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2215A -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 - Google Patents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2215A
KR20120122215A KR1020110040260A KR20110040260A KR20120122215A KR 20120122215 A KR20120122215 A KR 20120122215A KR 1020110040260 A KR1020110040260 A KR 1020110040260A KR 20110040260 A KR20110040260 A KR 20110040260A KR 20120122215 A KR20120122215 A KR 20120122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tube body
degree
airway
dist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0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4271B1 (ko
Inventor
황성오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40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271B1/ko
Priority to US14/113,644 priority patent/US9364628B2/en
Priority to EP12777197.0A priority patent/EP2703032B1/en
Priority to PCT/KR2012/003305 priority patent/WO2012148226A2/ko
Priority to JP2014506343A priority patent/JP5756228B2/ja
Publication of KR20120122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02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M16/0418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integrated means for changing the degree of curvature, e.g. for easy intub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61M29/02Dilators made of swell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8Tubes; Storag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Endoscop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는, 환자의 기도를 유지하기 위한 중공 원통 형상의 튜브 본체; 및 상기 튜브 본체가 삽입되는 상기 환자의 기도 굴곡도에 대응하여 시술자가 상기 튜브 본체의 굴곡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굴곡도 조절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굴곡도 조절 와이어는, 양단부가 각각 상기 튜브 본체의 원위부 및 근위부에 고정되어 상기 시술자가 상기 근위부를 굽히는 경우 상기 원위부가 당겨지면서 구부러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AN ENDOTRACHEAL TUBE WITH A CURVATUR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술자가 환자의 기관 안으로 기관튜브를 삽관한 상태에서 기도의 굴곡도에 따라 기관튜브의 자체 굴곡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관내삽관술(Endotracheal Intubation)은 호흡부전 또는 기도 폐쇄가 발생한 환자, 마취 등 호흡에 영향을 주는 조작이 필요한 환자에게 필수적으로 시행되는 기도유지방법이다.
이러한 기관내삽관술에는 기관내 튜브를 사용하며, 기관내 튜브는 주로 입(또는 코)을 통하여 구강-인두부-후두부-성문을 통과하여 기관 안으로 삽관되므로, 삽관 과정에서 통과하는 인체의 구조상 앞쪽으로 어느 정도의 굴곡(Curvature)된 모양으로 제작되어 있다.
기존에 기관내삽관술을 할 때에는 제작된 굴곡도보다 기관내 튜브가 더 구부러져야 기관으로의 삽관이 용이하기 때문에 통상 기관내 튜브 속에 비교적 강한 철심을 넣어 기관내 튜브를 더 구부린 상태에서 삽관을 시행한다.
하지만, 기존의 기관내 튜브는 내부에 철심을 넣어 사용하기 때문에 삽관 시술의 중도에 철심을 더 구부리거나 펼 수 없다. 즉, 기관내 튜브를 기관 안으로 삽관한 상태에서는 철심을 구부릴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철심으로 유지된 굴곡도가 환자에게 적합하지 않으면 기관내 튜브를 다시 꺼내어 굴곡도를 조절하여야 하므로, 기관내 삽관을 지연시키고 환자를 위험에 빠뜨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철심이 기관내 튜브의 밖으로 노출될 경우에는 기관을 찔러 심각한 손상 또는 출혈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관내삽관이 이루어진 후에는 철심을 제거하여야 하며, 철심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기관내 튜브가 기관으로부터 빠져나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환자의 기관 안으로 기관튜브를 삽관한 상태에서 기도의 굴곡도에 따라 기관튜브의 자체 굴곡도를 조절하면서도 기관의 손상 및 출혈 방지, 기관내삽관의 반복시도 가능성 및 시술 시간을 줄여 기관내삽관술의 시술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굴곡도의 조절의 가능한 기관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관내삽관이 이루어진 후에는 철심을 제거하여야 하며, 철심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기관내 튜브가 기관으로부터 빠져나올 수도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환자의 기도를 유지하기 위한 중공 원통 형상의 튜브 본체; 및 상기 튜브 본체가 삽입되는 상기 환자의 기도 굴곡도에 대응하여 시술자가 상기 튜브 본체의 굴곡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굴곡도 조절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굴곡도 조절 와이어는, 양단부가 각각 상기 튜브 본체의 원위부 및 근위부에 고정되어 상기 시술자가 상기 근위부를 굽히는 경우 상기 원위부가 당겨지면서 구부러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굴곡도 조절 와이어는, 상기 원위부의 일측 내주면에 고정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제1 결합부의 고정위치에 대해 엇갈리게 대향되도록 상기 근위부의 일측 내주면에 고정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튜브 본체의 중공 부분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브 본체는, 상기 굴곡도 조절 와이어의 조작에 따라 상기 원위부가 접히면서 구부러질 수 있도록 상기 원위부의 표면에 마련되는 제1 주름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브 본체는, 상기 굴곡도 조절 와이어의 조작에 따라 상기 근위부가 접히면서 구부러질 수 있도록 상기 근위부의 표면에 마련되는 제2 주름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근위부에 인접한 상기 굴곡도 조절 와이어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시술자가 손가락을 걸고 상기 굴곡도 조절 와이어를 당길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리 형상의 레버일 수 있다.
상기 원위부는 상기 환자의 기도에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하여 일단부가 테이퍼지도록 가공될 수 있다.
상기 환자의 기도에 삽입된 후 팽창됨으로써 상기 튜브 본체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원위부에 결합되는 벌룬(Balloo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튜브 본체에 마련되는 근위부의 변형된 굴곡도에 연동하여 근위부 방향으로 당겨지는 굴곡도 조절 와이어의 조작에 따라 원위부의 굴곡도를 조절하는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를 제공함으로써, 기관내삽관술의 시술시 기도 안으로 삽입되는 원위부의 굴곡도를 시술자의 마음대로 자유롭게 조절하면서도 기관의 손상 및 출혈 방지, 기관내삽관의 반복시도 가능성 및 시술 시간을 줄여 시술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의 굴곡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에 의한 기관내삽관술의 시술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의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의 굴곡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에 의한 기관내삽관술의 시술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에게 공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튜브 본체(110)와, 튜브 본체의 굴곡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굴곡도 조절 와이어(120)를 포함한다.
튜브 본체(110)는, 환자의 기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부에 원위부(112) 및 근위부(114)가 마련되는 구성이다.
원위부(112)는, 기관내삽관술시 환자의 기관을 통해 기도 안으로 삽입되도록 튜브 본체(110)의 일측에 일정길이로 형성되며 제1 주름관(112A)이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때, 원위부(112)의 일단부는 테이퍼지도록 가공된다. 즉, 원위부(112)의 일단부는 선단 측으로 테이퍼지도록 가공되며 이에 따라 원위부(112)는 환자의 기도 안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제1 주름관(112A)은, 원위부(112)가 굴곡도 조절 와이어의 조작에 따라 접히면서 구부러질 수 있도록 원위부(112)의 표면에 형성되며 벌룬(116)이 마련되는 구성이다. 즉, 제1 주름관(112A)은 굴곡도 조절 와이어(120)의 조작에 따라 접히면서 구부러지도록 변형되어 원위부(112)의 굴곡도를 자유롭게 조절한다.
여기서 제1 주름관(112A)이 굴곡도 조절 와이어(120)의 조작에 따라 접히면서 구부러지도록 변형되어 원위부(112)의 굴곡도가 조절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굴곡도 조절 와이어(120)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벌룬(116)은, 원위부(112)가 환자의 기도 안으로 삽입된 뒤 튜브 본체(1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원위부(112)에 마련된 제1 주름관(112A)의 표면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때, 벌룬(116)은 환자의 기도 안으로 삽입된 원위부(112)의 선단에 형성된다.
이러한 벌룬(116)은 튜브 본체(110)의 내주면을 따라 근위부(114)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공기호스(117)와 연결되며 공기호스(117)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된다. 이에 따라 벌룬(116)은 공기 주입에 의해 팽창되어 기도 내에 밀착되므로 원위부(112)가 기도 안으로 삽입된 뒤 튜브 본체(1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근위부(114)의 외부로 노출되는 공기호스(117)의 자유단에는 벌룬(116)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118) 및 주사기(119)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체크밸브(118) 및 주사기(119)는 벌룬(116)에 공기를 주입시 공기호스(117)에 결합되며 기관내삽관술의 시술완료 후 튜브 본체(110)를 기관에서 꺼낼 때에는 공기호스(117)로부터 분리된다. 이는 벌룬(116)에 주입된 공기를 공기호스(117)의 자유단부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근위부(114)는, 기관내삽관술시 굴곡도 조절 와이어(120)의 조작에 따라 굽힐 수 있도록 튜브 본체(110)의 타측에 일정길이로 형성되며 제2 주름관(114A)이 마련되는 구성이다.
제2 주름관(114A)은, 근위부(114)가 굴곡도 조절 와이어(120)의 조작에 따라 접히면서 구부러질 수 있도록 근위부(114)의 표면에 마련되는 구성이다. 즉, 제2 주름관(114A)은 근위부(114)를 접히면서 구부러지도록 자유롭게 변형시켜 굴곡도 조절 와이어(120)를 조작한다.
여기서 제2 주름관(114A)이 굴곡도 조절 와이어(120)를 조작하도록 근위부(114)를 굽히는 경우 원위부(112)의 굴곡도가 조절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굴곡도 조절 와이어(120)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굴곡도 조절 와이어(120)는, 시술자가 튜브 본체(110)의 굴곡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 원위부(112)에 고정되는 제1 결합부(122)와, 제1 결합부(122)의 고정위치에 대해 엇갈리게 대향되도록 근위부(114)에 고정되는 제2 결합부(124)와, 제1 결합부(122) 및 제2 결합부(124)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126)와, 제2 결합부(124)에 마련되는 레버(128)를 포함한다.
제1 결합부(122)는, 원위부(112)의 일측 내주면에 고정되는 구성이다. 즉, 제1 결합부(122)는 원위부(112)의 일측 내주면 상부에 고정된다,
제2 결합부(124)는, 근위부(114)의 일측 내주면에 고정되는 구성이다. 즉, 제2 결합부(124)는 근위부(114)의 일측 내주면 하부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제1 결합부(122)의 고정위치에 대해 엇갈리게 대향되도록 고정되는 것이다.
연결부(126)는, 제1 결합부(122) 및 제2 결합부(124)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며 튜브 본체(110)의 중공 부분에 경사지게 배치된다.
즉, 연결부(126)는 제1 결합부(122) 및 제2 결합부(124)가 원위부(112) 및 근위부(114)에 대해 상호 엇갈리게 대향되도록 고정됨에 따라 원위부(112) 및 근위부(114) 사이에 형성되는 튜브 본체(110)의 중공 부분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다.
레버(128)는,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근위부(114)에 인접하는 굴곡도 조절 와이어(120)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구성이다. 즉, 레버(128)는 굴곡도 조절 와이어(120)에 마련된 제2 결합부(124)와 연결되어 튜브 본체(110)에 마련된 근위부(114)의 외부로 노출되며 시술자가 원위부(112)의 굴곡도 조절시 근위부(114)와 함께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레버(128)는 시술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판재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굴곡도 조절 와이어(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22)는 원위부(112)에 고정되고 제2 결합부(124)는 근위부(114)에 고정되어 근위부(114)의 변형에 의한 굴곡도에 따라 굴곡도 조절 와이어(120)를 연동시켜 원위부(112)의 굴곡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시술자가 근위부(114) 및 레버(128)를 파지한 상태에서 제2 주름관(114A)을 변형시켜 근위부(114)를 구부리게 되면 근위부(114)의 변형된 굴곡도에 따라 연동하는 굴곡도 조절 와이어(120)가 근위부(114)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에 따라 원위부(112)는 제1 주름관(112A)에 의해 접히면서 구부러지도록 변형되어 굴곡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굴국도 조절 와이어(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22)는 원위부(112)에 고정되고 제2 결합부(124)는 근위부(114)에 고정되지 않도록 결합되어 근위부(114)의 변형만으로 원위부(112)의 굴곡도 조절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 굴곡도 조절 와이어(120)를 직접 당김 조작하여 원위부(112)의 굴곡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레버(128)는 근위부(114)의 변형시 손가락을 걸어서 굴곡도 조절 와이어(120)를 당길 수 있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시술자가 근위부(114)를 변형시킴과 동시에 레버(128)를 당기게 되면 굴곡도 조절 와이어(120)가 근위부(114)의 변형과 동시에 변형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에 따라 원위부(112)는 제2 주름관(114A)에 의해 접히면서 구부러지도록 변형되어 굴곡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흡부전, 기도 폐쇄 및 마취 등 호흡에 영향을 주는 조작이 필요한 환자의 기도를 유지하기 위한 기관내삽관술을 시술하기 위하여, 시술자가 튜브 본체(110)의 근위부(114) 및 레버(128)를 파지한 상태에서 원위부(112)를 기관 안으로 삽입한다.
튜브 본체(110)의 원위부(112)가 기관 안으로 삽입되면, 시술자는 파지한 근위부(114)를 외력에 의해 변형시키는 동작에 따라 굴곡도 조절 와이어(120)를 조작하면서 기도의 굴곡도에 따라 원위부(112)의 굴곡도를 조절한다.
즉, 근위부(114)가 제2 주름관(114A)에 의해 접히면서 구부러지도록 변형되면, 굴곡도 조절 와이어(120)는 근위부(114)의 변형된 굴곡도에 연동하여 근위부(114)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에 따라 원위부(112)는 기관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주름관(112A)에 의해 굴곡도 조절 와이어(120)의 당김 방향으로 접히면서 구부러지도록 변형되어 기도의 굴곡도에 대응하는 굴곡도를 유지하도록 조절되는 것이다.
이러한 원위부(112)의 굴곡도 조절은 원위부(112)가 기도 안으로 삽입되기 전까지 계속 진행되며, 원위부(112)가 기도 안으로 안전하게 삽입되면 멈추게 된다.
튜브 본체(110)의 원위부(112)가 환자의 기도 안으로 삽입되면, 환자는 호흡부전, 기도 폐쇄 및 마취 등에 의한 호흡장애 발생시 튜브 본체(110)를 통해 안정적으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되므로 기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100)는, 튜브 본체(110)에 마련되는 근위부(114)의 변형된 굴곡도에 연동하여 근위부(114) 방향으로 당겨지는 굴곡도 조절 와이어(120)의 조작에 따라 원위부(112)의 굴곡도를 조절함으로써, 기관내삽관술의 시술시 기도 안으로 삽입되는 원위부(112)의 굴곡도를 시술자의 마음대로 자유롭게 조절하면서도 기관의 손상 및 출혈을 방지하며 기관내삽관의 반복시도 가능성 및 시술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튜브 본체(110)에 마련된 원위부(112)의 표면에 공기에 의해 팽창되는 벌룬(116)이 마련됨으로써, 원위부(112)가 환자의 기도 안으로 삽입된 뒤 공기 주입에 따라 벌룬(116)이 팽창되어 기도 내에 밀착되므로 환자의 기도유지 확보시 튜브 본체(1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10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기관내삽관술에 적용된 것을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튜브를 사용하여 기도를 유지하는 모든 전문기도유지술(Advanced)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기관튜브 110: 튜브 본체
112: 원위부 112A: 제1 주름관
114: 근위부 114A: 제2 주름관
116: 벌룬 120: 굴곡도 조절 와이어
122: 제1 결합부 124: 제2 결합부
126: 연결부 128: 레버

Claims (8)

  1. 환자의 기도를 유지하기 위한 중공 원통 형상의 튜브 본체; 및
    상기 튜브 본체가 삽입되는 상기 환자의 기도 굴곡도에 대응하여 시술자가 상기 튜브 본체의 굴곡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굴곡도 조절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굴곡도 조절 와이어는,
    양단부가 각각 상기 튜브 본체의 원위부 및 근위부에 고정되어 상기 시술자가 상기 근위부를 굽히는 경우 상기 원위부가 당겨지면서 구부러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도 조절 와이어는,
    상기 원위부의 일측 내주면에 고정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제1 결합부의 고정위치에 대해 엇갈리게 대향되도록 상기 근위부의 일측 내주면에 고정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튜브 본체의 중공 부분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본체는, 상기 굴곡도 조절 와이어의 조작에 따라 상기 원위부가 접히면서 구부러질 수 있도록 상기 원위부의 표면에 마련되는 제1 주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본체는, 상기 굴곡도 조절 와이어의 조작에 따라 상기 근위부가 접히면서 구부러질 수 있도록 상기 근위부의 표면에 마련되는 제2 주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근위부에 인접한 상기 굴곡도 조절 와이어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시술자가 손가락을 걸고 상기 굴곡도 조절 와이어를 당길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리 형상의 레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부는 상기 환자의 기도에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하여 일단부가 테이퍼지도록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기도에 삽입된 후 팽창됨으로써 상기 튜브 본체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원위부에 결합되는 벌룬(Balloon)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
KR1020110040260A 2011-04-28 2011-04-28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 KR101274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260A KR101274271B1 (ko) 2011-04-28 2011-04-28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
US14/113,644 US9364628B2 (en) 2011-04-28 2012-04-27 Curvature-adjustable endotracheal tube
EP12777197.0A EP2703032B1 (en) 2011-04-28 2012-04-27 Curvature-adjustable endotracheal tube
PCT/KR2012/003305 WO2012148226A2 (ko) 2011-04-28 2012-04-27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
JP2014506343A JP5756228B2 (ja) 2011-04-28 2012-04-27 屈曲度の調節が可能な気管チューブ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260A KR101274271B1 (ko) 2011-04-28 2011-04-28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215A true KR20120122215A (ko) 2012-11-07
KR101274271B1 KR101274271B1 (ko) 2013-06-14

Family

ID=47072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260A KR101274271B1 (ko) 2011-04-28 2011-04-28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64628B2 (ko)
EP (1) EP2703032B1 (ko)
JP (1) JP5756228B2 (ko)
KR (1) KR101274271B1 (ko)
WO (1) WO201214822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3231A1 (ko) * 2018-01-19 2019-07-25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기도삽관 튜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9957B2 (en) * 2013-10-03 2018-12-11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Tracheal intubation system including a laryngoscope
CN104623781B (zh) * 2013-11-12 2017-06-16 田鸣 探条型气管导管
US9199051B2 (en) * 2014-02-12 2015-12-01 Anton BOOTH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n intubation
WO2017076654A1 (en) * 2015-11-06 2017-05-11 Desatnik Peter Endotracheal intubation device
EP3528878B1 (en) * 2016-10-21 2021-04-07 Through The Cords, LLC Articulating stylet for use with an endotracheal tube
GB2563567B (en) * 2017-05-05 2022-01-05 Flexicare Group Ltd Intubation devices
CN109045431B (zh) * 2018-09-06 2020-10-09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曲度可调节的气管插管
US11583168B2 (en) * 2018-11-08 2023-02-21 Thomas J. Viren Endotracheal tube system and method
US20200155780A1 (en) * 2018-11-15 2020-05-21 NevAp, Inc. Systems and devices for preventing occlusion of a suction line resident in a medical device
CN109771706A (zh) * 2019-01-17 2019-05-21 广东省人民医院(广东省医学科学院) 吸痰管
CN109925548B (zh) * 2019-04-17 2021-08-03 李宽正 微创转向软体吸引器
JP7432264B2 (ja) 2020-03-30 2024-02-16 ノースウェスタン ユニバーシティ 拡張可能な気管内チューブ
CN111658938B (zh) * 2020-04-30 2022-11-18 南通市第一人民医院 一种手动调整副通气管弯曲方向的双腔支气管导管
CN113274622A (zh) * 2021-04-27 2021-08-20 上海火点医疗器械有限公司 血管通路系统
CN117651581A (zh) * 2021-05-27 2024-03-05 声带通有限责任公司 用于定位管的系统、设备以及技术
KR102652251B1 (ko) * 2021-10-06 2024-03-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형상유지부재가 삽입배치된 후두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1402A (en) * 1948-01-13 1951-02-13 Curtis W Caine Endobronchial intubating stylet
US2975785A (en) * 1957-09-26 1961-03-21 Bausch & Lomb Optical viewing instrument
US3162214A (en) * 1963-01-16 1964-12-22 American Optical Corp Flexible tubular structures
US3773034A (en) * 1971-11-24 1973-11-20 Itt Research Institute Steerable catheter
US3906938A (en) * 1974-09-03 1975-09-23 Lake Region Manufacturing Comp Coil spring wire guide
US4150676A (en) * 1975-07-01 1979-04-24 National Catheter Corp. Endotracheal tubes with intubation direction control means
US4215703A (en) * 1978-08-29 1980-08-05 Willson James K V Variable stiffness guide wire
US4257421A (en) * 1979-01-10 1981-03-24 Health Development Corporation Gastro-intestinal tube guide and stiffener
US4329983A (en) * 1980-05-09 1982-05-18 Fletcher Thomas S Guide device for endotracheal tubes
US4622965A (en) * 1984-08-30 1986-11-18 Edward Teeple Endotracheal tube
US4589410A (en) * 1985-07-15 1986-05-20 Miller Larry S Endotracheal tube
US5125895A (en) * 1986-07-22 1992-06-30 Medtronic Versaflex, Inc. Steerable catheter
DK165771C (da) 1988-08-22 1993-06-14 Siemssen Siems J Endotracheal tube
US4958642A (en) * 1988-11-02 1990-09-25 Cardiometrics, Inc. Guide wire assembly with electrical functions and male and female connectors for use therewith
US5231989A (en) * 1991-02-15 1993-08-03 Raychem Corporation Steerable cannula
US6585717B1 (en) * 1999-06-15 2003-07-01 Cryocath Technologies Inc. Deflection structure
US6321749B1 (en) * 1999-09-27 2001-11-27 Merlyn Associates Inc Endotracheal tube with tip directional control and position preserving mechanism
CA2468108A1 (en) 1999-09-27 2003-06-05 Merlyn Associates, Inc. Endotracheal tube with tip directional control and position preserving mechanism
US6761171B2 (en) * 1999-09-27 2004-07-13 Andrew J. Toti Endotracheal tube with tip directional control and position preserving mechanism
KR20030003636A (ko) 2001-07-28 2003-01-10 (주) 리버스 기관삽입튜브
IS7278A (is) * 2001-11-26 2003-05-27 Merlyn Associates, Inc. Barkaslanga með stefnustjórnanlegum enda og stöðuhaldandi búnaði
AU2003297908A1 (en) * 2002-12-10 2004-06-30 Battelle Memorial Institute Articulated elements and methods for use
JP2006204464A (ja) 2005-01-26 2006-08-10 Satoshi Oshima 把持部の屈曲により植毛ブラシの傾動角を調整可能とする歯ブラシ
US7921847B2 (en) * 2005-07-25 2011-04-12 Intubix, Llc Device and method for placing within a patient an enteral tube after endotracheal intubation
US20070028923A1 (en) * 2005-08-08 2007-02-08 Patrick Souris Tip-laryngeal airway
US7918841B2 (en) * 2008-04-03 2011-04-05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Devices and methods for nasoenteric intubation
JP2011036489A (ja) 2009-08-13 2011-02-24 Machida Endscope Co Ltd 気道確保チューブ用の湾曲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3231A1 (ko) * 2018-01-19 2019-07-25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기도삽관 튜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56228B2 (ja) 2015-07-29
KR101274271B1 (ko) 2013-06-14
WO2012148226A3 (ko) 2013-03-07
EP2703032A2 (en) 2014-03-05
US20140041665A1 (en) 2014-02-13
EP2703032A4 (en) 2014-11-19
WO2012148226A2 (ko) 2012-11-01
US9364628B2 (en) 2016-06-14
EP2703032B1 (en) 2016-03-30
JP2014514115A (ja)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271B1 (ko)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
AU2014330888B2 (en) Artificial airway device
US8887716B2 (en) Supraglottic tube for inserting a larynx mask
US201502242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n intubation
ITMI972092A1 (it) Complessi di maschera laringea
TWI657839B (zh) 氣管
JP2006527027A (ja) 挿管装置
EP2898916B1 (en) A laryngeal mask with a bite absorbing connector
WO20190138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LEXIBLE CANDLE AND PEN FOR DIFFICULT INTUBATIONS
JP2010017297A (ja) 分離肺換気装置における可撓性チューブおよびこの可撓性チューブの挿入・引抜き方法
US20140228640A1 (en) Laryngeal Mask Assembly
US20180008307A1 (en) Tube introducers and assemblies
KR20190088668A (ko) 기도삽관 튜브
KR101647972B1 (ko) 기도삽관 튜브
KR101635443B1 (ko) 기도삽관 튜브
US20220096766A1 (en) Intub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N210673969U (zh) 可视侧方引导式气管导管套件
CN219271854U (zh) 一种用于困难气道的气管插管装置
US20160030697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ndotracheal tube placement
US20190247602A1 (en) Curve stabilizer for an endotracheal tube
CA3217617A1 (en) Endotracheal tube support devices
JP2018519927A (ja) チューブ導入具及びア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