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3636A - 기관삽입튜브 - Google Patents

기관삽입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3636A
KR20030003636A KR1020010045667A KR20010045667A KR20030003636A KR 20030003636 A KR20030003636 A KR 20030003636A KR 1020010045667 A KR1020010045667 A KR 1020010045667A KR 20010045667 A KR20010045667 A KR 20010045667A KR 20030003636 A KR20030003636 A KR 20030003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tube body
bending
cuff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주) 리버스
김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리버스, 김대영 filed Critical (주) 리버스
Priority to KR1020010045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3636A/ko
Publication of KR20030003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363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25Respiratory system
    • A61M2210/1032Trach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관삽입튜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튜브몸체의 하부를 유동적으로 구부릴 수 있는 튜브밴딩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환자의 후두부에 기관삽입튜브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기관삽입튜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몸체의 하부를 연성의 소재로 구비하되 조절수단에 의해 유동적으로 구부릴 수 있게 구비함으로써, 환자의 상태에 따라 튜브몸체를 적절하게 변형시킬 수 없었던 불편함과, 이로 인해 스타일릿(stylet)을 기관내에 삽입한 후 튜브몸체를 적절히 변형시켜서 삽입해야 했던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기관내 삽입이 어려운 환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삽관작업을 행함으로써, 스타일릿(stylet)의 사용빈도를 최소화시키고, 심혈관계 합병증과, 인후두, 성문, 기관부의 손상에 의한 2차적인 합병증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사용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관삽입튜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전신마취 상태나, 수술과정에서 환자에게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기도에 삽입되는 기관삽입튜브에 있어서, 상부가 강성의 소재로 구비하되, 그 상단부에 산소공급용 연결구(12)가 삽입되며, 하부가 소정의 힘에 의해 밴딩(bending)될 수 있도록 연성의 소재로 구비하되, 그 종단부에 공기압에 의해 팽창되어 기도벽을 압박하는 커프(14)가 형성된 튜브몸체(10)와; 상기 튜브몸체(1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튜브관(13)에 삽입된 커프신축관(17)을 통해 상기 커프(14)에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벨브(15)가 종단부에 연결된 인플렉팅튜브(16)와; 상기 튜브몸체(10)가 기도내로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튜브몸체(10)의 하부를 유동적으로 밴딩(bending)시키는 튜브밴딩 조절수단(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튜브밴딩 조절수단(20)은 상기 튜브몸체(10) 내부의 소정위치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관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에 상기 튜브몸체(10)의 외부로 돌출되어진 연결부재(22)가 구비된 작동레버 몸체(21)와; 상기 작동레버 몸체(21)의 연결부재(22)와 힌지(23)로 연결되며, 상기 힌지(23)를 축으로 회전시 소정의 조작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소정 형상으로 굴곡된 작동레버(24)와; 상기 작동레버(24)의 조작력으로 상기 튜브몸체(10)의 하부를 당길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작동레버(24)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튜브몸체(1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조절선(25)과; 상기 조절선(25)이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튜브몸체(1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조절관(26)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Description

기관삽입튜브{Intubation tube}
본 발명은 기관삽입튜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튜브몸체의 하부를 유동적으로 구부릴 수 있는 튜브밴딩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환자의 후두부에 기관삽입튜브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기관삽입튜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관삽입튜브는 자력으로 호흡을 못하는 환자들에게 호흡을 인위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관삽입튜브는 환자의 후두부에 삽입하여 외부에서 산소공급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한다.
종래의 인공호흡용 기관삽입튜브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몸체(100)의 상부에 공기주입부(102)가 일부 돌출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공기백(104)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공기백(104)은 상기 공기주입부(102)에 주사기(110)로써 공기가주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튜브몸체(100)의 상부 선단에 연결구(106)가 형성되어 외부 산소공급장치와 연결하도록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관삽입튜브는, 인체의 호흡부에 착용되므로 착용할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착용하기 전에환자에게 가능한 고통이 전달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기관삽입튜브는 변형이 불충분하여 목을 부상당하거나 목디스크 환자에게 착용할 때 어려움이 따랐다.
즉, 기관삽입튜브는 착용자의 목을 완전히 뒤로 젖힌상태에서 후두에 착용하여야 하나, 목디스크 환자는 목을 뒤로 젖힐 수 없으므로 변형이 어려운 기관삽입튜브를 제위치에 정확하게 삽입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에따라, 기관삽입튜브를 삽관시키기 위해 여러번 시도하거나, 스타일릿(stylet)을 집어 넣고 손으로 튜브를 적당시 변형시켜 삽관시킴으로써 심혈관계 합병증과, 인후두, 성문, 기관부의 손상에 의한 2차적인 합병증이 발생되는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치아가 불안한 환자나 고령환자에겐 튜브를 기관에 삽관할 때 치아손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몸체의 하부를 연성의 소재로 구비하되 조절수단에 의해 유동적으로 구부릴 수 있게 구비함으로써, 환자의 상태에 따라 튜브몸체를 적절하게 변형시킬 수 없었던 불편함과, 이로 인해 스타일릿(stylet)을 기관내에 삽입한 후 튜브몸체를 적절히 변형시켜서 삽입해야 했던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기관내 삽입이 어려운 환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삽관작업을 행함으로써, 스타일릿(stylet)의 사용빈도를 최소화시키고, 심혈관계 합병증과, 인후두, 성문, 기관부의 손상에 의한 2차적인 합병증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사용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관삽입튜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전신마취 상태나, 수술과정에서 환자에게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기도에 삽입되는 기관삽입튜브에 있어서, 상부가 강성의 소재로 구비하되, 그 상단부에 산소공급용 연결구(12)가 삽입되며, 하부가 소정의 힘에 의해 밴딩(bending)될 수 있도록 연성의 소재로 구비하되, 그종단부에 공기압에 의해 팽창되어 기도벽을 압박하는 커프(14)가 형성된 튜브몸체(10)와; 상기 튜브몸체(1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튜브관(13)에 삽입된 커프신축관(17)을 통해 상기 커프(14)에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벨브(15)가 종단부에 연결된 인플렉팅튜브(16)와; 상기 튜브몸체(10)가 기도내로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튜브몸체(10)의 하부를 유동적으로 밴딩(bending)시키는 튜브밴딩 조절수단(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튜브밴딩 조절수단(20)은 상기 튜브몸체(10) 내부의 소정위치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관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에 상기 튜브몸체(10)의 외부로 돌출되어진 연결부재(22)가 구비된 작동레버 몸체(21)와; 상기 작동레버 몸체(21)의 연결부재(22)와 힌지(23)로 연결되며, 상기 힌지(23)를 축으로 회전시 소정의 조작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소정 형상으로 굴곡된 작동레버(24)와; 상기 작동레버(24)의 조작력으로 상기 튜브몸체(10)의 하부를 당길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작동레버(24)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튜브몸체(1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조절선(25)과; 상기 조절선(25)이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튜브몸체(1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조절관(26)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관삽입튜브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관삽입튜브의 조절수단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관삽입튜브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기관삽입튜브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튜브몸체 12 : 연결구
13 : 튜브관 14 : 커프(cuff)
15 : 체크벨브 16 : 인플렉팅튜브(inflacting tube)
17 : 커프신축관 20 : 튜브밴딩 조절수단
21 : 직동레버 몸체 22 : 연결부재
23 : 힌지 24 : 작동레버
25 : 조절선 26 : 조절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기관삽입튜브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관삽입튜브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A-A" 확대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관삽입튜브의 조절수단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관삽입튜브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관삽입튜브는, 상단부에 산소공급용 연결구(12)가 삽입되며, 하단부에 소정의 공기압에 의해 팽창되어 기도벽을 압박하는 커프(cuff,13)가 구비된 튜브몸체(10)와, 상기 튜브몸체(1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튜브관(13)에 삽입된 커프신축관(17)을 통해 상기 커프(14)에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벨브(15)가 종단부에 연결된 인플렉팅튜브(inflating tube,16)와, 상기 튜브몸체(10)가 기도내로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튜브몸체(10)의 하부를 유동적으로 밴딩(bending)시키는 튜브밴딩 조절수단(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튜브몸체(10)의 상부를 강성의 소재로 구비하고, 하부를 후술할 작동레버(24)의 조작력에 의해 밴딩(bending)될 수 있도록 연성의 소재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체크벨브(15)는 상기 튜브몸체(10)를 통해 환자의 기관내로 공급된 공기의 역류현상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상기 인플렉팅튜브(16)의 선단에 연결되며, 상기 체크벨브(15)의 작동에 의해 역류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기관내에 공급되는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밴딩 조절수단(20)은 상기 튜브몸체(10) 내부의 소정위치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관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에 상기 튜브몸체(10)의 외부로 돌출되어진 연결부재(22)가 구비된 작동레버 몸체(21)와, 상기 작동체버 몸체(21)의 연결부재(22)와 힌지(23)로 연결되며, 상기 힌지(23)를 축으로 회전시 소정의 조작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자 형상으로 굴곡된 작동레버(24)와, 상기 작동레버(24)의 조작력으로 상기 튜브몸체(10)의 하부를 당길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작동레버(24)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튜브몸체(1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조절선(25)과, 상기 조절선(25)이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튜브몸체(1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조절관(26)으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레버 몸체(21)는 원관형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튜브몸체(10)에 억지끼워맞춤으로 삽입/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구(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및 마취제가 유동할 수 있게된다.
상기 조절선(25)은 "∨"자 형상으로 굴곡된 상기 작동레버(24)의 굴곡부의 좌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굴곡부의 우측을 손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작동레버(24)는 "a"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조절선(25)은 상기 튜브몸체(10)의 하부를 당기게 되어 "b"방향으로 밴딩(bending)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24)를 놓게 되면 상기 튜브몸체(10)의 자체 탄성에 의해 밴딩(bending) 부분이 원위치되면서 상기 조절선(25)이 상기 작동레버(24)를 당기게 되어 처음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튜브몸체(10)의 상부는 강성의 소재로 구비되어 상기 작동레버(24)의 조작을 지탱하게 되며, 하부는 연성의 소재로 구비되어 유동적으로 벤딩(bending)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사용순서에 따라 설명하면, 먼저, 환자의 구강을 통해 커프(cuff,14)가 구비된 튜브몸체(10)를 삽관하게 되는데, 이때 환자의 상태에 따라 작동레버(24)를 조작하게 된다.
상기 작동레버(24)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작동레버와 연결된 조절선(25)이 상기 튜브몸체(10)에 구비된 조절관(26)을 통해 유동하면서 상기 튜브몸체(10)의 하부를 소정각도로 밴딩(bending)시킨다.
여기서, 후두개의 길이가 길어서 커브형 후두경(curved type laryngoscope)으로 후두개의 거상이 불충분할 때에는 튜브몸체(10)의 종단부를 올림으로써 성문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환자의 성문부에 가장 가깝게 근접시키면서 삽관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몸체(10)의 하부를 밴딩시키는 정도는 상기 작동레버(24)를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굴곡부의 이격되는 각도(α:도면부호)와,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삽관과정이 끝나게 되면, 상기 튜브몸체(10)를 고정한 후, 산소 등 필요한 공기를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상기 체크벨브(15)를 통해 인플렉팅튜브(inflating tube,16)로 공급되면 상기 인플렉팅튜브(16)는 상기 튜브몸체(10) 내부의 커프신축관(17)과 일체로 매설되어 상기 커프(14)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공급된 산소 등의 공기는 상기 튜브몸체(10) 내의 커프신축관(17)을 경유하여 상기 커프(14)를 팽창시키게 된다.
상기 커프가 팽창함에 따라 기관 내부에서 적정의 압력을 유지하면서 밀착되어 식도나 위에 내용물의 폐흡인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튜브몸체의 하부를 연성의 소재로 구비하되 조절수단에 의해 유동적으로 구부릴 수 있게 구비하여, 환자의 상태에 따라 튜브몸체를 적절하게 변형시킴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하게 삽관작업을 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삽관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스타일릿(stylet)의 사용빈도를 최소화시키고, 심혈관계 합병증과, 인후두, 성문, 기관부의 손상에 의한 2차적인 합병증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사용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신마취 상태나, 수술과정에서 환자에게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기도에 삽입되는 기관삽입튜브에 있어서,
    상부가 강성의 소재로 구비하되, 그 상단부에 산소공급용 연결구(12)가 삽입되며, 하부가 소정의 힘에 의해 밴딩(bending)될 수 있도록 연성의 소재로 구비하되, 그 종단부에 공기압에 의해 팽창되어 기도벽을 압박하는 커프(14)가 형성된 튜브몸체(10)와;
    상기 튜브몸체(1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튜브관(13)에 삽입된 커프신축관(17)을 통해 상기 커프(14)에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벨브(15)가 종단부에 연결된 인플렉팅튜브(16)와;
    상기 튜브몸체(10)가 기도내로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튜브몸체(10)의 하부를 유동적으로 밴딩(bending)시키는 튜브밴딩 조절수단(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삽입튜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밴딩 조절수단(20)은,
    상기 튜브몸체(10) 내부의 소정위치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관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에 상기 튜브몸체(10)의 외부로 돌출되어진 연결부재(22)가 구비된 작동레버 몸체(21)와;
    상기 작동레버 몸체(21)의 연결부재(22)와 힌지(23)로 연결되며, 상기힌지(23)를 축으로 회전시 소정의 조작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소정 형상으로 굴곡된 작동레버(24)와;
    상기 작동레버(24)의 조작력으로 상기 튜브몸체(10)의 하부를 당길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작동레버(24)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튜브몸체(1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조절선(25)과;
    상기 조절선(25)이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튜브몸체(1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조절관(2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삽입튜브.
KR1020010045667A 2001-07-28 2001-07-28 기관삽입튜브 KR200300036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667A KR20030003636A (ko) 2001-07-28 2001-07-28 기관삽입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667A KR20030003636A (ko) 2001-07-28 2001-07-28 기관삽입튜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910U Division KR200249117Y1 (ko) 2001-07-02 2001-07-02 기관삽입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636A true KR20030003636A (ko) 2003-01-10

Family

ID=27717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667A KR20030003636A (ko) 2001-07-28 2001-07-28 기관삽입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363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7994A1 (en) * 2007-04-11 2008-10-23 Davis John J Atraumatic introducer for nasal endotracheal tubes and its method of use
WO2011025297A2 (ko) * 2009-08-27 2011-03-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삽관 튜브 가이드 장치
WO2012148226A3 (ko) * 2011-04-28 2013-03-0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
KR101357264B1 (ko) * 2012-10-17 2014-01-29 류현욱 개량된 기관 삽입용 튜브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7994A1 (en) * 2007-04-11 2008-10-23 Davis John J Atraumatic introducer for nasal endotracheal tubes and its method of use
US8561605B2 (en) 2007-04-11 2013-10-22 John J. Davis Atraumatic introducer for nasal endotracheal tubes and its method of use
WO2011025297A2 (ko) * 2009-08-27 2011-03-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삽관 튜브 가이드 장치
WO2011025297A3 (ko) * 2009-08-27 2011-07-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삽관 튜브 가이드 장치
KR101100785B1 (ko) * 2009-08-27 2012-01-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삽관 튜브 가이드 장치
WO2012148226A3 (ko) * 2011-04-28 2013-03-0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굴곡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관튜브
US9364628B2 (en) 2011-04-28 2016-06-14 Yonsei University Wonju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urvature-adjustable endotracheal tube
KR101357264B1 (ko) * 2012-10-17 2014-01-29 류현욱 개량된 기관 삽입용 튜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3218B2 (en) Tracheostomy tube
KR100821265B1 (ko) 후두 마스크 기도 장치
US6983744B2 (en) Perilaryngeal oral airway with temperature sensor
US4700700A (en) Endotracheal tube
US5024220A (en) Nasotracheal tube insertion connector
US7040312B2 (en) Perilaryngeal oral airway with flexible tip guide
US6196224B1 (en) Perilaryngeal oral airway
US7013899B2 (en) Perilaryngeal oral airway with multi-lumen esophogeal-obturator
JP2016105907A (ja) 人工気道装置
US20020010417A1 (en) Transpharyngeal tube
AU2014343497B2 (en) Airway tube
US7140369B2 (en) Tracheotomy endotracheal tube
KR20030003636A (ko) 기관삽입튜브
US20050133037A1 (en) Laryngeal mask assemblies
KR200249117Y1 (ko) 기관삽입튜브
KR20190088668A (ko) 기도삽관 튜브
US20230137005A1 (en) Reinforced medico-surgical tubes and their manufacture
KR20170027754A (ko) 기관내 튜브
GB2225955A (en) Pharyngeal airway
KR102559960B1 (ko) 기관삽관용 후두 마스크
CN2683167Y (zh) 囊中囊气管导管
KR20160134214A (ko) 기관내 튜브
CA2412474A1 (en) Artificial airway device and method of its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