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2713A - 항균성, 탈취성 및 음이온 방출 기능을 보유한 폴리우레탄 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항균성, 탈취성 및 음이온 방출 기능을 보유한 폴리우레탄 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2713A
KR20120122713A KR1020110041041A KR20110041041A KR20120122713A KR 20120122713 A KR20120122713 A KR 20120122713A KR 1020110041041 A KR1020110041041 A KR 1020110041041A KR 20110041041 A KR20110041041 A KR 20110041041A KR 20120122713 A KR20120122713 A KR 20120122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silica
polyurethane foam
silver
solution
a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경근
강경서
정성훈
이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노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노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노바
Priority to KR1020110041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2713A/ko
Publication of KR20120122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7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04Use of compounding ingredients, the chemical constitution of which is unknown, broadly defined, or irrelev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6Silico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08K2003/0806Silv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와 음이온 용액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폴리우레탐 폼 총중량 대비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콜로이드 0.4 ~ 4중량% 및 음이온 용액 0.5 ~ 5중량%를 포함하여 항균성, 탈취력 및 음이온 방출 효과를 갖는 폴리우레탄 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은 땀이나 인체 분비물에 의해 증식할 수 있는 세균에 대해서 항균성을 가지며, 우수한 탈취 효과와 음이온 방출 효과를 갖기 때문에, 매트리스나 베게 등 침구류에 적용할 때 제품의 효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균성, 탈취성 및 음이온 방출 기능을 보유한 폴리우레탄 폼 및 그 제조 방법{Polyurethane foam with antibiotic, dedorant and anion releasing func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polyurethane foam}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은과 다공성 실리카 복합체와 음이온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및 그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은 이소시아네이트와 글리콜을 주원료로 제조되는데, 여기에 발포제 및 기타 첨가제를 배합하여 반응시켜서 폼(foam)화 시킨 제품을 폴리우레탄 폼이라고 한다.
폴리우레탄 폼은 내열성, 단열성이 우수하여 매트리스나 베개 등에 적용되고 있다. 폴리우레탄 폼이 매트리스 또는 베개 등과 같이 인체에 직접 접촉하는 침구류에 적용되기 때문에, 폴리우레탄을 발포, 성형하는 과정에서 폴리우레탄의 발포속도, 폼의 복원력 등 기본적인 물성은 유지하면서, 최대의 기능성을 발휘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다양한 기능성 소재를 첨가하여 항균성 등을 향상시킨 기술이 소개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침구류에 적용될 수 있는 폴리우레탄 폼의 기본 물성을 가지면서, 항균성, 탈취기능 및 음이온 방출 기능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항균성, 탈취력 및 음이온 방출 기능을 보유한 폴리우레탄 폼은 총중량 대비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콜로이드 0.5 ~ 4중량% 및 음이온 용액 0.5 ~ 5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항균성, 탈취력 및 음이온 방출 기능을 보유한 폴리우레탄 폼에서 상기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콜로이드는 전체 중량대비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가 0.5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항균성, 탈취력 및 음이온 방출 기능을 보유한 폴리우레탄 폼에서 상기 음이온 용액은 폴리우레탄 폼의 물성에 미치는 물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 2 내지 5배 농축하여, 농축된 음이온 용액의 첨가량이 폴리우레탄 폼 중량 대비 0.1 ~ 1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항균성, 탈취력 및 음이온 방출 기능을 보유한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방법은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콜로이드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콜로이드와 농축된 음이온 용액을 혼합하여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분산액을 폴리올과 혼합하여 폴리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올 혼합물,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발포제를 혼합조에 넣고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조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성형틀에 넣어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항균성, 탈취성 및 음이온 방출 기능을 보유한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콜로이드는 다공성 실리카를 분산시킨 용액에 폴리비닐피롤리돈 용액 및 질산은 용액을 첨가하고 70 ~ 90℃에서 교반하여 제조하고 수용액상의 음이온 용액은 용매인 물 함량을 줄이기 위해 농축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은 땀이나 인체 분비물에 의해 증식할 수 있는 세균에 대해서 항균성을 가지며, 우수한 탈취 효과와 음이온 방출 효과를 갖기 때문에, 매트리스나 베게 등 침구류에 적용할 때 제품의 효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조된 다공성 실리카 입자의 투과전자현미경(TEM)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조된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사진이다.
본 발명은 은-다공성실리카 복합체와 음이온 용액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및 음이온 용액이 폴리우레탄 폼 전체 중량 대비 0.5 ~ 5중량%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은-다공성실리카 복합체는 먼저 다공성 실리카를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아래 두 가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다공성 실리카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먼저 탈이온수와 에탄올 혼합용액에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분산시킨다. 상기에서 양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트리에탄올 아민을 첨가하여 50 ~ 70℃로 가열하면서 교반한다. 다음으로 실리카 물질인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TEOS)를 첨가하고 50 ~ 70℃를 유지하면서 교반하여 실리카 입자를 형성한다. 실리카 입자가 형성되면 질산암모늄을 첨가하여 주형으로 사용된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추출하여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실리카를 제조한다.
상기에서 제조된 다공성 실리카에 은 복합체를 결합시켜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를 제조한다. 은-다공성 실리카는 크게 바인더를 이용하여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에 은 입자를 결합시켜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은 콜로이드 용액을 이용하여 고농도 콜로이드 상태의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에서 바인더는 술폰산염, 티올화합물, 아민화합물 또는 시안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PTMS(aminopropyltrimethoxysilane) 또는 MPTMS(3-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의 계면결합제(coupling agent)를 바인더로 사용할 수 있다.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콜로이드는 아래의 방법으로 제조한다. 먼저, 다공성 실리카를 에탄올에 분산시킨 후, 바인더를 첨가하여 계면활성된 다공성 실리카를 제조한다. 이를 에탄올에 다시 분산시켜서 계면활성된 다공성 실리카 용액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에탄올에 폴리비닐피롤리돈을 녹인 용액과, 에탄올에 질산은을 녹인 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상기 다공성 실리카 용액에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70 ~ 90℃에서 3 내지 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최종적으로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가 5내지 20중량%가 되도록 에탄올을 추가하여 분산시켜서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콜로이드를 제조한다.
본 발명은 상기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콜로이드는 전체 폴리우레탄 폼 중량 대비 0.5 ~ 4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콜로이드가 0.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된 경우, 항균 및 탈취 효과를 거의 나타낼 수 없고, 4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된 경우, 폴리우레탄 폼의 복원력이 저하되고,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이 찢어지는 등 폴리우레탄 폼 자체의 물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음이온 방출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수용액상의 상용화된 음이온 용액(예를 들어, (주)토르마린코리아에서 제공하는 음이온 용액)을 전체 폴리우레탄 폼 중량 대비 0.5 ~ 5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 3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용액상의 음이온 용액은 폴리우레탄 폼의 물성에 미치는 물의 영향을 고려하여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2 ~ 5배 농축하여 폴리우레탄 폼에 첨가되는 물 양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농축된 음이온발생 용액 첨가량이 0.1 ~ 1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와 음이온 용액은 폴리우레탄 폼 제조공정에서 폴리올 쪽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은 폴리우레탄 폼 제조에 사용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은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와 농축시킨 음이온 용액을 혼합하여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분산액을 폴리올과 혼합하여 폴리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올 혼합물,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발포제를 혼합조에 넣고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성형틀에 넣어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실시예에 의하여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의 항균성은 KS J 4206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구체적인 방법은 아래와 같다.
항균실험을 위한 미생물로 양성균인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과 음성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25922)을 사용하였다. 먼저, 황색포도상구균과 대장균을 loop를 사용하여 5ml의 영양배지액에 넣고, 37℃, 120rpm으로 24시간동안 진탕 배양한다(진탕회수 120회/분). 배양된 균은 식염수로 희석하여 균수를 적정하고, 영양배지 9ml에 식염수로 희석된 균 용액 1ml를 넣어 샘플 5.0g에 접종한다. 균이 접종된 샘플들은 100ml의 증류수가 담긴 플라스틱 용액에 넣고 120rpm으로 진탕 배양시킨다. 24시간 후 샘플이 담긴 플라스틱 용기에서 1ml를 취하여 10배 및 100배 희석하여 각각에서 1ml씩 페트리 접시에 넣고 영양배지를 붓는다. 영양배지가 고화되면 37℃의 배양기에서 24시간 정치시키고 이후 페트리 접시의 균수를 측정하고 아래 식을 이용하여 감소율(R%) 및 증가율(F)을 평가하였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여기서 Ma는 대조시료의 초기 균수(평균치), Mb는 24시간 배양 후 대조시료의 균수(평균치), Mc는 24시간 배양 후 시험시료의 균수(평균치이다.)
제조예 1 : 다공성 실리카 제조
탈이온수 1,280g과 에탄올 186g을 혼합한 후,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세틸트리메틸 암모늄클로라이드(cetyltrimethyl ammonium chloride, CTACl)212g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분산시킨다. 다음으로 트리에탄올아민(TEA) 186g을 첨가하고 60℃로 가열하면서 교반한다. 다음으로 실리카 물질인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TEOS) 132g을 첨가하고 60℃를 유지하면서 교반하여 실리카 입자를 형성한 후, 질산암모늄을 첨가하여 CTACl 주형을 추출하여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실리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다공성 실리카의 투과전자현미경(TEM)사진을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은 상기 공정에서 질산암모늄을 첨가하기 전(a)과 첨가한 후(b)의 다공성 실리카 입자의 TEM 사진으로서, 질산암모늄을 첨가한 경우, 실리카 입자에 기공이 완전하게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제조예 2 :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콜로이드 제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다공성 실리카 12g을 에탄올 1,800g에 분산시킨 후, APTMS(aminopropyltrimethoxysilane) 30g을 첨가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계면 활성된 다공성 실리카를 얻었다. 얻어진 다공성 실리카 15g을 에탄올 5,910g에 분산시켜서 다공성 실리카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에탄올 3,000g에 분자량 40,000인 PVP(polyvinylpyrrolidone) 15g을 녹인 용액과, 에탄올 148.5g에 질산은 1.58g을 녹인 용액을 제조하고, 각각 순차적으로 상기 다공성 실리카 용액에 첨가한다. 상기 용액을 80℃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켜 원심분리하고 최종적으로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농도가 10중량%가 되도록 에탄올을 추가하고 분산시켜서 다공성 실리카 입자 표면에 은입자가 부착된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콜로이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콜로이드의 TEM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3 :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분말 제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실리카 복합체 콜로이드를 원심분리하고 진공건조기를 통해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분말을 제조하였다.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실시예 1 :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콜로이드 11g과 액상 음이온 용액 11g을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35℃에서 3배 농축한, 농축 음이온 용액 3.67g을 혼합하여 분산액을 제조한다. 상기 분산액을 폴리프로필렌글리콜 804g에 첨가하여 혼합한다. 제조된 혼합물을 메틸렌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 281.33g과 함께 혼합조에 넣고 교반한다. 이를 성형틀에 투입한 후 발포가공하여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다. 음이온 용액, 은-다공성실리카복합체의 함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콜로이드 11g과 액상 음이온 용액 22g을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35℃에서 3배 농축한, 농축 음이온 용액 7.33g을 혼합하여 분산액을 제조한다. 상기 분산액을 폴리프로필렌글리콜 801g에 첨가하여 혼합한다. 제조된 혼합물을 메틸렌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 280.67g과 함께 혼합조에 넣고 교반한 후 성형틀에 투입한 후 발포가공하여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다. 음이온 용액, 은-다공성실리카복합체의 함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콜로이드 22g과 액상 음이온 용액 22g을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35℃에서 5배 농축한, 농축 음이온 용액 4.4g을 혼합하여 분산액을 제조한다. 상기 분산액을 폴리프로필렌글리콜 795.3g에 첨가하여 혼합한다. 제조된 혼합물을 메틸렌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 278.3g과 함께 혼합조에 넣고 교반한 후 성형틀에 투입한 후 발포가공하여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다. 음이온 용액, 은-다공성실리카 복합체의 함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콜로이드 22g과 액상 음이온 용액 33g을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35℃에서 5배 농축한, 농축 음이온 용액 6.6g을 혼합하여 분산액을 제조한다. 상기 분산액을 폴리프로필렌글리콜 793.6g에 첨가하여 혼합한다. 제조된 혼합물을 메틸렌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 277.8g과 함께 혼합조에 넣고 교반한 후 성형틀에 투입한 후 발포가공하여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다. 음이온 용액, 은-다공성실리카 복합체의 함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
제조예 3에서 제조된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분말 0.22g과 액상 음이온 용액 33g을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35℃에서 5배 농축한, 농축 음이온 용액 6.6g을 혼합 폴리프로필렌글리콜 809.76g에 첨가한 후 교반한다. 이를 메틸렌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 283.42g과 함께 혼합조에 넣고 교반한 후 성형틀에 투입한 후 발포가공하여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다. 음이온 용액, 은-다공성실리카 복합체의 함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
폴리프로필렌글리콜 815g 과 메틸렌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 285g와 함께 혼합조에 넣고 교반한 후 성형틀에 투입하고 발포가공하여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다.
은-다공성실리카
복합체
농축 음이온 용액 개별 성분별 함량
콜로이드 분말 첨가량 농축 배수 실리카 음이온 용액
실시예 1 11g
(1.0중량%)
3.67g
(0.33중량%)
3 77ppm 923ppm 1.0중량%
실시예 2 11g
(1.0중량%)
7.33g
(0.66중량%)
3 77ppm 923ppm 2.0중량%
실시예 3 22g
(2.0중량%)
4.4g
(0.4중량%)
5 154ppm 1,846ppm 2.0중량%
실시예 4 22g
(2.0중량%)
6.6g
(0.6중량%)
5 154ppm 1,846ppm 3.0중량%
실시예 5 0.22g
(0.2중량%)
6.6g (0.6중량%) 5 154ppm 1,846ppm 3.0중량%
실시예 3 및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의 음이온 방출효과를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음이온 방출효과는 전하입자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실내온도 25℃, 습도 44%, 대기 중 음이온 수 106/cc 조건에서 시험하였으며 측정대상물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을 측정하여 단위체적당 이온의 수로 표시한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3 실시예 4
음이온
(ION/cc)
112 452 687
통상적으로 음이온 방출량이 400 ~ 1,000 (ION/cc)이면 음이온 방출 효과가 있다고 판단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음이온 용액이 전체 폴리우레탄 폼 중량대비 0.5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1 ~ 3중량%가 포함된 경우 우수한 음이온 방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은-다공성실리카에 의한 항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2, 실시예 4 및 실시예 5에서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에 대하여 항균성을 분석하였다. 항균성 시험방법은 KS J 4206법을 이용하여 실시한 결과를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균주1: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실시예 2 실시예 4 실시예 5
접종균 농도(CFU/ml) 1.5× 105
증가율(F) 47배
Ma 1.5× 105
Mb 7.1× 106
Mc <10 <10 5.6× 105
감소율(%) 99.9 99.9 92.1
균주2:Escherichia coli, ATCC 25922
실시예 2 실시예 4 실시예 5
접종균 농도(CFU/ml) 1.3× 105
증가율(F) 45배
Ma 1.3× 105
Mb 5.9× 106
Mc <10 <10 3.6× 105
감소율(%) 99.9 99.9 93.9
실시예 2 및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의 탈취율(%)을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탈취율 측정은 각 실시예에서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 10g을 1,000mL의 용기에 넣은 후 암모니아 가스를 500ppm 주입하고 온도 24℃, 습도 24%에서 시간경과에 따른 암모니아 가스 제거율을 측정하였다. 탈취율은 하기 수학식 3에 의해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3
경과시간
(분)
탈취율(%)
blank 실시예 2 실시예 4
30 61 82 87
60 74 85 91
90 75 86 92
120 75 86 92
표 5를 보면, 다공성 실리카에 의한 탈취효과는 농축 음이온 용액이 전체 폴리우레탄 폼 중량 대비 0.6중량% 포함되고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콜로이드가 2.0중량% 포함된 경우에 우수한 탈취효과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폴리우레탄 폼 총중량 대비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콜로이드 0.5 ~ 4중량% 및 음이온 용액 0.5 ~ 5중량%를 포함하는 항균성, 탈취력 및 음이온 방출 기능을 보유한 폴리우레탄 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콜로이드는 전체 중량대비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가 5 내지 20중량%인 것이며,
    상기 음이온 용액은 폴리우레탄 폼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물 첨가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2 내지 5배 농축하여, 농축된 음이온 용액 첨가량이 0.1 ~ 1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탈취력 및 음이온 방출 기능을 보유한 폴리우레탄 폼.
  3.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콜로이드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콜로이드와 농축된 음이온 용액을 혼합하여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분산액을 폴리올과 혼합하여 폴리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올 혼합물,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발포제를 혼합조에 넣고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조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성형틀에 넣어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성, 탈취력 및 음이온 방출 기능을 보유한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은-다공성 실리카 복합체 콜로이드는 다공성 실리카를 분산시킨 용액에 폴리비닐피롤리돈 용액 및 질산은 용액을 첨가하고 70 ~ 90℃에서 교반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탈취력 및 음이온 방출 기능을 보유한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방법.
KR1020110041041A 2011-04-29 2011-04-29 항균성, 탈취성 및 음이온 방출 기능을 보유한 폴리우레탄 폼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1227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041A KR20120122713A (ko) 2011-04-29 2011-04-29 항균성, 탈취성 및 음이온 방출 기능을 보유한 폴리우레탄 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041A KR20120122713A (ko) 2011-04-29 2011-04-29 항균성, 탈취성 및 음이온 방출 기능을 보유한 폴리우레탄 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713A true KR20120122713A (ko) 2012-11-07

Family

ID=47508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041A KR20120122713A (ko) 2011-04-29 2011-04-29 항균성, 탈취성 및 음이온 방출 기능을 보유한 폴리우레탄 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27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4382A (zh) * 2015-02-23 2015-07-29 福建师范大学泉港石化研究院 一种负离子填充改性聚对苯二甲酸丙二醇酯的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4382A (zh) * 2015-02-23 2015-07-29 福建师范大学泉港石化研究院 一种负离子填充改性聚对苯二甲酸丙二醇酯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20755A (zh) 一种新型抗微生物海绵及其制备方法
CN102454107B (zh) 一种具有抗菌防霉功能的聚氨酯合成革材料及其制备方法
JP2860951B2 (ja) 抗菌性ポリマー組成物
CN103467702A (zh) 一种抗菌型软质聚氨酯泡沫塑料的制备方法
Batista et al. Encapsulation and release of Beauveria bassiana from alginate–bentonite nanocomposite
CN107602806A (zh) 一种基于磷酸锆钠银的聚氨酯泡沫及其制备方法
CN111454426B (zh) 环保可降解的芳香型聚氨酯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
CN107892504A (zh) 一种有机长效抗菌的石英石的制备工艺
KR20210137320A (ko) 항균성을 가진 선도유지 포장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122713A (ko) 항균성, 탈취성 및 음이온 방출 기능을 보유한 폴리우레탄 폼 및 그 제조 방법
CN102100923B (zh) 微米级Ag2O2掺杂壳聚糖水凝胶抗菌辅料的制备方法
JPS62241932A (ja) 抗菌ならびに防カビ機能を有する高分子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020779A (zh) 一种可食抗菌包装膜的制备方法
JP2019504908A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組成物
CN102875758A (zh) 一种耐洗涤长效抗菌防霉海绵及其制备方法
KR102158145B1 (ko) 항균 섬유의 제조 방법
KR20130121504A (ko) 항균기능을 갖는 식물 재배용 항균볼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재배방법
KR20120122712A (ko) 항균성, 탈취성 및 원적외선 방사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 및 그 제조 방법
JPS60217247A (ja) 抗菌効力のある有機発泡体の製造方法
US20240336757A1 (en) Antimicrobial copper based polyurethane
CN112831068B (zh) 新型抗菌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10845688A (zh) 一种竹炭记忆棉及其制备方法
KR101870257B1 (ko) 은나노입자가 담지된 바이오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459811A (zh) 抗菌聚氨酯泡沫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248827B (zh) 一种灭菌保鲜片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