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0655A -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0655A
KR20120120655A KR1020110038375A KR20110038375A KR20120120655A KR 20120120655 A KR20120120655 A KR 20120120655A KR 1020110038375 A KR1020110038375 A KR 1020110038375A KR 20110038375 A KR20110038375 A KR 20110038375A KR 20120120655 A KR20120120655 A KR 20120120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ptc
vehicle
air
discharg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8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2338B1 (ko
Inventor
오상호
정홍래
김태은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8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338B1/ko
Publication of KR20120120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0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1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source other than the propulsion plant
    • B60H1/03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source other than the propulsion plant from the cooling liquid of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n electric heating devi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Heaters using heating elements having a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2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gaseous material
    • H05B2203/023Heaters of the type used for electrically heating the air blown in a vehicle compartment by the vehicle heatin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로 토출될 공기의 목표 토출온도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PTC 히터와, 상기 PTC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목표 토출온도의 상한선 및 하한선을 설정하는 단계와, (b)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c)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기 목표 토출온도의 상한선 또는 하한선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PTC 히터 입력 듀티를 제어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목표 토출온도와 근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c)는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기 목표 토출온도의 상한선 또는 하한선에 도달할 경우, PTC 히터 입력 듀티를 일정 듀티값(ΔU, ΔD) 만큼 일시에 증가 또는 감소시킨 후 일정 비율로 점감 또는 점증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현재 토출온도가 목표 토출온도의 오차범위를 이탈할 경우 PTC 히터 입력 듀티를 순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킨 후 일정 비율로 점감 또는 점증시킴으로써 현재 토출온도와 목표 토출온도 간의 오차를 줄여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현재 토출온도가 목표 토출온도의 오차범위를 이탈할 경우 PTC 히터 입력 듀티를 순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킨 후 일정 비율로 점감 또는 점증시킴으로써 현재 토출온도와 목표 토출온도 간의 오차를 줄여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 측에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출구 측에는 복수의 공기토출구(12)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0)와,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1) 및 히터코어(2)와, 증발기(1)와 히터코어(2)의 사이에 설치되어 온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20)와, 공기토출구(12)에 설치되어 공조모드에 따라 공기토출구(12)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드도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된 컨트롤러와 각종 조절스위치(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며, 일 예로 템프도어(20)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템프스위치(미도시)와, 모드도어(30)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를 제어하여 공조모드를 조작하는 모드스위치(미도시)와, 풍량을 조절하기 위한 풍량스위치(미도시) 및 내기와 외기를 선택하기 위한 내외기스위치(미도시) 등 다양한 조절스위치가 있다.
이러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엔진에 의해 가열된 냉각수가 히터코어(2)를 순환하게 하여 난방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시동 초기에는 냉각수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냉각수를 이용한 난방을 할 수가 없다.
이에 따라 시동 초기의 난방을 위한 보조 난방장치로 배터리의 전기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난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PTC 히터(5)가 사용되고 있다.
PTC 히터(5)는 히터코어(2)의 하류측에 설치되며, 히터케이스의 내부에 복수개의 PTC 소자가 설치되고, 각 PTC 소자의 주위에는 복수의 방열핀이 설치되어 전열부를 형성함으로써, PTC 소자에 의해 발생된 열과 방열핀을 통과하는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PTC 소자는 각각의 회로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작동되며 각각의 용량은 균등하다.
또한, 복수개의 PTC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해 복수개의 릴레이(Relay)가 설치된다.
이러한 PTC 히터(5)는 복수개의 PTC 소자를 한꺼번에 온/오프시킬 경우, 차량 배터리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램프가 깜빡거리거나, 알터네이터가 소손되거나, 또는 배터리가 방전되는 현상이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통상 복수개의 PTC 소자가 사용될 경우 PTC 소자들을 순차적으로 온/오프시키는 제어방법을 적용하여 배터리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있다.
일예로, 난방 요구량이 저용량인 경우에는 하나의 PTC 소자만이 작동되고, 난방 요구량이 고용량인 경우에는 순차적으로 복수개의 PTC 소자가 모두 작동되는 것이다.
그러나, 근래에는 PTC 히터(5)의 온/오프를 릴레이 방식이 아닌 제어부를 통한 PWM(Pulse Width Modulation)신호 제어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PWM 방식이란 펄스 변조 방식의 하나로, 변조 신호의 크기에 따라서 펄스의 듀티비(duty rate)를 변화시켜 제어하는 방식을 말한다
즉, PWM 제어는 PTC 히터 입력 듀티 값을 제어하여 듀티의 증감에 따라 PTC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도 2는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에 따라 PTC 히터 입력 튜티 값이 변화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으로,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현재 토출온도가 목표 토출온도보다 낮을 경우 PTC 히터 입력 듀티를 증가시키고, 현재 토출온도가 목표 토출온도보다 높을 경우 PTC 히터 입력 듀티를 감소시켜 현재 토출온도와 목표 토출온도가 동일해지도록 PTC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PTC 히터 입력 듀티가 상승하더라도 현재 토출온도의 상승이 지연(도 2의 a구간)되고, PTC 히터 입력 듀티가 하강하더라도 현재 토출온도의 하강이 지연(도 2의 b구간)되어 차량 실내의 온도가 변화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탑승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현재 토출온도가 목표 토출온도의 오차범위를 이탈할 경우 PTC 히터 입력 듀티를 순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킨 후 일정 비율로 점감 또는 점증시킴으로써 현재 토출온도와 목표 토출온도 간의 오차를 줄여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실내로 토출될 공기의 목표 토출온도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PTC 히터와, 상기 PTC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목표 토출온도의 상한선 및 하한선을 설정하는 단계와, (b)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c)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기 목표 토출온도의 상한선 또는 하한선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PTC 히터 입력 듀티를 제어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목표 토출온도와 근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c)는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기 목표 토출온도의 상한선 또는 하한선에 도달할 경우, PTC 히터 입력 듀티를 일정 듀티값(ΔU, ΔD) 만큼 일시에 증가 또는 감소시킨 후 일정 비율로 점감 또는 점증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단계(c)는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기 목표 토출온도의 하한선에 도달할 경우, PTC 히터 입력 듀티를 일정 듀티값(ΔU) 만큼 일시에 증가시킨 후 일정 비율로 점감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c)는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기 목표 토출온도의 상한선에 도달할 경우, PTC 히터 입력 듀티를 일정 듀티값(ΔD) 만큼 일시에 감소시킨 후 일정 비율로 점증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c) 후, (d)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기 목표 토출온도와 근접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현재 PTC 히터 입력 듀티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현재 토출온도가 목표 토출온도의 오차범위를 이탈할 경우 PTC 히터 입력 듀티를 순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킨 후 일정 비율로 점감 또는 점증시킴으로써 현재 토출온도와 목표 토출온도 간의 오차를 줄여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공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에 따라 PTC 튜티 값이 변화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이 적용되어 PTC 듀티 값에 따라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변화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복수의 공기토출구(12)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0)와, 공조케이스(10)의 내부 공기통로 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증발기(1) 및 히터코어(2)와, 증발기(1)와 히터코어(2)의 사이에 설치되어 히터코어(2)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와 히터코어(2)를 통과하는 온풍통로의 개도를 조절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20)와, 공기토출구(12)에 설치되어 공조모드에 따라 공기토출구(12)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드도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템프도어(20)와 모드도어(30)는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에 설치된 엑츄에이터(미도시)로 구동되는 캠(미도시)이나 레버(미도시) 등에 연결되어 회전 작동하면서 상기 냉,온풍유로와 공기토출구(12)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템프도어(20) 및 모드도어(30)는 운전자가 인스트루먼트 패널(미도시)에 설치된 공조장치 제어용 컨트롤러(미도시)의 템프스위치와 모드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작동하게 된다.
또한, 공기유입구(11)측에는 블로어(미도시)가 설치되어 공조케이스(10)의 내부로 내,외기를 송풍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는 차량 시동 초기의 난방을 위한 보조 난방장치로 배터리의 전기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난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히터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히터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제어된다.
보조히터는 제어부에서 출력된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에 따라 발열량이 제어되는 PTC 히터(5)인 것이 바람직하다.
PTC 히터(5)는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서 히터코어(2)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히터케이스의 내부에 복수개의 PTC 소자가 설치되고, 각 PTC 소자의 주위에는 복수의 방열핀이 설치되어 전열부를 형성함으로써, PTC 소자에 의해 발생된 열과 방열핀을 통과하는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차량 실내로 온기를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는 사용자가 차량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목표 토출온도를 설정하면, 현재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온도와 목표 토출온도를 비교하고, 그 오차에 따라 제어부가 PTC 히터 입력 듀티를 제어하여 PTC 히터(5)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차량 실내로 목표 토출온도에 근접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가 작동되면, 다양한 차량 정보를 입력받아 차량 실내로 토출될 목표 토출온도와, 목표 토출온도의 상한선 및 하한선을 설정하게 된다.
그 후, PTC 히터(5)가 작동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
상기 단계(S1)의 판단 결과 PTC 히터가 작동되고 있는 경우,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현재 토출온도를 감지하여 이를 목표 토출온도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 현재 토출온도가 목표 토출온도의 상한선에 도달되었다면 PTC DOWN 신호를 출력하고, 현재 토출온도가 목표 토출온도의 하한선에 도달되었다면 PTC UP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
상기 단계(S2) 수행 결과 PTC UP 신호가 출력(S3)되었을 경우, 제어부는 PTC 히터 입력 듀티를 일정 듀티값(ΔU) 만큼 일시에 증가시킨 후 일정 비율로 점감시키도록 제어(S4)한다.
상기 단계(S4) 후, 출력된 PTC UP 신호를 해제(S5)함으로써 PTC 토출온도를 제어(S9)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PTC 히터 입력 듀티를 일시적으로 증가시키게 되면, PTC 히터(5)의 온도가 순간적으로 높아지게 되므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빠르게 변화되어 현재 토출온도가 목표 토출온도에 빠르게 근접하게 되고, 그 후 PTC 히터 입력 듀티가 점감되므로 현재 토출온도는 목표 토출온도와 근접한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도 4 참조)
상기 단계(S2) 수행 결과 PTC DOWN 신호가 출력(S6)되었을 경우, 제어부는 PTC 히터 입력 듀티를 일정 듀티값(ΔD) 만큼 일시에 감소시킨 후 일정 비율로 점증시키도록 제어(S7)한다.
상기 단계(S7) 후, 출력된 PTC DOWN 신호를 해제(S8)함으로써 PTC 토출온도를 제어(S9)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PTC 히터 입력 듀티를 일시적으로 감소시키게 되면, PTC 히터(5)의 온도가 순간적으로 낮아지게 되므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빠르게 변화되어 현재 토출온도가 목표 토출온도에 빠르게 근접하게 되고, 그 후 PTC 히터 입력 듀티가 점증되므로 현재 토출온도는 목표 토출온도와 근접한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도 4 참조)
여기서, 일시에 증가 또는 감소되는 일정 듀티값(ΔU, ΔD)은 동일하게 설정되지만, 때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단계를 수행 후, 현재 토출온도와 목표 토출온도를 비교하여 현재 토출온도와 목표 토출온도가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는 현재 PTC 히터 입력 듀티를 유지하고,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와 목표 토출온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S2)부터 순차적으로 일련의 단계들을 수행함으로써,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와 목표 토출온도가 근접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은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현재 토출온도가 목표 토출온도의 상한선 또는 하한선을 이탈할 경우 PTC 히터 입력 듀티를 순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킨 후 점감 또는 점증시킴으로써 현재 토출온도와 목표 토출온도 간의 오차를 줄여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1 : 증발기 2 : 히터코어
5 : PTC 히터 10 : 공조케이스
11 : 공기유입구 12 : 공기토출구
20 : 템프도어 30 : 모드도어

Claims (4)

  1. 차량의 실내로 토출될 공기의 목표 토출온도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PTC 히터(5)와, 상기 PTC 히터(5)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목표 토출온도의 상한선 및 하한선을 설정하는 단계와;
    (b)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c)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기 목표 토출온도의 상한선 또는 하한선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PTC 히터 입력 듀티를 제어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목표 토출온도와 근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c)는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기 목표 토출온도의 상한선 또는 하한선에 도달할 경우, PTC 히터 입력 듀티를 일정 듀티값(ΔU, ΔD) 만큼 일시에 증가 또는 감소시킨 후 일정 비율로 점감 또는 점증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기 목표 토출온도의 하한선에 도달할 경우, PTC 히터 입력 듀티를 일정 듀티값(ΔU) 만큼 일시에 증가시킨 후 일정 비율로 점감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기 목표 토출온도의 상한선에 도달할 경우, PTC 히터 입력 듀티를 일정 듀티값(ΔD) 만큼 일시에 감소시킨 후 일정 비율로 점증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 후,
    (d)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기 목표 토출온도와 근접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현재 PTC 히터 입력 듀티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10038375A 2011-04-25 2011-04-25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1282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375A KR101282338B1 (ko) 2011-04-25 2011-04-25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375A KR101282338B1 (ko) 2011-04-25 2011-04-25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655A true KR20120120655A (ko) 2012-11-02
KR101282338B1 KR101282338B1 (ko) 2013-07-04

Family

ID=47507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375A KR101282338B1 (ko) 2011-04-25 2011-04-25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3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333A (ko) * 2017-06-29 2019-01-0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1518217B2 (en) * 2017-06-29 2022-12-06 Hanon Systems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3790A (ja) 2006-04-12 2007-11-0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用ptcヒータの制御装置
KR20100037759A (ko) * 2008-10-02 2010-04-12 주식회사 두원공조 Ptc히터를 이용한 차량용 난방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333A (ko) * 2017-06-29 2019-01-0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1518217B2 (en) * 2017-06-29 2022-12-06 Hanon Systems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338B1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335127A (ja) 車両用電気機器制御装置
EP2602135B1 (en) Control of an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air reheating based 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olant flow control
US20120074118A1 (en) Vehicle Heating System and Method Using PTC Heater
US20150122473A1 (en) Vehicle air conditioner
JP2011068154A (ja) 車両用空調装置
JP7056777B2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空調システム
CN111032386A (zh) 车用空调装置
WO2007108066A1 (ja) 車両空調装置
KR101282338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JP5098948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53457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4293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7165142A (ja) 空調装置
KR20110136094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50044120A (ko)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JP2010105505A (ja) 車両用空調装置
JP5526675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210011194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15189422A (ja) 車両用冷房装置
JP7173456B2 (ja) 空調制御装置
JP2011068153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956179B1 (ko) 전기자동차 공조장치
KR10200367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5972084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2264637A (ja) 電気負荷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