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6325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6325A
KR20120116325A KR1020110137514A KR20110137514A KR20120116325A KR 20120116325 A KR20120116325 A KR 20120116325A KR 1020110137514 A KR1020110137514 A KR 1020110137514A KR 20110137514 A KR20110137514 A KR 20110137514A KR 20120116325 A KR20120116325 A KR 20120116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steam
tub
dishwasher
path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7387B1 (ko
Inventor
이종민
이태희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L12163710T priority Critical patent/PL2510864T3/pl
Priority to US13/444,048 priority patent/US9211049B2/en
Priority to EP14182428.4A priority patent/EP2818091B1/en
Priority to ES12163710.2T priority patent/ES2507716T3/es
Priority to EP12163710.2A priority patent/EP2510864B1/en
Publication of KR20120116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57Cleaning of machines parts, e.g. removal of deposits like lime scale or proteins from piping or tu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34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3Arrangements for programme selection, e.g. control panels; Indication of the selected programme, programme progress or other parameters of the programme, e.g. by using display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04Steam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수용하며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여 생성된 스팀을 복수개의 스팀유로를 통하여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섬프 및 상기 섬프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필터링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터브와 연통하는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처리공간에 처리대상을 수납한 뒤 세척수를 이용하여 처리대상에 잔류하는 오물을 제거(경우에 따라 건조까지 가능)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그런데, 식기와 같은 대상물을 세척하는 경우에 단순히 세척수에 의해서는 식기의 찌든 음식물과 같은 오물 등을 제거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오물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식기에 고온의 수분, 미스트, 스팀 등을 공급하는 세척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는 식기에 고온의 스팀 등을 공급하여 식기에 부착된 찌든 음식 등을 불려서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스팀 등을 공급하기 위해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식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수용할 수 있는 식기의 양이 적어지게 된다. 이는 한번에 많은 양의 식기를 세척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요구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내부 구조가 복잡해지고 추후에 유지 보수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구조를 순화하면서도 고온의 수분, 미스트 또는 스팀을 공급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에 의해서 고온의 수분, 미스트 또는 스팀을 복수개의 유로를 통하여 공급함으로써 고온의 수분, 미스트 또는 스팀과 식기와의 접촉면적 및/또는 접촉시간을 늘릴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수용하며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여 생성된 스팀을 복수개의 스팀유로를 통하여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섬프 및 상기 섬프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필터링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터브와 연통하는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섬프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에 의해 스팀을 생성하므로 스팀 생성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순한 구조에 의해서 스팀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섬프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을 복수개의 유로를 통하여 터브 내부로 공급하며, 상기 복수개의 유로 중에 적어도 하나는 필터 어셈블리를 경유하여 제공된다. 따라서, 스팀을 복수개의 유로를 통하여 공급하므로 스팀과 식기와의 접촉면적 및/또는 접촉시간을 늘릴 수 있어 세척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스팀의 적어도 일부를 필터 어셈블리를 통하여 터브로 공급하므로 필터 어셈블리에 누적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필터 어셈블리를 살균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터브 내측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하우징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및
도 4는 섬프의 배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유로단속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일부를 확대한 것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유로단속부 하우징 내측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명세서에서 말하는 식기처리장치는 식기와 같은 세척대상물의 건조, 세척, 살균이 가능한 기기를 의미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척대상물의 세척과 건조를 목적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식기처리장치는 식기류(tableware, 이하 '세척대상물')의 세척, 건조, 살균 등이 가능한 기기로 통상 식기세척기와 식기건조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척대상물의 세척, 건조를 위한 식기세척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2는 터브(1) 내부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00)는 처리공간(11)을 제공하는 터브(1), 처리공간(11)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2), 터브(1)에 구비되어 식기처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CP)을 포함한다.
처리공간(11)은 터브(1)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되 일측이 개방도록 구비된다. 도어(2)는 터브(1)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처리공간(11)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처리공간(11) 내부에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3), 식기와 같은 세척대상물이 수용되는 랙, 랙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이 구비될 수 있다.
섬프(3)는 세척대상물의 세척에 필요한 세척수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급수원(미도시)과 섬프를 연통시키는 급수부(31), 섬프(3)에 저장된 세척수를 식기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31)는 급수호스로 구비될 수 있고, 배수부(33)는 섬프(3)에 저장된 세척수를 섬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333) 및 배수호스(331)로 구비될 수 있다. 섬프(3)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랙은 식기와 같은 세척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후술하는 분사암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랙에 거치된 식기를 세척하게 된다. 랙은 식기세척기(100)의 용량,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처리공간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랙(41), 상부랙(41)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랙(43)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랙(41, 43)은 처리공간(11)의 개방된 일면(이하, 개방면)을 통해 처리공간 내부로 출입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분사암은 랙에 수용된 식기 들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분사암은 대략적으로 랙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랙에 비하여 더 많은 숫자의 분사암, 또는 랙에 비하여 더 적은 숫자의 분사암도 물론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상부랙(41)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암(51)과 상기 하부랙(43)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암(53)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부암(53)은 하부공급유로(63)에 연통하되 하부랙(43)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부암(51)은 상부공급유로(65)에 연통하여 상부랙(4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부암(51)은 상부랙(41)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분사노즐(515), 상부분사노즐(515)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유로(51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부암(51)은 상부랙(41)의 하부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공급유로(511)에는 후술할 상부공급유로(65)의 암착탈부(651)와 연통하는 유로착탈부(5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하부 분사암(51, 53)은 식기처리장치 외부에 구비된 급수원(미도시)으로부터 직접 세척수를 공급받아 세척대상물에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프(3)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수 공급부(6)는 섬프(3)에 저장된 세척수를 펌핑하는 공급펌프(61), 공급펌프(61)에서 제공되는 세척수를 하부암(53)에 공급하는 하부공급유로(63), 상부암(51)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상부공급유로(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공급유로(65)는 상부암(51)의 유로착탈부(513)에 연통하는 암착탈부(651)를 포함한다. 이는 상부암(51)이 상부랙(41)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함이다. 즉, 사용자가 상부랙(41)을 처리공간(11)에서 인출하면 상부암(51)은 상부랙(41)을 따라 공급유로(65)에서 분리되나 사용자가 상부랙(41)을 처리공간으로 밀어넣으면 상부암(51)이 공급유로(65)와 연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식기와 같은 대상물을 세척하는 경우에 단순히 세척수에 의해서는 식기의 찌든 음식물과 같은 오물 등을 제거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오물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식기에 고온의 수분, 미스트, 스팀 등을 공급하는 세척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는 식기에 고온의 스팀 등을 공급하여 식기에 부착된 찌든 음식 등을 불려서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스팀 등을 공급하기 위해서 별도의 장치, 예를 들어 세척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스팀발생기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스팀발생기를 구비하게 되면 식기세척기의 협소한 내부에 구비하게 되므로 식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수용할 수 있는 식기의 양이 적어지게 된다. 이는 한번에 많은 양의 식기를 세척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수용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좁은 공간에 스팀발생기를 구비하게 되므로 내부 구조가 복잡해지고 추후에 유지 보수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팀과 같은 고온의 수분을 제공하면서도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섬프(3)를 구비하는 경우에 섬프(3) 내부에 히터(1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히터(10)에 의해 세척수를 가열하여 가열된 세척수를 전술한 암을 통해서 공급하거나,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히터(10)에 의해 섬프(3) 내부의 세척수를 가열하여 고온의 스팀을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스팀을 공급하기 위하여 별도의 스팀발생기를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섬프(3) 내부에 히터(10)를 구비하고, 히터(10)의 가열온도 또는 가열시간 등을 조절하여 가열된 세척수를 공급하거나, 또는 세척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스팀을 공급하는 구성을 단순화하여 터브(1) 내부의 수용공간을 최대한 확보하여 식기세척기의 대용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내부 구성을 단순화함으로써 추후에 유지 보수 등에 있어서도 유리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섬프(3)를 구비한다. 섬프(3)는 터브(1)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며, 나아가 세척수를 가열할 수 있는 히터(1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히터(10)를 구동하여 세척수를 가열하여 가열된 세척수를 공급하거나, 또는 스팀을 생성하여 스팀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식기세척기(100)는 섬프(3)에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는 하우징(4)을 구비할 수 있으며, 하우징(4)의 내부에 히터(1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섬프(3)는 급수부(31)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필터링하는 필터 어셈블리(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20)는 급수부(31)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필터링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연결부(21)를 통하여 하우징(4)으로 공급한다. 또한, 필터 어셈블리(20)는 적어도 일부가 터브(1)의 수용공간과 연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어셈블리(20)의 상부가 터브(1)의 수용공간과 연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급수부(31)를 통하여 급수되는 세척수를 필터링함과 동시에 암을 통하여 터브(1)의 수용공간으로 공급되어 낙하하는 세척수가 바로 필터 어셈블리(20)로 향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암을 통하여 공급되어 식기를 세척하고 낙하한 세척수의 적어도 일부는 바로 필터 어셈블리(20)를 통하여 필터링되고 다시 섬프(3)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섬프(3)로 공급된 세척수는 히터(10)에 의해 가열되거나 또는 가열되지 않은 상태로 펌프(61)의 구동에 의해 하부공급유로(63) 및 상부공급유로(65)를 통하여 암으로 공급된다. 펌프(61)는 하우징(4)의 내부에 구비된 수평격벽(13)에 구비되어, 하우징(4)의 내부에서 상부에 구비되어 세척수를 펌핑할 수 있다. 암을 통하여 세척수를 공급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히터(10)의 구동에 의해 생성된 스팀은 별도의 유로를 통하여 터브(1) 내부로 공급된다. 즉, 식기세척기(100)는 하우징(4)에 연결된 스팀공급유로(60) 및 터브(1)의 일측에 구비된 노즐(62)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10)의 구동에 의해 하우징(4)의 내부에 생성된 스팀은 스팀공급유로(60) 및 노즐(62)을 통해 터브(1)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노즐(62)은 터브(1)의 내측 어디에도 구비될 수 있지만, 스팀과 식기의 접촉면적 및/또는 접촉횟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터브(1)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섬프(3)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을 공급하는 경우에 하나의 유로를 통해서 공급할 수도 있지만, 복수개의 유로를 통하여 공급할 수도 있다. 이는 터브(1) 내부에 수용된 식기를 향해서 스팀을 공급하는 경우에 복수개의 유로를 통하여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보다 스팀과 식기의 접촉면적 및/또는 접촉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복수개의 유로를 통하여 스팀을 공급하는 경우에 계속하여 스팀공급유로를 늘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는 식기세척기(100)의 내부 공간이 전술한 바와 같이 협소하며, 나아가 기존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조를 변화시켜야 하는 부담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기존 구성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스팀공급유로를 늘릴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섬프(3)에서 생성된 스팀을 터브(1)로 공급하는 경우에 복수개의 스팀유로를 통하여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복수개의 스팀유로는 필터 어셈블리(20)를 통하여 터브(1)와 연통하는 제1 유로와 터브(1)의 내측에 구비된 노즐(62)을 통하여 터브(1)와 연통하는 제2 유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섬프(3)의 내부에 생성된 스팀을 터브(1)로 공급하는 경우에 복수개의 유로를 통하여 공급하게 되며, 복수개의 유로 중에 적어도 하나는 필터 어셈블리를 통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히터(10)의 구동에 의해 하우징(4)의 내부에 생성된 스팀 중에 적어도 일부는 연결유로(21)를 통하여 필터 어셈블리(20)로 공급될 수 있으며, 필터 어셈블리(20)로 공급된 스팀은 전술한 바와 같이 터브(1)와 연통된 필터 어셈블리(20)의 상부를 통하여 터브(1)의 내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4)의 내부에 생성된 스팀 중에 나머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팀공급유로(60) 및 노즐(62)을 통하여 터브(1) 내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스팀 중의 적어도 일부가 필터 어셈블리(20)를 통하여 공급되면 스팀에 의해 필터 어셈블리(20)를 청소하고 살균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급수부(31)를 통하여 공급된 세척수 및 터브(1) 내부의 수용공간에서 낙하하는 세척수는 필터 어셈블리(20)를 통하여 필터링되어 섬프(3)로 공급된다. 따라서, 필터 어셈블리(20)에는 여과된 이물질들이 누적될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가 제거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섬프(3)에서 생성된 스팀을 필터 어셈블리(20)를 통하여 공급하게 되므로 스팀에 의해 필터 어셈블리(20)를 살균할 수 있으며, 나아가 소정의 압력을 가지는 스팀에 의해 필터 어셈블리(2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제거된 이물질은 필터 어셈블리(20)의 하부에 구비되어 배수부(33)와 연결되는 배수라인(22)을 통하여 배수될 수 있다.
그런데, 단순히 하우징(4)을 연결부(21) 및 스팀공급유로(60)와 연결하게 되면 하우징(4)의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공급유로(60)를 향하지 않고 연결부(21)를 통하여 더 많은 양이 공급될 수 있다. 이는 스팀공급유로(60)와 연결부(21)의 유동저항이 다르기 때문이다. 즉, 연결부(21)는 필터 어셈블리(20)를 통하여 세척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그 관의 직경이 스팀공급유로(60)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클 수밖에 없다. 또한, 스팀공급유로(60)는 내부를 통하여 유동하는 스팀의 응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관의 직경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팀공급유로(60)에 비해서 연결부(21)의 유동저항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하우징(4)의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공급유로(60)를 통하지 않고 연결부(21)를 통하여 많은 양, 예를 들어 대부분의 스팀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에서 하우징(4)의 내부 공간을 둘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도 3는 하우징(4)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4는 하우징(4)의 내부를 도시하기 위하여 배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4)은 내부에 격벽(12)을 구비하고, 격벽(12)에 의해 하우징(4)의 내부를 둘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벽(12)에 의해 필터 어셈블리(20)와 연통하는 제1 공간(7) 및 터브(1)로 스팀을 공급하는 노즐(62)과 연통하는 제2 공간(5)으로 구획될 수 있다. 즉, 격벽(12)에 의해 하우징(4)의 내부 공간을 제1 공간(7) 및 제2 공간(5)으로 구획하고, 제1 공간(7)은 전술한 제1 유로와 연통하고, 제2 공간(5)은 전술한 제2 유로와 각각 연통된다. 이에 의해 제1 공간(7)에서 생성된 스팀은 제2 공간으로 이동하지 않고 제1 유로를 통하여 터브(1)로 공급되며, 제2 공간(5)에서 생성된 스팀은 제2 유로를 통해 터브(1)로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격벽(12)은 하우징(4)의 내부공간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4)의 내부공간에는 히터(10)가 구비되며, 히터(10)는 상대적으로 하우징(4)의 내부에서 하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히터(10)가 격벽(12)을 관통하여 구비되면 히터(10)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격벽(12)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격벽(12)은 하우징(4)의 내부공간을 완전히 구획하는 것이 아니라 구획된 공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구획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2)은 하우징(4)의 내부공간의 상면에서 하부를 향하여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공간(7) 및 제2 공간(5)은 하우징(4)의 내부에서 상부가 구획되고, 격벽(12)의 하부를 통하여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제1 공간(7) 및 제2 공간(5)이 연통되므로, 필터 어셈블리(20)에서 제1 공간(7)으로 공급된 세척수는 격벽(12)의 하부를 통하여 제2 공간(5)으로도 공급될 수 있다.
도 5는 유로단속부(66, 67)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일부를 확대한 것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유로단속부 하우징(67)의 내측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제2 유로를 단속하는 유로단속부(66, 67)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단속부(66, 67)는, 공급펌프(61)가 작동되며 하부암(53) 또는 상부암(51)을 통해 터브(1) 내로 세척수가 분사되는 동안에는 상기 제2 유로를 단절시키고, 반대로, 히터(10)가 작동하며 섬프(3)로부터 스팀이 생성될 시에는, 노즐(62)를 통해 터브(1) 내로 스팀이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유로를 개방시킨다.
유로단속부(66, 67)는 상기 제2 유로 상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그 회전축이 스팀으로부터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소정 거리 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유로단속부재(66)을 포함한다. 섬프(3)로부터의 스팀 공급이 없을 시, 유로단속부재(66)는 상기 제2 유로를 밀폐시키는 위치에 있다가, 섬프(3)로부터 스팀이 공급되면, 상기 스팀으로부터 작용하는 압력(이하, '스팀압'이라고 함.)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2 유로를 개방시킨다. 이때, 유로단속부재(66)는 상기 이동 가능한 회전축 구조로 인하여 회전동작과 함께 병진 운동한다.
유로단속부재(66)는 상기 제2 유로 내에서 동작하면 족한 것으로, 상기 제2 유로를 구성하는 스팀공급유로(60) 및 노즐(62) 중 어느 것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유로단속부 하우징(67)은 상기 제2 유로 내에서 유로단속부재(66)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공간(674)을 제공하며 유로단속부재(66)를 지지한다. 유로단속부 하우징(67)은 스팀공급유로(60) 및 노즐(62)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나, 이하,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공급유로(60) 및 노즐(62)과 별도로 형성되어 스팀공급유로(60)와 노즐(62)이 유로단속부 하우징(67)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도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유로단속부재(66)는 유로단속부 하우징(67)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섬프(3)로부터 스팀이 공급되지 않을 시, 예를 들어, 식기 세척을 위해 공급펌프(61)가 작동하는 중에는 스팀공급유로(60)를 밀폐시킨다. 따라서, 노즐(62)측에서 유입된 공기가 스팀공급유로(60)를 따라 섬프(3)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스팀공급유로(60)를 통해 공급펌프(61)측으로의 공기 유입이 차단되어 공급펌프(61)의 펌프압 감소를 방지할 수 있음을 뜻한다.
반대로, 히터(10)가 작동됨에 따라 섬프(3)에서 발생한 스팀이 스팀공급유로(60)를 따라 유동하는 경우에는, 스팀압에 의해 유로단속부재(66)가 개방된다. 이때, 유로단속부재(66)는 회전운동과 병진운동을 함께 수행(자유도가 2)하기 때문에 단지 회전운동만 가능(자유도가 1)한 구조에 비해 그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유로단속부 하우징(67)에는 유로단속부재(66)를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부(672)가 형성된다. 유로단속부재(66)의 회전축(661)은 회전축 지지부(672)에 결합된 상태로 소정 거리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회전축 지지부(672)에는 유로단속부재(66)의 회전축(661)이 삽입되는 홀(672h)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홀 또는 홈은 회전축(661)이 그 안에서 소정 거리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된다.
회전축 지지부(672)는 유로단속부 하우징(67)의 바닥면(671)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여기서 유로단속부 하우징(67)의 바닥면(671)은 스팀공급유로(60)의 출구 둘레에 형성된 것으로, 유로단속부재(66)에 의해 스팀공급유로(60)가 밀폐된 상태에서 스팀의 응축으로 생성된 응축수는 바닥면(671)에 모인다.
한편, 스팀압에 의해 유로단속부재(66)가 개방동작 할 시, 원위치(즉, 스팀공급유로(60)를 밀폐하는 위치)로부터 완전 개방된 위치까지의 회전각도를 개방각도라고 하면, 상기 개방각도는 일정 범위 내에서 제한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스팀 공급이 중단되면, 유로단속부재(66)가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 하여 스팀공급유로(60)를 다시 밀폐하여야 할 것인데, 상기 개방각도가 일정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이러한 복귀 동작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개방각도는 스팀 공급이 중단될 시 유로단속부재(66)가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 동작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설정되어야 한다. 물론, 유로단속부재(66)가 원위치에서 어떤 상태로 놓여있는지에 따라 상기 개방각도가 90도 이상이 되어도 복원동작이 가능한 경우도 있을 수 있으나, 유로단속부재(66)가 원위치에서 연직에 가깝게 배치되는 구조보다는 수평에 가깝게 배치되는 구조가 유로단속부재(66)의 개방 동작 시 유로 확보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이점을 고려하면, 유로단속부재(66)의 원위치가 수평에서 다소간의 벗어남이 있는 구조라고 할 지라도 스팀 공급 중단 시 개방상태로부터 원활하게 원위치로 복원동작 될 수 있도록 상기 개방각도는 90도 이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로단속부재(66)의 개방 동작은 유로단속부 하우징(67)의 내측면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개방각도까지로 제한된다. 본 실시예서는 수평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제한면(673)과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유로단속부재(66)의 개방동작이 제한된다.
유로단속부재(66)와 제한면(673) 중 적어도 하나에는 돌출부(66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로단속부재(66)가 개방각도까지 회전된 상태에서 돌출부(662)에 의해 유로단속부재(66)와 제한면(673)간의 접촉이 이루어져 상호 간의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스팀 공급 중단 시 유로단속부재(66)가 개방된 상태로 제한면(673)에 들러붙어 원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노즐(62)를 통해 스팀 분사를 완료한 후 스팀 공급이 중단되면, 유로단속부재(66)는 스팀공급유로(60)를 밀폐하는 원위치로 복귀되고, 이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제2 유로 내의 다습한 공기, 특히 유로단속부재(66)와 노즐(62) 사이에 존재하는 다습한 공기의 온도가 점점 떨어지며 응축되고, 이때 생성된 응축수는 유로단속부 하우징(67) 내에 모이게 될 것인데, 이를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스팀의 응축으로 인해 형성된 응축수가 제2 유로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2 유로와 터브(1) 내부를 연통시키는 응축수 배출홀(671h)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유로단속부 하우징(67)의 바닥면(671)에 적어도 하나의 응축수 배출홀(671h)이 형성되었다.
유로단속부재(66)는 천연 고무, 합성 수지 등의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세척행정 또는 헹굼행정 등 식기가 세척되는 중에는, 노즐암(51, 53)들을 통해 분사된 세척수에 의해 터브(1) 내의 수위가 소정의 수위에 이르게 되고, 만약 응축수 배출홀(671h)의 높이가 터브(1) 내의 수위보다 낮다면, 세척수가 응축수 배출홀(671h)을 통해 제2 유로 내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응축수 배출홀(671h)은 급수허용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브(1) 내 세척수의 수위는 진행중인 행정 또는 식기의 양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는 바, 상기 급수허용수위는 식기세척기에서 진행 가능하게 설정된 각 행정들에서의 터브(1) 내 허용 수위 중의 최대치를 의미한다.
다른 측면에서 관찰하면, 응축수 배출홀(671h)은 항시 공기 중에 노출되기 때문에, 응축수 배출홀(671h)과 노즐(62) 간에 기류 이동을 원활하게 하여 응축수 생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3)

  1. 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수용하며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여 생성된 스팀을 복수개의 스팀유로를 통하여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섬프; 및
    상기 섬프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필터링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터브와 연통하는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스팀유로는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통하여 상기 터브와 연통하는 제1 유로와 상기 터브의 내측에 구비된 노즐을 통하여 상기 터브와 연통하는 제2 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는
    세척수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 및
    상기 하우징 내부의 세척수를 상기 터브로 펌핑하여 공급하는 펌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은 둘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격벽에 의해 상기 필터어셈블리와 연통하는 제1 공간 및 상기 터브로 스팀을 공급하는 노즐과 연통하는 제2 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의 상면에서 하부를 향하여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은 상기 격벽의 하부를 통하여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스팀유로는 상기 제1 공간에서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통하여 상기 터브와 연통하는 제1 유로와 상기 제2 공간에서 상기 노즐을 통하여 상기 터브와 연통하는 제2 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제1 유로에 비하여 유동저항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 상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섬프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으로부터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제2 유로를 밀폐한 위치로부터 소정의 개방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제2 유로를 개방시키고, 상기 회전 동작의 기준이 되는 회전축이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로단속부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각도는,
    상기 섬프로부터의 스팀 공급이 중지되면 상기 유로단속부재가 자중에 의해 상기 제2 유로를 밀폐하는 위치로 복원 동작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단속부재는,
    상기 제2 유로 개방을 위한 회전 동작 시, 상기 제2 유로의 내측면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개방각도까지로 회전이 제한되고,
    상기 유로단속부재 및 상기 제2 유로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유로단속부재가 상기 개방각도까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유로단속부재와 제2 유로 사이에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 상에 형성되어, 상기 유로단속부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 지지부에는 상기 유로단속부재의 회전축이 소정 거리 내에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홀 또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단속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유로가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유로단속부재와 상기 노즐 사이 공간에서 스팀의 응축으로 인해 형성된 응축수가 상기 제2 유로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유로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응축수 배출홀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홀은,
    상기 제2 유로의 내측과 상기 터브 내부를 연통시키는 식기세척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홀은,
    식기 세척을 위해 상기 터브 내로 급수되는 세척수의 급수허용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각도는 90도 이내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단속부재는,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를 단속하는 유로단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섬프로부터 생성된 스팀을 상기 노즐로 공급하는 스팀공급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단속부는,
    상기 스팀공급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스팀으로부터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스팀공급유로를 밀폐한 위치로부터 소정의 개방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스팀공급유로를 개방시키는 유로단속부재; 및
    상기 유로단속부재가 동작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유로단속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유로단속부 하우징에는,
    상기 유로단속부의 회전축이 소정 거리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단속부 하우징은,
    상기 스팀공급유로와 상기 노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단속부 하우징은,
    상기 스팀공급유로 및 노즐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단속부 하우징에는,
    상기 유로단속부재가 상기 스팀공급유로를 개방시키는 동작을 할 시, 상기 유로단속부재의 회전을 상기 개방각도까지 제한하는 제한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한면은 수평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110137514A 2011-04-12 2011-12-19 식기세척기 KR101877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L12163710T PL2510864T3 (pl) 2011-04-12 2012-04-11 Zmywarka do naczyń
US13/444,048 US9211049B2 (en) 2011-04-12 2012-04-11 Dishwasher
EP14182428.4A EP2818091B1 (en) 2011-04-12 2012-04-11 Dishwasher
ES12163710.2T ES2507716T3 (es) 2011-04-12 2012-04-11 Lavavajillas
EP12163710.2A EP2510864B1 (en) 2011-04-12 2012-04-11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33779 2011-04-12
KR1020110033779 2011-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325A true KR20120116325A (ko) 2012-10-22
KR101877387B1 KR101877387B1 (ko) 2018-07-12

Family

ID=472847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514A KR101877387B1 (ko) 2011-04-12 2011-12-19 식기세척기
KR1020110137517A KR20120116326A (ko) 2011-04-12 2011-12-19 식기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517A KR20120116326A (ko) 2011-04-12 2011-12-19 식기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8773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442B1 (ko) * 2015-08-04 201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WO2017022985A1 (en) * 2015-08-03 2017-02-09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KR20220146389A (ko) * 2015-07-20 2022-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펌프 및 상기 펌프가 구비된 식기세척기
US11684234B2 (en) 2014-08-22 2023-06-27 Lg Electronics Inc. Pump and dishwasher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221B1 (ko) 2012-12-28 2019-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59166B1 (ko) * 2017-03-20 2022-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EP3598929B1 (en) 2018-07-26 2021-01-06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9384A (en) * 1978-07-05 1981-07-21 Sharp Kabushiki Kaisha Steam generation in a dishwasher
US7137405B2 (en) * 2004-05-05 2006-11-21 Seh America, Inc. Low pressure check valve
KR20070120252A (ko) * 2006-06-19 2007-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JP2008229309A (ja) * 2007-02-23 2008-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
KR20090060636A (ko) * 2007-12-10 2009-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와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9384A (en) * 1978-07-05 1981-07-21 Sharp Kabushiki Kaisha Steam generation in a dishwasher
US7137405B2 (en) * 2004-05-05 2006-11-21 Seh America, Inc. Low pressure check valve
KR20070120252A (ko) * 2006-06-19 2007-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JP2008229309A (ja) * 2007-02-23 2008-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
KR20090060636A (ko) * 2007-12-10 2009-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와 그 제어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4234B2 (en) 2014-08-22 2023-06-27 Lg Electronics Inc. Pump and dishwasher including the same
KR20220146389A (ko) * 2015-07-20 2022-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펌프 및 상기 펌프가 구비된 식기세척기
WO2017022985A1 (en) * 2015-08-03 2017-02-09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US10251529B2 (en) 2015-08-03 2019-04-09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KR101678442B1 (ko) * 2015-08-04 201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10667667B2 (en) 2015-08-04 2020-06-02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326A (ko) 2012-10-22
KR101877387B1 (ko)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6325A (ko) 식기세척기
KR101016311B1 (ko) 식기 세척기
KR101455986B1 (ko) 식기 세척기와 그 제어방법
KR101792513B1 (ko) Fan module과 PTC Heater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가열순환 건조모듈
US20180132692A1 (en) Drain pump assembly for a dishwasher appliance
KR102040795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20138106A1 (en) Dishwasher with single valve to fill multiple compartments
KR100776434B1 (ko) 식기 세척기
US9339167B2 (en) Dishwasher
US20130319483A1 (en) Dishwasher with overflow conduit
US20180110395A1 (en) Spray assemblies for dishwasher appliances
KR20170081473A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20090061479A (ko) 식기세척기
US20140137909A1 (en) Dishwasher with sprayer
KR20150109944A (ko) 식기세척기
CN110191666B (zh) 洗碟机
US9713414B2 (en) Dishwasher having a conduit framework
KR20170081477A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1645040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70040879A (ko) 식기 세척기용 판형 유로제어밸브 및 이를 적용한 식기세척기
KR20120126598A (ko) 식기세척기
KR102541170B1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2379996B1 (ko) 식기세척기
US20140007911A1 (en) Heating element for a dishwashing appliance
KR102336985B1 (ko)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