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1194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1194A
KR20210011194A KR1020190088305A KR20190088305A KR20210011194A KR 20210011194 A KR20210011194 A KR 20210011194A KR 1020190088305 A KR1020190088305 A KR 1020190088305A KR 20190088305 A KR20190088305 A KR 20190088305A KR 20210011194 A KR20210011194 A KR 20210011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vehicle
minimum
electric heater
ptc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4040B1 (ko
Inventor
배상근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8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040B1/ko
Publication of KR20210011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1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14Heating or cooling details
    • B60H2001/00128Electric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2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heaters
    • B60H2001/223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heaters when vehicle is parked, prehe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PTC 전기히터의 제어구조를 개선함으로써, PTC 전기히터가 오프(OFF)된 상태에서 재작동될 시에, 특정 온도로의 발열온도 도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난방의 속효성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의 내부유로를 따라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 가열하는 증발기와 전기히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전기히터가 오프(OFF)될 시에, 미리 설정된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최소 발열모드로 진입하면서 전기히터의 오프(OFF)에 관계없이 전기히터가 미리 설정된 최소 온도로 발열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TC 전기히터의 제어구조를 개선함으로써, PTC 전기히터가 오프(OFF)된 상태에서 재작동될 시에, 특정 온도로의 발열온도 도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난방의 속효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차실내를 냉,난방하기 위한 공조장치가 설치된다. 공조장치는, 차실외의 온도에 따라 냉,온풍을 차실내에 공급하여 차실내의 온도를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킨다.
한편, 이러한 차량의 공조장치는, 차량내 설치공간의 효율성을 위해서 소형화, 슬림화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차량을 소형화하고, 탑승객의 편의성을 위해서 차실내 공간 확보가 절실히 요구되는 추세인데, 이러한 추세에 대응하여 공조장치를 소형화, 슬림화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되고 있다.
공조장치를 소형화, 슬림화하는 방법으로서, 공조케이스의 내부구조를 개선하여 불필요한 공간을 줄이는 방법이 있다.
특히,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 중, 특정 부품을 기능이 제한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삭제함으로써, 특정 부품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고, 이를 통해, 공조장치를 소형화, 슬림화할 수 있다.
그 일례로서, 차실내 토출공기온도 조절기능이 제한되지 않는 한도내에서 템프도어를 삭제하고, 이를 통해, 공조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줄여 공조장치의 소형화, 슬림화를 도모하는 템프도어리스(Temp Doorless)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차실내 토출공기온도를 제어하는 템프도어를 삭제하고, 템프도어의 토출공기온도 조절기능을 전기히터가 대신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전기히터의 발열온도를 가변 조절함으로써, 전기히터를 통과한 온풍이, 증발기를 통과한 냉풍과 믹싱되면서 차실내 토출공기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템프도어 없이도 차실내 토출공기온도를 가변 조절할 수 있고, 그 결과, 공조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줄여 공조장치의 소형화, 슬림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전기히터의 발열온도를 제어하여 차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구조이므로, 난방의 속효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공조장치의 전기히터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비(Duty Ratio:펄스폭의 넓이) 제어에 의해 발열량이 조절되는 고전압 PTC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PTC 전기히터(이하, "PTC 히터"라 약칭함)는 완전히 오프(OFF)된 상태에서 재작동(ON)될 경우, 듀티비가 0%로부터 상승되어야 하므로, 특정 듀티비까지의 도달시간이 지연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PTC 전기히터가 오프(OFF)된 상태에서 온(ON)될 시에, 특정 온도로의 PTC 전기히터의 발열온도 도달시간이 지연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난방의 속효성이 떨어진다는 결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결점 때문에 차실내의 쾌적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외기온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차실내의 온도가 매우 낮은 상태를 유지하는데, 상기와 같은 전기히터의 발열온도 도달시간 지연 현상 때문에, 차실내의 온도가 일정시간 낮은 상태를 유지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결과 차실내의 쾌적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PTC 전기히터의 제어구조를 개선함으로써, PTC 전기히터가 오프(OFF)된 상태에서 재작동될 시에, 특정 듀티비까지의 도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TC 전기히터의 재작동 시에, 특정 듀티비까지의 도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특정 온도로의 PTC 전기히터의 발열온도 도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온도로의 PTC 전기히터의 발열온도 도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난방의 속효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의 내부유로를 따라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 가열하는 증발기와 전기히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히터가 오프(OFF)될 시에, 미리 설정된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최소 발열모드로 진입하면서 상기 전기히터의 오프(OFF)에 관계없이 상기 전기히터가 미리 설정된 최소 온도로 발열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 발열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특정 조건은, 차실외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외기온도 이하인 조건과, 사용자 설정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사용자 설정온도 이상인 조건이며; 상기 제어부는, 차실외의 온도가 상기 기준외기온도 이하인 조건과, 사용자 설정온도가 상기 기준 사용자 설정온도 이상인 조건이 모두 만족될 시에, 상기 전기히터를 최소 발열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기히터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비 제어에 의해 발열량이 조절되는 고전압 PTC 히터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PTC 히터가 오프(OFF)될 시에, 상기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PTC 히터를 미리 설정된 최소 PWM 듀티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소 발열모드로 진입할 시에, 상기 PTC 히터를 최소 PWM 듀티비로 제어하되, 외기온도에 따라 상기 PTC 히터의 최소 PWM 듀티비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PTC 히터가 오프(OFF)되더라도 특정 난방조건에 해당되면, PTC 히터를 최소 PWM 듀티비로 제어하는 구조이므로, PTC 히터의 오프(OFF) 상태에도 불구하고, 상기 PTC 히터는 일정온도로 예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정 난방조건에는 PTC 히터의 오프(OFF) 상태에도 불구하고, 상기 PTC 히터가 일정온도로 예열되는 구조이므로, PTC 히터의 재작동 시에, 사용자 설정온도에 대응되는 특정 온도로의 PTC 히터의 발열온도 도달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정 온도로의 PTC 히터의 발열온도 도달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난방의 속효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템프도어리스(Temp Doorless) 공조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템프도어리스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유로(10a)에 증발기(12)와 PTC 히터(14)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증발기(12)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유로(10a)를 따라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시키고, PTC 히터(14)는, 증발기(12)의 후측면부분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발열하면서 증발기(12)를 통과한 냉풍을 가열한다.
특히, PTC 히터(14)는, PWM 듀티비 제어에 의해 발열량이 조절되면서 증발기(12)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데, 이러한 가열을 통해, 종래의 템프도어를 대신하여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가변 조절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제어부(20)를 구비한다.
제어부(2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난방조건이 만족되면, PTC 히터(14)가 오프(OFF)되더라도 상기 PTC 히터(14)에 미리 설정된 최소 PWM 듀티비를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20)는, PTC 히터(14)의 오프(OFF) 시에, 미리 설정된 난방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외기온 감지부(22)에서 입력된 차실외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외기온도 이하인지와, 사용자 설정온도 감지부(24)에서 입력된 사용자 설정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사용자 설정온도 이상인지가 모두 만족되는지를 판단한다(여기서, 기준외기온도는, 0℃, 기준 사용자 설정온도는 25℃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단 결과, 차실외의 온도가 기준외기온도(0℃) 이하인 조건과, 사용자 설정온도가 기준 사용자 설정온도(25℃) 이상인 조건이 모두 만족되면, 상기 제어부(20)는, "최소 발열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최소 발열모드"로 진입한 제어부(20)는, PTC 히터(14)가 오프(OFF)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PTC 히터(14)의 PWM 듀티비를 0%로 제어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최소 PWM 듀티비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PTC 히터(14)가 오프(OFF)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PTC 히터(14)가 최소한의 온도를 유지하며 예열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PTC 히터(14)가 오프(OFF)된 상태에서 재작동될 시에, 사용자 설정온도에 대응되는 특정 PWM 듀티비로의 도달시간이 단축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사용자 설정온도에 대응되는 특정 온도로의 PTC 히터(14)의 발열온도 도달시간이 단축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난방의 속효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20)는, "최소 발열모드"로 진입하여, PTC 히터(14)를 최소 PWM 듀티비로 제어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설정 난방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으면, 예를 들어, 차실외의 온도가 기준외기온도(0℃)를 초과하거나, 또는 사용자 설정온도가 기준 사용자 설정온도(25℃) 미만으로 낮아지면, "최소 발열모드"로부터 해제된다.
그리고 "최소 발열모드"로부터 해제된 제어부(20)는, PTC 히터(14)의 PWM 듀티비를 0%로 제어한다. 따라서, PTC 히터(14)가 완전히 오프(OFF)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최소 발열모드"의 진입 시에, PTC 히터(14)를 최소 PWM 듀티비로 제어하되, 차실외의 온도에 따라 상기 PTC 히터(14)의 최소 PWM 듀티비가 가변될 수 있게 한다.
특히, 차실외의 온도에 반비례하여, PTC 히터(14)의 최소 PWM 듀티비가 가변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차실외의 온도가 -10℃이면, PTC 히터(14)의 최소 PWM 듀티비가 10%이고, 차실외의 온도가 -20℃이면, PTC 히터(14)의 최소 PWM 듀티비가 20%이며, 차실외의 온도가 -30℃이면, PTC 히터(14)의 최소 PWM 듀티비가 30%이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차실외의 온도가 낮을수록, PTC 히터(14)의 오프(OFF) 시에 대한 PTC 히터(14)의 예열온도를 높이기 위함이고, 이로써, 차실외의 온도가 낮을수록, PTC 히터(14)의 재작동 시에 대한 특정 온도로의 PTC 히터(14)의 발열온도 도달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함이며, 그 결과, 난방의 속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20)는, 이러한 PTC 히터(14)의 제어로직이 차량의 시동 온(ON)시에만, 적용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예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의 시동이 온(ON)된 상태에서(S101), 제어부(20)는, PTC 히터(14)가 오프(OFF)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3),
판단 결과, PTC 히터(14)가 오프(OFF)되었으면, 제어부(20)는, 차실외의 외기온도가 기준외기온도 이하인지를 다시 판단한다(105). 예를 들면, 차실외의 외기온도가 0℃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기준외기온도 이하이면, 제어부(20)는, 사용자 설정온도가 기준 사용자 설정온도 이상인지를 다시 판단한다(S107).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설정온도가 25℃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기준 사용자 설정온도 이상이면, 제어부(20)는, "최소 발열모드"로 진입하고(S109), "최소 발열모드"로 진입한 제어부(20)는, PTC 히터(14)의 PWM 듀티비를 0%로 제어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최소 PWM 듀티비로 제어한다(S111).
그러면, PTC 히터(14)가 오프(OFF)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PTC 히터(14)가 일정 온도의 예열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PTC 히터(14)가 오프(OFF)된 상태에서 재작동될 시에, 특정 온도로의 PTC 히터(14)의 발열온도 도달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되고, 그 결과, 난방의 속효성이 개선된다.
한편, (S111) 단계 이후, 제어부(20)는, PTC 히터(14)가 온(ON)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13).
판단 결과, PTC 히터(14)가 온(ON)되었으면, 제어부(20)는, "최소 발열모드"로부터 해제되면서(S115) 사용자 설정온도에 대응한 특정온도에 맞춰서 PTC 히터(14)의 PWM 듀티비를 제어한다(S117).
그러면, PTC 히터(14)는, 특정 온도로 신속하게 발열되면서 차실내를 난방한다.
한편, (S113) 단계에서, PTC 히터(14)가 온(ON)되지 않았으면(S113-1), 즉, PTC 히터(14)가 여전히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 제어부(20)는, 차실외의 온도가 기준외기온도(0℃)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119).
판단 결과, 기준외기온도(0℃)를 초과하면, 제어부(20)는, "최소 발열모드"로부터 해제되면서(S121) PTC 히터(14)의 PWM 듀티비를 0%로 제어한다(S123).
그러면, PTC 히터(14)가 완전히 오프(OFF)된다(S125). 따라서, PTC 히터(14)의 예열이 정지된다.
한편, (S119) 단계에서, 차실외의 온도가 기준외기온도(0℃)를 초과하지 않았으면(S119-1), 즉, 차실외의 온도가 기준외기온도(0℃) 이하를 여전히 유지하고 있으면, 제어부(20)는, 사용자 설정온도가 기준 사용자 설정온도(25℃) 미만으로 낮아지는지를 다시 판단한다(S125).
판단 결과, 사용자 설정온도가 기준 사용자 설정온도(25℃) 미만으로 낮아졌으면, 제어부(20)는, "최소 발열모드"로부터 해제되면서(S121) PTC 히터(14)의 PWM 듀티비를 0%로 제어한다(S123).
그러면, PTC 히터(14)가 완전히 오프(OFF)된다(S125). 따라서, PTC 히터(14)의 예열이 정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공조장치에 의하면, PTC 히터(14)가 오프(OFF)되더라도 특정 난방조건에 해당되면, PTC 히터(14)를 최소 PWM 듀티비로 제어하는 구조이므로, PTC 히터(14)의 오프(OFF) 상태에도 불구하고, 상기 PTC 히터(14)는 일정온도로 예열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난방조건에는 PTC 히터(14)의 오프(OFF) 상태에도 불구하고, 상기 PTC 히터(14)가 일정온도로 예열되는 구조이므로, PTC 히터(14)의 재작동 시에, 사용자 설정온도에 대응되는 특정 온도로의 PTC 히터(14)의 발열온도 도달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온도로의 PTC 히터(14)의 발열온도 도달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난방의 속효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공조케이스(Case) 10a: 내부유로
12: 증발기 14: PTC 히터(Heater)
20: 제어부 22: 외기온 감지부
24: 사용자 설정온도 감지부

Claims (8)

  1. 공조케이스의 내부유로를 따라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 가열하는 증발기와 전기히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히터가 오프(OFF)될 시에, 미리 설정된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최소 발열모드로 진입하면서 상기 전기히터의 오프(OFF)에 관계없이 상기 전기히터가 미리 설정된 최소 온도로 발열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발열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특정 조건은,
    차실외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외기온도 이하인 조건과, 사용자 설정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사용자 설정온도 이상인 조건이며;
    상기 제어부는,
    차실외의 온도가 상기 기준외기온도 이하인 조건과, 사용자 설정온도가 상기 기준 사용자 설정온도 이상인 조건이 모두 만족될 시에, 상기 전기히터를 최소 발열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히터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의 듀티비 제어에 의해 발열량이 조절되는 고전압 PTC 히터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PTC 히터가 오프(OFF)될 시에, 상기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PTC 히터를 미리 설정된 최소 PWM 듀티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소 발열모드로 진입할 시에, 상기 PTC 히터를 최소 PWM 듀티비로 제어하되, 외기온도에 따라 상기 PTC 히터의 최소 PWM 듀티비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소 발열모드로 진입할 시에, 외기 온도에 반비례하여 상기 PTC 히터의 최소 PWM 듀티비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소 발열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PTC 히터를 최소 PWM 듀티비로 제어하고 있는 상태에서, 차실외의 온도가 기준외기온도 이하인 조건과, 사용자 설정온도가 기준 사용자 설정온도 이상인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최소 발열모드로부터 해제되면서 상기 PTC 히터의 PWM 듀티비를 0%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PTC 히터의 오프(OFF) 시에 대한 상기 PTC 히터의 최소 발열모드 제어로직이, 차량의 시동 온(ON)될 경우에만 적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히터의 오프(OFF) 시에 대한 상기 전기히터의 최소 발열모드 제어로직은,
    템프도어 없이 상기 전기히터의 발열온도만으로 차실내 토출공기온도를 가변 조절하는 템프도어리스(Temp Doorless)형 공조장치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90088305A 2019-07-22 2019-07-22 차량용 공조장치 KR102654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305A KR102654040B1 (ko) 2019-07-22 2019-07-22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305A KR102654040B1 (ko) 2019-07-22 2019-07-22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194A true KR20210011194A (ko) 2021-02-01
KR102654040B1 KR102654040B1 (ko) 2024-04-03

Family

ID=74571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305A KR102654040B1 (ko) 2019-07-22 2019-07-22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0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759A1 (ko) * 2022-03-23 2023-09-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369B1 (ko) * 2005-11-25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피티시 히터의 다단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방법
KR20120063695A (ko) * 2010-12-08 2012-06-18 한라공조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난방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369B1 (ko) * 2005-11-25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피티시 히터의 다단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방법
KR20120063695A (ko) * 2010-12-08 2012-06-18 한라공조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난방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759A1 (ko) * 2022-03-23 2023-09-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040B1 (ko) 202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7944B2 (en) Control of an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air reheating based 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olant flow control
KR102405177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
JP6019720B2 (ja) 車両の空調制御装置
JP6363972B2 (ja) 車両用空調装置
WO2019008768A1 (ja) 車両用空調方法及び車両用空調装置
KR20210011194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66557B1 (ko)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165988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3457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0120414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070059407A (ko) Hev용 공조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난방 제어방법
KR20120047084A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3970175B (zh) 空调器及其辐射控制方法与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282338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100022693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JP4033405B2 (ja) 車両用補助暖房/補助換気の運転調節方法
JP3972029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1294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0367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69755B1 (ko)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2084193B1 (ko) 차량용 히트펌프 장치
KR20100041254A (ko) 공조 제어 방법
KR100427895B1 (ko) 자동차 냉난방장치 제어방법
KR10240518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H10258631A (ja) 自動車用空調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