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582B1 - 유산소 운동 침대 - Google Patents

유산소 운동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582B1
KR101103582B1 KR1020110098049A KR20110098049A KR101103582B1 KR 101103582 B1 KR101103582 B1 KR 101103582B1 KR 1020110098049 A KR1020110098049 A KR 1020110098049A KR 20110098049 A KR20110098049 A KR 20110098049A KR 101103582 B1 KR101103582 B1 KR 101103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ed
bed body
aerobic exercise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창원
Original Assignee
송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창원 filed Critical 송창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2Traction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61H2201/1284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using own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산소 운동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산소 운동 침대는 하부에 저판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마주보게 형성되는 장변 측판과 단변 측판이 각기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침대본체; 상기 침대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침대본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침대본체의 저판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조각판으로 구성되어 사람이 누울 수 있도록 한 장판부; 상기 침대본체의 상부 및 하부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커버 및 상기 커버의 내측에 형성된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가 침대에 누운 채 허리 및 엉덩이 등의 각 신체 부위를 횡운동을 하면서 유산소 운동을할 수 있고, 원적외선을 쏘이면서 생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거꾸로 세울 수 있어 혈액 순환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산소 운동 침대{AEROBIC EXERCISE BED}
본 발명은 유산소 운동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가 침대에 누운 채 허리 및 엉덩이 등의 각 신체 부위를 횡운동을 하면서 유산소 운동을할 수 있고, 원적외선을 쏘이면서 생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누운 상태에서 거꾸로 세울 수 있어 혈액 순환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산소 운동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디스크나 척추디스크 환자들은 특별한 치료방법이 없어서 주로 병원등에서 물리치료를 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물리치료기구는 고가이나 그다지 효과적이 아니고 또한 이러한 기구를 사용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어 이를 이용하는 데에 큰 부담을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환자가 장기간 누워 있게 되면 일반적으로 엉덩이, 장골, 배골부등 뼈의 돌출부에 경계가 선명한 홍반이 생기고 압통이 심하게 되며, 심할 경우 파스름해지고 괴사가 됨은 물론 궤양을 만들게 되는 욕창은 신체의 일부가 오랫동안 압박을 받게 되거나 혈액의 변화, 야윔등 생활력감퇴에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욕창은 병상에 장기간 누워있어야 하는 환자, 특히 의식불명의 환자에게 발생되기 쉽다.
그런데, 종래에 있어서 환자용 침대는 욕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환자의 몸을 주기적으로 마사지하거나 누운 자세를 바꿔주지 않으면 환자에게 욕창이 생기기 쉽게 된다.
또한 침대에만 누워있는 환자는 근력이 감퇴함에 따라 근육이 소실되어 몸이 쇠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2-0070935호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온열로울러와 유산소 운동기가 구비된 것으로, 척추 교정과 통증완화를 목적으로 제안된 것으로 유산소 운동효과가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환자가 침대에 누운 채 허리 및 엉덩이 등의 각 신체 부위를 횡운동을 하면서 유산소 운동을할 수 있고, 원적외선 방사에 의해 신체 생활리듬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거꾸로 세울 수 있어 혈액 순환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산소 운동 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에 저판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마주보게 형성되는 장변 측판과 단변 측판이 각기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침대본체; 상기 침대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침대본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침대본체의 저판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조각판으로 구성되어 사람이 누울 수 있도록 한 장판부; 상기 침대본체의 상부 및 하부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커버 및 상기 커버의 내측에 형성된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소 운동 침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장판부는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로 배치되는 조각판; 상기 다수의 조각판의 하부 양측에 각기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각판이 개별적으로 좌우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하부에 끼움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상,하부 편체; 상기 상,하부 편체 내에 삽입되어 구름작동되는 볼베어링; 상기 상부 편체의 양단부에 결합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대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발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좌우로 흔들어주어 신체를 흔들 수 있도록 한 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동부는 상기 침대본체의 일측의 단변 측판에 축으로 결합되며, 발을 올려놓는 발판; 상기 발판을 일정한 회전 각도 내에서 정,역회전을 반복시켜 좌우운동을 발휘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부는 상기 침대본체에 장착된 모터; 상기 모터의 축에 장착된 회전판; 상기 회전판에 일단부가 편심 결합되는 구동축; 상기 발판에 형성된 축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축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가 침대에 누운 채 허리 및 엉덩이 등의 각 신체 부위를 횡운동을 하면서 유산소 운동을할 수 있고, 신체를 거꾸로 세울 수 있어 혈액 순환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산소 운동 침대에 대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산소 운동 침대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산소 운동 침대의 저면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산소 운동 침대의 일부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산소 운동 침대의 회전 작동을 순서대로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산소 운동 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 측면도,
도 7은 상기 도 6에서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산소 운동 침대(A)는
하부에 저판(11)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마주보게 형성되는 장변 측판(12)과 단변 측판(14)이 각기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침대본체(1);
상기 침대본체(1)를 지지하는 프레임(2);
상기 프레임(2)에 장착되며 상기 침대본체(1)를 회전시키는 구동부(3);
상기 침대본체(1)의 저판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조각판(42)으로 구성되어 사람이 누울 수 있도록 한 장판부(4)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침대본체(1)는 통상의 침대와 마찬가지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내측 하부에 바닥을 구성하는 저판(11)이 형성되고, 장변과 단변에는 각기 장변 측판(12)과 단변 측판(14)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부는 개구된 형상이 된다.
상기 침대본체(1)의 상부 및 하부에는 커버(10)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커버(10)의 내측에는 원적외선 방사램프(102)가 형성된다.
그리고 침대본체(1)의 양 장변의 외측 하부에는 지지력을 갖도록 소정의 프레임(2)이 설치되어 침대본체(1)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2)은 침대본체(1)의 하부에 축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프레임(2)에는 침대본체(1)를 일정한 각도 내에서 상,하로 회전시켜 일명 '꺼꾸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동부(3)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3)는 침대본체(1)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사람이 거꾸로 배치되어 머리부에 혈액 순환이 집중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모터가 장착된 본체(31)와, 상기 본체(31)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와 기어로 연결되어 인입 및 인출작동되는 로드(32)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31)는 하단이 프레임(2)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로드(32)의 상단은 침대본체(1)의 하부에 힌지 결합된다.
즉 전동모터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에 의해 로드(32)가 인입 또는 인출됨으로써 침대본체(1)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꺼꾸리 운동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리모콘을 조작하여 로드를 인입 또는 인출시킴으로써 원하는 각도로 침대본체(1)를 기울어지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장판부(4)는 다수의 조각판(42)을 연결하여 사람이 누울 수 있는 일정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한 것으로, 다수의 조각판(42)은 각기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조각판(42)은 각기 그 하부 양측에 슬라이딩부재(44)가 각기 설치되어 침대본체(1)의 저판(11)에 장착되어 개별적으로 좌우로 슬라이딩 작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슬라이딩부재(44)는
상,하부에 끼움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상,중,하부 편체(441,442,444);
상기 상,중,하부 편체(441,442,444) 내에 삽입되어 구름작동되는 볼베어링(448);
상기 상부 편체(441)와 하부 편체(444)를 연결하도록 장착된 스프링(4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장판부(4)에 누운 사람이 좌우방향으로 몸을 움직이면 슬라이딩부재(44)의 슬라이딩 작용에 의해 각 조각판(42)이 좌우방향으로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각 신체부위를 개별적으로 움직이면서 운동할 수 있고, 아울러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욕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라이딩 운동을 하지 않을때는 스프링(446)의 복원력에 의해 각 조각판(42)이 중앙에 정위치될 수 있다.
한편 조각판(42) 중 어깨에서 허리에 대응되는 조각판(42)들은 원적외선이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판부(4)를 구성하는 다수의 조각판(42)은 각기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조각판(42)은 침대본체(1)의 마주보게 형성된 양 단변 측판(14)을 연결하는 연결봉에 와이어(5)로 연결되어 마치 그네와 같은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누운 사람이 몸을 움직이면 각 조각판(42)이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각 신체부위를 개별적으로 움직이면서 운동할 수 있고, 아울러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욕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장판부(4)는, 상기 다수의 조각판(42)의 양 단부에 와이어(5)를 연결하고, 각 와이어(5)의 상단을 침대본체(1)에 연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각 조각판(42)이 공중에 매달린 채 자유 운동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각판(42)은 중심 하부에 결속볼트(7)가 결합되고, 상기 결속볼트(7)의 양측에 각기 한쌍의 제1 및 제2결속공(h1,h2)과 한쌍의 제3 및 제4결속공(h3,h4)이 대칭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한쌍의 제1 및 제2결속공(h1,h2) 및 제3 및 제4결속공(h3,h4)에 와이어(5)가 결합된다.
즉 와이어(5)가 하부의 결속볼트(7)에 감겨진 후 제2결속공(h2)을 통과한 후 상부로 수직되게 배열되어 상부의 침대본체(1)의 제1통공(h5)을 통과한 후 그 옆의 제2통공(h6)을 통해 하부로 수직되게 배열되어 제1결속공(h1)을 통과한 후 결속볼트(7)에 수회 감겨진다.
이후 상기 결속볼트(7)에 감겨진 와이어(5)를 다시 타측의 제3결속공(h3)을 통과한 후 상부로 수직되게 배열되어 상부의 침대본체(1)의 제3통공(h7)을 통과한 후 그 옆의 제4통공(h8)을 통해 하부로 수직되게 배열되어 제4결속공(h4)을 통과한 후 결속볼트(7)에 다시 수회 감겨진 후 묶어 마감처리된다.
따라서 와이어(5)를 조각판(42)의 양측에 균형되게 묶어 고정시킴으로써 조각판(42)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고, 견고한 묶음 고정이 가능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력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침대본체(1)의 일측, 즉 발이 놓이는 부위에 발을 올려놓고 흔들어주어 결과적으로 신체를 흔들어줄 수 있도록 하는 운동부(9)가 설치된다.
즉 발을 좌우로 흔들어줌으로써 하체 및 상체를 흔들어주게 되고 이에 따라 오장육부의 운동을 원활하게 해줄 수 있고, 관절의 운동까지 유발하게 된다.
상기 운동부(9)는 침대본체(1)의 일측의 단변 측판(14)에 축으로 결합되며 발을 올려놓는 발판(15)과, 상기 발판(15)을 일정한 회전 각도 내에서 정,역회전을 반복시켜 요동운동을 발휘하는 동력부(8)를 포함한다.
상기 발판(15)은 측면에 보았을때 'ㄴ'자 형상의 판상으로 이루어져 발바닥을 수직면에 접촉시키고, 뒷꿈치를 수평면에 올려놓을 수 있다.
상기 동력부(8)는 상기 침대본체(1)의 단변 측판(14)에 장착된 모터(81); 상기 모터(81)의 축에 장착된 회전판(82); 상기 회전판(82)에 일단부가 편심되게 결합된 연결대(83); 상기 단변 측판(14)의 외면에 수평으로 장착된 가이드부재(84); 상기 가이드부재(84)에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일단이 상기 연결대(83)와 힌지 결합된 이동판재(85);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판재(85)의 하단에 형성된 브라켓(852)이 상기 단변 측판(14)에 형성된 작동슬릿(86)에 삽입되어 상기 발판(15)과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81)가 회전되면, 회전판(82)이 회전되고, 이에 편심되게 연결된 연결대(83)가 원의 궤적으로 회전되며, 상기 연결대(83)에 연결된 이동판재(85)가 가이드부재(84)을 따라 좌우로 이동됨으로써 이동판재(85)에 연결된 발판(15)이 좌우로 운동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발판(15)에는 발목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밴드(153)가 형성된다. 따라서 누운 상태에서 발을 걸고 거꾸로 침대본체(1)를 회전시켜 신체를 세웠을때 떨어지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장판부(4)에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리모콘을 조작하여 침대본체(1)를 상,하로 회전시켜 일명 꺼꾸리 운동을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직접 리모콘의 제어에 의해 구동부(3)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침대본체(1)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설정할 수 있어 사람이 거꾸로 배치되어 머리에 혈액 순환이 집중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원적외선 방사램프(102)를 작동시켜 원적외선이 조각판(42)의 타공을 통과하여 인체에 조사될 수 있어 원적외선의 효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장판부(4)에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움직임을 원하는 부위를 좌우로 흔들면 해당 신체에 접촉된 조각판(42)이 슬라이딩부재(44)에 의해 슬라이딩 될 수 있어 자유롭게 좌우로 움직일 수 있고, 몸을 빠르게 움직일수록 체력 소모가 동반되므로 유산소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운동부(9)의 발판(15)에 발을 올린 상태로 리모컨의 스위치를 온(on)시키면 모터(81) 및 회전판(82)이 회전되고, 편심 결합되는 연결대(83)가 구동된다.
따라서 도 5의 (a)~(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83)의 일단부가 회전판(82)에 편심결합되어 있으므로 연결대(83)는 일정한 회전반경을 가지면서 선회운동을 하게 되고, 그 타단에 힌지 결합된 이동판재(85)가 가이드부재(84)을 따라 수평의 왕복운동을 하게 되며, 발판(15)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발판(15)에 올려놓은 발 및 신체를 좌우로 흔들어주게 된다.
따라서 발의 흔들림에 연동되어 신체도 좌우로 흔들어 줌으로써 요동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침대본체 2 : 프레임
3 : 구동부 4 : 장판부
6 : 연결봉 7 ; 체인
8 : 동력부 9 : 운동부
15 : 발판 16 : 반원판
17 : 모터 42 : 조각판
81 : 제1랙기어 82 : 제2랙기어

Claims (10)

  1. 하부에 저판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마주보게 형성되는 장변 측판과 단변 측판이 각기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침대본체;
    상기 침대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침대본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침대본체의 저판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조각판이 다수로 구성되어 사람이 누울 수 있도록 한 장판부;
    상기 침대본체의 상부 및 하부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커버;
    상기 침대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발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좌우로 흔들어주어 신체를 흔들 수 있도록 한 운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소 운동 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판부는
    상기 조각판의 하부 양측에 각기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각판이 개별적으로 좌우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소 운동 침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하부에 끼움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상,중,하부 편체;
    상기 상,중,하부 편체 내에 삽입되어 구름작동되는 볼베어링;
    상기 상부 편체와 하부 편체를 연결하도록 장착된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소 운동 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부는
    상기 침대본체의 일측의 단변 측판에 축으로 결합되며, 발을 올려놓는 발판;
    상기 발판을 일정한 회전 각도 내에서 정,역회전을 반복시켜 좌우운동을 발휘하는 동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소 운동 침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상기 침대본체의 단변 측판에 장착된 모터;
    상기 모터의 축에 장착된 회전판;
    상기 회전판에 일단부가 편심되게 결합된 연결대;
    상기 단변 측판의 외면에 수평으로 장착된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일단이 상기 연결대와 힌지 결합된 이동판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판재의 하단에 형성된 브라켓이 상기 단변 측판에 형성된 작동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발판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소 운동 침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판은 침대본체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소 운동 침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판은
    중심 하부에 결속볼트가 결합되고, 상기 결속볼트의 양측에 각기 한쌍의 제1 및 제2결속공과 한쌍의 제3 및 제4결속공이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제1 및 제2결속공 및 제3 및 제4결속공에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소 운동 침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결속볼트에 감겨진 후 상기 조각판의 제2결속공을 통과된 후 상부로 수직되게 배열되어 상부의 침대본체의 제1 및 제2통공을 통과한 후 하부로 수직되게 배열되어 상기 조각판의 제1결속공을 통과한 후 결속볼트에 수회 감겨지고,
    상기 조각판의 제3결속공을 통과한 후 상부로 수직되게 배열되어 상부의 침대본체의 제3 및 제4통공을 통과한 후 하부로 수직되게 배열되어 상기 조각판의 제4결속공을 통과한 후 결속볼트에 다시 수회 감겨진 후 묶어 마감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소 운동 침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측에 형성된 원적외선 방사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소 운동 침대.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에는 고정밴드가 부착되어 발목을 고정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소 운동 침대.
KR1020110098049A 2011-08-12 2011-09-28 유산소 운동 침대 KR1011035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80585 2011-08-12
KR1020110080585 2011-08-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3582B1 true KR101103582B1 (ko) 2012-01-09

Family

ID=45613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049A KR101103582B1 (ko) 2011-08-12 2011-09-28 유산소 운동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5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227B1 (ko) * 2015-05-22 2016-11-10 최문수 환자용 침대
KR20220027337A (ko) 2020-08-26 2022-03-08 박영환 안마기능을 갖는 전신운동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74A (ja) * 1994-06-21 1996-01-09 Inazumi Toshio スライドヘルスベッド
KR20040017940A (ko) * 2002-08-22 2004-03-02 주식회사 포스코 아연도금 강판의 조도편차 감소 장치
KR20040045631A (ko) * 2002-11-25 2004-06-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짜 휘발유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0659910B1 (ko) * 2004-08-25 2006-12-26 남궁민우 운동수단을 갖는 의료용 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74A (ja) * 1994-06-21 1996-01-09 Inazumi Toshio スライドヘルスベッド
KR20040017940A (ko) * 2002-08-22 2004-03-02 주식회사 포스코 아연도금 강판의 조도편차 감소 장치
KR20040045631A (ko) * 2002-11-25 2004-06-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짜 휘발유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0659910B1 (ko) * 2004-08-25 2006-12-26 남궁민우 운동수단을 갖는 의료용 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227B1 (ko) * 2015-05-22 2016-11-10 최문수 환자용 침대
KR20220027337A (ko) 2020-08-26 2022-03-08 박영환 안마기능을 갖는 전신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64584B (zh) 康复训练床
US10744367B2 (en) Bed with exercise function
JP5345855B2 (ja) 背骨矯正用運動器具
KR20140001962U (ko) 뜸질침대
KR100630613B1 (ko) 침대형 대체의학 물리치료기
KR101103582B1 (ko) 유산소 운동 침대
ES2300220A1 (es) Dispositivo para bipedestacion y rehabilitacion de marcha, para personas con minusvalidas motoras.
KR101270776B1 (ko) 유산소운동 겸용 욕창방지침대
KR100469996B1 (ko) 발목 펌프 운동기구
KR20060038006A (ko) 발목 펌프 운동기구
CN207871109U (zh) 一种医疗护理用腿部活动器
KR100807201B1 (ko) 척추교정용 운동기기
CN209827491U (zh) 多功能理疗床
KR101048720B1 (ko) 척추교정 운동기구
JP2006341039A (ja) 「歩行訓練&散歩型車椅子」
CN204709351U (zh) 一种具备可拆装的按摩用枕的按摩用温热垫
CN107714343A (zh) 一种医疗用骨科疗养锻炼病床
KR20070000073U (ko) 안마 및 운동 기능을 갖는 침대
KR20040082234A (ko) 허리강화기구
JP4241169B2 (ja) 吊りベルト式リハビリ装置
KR101486952B1 (ko) 물리치료기
CN103690335B (zh) 多功能人体脊椎按摩床
KR101214016B1 (ko) 척추 및 골반 교정용 운동기구
KR200432639Y1 (ko) 척추골반 교정기
KR100617487B1 (ko) 발목 펌프 운동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