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2105A -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 - Google Patents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2105A
KR20120122105A KR1020110040096A KR20110040096A KR20120122105A KR 20120122105 A KR20120122105 A KR 20120122105A KR 1020110040096 A KR1020110040096 A KR 1020110040096A KR 20110040096 A KR20110040096 A KR 20110040096A KR 20120122105 A KR20120122105 A KR 20120122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
capacitor
remaining life
switching elemen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0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문수
강병관
Original Assignee
디아이케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케이(주) filed Critical 디아이케이(주)
Priority to KR1020110040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2105A/ko
Publication of KR20120122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01R27/2605Measuring capacitan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G4/00 - H01G11/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에 관한 것으로, 콘덴서의 여수명을 예측하는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에 있어서, 인버터의 각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이미터간 전압의 파형을 각각 측정하는 파형 측정기, 상기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에 입력된 제어 신호 및 상기 스위칭 소자가 오프 되기까지의 시간인 트랜지스터 교체 시간 및 상기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이미터간에 저항 및 전해 콘덴서를 병렬에 접속하고 구성 되어 있는 베이스 드라이버 회로의 전해 콘덴서의 여수명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여수명 그래프를 저장하는 여수명 그래프 저장부, 상기 파형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전압 파형으로부터 각 스위칭 소자의 트랜지스터 교체 시간을 측정하고 이 트랜지스터 교체 시간과 상기 여수명 그래프 저장부에 저장된 여수명 그래프로부터 각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 드라이버 회로의 전해 콘덴서의 여수명을 각각 산출하는 여수명 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통상의 가동 상태와 유사한 상태에서 인버터 중의 6개의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이미터간 전압을 측정하여 여수명의 진단 하기 때문에 신뢰도의 높은 수명 진단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6개의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이미터간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단자를 인버터의 외부에 설치하으로 인버터내에 특별히 다른 회로를 추가하거나 종래의 회로를 변경할 필요 없이 콘덴서의 수명 진단을 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INVERTER INCLUDING LIFETIME ASSESSING DEVICE}
본 발명은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추가 회로를 구성하지 않고 콘덴서의 여수명을 측정할 수 있는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에 관한 것이다.
전해 콘덴서 등의 콘덴서는 각종 전자 회로에 수많이 사용 되었지만, 저항등의 다른 구성 부품과 비교한다면 비교적에 짧은 수명을 가지는 소모품이다. 특히,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교류 전동기를 제어하는 인버터 등의 전력 변환 장치에서 전해 콘덴서가 고장나면 주변 구성 부품에 치명적인 고장을 야기한다. 그 때문에 전력 변환 장치 등의 경우에 가동 시간이 일정 시간을 넘으면 여수명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전해 콘덴서를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는 오버 홀을 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오버 홀을 행하는 간격은 제품에 사용 되는 전해 콘덴서 중 가장 악조건으로 사용 되는 것에 맞춰 설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수명이 단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품에 사용되는 모든 전해 콘덴서를 일률적으로 교환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오버 홀을 행하기 위해 장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또, 오버 홀을 행하기 위해서는 장치를 장시간 정지시킬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도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때문에 제품에 사용되는 전해 콘덴서의 여수명을 측정할 수 있으면,특성이 떨어진 전해 콘덴서만을 교환 가능해지고, 오버 홀을 행하기 위한 적절한 시기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전해 콘덴서의 여수명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의 일 실시예로서 일본공개특허 1991-215800호 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의 콘덴서 수명 진단장치의 구성을 도 9에 도시하였다.
이 종래 예에서 모터(motor, 3)을 구동하기 위한 전력 변환 장치(2)에 공급되는 전압을 평활하기 위한 콘덴서(condenser, 5)의 열화를 진단장치(7)로 판단하는 것이다.
실제로 콘덴서(5)의 열화를 판단 시 SW2를 오프시켜 배터리(1)의 전압이 저항(4)를 이용하여 콘덴서(5)에 충전되게 한 뒤에 SW1을 온하면 진단 장치(7)에 SW1 투입 신호가 입력되고 진단 장치(7)은 전압 검출부(6)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인 콘덴서(5)의 전압을 측정한다. 그리고, 진단 장치(7)은 저항(4)를 이용하여 배터리(1)의 전압이 콘덴서(5)에 충전되는 충전 시간 Tc를 측정한다. 그리고, 진단 장치(7)에서는이 충전 시간 tc와 콘덴서(5)의 충전량이 떨어지지 않는 경우의 충전 시간을 산출한 기준시 사이의 시간 ts을 비교하여 콘덴서(5)의 열화를 판단한다.
종래의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에서는 콘덴서(5)에 전압을 강제적으로 인가하여 대상 콘덴서(5)의 양부를 진단한다. 그 때문에 제품에 사용된 모든 콘덴서의 양부 진단을 행하는 경우, 제품에 사용된 각각의 콘덴서에 대하여 측정 대상의 콘덴서 마다 수명 진단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충전시간만으로 양부판단을 하기 때문에 정전 용량이 떨어지는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할 수 없다. 또한, 본래의 동작에 필요하지 않은 SW2 및 저항(4)가 필요하고, 종래의 회로가 그대로 사용되므로 직류 전원과 접속 되어 있지 않은 콘덴서의 열화를 판단하려고 한다면,측정 대상 콘덴서에 직류 전원을 접속하지 않으면 안되고 추가적인 회로가 요구된다.
상술한 종래의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에서는 제품에 사용된 콘덴서의 여수명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회로의 변경 또는 추가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각 콘덴서 마다 여수명의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측정 대상이 많은 경우에는 진단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진단을 행하기 위한 특별한 회로의 변경 또는 추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인버터 등에 사용된 콘덴서의 여수명을 추정할 수 있는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 및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에 사용된 모든 콘덴서의 양부를 단시간에 진단할 수 있는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 및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덴서의 여수명 진단장치는, 콘덴서의 여수명을 예측하는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에 있어서, 인버터의 각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이미터간 전압의 파형을 각각 측정하는 파형 측정기, 상기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에 입력된 제어 신호 및 상기 스위칭 소자가 오프 되기까지의 시간인 트랜지스터 교체 시간 및 상기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이미터간에 저항 및 전해 콘덴서를 병렬에 접속하고 구성 되어 있는 베이스 드라이버 회로의 전해 콘덴서의 여수명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여수명 그래프를 저장하는 여수명 그래프 저장부, 상기 파형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전압 파형으로부터 각 스위칭 소자의 트랜지스터 교체 시간을 측정하고 이 트랜지스터 교체 시간과 상기 여수명 그래프 저장부에 저장된 여수명 그래프로부터 각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 드라이버 회로의 전해 콘덴서의 여수명을 각각 산출하는 여수명 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통상의 가동 상태와 유사한 상태에서 인버터 중의 6개의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이미터간 전압을 측정하여 여수명의 진단 하기 때문에 신뢰도의 높은 수명 진단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6개의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이미터간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단자를 인버터의 외부에 설치하으로 인버터내에 특별히 다른 회로를 추가하거나 종래의 회로를 변경할 필요 없이 콘덴서의 수명 진단을 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단상교류 또는 3 상 교류 전원(201)을 이용하여 교류 전동기(210)를 제어하기 위한 일반적인 시스템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200)을 접속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여수명 그래프 저장부(22)에 저장되는 여수명 그래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열화 시점 그래프 저장부(23)에 저장되는 열화 시점 예측 그래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200)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파형 측정기(21)로 측정되는 파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U 상의 양극측의 스위칭 소자(30)와 이 스위칭 소자(30)을 구동하기 위한 베이스 드라이버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전해 콘덴서(10)를 캐패시턴스 성분(11) 및 등가 직렬 저항(12)이 직렬 연결된 등가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종래의 콘덴서 수명 진단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단상교류 또는 3 상 교류 전원(201)을 이용하여 교류 전동기(210)를 제어하기 위한 일반적인 시스템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200)을 접속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상교류 또는 3 상 교류 전원(201)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은 컨버터(202)에 의하여 정류되고 직류 전원이 되고 평활 콘덴서(203)에 의하여 평활된다. 그리고,평활 콘덴서(203)에 의하여 평활되는 직류 전원은 인버터(204)에 의하여 스위칭 제어됨에 따라 교류 전원으로 변환되고 교류 전동기(210)에 공급된다.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200)는 인버터(204)를 구성하고 있는 6개의 스위칭 소자의 각각의 베이스-이미터간의 전압 측정 값에 따라 각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 드라이버 회로를 구성하는 전해 콘덴서의 여수명을 예측하고 진단 결과를 출력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형 측정기(21), 여수명 그래프 저장부(22), 열화 시점 그래프 저장부(23) 및 여수명 판단부(24)로 구성된다.
파형 측정기(21)는 인버터(204)에 있어서 6개의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이미터간 전압의 파형을 각각 측정하고 있다.
여수명 그래프 저장부(22)는 스위칭 소자의 트랜지스터 교체 시간 Tc와, 베이스 드라이버 회로를 구성하는 전해 콘덴서의 여수명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여수명 그래프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에서, 트랜지스터 교체 시간 Tc란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에 입력 되어 있는 제어 신호가 오프가 되고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이미터간 전압이 강압되어 스위칭 소자가 오프 상태가 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여수명 그래프 저장부(22)에 저장되는 여수명 그래프의 일례를 도 3에 도시하였다.이 여수명 그래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교체 시간 Tc가 길어진다면 콘덴서의 여수명이 지수 함수적으로 단축됨을 알 수 있다. 트랜지스터 교체 시간 Tc와 콘덴서의 여수명이 이와 같은 관계를 가지는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열화 시점 그래프 저장부(23)는 트랜지스터 교체 시간 Tc와 열화 시점과의 관계를 제품에 사용 되는 콘덴서의 특성 및 사용조건 각각에 대하여 열화 시점 예측 그래프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에서 열화 시점의 구체적인 값으로서는 tanδ 값이 있다. 또한, tanδ 이외에도 정전 용량이 규격 값으로부터 이탈된 정도를 열화 시점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열화 시점 그래프 저장부(23)에 저장되는 열화 시점 예측 그래프의 일례를 도 4에 나타낸다. 이 도 4에 도시한 그래프에는 콘덴서 C가 가장 짧은 가동 시간을 가져 열화 시점이 기준선 이하로 되어 교환이 필요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 그래프를 참조하면 트랜지스터 교체 시간 Tc를 알면 각 콘덴서의 열화 시점이 기준선에 대하여 어느 정도 잔존 시간이 있는지 알 수 있다. 일반적인 인버터에 있어서베이스 드라이버 회로의 전해 콘덴서의 수명이 가장 짧기 때문에 이 전해 콘덴서가 상기 콘덴서 C에 해당하고 콘덴서 B는 베이스 드라이버를 구성하는 전해 콘덴서 이외의 콘덴서에 해당한다.
여수명 판단부(24)는 파형 측정기(21)에 의하여 측정되는 전압 파형으로부터 각 스위칭 소자의 트랜지스터 교체 시간 Tc를 측정하여 이 트랜지스터 교체 시간 Tc와 여수명 그래프 저장부(22)에 저장 되어 있는 여수명 그래프로부터 각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 드라이버 회로의 전해 콘덴서의 여수명을 산출한다. 그리고, 이 여수명으로부터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 드라이버 회로의 전해 콘덴서의 교환 시기를 결정한다. 또한 ,여수명 판단부(24)는 트랜지스터교체 시간 Tc와 열화 시점 그래프 저장부(23)에 저장 되어 있는 열화 시점 예측 그래프로부터 베이스 드라이버회로 이외의 회로의 콘덴서의 열화 시점을 예측하고 이 열화 시점에 따라 베이스 드라이버 회로 이외의 회로의 콘덴서의 교환 시기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200)의 동작을 도 5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파형 측정기(21)의 인버터(204)에 있어서 6개의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이미터간 전압의 각각의 파형을 측정하고 여수명 판단부(24)에서는 이 전압 파형으로부터 트랜지스터 교체 시간 Tc의 측정한다(단계 101).
파형 측정기(21)로 측정되는 파형의 일례를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6은 U 상 양극측의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이미터간 전압의 파형 Pu를 실선으로 도시하였고, U 상 음극측의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이미터간 전압의 파형 Nu을 파선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다음으로 여수명 판단부(24)는 이 트랜지스터 교체 시간 Tc와 여수명 그래프 저장부(22)에 저장 되어 있는 여수명 그래프로부터 각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 드라이버 회로의 전해 콘덴서의 여수명을 산출한다(단계 102). 그리고,이 여수명에 따라 베이스 드라이버 회로의 전해 콘덴서의 교환 시기를 결정한다(단계 103). 이 교환시기의 결정은 여수명 판단부(24)가 행할수도 있고, 여수명 판단부(24)는 여수명을 진단 결과로 출력하고 외부의 장치가 이 여수명 시간에 따라 교환 시기를 결정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여수명 판단부(24)는 트랜지스터 교체 시간 Tc와 열화 시점 그래프 저장부(23)에 저장 되어 있는 열화 시점 예측 그래프로부터 베이스 드라이버 회로 이외의 회로의 콘덴서의 열화 시점의 예측을 행한다(단계 104).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열화 시점에 따라 베이스 드라이버 회로 이외의 회로의 콘덴서의 교환 시기를 결정한다(단계 105).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트랜지스터 교체 시간 Tc와 베이스 드라이버 회로의 전해 콘덴서의 여수명과의 관계가 도 3처럼 되는 이유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에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인버터(204)의 6개의 스위칭 소자 중 U 상의 양극측의 스위칭 소자만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여타의 스위칭 소자에 대해서도 동일한 회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한 회로도에서는 U 상의 양극측의 스위칭 소자(30)와 이 스위칭 소자(30)을 구동하기 위한 베이스 드라이버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였다. 스위칭 소자(30)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스위칭 소자(30)의 베이스에 입력 되어 있어 상기 베이스와 이미터간에는 저항(20) 및 전해 콘덴서(10)가 병렬 접속 되어 있다. 그리고,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200)는 인버터(204)에 설치되는 단자를 이용하여 스위칭 소자(30) 의 베이스-이미터간 전압을 측정하고 있다.
상기에서 콘덴서는 일반적으로 캐패시턴스 성분만 가지는 것이 아니고 그 외에 등가 직렬 저항이 존재한다. 그 때문에 도 7의 전해 콘덴서(10)를 캐패시턴스 성분(11) 및 등가 직렬 저항(12)이 직렬 연결된 등가 회로를 도 8에 도시하였다.
상기에서 캐패시턴스 성분(11)을 C로 표현하고, 등가 직렬 저항(12)의 저항치를 ESR로 표현한다면, tanδ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ω은 모서리 주파수이다.
콘덴서가 고장 또는 열화되는 경우 정전 용량의 변화량보다 tanδ의 증가량이 현저히 나타난다. 즉, 상기 수학식 1에 따르면, 콘덴서의 열화로 tanδ가 증가하는 경우 등가 직렬 저항 ESR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이 트랜지스터 교체 시간 Tc는 캐패시턴스 성분(11)에 저장되는 전하가 저항(20), 스위칭 소자(30)의 베이스-이미터간을 이용하여 방전되는 시간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저항(20)의 저항치를 R이라고 한다면 이 회로의 완화시간은 캐패시턴스 성분(11)의 용량 값 C와 등가 직렬 저항(12)의 저항 값 ESR과 저항(20)의 저항 값 R에 의하여 산출된다. 따라서 캐패시턴스 성분(11) 값이 낮아지고 등가 직렬 저항(12) 값이 증가하면 트랜지스터 교체 시간 Tc도 연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위칭 소자의 트랜지스터 교체시간 Tc는 전해 콘덴서(10)의 용량 성분 C와 등가 직렬 저항 ESR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200)에서는 스위칭 소자의 트랜지스터 교체시간 Tc를 측정하여 베이스 드라이버 회로를 구성하는 전해 콘덴서의 여수명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200)에 의하면 가장 스트레스가 걸리는 베이스 드라이버 회로의 전해 콘덴서의 수명 진단하고 베이스 드라이버 회로 이외의 회로의 콘덴서의 열화 시점을 판단하고 인버터(204), 컨버터(202) 등을 포함하는 제품 전체의 콘덴서의 열화 시점을 파악할 수 있어, 제품 자체의 수명을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인버터(204)에서 양극측의 스위칭 소자와 음극측의 스위칭 소자가 동시에 온되어 단락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파형에 있어서 U 상 양극측의 전압 Pu와 U 상 음극측의 전압 Nu가 동시에 하이(high) 상태에 있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베이스 드라이버 회로의 전해 콘덴서가 고장나는 트랜지스터 교체 시간 Tc가 길어지기 때문에 2개의 스위칭 소자가 동시에 온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가능성이 커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 드라이버 회로를 구성하는 전해 콘덴서의 열화를 이 트랜지스터 교체 시간 Tc를 측정하여 회로상의 실제 동작 여부를 확인하면서 전해 콘덴서의 수명의 예측을 할 수가 있고 신뢰도의 높은 수명 진단을 할 수가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통상의 가동 상태와 유사한 상태에서 인버터(204)중의 6개의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이미터간 전압을 측정하여 여수명의 진단 하기 때문에 신뢰도의 높은 수명 진단을 할 수가 있다.
또한, 6개의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이미터간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단자를 인버터(204)의 외부에 설치하으로 인버터(204)내에 특별히 다른 회로를 추가하거나 종래의 회로를 변경할 필요 없이 콘덴서의 수명 진단을 할 수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해 콘덴서의 여수명을 추정하는 경우만을 설명했지만,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전해 콘덴서 이외의 다른 콘덴서의 여수명을 추정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1: 배터리 2: 전력 변환 장치
3: 모터 4: 저항
5: 콘덴서 6: 전압 검출부
7: 진단 장치 10: 전해 콘덴서
11: 캐패시터 성분 12: 등가 직렬 저항
20: 저항 30: 스위칭 소자
21: 파형 측정기 22: 여수명 그래프 저장부
23: 열화 시점 예측 그래프 저장부 24: 여수명 판단부
200: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 201: 단상교류 또는 3 상 교류 전원
202: 컨버터 203: 평활 콘덴서
204: 인버터 210: 교류 전동기

Claims (1)

  1. 콘덴서의 여수명을 예측하는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에 있어서,
    인버터의 각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이미터간 전압의 파형을 각각 측정하는 파형 측정기;
    상기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에 입력된 제어 신호 및 상기 스위칭 소자가 오프 되기까지의 시간인 트랜지스터 교체 시간 및 상기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이미터간에 저항 및 전해 콘덴서를 병렬에 접속하고 구성 되어 있는 베이스 드라이버 회로의 전해 콘덴서의 여수명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여수명 그래프를 저장하는 여수명 그래프 저장부;
    상기 파형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전압 파형으로부터 각 스위칭 소자의 트랜지스터 교체 시간을 측정하고 이 트랜지스터 교체 시간과 상기 여수명 그래프 저장부에 저장된 여수명 그래프로부터 각 스위칭 소자의 베이스 드라이버 회로의 전해 콘덴서의 여수명을 각각 산출하는 여수명 판단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
KR1020110040096A 2011-04-28 2011-04-28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 KR20120122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096A KR20120122105A (ko) 2011-04-28 2011-04-28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096A KR20120122105A (ko) 2011-04-28 2011-04-28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105A true KR20120122105A (ko) 2012-11-07

Family

ID=4750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096A KR20120122105A (ko) 2011-04-28 2011-04-28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21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5312B2 (ja) 絶縁検出器及び電気機器
US8521459B2 (en) Capacitor's remaining lifetime diagnosing device, and electric power compensating device having the remaining lifetime diagnosing device
KR101668174B1 (ko) 전동기 제어 장치
KR101327591B1 (ko) 인버터의 직류링크 커패시터 진단장치
JP4535124B2 (ja) 電圧モニタ装置とそれを用いた蓄電装置
JP4807058B2 (ja) 車両用電源装置
JP4960022B2 (ja) 電池パックおよびその異常判定方法
JP4845613B2 (ja) 電力用コンデンサ寿命診断機能付き充電装置
KR101642329B1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방법
JP5230786B2 (ja) 二次電池の状態検知装置、二次電池の状態検知装置のための故障診断方法
JP4812368B2 (ja) 電力用コンデンサの寿命診断機能付き充電装置
JP5332062B2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およびバッテリの充電方法
JP4069373B2 (ja) コンデンサ寿命診断装置およびコンデンサ寿命診断方法
JP2006238514A (ja) 無停電電源装置
CN111443298A (zh) 测量组件、高压电池、机动车和用于确定复阻抗的方法
KR20120122105A (ko) 콘덴서 수명 진단 장치가 부가된 전력용 인버터
JP4389758B2 (ja) セル電圧バラツキ異常検出装置
JP2018127086A (ja) 地絡検出装置、電源システム
JP2018004523A (ja) コンデンサ状態判定装置
WO2019088264A1 (ja) 管理装置、蓄電装置、原因の解析方法、エンジン駆動車、電気自動車
KR20170059741A (ko) 인버터 직류 입력단 커패시터 진단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6690842B1 (ja) エレベータ主回路の診断装置
KR200161720Y1 (ko) 평활용 전해콘덴서의 열화진단장치
JP2017055620A (ja) 電力変換装置
JPH11289752A (ja) 電力変換装置用コンデンサの寿命予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