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3396A - 수직 방향으로 누름가능한 조인트 및 이러한 조인트가 제공된 압력-조리기 - Google Patents

수직 방향으로 누름가능한 조인트 및 이러한 조인트가 제공된 압력-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3396A
KR20120123396A KR1020127020454A KR20127020454A KR20120123396A KR 20120123396 A KR20120123396 A KR 20120123396A KR 1020127020454 A KR1020127020454 A KR 1020127020454A KR 20127020454 A KR20127020454 A KR 20127020454A KR 20120123396 A KR20120123396 A KR 20120123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locking member
sealing gasket
g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0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4601B1 (ko
Inventor
에릭 차메로이
마이클 피에르 카티그니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20123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06Locking devices of the bayonet-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 기구(1)용 밀봉 개스킷(10)을 제공하며, 상기 조리 기구는
-뚜껑(3) 및 용기(2),
-하나 이상의 제2 잠금 부재(8) 및 하나 이상의 제1 잠금 부재(6)를 포함하고, 밀봉 개스킷(10)은 용기와 뚜껑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개스킷(10)은 뚜껑(3)이 용기(2)에 장착되는 동안 상기 밀봉 개스킷이 상측 림(7) 위에 끼워맞춤되고, 상기 뚜껑(3)과 접촉하고 제2 잠금 부재(8)가 배치되는 높이(h8) 이상의 제1 높이(h61)에 배치되고 그 뒤, 제2 잠금 부재(8)가 배치되는 높이(h8) 미만의 제2 높이(h62)에 제1 잠금 부재(6)를 보내기 위해 뚜껑(3)의 중량 하에서 하강되는 동안 상기 용기(2)와 접촉하도록 설계된다. 압력 하에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수직 방향으로 누름가능한 조인트 및 이러한 조인트가 제공된 압력-조리기{VERTICALLY DEPRESSIBLE JOINT AND PRESSURE-COOKER PROVIDED WITH ONE SUCH JOINT}
본 발명은 예컨대, 압력 조리기와 같이 스팀이 가득찬 대기의 압력 하에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기구의 일반적인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작동 시에 기구의 외측과 내측 사이에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이러한 기구 내의 제 위치에 배치되도록 설계된 밀봉 개스킷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압력 하에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기구용 밀봉 개스킷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기구는
-조리 엔클로져를 형성하기 위해 용기 상에 장착되도록 설계된 뚜껑 및 용기,
-용기 상에 뚜껑을 고정할 수 있는 잠금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수단은 용기에 고정되거나 또는 이와 일체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잠금 부재 및 뚜껑에 고정되거나 또는 이와 일체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잠금 부재를 포함하고, 제1 잠금 부재는 뚜껑이 용기 상에 상기 뚜껑을 고정하기 위해 용기 상에 배치된 후 상기 잠금 부재 아래에 계합되도록 설계되고,
밀봉 개스킷은 조리 엔클로져를 밀봉하기 위해 용기와 뚜껑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은 또한, 압력 하에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기구에 관한 것으로, 이 기구는 본 발명의 밀봉 개스킷이 장착되거나 또는 장착되기에 적합하다.
압력 하에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기구의 유형을 고려하지 않고, 기구가 조리 사이클을 통해 압력이 인가되는 동안 조리 엔클로져의 외측과 내측 사이에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특히, 탄성중합체 재료로 제조된 밀봉 개스킷을 사용하는 것으로 공지되었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립-밀봉 유형의 개스킷 또는 로프-밀봉 유형의 개스킷이 사용되며 이는 뚜껑이 기구의 용기 상에서 제 위치에 배치되는 동안 상기 개스킷이 용기에 대해 지지될 수 있고 기구를 밀봉하도록 뚜껑 내에 배치된다.
대체로, 용기 상의 제 위치에 뚜껑을 배치함에 따라 개스킷이 압축되며, 이는 밀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하다.
불행하게도, 공지된 개스킷이 일반적으로 만족스럽더라도, 개스킷은 특정 단점을 갖는다.
특정 경우에, 이러한 개스킷이 존재함에 따라 압축되는 상기 개스킷이 배치 및 잠금 작동에 대한 기계적 저항을 생성할 수 있는 한 용기 상에 뚜껑을 배치 및 잠금을 저해할 수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뚜껑을 누름으로써 하향 수직 움직임에 따라 개스킷을 누를 필요가 있으며, 상기 수직 압축력을 유지하면서 뚜껑 또는 상기 뚜껑 상에 배치된 제어 수단을 작동시킬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조우, 램프, 잠금 바,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기계적 잠금 부재가 작동되어 상기 뚜껑이 용기에 고정된다.
불행하게도, 힘을 이용한 이러한 기구의 밀폐에 따라 개스킷이 노출될 수 있고, 기구의 밀봉 및 사용자의 안전이 자연적으로 저하되도록 변형되거나 또는 조기 마모에 의해 품질이 저하되는 과도 응력에 대해 잠금 부재가 노출된다.
추가로, 뚜껑 또는 용기의 벽에 대해 상기 개스킷에 의해 인가된 마찰 및 압축되는 개스킷에 따라 기구의 사용의 편리함을 감소시키는, 용기 상의 제 위치에 배치되는 뚜껑에 대한 기계적 저항이 생성된다.
응력 하에서 이러한 밀폐는 또한 밀폐 시에, 특히, 기구가 예컨대, 작업 표면 또는 스토브탑(stovetop)과 같은 좁거나 또는 미끄러운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동안 상기 밀폐가 수행되는 경우 기구의 우발적으로 기울어지게 하고, 이의 내용물이 흘러내리게 한다.
추가로, 밀폐 동안에 개스킷의 불균등한 압축에 따라 개스킷에 대한 뚜껑의 바람직하지 못한 수평 배치가 야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잠금 부재는 바람직하지 못하게 작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종종 만족스러운 배치 이전에 뚜껑을 제 위치에 배치하는 수많은 시도를 요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단점을 해결하고 조리 엔클로져의 우수한 밀봉을 구현하면서 뚜껑이 용기 상에 특히 단순하고 직관적이며, 안전하게 배치 및 잠금될 수 있는, 압력 하에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기구용 밀봉 개스킷을 제안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히 끼워맞춤되기에 용이한 신규한 밀봉 개스킷을 제안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목적은 제조하기에 저렴하고 단순하고 내구성 있는 구조물로 형성된 신규한 밀봉 개스킷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목적은 조리 기구에 향상된 작동 안정성, 향상된 수명 및 향상된 내구성을 부여하는 신규한 밀봉 개스킷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매우 작은 노력으로도 특히 용이하고, 직관적이며 및 안전한 방식으로 밀폐될 수 있는 압력 하에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신규한 조리 기구를 제안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목적은 처리되는 동안 우수한 안전성을 제공하고, 우수한 인체공학적 특징을 제공하는 압력 하에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신규한 조리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압력 하에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기구용 밀봉 개스킷에 의해 구현되며, 상기 기구는
-조리 엔클로져를 형성하기 위해 용기 상에 장착되도록 설계된 뚜껑 및 용기,
-용기 상에 뚜껑을 고정할 수 있는 잠금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수단은 용기에 고정되거나 또는 이와 일체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잠금 부재 및 뚜껑에 고정되거나 또는 이와 일체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잠금 부재를 포함하고, 제1 잠금 부재는 뚜껑이 용기 상에 상기 뚜껑을 고정하기 위해 용기 상에 배치된 후 상기 잠금 부재 아래에 계합되도록 설계되고,
밀봉 개스킷은 조리 엔클로져를 밀봉하기 위해 용기와 뚜껑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개스킷은 용기의 상측 림 위에 끼워맞춤되도록 배열되고 뚜껑이 용기에 장착되는 동안 상기 밀봉 개스킷이 우선적으로 상기 뚜껑과 접촉하고 제2 잠금 부재가 배치되는 높이 이상의 제1 높이에 배치되고 그 뒤, 제2 잠금 부재가 배치되는 높이 미만의 제2 높이에 제1 잠금 부재를 보내기 위해 뚜껑의 중량 하에서 하강되는 동안 상기 용기와 접촉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본 발명의 밀봉 개스킷이 제공되는, 압력 하에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기구에 의해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밀봉 개스킷의 변형 실시예의 3차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밀봉 개스킷의 하측으로부터의 3차원도.
도 3은 밀봉 개스킷이 상기 용기와 접촉하도록 뚜껑이 용기와 장착될 때, 본 발명의 압력 조리기의 변형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자체 중량 하에서 배치되도록, 사용자에 의해 구속해제되고, 용기 상에 뚜껑이 배치 시에 도 3에 도시된 기구의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잠금 부재가 뚜껑을 용기 상에서 잠그기 위해 계합된 후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조리 기구의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압력이 조리 엔클로져 내에서 형성되고 뚜껑이 용기 상에서 잠겨진 후,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기구의 단면도.
도 7, 도 8, 도 9 및 도 10은 기구 내에 압력을 형성하고, 잠금 부재를 계합하거나 또는 분리시키며, 장착 단계를 수반하는 베이오닛-피팅 유형의 잠금 부재가 제공된, 본 발명의 조리 기구의 변형 실시예의 작동을 도시하는 단면의 예시적인 측면도.
본 발명은, 압력 하에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기구(cooking utensil, 1), 바람직하게는 가정용 압력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리 기구는 용기(vessel, 2) 및 용기(2) 상에 장착되도록 설계되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조리 엔클로져(cooking enclosure, 4)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용기의 상측 림(top rim, 7) 상에 배치되도록 설계되는 뚜껑(lid, 3)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리함을 위해, 하기에서는 조리 기구(1)가 평면 및 수평인 작업 표면(P) 상에 배치되고, 뚜껑(3)은 수직 축(ZZ')을 따라 용기(2)와 일치되도록 실질적으로 포개진다.
뚜껑(3)은 하강된 플랭크(3B)에 의해 뚜껑(3)의 외측을 향하여 이어지는, 연속적으로 반경방향의 외측을 향하는 볼록하고 상승된 중앙 구역이 제공될 수 있으며, 하강된 플랭크는 자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수직인 하강된 환형 변부(3D)에 의해 자체적으로 이어지는 환형의 평평한 부분(3C)에 뒤이어 형성되고, 상기 환형 변부는 도 3 내지 도 6에 대응하는 변형 실시예에서 적용 시에 내측을 향하여 감긴 단부 세그먼트(3E)에 의해 말단을 이룬다.
자연히, 뚜껑(3)은 임의의 직경 또는 임의의 그 외의 다른 실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즉, 도 7 내지 도 10에 대응하는 변형 실시예에 적용된 바와 같이 직접적으로 환형의 평평한 부분(3C)과 일치되고 하강된 플랭크(3B) 없이 비-볼록 중앙 구역을 갖는다.
용기(2)의 상측 림(7)은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상측 단부로부터 감겨지거나 또는 스탬핑된 하강된 변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상측 림(7)에 의해 형성된 접시형 레지(dished ledge)는 실질적으로 수평일 수 있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내측을 향하여 다소 기울어질 수 있다.
뚜껑과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강성 재료, 선호적으로, 압력 조리의 응력과 열을 견디기에 적합할 수 있는 금속으로 제조된다.
공지된 방식으로, 기구(1)는 용기 상에 뚜껑을 고정할 수 있는, 더욱 구체적으로 뚜껑과 용기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특히 조리 엔클로져(4)가 이의 작동 압력 상태에 있을 때 뚜껑이 뽑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수단(5)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잠금 수단(5)은 뚜껑(3)에 고정되거나 또는 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잠금 부재(6) 및 용기(2)에 고정되거나 또는 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잠금 부재(8)를 포함하고, 제1 잠금 부재(6)는 상기 뚜껑을 상기 용기에 고정시키기 위해 뚜껑(3)이 용기(2) 상에 배치된 후 제2 잠금 부재(8) 아래에서 계합되도록(engage)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조리 기구(1)는 복수의 제1 잠금 부재(6) 및 뚜껑이 상기 용기에 대해 안정적인 방식으로 균형이 잡히도록 체결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용기의 주변 주위에 및 뚜껑의 주변 주위에 각각 바람직하게는 균일하게 분포되는 복수의 대응하는 제2 고정 부재(8)를 갖는다.
상기 잠금 수단(5)은 용기(2)에 대해 뚜껑(3)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수행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제2 잠금 부재(8)의 하측 부분에 대해 계합되기에 적합한 부분을 갖는 제1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한, 본 발명에 대한 제한 사항으로 구성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3 내지 도 6에 대응하는 변형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 수단(5)은 바람직하게는 뚜껑(3) 상의 반경방향 부품과 함께 이동하도록 장착되고 이에 직경방향으로 마주보는 2개의 조우(jaw)를 포함하는 조우의 시스템에 의해 형성되며, 제1 잠금 수단은 조우(6)에 대응하고 제2 잠금 부재(8)는 용기의 상측 림(7)에 대응한다.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 도 7, 도 8, 도 9 및 도 10에 도식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수단(5)은 베어오닛-끼워맞춤 유형(bayonet-fitting type)이고, 제1 잠금 부재(6)는 복수의 뚜껑 램프(lid ramp)에 의해 형성되는 반면 제2 잠금 부재(8)는 복수의 대응하는 용기 램프(vessel ramp)에 의해 형성된다.
자연히, 그 외의 다른 잠금 수단(5), 예를 들어, 잠금 바 또는 세그먼트를 갖는 잠금 수단 또는 용기의 변부에 제공된 아일릿(eyelet)을 통해 계합되도록 설계되고 뚜껑에 고정되거나 또는 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반경방향 래칫을 포함하는 임의의 그 외의 다른 균등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리 기구(1)는
- 조우(100)를 갖는 잠금 수단(5) - 제1 잠금 부재(6)는 조우(100)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하측 변부(102)의 상측 면(101)에 의해 형성되고 제2 잠금 부재(8)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목적으로 제공된 램프에 의해 또는 용기 림(7)의 하측 면(103)에 의해 형성됨 - 이 제공되거나, 또는
- 베이오닛-끼워맞춤 잠금 수단 - 제1 잠금 부재(6)는 탭(201) 또는 뚜껑 램프의 상측 면(200)에 의해 형성되고, 제2 잠금 부재(8)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램프(203)의 하측 면(202)에 의해 형성됨 - 이 제공되거나, 또는
- 잠금 바(도시되지 않음)를 갖는 잠금 수단(5) - 제1 잠금 부재(6)는 잠금 바의 각각의 단부의 상측 면에 의해 형성되고 제2 잠금 부재(8)는 잠금 바의 단부가 계합될 수 있는 체결 러그의 하측 면에 의해 형성됨 - 이 제공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조리 기구(1)는 정상 작동 상태 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조리 엔클로져(4)가 1 킬로파스칼(kPa) 내지 200 kPa 범위의 과도 압력(즉, 주변보다 높은 압력) 대략 100 °C 내지 135 °C 범위의 온도의 스팁이 충전될 때 뚜껑(3)과 용기(2)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계되는 밀봉 개스킷(10)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에 따라서, 밀봉 개스킷(10)은 뚜껑(3)이 용기(2)와 도킹할 때 상기 밀봉 개스킷이 우선적으로 상기 뚜껑(3)과 동시에 접촉하고,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잠금 부재(8)가 배치되는 높이(h8) 이상의 제1 높이(h61)에 제1 잠금 부재(6)가 배치될 때 상기 뚜껑(3)과 도킹하며, 그 뒤 제2 잠금 부재(8)가 배치되는 높이(h8) 미만의 높이(h62)로 제1 잠금 부재(6)를 보내기에 충분한 뚜껑(3)의 중량 하에서 낮춰지도록 설계된다.
용어 "높이"는 플로어에 부착된 고정 기준으로부터 당해 요소에 대한 거리, 더 구체적으로 용기(2A)의 바닥이 배치되는 작업 표면(P)과 요소 사이의 수직 축(ZZ')을 따라 측정된 거리를 의미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밀봉 개스킷(10)은 우선 단지 이에 대한 중량의 작용을 인가하는 뚜껑(3)과 협력하고, 둘째로 상기 뚜껑의 낙하에 대항하는 보유 부속물을 형성하는 용기(2)와 협력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배열 및 치수가 형성되며, 상기 밀봉 개스킷은 제1 잠금 부재(6)를 충격(jolting) 또는 마찰 없이 제2 잠금 부재(8) 하에서 삽입되거나 또는 계합되도록 하는 수직 작동 간격(j)으로 제2 잠금 부재(8)에 대해 제1 잠금 부재(6)를 자동으로 배치시킨다.
따라서, 단지 용기(2) 상에 뚜껑(3)을 배치시키고 상기 뚜껑을 분리시킴으로써, 그 후 이는 잠금 수단(5)을 구동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수직으로 배치되고, 특히 임의의 강제 없이 거의 임의의 저항 없이 리셉터클을 폐쇄하기 위해 제2 잠금 부재(8)에 대한 제1 잠금 부재(6)의 특정 이동이 자유롭게 수행되며, 이에 따라 기구(1)의 사용이 용이해지고 이는 사용하기에 더욱 안전해진다.
따라서, 특히, 사용자는 뚜껑에 임의의 추가 하향 수직 압력을 가하지 않고 잠금 수단(5)을 구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에 초과 플래트닝 응력(flattening stress)을 가함으로써 개스킷의 손상이 방지되고, 또한 조리 기구(1)가 부적절하게 작동되는 위험성, 특히 조리 기구가 뒤집어지는 위험성이 제한된다.
추가로, 기구(1) 및 개스킷(10)에 대한 이러한 설계에 따라 뚜껑이 용기 상에 배치될 때 뚜껑(3)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트림 내의 임의의 작은 변경을 주의할 필요 없이 용기 및 뚜껑의 주변에서 잠금 부재(6, 8)의 개수 및 분포를 고려하지 않고 선택적으로 사용자는 제1 잠금 부재(6) 모두를 제2 잠금 부재(8) 아래에 계합하고 적절한 방식으로 직접 배치하는 것이 보장된다.
잠금 수단이 기구 주위에 분포될 때, 밀봉 개스킷(10)에 따라 모든 제1 잠금 부재(6)가 각각의 제2 잠금 부재(8) 아래에서 동시에 하향 압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밀봉 개스킷(10)의 변형 실시예는 특히, 도 1 및 도 2에 도시되고, 기구(1) 내에 밀봉 개스킷을 배치하는 단계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봉 개스킷은 용기의 상측 림(7)에 걸쳐서 끼워맞춤되도록, 즉 용기의 외측과 용기의 내측 사이에서 상기 상측 림(7)에 걸치도록 배열되고, 이에 따라 밀봉 개스킷의 안정성이 향상되고, 이는 용기 상에서 뚜껑을 자동적으로 중심에 위치하는데 기여한다.
이를 위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개스킷(10)은 바람직하게는 주변 힐(peripheral heel, 11)이 제공될 수 있고, 이 주변 힐은 바람직하게는 뚜껑(3), 더 구체적으로 뚜껑(3)이 용기(2) 상의 중심에 배치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하강된 변부(3D)의 횡방향 내측 면과 용기 림(7)의 횡방향 외측 부분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계되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의 센터링 돌출부(centering projection, 12)에 의해 연장될 수 있다.
추가로, 기구(1)는 바람직하게는 뚜껑이 용기로부터 분리될 때 개스킷이 뚜껑(3) 내에 보유되고 장착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환형의 평평한 부분(3C)은 바람직하게는 밀봉 개스킷(10), 더욱 구체적으로 이의 힐(11)이 수용되는 환형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감겨진 단부 세그먼트(3E) 및 하강된 변부(3D)와 협력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개스킷(10)은 용기(2)와 뚜껑(3)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개재되도록, 더욱 구체적으로 뚜껑(3)의 중량 하에서 압착 또는 평평해짐으로써 변형되기에 적합한 일종의 탄성 스페이서(resilient spacer)를 형성하기 위해 밀봉 개스킷의 상부에 놓이는 환형의 평평한 부분(3)과 이를 보유하는 용기 상측 림(7)의 상측 단부 사이에 죄여지도록(nip) 설계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밀봉 개스킷(10)은 바람직하게는 변형에 의해 개스킷(10)이 뚜껑(3)의 중량 하에서 압축될 수 있고, 힐(11)로부터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가요성 제1 가장자리(13)를 갖는다.
즉,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상측 림(7)과 접촉하도록 배열되는 상기 제1 가장자리(13)는 뚜껑(3)의 중량이 인가될 때 개스킷(10)이 이의 개재 치수(H)가 감소되기에 필요한 변형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대부분, 또는 모두를 흡수하기에 충분하도록 설계되며, 이에 따라 제1 잠금 부재(6)는 제2 잠금 부재(8) 아래를 이동할 수 있다.
용어 "개재 치수(H)"는 밀봉 개스킷(10)이 용기(2)의 상측 림(7)에 더 근접해지는 뚜껑(3)에 마주보는 방해물의 수직 크기, 더 구체적으로, 이 위치에서 상기 개스킷의 명확한 두께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뚜껑(3)의 환형의 평평한 부분(3C)과 용기(7)의 상측 림 사이의 이격 거리를 의미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스킷의 수직 압축은 만곡되는 제1 가장자리(lip, 13)에 의한 뚜껑의 중량의 영향 하에서 동시에 수행된다.
특히 선호되는 방식으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제1 가장자리(13)는 개스킷(10)의 내측을 향하여 주변 힐(11)로부터 돌출되는 가요성 스커트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1 가장자리(13)는 자유 단부(15) 및 힐(11)에 연결하는 루트(14) 사이의 내측을 향하는 반경방향 신장부의 하나 이상의 부품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루트(14)는 용기(2)에 대해 탄성적으로 뚜껑(3)을 매달리게 하는 스프링 블레이드로서 기능을 하도록 가요성 스커트가 힌지연결되는 힌지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밀봉 개스킷(10)은 또한 실질적으로 원형 형태로 형성되고, 이의 다양한 부분 및 특히 힐(11) 및 제1 가장자리(13)가 바람직하게는 수직 축(ZZ') 주위에서 실질적으로 원형의 대칭 구조로 형성된다.
자연적으로, 본 발명은 조리 기구(1)의 임의의 특정 형태, 및 더욱 구체적으로 용기 림(7)의 임의의 특정 형태와 일치될 수 있는 개스킷의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특히 실질적으로 타원형, 정사각형, 또는 임의의 그 외의 다른 적합한 유형인 일반적으로 기하학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스커트(13)는 조리 기구, 바람직하게는 용기(2)의 전체 상측 주변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환형의 밀봉된 접촉 구역을 형성하는 연속적인 탄성 링의 형태로 용기(2)와 접촉하고, 이에 따라, 필요한 경우 기구(1)의 제조 또는 조립 오차로 인해 개스킷(10)의 위치설정의 임의의 오프셋 또는 용기 림(7)의 표면 상태에 대한 결함을 보상함으로써 조리 엔클로져(4)에 대한 우수한 밀봉을 보장할 수 있다.
자연적으로, 당업자는 제1 잠금 부재(6)가 뚜껑(3)의 중량의 함수로서 제2 잠금 부재(8)에 의해 형성된 수직 임계점을 교차하기에(cross) 필요한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개스킷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재료의 함수로서 제1 가장자리(13)의 두께(e)를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께(e)는 1 밀리미터(mm) 내지 3 mm의 범위에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1.8 mm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가장자리(13)는 이의 루트(14)로부터 내측 자유 단부(15)까지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e)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가장자리(13)는 이의 루트(14)로부터 자유 단부(15)까지 실질적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고,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평면형이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상호 평행한 상측 및 하측 면이 형성된다.
추가로, 루트(14)와 이의 마주보는 자유 단부(15) 사이에서 측정 시에, 상기 제1 가장자리(13)의 길이(L)는 특히 뚜껑(3)과 용기(2)의 상대적인 치수, 더욱 구체적으로 주변 림(3A) 또는 용기 림(7)의 상대적인 치수와 또한 밀봉 개스킷(10)에 인가되는 탄성의 함수로서 측정된다.
예시로서, 특히 전술된 범위의 두께의 경우, 상기 길이(L)는 5 mm 내지 15 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13 mm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개스킷(10)이 정지 시에, 제1 가장자리(13)는 자체적으로 작업 표면(P)에 대해 평행한 개스킷의 수평 평면(P1)에 대해 20° 내지 5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35°인 각도(α)로 도 1 및 도 3 내지 도 6에서 하향 만곡되는 실질적으로 평면 구조물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개스킷(10)은 0이 아닌 각도(α), 즉 인가 시에, 즉 기구가 압축되기에 앞서 뚜껑의 중량에 가해질 때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10° 내지 30°의 범위에 있는 개스킷의 수평 평면(P1)에 대해 제1 가장자리(13)의 편향을 유지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치수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는 우선적으로 용기 림(7)에 도달 시에 제1 가장자리(13)에 스프링 작용을 인가하고, 또한 상기 제1 가장자리(13)는 상기 제1 가장자리(13)의 하측 표면과 상기 림이 접촉 시에 용기 림(7)이 수용되는 실질적으로 벌어진 섹션의 간격 구역(clearance zone, 16)을 형성하기 위해 센터링 돌출부(12) 및 힐(11)과 협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따라서, 개스킷(10)은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U-형 또는 V-형 요홈과 같이 하측을 향하여 개방되는 환형 요홈의 형태인 셋백(setback)을 형성하는 간격 구역(16)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셋백의 중공 내로 용기의 상측 림(7)이 침투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격 구역(16)은 밀봉 개스킷(10), 이에 따라 뚜껑(3)에 대해 자가-센터링 특성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상기 뚜껑은 특히 안정적이고 정확하고 재현가능한 방식으로 상측 림(7)을 실질적으로 덮는 동안 용기에 걸쳐서 끼워맞춤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배열에 따라 자동적으로 및 즉시 뚜껑(3)은 중심에 배치되고, 개스킷(10)과 상기 뚜껑(3)은 용기(2)에 대해 가로방향의 측면으로 특정 정도로 보유되고, 트림은 뚜껑에 대해 형성되며 각을 이루어 고정되고(핀칭 및 롤 내에서), 이 트림은 상기 뚜껑을 잠그기에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뚜껑(3)은 대략 10 뉴턴(N) 내지 30 N 범위의 중량에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1 킬로그램(kg) 내지 3 kg의 범위인 매스(mass)를 갖는다. 자연적으로, 이들 값은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는 원하는 용도 및 용량에 따라 개스킷(10) 및 조리 기구(1)의 임의의 그 외의 다른 요소의 치수를 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개스킷(10)에 의해 허여된 작동 수직 스트로크(working vertical stroke, C), 즉 밀봉 개스킷(10)이 실질적으로 정지된 것으로 밝혀질 때 제1 잠금 부재(6)가 배치되는 제1 높이(h61)와 밀봉 개스킷(10)이 단지 뚜껑(3)의 중량의 응력에만 노출 시에 상기 제1 잠금 부재(6)가 배치되는 제2 높이(h62) 사이의 차이는 실질적으로 2 mm 내지 8 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5.5 mm이다.
바람직하게는, 개스킷(10)으로부터 야기된 작업 간격(j)이 하향 압축되고, 더 구체적으로 대응하는 제2 잠금 부재(8)의 하측 지지 면과 제1 잠금 부재(6)의 상측 지지 면 사이의 최소 수직 거리는 실질적으로 1 mm 내지 3 mm이다.
추가로, 상기 밀봉 개스킷(10)에 의해 허여된 수직 스트로크(C)는 바람직하게는 수직 방향으로 하향 압축되는 개스킷의 비율,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스킷이 뚜껑의 중량 하에서 하향 압축될 때 상기 개스킷의 개재 치수(H)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스킷이 정지될 때 동일한 개재 치수(H) 사이의 비율에 대응하고, 이 비율은 0.50 내지 0.8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0.65(즉, 약 1/3 하향 압축)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밀봉 개스킷(10)은 제1 가장자리의 수직 변형 강성보다 큰 수직 변형 강성, 즉 상기 제1 가장자리의 수직 강성보다 큰 현저한 수직 강성을 가지며, 제1 가장자리(13)와 같이 동일한 힐(11)로부터 돌출되는 제2 가장자리(20)가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가장자리는 개스킷을 조작가능하게 하향 압축시킬 수 있는 단일의 변형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가장자리(20)는 바람직하게는 단부 비드(end bead, 21)에서 뚜껑(3)의 환형 평평한 부분(3C)에 대해 지지되도록 설계된 상측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가장자리(20)는 개스킷이 실질적으로 분기하는 V-형 단면을 갖도록 제1 가장자리(13)에 대해 실질적으로 마주보게 장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스킷(10)은 바람직하게는 제1 가장자리보다 짧고 제1 가장자리(13) 위에 포개어 배치되는 더 강성의 제2 가장자리(20) 및 가요성 제1 가장자리(13)로 구성된 실질적으로 비대칭의 구조물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이 비대칭 구조물에 따라 개스킷은, 뚜껑 내에서 올바르게 또는 바람직하지 못하게 장착되는지에 따라, 특히 압축, 이에 따라 바람직하지 못한 방식으로 장착 시에 상당히 더 커지는 용기 상에 수직 방향으로 가해지는 뚜껑에 대한 저항을 갖는 한, 상이하게 거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의 제2 뚜껑(20)은 적절히 정상적으로 작동되듯이 올바르게 장착 시보다 용기의 상측 림(7)에 대해 지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밀봉 개스킷(10)을 올바르지 못한 방식으로 장착한다면, 클로져 상에서 압력 조리기의 비정상적인 거동에 따라 상기 개스킷을 빼내어 적절한 위치로 되돌릴 필요가 있는지가 사용자에서 알려진다.
특히 선호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밀봉 개스킷(10)은 탄성중합체 재료,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의 부분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조리 기구(1)의 작동은 우선적으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1 변형 실시예에 따라 하기에 기술되며, 제1 변형 실시예에서 조우(jaw)를 갖는 잠금 수단이 제공되고, 둘째로 도 7 내지 도 10에 대응되는 제2 변형 실시예에서 베이오닛 피팅을 갖는 잠금 시스템이 제공된다.
우선, 용기(2)는 작동 표면(P)에 배치되고, 뚜껑(3)은 분리되고 밀봉 개스킷(10)과 끼워맞춤되며, 이 개스킷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 내의 환형 채널 내에 삽입되고, 힐(11)의 후방은 상측 가장자리(20)의 비드(21)가 환형의 평평한 부분(3C)에 대해 지지되는 동안 하강된 변부(3D)에 대해 지지되고, 이 평평한 부분은 상기 개스킷(10)에 대해 접하는 수직 보유 받침을 포함하는 숄더를 형성한다.
그 뒤, 사용자는 뚜껑(3)을 파지하고 이 뚜껑을 실질적으로 수직의 하향 접근 이동에 따라 용기(2) 상에 장착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가장자리(13)가 용기의 상측 림(7)과 접촉할 때까지 뚜껑을 전진시키고, 이에 따라 개스킷은 실질적으로 응력이 가해지지 않고,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해지지 않고 용기 및 뚜껑 모두와 접촉한다.
뚜껑이 사용자에 의해 보유되는 한, 개스킷(10)은 실질적으로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정지 형태(rest shape)로 유지되고, 제1 잠금 부재(6) 및 더 구체적으로 조우(102)의 상측 면(101) 또는 뚜껑 램프(201)의 상측 면(200)은 제2 잠금 부재(8)가 배치되는 높이 이상의 제1 높이(h61)에서 자체적으로 밝견되며, 이 부재는 도 7에 도시된 용기 램프(203)의 하측 면(202) 또는 도 3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용기 림(7)의 하측 면(103)이다.
조리 엔클로져(4)는 바람직하게는 제1 가장자리(13)가 실질적으로 환형의 밀봉 밴드를 형성함으로써 용기 상측 림(7)의 내측 면에 대해 배치된다.
따라서, 특히, 뚜껑의 유도 이용 및 밀봉의 형성은 상기 뚜껑의 배치를 방해하지 않고 뚜껑(3)이 용기(2) 상으로 하향 이동 시에 수행될 수 있다. 그 뒤, 밀봉 및 유도는 또한 하향 압축되는 개스킷(10)에 의해 보강될 수 있다. 따라서, 기구(1)의 폐쇄는 특히 신뢰성 있고, 재현가능하며 직관적이다.
추가로, 개스킷(10)은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상측 림(7)과 뚜껑(2)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버퍼 패드(buffer pad)를 형성할 수 있다.
용기와의 초기 접촉 위치에서, 사용자가 뚜껑을 보유하는 한, 상기 사용자는 잠금 수단(5)이 직접 폐쇄되도록 할 수 없으며, 이는 제2 잠금 부재(8)가 제1 잠금 부재(6)의 대응하는 이동에 대한 기계적 장애물(obstacle)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그 뒤, 뚜껑이 밀봉 개스킷(1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하향 이동을 지속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뚜껑을 분리하는 것이 충분하고, 이는 뚜껑 자체가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 위에서 "부유"하는 방식으로 자유롭게 매달리는 것으로 보인다.
뚜껑(3)의 중량을 보상하는 것을 중단함으로써, 사용자는 단지 이의 중량으로 인해 상기 뚜껑이 밀봉 개스킷(10)에 대해 고유 압축 응력을 가하도록 하고, 이 응력은 실질적으로 사전정해지고 재생가능하며, 이에 따라 동시에 상기 개스킷은 탄성적으로 하향 압축되고, 더 구체적으로 제1 가장자리(13)는 대부분 탄성적으로 하향 압축된다.
개스킷의 이 하강은 용기(2)를 향한 뚜껑(3)의 제어된 움직임 또는 심지어 실질적으로 수직 하향 움직임(F1)에 따라 용기(2) 내로 침투, 즉 용기(2A)의 하측에 더 근접하게 이동되는 것을 수반하며, 이에 따라 상기 뚜껑(3)에 고정되거나 또는 이와 일체 구성되는 제1 잠금 부재(6)가 하향 이동되어 제1 잠금 부재가 배치되는 높이(h61)가 제1 높이(h61) 미만, 즉 제2 잠금 부재(8)가 배치되는 높이(h8) 미만인 제2 높이(h62)에 도달될 때까지 감소되고, 상기 제2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높이(hs)에서 정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뚜껑(3)에 대한 개스킷(10)의 작용에 의해, 제1 잠금 부재(6)는 바람직하게는 제2 잠금 부재(8)에 의해 형성된 수직 임계점을 교차하며, 이에 따라 이는 상기 제2 잠금 부재(8)에 의해 형성된 장애물을 둘러싸는 상태, 더 구체적으로 하부에 계합될 수 있는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개스킷에 의해 허여된 작동 스트로크(C) 모두가 이의 루트(14) 주위에서 탄성적으로 편향되는 제1 가장자리(13)에 의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이 편향은 각도(α), 이에 따라 뚜껑(3)의 환형의 평평한 부분(3C)과 용기의 상측 림(7)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기 위해 압축가능한 웨지(wedge) 또는 심(shim)의 방식으로 개스킷이 작용하는 개재 치수(H)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킨다.
특히 선호되는 방식으로, 밀봉 개스킷(10)은 또한 용기 상측 림(7)의 측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시에 계합되기 때문에 용기 상에서 뚜껑(3)을 중심에 배치시키는 것을 도우며, 제1 가장자리(13)는 상측 림(7) 상에서 미끄러짐으로써 용기(2) 내로 침투되는 침투 원뿔대를 형성하고, 센터링 돌출부(12)가 상기 상측 림(7) 외측에 있는 동안 상기 림(7)은 바람직하게는 점진적으로 이러한 목적으로 제공된 간격 구역(16) 내로 들어간다.
바람직하게는, 이 센터링 현상은 상측 림(7)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내측을 향하여 완만히 경사지는 방식으로 기울어질 때 강화될 수 있다.
추가로, 컴팩트한 밀봉 개스킷(10) 내에서, 자연적으로 및 동시에 뚜껑의 중량 하에서 상기 개스킷을 수직 방향으로 압축시킬 수 있는, 누름가능한 구조물 및 센터링 수단의 조합에 따라 용기(2) 및 뚜껑(3)의 주연부에 걸쳐서 분포된 모든 잠금 수단(6, 8)이 적절히 배치된다.
따라서, 뚜껑이 적합한 높이와 실질적인 수준에 있는 상태에서 각각의 제1 잠금 부재가 이에 대응하는 제1 잠금 부재 아래에 사전배치되고 이에 따라 폐쇄 제어부를 작동시키기 전 사용자가 각각의 쌍의 제1 및 제2 잠금 부재(6, 8)를 차례로 체크할 필요가 없도록 뚜껑(3)이 자동적으로 배치되고 잠금 수단(5)을 작동하기에 적합하게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균형이 유지된다.
뚜껑이 분리되고 하강된 위치에 배치되는 밀봉 개스킷(10)을 완만히 압축하면, 사용자는 그 뒤 잠금 수단(5)을 조작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이 잠금 수단은 이의 폐쇄 움직임(F2)이 수행되어 이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개방 상태로부터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폐쇄 상태로 된다.
상황에 따라, 이 작업은 조우(102)를 서로를 향해 실질적으로 수평의 내측 움직임에 따라 이동시키고,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제어 노브에 의해 병진운동시키거나 또는 뚜껑을 핸들에 의해 이의 수직 축(ZZ') 주위에서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 뚜껑 램프(20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움직임에 의해 이의 용기 램프(203) 내로 보내진다.
모든 상황에서, 제2 잠금 부재(8)에 대한 제1 잠금 부재(6)의 사전-위치설정에 따라 상기 제1 잠금 부재(6)는 제2 잠금 부재(8)에 의해 방해되지 않고 이동할 수 있으며(F2), 매달린 뚜껑(3)이 생성돈 작동 간격(j)을 갖기 때문에 상기 제1 잠금 부재(6)는 실질적으로 포개진 방식으로 상기 제2 잠금 수단 아래에서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리 기수의 잠금 수단(5)은, 우선적으로, 사용자가 뚜껑(3)을 압축하고 제1 잠금 부재(6)를 작동시키기 위해, 더 구체적으로 용기(2) 상에 배치되는 뚜껑(3)에 의해 전술된 조우를 스냅 방식으로 닫기 위해 작동 간격(j)이 필요하기 때문에 뚜껑을 추가로 하향 가압할 필요 없이, 둘째로 제1 잠금 부재(6)를 상기 제2 잠금 부재(8)와 접촉시킬 필요 없이,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잠금 부재(6)가 이동하는 동안 상기 잠금 부재(6)가 개스킷(10) 및/또는 용기(3)에 대해 제2 잠금 부재(8)에 대해 임의의 마찰 또는 응력을 가하지 않고, 개방 및 폐쇄를 위해 작동될 수 있다.
그 뒤, 사용자는 열 공급원 상에 기구(1)를 배치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리 엔클로져(4) 내에 압력이 형성된다.
현저하게, 이러한 동안, 뚜껑(3)은 상기 압력의 작용 하에서 다고 들어올려질 수 있으며, 제1 잠금 부재(6)가 제2 잠금 부재(8) 아래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초기에 작동 간격(j)을 갖는다.
따라서,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잠금 부재는 서로 더 근접하게 이동되어 서로 접촉하고, 그 뒤, 제2 잠금 부재(8)는 제1 잠금 부재(6)에 대한 받침으로서 기능을 하고, 이에 따라 뚜껑(3)이 용기에 대해 확고히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그 뒤, 밀봉 개스킷(10)은 변형되어 하강된 형상으로부터 중간 형상으로 변화하고, 부분적인 이동에 의해 조리 엔클로져(4)가 밀봉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뚜껑(3)의 상승이 수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초기 작동 간격(j)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스트로크에 걸쳐 뚜껑(3)의 상향 수직 움직임(F3)은 제1 가장자리(10)를 만곡시키는 응력의 일부분을 해제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가장자리는 뚜껑이 구속해제시에 작는 각도보다 상당히 크고 뚜껑이 배치 시의 각도보다 상당히 작은 각도(α)로 탄성적으로 복원된다.
조리 단계 동안, 따라서 제1 잠금 수단(6)은 바람직하게는 제1 높이와 제2 높이 사이, 바람직하게는 제2 잠금 부재(8)가 배치되는 높이(h8)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간의 제3 높이(h63)를 갖는다.
또한, 뚜껑의 중량의 작용 하에서 그 뒤 내부 압력의 작용 하에서 이의 교대 만곡 및 펼침(unflex) 동안, 제1 가장자리(13)는 용기의 상측 림(7)과 함께 형성되는 밀봉된 접촉 구역의 반경방향 위치를 상당히 변화시키고, 이 림은 상측 가장자리(13)의 하측 면을 따라 구르고, 동시에 상기 가장자리가 곧게 배치됨에 따라 용기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접촉 구역이 이동하고 동시에 상기 가장자리가 기울어짐에 따라 용기의 중심을 향하여 상기 접촉 구역이 이동한다.
조리가 끝날 때, 기구는 뚜껑이 조리 엔클로져의 내부 압력에 의해 더 이상 보유되지 않은 상태에서 냉각되고 및/또는 이의 스팀이 비워지며, 상기 뚜껑은 재차 도 4, 도 5, 도 8 및 도 9에서의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하향 압축된다. 사용자는 그 뒤 잠금 수단을 조작하여 이 잠금 수단은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고 뚜껑(3)이 용기(2)로부터 분리된다.
자연적으로,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넘지 않고 개스킷(10)은 뚜껑(3) 이외에 용기(2) 내에 영구적으로 수용되고 및/또는 가요성 제1 뚜껑(13)은 상측 위치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밀봉 개스킷(10)에 따라 사용하기에 용이하고 특히 직관적인 특성, 우수한 인체공학적 특징 및 예견가능하고 재현가능한 거동이 조리 기구(1)에 부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뚜껑을 대략 용기 상에 배치시키는 것으로 족하고, 상기 뚜껑은 바람직하게는 적절히 중심에 배치되며, 모든 잠금 부재는 바람직하게 사전-배치되며, 최종적으로 조리 엔클로져(4)가 밀봉된다.
추가로, 전술된 구조적 장점에 따라 사용자는 기구의 손상에 대한 위험성, 이의 밀봉 저하, 게다가 개방 및 폐쇄 작업 동안의 티핑(tipping)을 야기하는, 개스킷 또는 잠금 수단 상에서의 과도한 응력을 가하는 것이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리 기구(1)의 작동 안전성 및 수명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압력 조리기용 개스킷 및 압력 조리기를 제조 및 설계하는데 산업상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압력 하에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기구(1)용 밀봉 개스킷(10)으로서,
    -조리 엔클로져(4)를 형성하기 위해 용기 상에 장착되도록 설계된 뚜껑(3) 및 용기(2),
    -용기 상에 뚜껑을 고정할 수 있는 잠금 수단(5)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수단은 용기에 고정되거나 또는 이와 일체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잠금 부재(8) 및 뚜껑(3)에 고정되거나 또는 이와 일체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잠금 부재(6)를 포함하고, 제1 잠금 부재(6)는 뚜껑(3)이 용기 상에 상기 뚜껑을 고정하기 위해 용기(2) 상에 배치된 후 상기 잠금 부재(8) 아래에 계합되도록 설계되고, 밀봉 개스킷(10)은 조리 엔클로져를 밀봉하기 위해 용기와 뚜껑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개스킷(10)은 용기의 상측 림(7) 위에 끼워맞춤되도록 배열되고 뚜껑(3)이 용기(2)에 장착되는 동안 상기 밀봉 개스킷이 우선적으로 상기 뚜껑(3)과 접촉하고 제2 잠금 부재(8)가 배치되는 높이(h8) 이상의 제1 높이(h61)에 배치되고 그 뒤, 제2 잠금 부재(8)가 배치되는 높이(h8) 미만의 제2 높이(h62)에 제1 잠금 부재(6)를 보내기 위해 뚜껑(3)의 중량 하에서 하강되는 동안 상기 용기(2)와 접촉하도록 설계되는 밀봉 개스킷.
  2. 제1항에 있어서, 뚜껑(3)의 하강된 변부(3D)의 내측 면과 용기 림(7)의 횡방향의 외측 부분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계된 센터링 돌출부(12)가 제공되는 밀봉 개스킷.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뚜껑(3)의 중량 하에서 변형에 의해 개스킷(10)을 하향 압축시킬 수 있으며, 힐(11)로부터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가요성 제1 가장자리(13)를 갖는 밀봉 개스킷.
  4. 제3항에 있어서, 힐(11)은 주변에 형성되고, 가요성 제1 가장자리(13)는 개스킷(10)의 내측을 향하여 상기 힐(11)로부터 돌출되는 가요성 스커트를 형성하는 밀봉 개스킷.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제1 가장자리(13)는 실질적으로 1 mm 내지 3 mm, 바람직하게는 대략 1.8 mm의 두께(e)를 갖는 밀봉 개스킷.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스킷이 정지될 때, 제1 가장자리(13)는 실질적으로 2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약 35°의 각도(α)로 개스킷의 수평 면(P1)에 대해 기울어진 실질적으로 평면 구조물을 갖는 밀봉 개스킷.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가장자리의 수직 변형 강성보다 큰 수직 변형 강성을 가지며, 제1 가장자리(13)와 같이 힐(11)로부터 돌출되는 제2 가장자리(20)를 갖는 밀봉 개스킷.
  8. 제2항 및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가장자리(13) 및 센터링 돌출부(12)는 용기 림(7)이 수용되는 벌어진 간격 구역(16)을 형성하는 밀봉 개스킷.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 상측 림(7)의 측면에서 동시에 계합되도록 배열되는 밀봉 개스킷.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잠금 부재(6)는 실질적으로 2 mm 내지 8 mm, 바람직하게는 약 5.5 mm의 작동 수직 스트로크(C)에 걸쳐서 이동할 수 있는 밀봉 개스킷.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리콘의 단일의 부분으로 제조되는 밀봉 개스킷.
  12. 압력 하에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기구로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밀봉 개스킷(10)이 제공되는 조리 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 조우(100)를 갖는 잠금 수단(5) - 제1 잠금 부재(6)는 조우(100)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하측 변부(102)의 상측 면(101)에 의해 형성되고 제2 잠금 부재(8)는 이러한 목적으로 제공된 램프(ramp)에 의해 또는 용기 림(7)의 하측 면(103)에 의해 형성됨 - ,
    - 잠금 바를 갖는 잠금 수단 - 제1 잠금 부재(6)는 잠금 바의 단부의 상측 면에 의해 형성되고 제2 잠금 부재(8)는 잠금 바의 단부가 계합될 수 있는 체결 러그의 하측 면에 의해 형성됨 - , 또는
    - 베이오닛-끼워맞춤 잠금 수단 - 제1 잠금 부재(6)는 탭(201) 또는 뚜껑 램프의 상측 면(200)에 의해 형성되고, 제2 잠금 부재(8)는 용기 램프(203)의 하측 면(202)에 의해 형성됨 - 이 제공되는 조리 기구.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조리 기구 주위에 분포된 복수의 제1 및 제2 잠금 부재(6, 7)가 제공되고, 밀봉 개스킷(10)에 따라 모든 제1 잠금 부재(6)가 각각의 제2 잠금 부재(8) 아래에서 동시에 하향 압축될 수 있는 조리 기구.
KR1020127020454A 2010-01-11 2011-01-10 수직 방향으로 누름가능한 조인트 및 이러한 조인트가 제공된 압력-조리기 KR101894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050144 2010-01-11
FR1050144A FR2955166B1 (fr) 2010-01-11 2010-01-11 Joint a affaissement vertical, et autocuiseur pourvu d'un tel joint
PCT/FR2011/050035 WO2011083284A2 (fr) 2010-01-11 2011-01-10 Joint a affaissement vertical, et autocuiseur pourvu d'un tel joi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396A true KR20120123396A (ko) 2012-11-08
KR101894601B1 KR101894601B1 (ko) 2018-10-04

Family

ID=42985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0454A KR101894601B1 (ko) 2010-01-11 2011-01-10 수직 방향으로 누름가능한 조인트 및 이러한 조인트가 제공된 압력-조리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931402B2 (ko)
EP (1) EP2523584B1 (ko)
JP (1) JP6297779B2 (ko)
KR (1) KR101894601B1 (ko)
CN (1) CN102711564B (ko)
BR (1) BR112012017052B1 (ko)
ES (1) ES2572739T3 (ko)
FR (1) FR2955166B1 (ko)
WO (1) WO201108328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62044B1 (en) * 2011-09-15 2018-11-28 Woo Yong Kim Electric rice pressure cooker and pressure cooker without a rubber packing
US9775460B2 (en) 2012-08-08 2017-10-03 Henny Penny Corporation Lip seals for cooking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having lip seal
ES2534609B1 (es) * 2013-08-07 2015-12-29 Meler Aplicadores De Hot-Melt, S.A. Equipo fusor
FR3019022B1 (fr) * 2014-03-26 2017-02-24 Seb Sa Appareil de cuisson d'aliments sous pression a baionnettes inversees et methode de fabrication afferente
FR3033993B1 (fr) * 2015-03-26 2017-04-28 Seb Sa Autocuiseur a baionnette et procede de fabrication afferent
FR3049841B1 (fr) 2016-04-08 2018-04-06 Seb S.A. Autocuiseur a securite amelioree
CN107811522A (zh) * 2016-09-14 2018-03-2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烹饪设备的密封组件及烹饪设备
JP7054861B2 (ja) * 2017-02-27 2022-04-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炊飯器
EP3624654A1 (en) 2017-08-09 2020-03-2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109458457B (zh) * 2017-09-06 2020-12-22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搅拌杯组件和料理机
USD914436S1 (en) 2018-06-19 2021-03-30 Sharkninja Operating Llc Air diffuser with food preparation pot
USD903413S1 (en) 2018-08-09 2020-12-01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basket
USD934027S1 (en) 2018-08-09 2021-10-26 Sharkninja Operating Llc Reversible cooking rack
USD883015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and parts thereof
USD883014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DE102018221205B4 (de) * 2018-12-07 2021-07-29 BSH Hausgeräte GmbH Multikocher mit einer Verschlusseinrichtung
US11051654B2 (en) 2019-02-25 2021-07-0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751710B2 (en) 2019-02-25 2023-09-12 Sharkninja Operating Llc Guard for cooking system
USD918654S1 (en) 2019-06-06 2021-05-11 Sharkninja Operating Llc Grill plate
USD982375S1 (en) 2019-06-06 2023-04-04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DE102019220212A1 (de) * 2019-12-19 2021-06-24 Wmf Group Gmbh Verschlussvorrichtung für einen Druckbehälter, Druckbehälter und Verwendung der Verschlussvorrichtung
US20210215342A1 (en) * 2020-01-10 2021-07-15 Weber-Stephen Products Llc Portable grills
US11647861B2 (en) 2020-03-30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WO2024050024A1 (en) * 2022-08-31 2024-03-07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Seal and method of using and mak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99115A (en) * 1944-05-20 1946-04-23 Aluminum Goods Mfg Co Pressure cooker
US2598220A (en) * 1945-11-05 1952-05-27 Otto M Burkhardt Cover sealing means for cooking utensils
US2600714A (en) * 1946-05-18 1952-06-17 Speed Meal Corp Gasket for pressure cookers
US2652170A (en) * 1947-04-25 1953-09-15 Lotter William Pressure cooker
US2636634A (en) * 1949-09-08 1953-04-28 Cook Electric Co Safety cap for pressurized gas tanks
US2787400A (en) * 1951-05-21 1957-04-02 Fritsch Willy Pressure cookers
JPS5456U (ko) * 1977-06-01 1979-01-05
BR5701390U (pt) * 1977-11-04 1979-06-19 M Chiodo Aperfeicoamento em panela de pressao
JPS5736222U (ko) * 1980-08-05 1982-02-25
JPS5877618U (ja) * 1981-11-17 1983-05-25 富士琺瑯工業株式会社 圧力鍋のパツキング
US5229563A (en) * 1990-01-11 1993-07-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essure cooker
US5121852A (en) * 1990-05-23 1992-06-16 Essef Corporation Dynamic pressure relief seal for pressure vessels
DE4133524C2 (de) * 1991-10-10 1996-08-29 Fissler Gmbh Dampfdruckkochtopf
KR0132659Y1 (ko) * 1995-11-29 1998-12-01 이원명 자동밀폐 기능을 갖는 냄비
US5687870A (en) * 1996-03-04 1997-11-18 Eastman Kodak Company Pressure lock assembly and pressure vessel
DE19703765C1 (de) * 1997-02-01 1998-06-10 Fissler Gmbh Dampfdruckkochtopf
FR2782257B1 (fr) * 1998-08-13 2000-11-17 Seb Sa Joint indexe pour autocuiseur, et autocuiseur equipe d'un tel joint
CN2421919Y (zh) * 1999-11-11 2001-03-07 浙江苏泊尔集团有限公司 压盖式压力锅密封胶圈
DE10014582C2 (de) * 2000-03-27 2002-05-23 Ursula Niese Dampfdruck-Kochtopf
FR2811398B3 (fr) * 2000-07-06 2002-06-14 Silampos Sociedade Ind De Louc Joint a levres pour autocuiseur
FR2862854B1 (fr) * 2003-11-27 2006-09-15 Seb Sa Recipient de cuisson sous pression pourvu d'un couvercle rentrant a deformation controlee et couvercle correspondant
FR2862853B1 (fr) * 2003-11-27 2006-09-15 Seb Sa Appareil de cuisson sous pression muni d'un dispositif de securite a la surpression, et joint d'etancheite pour un tel appareil
CN2792360Y (zh) * 2005-05-12 2006-07-05 佛山市顺德区爱德电器有限公司 电压力锅的锅盖锁定装置
CN2829567Y (zh) * 2005-09-28 2006-10-25 佛山市顺德区爱德电器有限公司 一种电压力锅锅盖的开合锁紧结构
CN2930536Y (zh) * 2006-05-20 2007-08-08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一种锅盖可拆卸的电压力锅
CN100464682C (zh) * 2006-07-21 2009-03-04 浙江苏泊尔股份有限公司 压力锅开合盖结构
CN200945101Y (zh) * 2006-07-21 2007-09-12 浙江苏泊尔股份有限公司 新型压力锅开合盖结构
CN201052078Y (zh) * 2007-05-17 2008-04-30 施新委 防爆压力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11564A (zh) 2012-10-03
JP2013516260A (ja) 2013-05-13
EP2523584A2 (fr) 2012-11-21
JP6297779B2 (ja) 2018-03-20
EP2523584B1 (fr) 2016-03-23
BR112012017052A2 (pt) 2016-04-05
CN102711564B (zh) 2016-05-11
US20130068113A1 (en) 2013-03-21
KR101894601B1 (ko) 2018-10-04
WO2011083284A3 (fr) 2011-09-01
WO2011083284A2 (fr) 2011-07-14
FR2955166B1 (fr) 2012-03-30
BR112012017052B1 (pt) 2020-03-24
ES2572739T3 (es) 2016-06-02
FR2955166A1 (fr) 2011-07-15
US8931402B2 (en) 201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3396A (ko) 수직 방향으로 누름가능한 조인트 및 이러한 조인트가 제공된 압력-조리기
JP6920862B2 (ja) 改善された安全性を備えた圧力調理器
CN101416838B (zh) 具有过压安全装置的压力锅
KR101184419B1 (ko) 압력용기
CN109310225B (zh) 压力锅的打开和关闭系统
KR102313217B1 (ko) 베이오넷 마운트를 갖는 압력 조리기 및 관련된 제조 방법
JP5181262B1 (ja) 電子レンジ用圧力鍋
JP5767244B2 (ja) 調理器具用のシールおよびそのようなシールを備える調理器具
CN103930007A (zh) 不具有橡胶衬垫的电饭压力锅和压力锅
IE871425L (en) Steam pressure cookers
CN111246781A (zh) 具有挤出窗口的压力锅
US20210007532A1 (en) Electric pressure cooker discharging internal steam when lid is opened
CN111246782B (zh) 用于具有挤出窗口的压力锅的垫圈以及配备有这种垫圈的压力锅
KR101433097B1 (ko) 조리용 진공냄비
CN220442503U (zh) 烹饪器具
KR102410436B1 (ko) 용기 덮개용 진공 패킹
KR102238493B1 (ko) 비자동 복원 구조의 압력 밸브 및 이를 가진 압력 조리 용기
CN210961469U (zh) 一种低成本的电压力锅
KR20160116259A (ko) 조리용기용 패킹
KR20170111304A (ko) 진공 냄비
CN210961476U (zh) 一种电磁加热的电压力锅
KR102057940B1 (ko)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
CN211609213U (zh) 使用安全的卡钳式电压力锅
KR20230084821A (ko)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
KR20230084820A (ko)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