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123A -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123A
KR20120117123A KR1020110034682A KR20110034682A KR20120117123A KR 20120117123 A KR20120117123 A KR 20120117123A KR 1020110034682 A KR1020110034682 A KR 1020110034682A KR 20110034682 A KR20110034682 A KR 20110034682A KR 20120117123 A KR20120117123 A KR 20120117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re
wind speed
fire prevention
organic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8449B1 (ko
Inventor
김흥식
이휘진
이석춘
Original Assignee
김흥식
이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흥식, 이휘진 filed Critical 김흥식
Priority to KR1020110034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449B1/ko
Publication of KR20120117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8Associated apparatus for handling and recovering the solvents
    • D06F43/081Reclaiming or recovering the solvent from a mixture of solvent and contaminants, e.g. by distilling
    • D06F43/085Filtering arrangements; Filter cleaning; Filter-aid powder dispen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8Associated apparatus for handling and recovering the solvents
    • D06F43/086Recovering the solvent from the drying air current
    • D06F43/088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유기용제 회수장치 내의 온도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값을 측정하고,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온도 및 농도에 도달하기 전에 불활성가스를 주입하여 화재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밀폐된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세탁물을 수용하며 회전하는 건조드럼(12)과, 건조드럼(12)에서 배출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14)와, 필터부(14)를 통과한 공기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용제를 응축시키는 응축부(18)를 구비하며,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0)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센서(22)와, 온도센서(20), 농도센서(22)에서 측정된 온도정보와 농도정보를 제공받아 기 저장된 화재예방기준값에 해당되는 지를 비교하여 화재예방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26)와, 제어부(26)에서 발생된 화재예방신호에 따라 불활성 기체를 케이스(10) 내부에 공급하는 화재예방부(2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SOLVENT RECOVERY APPRATUS WITH AUTO FIRE FIGHTING SAFETY DEVICE}
본 발명은 유기용제 회수장치 내의 온도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값을 측정하고,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온도 및 농도에 도달하기 전에 불활성가스를 주입하여 화재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탁소에서는 휘발성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세탁물에 묻어있는 오물을 제거하는 드라이크리닝 세탁방식을 사용한다. 드라이크리닝은 기름 얼룩을 빼기 쉽고 또한 물과 세제를 이용하는 일반 세탁과 달리 세탁물의 손상이 거의 없어 고급 소재의 원단은 대체로 드라이크리닝 세탁방식을 이용한다.
그러나, 세탁소에서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같은 환경오염인자가 포함되어 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이란 탄소와 수소(CxHy)를 포함하고 있는 유기화합물로, 물리적으로 대기중에서는 0.02psi 이상의 증기압을 갖거나 끓는점이 100℃미만인 유기화합물로 대기중으로 쉽게 증발된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대기중으로 그대로 방출될 경우 질소산화물과 화학반응을 일으켜 광화학스모그를 발생하는 등의 심각한 대기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소 등에서는 사용된 유기용매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장치가 설치된다.
그러나, 유기용매 회수장치가 구비되어 있다하더라도 유기화합물이 기체이기 때문에 쉽게 대량 발생되거나, 온도 등이 증가하면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유기용제 회수장치 내의 온도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값을 측정하고,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온도 및 농도에 도달하기 전에 불활성가스를 주입하여 화재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응축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속을 측정하여 필터교체시기를 알려주고,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풍속인 경우 불활성가스를 주입하여 화재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세탁물을 수용하며 회전하는 건조드럼(12)과, 건조드럼(12)에서 배출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14)와, 필터부(14)를 통과한 공기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용제를 응축시키는 응축부(18)를 구비하며,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0)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센서(22)와, 온도센서(20), 농도센서(22)에서 측정된 온도정보와 농도정보를 제공받아 기 저장된 화재예방기준값에 해당되는 지를 비교하여 화재예방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26)와, 제어부(26)에서 발생된 화재예방신호에 따라 불활성 기체를 케이스(10) 내부에 공급하는 화재예방부(2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화재예방부(27)는 불활성 기체가 저장되며 제어부(26)와 통신하면서 ON/OFF가 제어되는 불활성가스 공급부(28)와, 불활성가스 공급부(28)에 연결되고 케이스(10) 내부로 연장된 불활성가스 파이프(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화재예방신호가 발생되면 화재의 위험을 경고하는 화재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응축부(18)의 전단에는 필터를 통과한 공기의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센서(24)가 위치하며, 제어부(26)는 풍속센서(24)로부터 풍속량을 제공받아 기 저장된 화재예방기준값에 해당되는 지를 비교하여 화재예방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어부(26)는 제공받은 온도센서(20)의 온도가 기 저장된 화염온도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소화부(31)가 작동되도록 화재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소화부(31)는 물 또는 소화액을 공급하는 소화액공급부(32)와, 소화액공급부(32)에 연결되며 케이스(10) 내부로 연장된 소화액파이프(3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어부(26)는 풍속센서(24)의 풍속이 기 저장된 필터확인값에 해당되는 경우 필터교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필터교환신호가 발생되면 필터교환을 경고하는 필터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어부(26)의 제공받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어부(26)에서 화재예방신호가 발생되면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전력차단부(3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는 케이스(10) 내의 온도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값을 측정하여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온도 및 농도에 도달하기 전에 불활성가스를 주입하여 화재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기화합물을 냉각시키는 응축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속을 측정하여 이물질이 쌓이는 필터의 교체시기를 알려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터에 이물질이 쌓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이동하지 못할때에도 필터를 통과하는 풍속을 이용하여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와 농도를 이용하여 화재를 예방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챠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부로 유입되는 풍속를 이용하여 화재를 예방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챠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세탁물을 수용하며 회전하는 건조드럼(12)과, 건조드럼(12)에서 배출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14)와, 필터부(14)를 통과한 공기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용제를 응축시키는 응축부(18)로 이루어지고, 필터부(14)와 응축부(18) 사이에는 송풍팬(16)이 위치한다. 이때, 응축부(18)에서 유기용제가 응축된 잔여 공기는 다시 건조드럼(12)으로 공급되어 순화된다.
또한, 건조기의 케이스(10) 내부에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0),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센서(22)가 장착되고, 응축부(18)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센서(24)가 구비된다. 온도센서(20)와 농도센서(22)는 건조드럼(1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에 케이스(10) 내부에 다수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센서(20), 농도센서(22) 및 풍속센서(24)는 케이싱 외부의 제어부(26)에 각각 접속된다.
제어부(26)는 온도센서(20), 농도센서(22) 및 풍속센서(24)와 접속된 상태로 온도센서(20), 농도센서(22) 및 풍속센서(24)가 감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기설정된 온도값, 농도값 및 풍속량을 비교하여 화재예방부(27), 소화부(31), 경고부(35) 등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26)는 제공받은 온도센서(20)의 온도가 기 저장된 화재예방기준값에 해당되는 경우 또는 유기화합물의 농도센서(22)의 농도가 기 저장된 화재예방기준값에 해당되는 경우 또는 풍속센서(24)의 풍속이 기 저장된 화재예방기준값에 해당되는 경우 화재예방부(27)가 작동되도록 화재예방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제어부(26)는 제공받은 온도센서(20)의 온도가 기 저장된 화염온도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소화부(31)가 작동되도록 화재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화재예방기준값으로 온도의 경우 70~80℃을 기준으로 하고, 온도의 경우 0.8~0.86%/vol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6)는 풍속센서(24)의 풍속이 기 저장된 필터확인값에 해당되는 경우 필터교체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제어부(26)에서 발생된 신호들은 외부의 디스플레이부(25)에 표시된다.
화재예방부(27)는 건조기의 화재를 예방하는 것으로 CO2, N2 등의 불활성 기체가 저장된 불활성가스 공급부(28)와, 불활성가스 공급부(28)에 연결되고 건조드럼(12) 등의 케이스(10) 내부로 연장된 불활성가스 파이프(30)를 구비한다. 불활성가스 공급부(28)는 제어부(26)와 통신하면서 가스탱크의 ON/OFF가 제어된다. 이에 따라 케이스(10) 내의 온도, VOC의 농도가 증가되어 기준값 이상이거나 또는 송풍기에 의해 필터부(14)를 통과한 공기의 풍속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 제어부(26)에서 화재예방신호가 발생되고, 화재예방신호에 따라 불활성가스 공급부(28)가 ON됨으로써 건조기 내에 불활성 기체가 분사되어 화재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경고부(35)는 제어부(26)에서 화재예방신호와 화재신호가 발생되면 화재의 위험을 경고하는 화재경고부와, 제어부(26)에서 필터교환신호가 발생되면 필터교환을 경고하는 필터확인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고부(35)는 경광등, 비상벨 또는 부저(buzzer) 등이 사용되며, 외부의 디스플레이부(25)에 함께 설치된다.
한편, 소화부(31)는 케이스(10) 내부에 불이 붙었을 경우 화염을 순식간에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물 또는 소화액을 공급하는 소화액공급부(32)와, 소화액공급부(32)에 연결되며 케이스(10)의 내부로 연장된 소화액파이프(34)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건조기 내의 온도센서(20)에서 화재 발생에 대응되는 화염온도에 해당되면 제어부(26)가 소화액공급부(32)를 개방시키게 되고, 소화액이 케이스(10) 내에 분사시켜 발생된 화염을 진화할 수 있다.
또한,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는 외부의 전원(36)을 차단시키는 전력차단부(38)를 더 구비한다. 전력차단부(38)는 제어부(26)에서 화재예방신호가 발생되면 건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건조기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도 2와 도 3의 플로챠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먼저, 건조드럼(12) 등의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20), 농도센서(22)로부터 온도와 유기화합물의 농도가 측정되면 제어부(26)로 제공된다. 또한, 응축부(18)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센서(24)에서 풍속이 측정되면 제어부(26)로 함께 제공된다. 이때, 제어부(26)는 제공받은 각각의 정보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25)에 표시한다.
제어부(26)는 제공받은 온도값, 농도값 또는 풍속값이 기 저장된 화재예방기준값과 비교하여 이에 해당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제어부(26)는 온도값, 농도값, 풍속값 중의 어느 하나가 화재예방기준값에 해당되는 경우 화재를 예방하도록 화재예방신호를 발생시켜 화재예방부(27)를 작동시킨다. 한편, 제어부(26)는 온도값, 농도값은 정상범위이고 풍속값이 필터교환값에 해당되는 경우 필터교체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26)에서 화재예방신호가 발생되면 경보부는 경광등, 비상벨 등을 작동시켜 화재의 위험을 외부로 알려주고, 전력차단부(38)는 건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며, 화재예방부(27)가 작동된다.
화재예방부(27)의 불활성가스 공급부(28)가 개방되어 저장된 CO2, N2 등의 불활성 기체가 케이스(10)의 내부로 연장된 불활성가스 파이프(30)를 통해 분무된다. 이에 따라 케이스(10) 내부에 불활성가스가 다수 공급되어 화재위험을 원천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26)는 제공받은 온도센서(20)의 온도가 기 저장된 화염온도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소화부(31)가 작동되도록 화재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소화액공급부(32)가 개방되어 소화액이 케이스(10) 내부로 연장된 소화액파이프(34)를 통해 분사되어 발생된 화염을 진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 케이스 12 : 건조드럼
14 : 필터부 16 : 송풍팬
18 : 응축부 20 : 온도센서
22 : 농도센서 24 : 풍속센서
25 : 디스플레이부 26 : 제어부
27 : 화재예방부 28 : 불활성가스 공급부
30 : 불활성가스 파이프 31 : 소화부
35 : 경고부 32 : 소화액공급부
34 : 소화액파이프 36 : 전원
38 : 전력차단부

Claims (11)

  1. 밀폐된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서 세탁물을 수용하며 회전하는 건조드럼과, 건조드럼에서 배출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와,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용제를 응축시키는 응축부를 구비하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센서와,
    온도센서, 농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정보와 농도정보를 제공받아 기 저장된 화재예방기준값에 해당되는 지를 비교하여 화재예방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발생된 화재예방신호에 따라 불활성 기체를 케이스 내부에 공급하는 화재예방부로 이루어진 것을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화재예방부는 불활성 기체가 저장되며 제어부와 통신하면서 ON/OFF가 제어되는 불활성가스 공급부와, 불활성가스 공급부에 연결되고 케이스 내부로 연장된 불활성가스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화재예방신호가 발생되면 화재의 위험을 경고하는 화재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응축부의 전단에는 필터를 통과한 공기의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센서가 위치하며, 제어부는 풍속센서로부터 풍속량을 제공받아 기 저장된 화재예방기준값에 해당되는 지를 비교하여 화재예방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어부는 풍속센서의 풍속이 기 저장된 필터확인값에 해당되는 경우 필터교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필터교환신호가 발생되면 필터교환을 경고하는 필터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공받은 온도센서의 온도가 기 저장된 화염온도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소화부가 작동되도록 화재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소화부는 물 또는 소화액을 공급하는 소화액공급부와, 소화액공급부에 연결되며 케이스 내부로 연장된 소화액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부의 제공받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부에서 화재예방신호가 발생되면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전력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
  11. 밀폐된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서 세탁물을 수용하며 회전하는 건조드럼과, 건조드럼에서 배출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와,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용제를 응축시키는 응축부를 구비하며,
    응축부의 전단에 설치되어 필터를 통과한 공기의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센서와,
    풍속센서로부터 풍속량을 제공받아 기 저장된 화재예방기준값에 해당되는 지를 비교하여 화재예방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
    풍속센서로부터 풍속량를 제공받아 기 저장된 화재예방기준값에 해당되는 지를 비교하여 화재예방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발생된 화재예방신호에 따라 불활성 기체를 케이스 내부에 공급하는 화재예방부로 이루어진 것을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
KR1020110034682A 2011-04-14 2011-04-14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 KR101268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682A KR101268449B1 (ko) 2011-04-14 2011-04-14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682A KR101268449B1 (ko) 2011-04-14 2011-04-14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123A true KR20120117123A (ko) 2012-10-24
KR101268449B1 KR101268449B1 (ko) 2013-06-04

Family

ID=47285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682A KR101268449B1 (ko) 2011-04-14 2011-04-14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4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033B1 (ko) * 2012-12-14 2013-07-09 (유)성문 가연성 물질 자연발화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6841B1 (ko) * 2004-06-08 2006-01-26 이홍수 휘발성 유기화합물 회수장치
KR100784172B1 (ko) 2007-09-08 2007-12-10 주식회사 창신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회수장치
KR20090085429A (ko) * 2008-02-04 2009-08-07 이문경 세탁용 건조기의 유기용제 회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033B1 (ko) * 2012-12-14 2013-07-09 (유)성문 가연성 물질 자연발화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449B1 (ko) 201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6047B2 (en) Apparatus for fire detection in an electrical equipment rack
CN102421457B (zh) 封闭环境的灭菌和净化
CN103978003B (zh) Cit具有防温防烟灭火功能的通风柜
KR100546367B1 (ko) 흡착제의 잔류 수명 확인용 감지 장치, 이를 구비한 가스스크러버 및 흡착제의 잔류 수명 확인 방법
SE528086C2 (sv) Portabel sprinkler
CN103121508A (zh) 燃料箱可燃性降低和惰化系统及其方法
JP2702275B2 (ja) 消火装置
JP3179000U (ja) 自動消火装置
KR101268449B1 (ko) 자동소화 안전장비를 구비한 유기용제 회수장치
KR100825253B1 (ko) 유기용매 사용기기의 폭발방지장치
Zerbonia et al. Carbon bed fires and the use of carbon canisters for air emissions control on fixed-roof tanks
KR101403651B1 (ko) 단계별로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유기용제 회수장치
US20140048290A1 (en) Deoxygenated Water Fill for Fire Protection System
KR101253540B1 (ko) 위험물 보관함 안전시스템
KR20070047119A (ko) 디지털 축압지시장치를 구비한 워터미스트 소화기
CN207429564U (zh) 用于喷漆排风管道的消防系统
US11035768B2 (en) Early warning system for error detection in nitrogen generators
KR20220003881A (ko) 환기 및 공기 청정 시스템
CN204345867U (zh) 一种室内混合腐蚀气体报警处理装置
KR101568583B1 (ko) 황화수소가스 중화장치 및 중화방법
JP2013015232A (ja) 燃焼式排ガス処理装置
KR101694658B1 (ko) 염산액체 누출사고 감지 시스템
CN114291042B (zh) 危险品运输槽罐车安全蒸洗罐工艺
CN111595641A (zh) 一种降低高浓度氢氟酸取样泄漏危害的装置及方法
CN214415458U (zh) 排烟除尘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