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6627A -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 - Google Patents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6627A
KR20120116627A KR1020110034178A KR20110034178A KR20120116627A KR 20120116627 A KR20120116627 A KR 20120116627A KR 1020110034178 A KR1020110034178 A KR 1020110034178A KR 20110034178 A KR20110034178 A KR 20110034178A KR 20120116627 A KR20120116627 A KR 20120116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bag
envelope
contents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장
Original Assignee
이순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장 filed Critical 이순장
Priority to KR1020110034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6627A/ko
Publication of KR20120116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6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7/00Envelopes or like essentially-rectangular containers for postal or other purposes having no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27/12Closures
    • B65D27/14Closur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fl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부를 감싸면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 통로를 갖는 압축 주머니를 구성하여 공기의 공급 유무에 따라 압축 주머니가 수축 및 팽창하여 내용물을 충격에 보호함으로써 내용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한 간격을 갖고 서로 대응되는 전면겉지 및 배면겉지와, 상기 전면겉지 및 배면겉지를 맞대어 가장자리 3면을 접합하는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 형성에 의해 그 내부로 내용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수용부와, 상기 3면의 접합부 외 나머지 1면 가장자리로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해 개방된 투입구와, 상기 수용부내에 삽입되고 상기 3면의 접합부 중 적어도 1면에 접합되어 상기 수용부와 함께 상기 내용물을 수용하면서 다수개의 공기 통로를 갖고 공기 유입에 따라 수축 및 팽창되어 상기 내용물을 보호하는 압축 주머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envelope having air compression bag}
본 발명은 봉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 내용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사에서 서류를 담아 타회사로 보내거나 또는 전시장이나 박람회 등에서 자회사를 알리는 카달로그나 선전 문구가 담긴 서류를 담아 주거나 할 경우에 사용되는 봉투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의 대략 A4용지보다 약간 큰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봉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봉투(ENVELOPE)(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본체(10a)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a)의 양측으로 신장된 측면 접합부(11)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10a)의 하단으로 신장된 저면 접합부(12)에 접착제가 도포된 수평 접착부를 형성하여 접어서 측면 접합부(11)에 접착되며, 상기 본체(10a)의 상단으로 신장된 상면 접합부(13)만 개방되어 내측으로 문서 등의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는 수용공간(14)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수용공간(14)에 내용물을 넣고 상면 접합부(13)에 접착제 등을 바르고 접어 본체(10a)와 접착시켜 보관 또는 우편발송하는 것을 통칭한다.
이러한 봉투(10)에는 크게 내용물로서 편지를 접어 넣어 발송하는 소형의 편지와, 문서를 접지 않고 넣을 수 있는 A4 이상의 서류, 문서를 저장한 CD 및 소형의 전자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봉투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봉투의 수용공간에 내용물을 삽입하고 상기 상면 접합부(13)를 붙여 내용물을 전달하고 있는데, 이때 상기 내용물의 전달시 전달과정에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내용물의 파손을 방지하지 위하여 내용물을 미리 볼록비닐로 감싸서 서류봉투에 삽입하여 송부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내용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로 볼록비닐을 구입하여 일일이 감싸서 봉투에 삽입하여 송부하면서 작업 시간이 많이 걸리고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용부를 감싸면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 통로를 갖는 압축 주머니를 구성하여 공기의 공급 유무에 따라 압축 주머니가 수축 및 팽창하여 내용물을 충격에 보호함으로써 내용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는 일정한 간격을 갖고 서로 대응되는 전면겉지 및 배면겉지와, 상기 전면겉지 및 배면겉지를 맞대어 가장자리 3면을 접합하는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 형성에 의해 그 내부로 내용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수용부와, 상기 3면의 접합부 외 나머지 1면 가장자리로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해 개방된 투입구와, 상기 수용부내에 삽입되고 상기 3면의 접합부 중 적어도 1면에 접합되어 상기 수용부와 함께 상기 내용물을 수용하면서 다수개의 공기 통로를 갖고 공기 유입에 따라 수축 및 팽창되어 상기 내용물을 보호하는 압축 주머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수용부를 감싸면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 통로를 갖는 압축 주머니를 구성하여 공기의 공급 유무에 따라 압축 주머니가 수축 및 팽창하여 내용물을 충격에 보호함으로써 내용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별도의 볼록비닐을 사용하지 않고 봉투와 일체형으로 제작된 압축 주머니를 통해 내용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시간을 줄임과 함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봉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압축 주머니를 접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B-B선에 따른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압축 주머니를 접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갖고 서로 대응되는 전면겉지(110) 및 배면겉지(120)와, 상기 전면겉지(110) 및 배면겉지(120)를 맞대어 가장자리 3면을 접합하는 접합부(130)와, 상기 접합부(130) 형성에 의해 그 내부로 내용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수용부(140)와, 상기 3면의 접합부(130) 외에 나머지 1면 가장자리로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해 개방된 투입구(150)와, 상기 수용부(140)내에 삽입되고 상기 3면의 접합부(130) 중 적어도 1면에 접합되어 상기 수용부(140)와 함께 상기 내용물을 수용하면서 폭 방향으로 다수개의 공기 통로(161)를 갖고 공기 유입에 따라 수축 및 팽창되어 상기 내용물을 보호하는 압축 주머니(1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겉지(110)와 배면겉지(120)는 피막형의 합성 수지재이고 각종 서류와 같은 내용물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면적의 폭과 넓이를 갖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압축 주머니(160)는 일정한 간격을 갖는 다수의 공기 통로(161)를 갖는 2장의 밸브필름이 겹쳐진 구성을 갖고, 밸브필름으로서 직사각형의 것이 사용되며, 그 긴 변측의 끝변 중 적어도 1변이 상기 접합부(130)에 접합된다.
상기 압축 주머니(160)는 상기 밸브필름 사이에 형성된 공기 통로(161)에 의해 밸브필름 사이를 입구로부터 출구로 통기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밸브필름끼리 밀착함으로써 폐쇄할 수 있는 공기 통로(16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입구(150)를 통해 수용부(140) 내에 보관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이탈됨을 방지하도록 봉투(100)를 완전히 밀봉하는 수단으로, 접착제층 및 그 일면에 부착된 이형지(112)가 상기 배면겉지(120)의 상부로 돌출된 덮개판지(111)의 절첩면에 더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판지(111)에 부착된 이형지(112)를 떼어낸 접착제층을 노출시킨 후 상기 덮개판지(111)를 절첩하여 전면겉지(110)의 상부에 부착에 봉투(100)를 완전히 밀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투입구(150)의 상측 일측에 상기 압축 주머니(160)의 공기 통로(161)로 공기를 유입하고 밀폐하기 위한 공기 유입구(16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는 압축 주머니(160) 내부에 배송하기 위한 배송물을 삽입한 후 상기 공기 유입구(162)를 통해 유입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게 되면, 상기 압축 주머니(160)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된 공기 통로(161)에 공기가 유입되면서 팽창을 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162)를 밀폐하고 상기 덮개판지(111)를 전면겉지(110)에 부착하여 밀봉하여 배송물을 배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 통로(161)에 유입된 공기에 의해 공기 통로(161)가 팽창하면서 상기 압축 주머니(160)에 수납된 배송물에 완충 작용을 하게 되어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내부의 배송물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서 (a)는 공기 통로(161)에 공기가 유입되기 전으로 수축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공기 통로(161)에 공기가 유입되어 팽창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공기 통로(161)는 봉투의 폭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되어 있으며 각 공기 통로(161) 사이는 마감 처리가 되어 이웃하는 공기 통로(161) 사이에 공기의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각 공기 통로(161)의 일측이 길이 방향으로 오픈되어 상기 공기 주입구(162)를 통해 주입된 공기가 각 공기 통로(161)로 유입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선에 따른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공기 통로(161)가 봉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지 않고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된 것을 제외하면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100)는 2중 밸브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공기 통로(161)를 갖는 압축 주머니(160)를 투입부(140) 내부에 삽입시켜 봉투와 일체형으로 제작되므로 배송하고자 하는 배송물을 압축 주머니(160)에 삽입한 후 외부의 공기를 주입시켜 공기 통로(161)를 팽창시키고, 봉투를 밀봉하여 발송함으로써 팽창된 공기 통로(161)에 의해 내부에 삽입된 배송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압축 주머니(160)가 봉투(100)와 일체형으로 제작되므로 배송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배송물을 볼록 비닐로 일일이 포장할 필요가 없어 작업 시간을 줄이면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10 : 전면겉지 120 : 배면겉지
130 : 접합부 140 : 수용부
150 : 투입구 160 : 압축 주머니

Claims (5)

  1. 일정한 간격을 갖고 서로 대응되는 전면겉지 및 배면겉지와,
    상기 전면겉지 및 배면겉지를 맞대어 가장자리 3면을 접합하는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 형성에 의해 그 내부로 내용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수용부와,
    상기 3면의 접합부 외 나머지 1면 가장자리로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해 개방된 투입구와,
    상기 수용부내에 삽입되고 상기 3면의 접합부 중 적어도 1면에 접합되어 상기 수용부와 함께 상기 내용물을 수용하면서 다수개의 공기 통로를 갖고 공기 유입에 따라 수축 및 팽창되어 상기 내용물을 보호하는 압축 주머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로는 전면겉지 및 배면겉지의 폭 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겉지와 배면겉지는 피막형의 합성 수지재이고 각종 서류와 같은 내용물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면적의 폭과 넓이를 갖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주머니의 상단 일측에 구성되어 공기를 유입하고 밀폐하는 공기 유입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주머니는 일정한 간격을 갖는 다수의 공기 통로를 갖는 2장의 밸브필름이 겹쳐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

KR1020110034178A 2011-04-13 2011-04-13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 KR201201166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178A KR20120116627A (ko) 2011-04-13 2011-04-13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178A KR20120116627A (ko) 2011-04-13 2011-04-13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627A true KR20120116627A (ko) 2012-10-23

Family

ID=47284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178A KR20120116627A (ko) 2011-04-13 2011-04-13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66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16612A (ja) * 2013-03-15 2016-06-09 オートメイテッド パッケージング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要求に応じて膨張可能な包装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16612A (ja) * 2013-03-15 2016-06-09 オートメイテッド パッケージング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要求に応じて膨張可能な包装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4356B2 (en) Cushioning air bag with automatically adjustable clamping pressure
TWI245009B (en) Cushioning packaging bag
US8210352B2 (en) Block strengthening air enclosure and manufacture thereof
KR101482311B1 (ko) 완충기능이 있는 포장백
EP2103550B1 (en) Air enclosure with check valve capable of being filled with high pressure air
US7959002B2 (en) Air enclosure with multilayer different kinds of substrates
JPWO2018225758A1 (ja) 梱包資材と梱包袋と梱包方法
EP2922771A1 (en) Pack of smoking articles and associated method of packaging
KR101982299B1 (ko)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
JP6239284B2 (ja) 緩衝用シート付き包装箱
GB2517003A (en) Box
JP5643573B2 (ja) 封筒の封緘構造
JP2011527270A (ja) 保護装置
KR20120116627A (ko) 압축 주머니를 갖는 봉투
KR101601808B1 (ko) 접이식 포장 박스
CN207001037U (zh) 一种一次性锁止包装盒
US9561891B2 (en) Packaging box with corner buffers
CN205675377U (zh) 包装盒
CN211167785U (zh) 一种防非法开启纸箱
TWI657978B (zh) 包裝箱
CN211222702U (zh) 一种可二次使用的防潮文件袋
KR200491789Y1 (ko) 포장박스
KR20100081016A (ko) 공기충전형 포장재
KR101162030B1 (ko) 공기충전형 포장재
JP2003137352A (ja) 緩衝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