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9064A - 연료펌프모듈 - Google Patents

연료펌프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9064A
KR20120119064A KR1020110036808A KR20110036808A KR20120119064A KR 20120119064 A KR20120119064 A KR 20120119064A KR 1020110036808 A KR1020110036808 A KR 1020110036808A KR 20110036808 A KR20110036808 A KR 20110036808A KR 20120119064 A KR20120119064 A KR 20120119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reservoir body
pump module
fuel pump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2015B1 (ko
Inventor
전문식
김동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비스
Priority to KR1020110036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015B1/ko
Priority to DE102012007867A priority patent/DE102012007867A1/de
Publication of KR20120119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F02M37/0052Details on the fuel return circuit; Arrangement of 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37/10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1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the pumps being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1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main and auxiliary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50Filters arranged in or on fuel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37/10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 F02M37/103Mounting pumps on fuel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펌프모듈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개폐수단을 이용하여 리저버바디 내부로 용이하게 연료를 흡입하면서도 리저버바디 내부의 유량이 일정량 이상일 경우에는 중공부 또는 공급튜브를 차단하여 전체 연료탱크 내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연료펌프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료펌프모듈{FUEL PUMP MODULE}
본 발명은 연료펌프모듈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개폐수단을 이용하여 리저버바디 내부로 용이하게 연료를 흡입하면서도 리저버바디 내부의 유량이 일정량 이상일 경우에는 중공부 또는 공급튜브를 차단하여 연료탱크 내부의 이물질이 리저버바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체 연료탱크 내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연료펌프모듈에 관한 것이다.
가솔린 엔진이나 디젤 엔진과 같이 액체 연료를 공급받아 구동되는 차량 등의 장치에는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연료탱크 내부에 연료펌프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연료탱크 내부에 저장된 연료를 강제적으로 엔진에 공급하기 위한 연료펌프모듈이 구비된다.
한편, 배기가스의 규제 강화에 따라 상기 필터가 연료펌프와 모듈화 되어 설치되도록 전환되고 있으며, 연료펌프모듈(1)을 도 1에 도시하였다.
상기 연료펌프모듈(1)은 크게 연료탱크에 고정되는 플랜지 어셈블리(10), 및 상기 플어셈블리(10)의 하측에 가이드로드(30)에 의해 연결되는 리저버바디 어셈블리(20)로 구성된다.
상기 리저버바디 어셈블리(20)는 리저버바디, 상기 리저버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엔진으로 연료를 송출하는 연료펌프, 상기 리저버바디의 상측을 고정하는 펌프 리테이너로 구비되는 데, 이 때, 상기 연료펌프의 상측은 상기 플랜지 어셈블리와 별도의 연결호스(40)에 의해 연결되어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가 이송된다.
이 때, 상기 리저버바디는 탱크 내부의 연료를 리저버바디 내부로 흡입되도록 중공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저버바디 내부로 연료를 강제 흡입하는 제트펌프가 구비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연료펌프모듈은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연료펌프가 구동되어 연료를 엔진으로 이송시키고, 엔진으로부터 귀환되는 연료 또는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중 일부는 제트펌프를 지나며 이를 통해 상기 중공부를 통하여 연료탱크의 연료가 리저버바디 내부로 유입된다.
이 때, 엔진으로부터 귀환되는 리턴연료는 상대적으로 리저버바디 내부의 온도보다 높은 상태로, 리저버바디 내부의 연료와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는 서로 혼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중공부의 연료 흡입에 의해 리저버바디 내부의 연료가 넘쳐 연료탱크 내부 연료와 혼합된다.
그런데, 상기 연료펌프모듈은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가 리저버바디 내부로 연속 유입되므로, 상기 연료탱크 내부의 이물질이 상기 리저버바디 내부로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물질은 연료펌프의 내구성을 저하할 수 있는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제트펌프가 엔진으로부터 귀환되는 리턴연료를 이용할 경우에,전체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 온도 역시 상승되므로, 전체 연료탱크 내구성이 저하된다.
더욱 상세하게, 연료는 온도가 상승될 경우에는 증기발생량이 상승되고, 증기발생량에 비례하여 내부 압력 상승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아울러, 증기발생량이 상승할 경우에 배기가스 배출량 역시 함께 상승되므로, 환경 규제에 적합하도록 별도의 증기를 포집하는 캐니스터가 이용되는데, 증기발생량이 상승되면 캐니스터의 용량 역시 커져야 하므로 소형화를 방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수단을 이용하여 리저버바디 내부로 용이하게 연료를 흡입하면서도 리저버바디 내부의 유량이 일정량 이상일 경우에는 중공부 또는 공급튜브를 차단하여 연료탱크 내부의 이물질이 리저버바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체 연료탱크 내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연료펌프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탱크 내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함으로써 증기발생량을 줄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캐니스터 용량을 줄일 수 있는 연료펌프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가 필요시에만 리저버바디로 유입됨으로써 이물질이 리저버바디 내부에 축적되는 양을 저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사용수명을 증대할 수 있는 연료펌프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연료펌프모듈(1000)은 차량의 연료탱크(2000)에 장착되는 리저버바디 어셈블리(300)를 포함하는 연료펌프모듈(1000)에 있어서, 상기 연료펌프모듈(1000)의 리저버바디 어셈블리(300)는 하면에 연료가 유입되는 중공부(311)가 형성된 리저버바디(310); 상기 리저버바디(310) 내부 연료를 흡입하여 엔진으로 연료를 송출하는 연료펌프(320); 연료가 이송되는 이송라인(331)과, 상기 이송라인(331)과 연결되며 상기 중공부(311) 형성 영역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제트펌프(332)와, 상기 제트펌프(332)를 통과한 리턴연료 및 연료탱크(2000) 내부로부터 흡입된 연료가 리저버바디(310) 내부로 공급되도록 리저버바디(310) 내부에 형성되는 공급튜브(333)를 포함하는 연료흡입부(330); 및 상기 리저버바디(310) 내부의 연료 충전량이 기준 연료량 이상일 경우 상기 연료탱크(2000) 내부의 연료가 상기 중공부(311)를 통해 리저버바디(3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개폐수단(3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이송라인(331)은 엔진을 통과한 리턴연료가 이송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이송라인(331)은 엔진을 통과하기 이전의 일부 연료가 이송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340)은 상기 중공부(311)를 개폐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개폐수단(340)은 상기 리저버바디(310) 내부의 연료량에 따라 부유되는 제1플로트(341)(Float); 상기 중공부(311)보다 큰 면적을 갖는 판형태로 상기 중공부(311)를 폐쇄하는 제1차단부(342); 및 기준 연료량 미만일 경우에 상기 제1차단부(342)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중공부(311)가 개방되며, 기준 연료량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1차단부(342)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중공부(311)를 폐쇄하도록 상기 제1플로트(341)와 제1차단부(342)를 연결하는 연결수단(34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공급튜브(333)는 수직하게 형성되고, 단부를 폐쇄하는 판부(335)와, 기준 연료량 수위에 인접하여 일정 영역이 중공되는 복수개의 연통홀(337)이 형성된 캡(334)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개폐수단(340)은 공급튜브(333)의 연통홀(337)을 개폐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튜브(333)는 상기 판부(335) 둘레가 연장되는 돌출부(336)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수단(340)은 상기 공급튜브(333) 둘레를 감싸는 형태의 제2차단부(345)와, 상기 제2차단부(345)에 형성되어 상기 리저버바디(310)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제2차단부(345)를 상ㆍ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플로트(3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연료펌프모듈은 개폐수단을 이용하여 리저버바디 내부로 용이하게 연료를 흡입하면서도 리저버바디 내부의 유량이 일정량 이상일 경우에는 중공부 또는 공급튜브를 차단하여 연료탱크 내부의 이물질이 리저버바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체 연료탱크 내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료펌프모듈은 연료탱크 내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함으로써 증기발생량을 줄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캐니스터 용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연료펌프모듈은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가 필요시에만 리저버바디로 유입됨으로써 이물질이 리저버바디 내부에 축적되는 양을 저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사용수명을 증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료펌프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펌프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연료 유입 시, 도 3은 연료 유입 차단 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펌프모듈을 나타낸 다른 도면.
(도 4는 연료 유입 시, 도 5는 연료 유입 차단 시)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연료펌프모듈의 공급튜브 및 개폐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펌프모듈을 나타낸 또 다른 도면.
(도 7은 연료 유입 시, 도 8은 연료 유입 차단 시)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펌프모듈을 나타낸 또 다른 도면.
(도 9는 연료 유입 시, 도 10은 연료 유입 차단 시)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펌프모듈을 나타낸 또 다른 도면. (인탱크 필터 타입 연료펌프모듈이 형성된 예, 도 9는 연료 유입 시, 도 10은 연료 유입 차단 시)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연료펌프모듈(1000)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연료펌프모듈(1000)은 리저버바디 어셈블리(3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리저버바디 어셈블리(300)는 연료탱크(2000) 내부에 내장되어 연료를 송출한다.
본 발명의 연료펌프모듈(1000)은 상기 리저버바디 어셈블리(300)가 리저버바디(310), 연료펌프(320), 연료흡입부(330), 및 개폐수단(34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리저버바디(310)는 상기 리저버바디 어셈블리(300)를 형성하는 기본 몸체로서,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며, 하면 일측에 연료탱크(2000) 내부의 연료가 유입되는 중공부(311)가 중공 형성된다.
상기 리저버바디(310)의 외측에는 상기 연료탱크(200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레벨센서(400)가 연결된다.
상기 연료펌프(320)는 상기 리저버바디(310) 내부에 구비되어 리저버바디(310) 내부의 연료를 흡입하여 엔진으로 송출하는 구성이다.
상기 연료펌프(320)는 공급라인(321)을 통해 상기 플랜지 어셈블리(100)를 관통하여 엔진으로 연료를 공급한다.
상기 연료펌프(320)는 인탱크필터가 더 구비된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연료흡입부(330)는 연료탱크(2000) 내부의 연료를 리저버바디(310) 내부로 흡입하는 구성으로, 이송라인(331), 제트펌프(332), 및 공급튜브(33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이송라인(331)은 연료가 이송되어 상기 제트펌프(332)의 흡입 유량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트펌프(332)는 상기 중공부(311) 형성 영역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중공부(311)를 통해 연료가 흡입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 때, 상기 제트펌프(332)를 통과하는 연료가 이송되는 이송라인(331)은 연료펌프모듈(1000)의 다양한 형태에 따라 엔진을 통과한 리턴연료 또는 엔진으로 공급되기 이 전의 연료 모두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공급튜브(333)는 상기 제트펌프(332)를 통과한 연료 및 상기 중공부(311)를 통해 흡입된 연료가 혼합되어 상기 리저버바디(310) 내부로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리저버바디(310) 내부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개폐수단(340)은 상기 리저버바디(310) 내부의 연료 충전량이 기준 연료량 이상일 경우 상기 연료 탱크 내부의 연료가 상기 중공부(311)를 통해 리저버바디(3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수단이다.
즉, 상기 개폐수단(340)은 리저버바디(310) 내부의 연료가 기준 연료량 이상일 경우에, 상기 중공부(311) 또는 공급튜브(333)를 폐쇄하여 상기 리저버바디(310) 내부의 수위가 더 이상 증가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연료펌프모듈(1000)은 연료탱크(2000)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여 연료탱크(2000) 내부의 증기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료펌프모듈(1000)은 상기 연료탱크(2000)와 리저버바디(310) 간의 연료 순환량이 줄어들어 이물질이 상기 리저버바디(3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저하할 수 있어 사용 내구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개폐수단(340)은 상기 중공부(311)를 개폐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예를 도 7 및 도 8에 도시하였다.
상기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개폐수단(340)은 제1플로트(341), 제1차단부 (342)및 연결수단(343)을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제1플로트(341)는 상기 리저버바디(310) 내부의 연료 수위에 따라 높이방향으로 함께 부유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1차단부(342)는 상기 중공부(311)를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공부(311)의 중공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는 판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수단(343)은 상기 제1플로트(341)와 제1차단부(342)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도면에서 연료펌프(320)를 통해 엔진으로 송출되는 연료의 흐름을 굵은 실선 화살표로, 제트펌프(332)를 통과하는 연료의 흐름을 속이 빈 화살표로, 상기 연료탱크(2000) 내부의 연료가 리저버바디(310) 내부로 유입되는 흐름을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었다.
도 7은 리저버바디(310) 내부의 수위가 기준 연료량 미만인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리저버바디(310) 내부 수위가 기준 연료량 이하인 경우에 상기 제1플로트(341) 위치 역시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차단부(342)가 중공부(311)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하측에 위치되므로, 상기 중공부(311)를 통해 연료탱크(2000) 내부의 연료가 리저버바디(310) 내부로 유입된다.
도 7과 같은 흡입과정을 통해 리저버바디(310) 내부의 수위가 상승되어 기준 연료량이 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로트(341)의 위치가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연결수단(343)과 연결된 제1차단부(342) 역시 상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1차단부(342)가 중공부(311)의 둘레를 차단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연료펌프모듈(1000)은 연료탱크(2000) 내부의 연료가 리저버바디(31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되며, 상기 제트펌프(332)를 통과한 연료를 이용하여 엔진으로 연료를 송출하게 된다.
상기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연료펌프모듈(1000)은 별도의 동력이 필요치 않으며, 제1플로트(341)를 이용하여 리저버바디(310) 내부의 수위 변화에 따라 상기 개폐수단(340)이 상기 중공부(3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연료펌프모듈(1000)을 나타낸 다른 도면으로, 상기 공급튜브(333)는 캡(334)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캡(334)은 상기 공급튜브(333)의 단부를 폐쇄하는 판부(335)와, 기준 연료량 수위에 인접하여 일정 영역이 중공되는 복수개의 연통홀(337)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개폐수단(340)은 상기 공급튜브(333)의 연통홀(337)을 개폐 가능한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공급튜브(333)는 상기 판부(335) 둘레가 연장되는 돌출부(336)가 형성되고, 이 때, 상기 개폐수단(340)은 상기 공급튜브(333) 둘레를 감싸는 형태의 제2차단부(345)와, 상기 제2차단부(345)에 형성되어 상기 리저버바디(310)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제2차단부(345)를 상ㆍ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플로트(344)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334)은 상기 공급튜브(33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개폐수단(340)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탈착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연료펌프모듈(1000)은 수위의 변동에 따라 상기 개폐수단(340)이 높이방향으로 이동되어 기준 연료량이 되었을 때, 상기 제2차단부(345)에 의해 연통홀(337)을 차단함으로써 연료탱크(2000) 내부의 연료가 리저버바디(310) 내부로 이송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한 공급튜브(333)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원형의 연통홀(337)이 복수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중공된 단면 형태는 더욱 다양하게 형성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플로트(344)는 상기 제2차단부(345)의 둘레를 감싸는 원통 형태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 역시 일 실시예로, 리저버바디(310)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제2차단부(345)를 상ㆍ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형태라면 복수개가 상기 제2차단부(345)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예를 포함하여 더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상기 연통홀(337)이 개방되어 리저버바디(310)로 연료가 흡입될 때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리저버바디(310) 내부의 수위가 기준 연료량 이상으로 형성되어 연료가 흡입되지 않는 예를 나타내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연료펌프모듈(1000)은 연료탱크(2000) 내부의 연료가 필요시에만 리저버바디(310)로 유입됨으로써 이물질이 리저버바디(310) 내부에 축적되는 양을 저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사용수명을 증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연료펌프모듈(1000)은 다양한 형태에 적용될 수 있는 바, 도 7 및 도 8은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연료펌프모듈(1000)과 동일하되, 상기 제트펌프(332)의 흡입 유량을 제공하는 부분이, 엔진을 통과한 리턴연료가 이송되는 이송라인(331)인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플랜지 어셈블리(100) 및 가이드로드(200)를 더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플랜지 어셈블리(100)는 연료탱크(2000)에 장착되어 전체 연료펌프모듈(1000)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플랜지 어셈블리(100)는 연료를 이송하기 위한 포트, 밸브, 및 전원공급단자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로드(200)는 상기 플랜지 어셈블리(100)와 리저버바디 어셈블리(300)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이송라인(331)은 엔진을 통과한 리턴연료가 이송되는 구성으로, 리저버바디(310) 내부의 연료 또는 연료탱크(2000) 내부의 연료에 비해 고온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연료펌프모듈(1000)은 개폐수단(340)을 이용하여 리저버바디(310) 내부로 용이하게 연료를 흡입하면서도 리저버바디(310) 내부의 유량이 일정량 이상일 경우에는 중공부(311) 또는 공급튜브(333)를 차단하여 전체 연료탱크(2000) 내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연료펌프모듈(1000)은 상기 연료펌프(320)가 인탱크 필터타입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예를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였다.
상기 도 11 및 도 1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형태와 동일하되, 인탱크 필터 타입의 연료펌프(320)를 형성하여, 엔진으로 송출되기 이전의 일부 연료가 상기 이송라인(331)을 통해 상기 제트펌프(332)와 연결되어 중공부(311)를 통해 연료탱크(2000) 내부의 연료가 리저버바디(310) 내부로 흡입되도록 한 예를 나타내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연료펌프모듈(1000)은 더욱 다양한 형태에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연료펌프모듈(1000)이 이용됨으로서, 리저버바디(31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물질의 리저버바디(310) 축적량을 저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사용수명을 증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수단(340)이 형성됨으로써 연료탱크 내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함으로써 증기발생량을 줄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캐니스터 용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연료펌프모듈
100 : 플랜지 어셈블리
200 : 가이드로드
300 : 리저버바디 어셈블리
310 : 리저버바디 311 : 중공부
320 : 연료펌프 321 : 공급라인
330 : 연료흡입부 331 : 이송라인
332 : 제트펌프 333 : 공급튜브
334 : 캡 335 : 판부
336 : 돌출부 337 : 연통홀
340 : 개폐수단 341 : 제1플로트
342 : 제1차단부 343 : 연결수단
344 : 제2플로트 345 : 제2차단부
400 : 레벨센서
2000 : 연료탱크

Claims (7)

  1. 차량의 연료탱크(2000)에 장착되는 리저버바디 어셈블리(300)를 포함하는 연료펌프모듈(1000)에 있어서,
    상기 연료펌프모듈(1000)의 리저버바디 어셈블리(300)는
    하면에 연료가 유입되는 중공부(311)가 형성된 리저버바디(310);
    상기 리저버바디(310) 내부 연료를 흡입하여 엔진으로 연료를 송출하는 연료펌프(320);
    연료가 이송되는 이송라인(331)과, 상기 이송라인(331)과 연결되며 상기 중공부(311) 형성 영역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제트펌프(332)와, 상기 제트펌프(332)를 통과한 리턴연료 및 연료탱크(2000) 내부로부터 흡입된 연료가 리저버바디(310) 내부로 공급되도록 리저버바디(310) 내부에 형성되는 공급튜브(333)를 포함하는 연료흡입부(330); 및
    상기 리저버바디(310) 내부의 연료 충전량이 기준 연료량 이상일 경우 상기 연료탱크(2000) 내부의 연료가 상기 중공부(311)를 통해 리저버바디(3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개폐수단(3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331)은 엔진을 통과한 리턴연료가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331)은 엔진을 통과하기 이전의 일부 연료가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모듈.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340)은 상기 중공부(311)를 개폐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340)은
    상기 리저버바디(310) 내부의 연료량에 따라 부유되는 제1플로트(341)(Float);
    상기 중공부(311)보다 큰 면적을 갖는 판형태로 상기 중공부(311)를 폐쇄하는 제1차단부(342); 및
    기준 연료량 미만일 경우에 상기 제1차단부(342)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중공부(311)가 개방되며, 기준 연료량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1차단부(342)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중공부(311)를 폐쇄하도록 상기 제1플로트(341)와 제1차단부(342)를 연결하는 연결수단(34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모듈.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튜브(333)는 수직하게 형성되고,
    단부를 폐쇄하는 판부(335)와, 기준 연료량 수위에 인접하여 일정 영역이 중공되는 복수개의 연통홀(337)이 형성된 캡(334)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개폐수단(340)은 공급튜브(333)의 연통홀(337)을 개폐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튜브(333)는 상기 판부(335) 둘레가 연장되는 돌출부(336)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수단(340)은 상기 공급튜브(333) 둘레를 감싸는 형태의 제2차단부(345)와, 상기 제2차단부(345)에 형성되어 상기 리저버바디(310)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제2차단부(345)를 상ㆍ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플로트(3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모듈.
KR1020110036808A 2011-04-20 2011-04-20 연료펌프모듈 KR101222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808A KR101222015B1 (ko) 2011-04-20 2011-04-20 연료펌프모듈
DE102012007867A DE102012007867A1 (de) 2011-04-20 2012-04-19 Brennstoffpumpenmodul zum Zuführen von Diesel-Brennstof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808A KR101222015B1 (ko) 2011-04-20 2011-04-20 연료펌프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064A true KR20120119064A (ko) 2012-10-30
KR101222015B1 KR101222015B1 (ko) 2013-02-08

Family

ID=46967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808A KR101222015B1 (ko) 2011-04-20 2011-04-20 연료펌프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22015B1 (ko)
DE (1) DE102012007867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4095B2 (ja) * 1997-10-21 2000-12-04 矢嶋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リザーバカップ
KR100508174B1 (ko) * 2002-12-04 2005-08-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에 장착되는 리저버 컵의 체크밸브 장착구조
US7353807B2 (en) * 2005-04-19 2008-04-08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Jet pump assembly of a fuel system for a combustion engine
KR100898217B1 (ko) * 2007-10-25 2009-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펌프의 이물질 제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2015B1 (ko) 2013-02-08
DE102012007867A8 (de) 2012-11-15
DE102012007867A1 (de) 201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06292C (zh) 用于机动车的燃油箱
US6694955B1 (en) Marine engine with primary and secondary fuel reservoirs
KR100694340B1 (ko) 연료 탱크
EP0314068A2 (en) Fuel supply device for vehicles
CN102712251A (zh) 用于燃料再循环管线的阀组件
JP2011047408A (ja) 低輪郭の燃料リザーバを有する燃料タンク
US8469008B2 (en) Return fuel diffusion device and fuel guide
JP2010071098A (ja) 燃料タンクの燃料供給装置
CN108252834B (zh) 燃料箱系统
KR101655655B1 (ko) 차량의 요소수 탱크용 충전제한 통기밸브
US9394866B2 (en) Fuel supply system and method
EP3403864B1 (en) A fuel ejector assembly for a vehicle
KR101222015B1 (ko) 연료펌프모듈
JP5407617B2 (ja) セジメンタ
JP2008155890A (ja) 燃料タンク構造
CN111512028B (zh) 车辆抽吸系统
CN209159416U (zh) 用于汽车油箱上的可以精确调节关闭高度的内置式组合阀
SE534380C2 (sv) Anordning för tillförsel av bränsle till en motor
JP2007198208A (ja) 燃料供給装置
KR101016939B1 (ko) 안장형 연료탱크용 연료펌프모듈
CN103358893B (zh) 一种溢油切断阀
CN206206040U (zh) 用于车载加油油气系统的集成式燃油泵
JP2006329101A (ja) 燃料供給装置
KR100907072B1 (ko) 자동차 연료 탱크용 통기 밸브
KR20120011614A (ko) 연료탱크의 벤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