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3331A - 다상 철강 재료를 함유한 관내 인공 삽입물 - Google Patents

다상 철강 재료를 함유한 관내 인공 삽입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3331A
KR20120123331A KR1020127018379A KR20127018379A KR20120123331A KR 20120123331 A KR20120123331 A KR 20120123331A KR 1020127018379 A KR1020127018379 A KR 1020127018379A KR 20127018379 A KR20127018379 A KR 20127018379A KR 20120123331 A KR20120123331 A KR 20120123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endoprosthesis
stent
multiphase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8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1382B1 (ko
Inventor
제프리 에스 블란지
Original Assignee
고어 엔터프라이즈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어 엔터프라이즈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고어 엔터프라이즈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123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61L27/04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61L27/04Metals or alloys
    • A61L27/042Iron or iron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9/00Materials for catheters, medical tubing, cannulae, or endoscopes or for coating catheters
    • A61L29/02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61L31/022Metals or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6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particular articles not mentioned below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1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1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 A61F2/0105Open ended, i.e. legs gathered only at one 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tubular bodies or pip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Dentistry (AREA)
  • Prosthe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다상 철강으로 제조된 관내 인공 삽입물을 개시한다. 이 관내 인공 삽입물은 스테이플, 치아 교정용 와이어, 심장 판막, 필터 장치, 및 스텐트를 포함하며, 이들 대부분은 직경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다상 철강은 2상 강 및 변태 유기 소성강(TRIP 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상 철강 재료를 함유한 관내 인공 삽입물{ENDOPROSTHESIS CONTAINING MULTI-PHASE FERROUS STEEL}
본 발명은 관내 인공 삽입물(endoprosthesis)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직경 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관내 인공 삽입물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 다양한 금속 재료가 이식 의료 장치에 이용되어 왔다. 이식용 장치에 이용된 전형적인 금속으로는 316L 또는 316LVM 타입의 스테인리스강, 코발트-크롬 합금, 상업용 순수 티타늄, 및 티타늄 합금이 있다. 이식 환경 및 방법이 특정 생체적합성(biocompatibility) 및 재료 특성을 갖는 소정 원재료의 사용을 좌우한다. 그러한 재료는 통상 인장 강도, 내피로성, 탄성 반동(elastic recoil) 및 항복 강도와 같은 특정 용례를 위해 필요한 물리적 특성을 갖고 있다.
이는 흔히 그 금속 재료를 인공 심장 판막, 스텐트(stent), 및 필터와 같은 복잡한 형상(직경 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형상을 포함)으로 형성하는 데에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한 타입의 용례는 통상 316L 또는 316LVM 스테인리스강에 근사한 강도 특성은 물론 316L 또는 316LVM 스테인리스강에 유사한 탄성 반동을 갖는 금속 재료를 요구할 것이다. 그러한 복잡한 형상이 크기가 확장되어(예를 들면, 풍선을 통해), 해부학적 기하 형상이나 장치에 의해 유발되는 기하 형상일 수 있는 소정 기하 형상에 정합 또는 일치하도록 될 것을 요구하는 용례가 종종 존재한다. 이들 용례에서, 선택되는 금속 재료는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도록 비교적 낮은 항복 강도를 가질 것이다. 그러한 장치들 몇몇(예를 들면, 심장 스텐트)의 이식을 위해 의도된 환경은 통상 비교적 높은 강도를 갖는 금속 재료를 필요로 한다.
장치의 기하 형상, 전달 방법, 및 그 환경은 종종 4가지 중요한 물리적 특성 부분 중 하나에서, 즉 인장 강도, 내피로성, 탄성 반동 또는 항복 강도에서 타협한 금속 재료를 어쩔 수 없이 선택하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특정 용례를 위한 금속 재료의 선택은 종종 힘들고 타협을 요구하는 일이다.
기타 고급 고강도 강과 관련하여, 복합 조직 강(즉, 다상 강)은 주어진 강도 수준에서 보다 양호한 연성을 나타낸다. 복합 조직 강의 하나의 예로서 2상 강의 향상된 성형성은 원재료에 존재하는 페라이트와 마르텐사이트 조직의 조합에 기인하다. 2상 강은 높은 가공 경화율을 가져, 스탬핑 또는 성형 공정 중에 안정된 방식으로 거동할 수 있다. 2상 강은 AK Steel(미국 오하이오주 45069 웨스트 체스터 소재)과 같은 공급 업자로부터 구매할 수 있다.
복합 조직 강의 다른 예로서 TRIP(Transformation Induced Plasticity : 변태 유기 소성강) 강은 그 향상된 성형성이 소성 변형 중에 잔류 오스테나이트(철의 연성의 고온 조직)의 마르텐사이트(인성을 갖는 비평형 조직)로의 변태에 기인한다. 그 향상된 성형성은 또한 그 금속이 스탬핑 또는 성형 공정 중에 안정된 방식으로 거동할 수 있게 하는 높은 가공 경화율로 인해 비롯된 것이다. 이러한 증가된 성형성으로 인해, TRIP강은 다른 고강도강보다 더 복잡한 형상을 제조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TRIP강은 US Steel(미국 펜실베니아주 피츠버그 소재) 또는 ArcelorMittal(브라질 소재)과 같은 공급 업자로부터 구매할 수 있다.
4% Mo을 함유한 TRIP강은 316L 또는 316LVM 타입의 스테인리스강 및 주조 바이탈륨 합금(cast Vitallium alloy)에 대비해 정형외과 용례를 위한 이식 재료로서 이용할 잠재적인 재료로서 평가되었다. 그러한 용례에서 316L 스테인리스강에 대한 TRIP강의 생체내(in vivo) 평가의 결과에서는 TRIP강에 응력 부식 크랙이 발생하기 쉽고 틈새 부식(crevice corrosion)은 훨씬 더 발생하기 쉽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본 발명은 관내 인공 삽입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다상(복합 조직) 철계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진 관내 인공 삽입물(즉, 신체 내부에 배치되는 보철물)을 제공한다. 다상 철계 스테인리스강[Advanced High Strength Steel(고급 고강도강) 또는 AHSS로도 지칭함]은 미세조직 내에 하나보다 많은 상(예를 들면, 오스테나이트, 페라이트, 베이나이트 또는 마르텐사이트)이 존재하는 임의의 철강으로서 정의한다. 다상 철계 스테인리스강은 2상 강, 복합 상 강(미세조직 내에 2가지보다 많은 상이 존재), 듀플렉스 강, TRIP강, TWIP(Twinning Induced Plasticity: 쌍정 유기 소성강)강 및 Q&P(Quenched and Partitioned : 담금질 및 파티셔닝강)강과 같은 강을 포괄할 것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관내 인공 삽입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TRIP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다상 강 재료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예를 들면, 스탬핑, 와이어 와인딩, 또는 레이저 커팅)하는 단계; 그 원하는 형상을 관형 형태로 성형하고 이 관형 형태를 풍선식 혈관내 전달 시스템 상에 크림핑(예를 들면, 부착/고정)하는 단계; 원하는 형상을 치료 영역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그 원하는 형상을 치료 영역에서 풍선의 팽창에 의해 확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L605, 316L 또는 316LVM, 2상 강, 및 TRIP강에 대한 응력-변형률 곡선을 도시한다.
도 2는 L605, 316L 또는 316LVM의 반동에서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다상 철계 스테인리스강제 관내 인공 삽입물의 하나의 실시예의 직경 확장 전과 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통상의 풍선식 전달 시스템에 장착되어 그 시스템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확장된 다상 철계 스테인리스강제 관내 인공 삽입물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혈관 내로 전달되고 풍선에 의해 확장될 수 있는 다상 철계 스테인리스강제 심장 판막의 하나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다상 철계 스테인리스강을 함유한 외과적으로 이식 가능한 심장 판막의 하나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이식 가능한 필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다상 철계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진 풍선에 의해 확장 가능한 대안적인 스텐트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다상 철계 스테인리스강의 시트로 이루어진 도 8의 스텐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의 풍선에 의해 확장 가능한 스텐트 복수 개를 이용한 스텐트 이식편(stent-graft)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는 L605 코발트-크롬 합금, 2상 강, TRIP강, 및 316L 또는 316LVM 스테인리스강의 전형적인 특성을 비교하는 응력-변형률 곡선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L605는 비교적 높은 항복 강도(YS)(100) 및 높은 극한 인장 강도(UTS)(108)를 갖는 반면, 316L 또는 316LVM은 낮은 항복 강도(106) 및 낮은 극한 인장 강도(114)를 갖는다. 2상 강(102) 및 TRIP강(104)은 통상 L605의 항복 강도(100)보다 낮은 항복 강도를 가져 성형성이 향상되고 확장이 용이하다. 2상 강(102) 및 TRIP강(104)의 극한 인장 강도는 316L 또는 316LVM의 극한 인장 강도(114)보다 높다는 점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도 2에서는 관내 인공 삽입물에 이용되는 통상의 L605와 316L 또는 316LVM 강에 대해 탄성 반동의 변화를 나타내는 응력-변형률 곡선을 도시하고 있다. 316L 또는 316LVM강에서의 탄성 반동의 변화는 변형률 크기(200)로서 표시되어 있는 한편, L605에서의 탄성 반동의 변화는 변형률 크기(204)로 표시되어 있다. 변형률 크기(204)는 L605와 같은 고탄성률 고항복 강도의 금속에 있어서의 전형적인 탄성 반동량을 나타낸다. 변형률 크기(200)는 316L 또는 316LVM강과 같은 저탄성률 저항복 강도의 금속에 있어서의 전형적인 탄성 반동량을 나타낸다. 2상 강 또는 TRIP강에서의 탄성 반동 변화는 그러한 두 값 사이에 포함될 것이다. L605의 높은 극한 인장 강도 및 높은 탄성률을 유지하면서 316L 또는 316LVM 강에서와 같은 비교적 작은 반동량을 나타내는 재료를 관내 인공 삽입물로서 이용하는 데에 있어서의 이점들은 유익할 것이다.
MRI(자기 공명 영상) 적합성은 이식용 인공 삽입물을 위해 선택되는 임의의 재료에 있어서의 중요한 특성이다.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은 상자성의 오스테나이트와 강자성의 페라이트로 이루어진 미세한 미세조직을 갖고 각 상의 미세조직 비는 통상 약 50%이다. 316LVM과 같은 스테인리스강은 100% 오스테나이트로 이루어진 미세조직을 가져 상자성을 갖기 때문에 MRI에 적합한 것으로 간주된다. 일반 탄소강과 같은 재료는 페라이트 미세조직을 가져 강자성을 갖는다. 강자성 재료는 자기장에 강하게 영향을 받는다는 점으로 인해 MRI에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즉 MRI 적합성 갖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에서 페라이트의 체적 비율은 열처리를 통해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예를 들면, 듀플렉스강 시편을 진공로에서 1300℃의 온도로 열처리한 후에 1000℃까지 서냉(노냉)시키고, 이어서 노로부터 제거한 후에 상온까지 공냉시킨다. 이러한 처리 기법은 임의의 취성의 2차 시그마상도 형성하지 않고 미세조직 내의 페라이트 체적 비율을 50%에서부터 약 11%로 분해시킨다. 이어서, 그러한 시편을 열자기 분석을 이용하여 테스트하였는데, 낮은 페라이트 함량으로 인해 매우 작은 강자성 신호를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열자기 곡선은 상자성 재료의 전형을 갖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제1 실시예는 다상 철강으로 이루어진 관내 인공 삽입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다상 철계 관내 인공 삽입물은 종래의 재료로 이루어진 그러한 장치에 이용되는 것과 같은 공지의 수단(그 일부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관내 인공 삽입물의 일례는 심장 스텐트일 것이다. 심장 스텐트는 통상 후전개 강도(post deployment strength)를 위해서는 코발트-크롬 합금을 이용하여 제조하거나, 정합성, 추적성(trackability), 최소한의 탄성 반동 및 용이한 성형성을 위해서는 316L 또는 316LVM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임의의 그러한 금속으로 이루어진 스텐트는 주로 복잡한 기하학적 구조로 제조된다. 그 구조는 통상 각종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일부 구조는 금속 와이어를 대체로 관형의 형상으로 만듦으로써 형성된다. 보다 복잡한 구조는 얇고 편평한 금속 시트를 절단하여 그 절단된 구조를 굴곡하여 튜브를 형성하거나, 얇은 관형 형태로부터 바로 절단할 수도 있다. 어느 방식이든 스텐트를 풍선식 카테터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직경 방향으로 압착시킬 수 있다. 패턴의 절단은 방전 가공, 화학적 에칭, 스탬핑 또는 레이저 커팅을 비롯하여 이들에 한정되지 않은 당업계에 공지된 각종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조 과정 중에 및 원하는 이식 자리로 스텐트를 전달하는 중에 심장 스텐트에 가해지는 특유의 기계적 응력으로 인해, 가장 널리 이용되는 금속 재료는 316L 또는 316LVM 스테인리스강이다. 통상적으로, 시판용 심장 스텐트를 제조하는 데에 이용되는 그러한 사전 절단 금속은 전개되는 장치에 부여되는 기계적 요건으로 인해 과도하게 두껍다. 다상 철강의 특성은 그러한 동일 장치를 얇은 벽을 가지면서도 여전히 양호한 강도 특성을 제공하도록 제조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심장 스텐트는 통상 풍선식 카테터의 외측에 부착하여 원하는 이식 자리로 경피(percutaneous)적으로 전달된다. 스텐트를 운반하는 카테터는 흔히 복잡하고 구불구불한 환자의 혈관계(vasculature)를 통해 이동된다. 스텐트용으로 선택된 금속 재료가 코발트-크롬 합금과 같이 고강도 특성을 갖는 경우, 구불구불한 해부 구조를 성공적으로 지나가는 능력이 손상 받을 수 있고 그 전개시에 고유의 반동을 나타낼 것이다. 심장 스텐트의 이식 환경 및 기계적 요건이 주어지면, 다상 강의 이용이 형성, 전달 및 후전개 중에 스텐트 구조에 가해지는 요건을 보다 이상적으로 충족시켜, 전술한 타협안의 대부분을 바로잡게 될 것이다.
도 3a 및 도 3b에서는 다상 철계 스테인리스강제 관내 인공 삽입물(10)[예를 들면, 스텐트(12)]의 하나의 실시예의 직경 확장 전후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각 도면에서 직경차가 d 및 d'로 표시되어 있다.
도 4에서는 통상의 풍선식 전달 시스템(14)의 중요 부분인 팽창된 카테터 풍선(16)에 장착되어 그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확장된 다상 철계 스테인리스강제 관내 인공 삽입물[예를 들면, 스텐트(12)]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관내 인공 삽입물의 다른 예로는 전술한 심장 스텐트와 동일한 방식 및 기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신장 스텐트를 들 수 있다. 대부분의 신장 스텐트는 상이한 해부학적 요건에 부합하도록 2개의 별개의 섹션, 즉 구멍 병변 영역(ostial lesion region)과 원위 단부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신장 스텐트의 구멍 영역은 높은 반경 방향 강도 요건을 갖고, 통상 보다 두꺼운 벽 및 보다 많은 수의 종방향 커넥터로 이루어진다. 신장 스텐트의 원위 단부 영역은 구멍 영역보다 가요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 보다 얇은 벽 및 보다 적은 수의 커넥터로 이루어진다. 전체 스텐트는 최적의 추적성 및 정확한 배치를 낮은 프로파일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오랜 시간 동안 동맥을 차단하지 않도록 신속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반되는 설계 요건은 재료 선택에 있어서의 탑협을 강요하게 된다. 대부분의 입수 가능한 신장 스텐트는 316L 또는 316LVM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기타 스텐트 및 프레임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316L 또는 316LVM은 보다 큰 추적성, 성형성 또는 최소의 탄성 반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한 성능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스텐트는 2개의 별개의 섹션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제조의 어려움을 증가시킨다.
복합 조직 강이 이용되는 경우, 그 구조는 높은 반경 방향 강도, 가요성, 추적성 및 풍선에 의한 확장의 용이성과 같은 필요한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균질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구조는 전체에 걸쳐 얇은 벽과 적은 수의 커넥터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직경 방향 확장 가능 스텐트의 다양한 형태는 그 제조에 다상 철강을 이용함으로써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들에는 말초, 경동맥, 뇌(신경), 담도, 간관, 대동맥, 및 흉부 용례용 스텐트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그 스텐트들은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형태의 스텐트 장치들 중 임의의 또는 전부는, 데이크론(dacron) 또는 ePTFE(팽창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와 같은 인공 삽입 이식편 재료로 이루어진 부분 또는 전체 커버링(스텐트의 외면, 내면 또는 이들 두면 모두에 대해)이 제공된 스텐트 이식편으로서 마련될 수 있다.
관내 인공 삽입물의 다른 예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도관(transcatheter)식으로 전달되는 인공 삽입 심장 판막(50)을 들 수 있다. 경도관식으로 전달되는 인공 삽입 심장 판막은 통상 재료의 성형성, 추적성, 및 최소 탄성 반동에 대해 선택된 의료용 스테인리스강의 프레임으로 통상 이루어진다. 또한, 기계적 강도에 대해 선택된 코발트-니켈 또는 코발트-크롬 합금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그러한 경도관식으로 전달되는 심장 판막은 기존의 기능 장애 심장 판막이 보이는 곳에 직접 전개되며, 이에 따라 혈액이 흐르는 데에 이용되었을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심장 판막 프레임(52)을 제조하는 방법은 스텐트를 제조하는 데에 이용되는 방법과 유사하며, 이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하였다. 프레임(52)의 구조는 흔히 링 형상을 갖고 있으며, 지그재그형 또는 사인 곡선형 파형부의 열(도 5 참조) 및 이들 열 사이의 종방향 커넥터로 이루어진다. 대안적으로, 링을 형성하도록 함께 연결된 다이아몬드 형상 요소로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경도관식으로 전달되는 심장 판막(50)의 프레임(52)에 대해 수많은 다른 형상이 고려될 수도 있다.
프레임(52)에는 판막 재료가 부착되어 있다. 판막(54)을 위한 재료는 동종 이식편(도너 이식편), 자가 이식편[통상 로스(Ross) 시술을 통해], 이종 이식편(heterograft 또는 xenograft)(가장 통상적으로 소 또는 돼지 도너으로부터의 동물 조직 이식편), 또는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ePTFE(팽창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같은 임의의 생체 적합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들 재료는 프레임에 직접 봉합하거나, 다른 재료(Dacron(등록 상표) 또는 폴리에스테르)의 가장자리에 봉합한 후에 프레임에 봉합하거나 화학적으로 접합하는 등의 당업계에 공지된 각종 방법으로 프레임에 부착된다.
이들 심장 판막(50)은 풍선식 카테터에 의해 2가지 방식으로, 즉 트랜스에피컬(transapical)식 또는 경대퇴동맥(transfemoral)식으로 전개되며, 가장 통상적인 전달 루트는 경대퇴동맥식이다. 이러한 전달 방법은, 풍선식 카테터에 부착된 장치가 잠재적으로 구불구불한 해부 구조의 상당 길이를 따라가기에 충분한 가요성을 가질 능력을 요구한다. 이러한 추적성 요건은 심장 판막 프레임에 의료용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하게 한다.
통상의 의료용 스테인리스강이 심장 판막(50)의 프레임(52)을 위해 선택된 경우, 그 프레임(52)은 코발트-크롬 합금 또는 코발트-니켈 합금과 같은 보다 강한 재료가 선택된 경우에 비해 다소 두꺼워야 한다. 심장 판막 프레임(52)에 부여되는 기계적 응력은 박동하는 심장의 환경에서는 상당할 수 있다. 코발트 합금의 사용은 그 장치의 통상적인 전달 방법을 방해함은 물론, 덜 정확하게 전개되게 할 것이다. 다시 말해, 보다 얇은 프레임이 혈액의 흐름 및 장치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도록 바람직할 수 있지만, 그 프레임은 박동하는 심장에 의해 부여된 기계적 응력 하에서 오랫동안 유지되기에 충분하도록 강해야한다. 다상 강은 경도관식으로 전달되는 심장 판막의 특유의 기계적 요건을 충족시킬 것이다.
수술용 스테이플 또는 흉골 봉합 장치도 역시 다상 철강으로 이루어지면 유리할 수 있다. 스테이플은 흔히 창자, 폐 및 피부 상처를 봉합하는 데에 이용된다.
혈관(72) 내에 이식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식 가능 필터(70)도 역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상 철계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하면 효과적일 수 있다. 그 필터들에는 하대정맥 필터 및 색전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한 용례를 위한 필터는 흔히 원하는 부위에서 후에 확장시키기 위해 체내 도관 내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직경 방향으로 확장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다른 의료 용례는 의료용 리드 분야일 수 있다. 의료용 조율 리드(pacing lead)는 전기 커넥터 요소를 구비하고, 이 커넥터 요소는 삽입되는 리드를 받아들이도록 확장되고 이어서 그 리드 주위에서 수축 또는 크림핑되어 리드에 대한 전기적 연결은 물론 스프링식 기계적 연결을 제공하도록 압축 가능부를 구비한다. 이상적으로는 그러한 크림핑 연결은 크림핑이 이루어질 때까지는 매우 얇고 가요성을 가져야 하지만, 이식 또는 외식(explantation) 중에 리드에 부여되는 큰 인장력에 견디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듀플렉스 스레인리스강과 같은 재료는 그러한 용례를 위한 최적의 선택일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도 역시 다상 철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치아 교정용 보철물, 특히 궁상 와이어(arch wire)가 다상 철계 금속의 또 다른 용례이다. 궁상 와이어는 매우 작은 힘으로 성형될 수 있어야 하지만, 5% 이하의 변형률 범위에 걸쳐 일정한 힘(치아의 이동은 야기하기에 충분하지만 통증은 없도록 치과 의사에 의해 선택됨)을 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일정한 힘은 큰 반동 없이 유지되어야 한다. 하중이 기계적으로 가해질 수 있기 때문에, 강하면서도 쉽게 성형될 수 있는 재료가 바람직할 것이다.
추가적인 처리 단계가 전술한 임의의 장치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로 수명 개선 단계가 장치의 형상을 성형한 후에 추가될 수 있다. 이 단계는 성형된 장치의 선택된 부분에 예변형률(pre-strain)을 가하거나, 성형된 장치를 전해 연마하거나, 성형된 장치에 금속 블라스팅 처리를 하여, 금속 표면에 압축 잔류 응력을 부여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다상 철계 금속이 어닐링된 표면을 가진 채로 공급되는 경우, 그러한 처리 단계는 장치의 성형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처리 단계가 또한 코팅 또는 커버 접착제의 접합 강도를 개선시키도록 추가될 수도 있다. 이 단계는 피로 수명의 개선과 유사하지만, 접합 수명의 개선을 가져온다. 피로 수명의 개선과 마찬가지로, 그 단계는 제공되는 원재료에 따라 장치의 성형 전에 또는 그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관내 인공 삽입물에는 혈액 응고 방지제(blood thinner) 또는 항생 물질과 같은 각종 생리활성 물질(치료제)의 코팅이 마련될 수 있다. 이들 코팅은 원하는 생리활성제에 적합한 각종 공지의 방법에 의해 그러한 장치에 접합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특정 용례에 대해 요구되는 바에 따라 선택적으로 치료제를 함유한 각종 폴리머로 선택적으로 코팅될 수도 있다. 적절한 코팅으로는 불화 에틸렌 프로필렌(FE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ePTFE, 및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폴리알킬메틸에테르와 같은 폴리알킬비닐에테르의 코폴리머(TFE/PMVE) 등의 플루오로폴리머가 포함될 수 있다.
예 1
도 8에서는 다상 철강으로 제조될 수 있는 예시적인 형태의 풍선 확장식 및 관형의 관내 인공 삽입물(80)을 도시하고 있다. 명료성을 위해, 도 8에서는 맨드릴 또는 기타 원통형 형상을 장치의 관형 형상의 내부에 삽입한 경우에 그 장치가 관찰자에게 전반적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장치에 있어서 관찰자에 근접한 쪽만을 도시하고, 그 관형 형태의 배면측(관찰자로부터 먼 쪽)은 생략하였다. 도 8은 카테터의 풍선에 의해 부분적으로 직경을 확장시킨 후인 것과 같은 관내 인공 삽입물(80)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장치는 6.35mm 두께의 강제 플레이트 형태의 듀플렉스 등급 S2205(미국 펜실베니아주에 소재한 Sandmeyer Steel Co.로부터 입수 가능)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수령한 강제 플레이트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졌다.
UTS : 845 MPa
0.2% YS : 644 MPa
연신율(%) : 29
조직간 체적 비율 : 오스테나이트 56.4% 및 페라이트 43.6%
오스테나이트와 페라이트의 체적 비율은 구리 소스를 갖고 x선 회절 기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들 측정은 플레이트의 단면이 취해지는 플레이트의 중심에서 이루어졌다.
강제 플레이트는 1300℃에서 열처리되고 1000℃로 노냉시켰다. 1000℃에 도달한 후에 그 플레이트를 주변 공기 중에서 상온으로 냉각시켰다. 열처리 후의 강제 플레이트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졌다.
UTS : 781 MPa
0.2% YS : 485 MPa
연신율(%) : 34
탄성률 : 216 GPa
조직간 체적 비율 : 오스테나이트 41.4% 및 페라이트 58.6%
ASTM E8에 따라 인장 시험을 수행하였다. 열처리된 스테인리스강 플레이트의 인장 샘플은 나사산형 인장 시험 바아로 가공되었다. 316LVM 및 L605 배관으로부터 레이저 커팅 인장 시험 스트립을 절단하여 역시 인장 시험을 행하였다. 316 LVM의 기계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UTS : 661 MPa
0.2% YS : 340 MPa
연신율(%) : 53
탄성률 : 126 GPa
시험된 L605 비교 샘플의 기계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UTS : 1079 MPa
0.2% YS : 567 MPa
연신율(%) : 56
탄성률 : 235 GPa
이들 시험에서는 열처리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이 두 합금들의 사이에 있는 탄성 계수, 항복 강도 및 극한 인장 강도를 갖지만 연신율은 316LVM 및 L605보다 작은 것으로 드러났다.
열처리 후에, 강제 플레이트로부터 하이포튜브(hypotube)를 와이어 EDM(방전 가공 기계)(미츠비시 와이어 EDM 모델 FA205)으로 가공하였다.
이들 하이포튜브는 4.57mm의 외경 및 0.254mm 벽두께를 가졌다. EDM 튜브들은 레이저 커팅하기에는 그 길이가 너무 짧기 때문에, 스테인리스강 튜브 확장기를 만들어 하이포튜브들의 단부에 압입하였다. 이어서, 도 8에 도시한 형태의 스텐트 링을 하이포튜브로부터 레이저 커팅하였으며, 이 때에 그 직경 및 벽두께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레이저 커팅이 관내 인공 삽입물의 확장된 직경(즉, 통상의 풍선에 의해 확장시킨 후에 장치가 갖게 되는 직경)에서 수행되어 그 외양이 대체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도록 하였다. 326LVM 합금으로부터 동일한 형태 및 동일한 직경의 레이저 커팅 스텐트 링을 제조하였다. 듀플렉스 링 및 316LVM 합금 링은 1.5mm로 모의 크림핑시켰다. 이어서, 이들 링은 테이퍼 맨드릴을 이용하여 10mm로 반경 방향으로 확장시켜, Blockwise J-크림퍼(crimper)(미국 아리조나주 피닉스에 소재한 Blockwise Engineering LL의 모델 RJAT) 내에 삽입하였다. J-크림퍼는 Instron 인장 시험기(미국 매사추세츠주 노어우드에 소재한 Instron Corp.의 모델 5564)에 장착하였고, 링들은 개별적으로 그 기계식 아이리스(mechanical iris) 내에 배치하였다. 이어서, 그 링들을 개별적으로 아이리스 내에서 중간 크기(외경 1.65mm)로 직경 방향으로 가압하였고, 링들의 강도를 Instron Bluehill 소프트웨어로 결정하였다. 듀플렉스 링은 316LVM 링보다 약 20%로 강한 것으로 드러났다.
듀플렉스 레이저 커팅 링의 탄성 반동은 다음의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전술한 형태의 관내 인공 삽입 링(스텐트 링)이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열처리 듀플렉스 S2205 강은 물론 316LVM 및 L605 모두로 제조하였다. 이들 링은 최대 직경 12.80mm의 원통형 단부를 갖는 스테인리스강제 테이퍼 맨드릴을 이용하여 직경 방향으로 확장시켰다. 그 링들은 12.80mm의 내경으로 확장시킨 후 테이퍼 맨드릴로부터 제거하였다. 이들의 12.80mm 직경은 그러한 구조의 스텐트 링에 대해 기능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직경을 확장시키고 테이퍼 맨드릴로부터 제거한 후에, 각각의 내경을 Nikon 비전 시스템(모델 VMR 3020 타입 3)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각의 링의 직경은 스텐트 내경 둘레에 균일한 간격을 두고 떨어진 10곳의 상이한 지점에서 측정하여 평균하였다. 그 측정치에서는 316LVM 스텐트 링이 0.051mm의 탄성 반동을 보이고, 듀플렉스강 스텐트 링은 0.152mm, 그리고 L605 스텐트링은 0.279mm의 탄성 반동을 보였다. 이들 데이터는 L605 링이 열처리 듀플렉스강에 비해 탄성 반동이 더 크고, 이에 따라 성형성이 더 작다는 점을 나타낸다.
앞서 전반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빌렛으로부터 가공되는 것 외에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텐트 링은 시트 재료로부터 가공될 수도 있다. 그러한 스텐트의 가공 패턴(90)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시트의 가공 후에, 얻어진 편평한 형상(90)을 테이퍼 맨드릴을 이용하여 튜브로 성형하였다. 맨드릴의 소직경부는 편평한 형상(9)의 중앙 개구(92) 내로 삽입할 수 있어야 한다. 맨드릴은 부분적으로 확장된 스텐트 형상의 의도한 내경에 상응하는 최대 직경을 가지며, 이러한 최대 직경은 원통형 섹션에 인접한 부분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포함한다. 편평한 형상(90)의 중앙 개구(92) 내로 맨드릴의 소직경 단부를 삽입하고 그 맨드릴을 눌러 편평한 형상(90)을 완전히 통과시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관형 형상(80)이 얻어진다.
열처리 듀플렉스 S2205강으로 제조된 전술한 바와 같은 스텐트 링 복수 개를 제조하였다. 8개의 링(80)을 ePTFE 튜브(102)와 같은 이식편 재료의 외면에 접합하여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텐트 이식편(100)을 생성하였다. 이러한 형태의 스텐트 이식편의 제조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되는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08/0119943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대략 40mm 길이의 풍선 확장식 스텐트 이식편(100)은 후에 환자의 혈관 구조 내로 전달한 후 풍선에 의해 확장시키도록 풍선식 카테터 상에 탑재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스텐트 이식편은 단지 일례이고 다상 철강으로 이루어진 스텐트들을 포함하는 수많은 형태의 스텐트 이식편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스텐트는 이식편 재료의 외면에 또는 이식편 재료의 관강 내면(luminal surface)에 접합되거나, 이식편 재료의 외면과 내면 사이에 끼일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이식편 재료는 원하는 경우 담도 시술과 같은 특정 용례를 위해 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듀플렉스 S2205 스테인리스강 합금은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열처리된 경우에 풍선에 의해 확장 가능한 관내 인공 삽입물의 제조를 위해 양호한 강도 능력 및 양호한 성형 능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드러났지만, 훨씬더 양호한 합금이 의료 장치, 특히 확장 가능 관내 인공 삽입물을 위해 가능한 것으로 여겨진다. 표 1에 그러한 합금 1종의 조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 조성에서의 작은 편차가 또한 듀플렉스 S2205 합금에 대해 얼마간의 개선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원소 중량%
C 최대 0.03
Mn 최대 2.0
Si 최대 0.75
Cr 16.0 내지 18.0
Ni 6.0 내지 8.0
Mo 0.6 내지 0.9
P 최대 0.03
S 최대 0.02
N 0.2 내지 0.25
Fe 잔부
W 0.8 내지 1.2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하고 아래의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 외에도, 앞서 설명하고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특징들의 다양한 조합들을 갖는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의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종속항의 특징들의 임의의 가능한 다른 조합을 갖는 기타 실시예들도 역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수의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의 구조 및 기능의 세부 사항과 더불어 바람직한 실시예는 물론 대안적인 실시예를 포함하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하였다. 본 개시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으로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들에게는 다양한 수정이, 특히 구조, 재료, 요소, 부품, 형상, 크기 및 부품들의 배열의 측면에서 다양한 수정이 본 발명의 원리 내에서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표현된 용어들의 광의의 포괄적 의미에 의해 정해지는 최대의 정도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한 다양한 수정이 첨부된 청구의 범위의 사상 및 보호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정도까지는 그 내에 포함될 것이다.

Claims (20)

  1. 다상 철강을 포함하는 관내 인공 삽입물(endoprosthesis).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상 철강은 2상 강인 것인 관내 인공 삽입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상 철강은 복합 상 강인 것인 관내 인공 삽입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상 철강은 듀플렉스 강인 것인 관내 인공 삽입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상 철강은 변태 유기 소성강인 것인 관내 인공 삽입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상 철강은 쌍정 유기 소성강인 것인 관내 인공 삽입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상 철강은 담금질 및 파티셔닝 강(Q & P : quenched and partitioned steel)인 것인 관내 인공 삽입물.
  8. 제1항에 있어서, 직경 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인 관내 인공 삽입물.
  9. 제8항에 있어서, 풍선 확장식 스텐트를 포함하는 것인 관내 인공 삽입물.
  10. 제9항에 있어서, 스텐트 이식편(stent-graft)을 포함하는 것인 관내 인공 삽입물.
  11. 제1항에 있어서, 필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인 관내 인공 삽입물.
  12. 제1항에 있어서, 치아 교정용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인 관내 인공 삽입물.
  13. 제1항에 있어서, 전기 크림프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인 관내 인공 삽입물.
  14. 제1항에 있어서, PTFE를 더 포함하는 것인 관내 인공 삽입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생리활성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인 관내 인공 삽입물.
  16. 관내 인공 삽입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다상 강의 편평한 시트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원하는 형상을 관형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관형 형태를 풍선식의 혈관내 전달 시스템 상에 크림핑하는 단계;
    상기 원하는 형상을 치료 영역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원하는 형상을 치료 영역에서 확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관내 인공 삽입물의 제조 방법.
  17. 관내 인공 삽입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다상 강의 관형 형태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관형 형태를 풍선식의 혈관내 전달 시스템 상에 크림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관내 인공 삽입물의 제조 방법.
  18. 관내 인공 삽입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다상 강의 와이어를 원하는 관형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원하는 관형 형상을 풍선식의 혈관내 전달 시스템 상에 크림핑하는 단계;
    상기 원하는 관형 형상을 치료 영역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원하는 관형 형상을 치료 영역에서 확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관내 인공 삽입물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금속의 표면에 압축 잔류 응력을 부여하도록 매체를 이용하여 성형된 장치에 충격을 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관내 인공 삽입물의 제조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형상를 풍선식의 혈관내 전달 시스템 상에 크림핑하기 전에 성형된 장치를 전해 연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관내 인공 삽입물의 제조 방법.
KR1020127018379A 2009-12-31 2010-12-30 다상 철강 재료를 함유한 관내 인공 삽입물 KR101901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9149709P 2009-12-31 2009-12-31
US61/291,497 2009-12-31
US12/981,102 2010-12-29
US12/981,102 US20110160838A1 (en) 2009-12-31 2010-12-29 Endoprosthesis containing multi-phase ferrous steel
PCT/US2010/062460 WO2011082280A1 (en) 2009-12-31 2010-12-30 Endoprosthesis containing multi-phase ferrous ste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331A true KR20120123331A (ko) 2012-11-08
KR101901382B1 KR101901382B1 (ko) 2018-09-27

Family

ID=44188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8379A KR101901382B1 (ko) 2009-12-31 2010-12-30 다상 철강 재료를 함유한 관내 인공 삽입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10160838A1 (ko)
EP (1) EP2519268B1 (ko)
JP (2) JP2013516243A (ko)
KR (1) KR101901382B1 (ko)
CN (1) CN102695529B (ko)
AU (1) AU2010339451B2 (ko)
BR (1) BR112012015422A2 (ko)
CA (1) CA2783625C (ko)
ES (1) ES2731371T3 (ko)
RU (1) RU2012132648A (ko)
WO (1) WO20110822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8838B2 (en) 2009-12-31 2014-11-18 W. L. Gore & Associates, Inc. Endoprosthesis containing multi-phase ferrous steel
US20110160838A1 (en) * 2009-12-31 2011-06-30 Blanzy Jeffrey S Endoprosthesis containing multi-phase ferrous steel
US8579964B2 (en) 2010-05-05 2013-11-12 Neovasc Inc. Transcatheter mitral valve prosthesis
US9554897B2 (en) 2011-04-28 2017-01-31 Neovasc Tiar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ngaging a valve prosthesis with tissue
US9308087B2 (en) 2011-04-28 2016-04-12 Neovasc Tiara Inc. Sequentially deployed transcatheter mitral valve prosthesis
DE102012010687B4 (de) * 2012-05-30 2021-08-19 ADMEDES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Körperimplantats, Baugruppe aus einem Führungsdraht und einem Körperimplantat sowie medizinisches Instrument
US9345573B2 (en) 2012-05-30 2016-05-24 Neovasc Tiar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loading a prosthesis onto a delivery system
US9254182B2 (en) 2013-03-15 2016-02-09 Ormco Corporation Orthodontic archwire
US9572665B2 (en) 2013-04-04 2017-02-21 Neovasc Tiar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 prosthetic valve to a beating heart
CN103251460B (zh) * 2013-06-05 2015-10-28 上海上远齿科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维他灵卡环的纯钛活动义齿支架及其制备方法
US20140378916A1 (en) * 2013-06-24 2014-12-25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Hypotube with enhanced strength and ductility
CN103445894B (zh) * 2013-09-11 2016-05-25 辽宁生物医学材料研发中心有限公司 医用不锈钢血管支架
DE102015204112B4 (de) 2015-03-06 2021-07-29 Leibniz-Institut Für Festkörper- Und Werkstoffforschung Dresden E.V. Verwendung eines biologisch abbaubaren Eisenbasiswerkstoffs
CN106367714A (zh) * 2015-07-24 2017-02-01 先健科技(深圳)有限公司 铁基可吸收植入医疗器械与预制管及其制备方法
CN108882981B (zh) 2016-01-29 2021-08-10 内奥瓦斯克迪亚拉公司 用于防止流出阻塞的假体瓣膜
WO2018090148A1 (en) 2016-11-21 2018-05-24 Neovasc Tiar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rapid retraction of a transcatheter heart valve delivery system
CA3073834A1 (en) 2017-08-25 2019-02-28 Neovasc Tiara Inc. Sequentially deployed transcatheter mitral valve prosthesis
WO2019175888A1 (en) * 2018-03-16 2019-09-19 Meril Life Sciences Pvt Ltd Expandable endo prosthesis with low crimp profile
WO2019195860A2 (en) 2018-04-04 2019-10-10 Vdyne, Llc Devices and methods for anchoring transcatheter heart valve
US11344413B2 (en) 2018-09-20 2022-05-31 Vdyne, Inc. Transcatheter deliverable prosthetic heart valves and methods of delivery
US10595994B1 (en) 2018-09-20 2020-03-24 Vdyne, Llc Side-delivered transcatheter heart valve replacement
US11278437B2 (en) 2018-12-08 2022-03-22 Vdyne, Inc. Compression capable annular frames for side delivery of transcatheter heart valve replacement
US11071627B2 (en) 2018-10-18 2021-07-27 Vdyne, Inc. Orthogonally delivered transcatheter heart valve frame for valve in valve prosthesis
US10321995B1 (en) 2018-09-20 2019-06-18 Vdyne, Llc Orthogonally delivered transcatheter heart valve replacement
US11109969B2 (en) 2018-10-22 2021-09-07 Vdyne, Inc. Guidewire delivery of transcatheter heart valve
US11737872B2 (en) 2018-11-08 2023-08-29 Neovasc Tiara Inc. Ventricular deployment of a transcatheter mitral valve prosthesis
US11253359B2 (en) 2018-12-20 2022-02-22 Vdyne, Inc. Proximal tab for side-delivered transcatheter heart valves and methods of delivery
US11273032B2 (en) 2019-01-26 2022-03-15 Vdyne, Inc. Collapsible inner flow control component for side-deliverable transcatheter heart valve prosthesis
US11185409B2 (en) 2019-01-26 2021-11-30 Vdyne, Inc. Collapsible inner flow control component for side-delivered transcatheter heart valve prosthesis
WO2020155000A1 (en) * 2019-01-31 2020-08-0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ixed-frame intraluminal prosthesis and methods thereof
CN113543750A (zh) 2019-03-05 2021-10-22 维迪内股份有限公司 用于正交经导管心脏瓣膜假体的三尖瓣反流控制装置
US11173027B2 (en) 2019-03-14 2021-11-16 Vdyne, Inc. Side-deliverable transcatheter prosthetic valve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nd anchoring the same
US11076956B2 (en) 2019-03-14 2021-08-03 Vdyne, Inc. Proximal, distal, and anterior anchoring tabs for side-delivered transcatheter mitral valve prosthesis
CA3135753C (en) 2019-04-01 2023-10-24 Neovasc Tiara Inc. Controllably deployable prosthetic valve
EP3952792A4 (en) 2019-04-10 2023-01-04 Neovasc Tiara Inc. HEART VALVE PROSTHESIS WITH NATURAL BLOOD FLOW
AU2020267390A1 (en) 2019-05-04 2021-11-11 Vdyne, Inc. Cinch device and method for deployment of a side-delivered prosthetic heart valve in a native annulus
AU2020279750B2 (en) 2019-05-20 2023-07-13 Neovasc Tiara Inc. Introducer with hemostasis mechanism
AU2020295566B2 (en) 2019-06-20 2023-07-20 Neovasc Tiara Inc. Low profile prosthetic mitral valve
EP4017442A4 (en) 2019-08-20 2023-07-26 Vdyne, Inc. INSERTION AND RETRIEVAL DEVICES AND PROCEDURES FOR SIDE-INSERTED TRANSCATHETER PROSTHETIC VALVES
JP2022545728A (ja) 2019-08-26 2022-10-28 ブイダイ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側方送達可能な経カテーテル人工弁ならびにそれらを送達及び固定するための方法
CN112662932B (zh) * 2019-10-15 2022-03-04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twip钢及其制备方法
US11234813B2 (en) 2020-01-17 2022-02-01 Vdyne, Inc. Ventricular stability elements for side-deliverable prosthetic heart valves and methods of delivery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61191B (sv) * 1988-04-21 1990-01-22 Sandvik Ab Anvaendning av en rostfri ferrit-austenitisk staallegering som implantat i fysiologisk miljoe
JP2658210B2 (ja) * 1988-07-07 1997-09-30 株式会社クボタ 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熱処理方法
WO1997027959A1 (en) * 1996-01-30 1997-08-07 Medtronic, Inc. Articles for and methods of making stents
JP2002253683A (ja) * 2000-12-29 2002-09-10 Shine Co Ltd 人体に差し込まれる自励式発熱インプラント
US6582652B2 (en) * 2001-05-11 2003-06-24 Scimed Life Systems, Inc. Stainless steel alloy having lowered nickel-chromium toxicity and improved biocompatibility
IL161289A0 (en) * 2001-10-30 2004-09-27 Ati Properties Inc Duplex stainless steels
SE530711C2 (sv) * 2006-10-30 2008-08-19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Duplex rostfri stållegering samt användning av denna legering
US9622888B2 (en) * 2006-11-16 2017-04-18 W. L. Gore & Associates, Inc. Stent having flexibly connected adjacent stent elements
HUE052784T2 (hu) * 2009-01-08 2021-05-28 Bio Dg Inc Biológiailag lebontható ötvözeteket tartalmazó beültethetõ orvostechnikai eszközök
US20110160838A1 (en) * 2009-12-31 2011-06-30 Blanzy Jeffrey S Endoprosthesis containing multi-phase ferrous st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0339451B2 (en) 2014-10-02
CA2783625A1 (en) 2011-07-07
ES2731371T3 (es) 2019-11-15
AU2010339451A1 (en) 2012-08-16
JP6290972B2 (ja) 2018-03-07
JP2013516243A (ja) 2013-05-13
WO2011082280A1 (en) 2011-07-07
KR101901382B1 (ko) 2018-09-27
RU2012132648A (ru) 2014-02-10
EP2519268B1 (en) 2019-04-17
BR112012015422A2 (pt) 2017-05-23
JP2017000729A (ja) 2017-01-05
US20110160838A1 (en) 2011-06-30
EP2519268A1 (en) 2012-11-07
CA2783625C (en) 2015-06-02
CN102695529B (zh) 2015-11-25
CN102695529A (zh)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0972B2 (ja) 複数相鉄鋼を含むエンドプロテーゼ
US9987121B2 (en) Method of making an endoprosthesis containing multi-phase stainless steel
US9649210B2 (en) Hybrid stent and method of making
EP3241530B1 (en) Implants having high fatigue resistance and implant delivery systems
JP5078271B2 (ja) 生体器官拡張用ステ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515563A6 (ja) 医療用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515563A (ja) 医療用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9427500B2 (en) Stent made of a cobalt alloy
US20130338756A1 (en) Stent composed of an iron alloy
EP1579886A1 (en) Medical instrument for soft tissue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US20050098241A1 (en) Niobium-Zirconium Alloy for medical devices or their parts
Sosnin et al. Import substitution in medicine on the basis of Russian precision alloys
US20130211537A1 (en) Medical devices including duplex stainless st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