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639Y1 - 척추골반 교정기 - Google Patents

척추골반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639Y1
KR200432639Y1 KR2020060024583U KR20060024583U KR200432639Y1 KR 200432639 Y1 KR200432639 Y1 KR 200432639Y1 KR 2020060024583 U KR2020060024583 U KR 2020060024583U KR 20060024583 U KR20060024583 U KR 20060024583U KR 200432639 Y1 KR200432639 Y1 KR 2004326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rtion
coupled
bed support
beds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5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경
Original Assignee
김영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경 filed Critical 김영경
Priority to KR2020060024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6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6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6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38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61H2201/1246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by piston-cylinde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6Pivo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디부 상측에 복수개로 형성된 베드가 작동부와 결합되어 실린더의 피스톤운동에 의하여 복수개의 상기 베드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작동되어지는 척추골반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디부의 상부 양측으로 교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교정부재의 상측으로 복수개의 베드가 각각 결합되어지되, 상기 교정부재는 상측으로 베드받침부가 형성되고 하측으로 고정받침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받침부의 일단에 형성된 힌지공에 베드받침부와 힌지결합되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베드받침부의 하측에는 회전체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공과 결합된 회전샤프트가 상기 회전체와 회전결합되어져 상기 회전샤프트의 일단에 형성된 진동부재의 피스톤운동에 의하여 상기 베드받침부의 좌,우측이 선택적으로 상,하운동하여 사용자의 뭉쳐진 허리와 골반근육을 효율적으로 풀어주는 역할을 제공하는 척추골반 교정기를 고안한 것이다.
교정기, 바디부, 작동부, 교정부재,

Description

척추골반 교정기{BACKBONE PELVIS BRACE}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상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상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교정기 1-바디부
2-작동부 3-교정부재
11-실린더 21, 21a-상체베드
30-진동부재 31-베드받침부
32-고정받침부 33--힌지공
34-회전체 35-회전샤프트
301-진동프레임 302-진동샤프트
M-모터
본 고안은 자동척추 골반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의 양측으로 실린더가 연결되어진 바디부 상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베드가 작동부와 결합되어 실린더의 피스톤운동에 의하여 복수개의 상기 베드의 좌,우측방향이 각각 선택적으로 상,하 운동함으로서 사용자의 척추와 골반을 바르게 교정하며 또한 사용자 스스로가 움직이기 힘든 근육을 발달시켜줌으로서 보다 쾌적한 컨디션을 유지함은 물론 신진대사가 원할하고 신체의 피로를 풀어줌으로서 보다 쾌적한 생활을 지속적으로 유지가능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주지되는 바와 같이 대부분의 사람들이 평상시 잘못된 자세로부터 시작되어 허리나 골반등에 지속적인 무리가 가게 되고 그에 따라 지속적인 디스크 또는 척추장애 등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제기되는 것이다.
즉 일반 여성이나 비만증의 환자들의 경우 특히 질병이 쉽게 유발되고 적절한 운동 즉 철봉에 매달리거나 평행봉등을 이용한 신체운동이 요구되는 것으로서 상기 운동을 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척추골반 및 허리의 관절과 근육을 비틀어주고 수축 및 이완시켜 자극을 지속적으로 주게 되면 허리를 비롯한 신체의 대부분의 관절과 근육등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그에 따라 혈액순환등에 좋은 효과등을 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력에 의하여 상기와 같이 운동을 진행하지 못한 경우가 많고 또한 그에 따라 허리에 군살이 많이 생김과 동시에 골반등에 각종 질병을 수반하게 되어 운동의 필요성이 절실한 것이다.
또한 상기 운동을 대체하는 운동용품으로 벨트를 허리에 감아서 사용하는 바 이브레이타등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허리의 군살을 제거하는데 일조를 할 뿐 그외에는 별다른 효과가 없어 보다 현실적인 운동치료법이 제기되는 등의 문제점이 수반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바디부와 작동부 사이에 교정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교정부재가 실린더의 피스톤운동을 병행함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베드에 진동부재의 진동운동이 전달되어 허리와 골반의 뭉친 근육을 효율적으로 풀어주도록 제공된 것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진동부재가 복수개의 상기 베드를 각각 지지하는 베드받침부의 일단에 편심결합되어 상기 진동부재에 실린더의 피스톤운동이 전달시 상기 베드받침부의 좌,우측 단부가 선택적으로 상,하구동되어지는 것을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M)의 양측으로 실린더가 연결되어진 바디부(1) 상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베드(21, 21a)가 작동부(2)와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운동과 상기 모터(M)의 구동으로 복수개의 상기 베드(21, 21a)가 상,하로 승강 및 좌,우로 작동되어지는 척추골반 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의 양측으로 교정부재(3)가 형성되고 상기 교정부재(3)의 상측으로 복수개의 상기 베드(21, 21a)와 각각 결합되어지되, 상기 교정부재(3)는 상 측으로 베드받침부(31)가 형성되고 하측으로 고정받침부(32)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받침부(32)의 일단에 형성된 힌지공(33)에 베드받침부(31)와 힌지결합되어지며, 상기 베드받침부(31)의 하측에는 회전체(34)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공(33)과 결합된 회전샤프트(35)가 상기 회전체(34)와 회전결합되어져서 상기 베드받침부(31)와 상기 회전체(34)가 상기 회전샤프트(35)를 중심으로 상,하구동하게 하되, 상기 회전샤프트(35)의 일단에는 진동부재(30)가 형성되어 실린더(11)의 축상에 결합되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기 진동부재(30)는 진동프레임(301)의 수직방향으로 진동샤프트(302)가 형성되어 상기 진동샤프트(302)가 베드받침부(31)의 일측으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베드받침부(31)와 편심결합되어져 상기 진동부재(30)에 의하여 작동부(2)의 좌,우방향으로 각각 선택적으로 상,하 수직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바디부(1)의 중앙에는 모터(M)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M)의 양측으로 실린더(11)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1) 상측에는 복수개의 베드(21, 21a)로 형성된 작동부(2)와 결합되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모터(M)의 구동에 따라 실린더(11)가 피스톤운동을 진행하게 되어 상기 실린더(11)의 피스톤운동에 따라 작동부(2)의 복수개의 베드(21)를 각각 상,하,좌,우로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저면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베드(21, 21a)의 하부에는 각각 베드받침부(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측으로 베드받침부(31)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고정받침부(32)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받침부(32)의 일단에 형성된 힌지공(33)에 베드받침부(31)와 힌지결합되어지며, 상기 베드받침부(31)의 하측에는 회전체(34)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공(33)과 결합된 회전샤프트(35)가 상기 회전체(34)와 회전결합되어지되, 상기 회전체(34)의 일단에는 진동부재(30)가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진동부재(30)는 실린더(11)의 축상에 결합되어짐으로서 상기 실린더(11)의 피스톤운동에 따라 복수개의 베드(21, 21a)가 각각 상,하,좌,우로 구동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진동부재(30)의 진동샤프트는 베드받침부(31)의 일측으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진동샤프트(302)가 상,하로 피스톤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 편심결합되어진 베드받침부(31)의 좌,우방향이 선택적으로 상,하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상태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상태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바디부(1)의 실린더(11)가 상,하로 피스톤운동을하게 되면 상기 고정받침부(32)와 힌지결합되어지는 베드받침부(31)가 상,하로 운동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베드받침부(31)가 상,하로 운동하기 위하여 상기 베드받침부(31)의 하측에는 파이프형상의 회전체(34)가 결합되어져 상기 회전체(34)에 상기 힌지공(33)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진 회전샤프트(35)가 회전가능하게 관통결합되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샤프트(35)의 일단에는 진동부재(30) 가 형성되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진동부재(30)는 진동프레임(301)의 수직방향으로 진동샤프트(302)가 형성되는 것인바, 상기 진동샤프트(302)는 바디부(1)의 실린더(11) 축상에 결합되어짐으로서 상기 실린더(11)가 피스톤운동을 진행하게 됨에 따라 상기 진동샤프트(302)가 상,하로 구동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진동샤프트(302)가 상,하로 구동시 상기 진동샤프트(302)의 상단에 위치한 베드받침부(31)가 역시 상,하로 구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진동샤프트(302)는 베드받침부(31)의 상단부 중앙에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편심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편심결합된 진동샤프트(302)가 상,하로 구동시 상기 회전체(34)에 결합된 회전샤프트(35)가 자유롭게 회전되어 상기 베드받침부(31)의 양단부가 선택적으로 상,하구동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뭉친 근육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풀어주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만증 또는 성인병이 있는 환자와 같이 지속적인 운동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눕거나 엎드린 상태에서 본 고안의 척추골반 교정기를 작동함으로서 인위적으로 척추와 골반에 운동량이 전달되어 적당량의 운동과 치료를 병행할 수 있어 단기간내에 최상의 몸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교정기의 작동이 용이함으로서 타인의 도움이 필요없이 자력에 의하여 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장기간 지속적인 치료가 가능하도록 제공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예를 참조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 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자명한 사실인 것이라 할 수 있다.

Claims (2)

  1. 모터(M)의 양측으로 실린더가 연결되어진 바디부(1) 상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베드(21, 21a)가 작동부(2)와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운동과 상기 모터(M)의 구동으로 복수개의 상기 베드(21, 21a)가 상,하로 승강 및 좌,우로 작동되어지 는 척추골반 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의 양측으로 교정부재(3)가 형성되고 상기 교정부재(3)의 상측으로 복수개의 상기 베드(21, 21a)와 각각 결합되어지되, 상기 교정부재(3)는 상측으로 베드받침부(31)가 형성되고 하측으로 고정받침부(32)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받침부(32)의 일단에 형성된 힌지공(33)에 베드받침부(31)와 힌지결합되어지며, 상기 베드받침부(31)의 하측에는 회전체(34)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공(33)과 결합된 회전샤프트(35)가 상기 회전체(34)와 회전결합되어져서 상기 베드받침부(31)와 상기 회전체(34)가 상기 회전샤프트(35)를 중심으로 상,하구동하게 하되, 상기 회전샤프트(35)의 일단에는 진동부재(30)가 형성되어 실린더(11)의 축상에 결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골반 교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30)는 진동프레임(301)의 수직방향으로 진동샤프트(302)가 형성되어 상기 진동샤프트(302)가 베드받침부(31)의 일측으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베드받침부(31)와 편심결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골반 교정기.
KR2020060024583U 2006-09-13 2006-09-13 척추골반 교정기 KR2004326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583U KR200432639Y1 (ko) 2006-09-13 2006-09-13 척추골반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583U KR200432639Y1 (ko) 2006-09-13 2006-09-13 척추골반 교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639Y1 true KR200432639Y1 (ko) 2006-12-05

Family

ID=41780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583U KR200432639Y1 (ko) 2006-09-13 2006-09-13 척추골반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6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6860A (ko) * 2020-01-29 2021-08-06 정석환 중심이동 운동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6860A (ko) * 2020-01-29 2021-08-06 정석환 중심이동 운동기구
KR102334051B1 (ko) 2020-01-29 2021-12-02 정석환 중심이동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9027B1 (ko) 신체 교정용 안마의자장치
KR100245627B1 (ko) 운동용 보조의자를 이용한 운동장치
KR101329233B1 (ko) 척추 스트레칭 운동기구
US10912702B2 (en) Method of passive mechanotherapy and exercise machine for implementation thereof
KR20080006337A (ko) 신체교정용 침대
KR101885432B1 (ko) 기능성 침대
KR20080042427A (ko) 척추 교정 및 스트레칭을 위한 장치
CN104470590A (zh) 脊柱矫正用康复运动器械
KR100997739B1 (ko) 만능전신운동기
KR20070067842A (ko) 척추교정을 위한 운동장치
KR200428734Y1 (ko) 신체교정용 침대
CN207590930U (zh) 一种适合于老年人的康复治疗床
KR200432639Y1 (ko) 척추골반 교정기
KR20100122299A (ko) 스트레칭 장치
JP2001079055A (ja) 脚部の浮腫・静脈瘤軽減装置
KR100807201B1 (ko) 척추교정용 운동기기
JP3229852B2 (ja) 腰痛の治療若しくは予防のための装置
KR20010099438A (ko) 허리의 근육 신장기
KR101282206B1 (ko) 척추교정기
JPH09117464A (ja) 腰痛治療装置
CN219941150U (zh) 一种骨伤恢复训练装置
JPH119630A (ja) 血流促進逆吊装置
KR101048720B1 (ko) 척추교정 운동기구
KR20040082234A (ko) 허리강화기구
CN201445625U (zh) 逍遥乐保健理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