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2383A - 선박의 폭발방지를 위한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폭발방지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의 폭발방지를 위한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폭발방지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2383A
KR20120122383A KR1020110040491A KR20110040491A KR20120122383A KR 20120122383 A KR20120122383 A KR 20120122383A KR 1020110040491 A KR1020110040491 A KR 1020110040491A KR 20110040491 A KR20110040491 A KR 20110040491A KR 20120122383 A KR20120122383 A KR 20120122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injection
tank
injection pipe
pipe
ball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0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2327B1 (ko
Inventor
이지형
정길주
김양규
이태진
한기훈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0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327B1/ko
Priority to PCT/KR2012/002559 priority patent/WO2012148095A2/ko
Priority to JP2014508279A priority patent/JP5592036B2/ja
Priority to EP12776002.3A priority patent/EP2703359A4/en
Priority to US14/114,081 priority patent/US20140048493A1/en
Publication of KR20120122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6Pressure conditions
    • C02F2301/066Overpressure, high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폭발방지를 위한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폭발방지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분해장치와 발라스트 탱크 간에 설치된 염소주입배관의 내부는 항상 양압이 유지되도록 하여 폭발위험구역으로부터 안전구역으로 누설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염소주입배관에 대한 길이를 최소화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발라스트 탱크로의 염소 주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은 선박의 폭발방지를 위한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폭발방지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가 내부에 설치된 선박에 있어서,발라스트 탱크가 설치된 폭발 위험 구역과 평형수 처리장치가 설치된 안전구역을 구획하는 격벽;상기 격벽을 직선으로 통과하여 평형수 처리장치와 발라스트 탱크를 연결하는 염소주입배관;상기 염소주입배관에 설치되며, 염소주입배관에 대한 운전이 정지되더라도 상기 염소주입배관으로 물을 유송하여 상기 염소주입배관 상에 양압(positive pressure)이 유지되도록 하는 가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선박의 폭발방지를 위한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의 폭발방지를 위한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폭발방지 제어방법{Electrolysis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for preventing exploding of ship and a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선박의 폭발방지를 위한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폭발방지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염소주입배관에 대한 유로를 최소화하고, 폭발위험구역으로부터의 안전구역으로 누설물이 역류되지 않도록 한 선박의 폭발방지를 위한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폭발방지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MO의 관련협약 채택에 따른 선박의 평형수 처리가 의무화가 기대됨에 따라 평형수(발라스트:BALLAST 수) 처리를 위한 여러 가지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평형수 처리를 하는 방식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해조에 바닷물을 흘리고 전극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면 양극에서 염소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평형수를 처리하는 것은 전해조에서 발생되는 염소(차아염소산)를 선박 평형수에 첨가하여 평형수 내에 존재하는 동물성 플랑크톤, 식물성 플랑크톤, 그리고 박테리아 등을 사멸하는 방식이다.
한편, 선박은 운송 매체에 따라 구분되어 지는 데, 가연성 가스가 발생되는 Cargo를 적재하는 선박(예컨대, Oil, gas, chemical를 싣고 다니는 탱크선, Coal를 운송하는 Bulk Carrier선 등)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에 의해 안전구역(A1)과 폭발위험구역(A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폭발 위험 구역(gas dangerous zone, A2)은, 그 구역 내에 사용되는 전기 장치 또는 기계 장치에 대하여 특별한 형식(type)을 사용하도록 요구된다.
그리고, 폭발 위험 구역(A2) 내에서도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Cargo Oil Tank(B1), Ballast Water Tank(B2), Pump Room(B3), Fuel Oil Tank(B4) 구역으로 나뉘어져 위험 구역의 등급이 다르게 정의된다.
한편, 상기 선박 내에도 평형수 처리를 위한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평형수 처리장치는 크게, 전기분해장치(10)와 이 전기분해장치(10)로부터 생성된 염소(차아염소산)가 유입되는 발라스트 탱크(B2)와, 전기분해장치(10)와 발라스트 탱크(B2)를 연결하는 염소주입배관(20)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전기분해장치(10)는 안전구역(A1)에 속하는 엔진룸에 설치되며, 발라스트 탱크(B2)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폭발위험구역(A2) 내에 설치된다.
그리고, 염소주입배관(20)은 폭발위험구역(A2) 내에 설치된 발라스트 탱크(B2)에 연결된다.
이때, 염소주입배관(20) 중, 안전구역(A1)과 폭발위험구역(A2)에 배치된 각각의 부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밸브(30)가 설치되어 폭발위험구역(A2)으로부터 안전구역(A1)으로 염소주입배관(20)을 따라 누설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평형수 처리장치는, 전기분해장치(10)로부터 생성된 염소가 염소주입배관(20)을 따라 발라스트 탱크(B2)에 유입되어 발라스트 수 내에 존재하는 생물들을 사멸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평형수 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폭발위험구역(A2)으로부터 누설물이 안전구역(A1)으로 전파되므로 인해, 안전구역(A1) 내에 설치된 전기분해장치(10) 등의 기계장치를 폭발시킬 수 있는 위험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물론, 체크밸브(30) 등을 설치하여 폭발위험구역(A2)으로부터의 누설물 역류를 차단하고 있기는 하지만, 상기한 체크밸브(30)만으로 안전구역(A1)으로의 누설물 전파를 막기에는 완벽하지 못하였으며, 이러한 설계는 선급에서도 불허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분해장치(10)를 선박의 갑판에 설치하거나, 염소주입배관(20)을 격벽(1)을 통해 발라스트 탱크(B2)에 바로 연결하지 않고 선박의 외부 갑판을 통해 우회하여 발라스트 탱크(B2)에 연결하였다.
하지만, 상기한 방안은 전기분해장치(10)가 설치된 구역으로부터 발라스트 탱크(B2)까지의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염소주입배관(20) 설치에 대한 어려움이 있고, 염소가 발라스트 탱크(B2)의 내부에 도달하는 시간이 길게 소요되어 기능상 어려움이 있었다.
나아가, 염소주입배관(20)의 설치를 위한 자재비 및 설치 비용이 증가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분해장치와 발라스트 탱크 간에 염소주입배관의 유로 길이를 최소화하고, 전기분해장치와 발라스트 탱크 사이의 유로에 가압장치를 설치하여 가압장치로 하여금 발라스트 탱크로의 유로에 양압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한 선박의 폭발방지를 위한 전기분해방식의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폭발방지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가 내부에 설치된 선박에 있어서,발라스트 탱크가 설치된 폭발 위험 구역과 평형수 처리장치가 설치된 안전구역을 구획하는 격벽;상기 격벽을 직선으로 통과하여 평형수 처리장치와 발라스트 탱크를 연결하는 염소주입배관;상기 염소주입배관에 설치되며, 염소주입배관에 대한 운전이 정지되더라도 상기 염소주입배관으로 물을 유송하여 상기 염소주입배관 상에 양압(positive pressure)이 유지되도록 하는 가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선박의 폭발방지를 위한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격벽을 사이에 두고, 폭발 위험 구역의 염소주입배관에는 발라스트 탱크로의 유체 유송을 제어하는 개폐밸브가 설치되고, 안전구역의 염소주입배관에는 체크 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가압장치는 체크밸브와 개폐밸브 사이에서 염소주입배관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장치는, 유입밸브가 설치되며 염소주입배관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개방형 탱크와, 개방형 탱크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와, 개방형 탱크와 염소주입배관을 연결하는 가압배관과, 가압배관에 설치되어 염소주입배관으로의 물 유송을 제어하는 가압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가압장치는, 유입밸브가 설치되며 염소주입배관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 밀폐형 탱크와, 밀폐형 탱크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와, 밀폐형 탱크와 염소주입배관을 연결하는 가압배관과, 가압배관에 설치되어 염소주입배관으로의 물 유송을 제어하는 가압밸브와, 밀폐형 탱크에 설치되어 밀폐형 탱크의 내부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센서 및 압축공기 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는 가압장치의 개방형 탱크에 물을 저수하는 저수단계;수위센서가 개방형 탱크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단계;염소주입배관의 관로를 개방하여 전기분해장치로부터 발라스트 탱크로 염소를 주입시키는 염소주입단계;발라스트 탱크에 염소 주입이 완료되면, 염소주입배관의 관로를 폐쇄하는 폐쇄단계;가압장치의 가압배관 관로를 개방하여 개방형 탱크의 물을 염소주입배관에 유송시키는 가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선박의 폭발방지를 위한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를 이용한 선박의 폭발방지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예는 가압장치의 밀폐형 탱크에 물을 저수하는 저수단계;수위센서가 밀폐형 탱크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단계;압축공기 공급장치 및 압력센서가 밀폐형 탱크의 내부 압력을 대기압보다 높게 유지시키는 압력유지단계;염소주입배관의 관로를 개방하여 전기분해장치로부터 발라스트 탱크로 염소를 주입시키는 염소주입단계;발라스트 탱크에 염소 주입이 완료되면, 염소주입배관의 관로를 폐쇄하는 폐쇄단계;가압장치의 가압배관 관로를 개방하여 밀폐형 탱크의 물을 염소주입배관에 유송시키는 가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선박의 폭발방지를 위한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를 이용한 선박의 폭발방지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폭발방지를 위한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폭발방지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발라스트 탱크로의 염소 주입이 완료되어 염소주입배관의 관로가 폐쇄되더라도, 염소주입배관에 설치된 가압장치가 물을 염소주입배관에 유송함으로써 상기 염소주입배관에는 양압이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염소주입배관 내에는 염소주입이 수행되거나 정지될 때 모두, 양압이 형성되므로, 폭발위험구역으로부터 누설물이 염소주입배관을 따라 안전구역으로 역류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폭발위험구역으로부터 누설물이 역류되어 기계장치를 폭발시키는 문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염소주입배관을 갑판에 설치한다든가 전기분해장치를 선박 갑판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효율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즉, 안전구역에는 전기분해장치가 설치되고, 격벽으로 구획된 폭발위험구역에는 발라스트 탱크가 설치된 상태에서, 전기분해장치에 설치된 염소주입배관을 격벽을 통과하여 발라스트 탱크에 바로 연결함으로써, 염소가 유송되는 유로의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재 비용이 절감되며, 배관에 대한 설치가 용이하고 배관을 따라 유송되는 염소가 발라스트 탱크에 신속하게 도달할 수 있는 기능상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a는 선박의 폭발위험구역과 안전구역을 나타낸 개략도
도 1b는 선박의 폭발위험구역을 구분하여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전기분해장치와 발라스트 탱크 사이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전기분해장치와 발라스트 탱크 사이에 설치된 염소주입배관의 설치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장치와 발라스트 탱크 사이에 설치된 염소주입배관의 설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폭발 방지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폭발 방지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폭발방지를 위한 전기분해방식의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이하, '평형수 처리장치'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평형수 처리장치는 전기분해장치(10)와, 발라스트 탱크(B2)와, 염소주입배관(20)과, 가압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기분해장치(10)는 해수를 전기분해하여 염소(차아염소산)를 생성하며, 안전구역(A1)에 설치된다.
그리고, 발라스트 탱크(B2)는 평형수를 수용하며, 폭발위험구역(A2)에 설치된다.
이때, 안전구역(A1)과 폭발위험구역(A2)은 격벽(1)에 의해 구획된다.
그리고, 염소주입배관(20)은 전기분해장치(10)로부터 생성된 염소가 발라스트 탱크(B2) 내로 유송되는 관로이며, 염소주입배관(20)의 일단부는 전기분해장치(10)에 연결되고 염소주입배관(20)의 타단부는 발라스트 탱크(B2)에 연결된다.
이때, 염소주입배관(20)은 유로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을 직선으로 바로 통과하여 발라스트 탱크(B2)에 연결이 된다.
염소주입배관(20) 중, 안전구역(A1)에 배치된 부위에는 체크밸브(30)가 설치되며, 폭발위험구역(A2)에 배치된 부위에는 개폐밸브(40)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가압장치(100)는 폭발위험구역(A2)으로부터 누설물이 안전구역(A1)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안전구역(A1)에 설치된다.
가압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염소주입배관(20)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발라스트 탱크(B2)로의 염소 주입이 정지되더라도, 상기 염소주입배관(20)의 내부에 양압(positive pressure)이 형성되도록 하여 폭발위험구역(A2)으로부터의 염소주입배관(20)을 통해 누설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장치(1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압장치(100)는, 발라스트 탱크(B2)로의 염소 주입이 정지되었을 때, 물을 염소주입배관(20)에 유송시켜 상기 염소주입배관(20)의 내부에 양압이 형성되도록 하며, 체크밸브(30)와 개폐 밸브(40) 사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염소주입배관(20)의 내부는 항상, 유체가 유송되고 있거나 머물러 있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폭발위험구역(A2)으로부터 누설물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누설물은 염소주입배관(20) 내의 유체에 의해 차단되어 안전구역(A1)으로 역류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가압장치(100)는 개방형 탱크(110)와, 수위센서(120)와, 가압 배관(130)과, 가압밸브(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개방형 탱크(110)는 물이 저수되는 부위로서, 개방형 탱크(110)의 일측에는 물이 유입되는 관로인 유입배관(111)과, 유입배관(111)을 개폐하는 유입밸브(112)가 설치된다.
이때, 개방형 탱크(110)는 염소주입배관(20)의 위치보다 높은 곳에 가압장치(100)가 설치될 경우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장치(100)가 염소주입배관(20)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야 할 경우에는 밀폐형 탱크를 포함하는 가압장치임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밀폐형 가압장치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개방형 탱크(110)에는 저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위센서(120)가 설치된다.
수위센서(120)는 개방형 탱크(110)로 유입된 물의 수위를 측정하여 일정량의 수위가 감지되면 제어부(미도시)로 하여금 유입밸브(112)를 off시켜 유입배관(111)의 관로를 폐쇄하도록 한다.
그리고, 가압배관(130)은 개방형 탱크(110)와 염소주입배관(20)을 연결하며, 개방형 탱크(110)의 물이 염소주입배관(20)으로 유송되는 관로 역할을 한다.
이때, 가압배관(130)에는 이 가압배관(130)의 관로를 개폐하는 가압밸브(140)가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형수 처리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가압장치(100)의 개방형 탱크(110)에 물을 저수시킨다.(S10)
이때, 제어부에 의해 유입밸브(112)는 on되어 유입배관(111)의 관로를 개방시키고, 가압밸브(140)는 off되어 가압배관(130)의 관로를 폐쇄시킨다.
이후, 유입배관(111)을 통해 개방형 탱크(110)로 물이 유입되면, 수위센서(120)는 개방형 탱크(110)의 수위량을 측정한다.(S30)
이후, 개방형 탱크(110)의 수위가 수위센서(120)에 의해 설정된 수위와 같거나 크면, 유입밸브(112)는 off되어 유입배관(111)의 관로를 폐쇄시키고, 개폐밸브(40)는 on되어 염소주입배관(20)의 관로 개방시킨다.(S50)
이후, 전기분해장치(10)로부터 생성된 염소는 염소주입배관(20)의 관로를 따라 발라스크 탱크(B2)에 유입된다.(S70)
이후, 발라스트 탱크(B2)에 염소 주입이 완료되면, 개폐밸브(40)는 off되어 상기 개폐밸브(40)와 발라스트 탱크(B2) 사이의 염소주입배관(20) 관로를 폐쇄시킴으로써, 발라스트 탱크 내부로의 염소 유입은 정지된다.
이때, 가압밸브(140)는 on되어 가압배관(130)의 관로를 개방하고, 가압배관이(130)의 관로가 개방됨에 따라 개방형 탱크(110)에 저수된 물은 가압배관(130)을 따라 염소주입배관(20)에 유송된다.(S90)
이때, 가압장치(100)는 염소주입배관(2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물은 염소주입배관(20)에 자연유하식으로 유송하게 된다.
한편, 물은 개폐밸브(40)가 off되어 있기 때문에, 발라스트 탱크(B2)로 유입되는 것은 아니며, 가압배관(130)과 개폐밸브(40) 사이의 염소주입배관(20)에서 머물러 있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 물은 상기 염소주입배관의(20) 관로에 머무르면서 발라스트 탱크(B2)를 향한 양압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염소 주입에 대한 운전이 정지되어 염소주입배관(20)의 관로 내부가 빈 상태라 하더라도, 가압장치(100)는 염소주입배관(20)의 관로에 물을 유송함으로써 염소주입배관(20)의 관로에는 항상 물이 차 있게 되어 양압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발라스트 탱크(B2)가 설치된 폭발위험구역(A2)으로부터 누설물이 발생하더라도 염소주입배관(20)을 따라 누설물이 역류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폭발위험구역(A2)의 누설물이 안전구역(A1)으로 역류할 염려가 없기 때문에, 안전구역(A1)에 전기분해장치(10)를 설치할 수 있으며 격벽(1)을 통해 염소주입배관(20)을 발라스트 탱크(B2)에 직선으로 바로 연결할 수 있어 염소 주입에 대한 유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가압장치(100)가 염소주입배관(2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었을 경우의 예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선박 내부의 설치환경에 따라, 가압장치(100)가 염소주입배관(20)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압장치(100)가 염소주입배관(20)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가압장치(100)의 물을 자연 유하식이 아닌, 인위적으로 염소주입배관(20)에 유송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압력수단이 설치된 밀폐형 탱크가 제공되며,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형수 처리장치는, 전기분해장치(10)와, 발라스트 탱크(B2)와, 염소주입배관(20)과, 가압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가압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형 탱크(150)와, 수위센서(120)와, 가압배관(130)과, 가압밸브(140)와, 압력센서(160)와, 압축공기 공급장치(170)를 포함한다.
상기 밀폐형 탱크(150)의 내부 압력은 압력센서(160)와 압축공기 공급장치(170)에 의해 항상 설정 압력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밀폐형 탱크(150)의 내부에는 격막을 설치하여 공기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부식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형수 처리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가압장치(100)의 밀폐형 탱크(150)에 물을 저수시킨다.(S10)
이때, 유입밸브(112)는 on되어 유입배관(111)을 개방하고, 가압밸브(140)는 off되어 가압배관(130)을 폐쇄시킨다.
이후, 유입배관(111)을 통해 밀폐형 탱크(150)로 물이 유입되면, 수위센서(120)는 밀폐형 탱크(150)의 수위량을 측정한다.(S20)
이후, 밀폐형 탱크(150)의 수위가 수위센서(120)에 의해 설정된 수위와 같거나 크면, 유입밸브(112)는 off되어 유입배관(111)을 폐쇄시킨다.(S21)
이후, 압축공기 공급장치(170)를 통해 밀폐형 탱크(150)의 내부 압력을 높인다.
이후, 압력센서(160)는 밀폐형 탱크(150)의 내부 압력과 설정된 압력을 비교한다.(S23)
이후, 밀폐형 탱크(150)의 내부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높으면, 제어부로 하여금 염소주입배관(20)의 개폐밸브(40)를 on하여 염소주입배관(20)의 관로를 개방시킨다.(S24)
이후, 전기분해장치(10)로부터 생성된 염소는 염소주입배관(20)을 따라 발라스크 탱크(B2)에 유입된다.(S70)
이후, 발라스트 탱크(B2)에 염소 주입이 완료되면, 개폐밸브(40)는 off되어 발라스트 탱크(B2) 내부로의 유체 유입은 차단된다.
이때, 가압밸브(140)는 on되어 가압배관(130)의 관로를 개방시키고, 가압배관(130)의 관로가 개방됨에 따라 밀폐형 탱크(150)에 저수된 물은 가압배관(130)의 관로를 따라 염소주입배관(20)에 유송된다.(S90)
이때, 가압장치(100)가 염소주입배관(20)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밀폐형 탱크(150)의 내부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은 상태이기 때문에 물은 가압배관(10)의 관로를 따라 염소주입배관(20)에 유송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물은 염소주입배관(20)의 개폐밸브(40)가 off되어 있기 때문에, 발라스트 탱크(B2)로 유입되는 것은 아니며, 가압배관(130)과 개폐밸브(40) 사이의 염소주입배관(20) 내에 머무른 상태로서, 상기 염소주입배관(20)의 내부에 양압을 형성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발라스트 탱크(B2)가 설치된 폭발위험구역(A2)으로부터 누설물이 발생하더라도 염소주입배관(20)을 따라 누설물이 역류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폭발위험구역(A2)의 누설물이 안전구역(A1)으로 역류할 염려가 없기 때문에, 안전구역(A1)에 전기분해장치(10)를 설치할 수 있으며 격벽(1)을 통해 염소주입배관(20)을 발라스트 탱크(B2)에 직선으로 바로 연결할 수 있어 염소 주입에 대한 유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염소주입배관(20)에 대한 설치가 용이하고, 우회하여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배관 자재에 대한 소요가 최소화됨으로써 설치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염소주입에 대한 유로가 최소화됨으로써, 발라스트 탱크(B2)로의 염소 주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격벽 10 : 전기분해장치
20 : 염소주입배관 30 : 체크밸브
40 : 개폐밸브 100 : 가압장치
110 : 개방형 탱크 111 : 유입배관
112 : 유입밸브 120 : 수위센서
130 : 가압배관 140 : 가압밸브
150 : 밀폐형 탱크 160 : 압력센서
170 : 압축공기 공급장치
A1 : 안전구역 A2 : 폭발위험구역
B1 : 오일탱크 B2 : 발라스트 탱크
B3 : 펌프실 B4 : 연료탱크

Claims (6)

  1.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가 내부에 설치된 선박에 있어서,
    발라스트 탱크가 설치된 폭발 위험 구역과 평형수 처리장치가 설치된 안전구역을 구획하는 격벽;
    상기 격벽을 직선으로 통과하여 평형수 처리장치와 발라스트 탱크를 연결하는 염소주입배관;
    상기 염소주입배관에 설치되며, 염소주입배관에 대한 운전이 정지되더라도 상기 염소주입배관으로 물을 유송하여 상기 염소주입배관 상에 양압(positive pressure)이 유지되도록 하는 가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선박의 폭발방지를 위한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을 사이에 두고, 폭발 위험 구역의 염소주입배관에는 발라스트 탱크로의 유체 유송을 제어하는 개폐밸브가 설치되고, 안전구역의 염소주입배관에는 체크 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가압장치는 체크밸브와 개폐밸브 사이에서 염소주입배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폭발방지를 위한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장치는,
    유입밸브가 설치되며 염소주입배관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개방형 탱크와, 개방형 탱크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와, 개방형 탱크와 염소주입배관을 연결하는 가압배관과, 가압배관에 설치되어 염소주입배관으로의 물 유송을 제어하는 가압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폭발방지를 위한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장치는,
    유입밸브가 설치되며 염소주입배관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 밀폐형 탱크와, 밀폐형 탱크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와, 밀폐형 탱크와 염소주입배관을 연결하는 가압배관과, 가압배관에 설치되어 염소주입배관으로의 물 유송을 제어하는 가압밸브와, 밀폐형 탱크에 설치되어 밀폐형 탱크의 내부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센서 및 압축공기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폭발방지를 위한 전기분해방식의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
  5. 가압장치의 개방형 탱크에 물을 저수하는 저수단계;
    수위센서가 개방형 탱크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단계;
    염소주입배관의 관로를 개방하여 전기분해장치로부터 발라스트 탱크로 염소를 주입시키는 염소주입단계;
    발라스트 탱크에 염소 주입이 완료되면, 염소주입배관의 관로를 폐쇄하는 폐쇄단계;
    가압장치의 가압배관 관로를 개방하여 개방형 탱크의 물을 염소주입배관에 유송시키는 가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선박의 폭발방지를 위한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를 이용한 선박의 폭발방지 제어방법.
  6. 가압장치의 밀폐형 탱크에 물을 저수하는 저수단계;
    수위센서가 밀폐형 탱크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단계;
    압축공기 공급장치 및 압력센서가 밀폐형 탱크의 내부 압력을 대기압보다 높게 유지시키는 압력유지단계;
    염소주입배관의 관로를 개방하여 전기분해장치로부터 발라스트 탱크로 염소를 주입시키는 염소주입단계;
    발라스트 탱크에 염소 주입이 완료되면, 염소주입배관의 관로를 폐쇄하는 폐쇄단계;
    가압장치의 가압배관 관로를 개방하여 밀폐형 탱크의 물을 염소주입배관에 유송시키는 가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선박의 폭발방지를 위한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를 이용한 선박의 폭발방지 제어방법.
KR1020110040491A 2011-04-29 2011-04-29 선박의 폭발방지를 위한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폭발방지 제어방법 KR101212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491A KR101212327B1 (ko) 2011-04-29 2011-04-29 선박의 폭발방지를 위한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폭발방지 제어방법
PCT/KR2012/002559 WO2012148095A2 (ko) 2011-04-29 2012-04-05 선박의 폭발방지를 위한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폭발방지 제어방법
JP2014508279A JP5592036B2 (ja) 2011-04-29 2012-04-05 船舶の爆発防止のための電気分解方式のバラスト水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船舶の爆発防止制御方法
EP12776002.3A EP2703359A4 (en) 2011-04-29 2012-04-05 DEVICE FOR THE TREATMENT OF BALLAST WATER BY MEANS OF AN ELECTROLYSIS PROCEDURE FOR PREVENTING SHIP EXPLOS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REVENTION OF SHIP EXPLOSIONS THEREWITH
US14/114,081 US20140048493A1 (en) 2011-04-29 2012-04-05 Electrolysis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for preventing exploding of ship and a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491A KR101212327B1 (ko) 2011-04-29 2011-04-29 선박의 폭발방지를 위한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폭발방지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383A true KR20120122383A (ko) 2012-11-07
KR101212327B1 KR101212327B1 (ko) 2012-12-13

Family

ID=47072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491A KR101212327B1 (ko) 2011-04-29 2011-04-29 선박의 폭발방지를 위한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폭발방지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048493A1 (ko)
EP (1) EP2703359A4 (ko)
JP (1) JP5592036B2 (ko)
KR (1) KR101212327B1 (ko)
WO (1) WO201214809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768B1 (ko) * 2015-11-03 2017-10-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원격 제어 수중 로봇
CN105439066B (zh) * 2015-11-16 2017-11-10 聊城氟尔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无水氢氟酸卸车系统
KR101653666B1 (ko) * 2015-12-10 2016-09-02 (주) 테크로스 잠수형 펌프가 설치된 선박의 기관실 내 선박평형수 처리부를 갖는 선박평형수처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349B1 (ko) * 2002-01-23 2004-12-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발라스트 탱크의 침전물제거장치를 이용한 선박 발라스트 탱크내의 해양자생물 제거장치
CN1197786C (zh) * 2003-06-13 2005-04-20 大连海事大学 在船上输送压载水过程中杀灭生物的方法及设备
KR100542895B1 (ko) * 2003-12-22 2006-01-1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이용한 전해식 밸러스트수 처리방법및 처리장치
KR200350689Y1 (ko) 2004-02-09 2004-05-17 한국해양연구원 선박의 발라스트수 처리장치
JP5386690B2 (ja) * 2006-02-28 2014-01-15 三菱重工環境・化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の無害化処理装置及びこの装置をそなえた船舶
KR20080076176A (ko) * 2007-02-15 2008-08-20 켓리아주식회사 자동 세척 여과와 해수 전해 염소 주입기술 및 초음파를이용한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JP4509156B2 (ja) * 2007-09-13 2010-07-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
KR101004916B1 (ko) * 2008-08-22 2010-12-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부력 조절통을 갖는 선박
JP4813588B2 (ja) * 2009-09-29 2011-11-09 住友重機械マリ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バラスト水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03359A2 (en) 2014-03-05
JP2014513005A (ja) 2014-05-29
WO2012148095A2 (ko) 2012-11-01
US20140048493A1 (en) 2014-02-20
KR101212327B1 (ko) 2012-12-13
EP2703359A4 (en) 2014-11-19
JP5592036B2 (ja) 2014-09-17
WO2012148095A3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217497A (ja) 加圧貯蔵タンク設備
KR101212327B1 (ko) 선박의 폭발방지를 위한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폭발방지 제어방법
FI123162B (fi) Nestekaasun poistojärjestelmä, säiliö nestekaasun varastoimiseksi, menetelmä nestekaasusäiliön uusimiseksi ja menetelmä nestekaasusäiliön valmistamiseksi
JP2016223531A (ja) オフサイト型水素ステーション
KR20160101597A (ko) 평형수 처리 시스템
AU2009267650B2 (en) Salvaging device for dangerous chemical leak
KR20130053551A (ko) 수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849717B1 (ko) 멀티제어를 이용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KR20150146017A (ko) 수소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KR101816906B1 (ko)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KR20160064484A (ko)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KR101614585B1 (ko) 선박 평형수 처리 시스템의 전해조 해수 공급장치
CN205879456U (zh) 高压水密气密测试台
KR20220157125A (ko) 선박 평형수 처리 시스템
KR101566519B1 (ko) 관 이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KR20140091995A (ko) 선박 및 선박의 발라스트 워터 처리 방법
KR20170050715A (ko)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KR20170050714A (ko)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KR101802203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오일 배출 기능을 구비한 시일 포트 시스템
KR102259664B1 (ko) 선박 평형수 처리 시스템
KR20150127315A (ko)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KR101599943B1 (ko) 수소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CN110723253B (zh) 一种防倒灌装置及船舶
KR20160048479A (ko)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CN108633870B (zh) 应用于气打压载海工平台上的防海生物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