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985B1 -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985B1
KR102336985B1 KR1020170033622A KR20170033622A KR102336985B1 KR 102336985 B1 KR102336985 B1 KR 102336985B1 KR 1020170033622 A KR1020170033622 A KR 1020170033622A KR 20170033622 A KR20170033622 A KR 20170033622A KR 102336985 B1 KR102336985 B1 KR 102336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washing
filter
foreign substance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6058A (ko
Inventor
주병현
이유민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3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98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47L15/4208Arrangements to prevent clogging of the filters, e.g. self-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39Filter cleaning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3Water recirculation, e.g. control of distributing valves for redirection of water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를 수용하는 세척조,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 섬프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수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및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암으로 공급하는 세척펌프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분사암에 세척수를 공급하여 식기를 세척한다. 식기 세척이 완료되면 세척펌프로 유입되는 세척수 전부를 필터 내부로 순환시켜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 내부에 포집한다. 그리고, 필터 내부에 포집된 이물질을 세척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FOR 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분사암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필터 내부로 순환시켜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세제와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나 조리기구 등(이하 '세척대상'이라 함)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 등의 오물을 제거하는 기기이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 내에서 세척대상을 수용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세척수를 저장하고 상기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 및 섬프 내부에서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술한 구성의 식기세척기에서는,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가 분사암을 통해 세척대상으로 분사되고, 분사된 세척수는 섬프로 회수된다. 회수된 세척수는 필터를 거치며 이물질이 여과되고, 분사암을 통해 세척대상으로 다시 분사될 수 있다. 이후 섬프에 존재하는 세척수가 모두 외부로 배출되며, 이때 필터 내부에 포집된 이물질도 세척수와 함께 배출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식기세척기에서는 일정한 양의 세척수가 순환하면서 세척대상으로 재분사되기 때문에, 이물질이 제대로 여과되지 못하면 세척이 완료된 세척대상이 다시 오염될 수 있다.
또한, 필터의 외주면에 쌓인 이물질은 세척수와 함께 배수되지 않기 때문에, 이물질이 필터에 고착되어 필터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1113호(2017.02.02.)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분사암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필터의 내부로 순환시킬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기 식기세척기를 이용하여 분사암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상기 식기세척기를 이용하여 섬프 내부의 이물질을 세척수와 함께 배출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상기 식기세척기를 이용하여 필터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식기를 수용하는 세척조, 상기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 상기 섬프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수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및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으로 공급하는 세척펌프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분사암에 세척수를 공급하여 식기를 세척하고, 식기 세척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세척펌프로 유입되는 세척수 전부를 상기 필터 내부로 순환시켜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상기 필터 내부에 포집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 내부에 포집된 이물질을 세척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필터 내부로 공급된 세척수는 상기 세척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필터를 통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식기를 세척하는 단계는, 상기 세척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분사암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필터 내부로 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은 세척수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기를 세척하는 단계에서 상기 필터 내부로 순환시키는 세척수의 양은 상기 측정된 세척수의 오염도에 비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된 세척수의 오염도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상기 세척펌프로 유입된 세척수 전부를 상기 필터 내부로 순환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은 세척수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을 포집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세척수의 오염도가 기 설정된 수치 이하가 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식기를 세척하는 단계에서 상기 세척펌프는 제1 회전 속도로 작동하고, 상기 이물질을 포집하는 단계에서 상기 세척펌프는 상기 제1 회전 속도보다 더 빠른 제2 회전 속도로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세척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고, 상기 분사암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필터 내부로 순환시킨다. 그리고, 상기 세척펌프로 유입되는 세척수 전부를 상기 필터 내부로 순환시켜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상기 필터 내부에 포집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필터 내부로 공급된 세척수는 상기 세척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필터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을 포집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세척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필터 내부로 순환시키는 단계에서보다 상기 세척펌프가 더 빨리 회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필터 내부에 포집된 이물질을 세척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분사암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일부를 순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물질을 포집하는 단계는, 상기 식기에 물을 분사하여 이물질을 불려주는 예비 세척 행정, 상기 식기에 물과 세제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 행정, 상기 식기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식기에 잔류하는 이물질과 세제를 제거하는 헹굼 행정, 및 상기 식기에 가열된 물을 분사하는 가열 헹굼 행정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행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분사암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필터의 내부 영역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필터 내부로 공급된 세척수는 필터를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이물질이 필터 내부에 포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척대상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세척수와 함께 세척대상으로 재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척수 분사가 종료된 이후에는,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 전부를 필터 내부로 순환시켜, 섬프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필터 내부에 포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 과정에서 대부분의 이물질이 세척수와 함께 배출될 수 있고, 배수 이후에 섬프 내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의 양은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 과정을 통해 필터의 외주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고, 필터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섬프 및 하부 분사암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섬프를 Ⅰ-Ⅰ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섬프를 Ⅱ-Ⅱ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필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1의 식기세척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세척 행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식기 세척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필터 세척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식기세척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섬프 및 하부 분사암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섬프를 Ⅰ-Ⅰ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섬프를 Ⅱ-Ⅱ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세척공간(21)을 형성하는 세척조(2), 세척공간(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 세척조(2) 하부에 구비되어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4), 세척조(2)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을 수용하는 수납부(5), 수납부(5)에 수용된 세척대상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6), 및 세척수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어셈블리(7)를 포함한다.
세척조(2)는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세척공간(21)을 형성하며, 상기 세척공간(21)에는 수납부(5) 및 분사암(6)이 수용될 수 있다. 세척조(2)는 일면이 개방된 형상이며, 상기 개방된 일면은 도어(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3)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세척공간(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3)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3)는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세척조(2)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3)가 개방되면 수납부(5)가 식기세척기(1)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며, 외부로 인출된 수납부(5)는 도어(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섬프(4)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장부(41), 저장부(41)를 세척조(2)와 구분하는 섬프 커버(42), 저장부(41)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43), 저장부(41)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44), 및 저장부(41)에 저장된 물을 분사암(6)으로 공급하기 위한 세척펌프(45)와 유로부(47)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41) 내부에는 세척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 어셈블리(7)가 수용될 수 있다. 이때, 필터 어셈블리(7)는 필터 지지부(4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저장부(41)는 필터 지지부(411)를 기준으로 상부 저장부(413)와 하부 저장부(415)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저장부(413)는 필터 어셈블리(7)의 외주면과 접하는 반면, 하부 저장부(415)는 필터 어셈블리(7)의 내부와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저장부(413)의 세척수가 하부 저장부(415)로 이동(F1)하기 위해서는 필터 어셈블리(7)의 메쉬부(733, 도 7 참조)를 통과하여야 하며, 반대로 하부 저장부(415)의 세척수가 상부 저장부(413)로 이동(F2)하기 위해서도 필터 어셈블리(7)의 메쉬부(733)를 통과하여야 한다.
상부 저장부(413)에는 급수부(43) 및 세척펌프(45)가 연결되며, 하부 저장부(415)에는 배수부(44) 및 순환유로(475)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로들의 연결 관계를 통해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필터(73)의 메쉬부(733)에 포집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섬프(4) 내부에 필터 지지부(411)가 구비되지 않고, 메쉬부(733)가 저장부(41)의 바닥면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순환유로(475)와 배수부(44)가 저장부(4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메쉬부(733)의 내부 영역에 연통될 수 있다.
섬프 커버(42)는 섬프(4) 상부에 구비되며, 세척조(2)와 섬프(4)를 구분할 수 있다. 섬프 커버(42)에는 필터 어셈블리(7)를 장착하기 위한 관통홀(421), 및 분사암(6)에서 세척공간(21)으로 분사된 세척수를 회수하기 위한 복수개의 회수홀들(423, 도 2 참조)이 구비될 수 있다. 분사암(6)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공간(21)의 하부로 낙하하고, 필터 어셈블리(7) 및 회수홀들(423)을 거쳐 다시 섬프(4)의 저장부(41)로 회수될 수 있다.
급수부(43)는 외부의 수원과 연결되며, 저장부(41)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41) 내부의 세척수나 이물질이 급수부(43)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급수부(43)는 저장부(41)의 상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서는 급수부(43)가 저장부(41)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부 저장부(413)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배수부(44)는 배수펌프(441) 및 배수유로(443)를 포함하며, 저장부(41) 내부의 세척수를 식기세척기(1)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수펌프(441)가 작동하면 저장부(41)의 세척수가 배수유로(44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세척 행정을 수행한 이후 저장부(41)에 회수된 물 속에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41) 내부의 물이 모두 배출되지 못하면 세균이 번식하여 위생 상 좋지 않고, 악취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부(44)는 저장부(41)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수 과정에서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세척수와 함께 배출될 수도 있는데, 상기 이물질로 인하여 배수부(44)가 막힐 수도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서는 배수유로(443)를 하부 저장부(415)에 연결하였다. 하부 저장부(415)는 필터 어셈블리(7)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크기가 큰 이물질은 필터 어셈블리(7)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로 인하여 배수부(44)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척펌프(45)는 저장부(41)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암(6)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세척펌프(45)는 저장부(41)에 저장된 세척수를 순환유로(475)로 공급하여, 다시 저장부(41)로 순환시킬 수도 있다.
세척펌프(45)의 일단은 상부 저장부(413)에 연결되고 타단은 유로 전환부(46)에 연결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저장부(41), 세척펌프(45) 및 유로 전환부(46) 사이에는 연결관(48)이 개재될 수도 있다.
세척펌프(45)는 임펠러(457)가 구비된 하우징(451), 저장부(41)와 연결된 유입구(453), 유로 전환부(46)와 연결된 배출구(455), 및 임펠러(457)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459)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459)에 전력이 공급되면 임펠러(457)가 회전하고, 저장부(41)의 세척수가 유로 전환부(46)를 거쳐 유로부(47)로 공급될 수 있다.
유로부(47)는 하부 분사암(61)에 연결되는 제1 공급유로(471), 상부 분사암(63) 및 탑노즐(65)에 연결되는 제2 공급유로(473), 및 저장부(41)에 연결되는 순환유로(4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급유로(471)가 개방되면 하부 분사암(61)으로 세척수가 공급되며, 제2 공급유로(473)가 개방되면 상부 분사암(63) 및 탑노즐(65)로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순환유로(475)가 개방되면 세척수는 다시 저장부(41)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유로(475)는 하부 저장부(415)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순환유로(475)를 통해 순환하는 세척수는 하부 저장부(415)로 공급되고, F2 흐름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메쉬부(733)의 내부면에 포집될 수 있다.
유로 전환부(46)는 제1 및 제2 공급유로들(471, 473), 및 순환유로(475)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또는 동시에 개방할 수 있다. 유로 전환부(46)는 밸브나 회전판 등의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세척수를 다양한 경로로 분배할 수 있으면 족하다. 예를 들면, 유로 전환부(46)는 전자식으로 제어되는 전환 밸브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전환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공급유로(471, 473)와 순환유로(475)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로 전환부(46)가 회전판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유로 전환부(46)는 복수개의 개구(4611, 4613)가 구비된 유로 전환 플레이트(461), 및 회전축(465)을 통해 상기 유로 전환 플레이트(461)를 회전시키는 유로 전환 모터(463)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 전환 모터(463)에 의해 유로 전환 플레이트(461)가 회전하게 되고, 유로 전환 플레이트(461)의 위치에 따라 제1 및 제2 공급유로들(471, 473), 및 순환유로(475)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 전환 플레이트(461)가 도 6(a)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한 경우, 제1 공급유로(471), 제2 공급유로(473) 및 순환유로(475)가 동시에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저장부(41)의 세척수가 분사암들(61, 63, 65)로 공급될 뿐만 아니라, 세척수 중의 일부는 순환유로(475)를 통해 하부 저장부(415)로 순환할 수 있다.
순환유로(475)를 통해 하부 저장부(415)로 공급된 세척수는 F2 흐름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세척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메쉬부(733)의 내주면에 포집될 수 있다. 이물질이 제거된 세척수는 상부 저장부(413)로 이동하며, 세척 펌프(45)를 거쳐 분사암(6)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로 인하여 세척대상이 다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메쉬부(733)의 외주면에는 세척수에서 걸러진 이물질이 쌓일 수 있다. 이렇게 메쉬부(733) 외주면에 쌓인 이물질은 세척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되고, 메쉬부(733)의 거름 능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순환유로(475)를 통해 세척수를 순환시키면, 세척수가 F2 방향으로 메쉬부(733)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하게 되므로, 이 과정에서 메쉬부(733)의 외주면에 붙어 있던 이물질이 떨어질 수 있다. 즉, 세척수 순환을 통하여 메쉬부(733) 외주면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다르게, 유로 전환 플레이트(461)가 도 6(b)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하면 순환유로(475)만이 개방될 수 있다. 즉, 제1 공급유로(471)와 제2 공급유로(473)는 폐쇄되고, 분사암(6)에는 세척수가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세척펌프(45)에서 유로 전환부(46)로 공급된 세척수가 모두 순환유로(475)를 통해 하부 저장부(415)로 공급된다. 순환유로(475)를 통해 하부 저장부(415)로 공급된 세척수는 F2 흐름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세척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메쉬부(733)의 내주면에 포집될 수 있다.
상기 도 6(a)를 참조로 설명한 경우와 달리, 유로 전환 플레이트(461)가 도 6(b)와 같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부 저장부(413)에서 유로 전환부(46)로 공급된 세척수 전부가 순환유로(475) 및 메쉬부(733)를 거쳐 다시 상부 저장부(413)로 회수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저장부(413)에 수용된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양이 빠른 속도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메쉬부(733)의 외주면에 쌓인 이물질도 보다 빨리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는 제1 개구(4611)가 제1 공급유로(471)와 순환유로(475)를 한 번에 개방시킬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제2 개구(4613)는 제1 개구(4611)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유로 전환 플레이트(461)에 3개의 개구가 형성되고, 각 개구는 공급유로들(471, 473) 및 순환유로(475)와 일대일로 대응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는 순환유로(475)가 공급유로(471, 473)와 별개의 유로를 형성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순환유로(475)가 제1 공급유로(471)에서 분지되거나, 또는 제2 공급유로(473)에서 분지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공급유로(471)가 개방되면 하부 분사암(61)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일부가 항상 순환유로(475)를 통해 섬프(4)로 순환하게 되며, 제2 공급유로(473)가 개방되면 상부 분사암(63) 및 탑노즐(65)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일부가 항상 순환유로(475)를 통해 섬프(4)로 순환하게 된다.
세척공간(21)에는 세척대상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2개의 수납부가 구비된 식기세척기(1)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식기세척기(1)는 하나의 수납부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3개 이상의 수납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납부의 수에 따라서 분사암의 수도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식기세척기(1)가 2개의 수납부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수납부(5)는 세척대상을 수용하기 위한 하부 랙(51)과 상부 랙(5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랙(51)은 섬프(4)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 랙(53)은 하부 랙(51)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 랙(51)과 상부 랙(53)은 세척조(2)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세척조(2) 내주면에는 레일(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고, 랙(51, 53) 하부에는 휠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납부(5)를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세척대상을 수납하거나, 또는 세척이 완료된 세척대상을 꺼낼 수 있다.
분사암(6)은 세척조(2) 내에 구비되어 수납부(5)의 세척대상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분사암(6)은 하부 분사암(61), 상부 분사암(63) 및 탑노즐(65)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분사암(61)은 섬프 커버(4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부 랙(51)에 수납된 세척대상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부 분사암(63)은 하부 분사암(61)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 랙(53)에 수납된 세척대상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탑노즐(65)은 세척공간(21)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 랙(51) 및 상부 랙(53)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공급유로(471)는 하부 분사암(61)으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고, 제2 공급유로(473)는 상부 분사암(63) 및 탑노즐(65)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7)는 섬프 커버(42)의 관통홀(421)을 통해 섬프(4)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세척 행정을 반복함에 따라 필터 어셈블리(7)에 이물질이 많이 쌓이게 되면, 사용자는 필터 어셈블리(7)를 섬프(4)로부터 분리하여 필터 어셈블리(7)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로 필터 어셈블리(7)의 구조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필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필터 어셈블리(7)는 섬프(4) 내부에 삽입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73), 및 필터(73) 상부에 결합되는 핸들부재(73)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재(71)는 필터(73)의 장착과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제거될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는 핸들부재(71)가 필터(7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핸들부재(71)와 필터(73)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필터(73)는 관통홀(421) 주변의 섬프 커버(42) 상에 안착되는 안착부(731), 안착부(73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여 저장부(41) 내의 세척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메쉬부(733), 안착부(73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여 메쉬부(733)를 지지하는 지지리브(732), 지지리브(732)의 하부 말단에 구비되어 필터 지지부(411) 상에 안착되는 지지대(735), 및 안착부(731) 상에 구비되어 섬프 커버(42) 상에서 메쉬부(733)로 유입되는 세척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코어부(737)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731) 상에는 핸들부재(71)를 고정하기 위한 삽입홀(73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홀(7311)에는 핸들부재(71)의 연장리브(713)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홀(7311)은 연장리브(713)의 형상 및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리브(732)는 섬프(4) 내부로 삽입되며, 메쉬부(733)가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메쉬부(733)를 보다 견고하기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리브(732)와 교차하는 보강링(73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지지리브(732)와 보강링(734)의 개수는 메쉬부(733)의 크기 및 재질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지지대(735)는 섬프(4)의 섬프 지지부(411)에 접촉하여 필터(73)를 지지할 수 있다. 즉, 필터(73)는 안착부(731)와 지지대(735)가 각각 섬프 커버(42)와 필터 지지부(411)에 접촉함으로써, 섬프(4)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섬프(4) 내부에 세척수의 흐름이 발생하더라도 필터(73)는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필터(73)를 섬프(4)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지지대(735)의 하부 또는 측부에 체결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필터 지지부(411)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홈(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고, 지지대(735)의 하부에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의 외면에도 나사산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체결홈에 삽입한 뒤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홈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73)를 보다 견고하게 섬프(4)에 고정시킬 수 있다.
메쉬부(733)는 안착부(731)와 지지대(735) 사이에 설치되며,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한편, 메쉬부(733)는 지지리브(732) 및 보강링(734)을 따라 원통형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메쉬부(733)의 상하는 개방될 수 있다. 이때, 메쉬부(733)의 상부는 코어부(737)에 의해 커버되고, 하부는 하부 저장부(415)와 연통될 수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필터(73) 외부의 세척수가 필터(73) 내부로 이동할 때,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메쉬부(733)의 외주면 상에 포집될 수 있다. 반대로, 필터(73) 내부의 세척수가 필터(73) 외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메쉬부(733)의 내주면 상에 포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부(737) 및 순환유로(475)를 통해 필터(73) 내부로 공급된 세척수는 F2 흐름 방향을 따라 메쉬부(733)를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메쉬부(733)의 내주면에 걸러지고, 이물질이 제거된 세척수는 세척펌프(45)를 통해 분사암(6)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분사암(6)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코어부(737)를 통해 저장부(41)로 유입될 수도 있지만, 섬프 커버(42)의 회수홀들(423)을 통해 저장부(41)로 유입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세척수는 상부 저장부(413)로 유입될 수 있다. 상부 저장부(413)의 세척수는 F1 흐름 방향을 따라 메쉬부(733)를 통과할 수 있으며,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메쉬부(733)의 외주면에 포집될 수 있다.
코어부(737)는 메쉬부(733)의 상부를 커버하여,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부(737)는 안착부(731) 상에 구비된 코어(7371), 및 코어(7371)와 안착부(731)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리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서로 교차하는 방사리브(7373)와 보강리브(7375)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7371), 방사리브(7373) 및 보강리브(7375)는 필터(73) 내부로 개구된 제1 및 제2홀들(7376, 7378)을 형성한다. 세척수는 제1 및 제2 홀들(7376, 7378)을 통해 필터(73) 내부로 유입되는데, 이 과정에서 이쑤시개 등의 스틱형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
코어(7371)의 상부에는 핸들부재(71)의 안내리브(717)와 결합하는 안내홀(7379)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핸들부재(71)는 환형의 바디(711), 바디(7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여 필터(73)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장리브(713), 및 바디(711)를 가로지르는 핸들(715)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재(71)는 필터(7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사용자는 핸들(715)을 파지한 상태에서 필터(73)를 섬프(4) 내부로 삽입하거나 또는 섬프(4)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연장리브(713)는 필터(73)의 안착부(731)에 형성된 삽입홀(73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연장리브(713)가 안착부(73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장리브(713)의 말단에는 후크(714)가 구비될 수 있다. 후크(714)는 연장리브(713)의 말단에서 바디(711)의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면(7141)과 걸림면(7143)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714)가 삽입홀(7311)에 삽입되면, 걸림면(7143)이 안착부(731)의 저면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연장리브(713)가 안착부(73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연장리브(713)가 삽입홀(7311)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바디(711)에 간극돌기(712)가 구비될 수 있다. 간극돌기(712)는 바디(711)의 하부에서 돌출 형성된다. 핸들부재(71) 결합 시, 간극돌기(712)는 안착부(731)의 상면에 접촉하여 연장리브(713)가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또한, 핸들(715) 하부에는 핸들부재(71)의 결합을 안내하는 안내리브(71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안내리브(717)는 코어부(737)에 형성된 안내홀(7379)에 삽입되어, 핸들부재(71)가 필터(73)에 정확한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세척펌프(45)에서 공급되는 세척수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섬프(4) 내부로 순환시킬 수 있다. 특히, 순환하는 세척수를 필터(73)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73) 내부에 걸러낼 수 있다. 또한, 순환하는 세척수가 필터(73)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필터(73) 외부에 쌓인 이물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로 인해 세척대상이 재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필터(73)가 막히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식기세척기(1)를 이용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도 9는 도 1의 식기세척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식기세척기(1)에 전원이 인가되면, 식기 세척을 위한 코스 및/또는 옵션을 로딩한다(S100).
이때, 상기 코스는 예비 세척 행정(S200), 세척 행정(S300), 헹굼 행정(S400), 가열 헹굼 행정(S500), 건조 행정(S60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행정들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척 행정 및 헹굼 행정만을 포함하는 제1 코스, 또는 예비 세척, 세척, 헹굼, 가열 헹굼 및 건조 행정을 모두 포함하는 제2 코스 등이 상정될 수 있다.
상기 예비 세척 행정은 세척공간(21)에 수용된 세척대상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세척대상에 묻은 이물질이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불려주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세척 행정은 상기 세척대상에 물과 세제를 분사하여, 상기 세척대상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헹굼 행정은 상기 세척대상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세척대상에 잔류하는 이물질 및 세제를 제거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물과 함께 린스를 분사할 수 있는데, 상기 린스는 세척대상의 살균 소독을 도와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린스는 세척대상 표면에 묻어있는 물의 표면 장력을 약화시켜 쉽게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세척대상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가열 헹굼 행정은 상기 세척대상에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된 물을 분사하는 단계로서, 상기 세척대상을 가열하여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상기 세척대상을 살균 소독할 수 있다.
상기 건조 행정은 상기 세척대상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세척대상을 자연 건조시킬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건조팬(도시되지 않음)을 동작시켜 세척조(2)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건조 시간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옵션은 상기 선택된 코스에 대한 각 행정의 작동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작동 조건은 상기 가열 헹굼 행정에서 세척대상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 상기 건조 행정에서 상기 건조팬의 동작 시간, 및 각 행정의 반복 횟수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식기세척기(1)에 전원이 인가되면, 가장 최근에 수행된 코스 및 옵션 정보를 로딩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가장 많이 수행된 코스 및 옵션 정보를 로딩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사용자가 직접 코스 및 옵션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로딩 방식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설정된 코스 및 옵션에 따라 예비 세척 행정(S200), 세척 행정(S300), 헹굼 행정(S400), 가열 헹굼 행정(S500), 및 건조 행정(S60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행정을 수행한다.
한편, 예비 세척 행정(S200), 세척 행정(S300), 헹굼 행정(S400), 및 가열 헹굼 행정(S500)에서는 모두 분사암(6)을 통한 세척수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분사된 세척수는 섬프(4)로 회수되는데, 회수된 세척수에는 세척 대상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사되는 세척수의 일부를 필터(73) 내부로 순환시켜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행정 종료 이후에는 섬프(4)에 저장된 세척수 전부를 필터(73) 내부로 순환시켜 필터(73)의 외주면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세척수 분사가 이루어지는 모든 행정에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로 세척 행정(S300)에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이 세척 행정(S300)에서만 적용되는 것으로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세척 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모든 행정에서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세척 행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식기 세척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필터 세척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급수부(43)를 이용하여 섬프(4) 내부로 물을 공급한다(S310). 이때, 세척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세제 등이 물과 함께 공급될 수 있다.
섬프(4)에 저장된 물(이하에서는 ‘세척수’라 함)을 이용하여 식기를 세척한다(S320).
예를 들면, 세척펌프(45)를 작동시켜(S321) 저장부(41)의 세척수를 유로 전환부(46)로 공급한다. 유로 전환부(46)는 선택된 옵션에 따라 제1 공급유로(471) 및 제2 공급유로(47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개방된 유로를 통해 분사암(6)에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S322). 제1 공급유로(471)가 개방되면 하부 분사암(61)으로 세척수가 공급되고, 제2 공급유로(473)가 개방되면 상부 분사암(63) 및 탑노즐(65)로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다.
분사암(6)으로 공급된 세척수는 수납부(5)에 수용된 식기를 향해 분사된다. 분사된 세척수는 식기와 충돌한 후 섬프 커버(42)로 낙하하며, 관통홀(421)이나 회수홀(423)을 통해 상부 저장부(413)로 회수될 수 있다. 관통홀(421)로 유입된 세척수는 코어부(737)를 통해 필터(73)의 내부 영역으로 회수되고, 회수홀(423)로 유입된 세척수는 필터(73)의 외부 영역으로 회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73)의 내부 영역은 메쉬부(733)의 내주면과 접한 영역을 의미하고, 상기 필터(73)의 외부 영역은 메쉬부(733)의 외주면과 접한 영역을 의미한다.
회수된 세척수는 세척펌프(45) 및 분사암(6)을 순차적으로 거쳐 식기를 향해 다시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순환을 통하여 세척수가 식기에 지속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펌프(45)는 상부 저장부(413)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73)의 내부 영역에 수용된 세척수는 F2 흐름 방향을 따라 필터(73)의 외부 영역으로 이동한 후에 세척펌프(45)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세척수가 필터(73)의 메쉬부(733)를 통과하게 되므로,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메쉬부(733)의 내주면에 포집될 수 있다.
이에 반해, 필터(73)의 외부 영역에 수용된 세척수는 메쉬부(733)를 통과하지 않고 곧바로 세척펌프(45)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이 포함된 세척수가 분사암(6)을 통해 식기로 분사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분사암(6)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일부를 필터(73) 내부로 순환시켜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다(S323).
구체적으로, 세척펌프(45)에서 분사암(6)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일부를 순환유로(475)를 통해 저장부(41)로 공급한다. 이때, 순환유로(475)의 개방은 유로 전환부(46)를 제어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로 전환 모터(463)를 가동하여 유로 전환 플레이트(461)를 도 6(a)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순환유로(475)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유로(475)는 필터(73)의 내부 영역과 연통하는 하부 저장부(415)에 연결된다. 따라서, 순환유로(475)를 통해 공급된 세척수는 F2 흐름 방향을 따라 필터(73)의 메쉬부(733)를 통과하게 되고,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필터(73)의 내주면에 포집될 수 있다. 세척수 분사 과정 동안 이와 같은 순환이 반복되면,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들이 필터(73)의 내주면에 포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물질이 제거된 세척수가 분사암(6)으로 공급될 수 있고, 식기의 재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필터(73)의 내부 영역으로 순환시키는 세척수의 양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프(4) 내부에 수질 오염 측정 센서(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고, 세척수의 오염 정도에 따라 순환되는 세척수의 양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세척수의 오염이 매우 심각한 경우에는, 일정한 시간 동안 분사암(6)으로의 세척수 공급을 중단하고, 세척펌프(45)로 유입된 세척수 전부를 순환유로(475)를 통해 순환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분사암(6)을 통한 세척수 분사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진행되면(S324), 세척펌프(45)의 작동을 중단하고(S325) 식기 세척 단계(S320)를 종료한다.
식기 세척이 종료되면 저장부(41)에 수용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데, 이때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도 세척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유로(443)가 연결된 하부 저장부(415)는 필터(73)의 내부 영역에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73)의 외부 영역에 포함된 이물질은 세척수와 함께 배출되지 못할 수도 있다. 즉, 배수펌프(441)가 작동하면 필터(73)의 외부 영역에 수용된 세척수는 F1 흐름 방향을 따라 배수유로(443)로 이동하는데, 이 과정에서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메쉬부(733)의 외주면 상에 포집될 수 있다. 따라서, 메쉬부(733)의 외주면 상에 포집된 이물질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섬프(4) 내부에 잔류하게 되며, 이후 수행되는 헹굼 행정(S300) 등에서 식기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메쉬부(733)에 쌓인 이물질로 인하여 필터(73)가 막힐 수 있고, 필터(73)가 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세척수를 배수하기 이전에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73)의 내부 영역에 포집하고(S330), 포집된 이물질을 세척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한다(S340).
구체적으로, 세척펌프(45)를 작동시켜(S331), 저장부(41)에 저장된 세척수 전부를 필터(73)의 내부 영역으로 순환시킨다(S332). 예를 들면, 유로 전환 플레이트(461)를 도 6(b)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시켜 순환유로(475)만을 개방시킨다. 제1 및 제2 공급유로들(471, 473)은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분사암(6)으로는 세척수가 공급되지 않으며, 세척펌프(45)로 유입된 모든 세척수가 순환유로(475)를 통해 하부 저장부(415)로 이동한다. 순환유로(475)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는 F2 흐름 방향을 따라 필터(73)의 메쉬부(733)를 통과하게 되며,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필터(73)의 내주면에 포집될 수 있다. 이후, 세척펌프(45)가 일정 시간 계속하여 작동하면 세척수에 포함된 대부분의 이물질이 필터(73)의 내주면에 포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물질 포집 단계(S330)가 수행되는 동안 세척수는 F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세척수는 필터(73)의 메쉬부(733)에 충돌하게 되므로, 상기 충돌력에 의해 메쉬부(733)의 외주면에 붙어있던 이물질이 메쉬부(733)에서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이물질은 세척펌프(45) 및 순환유로(475)를 거쳐 메쉬부(733) 내부에 포집되고, 배수 단계(S340)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이물질 포집 단계(S330)는 메쉬부(733)의 외주면에 쌓여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포집 단계(S330)에서는 상기 식기 세척 단계(S320)보다 더 빠른 속도로 세척펌프(45)를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식기 세척 단계(S320)에서 세척펌프(45)의 임펠러(457)가 제1 RPM으로 회전하고, 상기 이물질 포집 단계(S330)에서 세척펌프(45)의 임펠러(457)가 제2 RPM으로 회전한다고 가정할 때, 상기 제2 RPM은 상기 제1 RPM보다 더 큰 값일 수 있다. 이는 세척펌프(45)가 세척수를 흡입하는 압력을 증가시켜, 메쉬부(733)의 외주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이 보다 쉽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메쉬부(733)의 외주면에 쌓인 이물질 제거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고, 상기 이물질 포집 단계(S330)의 가동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
세척수 순환을 통한 이물질 포집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진행되면(S333), 세척펌프(45)의 작동을 중단하고(S334) 이물질 포집 단계(S330)를 종료한다. 이후, 배수펌프(441)를 작동시켜 세척수와 이물질을 식기세척기(1) 외부로 배출한다(S340).
이와 달리, 식기세척기(1)에 세척수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수질 오염 측정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세척수의 오염 정도가 기 설정된 수치 이하로 떨어지면 세척펌프(45)의 작동을 중단하고(S334) 이물질 포집 단계(S330)를 종료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 방법은, 분사암(6)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필터(73)의 내부 영역으로 순환시켜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식기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세척수와 함께 식기로 재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사암(6)을 통한 세척수 분사가 종료된 이후에는, 섬프(4)에 저장된 세척수 전부를 필터(73)의 내부 영역으로 순환시켜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73) 내부에 포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 단계에서 대부분의 이물질이 세척수와 함께 배출될 수 있고, 배수 단계 이후에 섬프(4) 내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의 양은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 과정을 통해 필터(73)의 외주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분리함으로써, 필터(73)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식기세척기 2: 세척조
21: 세척공간 3: 도어
4: 섬프 41: 저장부
411 필터 지지부 413: 상부 저장부
415: 하부 저장부 42 섬프 커버
43: 급수부 44: 배수부
45: 세척펌프 46: 유로 전환부
461: 유로 전환 플레이트 47: 유로부
475: 순환유로 5: 수납부
6: 분사암 7: 필터 어셈블리
71: 핸들부재 73: 필터
733: 메쉬부

Claims (12)

  1. 식기를 수용하는 세척조, 상기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 상기 섬프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수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및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으로 공급하는 세척펌프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사암에 세척수를 공급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단계;
    식기 세척이 완료된 이후에 수행되며, 상기 세척펌프로 유입되는 세척수 전부를 상기 필터 내부로 순환시켜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상기 필터 내부에 포집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 내부에 포집된 이물질을 세척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식기를 세척하는 단계는,
    상기 세척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분사암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필터 내부로 순환시키는 단계;
    세척수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 내부로 순환시키는 세척수의 양은 상기 측정된 세척수의 오염도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내부로 공급된 세척수는 상기 세척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세척수의 오염도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상기 세척펌프로 유입된 세척수 전부를 상기 필터 내부로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세척수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을 포집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세척수의 오염도가 기 설정된 수치 이하가 될 때까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를 세척하는 단계에서 상기 세척펌프는 제1 회전 속도로 작동하고,
    상기 이물질을 포집하는 단계에서 상기 세척펌프는 상기 제1 회전 속도보다 더 빠른 제2 회전 속도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8. 식기를 수용하는 세척조, 상기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 상기 섬프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수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및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으로 공급하는 세척펌프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척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분사암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필터 내부로 순환시키는 단계;
    세척수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세척펌프로 유입되는 세척수 전부를 상기 필터 내부로 순환시켜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상기 필터 내부에 포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내부로 순환시키는 세척수의 양은 상기 측정된 세척수의 오염도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내부로 공급된 세척수는 상기 세척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필터의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을 포집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세척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필터 내부로 순환시키는 단계에서보다 상기 세척펌프가 더 빨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내부에 포집된 이물질을 세척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분사암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일부를 순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물질을 포집하는 단계는,
    상기 식기에 물을 분사하여 이물질을 불려주는 예비 세척 행정;
    상기 식기에 물과 세제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 행정;
    상기 식기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식기에 잔류하는 이물질과 세제를 제거하는 헹굼 행정; 및
    상기 식기에 가열된 물을 분사하는 가열 헹굼 행정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행정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20170033622A 2017-03-17 2017-03-17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2336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622A KR102336985B1 (ko) 2017-03-17 2017-03-17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622A KR102336985B1 (ko) 2017-03-17 2017-03-17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058A KR20180106058A (ko) 2018-10-01
KR102336985B1 true KR102336985B1 (ko) 2021-12-08

Family

ID=63877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622A KR102336985B1 (ko) 2017-03-17 2017-03-17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9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1022A (zh) * 2019-07-08 2019-09-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碗机及清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9467B1 (ko) * 1998-06-22 2000-12-01 윤종용 일체형 펌프를 가진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KR100640870B1 (ko) * 2004-09-22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및 그 제어방법
KR102391681B1 (ko) * 2015-07-21 2022-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058A (ko)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6823B1 (ko) 식기 세척기의 집수장치
RU2315140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из нее мыльной пены (варианты)
US20120118336A1 (en) Dishwasher with filter cleaning assembly
US10022034B2 (en) Dishwasher appliance and method
US20130056029A1 (en) Adjustable filter system for a dishwashing appliance
KR101877387B1 (ko) 식기세척기
KR102391681B1 (ko) 식기세척기
KR20070040879A (ko) 식기 세척기용 판형 유로제어밸브 및 이를 적용한 식기세척기
KR101645040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129511A1 (en) Dishwasher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n appliance
KR102336985B1 (ko)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US11330957B2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60118142A1 (en) Self-drainage preventing structure of dish washer
KR102541170B1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20060010361A (ko) 식기 세척기의 탁도 센서 장착 구조
EP2535454B1 (en) Washing machine
EP2977499B1 (en) Laundry washing machine
US20150096599A1 (en) Filter cleaner for a dishwashing appliance
US20230123507A1 (en) Microfiber filtration system
KR101245590B1 (ko) 식기 세척기의 배수펌프 및 그를 이용한 식기세척기의 운전방법
US20140238447A1 (en) Fine filtration for a dishwasher appliance using powered diverter
EP1973459B1 (en) Dish washer
KR20090030988A (ko)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US9968236B2 (en) Dishwasher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1910979B2 (en) Water-using domestic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water-using domestic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