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8966A -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 - Google Patents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8966A
KR20120118966A KR1020110036638A KR20110036638A KR20120118966A KR 20120118966 A KR20120118966 A KR 20120118966A KR 1020110036638 A KR1020110036638 A KR 1020110036638A KR 20110036638 A KR20110036638 A KR 20110036638A KR 20120118966 A KR20120118966 A KR 20120118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ushion
bracket
coupled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6669B1 (ko
Inventor
노태호
Original Assignee
노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태호 filed Critical 노태호
Priority to KR1020110036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669B1/ko
Publication of KR20120118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22Abdomen moving torso and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27Abdomen moving torso or lower limbs laterally, i.e. substantially in the front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는 환자가 눕는 침대에 있어서, 지지대; 환자의 상체와 하체를 구분하여 지지하도록 구비된 제1 및 제2쿠션;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 장착되며 회전동력을 발휘하는 동력발생부; 상기 지지대의 제1쿠션에 장착되며 상기 동력발생부에 연결되어 환자의 상체를 상하로 흔들어주는 상하롤링수단;상기 지지대의 제2쿠션에 장착되며 상기 동력발생부에 연결되어 환자의 하체를 좌우로 흔들어주는 좌우롤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가 침대의 장판에 누운 상태로 하체를 좌우로 흔들어 운동시킴으로써 허리 및 엉덩이의 근육 및 관절을 이완시켜 혈행을 돕고, 상체의 허리를 상승 및 하강시킴으로써 척추를 이완 및 수축시켜 줄 수 있어 관절의 혈행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AEROBIC EXERCISE AND SEPARATED WORKING BED}
본 발명은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가 침대에 누운 채 하체를 좌우로 운동시켜주고, 상체는 상하로 운동시켜 줌으로써 유산소 운동과 관절 및 근육의 이완과 수축에 따른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줄 수 있는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디스크나 척추디스크 환자들은 특별한 치료방법이 없어서 주로 병원등에서 물리치료를 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물리치료기구는 고가이나 그다지 효과적이 아니고 또한 이러한 기구를 사용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어 이를 이용하는 데에 큰 부담을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환자가 장기간 누워 있게 되면 일반적으로 엉덩이, 장골, 배골부등 뼈의 돌출부에 경계가 선명한 홍반이 생기고 압통이 심하게 되며, 심할 경우 파스름해지고 괴사가 됨은 물론 궤양을 만들게 되는 욕창은 신체의 일부가 오랫동안 압박을 받게 되거나 혈액의 변화, 야윔등 생활력감퇴에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욕창은 병상에 장기간 누워있어야 하는 환자, 특히 의식불명의 환자에게 발생되기 쉽다.
그런데, 종래에 있어서 환자용 침대는 상기의 욕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환자의 몸을 주기적으로 마사지하거나 누운 자세를 바꿔주지 않으면 환자에게 욕창이 생기기 쉽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코져 근자에 들어서는 침대본체와 매트리스로 된 침대에 있어서, 그 매트리스의 하부에 승강수단에 의해 각기 그 요철을 달리하는 승강구를 다수 배열하므로서 일정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승강구의 요철이 변화되게 하므로서 환자의 신체 압박부위를 달리하므로서 욕창을 방지하는 침대가 안출된 바 있다.
두꺼운 매트리스의 하부에서 작동하는 요철만으로 환자의 압박부위에 가해지는 접촉력의 가감 효과는 이루어지는 것이나, 매트리스와 환자의 신체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통기성이 불량하여 욕창이 방지되거나 개선되는 등의 효과는 전혀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침대에만 누워있는 환자는 근력이 감퇴함에 따라 근육이 소실되어 몸이 쇠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환자가 침대의 장판에 누운 상태로 하체를 좌우로 운동시킴으로써 허리 및 엉덩이의 근육 및 척추를 이완시켜 혈액순환을 돕고, 상체를 상하로 운동시켜 줌으로써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욕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가 눕는 침대에 있어서, 환자가 눕는 침대에 있어서, 지지대; 환자의 상체와 하체를 구분하여 지지하도록 구비된 제1 및 제2쿠션;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 장착되며 회전동력을 발휘하는 동력발생부; 상기 지지대의 제1쿠션에 장착되며 상기 동력발생부에 연결되어 환자의 상체를 상하로 흔들어주는 상하롤링수단;상기 지지대의 제2쿠션에 장착되며 상기 동력발생부에 연결되어 환자의 하체를 좌우로 흔들어주는 좌우롤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발생부는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된 감속기; 상기 감속기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 및 제2선회브라켓; 상기 제1 및 제2선회브라켓과 상기 상하 및 좌우롤링수단을 각기 연결하는 제1 및 제2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롤링수단은 지지대의 내측 하부에 마주보게 설치된 베어링과 결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 형상의 연결대; 상기 연결대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제1쿠션이 부착되며 소정 면적을 갖는 제1장착대; 상기 제1장착대의 일측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바의 상단이 축핀으로 결합되는 제1연결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장착대는 상기 제1쿠션이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직선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선운동부는 상기 제1장착대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봉; 상기 가이드봉에 결합되어 이동되며 상기 쿠션이 고정되는 장착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우롤링수단은 일측의 하부에 힌지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브라켓이 지지대의 상부에 장착된 베어링과 축봉으로 연결되며 상부에 제2쿠션이 결합된 제2장착대; 상기 제2장착대의 일측 전면에 편심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바의 상단이 축핀으로 결합되는 제2연결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가 침대의 장판에 누운 상태로 하체를 좌우로 흔들어 운동시킴으로써 허리 및 엉덩이의 근육 및 관절을 이완시켜 혈행을 돕고, 상체의 허리를 상승 및 하강시킴으로써 척추를 이완 및 수축시켜 줄 수 있어 관절의 혈행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를 나타낸 측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에서 '상하롤링수단'이 수평인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에서 '상하롤링수단'이 경사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에서 '좌우롤링수단'의 작동을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를 나타낸 측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에서 '상하롤링수단'이 수평인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에서 '상하롤링수단'이 경사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에서 '좌우롤링수단'의 작동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A)는, 환자가 눕는 침대에 있어서, 지지대(1); 환자의 상체와 하체를 구분하여 지지하도록 구비된 제1 및 제2쿠션(C1,C2); 상기 지지대(1)의 내부에 장착되며 회전동력을 발휘하는 동력발생부(P); 상기 지지대(1)의 제1쿠션(C1)이 장착되며 상기 동력발생부(P)에 연결되어 환자의 상체를 상하로 흔들어주는 상하롤링수단(R1); 상기 지지대(1)의 제2쿠션(C2)이 장착되며 상기 동력발생부(P)에 연결되어 환자의 하체를 좌우로 흔들어주는 좌우롤링수단(R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는 제1 및 제2쿠션(C1,C2)을 지지하며 환자의 체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강철재로 제작된다.
상기 동력발생부(P)는 지지대(1)의 내측 하부에 장착되는 모터(2); 상기 모터(2)에 연결되며 지지대(1)의 내측 하부에 장착되는 감속기(3); 상기 감속기(3)의 양측으로 돌출된 축에 각기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 및 제2선회브라켓(41,42); 상기 제1 및 제2선회브라켓(41,42)과 상기 상하 및 좌우롤링수단(R1,R2)을 각기 연결하는 제1 및 제2연결바(5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연결바(51,52)는 감속기(3)의 동력을 상하 및 좌우롤링수단(R1,R2)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봉체(53)와, 이 봉체(53)의 양단부에 나사결합되며 축핀(54)이 결합되는 조임구(55)로 구성된다.
따라서 조임구(55)를 조이거나 풀어주는 동작에 의해 제1 및 제2연결 바(51,52)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상하롤링수단(R1)은 신체 부위 중 상체를 상하로 흔들어주어 허리를 이완 및 수축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지지대(1)의 내측 하부에 마주보게 설치된 베어링(B)과 결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 형상의 연결대(61); 상기 연결대(61)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제1쿠션(C1)이 부착되며 소정 면적을 갖는 제1장착대(62); 상기 제1장착대(62)의 일측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바(51)의 상단이 축핀(54)으로 결합되는 제1연결브라켓(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장착대(62)는 상기 제1쿠션(C1)이 자중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직선운동부(7)를 더 포함한다.
즉 상하롤링수단(R1)이 경사지게 되면 자중에 의해 제1쿠션(C1)이 하방(도 4에서는 좌측)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척추를 이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직선운동부(7)는 상기 제1장착대(62)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봉(72); 상기 가이드봉(72)에 결합되어 이동되며 상기 제1쿠션(C1)이 고정되는 장착판재(74)로 구성된다.
즉 장착판재(74)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봉(72)에 결합되는 연결구(76)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구(76)는 가이드봉(72)의 외주면을 타고 이동될 수 있고, 구름작동을 하도록 하부에 다수의 롤러(79)가 장착된다.
상기 좌우롤링수단(R2)은 신체 부위 중 하체를 좌우로 흔들어주기 위한 것으로, 일측의 하부에 힌지브라켓(81)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브라켓(81)이 지지대(1)의 상부에 장착된 베어링(821)과 축봉(822)으로 연결되며 상부에 제2쿠션(C2)이 결합된 제2장착대(82); 상기 제2장착대(82)의 일측 전면에 편심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바(52)의 상단이 축핀(523)으로 결합되는 제2연결브라켓(8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장착대(82)는 지지대(1)의 상부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됨으로써 하강을 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마련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환자가 제1 및 제2쿠션(C1,C2)에 누운 상태, 즉 하체는 제2쿠션(C2)에 올리고, 상체는 제1쿠션(C1)에 누운 상태에서 리모콘을 조작하여 상하롤링수단(R1) 및 좌우롤링수단(R2)을 작동시킨다.
즉 상하 및 좌우롤링수단(R1,R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작동시키거나 또는 상하 및 좌우롤링수단(R1,R2)을 동시에 작동시킨다.
상기 상하롤링수단(R1)의 작동을 살펴보면, 동력발생부(P)의 모터(2)가 구동되면 감속기(3)를 거쳐 적정한 회전속도로 감속되고, 이에 종동되어 제1연결브라켓(63)과 제1연결바(51)가 크랭크 운동을 하게 된다.
특히 제1연결바(51)는 상하로 움직이게 되므로 이에 연결된 제1장착대(62)의 전단부, 즉 제1연결브라켓(63)이 형성된 부위가 상승하게 되며, 아울러 연결대(61)는 회전하게 되어 상하롤링수단(R1)은 경사진 상태와 수평 상태를 반복하면서 상체를 상하로 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하롤링수단(R1)이 경사지게 되면 자중에 의해 제1쿠션(C1)이 직선운동부(7)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허리를 이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좌우롤링수단(R2)의 작동을 살펴보면, 동력발생부(P)의 모터(2)가 구동되면 감속기(3)를 거쳐 적정한 회전속도로 감속되고, 이에 종동되어 제2연결브라켓(83)과 제2연결바(52)가 크랭크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연결바(52)에 연결된 제2장착대(82)는 제2연결브라켓(83)이 형성된 일부위가 힌지브라켓(81)을 회전점으로 하여 회전되어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게 되므로 제2쿠션(C2)이 좌우로 회전됨으로써 하체를 좌우 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체와 하체를 개별적이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운동시킴에 의해 거동이 어려운 환자가 침대에 누운채 움직일 수 있어 욕창을 방지하고 근육의 퇴화 및 관절의 경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상기 도 7에서 '수평이동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상기 도 7에서 '좌우롤링수단'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는, 지지대(1); 환자의 상체와 하체를 구분하여 지지하도록 구비된 제1 및 제2쿠션(C1,C2); 상기 지지대(1)의 내부에 장착되며 회전동력을 발휘하는 동력발생부(P); 상기 지지대(1)의 제1쿠션(C1)이 장착되며 상기 동력발생부(P)에 연결되어 환자의 상체를 전후진시키는 수평이동부(R3); 상기 지지대(1)의 제2쿠션(C2)이 장착되며 상기 동력발생부(P)에 연결되어 환자의 하체를 좌우로 흔들어주는 좌우롤링수단(R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대(1), 제1 및 제2쿠션(C1,C2), 동력발생부(P)는 이미 앞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평이동부(R3)는 신체 부위 중 상체를 전후진시켜 허리를 이완 및 수축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장착대(62)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봉(72); 상기 가이드봉(72)에 결합되어 이동되며 상기 제1쿠션(C1)이 고정되는 장착판재(74); 상기 장착판재(74)의 하부에 일정 길이로 장착된 브라켓(101); 상기 브라켓(101)과 힌지결합되는 샤프트(102); 상기 샤프트(102)가 편심 결합되는 스프로켓(103); 상기 스프로켓(103)과 체인(104)으로 결합되는 감속기(3)로 구성된다.
감속기(3)는 모터(2)와 연결되어 모터(2)의 회전력을 일정 회전 속도로 감속시킨다.
따라서 감속기(3)의 구동력이 체인(104)을 통해 스프로켓(103)으로 전달되고, 스프로켓(103)의 회전운동은 샤프트(102)를 구동시켜 제1쿠션(C1)이 전후진 운동하게 된다.
상기 좌우롤링수단(R4)은 신체 부위 중 하체를 좌우로 흔들어주기 위한 것으로, 일측의 하부에 힌지브라켓(81)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브라켓(81)이 지지대(1)의 상부에 장착된 베어링(821)과 축봉(822)으로 연결되며 상부에 제2쿠션(C2)이 결합된 제2장착대(82); 상기 제2장착대(82)의 일측 전면에 편심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바(52)의 상단이 축핀(523)으로 결합되는 제2연결브라켓(8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연결바(52)의 하단은 감속기(3)의 타측의 회전축에 장착된 크랭크축(201)과 결합된다.
따라서 모터(2)에 연결된 감속기(3)의 회전에 의해 크랭크축(201)이 회전됨으로써 제2연결바(52)가 크랭크 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종동되어 제2쿠션(C2)이 힌지브라켓(81)을 회전점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지지대 c1 : 제1쿠션
c2 : 제2쿠션 R1 : 상하롤링수단
R2 : 좌우롤링수단 2 : 모터
3 : 감속기 41,42 : 제1 및 제2선회브라켓
51,52 : 제1 및 제2연결바 62 : 제1장착대
82 : 제2장착대

Claims (8)

  1. 환자가 눕는 침대에 있어서,
    지지대(1);
    환자의 상체와 하체를 구분하여 지지하도록 구비된 제1 및 제2쿠션(C1,C2);
    상기 지지대(1)의 내부에 장착되며 회전동력을 발휘하는 동력발생부(P);
    상기 제1쿠션(C1)이 장착되며 상기 동력발생부(P)에 연결되어 환자의 상체를 상하로 흔들어주는 상하롤링수단(R1);
    상기 제2쿠션(C2)이 장착되며 상기 동력발생부(P)에 연결되어 환자의 하체를 좌우로 흔들어주는 좌우롤링수단(R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P)는
    상기 지지대(1)의 내측 하부에 장착되는 모터(2);
    상기 모터(2)에 연결되며 지지대(1)의 내측 하부에 장착되는 감속기(3);
    상기 감속기(3)의 양측으로 돌출된 축에 각기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 및 제2선회브라켓(41,42);
    상기 제1 및 제2선회브라켓(41,42)과 상기 상하 및 좌우롤링수단(R1,R2)을 각기 연결하는 제1 및 제2연결바(51,5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롤링수단(R1)은
    지지대(1)의 내측 하부에 마주보게 설치된 베어링(B)과 결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 형상의 연결대(61);
    상기 연결대(61)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제1쿠션(C1)이 부착되며 소정 면적을 갖는 제1장착대(62);
    상기 제1장착대(62)의 일측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바(51)의 상단이 축핀(54)으로 결합되는 제1연결브라켓(6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대(62)는 상기 제1쿠션(C1)이 자중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직선운동부(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선운동부(7)는,
    상기 제1장착대(62)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봉(72);
    상기 가이드봉(72)에 결합되어 이동되며 상기 제1쿠션(C1)이 고정되는 장착판재(7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롤링수단(R2)은
    일측의 하부에 힌지브라켓(81)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브라켓(81)이 지지대(1)의 상부에 장착된 베어링(821)과 축봉(822)으로 연결되며 상부에 제2쿠션(C2)이 결합된 제2장착대(82);
    상기 제2장착대(82)의 일측 전면에 편심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바(52)의 상단이 축핀(523)으로 결합되는 제2연결브라켓(8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
  6. 지지대(1);
    환자의 상체와 하체를 구분하여 지지하도록 구비된 제1 및 제2쿠션(C1,C2);
    상기 지지대(1)의 내부에 장착되며 회전동력을 발휘하는 동력발생부(P);
    상기 지지대(1)의 제1쿠션(C1)이 장착되며 상기 동력발생부(P)에 연결되어 환자의 상체를 전후진시키는 수평이동부(R3);
    상기 지지대(1)의 제2쿠션(C2)이 장착되며 상기 동력발생부(P)에 연결되어 환자의 하체를 좌우로 흔들어주는 좌우롤링수단(R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부(R3)는
    상기 제1장착대(62)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봉(72);
    상기 가이드봉(72)에 결합되어 이동되며 상기 제1쿠션(C1)이 고정되는 장착판재(74);
    상기 장착판재(74)의 하부에 일정 길이로 장착된 브라켓(101);
    상기 브라켓(101)과 힌지결합되는 샤프트(102);
    상기 샤프트(102)가 편심 결합되는 스프로켓(103); 상기 스프로켓(103)과 체인(104)으로 결합되는 감속기(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롤링수단(R4)은
    일측의 하부에 힌지브라켓(81)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브라켓(81)이 지지대(1)의 상부에 장착된 베어링(821)과 축봉(822)으로 연결되며 상부에 제2쿠션(C2)이 결합된 제2장착대(82);
    상기 제2장착대(82)의 일측 전면에 편심되게 형성되며, 제2연결바(52)의 상단이 축핀(523)으로 결합되는 제2연결브라켓(83);
    상기 제2연결바(52)의 하단은 감속기(3)의 타측의 회전축에 장착된 크랭크축(201)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
KR1020110036638A 2011-04-20 2011-04-20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 KR101246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638A KR101246669B1 (ko) 2011-04-20 2011-04-20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638A KR101246669B1 (ko) 2011-04-20 2011-04-20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966A true KR20120118966A (ko) 2012-10-30
KR101246669B1 KR101246669B1 (ko) 2013-03-25

Family

ID=47286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638A KR101246669B1 (ko) 2011-04-20 2011-04-20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66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430B1 (ko) * 2014-10-14 2015-03-03 김재겸 척추 견인 운동장치
CN109223370A (zh) * 2018-10-15 2019-01-18 长沙宁湖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模拟车身摇晃的催眠床
KR20210031130A (ko) * 2019-09-11 2021-03-19 이광덕 침대형 재활운동기구
KR20210043786A (ko) * 2019-10-11 2021-04-22 이광덕 침대형 재활운동장치
KR20210130897A (ko) * 2020-04-22 2021-11-02 정성의 척추교정 및 신체 이완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7273B (zh) * 2013-10-31 2016-09-21 广西柳州中嘉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电脑四维双向牵引床
CN104224422B (zh) * 2014-09-01 2017-02-01 浏阳市余氏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悬挂式柔性动态牵引器
KR102034891B1 (ko) 2017-05-26 2019-10-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요추 안정화 운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3537A (en) 1986-12-19 1988-02-09 Parker Jr Alonzo E Passive exercising apparatus
KR200194790Y1 (ko) 2000-04-08 2000-09-01 정인근 허리 비틀림운동기
KR20010096741A (ko) * 2000-04-14 2001-11-08 신영철 온열물리치료침대
KR100614838B1 (ko) 2004-10-19 2006-08-28 김석규 다목적 전신 운동기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430B1 (ko) * 2014-10-14 2015-03-03 김재겸 척추 견인 운동장치
CN109223370A (zh) * 2018-10-15 2019-01-18 长沙宁湖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模拟车身摇晃的催眠床
CN109223370B (zh) * 2018-10-15 2020-11-06 浙江黄岩头陀塑料五金厂 一种模拟车身摇晃的催眠床
KR20210031130A (ko) * 2019-09-11 2021-03-19 이광덕 침대형 재활운동기구
KR20210043786A (ko) * 2019-10-11 2021-04-22 이광덕 침대형 재활운동장치
KR20210130897A (ko) * 2020-04-22 2021-11-02 정성의 척추교정 및 신체 이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6669B1 (ko) 2013-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669B1 (ko) 유산소운동 겸용 분리 구동 침대
CN109248056B (zh) 一种骨科用腿部康复锻炼装置
US6360386B1 (en) Sickbed
CN110974597A (zh) 一种骨科脊柱用矫正装置
JP5770101B2 (ja) 介護ベッド
US7905846B2 (en) Special bed, for bedsores therapy and massage therapy
KR100664725B1 (ko) 전신지압 및 척추교정기의 베드구조
CN109259944B (zh) 一种医疗用病患搬运床
CN105662778A (zh) 一种按摩诊疗床
CN108618944A (zh) 一种医疗护理用颈椎病按摩装置
CN201085766Y (zh) 捶打式脊背按摩器
KR101725602B1 (ko) 성장촉진 및 관절과 근육을 이완시켜주는 침대
KR101350235B1 (ko) 목마사지부가 구비된 마사지장치
CN106039569A (zh) 一种肌肤肌肉护理装置
KR101270776B1 (ko) 유산소운동 겸용 욕창방지침대
WO2008105746A1 (en) Anti-bedsore bed
CN204293443U (zh) 脊椎摆动运动理疗床
CN213157483U (zh) 一种多功能膝关节康复设备
WO2013022382A2 (ru) Виброкушетка
CN209316422U (zh) 一种双曲轴正反往复旋摆自我推拿床
CN209405189U (zh) 一种睡觉推拿两用床
KR101103582B1 (ko) 유산소 운동 침대
CN105310813B (zh) 一种呼啦圈式腰椎理疗方法与呼啦圈式腰椎理疗床
RU228307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ссажа
CN110496011A (zh) 一种睡觉推拿两用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