널을 검사하는 검사부; 상기 검사부에서 검사된 상기 합착된 패널을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합착전 패널 공급부는 상기 터치 패널을 공급하는 터치 패널 공급부와 상기 터치 패널 공급부와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터치 패널이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동하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착전 패널 이송로봇은 동일한 이동 경로 배치된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패널 합착부는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합착전 패널 이송로봇이 복수개의 상기 패널 합착부에 상기 터치 패널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검사부는 육안 검사부와 스캔 검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사부와 상기 반출부 사이에는 상기 검사부에서 검사된 상기 합착된 패널에 도포된 접착제를 경화하는 경화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출부에는 상기 검사부에서 검사된 상기 합착된 패널에 이상이 있는 경우와 이상이 없는 경우를 구분하여 상기 합착된 패널 중 이상이 없는 합착된 패널을 반출하는 제 1반출부와 이상이 있는 합착된 패널을 반출하는 제 2반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합착방법은 합착전 패널 공급부로부터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패널 합착부로 공급하여 합착하고, 상기 패널 합착부에서 합착된 패널을 검사부로 이송하여 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검사부에서 검사 완료된 상기 합착된 패널을 경화부로 이송하여 상기 합착된 패널들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를 경화하고, 상기 경화된 패널을 반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반출한다.
상기 합착전 패널 공급부는 상기 터치 패널을 공급하는 터치 패널 공급부와 상기 터치 패널 공급부와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터치 패널이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동하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착전 패널 공급부에서 상기 합착부로 상기 합착전 패널을 이송하는 이송로봇은 동일한 이동 경로 배치된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패널 합착부는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합착전 패널 이송로봇이 복수개의 상기 패널 합착부에 상기 터치 패널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검사부는 육안 검사부와 스캔 검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출부에는 상기 검사부에서 검사된 상기 합착된 패널에 이상이 있는 경우와 이상이 없는 경우를 구분하여 상기 합착된 패널 중 이상이 없는 합착된 패널을 반출하는 제 1반출부와 이상이 있는 합착된 패널을 반출하는 제 2반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합착시스템 및 패널합착방법은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자동으로 합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크기가 다양한 디스플레이에 터치 패널을 합착할 수 있도록 하여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부터 검사까지 일괄적인 공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합착시스템을 도시한 평면 배치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합착시스템의 패널 합착부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 합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합착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하는 패널합착시스템은 각종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에 터치 패널을 부착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최종적으로 화상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상태이고, 전자장치에 최종적으로 부착되기 전 상태이다. 터치 패널 또한 최종적으로 제조가 완료되어 디스플레이 패널과 함께 전자장치에 부착될 수 있는 상태다. 따라서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각각에 전자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연성회로기판과 같은 회로기판이 연결된 상태에서 합착 공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 중의 어느 하나를 제 1패널로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고, 터치 패널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 중의 나머지 하나를 제 2패널로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합착시스템을 도시한 평면 배치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합착시스템의 패널 합착부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합착시스템은 제 1패널(11)과 제 2패널(12)을 공급하는 합착전 패널 공급부(40)를 구비한다. 패널 공급부(40)는 제 1패널 공급부(41)과 제 2패널 공급부(42)를 구비한다. 제 1패널 공급부(41)는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제 1패널(11)을 안착시켜 공급하고, 제 2패널 공급부(42)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제 2패널(12)을 안착시켜 공급한다. 그리고 제 1패널 공급부(41)와 제 2패널 공급부(42)는 서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패널합착시스템은 합착전 패널 공급부(40)로부터 공급되는 제 1패널(11)과 제 2패널(12)을 각각 이송하는 합착전 패널 이송로봇(51)(52)으로부터 제 1패널(11)과 제 2패널(12)을 전달받아 합착하는 패널 합착부(100)(110)(120)를 구비한다.
합착전 패널 이송로봇(51)(52)은 동일한 이동 레일 시스템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된 제 1합착전 패널 이송로봇(51)과 제 2합착전 패널 이송로봇(52)을 구비한다. 그리고 각각의 패널 이송로봇(51)(52)은 로봇암과 엔드 이펙트를 구비하며, 합착전 패널 공급부(40)로부터 패널 합착부(100)(110)(120)까지 패널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패널 합착부(100)(110)(120)는 합착전 패널 이송로봇(51)(52)의 이동 경로를 따라 병렬로 배치된 3개의 패널 합착부(100)(110)(120)를 포함한다. 따라서 각각의 합착전 패널 이송로봇(51)(52)이 복수개의 패널 합착부(100)(110)(120)에 제 1패널(11) 또는 제 2패널(12)을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이 동시에 다수개가 합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패널 합착부(100)(110)(120)의 숫자는 2개 이상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합착전 패널 이송로봇(51)은 제 1패널 합착부(100)와 제 2패널 합착부(110)에 제 1패널(11)과 제 2패널(12)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고, 제 2합착전 패널 이송로봇(52)은 제 2패널 합착부(110)와 제 3패널 합착부(120)에 합착전 패널(11)(12)을 공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각각의 패널 합착부(100)(110)(120)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 합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합착부(100)는 챔버를 구비한다. 챔버는 상부 챔버(200)와 하부 챔버(300)를 포함한다. 상부 챔버(200)의 내측에는 상부 스테이지(210)가 구비된다. 상부 스테이지(210)의 하면에는 상부 스테이지(210)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제 1패널(11)이 안착되는 상부 안착 스테이지(240)가 설치된다. 상부 안착 스테이지(240)는 패널의 크기에 따라 교체 가능하다.
그리고 상부 챔버(200)의 외측 상부에는 상부 챔버(200)와 상부 스테이지(210) 그리고 상부 안착 스테이지(240)를 관통하는 상부 리프트 핀(260)이 설치된다. 상부 리프트 핀(260)은 패널을 진공 흡착할 수 있다.
상부 안착 스테이지(240)에는 복수개의 상부 점착척(250)이 설치된다. 상부 점착척(250)은 제 1패널(11)을 점착하는 점착수지와 점착수지에 부착된 제 1패널(11)을 점착수지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다아이프램을 포함한다.
또한, 상부 챔버(200)의 상부 외측에는 상부 스테이지(210)를 상부 안착 스테이지(240)와 함께 승강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상부 스테이지 승강부(220)가 구비된다. 상부 스테이지 승강부(220)는 수평 방향으로 구동하는 리니어 구동블럭(220a)을 구비한다. 이 리니어 구동블럭(220a)은 상부 스테이지(210)에 연결되어 상부 챔버(200)의 상부 외측으로 노출된 구동 지지 플레이트(211)에 설치된 경사블록(211a)의 하부면에 경사지게 적층된다.
따라서 리니어 구동블럭(220a)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수평 이동함에 따라 경사블록(211a)이 리니어 구동블록(220a)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이에 따라 구동 지지 플레이트(211)가 상부 스테이지(210)와 함께 상하로 승하강 한다. 그리고 상부 스테이지(210)의 승강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유지되도록 구동 지지 플레이트(211)를 상하 방향으로 지지하는 리니어 가이드(230)가 상부 챔버(200)의 상부에 설치된다.
한편, 상부 챔버(200)에는 복수개의 램프(270)가 설치된다. 램프(270)는 제 1패널(11)과 제 2패널(12)이 합착되었을 때 제 1패널(11)과 제 2패널(12)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의 가경화(Temporary curing)를 위하여 설치된 것이다. 이 램프(270)는 자외선 램프 또는 엘이디 램프로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챔버(300)의 내측에는 제 2패널(12)이 안착되는 하부 스테이지(310)가 구비된다. 하부 스테이지(310)는 하부 챔버(300)의 내측 공간의 일부를 점유한다. 그리고 하부 챔버(300)의 내측 중 하부 스테이지(310)의 측부에는 제 1패널(11) 또는 제 2패널(12)에 연결된 연성회로기판이 합착 공정 진행 중에 챔버(100) 내부에 노출되어 안정적으로 위치하는 회로기판 위치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 1패널(11)과 제 2패널(12)의 합착시에 제 1패널(11)의 연성회로기판은 챔버(100) 내부에 외부의 간섭 없이 안정적으로 위치한다.
하부 스테이지(310)의 상면에는 하부 스테이지(310)에 결합 가능하며 상부면에 제 2패널(12)이 안착되는 하부 안착 스테이지(320)가 설치된다. 하부 안착 스테이지(320)는 패널의 크기에 따라 교체 가능하다. 그리고 하부 챔버(300)의 하측 외부에는 하부 챔버(300)와 하부 스테이지(310) 그리고 하부 안착 스테이지(320)를 관통하는 하부 리프트 핀(340)이 설치된다.
한편, 하부 안착 스테이지(320)에는 복수개의 하부 점착척(330)이 설치된다. 하부 점착척(330)은 제 2패널(12)을 점착하는 점착수지를 포함하고, 점착수지 사이에는 패널을 흡착하는 흡착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챔버(300)의 측면 외측에는 하부 챔버(300)의 측면 외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사각틀 형태의 정렬 스테이지(360)가 구비된다.
정렬 스테이지(360)는 전후, 좌우 그리고 회전 동작이 가능한 구성으로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정렬 스테이지(360)의 하부에는 제 1방향으로 정렬 스테이지(360)가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제 1방향 가이드와 제 1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제 2방향으로 이동을 안내하는 제 2방향 가이드가 적층되어 구비되고, 하부의 제 2방향 가이드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정렬 구동부(361)를 구비한다. 이 정렬 구동부(361)는 정렬 스테이지(360)의 테두리 하부 3곳에 각각 1개씩 설치된다. 그리고 정렬 스테이지(360)의 모서리부에는 회전 가능한 축이 설치되어 복수개의 정렬 구동부(361)가 동작함에 따라 정렬 스테이지(360)가 회전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정렬 스테이지(360)에는 4개의 장공(360a)이 형성되며, 이 장공(360a)으로는 상부 챔버(200)의 승강을 위한 상부 챔버 승강부(400)의 축이 관통하여 상부 챔버(200) 측으로 연장되어 상부 챔버(200)의 테두리 부분에 결합되어 있다. 정렬 스테이지(360)에 이와 같은 장공(360a)을 형성한 이유는 정렬 스테이지(360)가 정렬을 위한 동작시 상부 챔버 승강부(400)의 축이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정렬 스테이지(360)의 내측면에는 하부 챔버(300)의 측면을 관통하여 하부 챔버(300) 내부에 위치한 하부 스테이지(310)의 측면에 결합되는 연결로드(370)가 설치된다. 이 연결로드(370)는 정렬 스테이지(360)와 하부 스테이지(310)의 정렬 동작이 동기화되도록 하여 정렬 스테이지(360)의 정렬 동작으로 하부 스테이지(310)가 정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연결로드(370)의 하부 챔버(300) 내부로 노출된 표면의 외측에는 진공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벨로우즈(380)가 설치된다. 또한 하부 챔버(300)의 외측 하부에는 패널(11)(12)의 합착을 위하여 각각의 패널(11)(12)에 형성된 얼라인 마크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350)가 설치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합착부(100)(110)(120)에서 합착된 패널(13)을 이송하는 합착된 패널 이송로봇(60)이 설치된다. 합착된 패널 이송로봇(60)은 3개의 패널 합착부(100)(110)(120)들 사이를 이동하면서 합착된 패널(13)을 패널 합착부(100)(110)(120)로부터 반출한다. 그리고 합착된 패널 이송로봇(60)에 의하여 반출된 합착된 패널(13)은 육안 검사부(71)로 이송된다. 육안 검사부(71)는 작업자가 직접 육안으로 합착된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이다. 육안 검사부(71)는 합착된 패널(13)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패널에 조명을 조사하여 합착 상태를 육안으로 정밀 검사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육안 검사부(71)에서 검사가 완료된 합착된 패널(13)은 스캔 검사부(72)로 이송된다. 스캔 검사부(7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캐닝용 카메라가 설치되어 합착된 상태를 보다 정밀하게 검사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육안 검사부(71)보다 높은 검사 정밀도로 검사를 수행한다.
그리고 스캔 검사부(72)에서 검사가 완료되고, 최종적으로 합착상태에 대한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면, 합착된 패널(13)은 경화부(73)로 이송된다. 경화부(73)는 제 1패널(11)과 제 2패널(12)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를 완전 경화시켜 최종적으로 합착이 완료되도록 한다. 그리고 경화된 패널(14)은 제 1반출부(8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육안 검사부(71) 및 스캔 검사부(72)에서 검사된 패널 중 합착 상태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는 패널은 제 2반출부(82)를 통하여 반출된다. 이 제 2반출부(82)를 통하여 반출된 이상 발견 패널(15)들은 합착전 상태로 복원된 후 재 합착 공정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검사부(71)(72)와 경화부(73) 그리고 반출부(81)(82)로 패널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패널 반출용 이송로봇(83)이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합착시스템으로 패널을 합착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합착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착전 패널 공급부(40)의 제 1패널 공급부(41)와 제 2패널 공급부(42)로부터 제 1패널(11)과 제 2패널(12)이 각각 공급된다(S100)(S110). 그리고 제 1패널(11) 또는 제 2패널(12) 중의 어느 하나의 표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 1합착전 패널 이송로봇(51)과 제 2합착전 패널 이송로봇(52) 각각의 동작 순서에 따라 제 1패널(11)과 제 2패널(12)은 각각의 패널 합착부(100)(110)(120)로 이송한다. 그리고 각각의 패널 합착부(100)(110)(120)는 전달된 패널에 대하여 합착을 진행한다(S120).
패널의 합착은 제 1패널(11)이 진입하면 상부 리프트 핀(260)이 하강하여 제 1패널(11)을 흡착한다. 그리고 상부 리프트 핀(260)은 상승하여 제 1패널(11)이 상부 점착척(250)에 점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 2패널(12)이 진입하면 하부 리프트 핀(340)이 상승하여 제 2패널(12)을 지지한 후 하강한다. 이에 따라 제 2패널(12)은 하부 점착척(330)에 점착된다. 이때 제 2패널(12)에 결합된 연성회로기판은 챔버(100) 내부 중 하부 챔버(300) 내부의 회로기판 위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상부 챔버(200)가 상부 챔버 승강부(400)에 의하여 하강한다. 상부 챔버(200)의 하강으로 상부 챔버(200)와 하부 챔버(300)는 밀착되어 챔버(100) 내부는 밀폐된다. 그리고 챔버(100) 내부에 대한 진공 펌핑이 이루어지고, 챔버(100) 내부는 진공 상태가 된다.
챔버(100) 내부가 진공 상태가 되는 동안 또는 진공 상태가 된 후 하부 스테이지(310)는 정렬 스테이지(360)에 의하여 전후, 좌우 그리고 회전 방향으로 정렬이 이루어진다. 정렬 스테이지(360)의 정렬 동작은 연결로드(370)를 통하여 하부 스테이지(310)에 전달되어 하부 스테이지(310)의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정렬시에 정렬 위치의 판단은 카메라(350)가 제 1패널(11)과 제 2패널(12)에 형성된 얼라인 마크를 촬영하여 정렬 위치를 찾게 된다. 그리고 정렬을 위한 정렬 스테이지(360)의 동작 알고리즘은 도시되지 않은 패널 합착부(100)의 제어부에서 수행하여 정렬 스테이지(360)에 설치된 정렬 구동부(361)에 정렬를 위한 신호를 전달하고, 이에 따라 정렬 구동부(361)가 설정된 값으로 동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1패널(11)과 제 2패널(12)의 정렬이 이루어지는 동안 또는 정렬이 완료 된 후 상부 스테이지(210)는 상부 스테이지 승강부(220)에 의하여 하부 스테이지(310) 측으로 하강한다. 상부 스테이지(210)의 하강은 상부 스테이지 승강부(220)가 측면 방향으로 직선 구동함에 따라 상부 스테이지 승강부(220)의 리니어 구동블럭(220a)이 함께 이동하고, 이에 따라 구동 지지 플레이트(211)의 경사블럭(211a)이 리니어 구동블럭(220a)에서 하강 슬라이딩하여 상부 스테이지(210)가 하강한다.
그리고 상부 스테이지(210)의 하강으로, 상부 스테이지(210)와 구동 지지 플레이트(211) 및 상부 스테이지(210)의 자중에 의하여 제 1패널(11)과 제 2패널(12)이 근접하여 합착되도록 한다.
한편, 합착은 구동 지지 플레이트(211)와 상부 스테이지(210)의 자중에 의하여 제 1패널(11)을 눌러줌으로써 제 1패널(11)과 제 2패널(12)의 합착이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점착척(250)의 다이아프램이 팽창하여 상부의 제 1패널(11)이 상부 안착 스테이지(240)의 상부 점착척(250)에서 분리되도록 하고, 이와 함께 상부 스테이지 승강부(220)가 원래의 방향으로 복귀함으로써 상부 스테이지(210)와 구동 지지 플레이트(211) 및 상부 안착 스테이지(240)가 상승함으로써 합착이 완료된다. 그리고 합착시에 램프(270)의 조명이 조사되어 제 1패널(11)과 제 2패널(12) 사이의 접착제가 가경화된다. 이후 합착후 패널 이송로봇(60)이 반입되어 합착된 패널을 외부로 반출시킴으로써 제 1패널(11)과 제 2패널(12)의 합착이 완료된다(S130).
이와 같이 합착이 완료되면 합착된 패널(13)들은 순차적으로 합착된 패널 이송로봇(60)에 의하여 육안 검사부(71)로 이송되고, 육안 검사부(71)에서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합착된 패널(13)을 사전 검사한다(S140). 이후 육안 검사가 완료된 합착된 패널(13)은 다시 스캔 검사부(72)로 이송로봇(60)에 의하여 이송되어 보다 정밀한 스캔 검사가 수행된다(S150).
이후 스캔 검사가 완료되면 최종적으로 제 1패널(11)과 제 2패널(12)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를 자외선으로 경화하기 위하여 검사가 완료된 합착된 패널(13)은 경화부(73)로 이송되며, 경화부(73)에서 합착된 패널(13)에 대한 경화를 수행한다(S160). 그리고 경화가 완료되면 최종적으로 패널 반출용 이송로봇(83)이 경화된 패널(14)을 제 1반출부(81)로 배출한다(S170).
한편, 육안 검사부(71)와 스캔 검사부(72)에서 이상이 있다고 판단된 패널(15)들은 다시 제 2반출부(82)로 회수되며 회수된 패널은 다시 분리된 후 재 사용여부를 확인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태를 복원하여 합착을 진행한다.
이상의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40...합착전 패널 공급부
51, 52, 60, 83...이송로봇
100, 110, 120...패널 합착부

Claims (11)

  1.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공급하는 합착전 패널 공급부;
    상기 패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각각 이송하는 합착전 패널 이송 로봇;
    상기 합착전 패널 이송 로봇으로부터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전달받아 합착하는 패널 합착부;
    상기 패널 합착부에서 합착된 패널을 이송하는 합착된 패널 이송 로봇;
    상기 합착된 패널 이송로봇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합착된 패널을 검사하는 검사부;
    상기 검사부에서 검사된 상기 합착된 패널을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부를 구비하는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합착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착전 패널 공급부는 상기 터치 패널을 공급하는 터치 패널 공급부와 상기 터치 패널 공급부와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터치 패널이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동하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 공급부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합착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착전 패널 이송로봇은 동일한 이동 경로 배치된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패널 합착부는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합착전 패널 이송로봇이 복수개의 상기 패널 합착부에 상기 터치 패널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합착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육안 검사부와 스캔 검사부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합착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와 상기 반출부 사이에는 상기 검사부에서 검사된 상기 합착된 패널에 도포된 접착제를 경화하는 경화부가 구비되는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합착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부에는 상기 검사부에서 검사된 상기 합착된 패널에 이상이 있는 경우와 이상이 없는 경우를 구분하여 상기 합착된 패널 중 이상이 없는 합착된 패널을 반출하는 제 1반출부와 이상이 있는 합착된 패널을 반출하는 제 2반출부가 구비되는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합착시스템.
  7. 합착전 패널 공급부로부터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패널 합착부로 공급하여 합착하고,
    상기 패널 합착부에서 합착된 패널을 검사부로 이송하여 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검사부에서 검사 완료된 상기 합착된 패널을 경화부로 이송하여 상기 합착된 패널들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를 경화하고,
    상기 경화된 패널을 반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합착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합착전 패널 공급부는 상기 터치 패널을 공급하는 터치 패널 공급부와 상기 터치 패널 공급부와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터치 패널이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동하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 공급부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합착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합착전 패널 공급부에서 상기 합착부로 상기 합착전 패널을 이송하는 이송로봇은 동일한 이동 경로 배치된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패널 합착부는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합착전 패널 이송로봇이 복수개의 상기 패널 합착부에 상기 터치 패널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합착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육안 검사부와 스캔 검사부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합착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부에는 상기 검사부에서 검사된 상기 합착된 패널에 이상이 있는 경우와 이상이 없는 경우를 구분하여 상기 합착된 패널 중 이상이 없는 합착된 패널을 반출하는 제 1반출부와 이상이 있는 합착된 패널을 반출하는 제 2반출부가 구비되는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합착방법.
KR1020110042664A 2011-05-04 2011-05-04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 합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널합착방법 KR101329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664A KR101329558B1 (ko) 2011-05-04 2011-05-04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 합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널합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664A KR101329558B1 (ko) 2011-05-04 2011-05-04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 합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널합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809A true KR20120124809A (ko) 2012-11-14
KR101329558B1 KR101329558B1 (ko) 2013-11-20

Family

ID=47510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664A KR101329558B1 (ko) 2011-05-04 2011-05-04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 합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널합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5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287B1 (ko) * 2015-04-08 2015-07-24 세광테크 주식회사 터치 패널용 기판 부착장치
KR20170106573A (ko) * 2016-03-11 2017-09-2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패널 합착 장치 및 방법
CN115246262A (zh) * 2021-04-26 2022-10-28 系统科枝公司 层压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955B1 (ko) * 2015-01-16 2016-07-25 (주)바론시스템 열전소자 자동 제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694B1 (ko) * 2002-06-07 2006-03-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터치패널 일체형 액정표시패널의 합착장치와 이를 이용한 터치패널 일체형 액정표시패널의 제조방법
KR100971436B1 (ko) * 2008-07-09 2010-07-2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기능성 필름 부착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287B1 (ko) * 2015-04-08 2015-07-24 세광테크 주식회사 터치 패널용 기판 부착장치
KR20170106573A (ko) * 2016-03-11 2017-09-2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패널 합착 장치 및 방법
CN115246262A (zh) * 2021-04-26 2022-10-28 系统科枝公司 层压系统
KR20220146798A (ko) * 2021-04-26 2022-11-02 (주)에스티아이 라미네이션 시스템
US11794461B2 (en) 2021-04-26 2023-10-24 Sti Co., Ltd. Lamin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9558B1 (ko)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7600B1 (ko) 기판 반송 장치 및 기판 조립 라인
TWI661505B (zh) Transfer device, transfer method, exposure device, and component manufacturing method
KR101329558B1 (ko)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 합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널합착방법
KR101177090B1 (ko) 접합 기판 제조 장치 및 접합 기판 제조 방법
JP5073102B2 (ja) 光発電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製造プロセス
KR101314217B1 (ko)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 합착장치
CN1447159A (zh) 液晶显示装置的基板粘合设备及其驱动方法
KR101297244B1 (ko)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디스펜싱장치
KR20230160756A (ko) 패널 합착 장치 및 방법
KR101771905B1 (ko) 인쇄회로기판의 교체를 위한 정합 시스템
KR20120107378A (ko)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
KR101314216B1 (ko)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하는 패널 합착장치
CN210690982U (zh) Uled屏幕基板检测/测量设备的预对位装置
JP6017131B2 (ja) 基板組立装置
KR101690560B1 (ko) 기판모듈 얼라인 보정장치
KR20100001849A (ko) 기판에 식각 영역을 만들기 위한 장치
KR101284501B1 (ko) 평판 디스플레이의 모듈 접합 장치
KR101699718B1 (ko) 듀얼 스테이지를 구비한 진공챔버 합착장치
KR101380371B1 (ko) 기판 경화시스템 및 경화방법
KR20130078808A (ko) 기판합착장치
KR100756585B1 (ko) 패널제조장치
JP4697049B2 (ja) ワーク移し替え方法、ワーク移し替え装置及びワーク移し替えシステム
KR102361243B1 (ko) 진공챔버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장치
KR101397106B1 (ko) 기판 정렬 시스템
KR102081611B1 (ko)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