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2230A - 3차원 메쉬 원단을 포함하는 충격흡수용 매트 - Google Patents

3차원 메쉬 원단을 포함하는 충격흡수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2230A
KR20120122230A KR1020110040279A KR20110040279A KR20120122230A KR 20120122230 A KR20120122230 A KR 20120122230A KR 1020110040279 A KR1020110040279 A KR 1020110040279A KR 20110040279 A KR20110040279 A KR 20110040279A KR 20120122230 A KR20120122230 A KR 20120122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dimensional mesh
mesh fabric
layer
absorbing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0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윤정
임병호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0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2230A/ko
Publication of KR20120122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47C27/127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with reinforcement sheets, gr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4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with projections, depressions or cavities
    • A47C27/14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with projections, depressions or cavities inside the mattress or cush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2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both fibrous and foamed material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메쉬(mesh) 원단; 상기 3차원 메쉬 원단의 상부에 접합된 고분자 필름으로 이루어진 상부층; 및 상기 3차원 메쉬 원단의 하부에 접합된 부직포 또는 고분자 필름으로 이루어진 하부층;을 포함하는 충격흡수용 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매트는 중간재로 3차원 메쉬 원단을 포함하여 어린이 또는 유아가 바닥과 닿아서 생기는 충격을 완화시켜 인체를 보호하고 인체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소음을 최소로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매트는 마루 바닥용, 차량 바닥용, 차량 시트(Seat)용, 유아 놀이용, 또는 어린이 놀이용과 같이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3차원 메쉬 원단을 포함하는 충격흡수용 매트{Mat for absorbing shock comprising 3D mesh fabric}
본 발명은 충격흡수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 메쉬 원단을 포함하여 어린이 또는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충격에 의한 소음을 최소로 저감시킬 수 있는 충격흡수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레저 차량 보급율의 상승과 함께 가족단위의 여가활동이 증가하고, 유아들의 놀이방 확대 등으로 인해 유아용 또는 어린이용 매트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매트는 자동차 또는 건물의 실내에 사용되는데, 유아 또는 어린이의 하중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 및 구조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유아 또는 어린이용 매트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약 1~10㎜ 두께의 고분자 폼(Foam)을 열접착(Flame lamination) 또는 핫멜트 접착(Hotmelt lamination)로 여러 장 접합하여 약 2~40㎜ 두께의 적층 폼을 형성한다. 상기 적층 폼의 상부면에는 표면에 전사방식으로 문양이 인쇄된 고분자 필름을 열접착(Flame lamination)으로 접합하고, 상기 적층 폼의 하부면에는 부직포 또는 고분자 필름을 열접착(Flame lamination)으로 접합하여 3층 구조의 매트를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의 구조 및 방법으로 제조된 매트는 유아 또는 어린이의 충격을 흡수하는데 한계가 있고, 충격 흡수도가 낮아 소음을 줄이는데 있어서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있으며, 충격으로부터 인체를 온전하게 보호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종래의 고분자 폼을 중간재로 포함하는 매트보다 충격흡수율이 높아 충격 완화 기능과 소음 방지 기능이 향상된 충격흡수용 매트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3차원 메쉬(mesh) 원단; 상기 3차원 메쉬 원단의 상부에 접합된 고분자 필름으로 이루어진 상부층; 및 상기 3차원 메쉬 원단의 하부에 접합된 부직포 또는 고분자 필름으로 이루어진 하부층;을 포함하는 충격흡수용 매트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매트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3차원 메쉬 원단과 상부층의 사이 또는 상기 3차원 메쉬 원단과 하부층의 사이에 고분자 폼(foam)이 접합되어 형성된 중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매트는 중간재로 3차원 메쉬 원단을 포함하여 어린이 또는 유아가 바닥과 닿아서 생기는 충격을 완화시켜 인체를 보호하고 인체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소음을 최소로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매트는 마루 바닥용, 차량 바닥용, 차량 시트(Seat)용, 유아 놀이용, 또는 어린이 놀이용과 같이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매트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매트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매트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매트는 중간재로서 3차원 메쉬(mesh) 원단(10), 상기 3차원 메쉬 원단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층, 및 상기 3차원 메쉬 원단의 하부에 형성된 상부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매트에서, 3차원 메쉬 원단은 표면층(11), 이면층(12), 및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를 연결하는 파일사(14)에 의해 형성된 메쉬(mesh)층(13)으로 구성된다. 3차원 메쉬 원단은 통기성이 뛰어난 3층의 입체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향상된 쿠션감, 흡음 성능 및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3차원 메쉬 원단은 더블라셀(Double Raschel) 편직기, 모켓(Moqqette) 편직기, 또는 환편(Circular Knit)기 등을 통해 제직될 수 있으며, 이 중 더블라셀(Double Raschel) 편직기로 제직된 더블라셀 원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메쉬 원단은 더블라셀 3D 메쉬 원단, DNB 3D 메쉬 원단, DNB 스페이서 원단(DNB Spacer Fabric)으로도 불리운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메쉬 원단에서 표면층과 이면층은 원단의 형태를 지지하므로 20 내지 200 데니어의 원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원사의 굵기가 20 데니어 미만인 경우는 표면층의 지지성이 낮아 전체 원단이 완성되었을 때 원단 형태의 변형이 쉬울 염려가 있고, 200 데니어를 초과한 경우는 원단의 촉감이 거칠고, 안락감이 부족할 염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메쉬 원단에서 메쉬층을 형성하는 파일사는 10 내지 100 데니어의 모노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일사의 굵기가 10 데니어 미만인 경우 탄성의 회복이 느려 쿠션감이 느려질 수 있고, 100 데니어를 초과하는 경우 쿠션성 및 안락한 느낌이 발휘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메쉬 원단을 형성하는 재료는 천연 섬유, 합성 섬유, 재생 섬유 등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이중 합성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메쉬 원단은 나일론 섬유, 폴리염화비닐 섬유, 폴리올레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섬유,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섬유, 및 폴리아크릴계 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메쉬 원단은 그 두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제조 용이성 및 상품성 등을 고려할 때 1~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메쉬 원단을 제직하기 위한 더블라셀 편직기의 일반적인 예로는 스윙동작과 래핑동작으로 원사를 공급하는 6개의 가이드 바와, 이 가이드 바의 길이 방향 양쪽으로 각각 고정 배열되는 트릭 플레이트와, 이 트릭 플레이트의 각 일측에 배열되어 승강 작용하는 2열의 다수의 니들 바들과, 이 니들 바들을 사이에 두고 각 트릭 플레이트를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 작동하는 싱커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편침들의 승강 작동과 상호 작용하여 가이드 바 중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는 각각 2개의 가이드 바는 합포 편물지의 표면층과 이면층의 조직을 편성하고, 중앙에 위치하는 2개의 가이드 바는 메시구조을 편성하게 한다. 또한, 이 더블라셀 편직기는 메시구조을 편성하는 위첨사로 좁은 공간에서도 굴곡 및 변형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는 부드러운 실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메시구조을 편성하는 위첨사를 지지해 주는 트릭 플레이트를 단순한 판상으로 형성하거나 위첨사의 직경보다 약간 큰 정도의 홈을 편침에 대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3차원 메쉬(mesh) 원단과 일반적인 폴리에틸렌 폼(Foam)의 반복압축영구줄음율을 나타낸 것이다. 반복압축영구줄음율은 ASTM D395 방법에 의거하여 반복압축시험기로 측정하였으며, 반복압축영구줄음율이 작을수록 장기간 본래의 형태와 탄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시험편 구분 t0(㎜) t1(㎜) 반복압축영구줄음율(%)
3차원 메쉬 원단 13.00 12.38 4.77
3차원 메쉬 원단 3.00 2.85 5.00
3.00 2.71 9.67
* 반복압축영구줄음율(%) = (t0-t1)×100/t0
* t0 : 초기 시험편의 두께; t1 : 시험 후 시험편의 두께
상기 표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매트의 중간재로 사용되는 3차원 메쉬 원단은 동일 재료의 고분자 폼(Foam)에 비해 반복압축영구줄음율이 약 1/2 수준이며, 보다 향상된 충격 완화 기능 및 소음 저감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매트에서, 상부층은 3차원 메쉬 원단의 상부에 접합된 고분자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접합은 주로 열접착(Flame lamination) 또는 핫멜트 접착(Hotmelt lamination)에 의해 수행된다. 접합시 온도는 약 100~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층을 형성하는 고분자 필름의 재료는 크게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구성요소와의 접합성, 상품성, 경제성을 고려할 때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염화비닐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층의 표면에는 바람직하게는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사 등에 의해 문양이 인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매트에서, 하부층은 3차원 메쉬 원단의 하부에 접합된 부직포 또는 고분자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접합은 주로 열접착(Flame lamination) 또는 핫멜트 접착(Hotmelt lamination)에 의해 수행된다. 접합시 온도는 약 100~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층을 형성하는 고분자 필름의 재료는 크게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구성요소와의 접합성, 상품성, 경제성을 고려할 때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염화비닐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층의 표면에는 바람직하게는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사 등에 의해 문양이 인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매트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매트는 중간재로서 3차원 메쉬(mesh) 원단(10), 상기 3차원 메쉬 원단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층, 및 상기 3차원 메쉬 원단의 하부에 형성된 상부층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상기 3차원 메쉬 원단과 상부층의 사이 또는 상기 3차원 메쉬 원단과 하부층 사이에 형성된 중간층(40, 40')을 더 포함한다. 이하, 3차원 메쉬 원단, 상부층, 및 중간층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매트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매트에 비해 중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때, 상기 중간층은 3차원 메쉬 원단과 상부층의 사이에 고분자 폼(foam)이 접합되어 형성된 것(40)이거나 3차원 메쉬 원단과 하부층의 사이에 고분자 폼(foam)이 접합되어 형성된 것(40')이며, 바람직하게는 3차원 메쉬 원단과 상부층의 사이 및 3차원 메쉬 원단과 하부층의 사이에 각각 고분자 폼(foam)이 접합되어 형성된 것이다. 3차원 메쉬 원단 양면에 고분자 폼으로 이루어진 중간층이 형성되는 경우 충격흡수용 매트의 형태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고 장기간 사용시에도 충격 완화 기능 및 소음 저감 기능을 신뢰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중간층은 고분자 폼을 3차원 메쉬 원단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접합시킴으로서 형성되는데, 이때 접합 방법은 주로 열접착(Flame lamination) 또는 핫멜트 접착(Hotmelt lamination)에 의해 수행되며, 접합시 온도는 약 100~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폼을 형성하는 재료는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등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구성요소와의 접합성, 상품성, 경제성을 고려할 때 폴리에틸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매트는 도 2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3차원 메쉬(mesh) 원단과 중간층(즉, 고분자 폼) 사이에 고분자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3차원 메쉬 원단 표면의 온도를 약 160~190℃로 조정하고 여기에 수용성 고분자 수지를 도포하고 건조함으로써 고분자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고분자 코팅층은 다른 구성요소와의 접합성, 상품성, 경제성을 고려할 때 폴리에틸렌인 것이 바람직하다. 3차원 메쉬 원단 표면에 고분자 코팅층을 형성하고 고분자 코팅층 표면에 고분자 폼을 접합하는 경우 열접착(Flame lamination) 또는 핫멜트 접착(Hotmelt lamination) 과정이 보다 간편하게 되고 접합력도 보다 견고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매트의 용도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마루 바닥용, 차량 바닥용, 차량 시트(Seat)용, 유아 놀이용, 또는 어린이 놀이용 등과 같이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10 : 3차원 메쉬 원단 11 : 표면층 12 : 이면층 13 : 메쉬층 14 : 파일사 20 : 상부층 30 : 하부층 40, 40' : 중간층

Claims (14)

  1. 표면층, 이면층, 및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를 연결하는 파일사에 의해 형성된 메쉬(mesh)층으로 구성된 3차원 메쉬(mesh) 원단;
    상기 3차원 메쉬 원단의 상부에 접합된 고분자 필름으로 이루어진 상부층; 및
    상기 3차원 메쉬 원단의 하부에 접합된 부직포 또는 고분자 필름으로 이루어진 하부층;을 포함하는 충격흡수용 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메쉬 원단과 상부층의 사이에 고분자 폼(foam)이 접합되어 형성된 중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메쉬 원단과 하부층의 사이에 고분자 폼(foam)이 접합되어 형성된 중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매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메쉬 원단과 상부층의 사이 및 상기 3차원 메쉬 원단과 하부층의 사이에 각각 고분자 폼(foam)이 접합되어 형성된 중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매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 또는 하부층의 표면에는 문양이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매트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메쉬 원단은 두께가 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매트.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메쉬 원단은 더블라셀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매트.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메쉬 원단은 나일론, 폴리염화비닐,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매트.
  9.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필름은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염화비닐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매트.
  10.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폼은 폴리에틸렌 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매트.
  11.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폼은 열접착(Flame lamination) 또는 핫멜트 접착(Hotmelt lamination)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매트.
  12.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메쉬(mesh) 원단과 중간층 사이에 고분자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매트.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코팅층은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매트.
  14.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마루 바닥용, 차량 바닥용, 차량 시트(Seat)용, 유아 놀이용, 또는 어린이 놀이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매트.
KR1020110040279A 2011-04-28 2011-04-28 3차원 메쉬 원단을 포함하는 충격흡수용 매트 KR20120122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279A KR20120122230A (ko) 2011-04-28 2011-04-28 3차원 메쉬 원단을 포함하는 충격흡수용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279A KR20120122230A (ko) 2011-04-28 2011-04-28 3차원 메쉬 원단을 포함하는 충격흡수용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230A true KR20120122230A (ko) 2012-11-07

Family

ID=47508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279A KR20120122230A (ko) 2011-04-28 2011-04-28 3차원 메쉬 원단을 포함하는 충격흡수용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223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0151A (ko) 2014-04-17 2015-10-27 (주)동우산업 안전 방음 매트 소재의 제조 방법
KR20160002670U (ko) * 2015-01-22 2016-08-01 김정현 3차원 매쉬원단을 이용한 발목펌프
KR20180003551U (ko) * 2017-06-09 2018-12-19 노동욱 3d 매쉬 원단을 이용한 물충진방식 매트
KR102053059B1 (ko) * 2018-10-01 2019-12-06 주식회사 신라베딩 친환경 라텍스 3d 층간소음패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0151A (ko) 2014-04-17 2015-10-27 (주)동우산업 안전 방음 매트 소재의 제조 방법
KR20160002670U (ko) * 2015-01-22 2016-08-01 김정현 3차원 매쉬원단을 이용한 발목펌프
KR20180003551U (ko) * 2017-06-09 2018-12-19 노동욱 3d 매쉬 원단을 이용한 물충진방식 매트
KR102053059B1 (ko) * 2018-10-01 2019-12-06 주식회사 신라베딩 친환경 라텍스 3d 층간소음패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8475B2 (en) Skin material for interior material
KR101667516B1 (ko) 발포 성형용 부직포 적층체, 발포 성형용 부직포 적층체의 제조 방법, 부직포 적층체를 이용한 우레테인 발포 성형체 복합물, 차량용 시트, 및 의자
KR20110001360U (ko) 자발적 쿠션층이 형성된 인조가죽 카시트 원단
CZ6686U1 (cs) Distanční textilie
KR20120122230A (ko) 3차원 메쉬 원단을 포함하는 충격흡수용 매트
KR20080095891A (ko) 점탄성 폼 매트리스용 덮개
ES2753363T3 (es) Revestimiento para mueble acolchado
WO2013176176A1 (ja) 発泡成形用不織布積層体、該不織布積層体を用いたウレタン発泡成形体複合物、ならびに発泡成形用不織布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6216928A (ja) 衝撃緩和床材
JP2017202608A (ja) シート材
KR101102529B1 (ko) 시트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53782A (ko) 3차원 메쉬 원단을 포함하는 에어쿠션매트
KR200472331Y1 (ko) 자발적 쿠션층이 형성된 카시트 원단
KR200463114Y1 (ko)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를 이용한 쿠션 쇼파
CN216615003U (zh) 一种用于汽车坐垫和床垫上的3d冰丝间隔织网
WO2021177226A1 (ja) クッション材
JP6450976B2 (ja) 乗物用シート
JP2006109896A (ja) 敷きパッド
JP2004339652A (ja) 立体編物積層体
CN203399881U (zh) 床垫组合式叠层结构
JP2001314287A (ja) 車輌の座席シート用クッション体
KR100869375B1 (ko) 입체 직물형 쿠션재
KR101355184B1 (ko) 크루즈선박 내부마감용 안전원단의 제조방법
JP3130809U (ja)
JP3151737U (ja) 寝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