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9668A -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9668A
KR20120119668A KR1020110037773A KR20110037773A KR20120119668A KR 20120119668 A KR20120119668 A KR 20120119668A KR 1020110037773 A KR1020110037773 A KR 1020110037773A KR 20110037773 A KR20110037773 A KR 20110037773A KR 20120119668 A KR20120119668 A KR 20120119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units
heat exchanger
outdoor unit
defrosting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2213B1 (ko
Inventor
이호기
이상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7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213B1/ko
Priority to US13/424,577 priority patent/US20120266616A1/en
Priority to EP12161711.2A priority patent/EP2515053B1/en
Priority to CN201210110832.XA priority patent/CN102748808B/zh
Publication of KR20120119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1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 F24F11/42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of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5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outdoor units
    • F25B2313/025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outdoor units being defrosted alternate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5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outdoor units
    • F25B2313/025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outdoor units in paralle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9Control issues
    • F25B2313/0294Control issues related to the outdoor fan, e.g. controlling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7/00Detail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 F25B2347/02Details of defrosting cycles
    • F25B2347/021Alternate defro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7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 F25B2400/075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with parallel compr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각각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다수의 실내기; 및 상기 다수의 실내기와 연결되며, 각각 실외 열교환기를 가지는 다수의 실외기를 포함하고, 난방 운전 중에 제상 운전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다수의 실외기가 순차적으로 제상 운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Multi type air conditi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기이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된 공기조화기와, 하나 이상의 실외기에 다수의 실내기를 연결하여 공기조화기를 여러 대 설치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등이 있다.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다수의 실내기가 다수의 실외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외기는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각 실외 열교환기는 냉매의 유동을 기준으로 상부 열교환부와 하부 열교환부로 구분되어 냉매가 독립적으로 상부 열교환부와 하부 열교환부로 유동하게 된다.
종래의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난방 운전이 지속되면, 실외 열교환기에 착상이 발생하여, 제상 운전을 수행하였다. 제상 운전시 다수의 실외 열교환기 각각의 상부 열교환부의 제상이 먼저 수행되고, 상부 열교환부의 제상이 완료되면 하부 열교환부의 제상이 수행된다. 제상 운전 시에는 압축유닛에서 토출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가 바이패스되어 제상이 수행되는 열교환부로 유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전체 실외기의 각 실외 열교환기에서 일부 열교환부(전체 실외열교환기의 50%임)가 제상 수행되므로, 나머지 일부 열교환부(전체 실외열교환기의 50%)에 의해서 난방이 수행되어, 난방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부 열교환부의 제상이 완료된 후에 하부 열교환부의 제상을 수행하므로, 상부 열교환부와 하부 열교환부의 경계 부위에서 제상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성에가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상 운전 시 압축유닛에서 바이패스된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로 유동되므로, 실외 열교환기로 유동되는 냉매량이 적어 제상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난방 성능의 저하가 최소화되면서 제상이 수행될 수 있는 멀티형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속한 실외 열교환기의 제상이 가능하고, 실외 열교환기에서 성에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멀티형 공기 조화기는, 각각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다수의 실내기; 및 상기 다수의 실내기와 연결되며, 각각 실외 열교환기를 가지는 다수의 실외기를 포함하고, 난방 운전 중에 제상 운전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다수의 실외기가 순차적으로 제상 운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멀티형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은, 다수의 실내기와 다수의 실외기를 포함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실외기가 난방 운전되는 단계; 난방 운전 중에, 제상 운전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판단되는 단계; 및 제상 운전 조건이 만족되면, 다수의 실외기가 순차적으로 제상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가 제상 운전되는 중에도, 실내기는 난방 작용을 수행하므로, 실내의 연속적인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내 쾌적감이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외 열교환기의 다수의 열교환부 전체가 제상이 수행되므로, 실외 열교환기 전체적으로 성에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구성도.
도 2는 상기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냉매 사이클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시의 냉매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다수의 실외기가 순차적으로 제상 운전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9 및 도 10는 특정 실외기가 제상 운전될 때의 냉매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9에는 제4실내기가 제상 운전될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되고, 도 10에는 제1실내기가 제상 운전될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상기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냉매 사이클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에는 일 례로 멀티형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될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 조화기는, 실외기 유닛(1)과, 상기 실외기 유닛(1)에 분배기(3)에 의해서 연결되는 실내기 유닛(2)을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 유닛(1)은 다수의 실외기(11, 12, 13, 14)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기 유닛(2)은, 다수의 실내기(21, 22, 23, 24)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네 개의 실내기가 네 개의 실외기에 연결되는 것이 도시되나, 본 명세서에서 실내기의 개수와 실외기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즉, 2개 이상의 실외기에 2개 이상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실내기의 개수는 실외기의 개수 보다 많을 수 있다.
상기 실외기 유닛(1)은 제 1 실외기(11)와 제 2 실외기(12), 제 3 실내기, 제 4 실내기(1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실외기(11)와 제 2 실외기(15)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 1 실외기(11)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며, 제 1 실외기(11)에서 설명되는 내용은 제 2 실외기 내지 제 4 실외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필요한 도면 부호 외에는 제 1 실외기(11)의 구성 설명에 사용되는 도면 부호는 제 2 실외기 내지 제 4 실외기의 구성에도 동일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각 실외기(11, 12, 13, 14)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 유닛(110)과, 실외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되는 실외 열교환기(130, 200, 210, 220)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 유닛(110)은 다수의 압축기(111, 112, 1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압축기(111, 112, 113) 중 일부는, 용량이 가변되는 인버터 압축기(111)이고, 다른 일부는 정속 압축기(112, 113) 일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압축기(111, 112, 113)는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의 용량에 따라서 다수의 압축기 중 일 부 또는 전부가 작동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각 실외기(11, 12, 13, 14)는 단일의 압축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한다.
상기 각 압축기(111, 112, 113)의 토출 측 배관은, 개별 배관(118)과 합지 배관(119)을 포함한다. 즉, 상기 각 압축기(111, 112, 113)의 개별 배관(118)은 상기 합지 배관(119)에서 합지된다. 상기 각 개별 배관(118)에는, 냉매에서 오일을 분리시키기 위한 오일 분리기(114, 115, 116)와, 압축된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126)와, 압축된 냉매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12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합지 배관(119)은, 냉매의 유로를 절환하기 위한 다수의 사방 밸브(121, 122)에 연결된다. 다수의 사방 밸브(121, 122)는 제 1 사방 밸브(121)와 제 2 사방 밸브(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사방 밸브(121)와 상기 제 2 사방 밸브(122)는 병렬로 배치된다.
상기 각 사방 밸브(121, 122)는 제 1 연결 배관(123, 124)에 의해서 실외 열교환기(130)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연결 배관은, 제1열교환부 연결배관(123)과 제2열교환부 연결배관(124)을 포함한다.
상기 각 실외 열교환기(130, 200, 210, 220)는, 제1열교환부(131)와 제2열교환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열교환부(131)와 상기 제2열교환부(132)는 별도의 독립된 열교환기이거나 단일의 실외 열교환기에서 냉매의 유동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열교환기일 수 있다. 상기 제 1 사방 밸브(121)는 상기 제1열교환부 연결배관(123)에 의해서 상기 제1열교환부(131)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사방 밸브(122)는 상기 제2열교환부 연결배관(124)에 의해서 상기 제2열교환부(132)에 연결된다. 상기 제1열교환부(131)와 상기 제2열교환부(132)는 병렬로 배치된다. 일 례로 상기 제1열교환부(131)와 상기 제2열교환부(132)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냉매는 상기 제1열교환부(131)와 상기 제2열교환부(132)에 독립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냉매는 상기 제1열교환부(131)와 상기 제2열교환부(132) 각각으로 유동되거나 어느 한 열교환기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부(131)와 상기 제2열교환부(132)에서의 냉매의 유동 방향은 동일하거나 반대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열교환부(131)와 상기 제2열교환부(132)는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즉, 상기 각 열교환기는 독립적으로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실외 열교환기가 다수의 열교환기로 구분되고, 다수의 사방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단일의 실외 열교환기가 구비되고, 단일의 사방밸브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냉매는 실외 팬모터 어셈블리(140: 실외팬 및 팬 모터를 포함함)에 의해서 송풍되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상기 실외 팬모터 어셈블리는 1개가 구비되거나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일 례로 2개의 실외 팬모터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또한, 상기 각 사방 밸브(121, 122)는 제 2 연결배관(134)에 의해서 어큐물레이터(135)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사방밸브(121, 122)는 폐쇄 배관(121a, 122a)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 실외기(11, 12, 13, 14)는 실외 팽창기구(1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실외 팽창기구(150)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 200, 210, 220)를 통과한 냉매가 통과할 때는 냉매를 팽창시키지 않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 200, 210, 220)를 미통과한 냉매가 통과할 때는 냉매를 팽창시킨다.
상기 실외 팽창기구(150)는 상기 제1열교환부(131)에 대응되는 제 1 실외팽창밸브(151)와, 상기 제2열교환부(132)와 대응되는 제 2 실외 팽창밸브(15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실외 팽창밸브(151)와 상기 제 2 실외 팽창밸브(152)는 병렬로 배치된다. 즉, 상기 제 1 실외 팽창밸브(151)에 의해서 팽창된 냉매는 상기 제1열교환부(131)로 유동하고, 상기 제 2 실외 팽창밸브(152)에 의해서 팽창된 냉매는 상기 제2열교환부(132)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외 팽창밸브(151, 152)는 일 례로 전자팽창밸브(EEV)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실외기(11, 12, 13, 14)는 저압기관(311)과 저압 연결관(312)에 의해서 상기 분배기(3)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각 실외기(11, 12, 13, 14)는 고압기관(321) 및 고압 연결관(322)에 의해서 상기 분배기(3)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각 실외기(11, 12, 13, 14)는 액관(331)과 액 연결관(332)에 의해서 상기 분배기(3)에 연결된다.
상기 각 실외기(11, 12, 13, 14)의 저압기관(311)은 상기 제 2 연결배관(134)과 상기 저압 연결관(312)에 연결된다. 상기 각 실외기(11, 15)의 고압기관(321)은 상기 사방밸브(121, 122)의 상류 측인 합지배관(119)과 고압 연결관(322)에 연결된다. 상기 각 실외기(11, 12, 13, 14)의 액관(331)은 상기 실외 팽창기구(150)와 상기 액 연결관(332)에 연결된다.
상기 분배기(3)는 다수의 실내기(21, 22, 23, 24) 및 실외기 유닛(1)과 연결되어 냉매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분배기(3)는 실내기관(313)과 실내액관(333)에 의해서 각 실내기(21, 22, 23, 24)와 연결된다.
상기 분배기(3)는, 저압가스 파이프(31)와, 고압가스 파이프(32)와, 액 파이프(33)와, 저압밸브(314)와, 고압밸브(324)를 포함한다. 상기 저압가스 파이프(31)에 상기 저압 연결관(312) 및 상기 실내기관(313)이 연결되고, 상기 액 파이프(33)에 실내액관(333)과 액 연결관(332)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고압가스 파이프(32)에 상기 고압 연결관(322)과, 상기 실내액관(333)에 연결된 분지관(323)이 연결된다. 상기 각 실외기(11, 12, 13, 14)의 저압기관(311)에는 제1밸브(315, 316)가 구비되고, 상기 고압기관(321)에는 제2밸브(325, 326)가 구비되며, 상기 액관(331)에는 제3밸브(335, 336)가 구비된다.
상기 저압밸브(314)는 상기 실내기관(313)에 구비되고, 상기 고압밸브(324)는 상기 분지관(323)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저압밸브(314) 및 상기 고압밸브(324)는 개도가 선형적 또는 단계적으로 조절되는 전자팽창밸브(EEV)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실내기(21, 22, 23, 24)는, 실내 열교환기(211, 221, 231, 241)와, 실내 팬(212, 222, 232, 242), 실내 팽창기구(213, 223, 233, 243)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 팽창기구(213, 223, 233, 243)는 일 례로, 전자팽창밸브(EEV)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멀티형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되면, 즉, 하나 이상의 실내기가 난방 운전되면(도 1에서는 일 례로 4개의 실내기가 난방 운전되는 것으로 설명함), 상기 다수의 실외기(11, 12, 13, 14)의 압축 유닛이 작동한다. 이 때, 상기 저압밸브(314)는 닫히고, 상기 고압밸브(324)는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저압기관(311)에 구비된 제1밸브(315, 316)는 닫힐 수 있다.
상기 각 압축유닛(110)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사방밸브(121, 122)의 유로조절에 의해서 상기 고압기관(321)을 따라 상기 고압가스 파이프(32)로 유동한다. 이 때, 상기 사방밸브(121, 122)에 의해서 상기 합지배관(119)은 상기 폐쇄배관(121a, 122a)에 연결되므로, 상기 폐쇄배관(121a, 122a)의 단부에서 더이상 유동하지 못하고, 상기 고압기관(321)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
상기 고압가스 파이프(32)로 유동한 냉매는 상기 각 분지관(323) 및 실내기관(313)을 통하여 각 실내 열교환기(211, 221, 231, 241)로 보내진다. 그 다음, 냉매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211, 221, 231, 241)에서 응축된 후에 상기 실내 팽창기구(213, 223, 233, 243)를 팽창없이 통과하여 상기 각 실내액관(333)을 통하여 상기 액 파이프(33)로 유동된다. 상기 액 파이프(33)로 유동된 냉매는 액 연결관(332) 및 액관(331)을 따라 유동하고, 상기 실외 팽창기구(150)에 의해서 팽창된 후에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 200, 210, 220)로 유동된다. 그 다음, 냉매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 200, 210, 220)를 통과하면서 증발된 후에 상기 각 사방밸브(121, 122)를 지나 상기 어큐물레이터(135)로 유입된다. 상기 어큐물레이터로 유입된 냉매 중 기상 냉매가 상기 압축유닛(110)으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난방 운전이 지속되면,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 200, 210, 220)에는 착상이 발생하여, 성에의 제거를 위한 제상 운전이 요구된다. 상기 제상 운전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시의 냉매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냉방 운전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멀티형 공기조화기가 냉방 운전되면, 즉, 하나 이상의 실내기가 냉방 운전되면(도 2에서는 일 례로 4개의 실내기가 냉방 운전되는 것으로 설명함), 상기 다수의 실외기(11, 12, 13, 14)의 압축 유닛이 작동한다. 이 때, 상기 고압밸브(324)는 닫히고, 상기 저압밸브(314)는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고압기관(321)에 구비된 제2밸브(325, 326)는 닫힐 수 있다.
상기 각 압축유닛(110)에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사방밸브(121, 122)의 유로조절에 의해서 상기 제 1 연결배관(123, 124)를 따라 상기 각 실외 열교환기(130, 200, 210, 220)로 유동한다. 그 다음 냉매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 200, 210, 220)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후에 상기 실외 팽창기구(150)를 팽창없이 통과한다. 상기 실외 팽창기구(150)를 통과한 냉매는 액관(331) 및 액 연결관(332)을 따라 상기 액 파이프(33)로 유동한다. 상기 액 파이프(33)로 유동한 냉매는 상기 각 실내액관(333)을 지나 상기 각 실내 팽창기구(213, 223, 233, 243)를 유동하면서 팽창된다. 그 다음 팽창된 냉매는 상기 각 실내 열교환기(211, 221, 231, 241)를 통과하면서 증발된다. 그리고, 증발된 냉매는 실내기관(313)을 따라서 저압가스 파이프(31)로 유동한다. 상기 저압가스 파이프(31)로 유동한 냉매는 저압 연결관(312) 및 상기 저압기관(311)을 따라 상기 제2연결배관(134)으로 유동한다. 그 다음 냉매는 상기 어큐물레이터(135)로 유입된다. 상기 어큐물레이터(135)로 유입된 냉매 중 기상 냉매가 상기 압축유닛(110)으로 유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다수의 실외기가 순차적으로 제상 운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보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특정 실외기가 제상 운전될 때의 냉매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에는 제4실내기가 제상 운전될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되고, 도 10에는 제1실내기가 제상 운전될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난방 운전 명령에 의해서 멀티형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된다(S1). 상기 멀티형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되는 중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서 제상 운전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2).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상 운전 조건의 만족 여부는 일 례로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출구 배관 온도와 실외 온도의 비교에 의해서 판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다수의 실외기는 동시에 작동하므로, 상기 다수의 실외기 각각에서 제상 운전 조건이 만족되는 시점은 유사할 것이다. 다만, 각 실외기의 제상 운전 조건이 만족되는 시점이 다를 수 있으므로,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상 운전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는 모든 실외기의 제상 운전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이거나, 제상 운전 조건이 만족되는 실외기의 개수가 기준 수에 도달한 경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상 운전 조건 만족 여부 판단은 설명되는 방법 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제상 운전 조건 만족 여부 판단을 위한 방법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단계 S2에서 판단결과, 제상 운전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제상 운전 모드로 작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실외기가 순차적으로 제상운전될 수 있다(S3). 즉, 어느 한 실외기가 제상 운전을 수행하고, 나머지 실외기는 난방 운전하며, 상기 어느 한 실외기의 제상 운전이 완료되면, 그 다음 순서의 실외기가 제상 운전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상 운전되는 순서는 일 례로 실외기의 용량(열교환 용량)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즉, 전부 또는 일부의 실외기의 용량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용량이 적은 실외기부터 제상 운전을 수행한다. 만약, 전부 또는 일부의 실외기의 용량이 같은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순서로 제상 운전을 수행한다. 즉, 제품의 생산 시 실외기의 제상 순서가 미리 설정되고, 제상 운전 조건이 만족되면, 설정된 순서대로 실외기가 제상 운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 례로 제상 순서가 제4실내기, 제3실내기, 제2실내기, 제1실내기 순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4실외기(14)가 제상 운전되면, 상기 제4실외기(14)의 사방 밸브의 유로 절환에 의해서 상기 제4실외기(14)의 실외 열교환기(220)가 응축기 상태로 절환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외기(14)의 다수의 열교환부가 응축기 상태로 절환된다. 물론, 상기 제1실외기 내지 제3실내기(11, 12, 13)의 실외 열교환기(130, 200, 210)는 증발기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각 실내기(21, 22, 23, 24)의 실내 열교환기(211, 221, 231, 241)는 응축기 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면, 상기 제4실외기(14)의 압축유닛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사방밸브를 지나 실외 열교환기로 유동한다. 상기 고온 고압의 냉매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제상이 수행된다.
상기 제4실외기(14)의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4실외기(14)의 액관을 따라 유동한 후에 상기 액 파이프(33)에서 배출된 냉매와 함께 상기 제1실외기(11)의 액관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4실외기(14)가 제상 운전되는 중에는 상기 제4실외기(14)의 고압기관에 구비된 제2밸브(326)는 닫힐 수 있다. 상기 제4실외기(14)가 제상 운전되는 중에는, 상기 제4실외기(14)에 구비되는 실외팬 모터 어셈블리(실외팬 및 팬 모터)는 정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4실외기(14)의 실외 팽창기구의 개도는 이전 상태의 개도(제2실외기의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일 때의 개도) 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외기(11, 12, 13)에서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증발된 냉매 중 일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외기(11, 12, 13)의 각 어큐물레이터(135)로 유동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각 저압기관을 따라서 상기 제4실외기(14)의 어큐물레이터로 유동한다.
한편, 상기 제4실외기(14)의 제상 운전이 완료되면, 상기 제4실외기(14)의 실외 열교환기(220)는 사방 밸브의 유로 조절에 의해서 증발기 상태로 절환된다.
그러면, 도 6과 같이 제3실외기(13)의 제상 운전이 시작된다. 제3실외기(13)의 제상 운전이 수행되면, 제3실외기(13)의 실외 열교환기(210)가 응축기로 작용하고, 나머지 실외기의 실외 열교환기는 증발기로 작용한다. 상기 제3실외기(13)의 제상 운전이 종료되면, 도 7과 같이 제2실외기(12)의 제상 운전이 시작된다. 제2실외기(12)의 제상 운전이 수행되면, 제2실외기(12)의 실외 열교환기(210)가 응축기로 작용하고, 나머지 실외기의 실외 열교환기는 증발기로 작용한다. 상기 제2실외기의 제상 운전이 종료되면, 최종적으로, 상기 제1실외기(11)의 제상 운전이 시작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실외기(11)가 제상 운전되면, 상기 제1실외기(11)의 사방 밸브의 유로 절환에 의해서 상기 제1실외기(11)의 실외 열교환기(130)가 응축기 상태로 절환된다. 물론, 상기 제2 내지 제4실외기(12, 13, 14)의 실외 열교환기는 증발기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각 실내기(21, 22, 23, 24)의 실내 열교환기(211, 221, 231, 241)는 응축기 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면, 상기 제1실외기(11)의 압축유닛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사방밸브를 지나 실외 열교환기(130)로 유동한다. 상기 고온 고압의 냉매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의 제상이 수행된다.
상기 제1실외기(11)의 실외 열교환기(130)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1실외기(11)의 액관을 따라 유동한 후에 상기 액 파이프(33)에서 배출된 냉매와 함께 상기 제2 내지 제4실외기(12, 13, 14)의 액관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1실외기(11)가 제상 운전되는 중에는 상기 제1실외기(11)의 고압기관에 구비된 제2밸브(325)는 닫힐 수 있다. 상기 제1실외기(11)가 제상 운전되는 중에는, 상기 제1실외기(11)에 구비되는 실외팬 모터 어셈블리는 정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1실외기(11)의 실외 팽창기구의 개도는 이전 상태의 개도(제1실외기의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일 때의 개도) 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실외기(11)의 제상이 종료되어, 전체 실외기의 제상이 완료되면(S4), 단계 S1로 복귀하여, 상기 각 실외기(11, 12, 13, 14)의 실외 열교환기(11, 12, 13, 14)가 증발기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가 제상 운전되는 중에도, 실내기는 난방 작용을 수행하므로, 실내의 연속적인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내 쾌적감이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 실외 열교환기의 일부를 동시에 제상 운전하지 않고, 각 실외기의 실외 열교환기가 순차적으로 제상 운전되므로, 난방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 실외기의 실외 열교환기의 전체가 제상되므로, 일부에 성에가 남게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1: 실외기 유닛 2: 실내기 유닛
3: 분배기

Claims (12)

  1. 각각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다수의 실내기; 및
    상기 다수의 실내기와 연결되며, 각각 실외 열교환기를 가지는 다수의 실외기를 포함하고,
    난방 운전 중에 제상 운전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다수의 실외기가 순차적으로 제상 운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실외기의 각 실외열교환기는, 냉매가 독립적으로 유동할 수 있는 다수의 열교환부로 구분되고,
    특정 실외기가 제상 운전될 때, 다수의 열교환부 전체가 제상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실외기 각각은 사방 밸브를 포함하고,
    난방 운전 시 상기 사방 밸브의 유로 조절에 의해서 상기 각 실외기의 실외 열교환기는 증발기로 작용하고,
    제상 운전 수행되는 실외기의 실외 열교환기는 대응되는 사방 밸브의 유로 조절에 의해서 응축기로 작용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실외기의 제상 운전 순서는 열교환 용량에 따라서 결정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용량이 적은 실외기가 먼저 제상 운전을 수행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실외기의 제상 운전은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서 수행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제상 운전 시, 제상 운전을 수행하는 실외기에 구비되는 실외팬은 정지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8. 다수의 실내기와 다수의 실외기를 포함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실외기가 난방 운전되는 단계;
    난방 운전 중에, 제상 운전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판단되는 단계; 및
    제상 운전 조건이 만족되면, 다수의 실외기가 순차적으로 제상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실외기의 각 실외열교환기는, 냉매가 독립적으로 유동할 수 있는 다수의 열교환부로 구분되고,
    특정 실외기가 제상 운전될 때, 상기 다수의 열교환부 전체가 제상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특정 순서의 실외기의 제상 운전 시에는, 사방 밸브의 유로 조절에 의해서 해당 실외기의 실외 열교환기가 응축기로 작용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제상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는, 특정 순서의 실외기의 제상이 완료된 후에 다음 순서의 실외기가 제상 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특정 순서의 실외기의 제상 운전 시에는, 해당 실외기의 실외팬이 정지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KR1020110037773A 2011-04-22 2011-04-22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712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773A KR101712213B1 (ko) 2011-04-22 2011-04-22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US13/424,577 US20120266616A1 (en) 2011-04-22 2012-03-20 Multi-type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2161711.2A EP2515053B1 (en) 2011-04-22 2012-03-28 Multi type air 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CN201210110832.XA CN102748808B (zh) 2011-04-22 2012-04-11 复式空调器以及该复式空调器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773A KR101712213B1 (ko) 2011-04-22 2011-04-22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668A true KR20120119668A (ko) 2012-10-31
KR101712213B1 KR101712213B1 (ko) 2017-03-03

Family

ID=45936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773A KR101712213B1 (ko) 2011-04-22 2011-04-22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266616A1 (ko)
EP (1) EP2515053B1 (ko)
KR (1) KR101712213B1 (ko)
CN (1) CN1027488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8555B2 (ja) * 2013-11-25 2020-04-28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空気調和機
CN103940040A (zh) * 2014-04-14 2014-07-23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器、空调器的除霜方法及其装置
JP5949831B2 (ja) * 2014-05-28 2016-07-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US9933171B2 (en) * 2014-09-29 2018-04-03 Lee Wa Wong Air conditioning and heat pump system with evaporative cooling system
CN105004114B (zh) * 2015-07-02 2017-09-05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空调器及其除霜方法
CN105091421A (zh) * 2015-08-06 2015-11-25 美的集团武汉制冷设备有限公司 冷媒循环系统及空调系统
JP6319334B2 (ja) * 2016-01-15 2018-05-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JP6252606B2 (ja) * 2016-01-15 2017-12-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JP6785988B2 (ja) * 2017-10-12 2020-11-1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N113167517A (zh) * 2018-12-11 2021-07-23 三菱电机株式会社 空调装置
EP3954951B1 (en) * 2019-04-09 2023-10-25 Toshiba Carrier Corporation Air-conditioning device
KR20200134809A (ko) * 2019-05-23 2020-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237982B (zh) * 2020-01-14 2021-11-05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其控制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4057B1 (en) * 1998-09-08 2001-06-12 Hitachi, Ltd. Air conditioner
US20050044861A1 (en) * 2003-08-28 2005-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US20070180838A1 (en) * 2006-01-20 2007-08-09 Carrier Corporation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defrost interval in a heat pump system
US20090320507A1 (en) * 2006-07-10 2009-12-31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er contro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5070A (en) * 1983-06-01 1986-01-21 Carrie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frosting a heat exchanger in a refrigeration circuit
US4563877A (en) * 1984-06-12 1986-01-14 Borg-Warner Corpor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defrosting the outdoor coil of a heat pump
US5339644A (en) * 1993-04-29 1994-08-23 Singh Kanwal N Defrost system for refrigeration apparatus
JPH07234038A (ja) * 1994-02-18 1995-09-05 Sanyo Electric Co Ltd 多室型冷暖房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JPH07269974A (ja) * 1994-03-31 1995-10-20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装置
US5507154A (en) * 1994-07-01 1996-04-16 Ranco Incorporated Of Delaware Self-calibrating defrost controller
KR100225622B1 (ko) * 1994-09-27 1999-10-15 윤종용 멀티형 공기조화기
JP3208323B2 (ja) * 1996-04-30 2001-09-10 三洋電機株式会社 マルチタイプ空気調和機の制御方式
JPH09318206A (ja) * 1996-05-28 1997-12-12 Sanyo Electric Co Ltd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
JP3888403B2 (ja) * 1997-12-18 2007-03-07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221780B2 (ja) * 1998-07-24 2009-02-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KR100794779B1 (ko) * 2002-03-11 2008-01-1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히트 펌프식 멀티 공기 조화기
KR100437805B1 (ko) * 2002-06-12 2004-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A2415993A1 (en) * 2003-01-09 2004-07-09 Refrigeration Noel Inc. Air conditioning system, interior heat exchanger coil unit and method for conditioning ambient air
KR100463548B1 (ko) * 2003-01-13 2004-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제상장치
KR100504509B1 (ko) * 2003-01-16 200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단 가능한 다중 분배기를 갖는 냉난방 동시형멀티공기조화기
KR100511286B1 (ko) * 2003-05-01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시 제상 및 난방 운전이 가능한 공기조화기 및 자체제상 사이클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KR100535674B1 (ko) * 2004-02-25 2005-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히트 펌프의 사방밸브 제어 방법
KR100575682B1 (ko) * 2004-05-24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외기간 균압관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US7222496B2 (en) * 2004-06-18 2007-05-29 Winiamando Inc. Heat pump type air conditioner having an improved defrosting structure and defrosting method for the same
KR100664056B1 (ko) * 2004-10-26 200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고장유무 판별장치 및 방법
US7654104B2 (en) * 2005-05-27 2010-02-02 Purdue Research Foundation Heat pump system with multi-stage compression
KR101264779B1 (ko) * 2005-11-18 2013-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211007B1 (ko) * 2005-12-22 2012-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
JP4899489B2 (ja) * 2006-01-19 2012-03-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KR101199382B1 (ko) * 2006-02-17 2012-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4120682B2 (ja) * 2006-02-20 2008-07-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および熱源ユニット
JP4922669B2 (ja) * 2006-06-09 2012-04-2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の熱交換器
US20080011004A1 (en) * 2006-07-12 2008-01-17 Gaetan Lesage Refrigeration system having adjustable refrigeration capacity
KR101282565B1 (ko) * 2006-07-29 201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 조화기
KR100820821B1 (ko) * 2006-12-26 2008-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KR101564727B1 (ko) * 2007-12-21 2015-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1430127A (zh) * 2008-11-27 2009-05-13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在室内制热状态下的空调器控制方法
JP2010139097A (ja) * 2008-12-09 2010-06-24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KR20100081621A (ko) * 2009-01-06 2010-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방법
US20100229575A1 (en) * 2009-03-10 2010-09-16 Shaw Engineering Associates, Llc Defrost system and method for heat pumps
JP5377041B2 (ja) * 2009-04-09 2013-12-2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CN102422091B (zh) * 2009-05-08 2014-07-02 三菱电机株式会社 空气调节装置
CN102003853B (zh) * 2010-12-20 2012-06-06 哈尔滨工业大学 多联机相变蓄能热液除霜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4057B1 (en) * 1998-09-08 2001-06-12 Hitachi, Ltd. Air conditioner
US20050044861A1 (en) * 2003-08-28 2005-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US20070180838A1 (en) * 2006-01-20 2007-08-09 Carrier Corporation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defrost interval in a heat pump system
US20090320507A1 (en) * 2006-07-10 2009-12-31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er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15053A3 (en) 2017-05-31
CN102748808A (zh) 2012-10-24
CN102748808B (zh) 2015-09-02
EP2515053B1 (en) 2018-10-24
EP2515053A2 (en) 2012-10-24
KR101712213B1 (ko) 2017-03-03
US20120266616A1 (en) 201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687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712213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639837B1 (ko) 공기 조화기
US7587909B2 (en) Multi type air-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424333B2 (en) Air conditioner
KR101485601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EP3751211B1 (en) Air conditioner
EP3144606B1 (en) Air conditioner
US20130192809A1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same
KR20120126252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6628911B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359088B1 (ko) 공기조화기
KR101624529B1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조화기
KR101288745B1 (ko) 공기조화기
KR20100064144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20140000936A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조화기
KR101723689B1 (ko) 공기 조화기
KR20190041091A (ko) 공기조화기
KR101240765B1 (ko) 멀티형 공기 조화기
KR20130032681A (ko) 공기조화기
KR101232579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KR102080844B1 (ko) 멀티형 공기 조화기 및 그의 배관탐색방법
KR20090089953A (ko)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442108B1 (ko)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90078023A (ko) 공기 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