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0969A -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0969A
KR20120120969A KR1020127024758A KR20127024758A KR20120120969A KR 20120120969 A KR20120120969 A KR 20120120969A KR 1020127024758 A KR1020127024758 A KR 1020127024758A KR 20127024758 A KR20127024758 A KR 20127024758A KR 20120120969 A KR20120120969 A KR 20120120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opening degree
accelerator
accelerator opening
incr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4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1943B1 (ko
Inventor
시게유끼 사까구찌
마사오 시오미
마사히로 오모리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0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0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6/021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4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2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hand, foot, or like operator controlled initiation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28Foot operated
    • Y10T74/20534Accel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커지면,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베이스 답력을 증가시킨다.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의 증가에 대하여 페달 답력이 일정 비율로 증가하는 특성에 가까워지도록,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에 따라 페달 답력의 증가량을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증가함에 따라 베이스 답력의 증가 비율이 감소하는 위로 볼록한 특성의 기구를 사용한 경우에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증가함에 따라 답력 증가량을 증가시킨다. 반대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증가함에 따라 베이스 답력의 증가 비율이 증가하는 아래로 볼록한 특성의 기구를 사용한 경우에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증가함에 따라 페달 답력의 증가량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ACCELERATOR PEDAL FORC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입 반력[답력(踏力)]을 제어하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연비 향상을 도모하는 기술로서, 운전자가 필요 이상으로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답입한 경우에,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베이스 답입 반력(베이스 답력)에 대하여 소정의 증가량의 답력을 의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조작하는 운전자에 적당한 벽감을 부여하고, 연비가 좋은 운전 영역으로 유도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차량의 주행 환경을 사용하여 최적의 연료 소비율로 되는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최적 조작량(최적 답입량)을 연산하는 동시에, 연산된 최적 조작량을, 차량의 전방의 주행로의 형태에 따라 보정하고, 운전자가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답입하였을 때에, 이 보정 후의 최적 조작량의 근방에서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입 반력(답력)을 스텝적으로 증가시키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 1에 있어서는, 차량 전방의 주행로가 내리막길이나 만곡로일 때에, 상기 최적 조작량의 값이 작아지도록 보정하고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120339호 공보
액셀러레이터 페달에 베이스 답력을 부여하는 기구로서, 그 구조상,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조작량에 대하여 베이스 답력이 완전하게는 비례하지 않고,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증가함에 따라 베이스 답력의 증가 비율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특성의 것이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것을 사용한 경우에, 베이스 답력에 대하여 소정의 증가량만큼 페달 답력을 증가시켜, 운전자에 적당한 벽감을 부여한 후에도, 운전자가 더욱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밟아 늘려가는 경우에, 이하와 같은 문제가 새롭게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베이스 답력의 증가 비율이 감소하는 특성의 것에서는,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입 증가에 수반하여 토털의 페달 답력(베이스 답력+답력 증가량)이 감소하는 인상을 부여하고, 적당한 벽감을 운전자에 계속해서 부여할 수 없어, 예를 들어 연비가 나쁜 운전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운전자가 과도하게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밟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증가함에 따라 베이스 답력의 증가 비율이 증가하는 특성의 것에서는, 운전자에 대하여 과잉으로 페달 답력이 커진 인상을 부여해 버려, 바람직하지 않다. 즉, 기본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답력 제어 장치는, 운전자의 가속 조작의 도중에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력을 갑자기 크게 하게 되므로, 예를 들어 차량의 가속에 필요한 구동력이 비교적 큰 상황 등에서는, 운전자의 의도대로 가속을 실현할 수 없어 운전자에 불만을 부여하는 결과로 되기 쉽다. 또한, 단순히 가속 성능이 떨어지는 차량이라고 오해받게 될 우려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그 구조상,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조작량에 대하여 베이스 답력이 완전하게는 비례하지 않고,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증가함에 따라 베이스 답력의 증가 비율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특성의 것이라도, 답력 증가량을 적절하게 부여함으로써, 연비 효율에 관련된 인포메이션을 운전자에 정확하게 전달하여, 연비가 좋은 운전 영역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는, 차량의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조작에 의해 변화되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의 증가에 따라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베이스 답력을 증가시키는 베이스 답력 부여 수단과, 상기 액셀러레이터 개방도를 검지하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검지부(액셀러레이터 개방도 검지 수단)와, 상기 베이스 답력에 대하여 페달 답력을 증가시키는 페달 답력 증가부(페달 답력 증가 수단)를 갖고, 상기 페달 답력 증가부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의 증가에 대하여 페달 답력이 일정 비율로 증가하는 특성에 가까워지도록,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에 따라 페달 답력의 증가량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답력을 부여하는 기구가, 그 구조상,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증가함에 따라 베이스 답력의 증가 비율이 감소하는 특성의 것인 경우에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증가함에 따라, 페달 답력의 증가량을 증가시키면 된다. 반대로, 베이스 답력을 부여하는 기구가, 그 구조상,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증가함에 따라 베이스 답력의 증가 비율이 증가하는 특성의 것인 경우에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증가함에 따라, 페달 답력의 증가량을 감소시키면 된다.
전형적으로는, 차량의 운전 상태에 기초하여 연비 효율에 관련된 개방도 임계값을 설정하는 개방도 임계값 설정부(개방도 임계값 설정 수단)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상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큰지를 판정하는 판정부(판정 수단)를 갖고, 상기 페달 답력 증가부는, 상기 판정부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상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크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페달 답력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상,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조작량의 증가에 대하여 베이스 답력의 증가 비율이 비례하지 않는 것이라도,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증가함에 따라 페달 답력의 증가량을 변화시켜, 토털의 페달 답력의 증가 비율을 일정하게 근접시킴으로써, 페달 답력의 증가 후에 운전자가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더욱 밟아 증가시켜가는 경우라도, 적당한 벽감을 계속해서 부여할 수 있고, 연비 효율에 관련된 인포메이션을 운전자에 정확하게 전달하여, 연비 효율이 좋은 운전 영역을 폭넓게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답력 변경 기구의 개략과 함께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2는 답력 변경 기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베이스 답력이 위로 볼록한 특성으로 되는 기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4는 상기 제1 실시예의 베이스 답력의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도.
도 5는 상기 제1 실시예에 관한 페달 답력의 증가의 형태를 나타내는 특성도 (a) 및 타이밍 챠트 (b).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베이스 답력이 아래로 볼록한 특성으로 되는 기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7은 상기 제2 실시예의 베이스 답력의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도.
도 8은 상기 제2 실시예에 관한 페달 답력의 증가의 형태를 나타내는 특성도 (a) 및 타이밍 챠트 (b).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1 및 도 2는 장치 전체의 일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것이며, 베이스 답력을 부여하는 기구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6을 사용하여 후술한다.
이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는, 기본적으로는, 도시하지 않은 차량의 차체(1)에 설치된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조작 반력)을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량에 설치된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개방도(답입량)를 검지하는 수단과,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을 베이스 답력으로부터 변경하는 수단을 갖고,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개방도가 소정의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큰 영역에서는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을 베이스 답력보다도 증가시키는 것이다.
액셀러레이터 페달(2)은,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3) 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3)을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하도록 구성되고, 일단부가 차체(1)에 고정되는 동시에 타단부가 회전축(3)에 고정된 다양한 형태의 리턴 스프링(4)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폐쇄 방향으로의 반력이 주어지고 있다. 또한, 회전축(3)의 일단부가 차체(1)에 베어링(5)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한편, 회전축(3)의 타단부 부근에,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검지부(액셀러레이터 개방도 검지 수단)의 일례로서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입량(액셀러레이터 개방도)과 내연 기관(도시하지 않음)의 스로틀 밸브(도시하지 않음)의 개방도가 서로 연동하고,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입량에 따라 내연 기관의 스로틀 밸브 개방도가 증대된다. 즉,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에 따라 연료 분사량(나아가서는 연료 소비량)이 증대된다.
그리고 답력 변경 기구로서는, 회전축(3)의 회전에 마찰력을 부여하는 서로 대향한 한 쌍의 마찰 부재(7a, 7b)를 구비한 가변 마찰 플레이트(7)로 이루어지고, 한쪽의 마찰 부재(7a)는, 회전축(3)의 단부에 기계적으로 결합하여 설치되고, 다른 쪽의 마찰 부재(7b)는, 스플라인 등을 통해, 고정축(8)에, 축 방향 이동 가능 또한 비회전으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고정축(8)은, 차체(1)에 고정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찰 부재(7b)를 마찰 부재(7a)를 향해 가압하는 액추에이터(예를 들어 전자기 솔레노이드)(9)가 차체(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변 마찰 플레이트(7)는, 액추에이터(9)의 작동에 의해 마찰 부재(7b)를 축 방향(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 A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마찰 부재(7a)와 마찰 부재(7b) 사이의 마찰력을 가변적으로 제어한다. 이 액추에이터(9)의 작동은, 컨트롤 유닛(10)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9)의 작동을, 컨트롤 유닛(10)이 제어함으로써, 회전축(3)에 부여되는 마찰력, 나아가서는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입 시의 답력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유닛(10)에는,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개방도를 검지하는 상기한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6) 이외에, 차량의 기울기로부터 도로 구배를 검지하는 가속도 센서(11), 주위의 대기압을 검지하는 대기압 센서(12), 흡기 온도를 검지하는 흡기 온도 센서(13), 차속을 검지하는 차속 센서(14), 차량의 시트(도시하지 않음)에 내장되어 탑승원이 탑승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시트압 센서(15), 변속기의 변속비를 검지하는 기어 포지션 센서(16) 등의 각종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어 있고, 또한, 차량의 현재 위치와 이 현재 위치 부근의 지도 정보가 입수 가능한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17)으로부터의 정보 및 자차와 전방 차량 사이의 차간 거리를 검지하는 레이저 레이더(18)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어 있다.
또한, 변속기로서는, 예를 들어 변속비가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무단 변속기가 사용될 수 있지만, 유단 보조 변속 기구와 토크 컨버터를 조합한 형식의 자동 변속기나 수동 변속기 등이어도 된다. 또한, 무단 변속기의 경우에는, 입력축측 및 출력축측의 회전 속도의 비로서 변속비를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베이스 답력을 부여하는 기구(베이스 답력 부여부)의 제1 실시예로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증가함에 따라, 베이스 답력의 증가 비율이 감소하는 특성의 것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a)는 페달 스트로크가 작은 경우, 도 3의 (b)는 페달 스트로크가 큰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기구는, 지지점(21A)을 중심으로 요동하는 액셀러레이터 페달(2)(도 2 참조)의 패드(21)와, 이 패드(21)에 베이스 답력에 상당하는 스프링의 반력을 부여하는 스프링(22)을, 제1 링크(23)와 제2 링크(24)에 의해 연결한 구조로 되어 있다. 제1 링크(23)는, 일단부에서 패드(21)에 연결되고, 타단부에서 제2 링크(24)에 연결되어 있다. 제1 링크(23)와 패드(21)는 서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링크(23)와 제2 링크(24)는 서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링크(24)는, 지지점(24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차체측에 장착되어 있고, 이 지지점(24A)으로부터 한쪽으로 연장하는 제1 아암(24B)의 선단에서 제1 링크(23)와 연결되고, 지지점(24A)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연장하는 제2 아암(24C)의 선단에서 스프링(22)과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운전자가 소정의 조작력 F1(F1')으로 패드(21)를 답입하면, 제1 링크(23)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성분이, 제1 링크(23)가 제2 링크(24)를 압입하려고 하는 분력 F2로서 작용하고, 또한, 이 힘 F2 중, 제2 링크(24)의 제1 아암과 직교하는 방향의 성분이, 제2 링크(24)를 회전시키려고 하는 분력 F3A로서 작용하고, 이 힘 F3A에 의한 토크[제1 아암(24B)의 아암 길이×F3A]가, 스프링(22)의 스프링력 F3에 의한 토크[제2 아암(24C)의 아암 길이×F3의 제2 아암(24C)의 직교 방향 성분]와 균형이 잡히게 된다.
여기서, 운전자에 의한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조작량·답입량(페달 스트로크 또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라고도 함), 즉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경사 각도에 따라, F1과 F2가 이루는 각도 α1이나 F2와 F3A가 이루는 각도 α2가 변화됨으로써, 동등한 스프링(22)의 반력 F3과 균형이 잡히는데 필요한 운전자의 조작력 F1이 다른 것으로 된다. 또한, 실제로는 답력의 증가에 따라 스프링 반력 F3도 커져 가는 것이지만, 여기서는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조작량에 관계없이 동등한 스프링 반력 F3의 것으로서 설명한다.
이 제1 실시예에서는, 패드(21)의 페달 스트로크가 커질수록, 상기한 각도 α1', α2'가 작아지고(α1'<α1, α2'<α2), 답입력 F1'에 대한 분력 F2', F3A'의 비율이 커져 가므로, 답입력 F1'에 대하여 최종적으로 스프링력과 균형이 잡히는 힘 F3A'가 커지고, 동일한 스프링(22)의 반력 F3과 균형이 잡히는데 필요한 베이스 답력 F1'이 작아져 간다(F1>F1'). 이 결과, 도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페달 스트로크(액셀러레이터 개방도)의 증가에 따라 베이스 답력이 완전하게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증가함에 따라, 페달 답력의 증가 비율이 감소하는, 소위 위로 볼록한 특성의 것으로 된다. 또한, 이 도 4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의 특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고, 기본적인 답력, 즉 베이스 답력은, 개방도 증가 방향과 개방도 감소 방향에서 적당한 히스테리시스를 가지면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에 대하여 증가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도 증가 방향으로의 조작 시, 즉 답입 시에 소정의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 SL보다도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커지면,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을 베이스 답력보다도 스텝적으로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이 스텝적으로 증대됨으로써, 운전자에 적당한 벽감을 부여하여, 운전자에 의한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그 이상의 답입이 자연히 억제되고, 또한 동시에, 운전자에 대하여, 연료 소비율이 낮은(즉 연비가 좋은) 운전 상태로부터 연료 소비율이 높은(즉 연비가 나쁜) 운전 상태로 이행한 것을 확실하게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증가 방향에서의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력 증가는, 예를 들어,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조작 방향이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감소 방향으로 반전하였을 때에 즉시 해제하도록 해도 되고, 혹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상기한 소정 개방도 이하로 감소하였을 때에 해제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와 같이 베이스 답력이 위로 볼록한 특성으로 되는 기구를 사용하여, 페달 답력을 베이스 답력에 대하여 증가시키는 경우, 페달 답력 증가 후의 토털의 페달 답력(베이스 답력+답력 증가량)이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의 증가에 대하여 일정 비율로 증가하는 특성에 가까워지도록, 도 5의 파선 H1의 특성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정한 증가량 ΔF0을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의 증가에 따라 페달 답력의 증가량을 증가시켜 간다. 즉,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정한 증가량 ΔF0에 대하여,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추가의 증가량 ΔF1을 더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함으로써, 운전자에 대하여 페달 답력을 증가시킨 후에 운전자가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더 밟은 경우에, 페달 답력의 증가 비율이 감소함으로써 벽감이 상실되는 인상을 부여하는 것을 억제하고, 일정한 적당한 벽감을 계속해서 부여할 수 있으므로, 벽감이 상실되었다고 운전자가 느껴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불필요하게 많이 밟는 것이 억제되어, 이에 의한 연비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기구에서는, 비교적 큰 액셀러레이터 개방도로 되고나서 베이스 답력의 증가 비율이 커지는 경향에 있으므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개방도 임계값 SL보다도 큰 소정값 SL1에 도달하고나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의 증가에 따라 답력 증가량을 증대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임계값 SL을 초과하면 즉시 답력 증가량의 증가 비율을 증대시키도록 해도 된다.
도 6은 베이스 답력을 부여하는 기구(베이스 답력 부여부)의 제2 실시예로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증가함에 따라 페달 답력의 증가 비율이 증가하는 특성의 것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a)는 페달 스트로크가 작은 경우, 도 6의 (b)는 페달 스트로크가 큰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기구는, 지지점(31A)을 중심으로 요동하는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패드(31)와, 이 패드(31)와 풀리(32)를 연결하는 링크(33)와, 풀리(32)를 소정 방향(도면의 시계 방향 X와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34)을 갖고 있고, 이 스프링(34)의 스프링력 F5에 의해 베이스 답력 F4가 부여된다. 패드(31)와 링크(33)는 서로 요동하는 일이 없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운전자가 소정의 조작력 F4로 액셀러레이터 페달(2)을 답입하면, 풀리(32)의 접선 방향을 따르는 분력이, 링크(33)를 통해 풀리(32)를 소정 방향 X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 F5(F5<F4)로서 작용하고, 이 힘 F5와 스프링(34)의 스프링력이 균형이 잡히게 된다.
여기서,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답입량(페달 스트로크), 즉 경사 각도에 따라, 액셀러레이터 페달(2)을 답입하는 방향과 풀리(32)의 접선 방향이 이루는 각도 β가 변화되므로, 동일한 스프링(34)의 반력 F5와 균형이 잡히는데 필요한 운전자의 조작력 F4, 즉 베이스 답력이 다른 것으로 된다. 이 제2 실시예에서는, 패드(21)의 페달 스트로크가 커질수록, 상기한 각도 β가 각도 β'로 커지므로, 동일한 스프링(34)의 반력 F5와 균형이 잡히는데 필요한 베이스 답력 F4'도 커져 간다(F4<F4'). 이 결과,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페달 스트로크(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증가함에 따라, 페달 답력의 증가 비율이 증가하는, 소위 아래로 볼록한 특성의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 답력이 아래로 볼록한 특성으로 되는 기구를 사용하여, 페달 답력을 베이스 답력에 대하여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증가 후의 토털의 페달 답력(베이스 답력+답력 증가량)이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의 증가에 대하여 일정 비율로 증가하는 특성에 가까워지도록,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의 증가에 따라 페달 답력의 증가량을 감소시킨다. 즉,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정한 증가량 ΔF0에 대하여,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에 비례하는 감소량 ΔF2만큼 감소시켜 간다.
이러한 특성으로 함으로써, 운전자에 대하여 과잉으로 페달 답력이 커진 인상을 부여하는 일이 없이,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의 증가에 수반하여 일정한 비율로 답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적당한 벽감을 부여하면서, 페달 답력을 더하기 쉬운 것으로 되어, 운전자의 의도대로의 가속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페달 답력 증가 후에 페달 답력이 일정해지도록 제어하고 있지만,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로 볼록한 특성의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페달 답력 증가 전, 즉 페달 답력의 증가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상황이라도, 도 5의 1점 쇄선 P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의 증가에 따라 페달 답력이 일정 비율로 증가하도록, 페달 답력에 소정의 증가분 ΔP를 부여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운전자에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답입함에 따라 페달 답력이 가벼워지는 인상을 부여하여 운전자가 불필요하게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밟아 늘릴 우려가 있는 경우에, 페달 답력을 적절하게 증가시킴으로써, 이러한 운전자의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입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는, 내연 기관만을 구동원으로 하는 차량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Claims (4)

  1. 차량의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조작에 의해 변화되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의 증가에 따라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베이스 답력을 증가시키는 베이스 답력 부여부와,
    상기 액셀러레이터 개방도를 검지하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검지부와,
    상기 베이스 답력에 대하여 페달 답력을 증가시키는 페달 답력 증가부를 갖고,
    상기 페달 답력 증가부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의 증가에 대하여 페달 답력이 일정 비율로 증가하는 특성에 가까워지도록,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에 따라 페달 답력의 증가량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의 운전 상태에 기초하여 연비 효율에 관련된 개방도 임계값을 설정하는 개방도 임계값 설정부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상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큰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갖고,
    상기 페달 답력 증가부는, 상기 판정부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상기 개방도 임계값보다도 크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페달 답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답력 부여부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증가함에 따라 베이스 답력의 증가 비율이 감소하는 특성의 것이며,
    상기 페달 답력 증가부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증가함에 따라, 페달 답력의 증가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답력 부여부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증가함에 따라 베이스 답력의 증가 비율이 증가하는 특성의 것이며,
    상기 페달 답력 증가부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증가함에 따라, 페달 답력의 증가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
KR1020127024758A 2010-02-24 2011-01-13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 KR101431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38187 2010-02-24
JP2010038187 2010-02-24
PCT/JP2011/050438 WO2011105125A1 (ja) 2010-02-24 2011-01-13 アクセルペダル踏力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969A true KR20120120969A (ko) 2012-11-02
KR101431943B1 KR101431943B1 (ko) 2014-08-19

Family

ID=44506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758A KR101431943B1 (ko) 2010-02-24 2011-01-13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670913B2 (ko)
EP (1) EP2540549B1 (ko)
JP (1) JP5229424B2 (ko)
KR (1) KR101431943B1 (ko)
CN (1) CN102762404B (ko)
BR (1) BR112012020980A2 (ko)
IN (1) IN2012KN02714A (ko)
MX (1) MX2012009160A (ko)
RU (1) RU2526122C2 (ko)
WO (1) WO20111051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81321B2 (ja) * 2008-07-31 2014-01-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アクセルペダル踏力制御装置
WO2012111110A1 (ja) * 2011-02-16 2012-08-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制御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03996B2 (ja) * 2013-07-16 2015-11-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省燃費運転診断装置
CN104884293B (zh) * 2013-10-04 2016-06-08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辆用油门踏板装置
JP6197237B2 (ja) * 2014-09-16 2017-09-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変速制御装置
US9539998B2 (en) 2015-04-08 2017-01-1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control, response and energy management of a vehicle
JP6304513B1 (ja) * 2016-12-07 2018-04-0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制御装置
CN110062842B (zh) * 2016-12-07 2021-07-30 马自达汽车株式会社 车辆用控制装置
JP7287316B2 (ja) * 2020-03-10 2023-06-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制駆動力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3876B2 (ja) * 2002-12-06 2007-01-3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備えた車両
JP2005090347A (ja) 2003-09-17 2005-04-07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アクセルペダル装置
JP4367089B2 (ja) * 2003-10-30 2009-11-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アクセルペダル踏力制御装置
JP4020089B2 (ja) 2004-03-03 2007-12-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および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を備えた車両
JP4169022B2 (ja) 2005-08-05 2008-10-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および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を備える車両
JP2007076468A (ja) 2005-09-13 2007-03-29 Toyota Motor Corp 車両の制御装置
JP2007120339A (ja) 2005-10-26 2007-05-17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装置
JP4835539B2 (ja) * 2007-08-10 2011-1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駆動力制御装置
JP5232544B2 (ja) * 2008-06-20 2013-07-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アクセルペダル反力制御装置
JP5278161B2 (ja) 2008-07-29 2013-09-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アクセルペダル反力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526122C2 (ru) 2014-08-20
EP2540549A4 (en) 2014-01-01
KR101431943B1 (ko) 2014-08-19
IN2012KN02714A (ko) 2015-04-24
RU2012140498A (ru) 2014-03-27
JPWO2011105125A1 (ja) 2013-06-20
CN102762404A (zh) 2012-10-31
EP2540549A1 (en) 2013-01-02
EP2540549B1 (en) 2018-02-28
MX2012009160A (es) 2012-09-21
US20120304800A1 (en) 2012-12-06
US8670913B2 (en) 2014-03-11
CN102762404B (zh) 2015-05-13
WO2011105125A1 (ja) 2011-09-01
BR112012020980A2 (pt) 2016-05-03
JP5229424B2 (ja)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0969A (ko)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
JP5326805B2 (ja) アクセルペダル踏力制御装置
KR101383415B1 (ko)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력 제어 장치
US9068516B2 (en) Accelerator pedal reaction force control device
US20140109717A1 (en) Accelerator pedal reaction force control device
JP5481933B2 (ja) アクセルペダル踏力制御装置
JP2007076468A (ja) 車両の制御装置
KR101372078B1 (ko) 차량의 발진 제어 장치
JP7070325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5428314B2 (ja) アクセルペダル踏力制御装置
JP2013002384A (ja) アクセルペダル踏込反力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