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8832A - 책상 - Google Patents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8832A
KR20120118832A KR1020110036450A KR20110036450A KR20120118832A KR 20120118832 A KR20120118832 A KR 20120118832A KR 1020110036450 A KR1020110036450 A KR 1020110036450A KR 20110036450 A KR20110036450 A KR 20110036450A KR 20120118832 A KR20120118832 A KR 20120118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screen
guide
support rod
de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2451B1 (ko
Inventor
정현식
Original Assignee
정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식 filed Critical 정현식
Priority to KR1020110036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451B1/ko
Publication of KR20120118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2Transparent tops, e.g. with lighting means under the tabl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66Workstations
    • A47B2200/0078Control conso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상판의 하단에 상기 상판을 필요에 따라 노출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책상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판 형태의 투명상판; 상기 투명상판의 하부에 결합하며, 내부에 서랍을 수용하는 서랍수용부와 지면에 지지하기 위한 고정다리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서랍수용부에 수용되며, 내부의 물건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서랍; 및 상기 서랍과 상기 투명상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서랍의 상단을 선택적으로 차단 및 노출시킬 수 있는 길이 방향의 압축력을 지지할 수 있는 스크린을 구비한 차단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책상{Desk}
본 발명은 책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의 상판이 필요에 따라 투명 또는 불투명으로 변환되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
책상은 사무실 또는 가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사무용 가구의 하나이다. 이러한 책상은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형태로 판매되고 있다.
책상의 기본적인 용도는 사용자가 앉아서 책상의 상판에 필요한 자료 등을 배치하고 특정한 업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상판이 작업 영역 역할을 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상판 하단에 서랍 등을 배치하여 필요한 물건 또는 서류 등을 담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한편, 상기 서랍에 수납된 물건을 찾을 경우에는 일일이 서랍을 직접 열어서 확인해야 하며, 특히 서랍 깊숙이 위치하는 물건의 경우에는 그 확인을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상판을 투명한 재질로 구성하여 외부에서 서랍에 담긴 내용물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투명 상판을 갖는 책상이 제안되었다.
상기 책상은 손쉽게 서랍의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투명한 상판에 의하여 미감적 특성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책상의 경우에는 상기 상판이 투명인 것에 의하여 일부 단점을 가진다. 예를 들면 서랍에 보안이 필요한 서류나 개인적인 정보를 담고 있는 물건 등을 무의식적으로 서랍에 수납하는 경우에는 원치않는 보안사고가 발생될 소지가 있다.
따라서, 종래 투명 상판을 갖는 책상의 장점에 추가하여 필요에 따라 서랍 내부를 외부로 노출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책상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책상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투명 상판의 하단에 상기 상판을 필요에 따라 노출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책상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판 형태의 투명상판; 상기 투명상판의 하부에 결합하며, 내부에 서랍을 수용하는 서랍수용부와 지면에 지지하기 위한 고정다리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서랍수용부에 수용되며, 내부의 물건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서랍; 및 상기 서랍과 상기 투명상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서랍의 상단을 선택적으로 차단 및 노출시킬 수 있는 길이 방향의 압축력을 지지할 수 있는 스크린을 구비한 차단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수단은 회전형이며, 상기 회전형은: 상기 스크린의 일측이 결합하는 회전축; 및 상기 스크린의 타측에 결합하는 지지봉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봉을 밀거나 당겨서 상기 서랍의 상면을 노출 또는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수단은 슬라이드형이며, 상기 슬라이드형은: 상기 스크린의 일부가 수납되는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몸체가이드; 상기 서랍 상면에 위치하는 스크린의 끝단에 고정되는 지지봉; 및 상기 몸체가이드에 위치하는 스크린의 끝단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봉을 밀거나 당기는 경우 상기 스크린의 일부가 상기 몸체가이드 내부에 삽입 또는 배출되어 상기 서랍의 상면을 노출 또는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수단은 서랍형이며, 상기 서랍형은: 상기 스크린의 일부가 수납되며, 상기 서랍의 배면부 바깥으로부터 시작하여 밑변부의 바깥까지 형성되는 서랍가이드; 상기 서랍 상면에 위치하는 스크린의 끝단에 고정되는 지지봉; 및 상기 서랍가이드에 위치하는 스크린의 끝단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봉을 밀거나 당기는 경우 상기 스크린의 일부가 상기 서랍가이드 내부에 삽입 또는 배출되어 상기 서랍의 상면을 노출 또는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봉은 상기 서랍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안내부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수단은 전동형이며, 상기 전동형은: 상기 스크린의 일측이 결합하는 회전축; 한 축이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고 상기 서랍에 고정되는 전동장치; 상기 스크린의 타측에 결합하는 지지봉; 상기 서랍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을 가이드하는 안내부; 상기 안내부의 시작점에 설치되는 시작센서; 상기 안내부의 종단점에 설치되는 종단센서; 및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되는 작동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시작센서와 종단센서의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동장치의 정역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수단은 전동형이며, 상기 전동형은: 상기 스크린의 일측이 결합하는 회전축; 한 축이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고 상기 서랍에 고정되는 전동장치; 상기 스크린의 타측에 결합하는 지지봉; 상기 서랍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을 가이드하는 안내부;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되는 작동스위치를 포함하며, 작동스위치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전동장치의 정역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크린은 길이방향으로 금속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크린은 평판 형태로 합성수지 또는 종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종래 투명상판에 의한 책상의 미감을 증가시키며, 서랍에 수납된 물품을 신속히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필요한 경우 투명 상판의 투명성을 차단하여 서랍 내부에 포함되는 물품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서랍 내부에 작업에 필요한 서류들을 배치하는 경우 별도의 독서대 등이 필요없이 서류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어 업무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투명상판을 갖는 책상의 조립도이며,
도 2는 도 1의 책상에 적용되는 제1실시예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책상에 적용되는 제2실시예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1의 책상에 적용되는 제3실시예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1의 책상에 적용되는 제4실시예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책상(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상판(10), 몸체(20), 서랍(50) 및 차단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투명상판(10)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평판 형태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단에 컴퓨터, 다수의 책 그리고 사용자의 가압력 등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투명 플라스틱이나 유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상하에 다른 재질을 겹쳐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단은 작업 등에 의하여 표면의 긁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리로 형성하고 하단은 아크릴 등의 투명 플라스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상판(10)은 완전한 투명의 재질로도 가능하나, 필요한 경우 반투명으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일부 색상을 부가할 수도 있으므로, 불투명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 다수의 평판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투명상판(10)은 몸체(20)의 상단에 안착 고정된다. 특히 상기 투명상판(10)에는 고정홀(11)을 형성하여 나사에 의하여 상기 몸체(20) 상단에 고정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본딩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한 경우 연결부재 등을 이용하여 상기 투명상판(10)과 몸체(20)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몸체(20)는 상단에는 서랍(50)이 수용되는 서랍수용부(30)가 형성되고 하단으로는 책상(100)의 지지를 위한 고정다리부(4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다리부(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 또는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상기 몸체(20)의 재질은 나무,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수용부(30)는 좌측벽(31), 우측벽(32), 하벽(33) 및 뒷벽(34)으로 이루어지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서랍(50)이 수용된다.
상기 좌측벽(31)과 우측벽(32)의 내부에는 상기 서랍(50)의 이동을 위한 가이드(35)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서랍수용부(30)는 필요한 경우 좌측벽(31), 우측벽(32) 사이에 추가의 벽을 설치하여 2개의 서랍(5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역시 벽을 2개 이상을 추가하여 다수의 공간을 형성하여 다수의 서랍(50)이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서랍수용부(30)에는 서랍(50)이 수용된다.
상기 서랍(50)에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인 차단수단(70)을 포함한다.
상기 서랍(50)은 손잡이(51)가 있는 전면부(52)와 서랍의 측면을 형성하는 2개의 측면부(53)와 배면부(54)와 밑면부(55)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53)는 배면부(54)에서 후면으로 더 연장되는 연장부(56)를 갖는다.
또한, 상기 측면부(53)의 외곽으로는 상기 가이드(35)에 결합하여 서랍(50)이 상기 서랍수용부(30)에 이동될 수 있는 가이드결합부(57)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결합부(57)와 가이드(35)에 의하여 상기 서랍(50)이 부드럽게 상기 서랍수용부(30)를 이동할 수 있다.
다음은 차단수단(70)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차단수단(70)의 제1실시예에 회전형(91)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회전형(91)은 회전축(80)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80)은 상기 각 연장부(56)에 형성된 관통홀(61)에 회전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81)은 상기 관통홀(61)에 회전 가능하다.
상기 회전축(80)에는 스크린(81)의 일면이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81)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스크린(81)이 상기 회전축(81)에 감겨진다.
상기 스크린(81)은 유연한 직물 형태 또는 합성수지이고 반투명 또는 불투명이며, 가장자리 길이 방향으로 금속심(82)이 결합되는 형태이다. 상기 금속심(82)은 유연성을 가지며, 또한 쉽게 길이의 측면 방향으로 쉽게 변형되는 형태로 상기 회전축(81)에 쉽게 감길 수 있는 정도의 탄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금속심(82)은 상기 스크린(81)이 길이 방향으로 압축력을 지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금속심(82)을 대신하여 스크린(81) 자체가 적절한 압축력을 지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얇은 합성수지 판의 경우에는 압축력을 지지하며, 또한 회전체에 감길 수 있으므로 상기 금속심의 생략이 가능하다.
상기 스크린(81)의 타측면에는 지지봉(83)이 결합하며, 상기 지지봉(83)은 기계적 강성을 갖는 어떠한 재질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합성수지, 나무 또는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81)은 상기 금속심(82)에 의하여 지지력을 가지므로 사용자가 상기 지지봉(83)을 당기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축(80)에 감겨진 스크린(81)이 풀려 서랍(50)의 상면을 덮을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지지봉(83)을 밀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81)이 상기 회전축(80)에 감기면서 서랍(50)의 상면이 노출된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지지봉(83)은 상기 서랍(50)의 측면부(53)에 형성된 안내부(84)에 의하여 가이드 될 수도 있다.
다음은 상기 차단수단(70)의 제2실시예인 슬라이드형(92)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슬라이드형(90)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스크린(81), 금속심(82) 및 지지봉(83)을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81)의 일측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에 형성된 몸체가이드(25)에 의하여 지지되고, 지지봉(83)이 고정된 타측은 필요한 경우 상기 서랍(50)의 안내부(84)에 의하여 가이드된다.
상기 가이드(25)는 상기 스크린(81)을 수용하여 "ㄱ"자 형태로 꺽어 몸체(20)의 배면으로 연장되게 배치하며, 상기 몸체가이드(25)를 통과한 스크린(81)의 끝단에는 상기 스크린(81)이 상기 가이드(25)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부(8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봉(83)을 잡고 당기고 또는 밀 경우 서랍(50)의 상면이 오픈 또는 노출된다.
다음은 상기 차단수단(70)의 제3실시예인 서랍형(93)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서랍형(93)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스크린(81), 금속심(82) 및 지지봉(83)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랍(50)의 배면부(54)로부터 밑면부(55)의 바깥쪽으로 서랍가이드(26)가 형성되어 상기 서랍가이드(26)에 상기 스크린(81)이 수용되어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상기 스크린(81)이 가이드된다.
또한 상기 서랍가이드(26)에 수용된 스크린(81)의 끝단에도 역시 고정부(85)가 형성되어 있어, 서랍가이드(26)에서 스크린(81)의 이동을 원활히 하고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지지봉(83)은 필요한 경우 안내부(84)에 의하여 가이드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차단수단(70)의 제4실시예인 전동형(94)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전동형(94)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스크린(81), 금속심(82), 지지봉(83) 및 회전축(8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83) 역시 서랍(50)에 형성된 안내부(84)에 의하여 가이드된다.
상기 회전축(90)에는 전동장치(86)의 한 축이 결합하고, 나머지 전동장치(86)는 상기 서랍(50)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전동장치(86)를 작동시키면 상기 스크린(81)이 상기 회전축(80)에 감기거나 풀어진다.
또한, 상기 서랍(50)에 형성된 안내부(84)의 시작부와 끝단부에는 시작센서(87)와 종단센서(88)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봉(83)이 도달한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시작센서(87)와 종단센서(88)는 상기 지지봉(83)의 도달 여부만 감지하므로 리밋 스위치 또는 광센서로 구현 가능하며, 상기 시작센서(87)와 종단센서(88)의 거리가 상기 스크린(81)의 이동 거리가 된다.
또한, 상기 전동형(94)은 상기 전동장치(86)와 상기 센서(87, 88)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89)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장치(89)는 작동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장치(86)의 회전을 정역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시작센서(87)만 "온"된 상태에서 작동 스위치를 동작시키면 상기 스크린(81)이 완전히 감겨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전동장치(86)를 상기 스크린(81)이 풀리는 방향으로 작동시키고 종단센서(88)의 신호가 "온"될 때 작동을 중지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그리고 종단센서(88)만 "온"된 상태에서 작동 스위치를 동작시키면 상기 스크린(81)이 완전히 풀린 상태이므로 상기 스크린(81)이 감기는 방향으로 상기 전동장치(86)를 작동시키고 상기 시작센서(87)가 "온"될 때 작동을 중지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작동 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만 작동하도록 설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81)이 완전 개방 또는 완전 밀폐 이외의 상태로도 위치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어장치(89)는 이전 작동 스위치의 동작 방향을 저장하고, 상기 시작센서(87) 및 종단센서(88)의 신호가 모두 "오프"인 경우에는 이전 작동 방향으로 상기 전동장치(86)를 작동시키고, 시작센서(87) 또는 종단센서(88)의 신호가 "온"되는 경우 동작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을 추가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전동형(94)은 시작센서(87) 및 종단센서(88)를 생략하고, 단순히 제어장치(89)의 작동 스위치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장치(89)는 작동 스위치의 신호만으로 상기 전동장치(86)를 정역 회전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0: 투명상판 20: 몸체
25: 몸체가이드 26: 서랍가이드
30: 서랍수용부 31: 좌측벽
32: 우측벽 33: 하벽
34: 뒷벽 35: 가이드
40: 고정다리부 50: 서랍
51: 손잡이 52: 전면부
53: 측면부 54: 배면부
55: 밑면부 56: 연장부
57: 가이드결합부 58: 전고정부
59: 후고정부 61: 관통홀
70: 차단수단 80: 회전축
81: 스크린 82: 금속심
83: 지지봉 84: 안내부
85: 고정부 86: 전동장치
87: 시작센서 88: 종단센서
89: 제어장치 100: 책상

Claims (9)

  1. 평판 형태의 투명상판;
    상기 투명상판의 하부에 결합하며, 내부에 서랍을 수용하는 서랍수용부와 지면에 지지하기 위한 고정다리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서랍수용부에 수용되며, 내부의 물건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서랍; 및
    상기 서랍과 상기 투명상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서랍의 상단을 선택적으로 차단 및 노출시킬 수 있는 길이 방향의 압축력을 지지할 수 있는 스크린을 구비한 차단수단을 포함하는 책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회전형이며, 상기 회전형은:
    상기 스크린의 일측이 결합하는 회전축; 및
    상기 스크린의 타측에 결합하는 지지봉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봉을 밀거나 당겨서 상기 서랍의 상면을 노출 또는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슬라이드형이며, 상기 슬라이드형은:
    상기 스크린의 일부가 수납되는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몸체가이드;
    상기 서랍 상면에 위치하는 스크린의 끝단에 고정되는 지지봉; 및
    상기 몸체가이드에 위치하는 스크린의 끝단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봉을 밀거나 당기는 경우 상기 스크린의 일부가 상기 몸체가이드 내부에 삽입 또는 배출되어 상기 서랍의 상면을 노출 또는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서랍형이며, 상기 서랍형은:
    상기 스크린의 일부가 수납되며, 상기 서랍의 배면부 바깥으로부터 시작하여 밑변부의 바깥까지 형성되는 서랍가이드;
    상기 서랍 상면에 위치하는 스크린의 끝단에 고정되는 지지봉; 및
    상기 서랍가이드에 위치하는 스크린의 끝단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봉을 밀거나 당기는 경우 상기 스크린의 일부가 상기 서랍가이드 내부에 삽입 또는 배출되어 상기 서랍의 상면을 노출 또는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상기 서랍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안내부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전동형이며, 상기 전동형은:
    상기 스크린의 일측이 결합하는 회전축;
    한 축이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고 상기 서랍에 고정되는 전동장치;
    상기 스크린의 타측에 결합하는 지지봉;
    상기 서랍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을 가이드하는 안내부;
    상기 안내부의 시작점에 설치되는 시작센서;
    상기 안내부의 종단점에 설치되는 종단센서; 및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되는 작동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시작센서와 종단센서의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동장치의 정역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전동형이며, 상기 전동형은:
    상기 스크린의 일측이 결합하는 회전축;
    한 축이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고 상기 서랍에 고정되는 전동장치;
    상기 스크린의 타측에 결합하는 지지봉;
    상기 서랍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을 가이드하는 안내부;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되는 작동스위치를 포함하며, 작동스위치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전동장치의 정역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8.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3, 청구항 6 및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길이방향으로 금속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9.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3, 청구항 6 및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평판 형태로 합성수지 또는 종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KR1020110036450A 2011-04-19 2011-04-19 책상 KR101302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450A KR101302451B1 (ko) 2011-04-19 2011-04-19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450A KR101302451B1 (ko) 2011-04-19 2011-04-19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832A true KR20120118832A (ko) 2012-10-29
KR101302451B1 KR101302451B1 (ko) 2013-09-02

Family

ID=47286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450A KR101302451B1 (ko) 2011-04-19 2011-04-19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4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3107A (zh) * 2017-04-28 2017-07-21 安徽斌欣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办公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856B1 (ko) * 2018-08-21 2019-03-07 강준기 책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7814U (ko) * 1976-02-12 1977-08-17
JPH09191948A (ja) * 1996-01-18 1997-07-29 Okamura Corp 机用目隠し装置
KR20000015946U (ko) * 1999-01-20 2000-08-16 김만식 투명형 책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3107A (zh) * 2017-04-28 2017-07-21 安徽斌欣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办公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2451B1 (ko) 201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0361B2 (ja) デザインシート付き液晶表示装置
JP2012504504A (ja) ホワイトボード
KR101302451B1 (ko) 책상
USD627772S1 (en) Operator control panel with display and multiple function buttons for a storage library
KR101343998B1 (ko) 매립형 손잡이
JP5612341B2 (ja) 黒板装置
JP5895036B2 (ja) 黒板装置
KR101302449B1 (ko) 책상
KR101565334B1 (ko) 입력장치를 구비한 독서대
US20190054753A1 (en) Illuminatable Assembly
JP5722404B2 (ja) クリップボード
JP6601718B2 (ja) 収納装置及び収納構造
KR101618838B1 (ko) 모빌랙의 네임 플레이트
JP7043223B2 (ja) 電動式移動棚装置
EP4151124A1 (en) Cabinet with a hidden display
KR100852474B1 (ko) 자석을 이용한 필기보드
KR101504510B1 (ko) 휴대용 컴퓨터 수납이 가능한 키보드
JP6601717B2 (ja) 収納装置及び収納構造
KR102648262B1 (ko) 트랜스포밍 월 및 무빙 월이 구비된 퍼니처
KR20180117559A (ko) 침대 수납서랍의 선택적 인출을 위한 스마트 인출 구조
KR200474158Y1 (ko) 책상기능을 가지는 이동가구
KR20130141335A (ko) 매립형 손잡이
KR20180010741A (ko)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
EP4151125A1 (en) Cabinet with a hidden holder for an electronic device
JP3671234B2 (ja) 分類別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