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6092A - 카메라 플래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플래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6092A
KR20120116092A KR1020110033637A KR20110033637A KR20120116092A KR 20120116092 A KR20120116092 A KR 20120116092A KR 1020110033637 A KR1020110033637 A KR 1020110033637A KR 20110033637 A KR20110033637 A KR 20110033637A KR 20120116092 A KR20120116092 A KR 20120116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flash
light
total reflection
lens
flash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9859B1 (ko
Inventor
안건준
이승수
이장원
이현열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riority to KR1020110033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859B1/ko
Publication of KR20120116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8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being a simple lens adapted to cooperate with a point-like source for emitting mainly in one direction and having an axis coincident with the main light transmission direction, e.g. convergent or divergent lenses, plano-concave or plano-convex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14Separate unit
    • G03B2215/0517Housing
    • G03B2215/0546Housing modula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64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G03B2215/0567Solid-state light source, e.g. LED, las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89Diffusors, filters or refraction means
    • G03B2215/0592Diffusors, filters or refraction means installed in front of light emi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 직경을 최소화한 카메라 플래시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패널부에 설치되는 카메라 플래시용 렌즈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동일 축선 상에 제1몸체와 제2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2몸체가 제1몸체보다 폭이 더 넓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내부의 메인기판과 연결되고, 패널부에 설치되는 카메라 플래시 모듈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판과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기판; 상기 보조기판에 실장되는 광원; 상기 광원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렌즈부;가 구성되며: 상기 렌즈부가 패널부 창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 플래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Camera Flash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렌즈 직경을 최소화한 카메라 플래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플래시 모듈은 야간시간에 선명한 사진 촬상이 가능하도록 현재 출시되고 있는 거의 모든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플래시 모듈은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렌즈를 통해 광원이 외부로 방사되도록 피씨비 기판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LED가 실장되고, 휴대 단말기 자체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LED가 발광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카메라 플래시모듈의 구성도이다. 카메라 플래시 모듈은 메인기판(10)에 실장된 광원(12), 휴대단말기 패널부(14)와 결합된 렌즈(16)로 구성된다.
즉, 이러한 종래 카메라 플래시 모듈은 광원과 렌즈가 분리된 형태로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 카메라 플래시 모듈은 소형화된 광원과 렌즈가 분리된 형태로 구성되어 조립공정상에서 광축을 정확히 일치시키는 것은 어려웠다.
즉,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 광축을 가진 카메라 플래시 모듈은 광원에서 조사된 빛이 렌즈의 중앙부분에서 출사하지 못하고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어 빛의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광원과 렌즈가 분리된 카메라 플래시 모듈은 광원과 렌즈 사이의 간격 때문에 광원에서 조사된 빛은 휴대단말기 패널에 간섭되어 빛의 손실이 발생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 패널에 구성된 렌즈는 이러한 빛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렌즈의 직경을 넓히게 된다. 이로 인해 휴대단말기는 패널에 많은 공간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외관상의 디자인도 심미감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광원과 렌즈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광축을 정확히 일치시킴으로써 빛의 손실을 줄이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체형으로 구성된 광원과 렌즈를 휴대단말기 패널에 직접 구성하여 렌즈의 직경을 최소화함으로써 외관 디자인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 모듈은 광축을 일치시켜 빛의 손실을 줄일 뿐만 아니라, 렌즈의 직경을 최소화함으로써 외관 디자인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카메라 플래시 모듈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플래시용 렌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플래시 모듈의 분리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플래시 모듈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플래시 모듈의 결합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렌즈부와 보조기판의 결합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용상태도.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패널부에 설치되는 카메라 플래시용 렌즈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동일 축선 상에 제1몸체와 제2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2몸체가 제1몸체보다 폭이 더 넓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내부의 메인기판과 연결되고, 패널부에 설치되는 카메라 플래시 모듈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판과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기판; 상기 보조기판에 실장되는 광원; 상기 광원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렌즈부;가 구성되며: 상기 렌즈부가 패널부 창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플래시용 렌즈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플래시 모듈의 분리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플래시 모듈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플래시 모듈의 결합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렌즈부(20)와 보조기판의 결합단면도이고,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용상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플래시용 렌즈(20)는 휴대단말기 패널부에 설치되며, 동일 축선 상에 제1몸체(22)와 제2몸체(24)로 구성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2몸체가 제1몸체(22)보다 폭이 더 넓게 구성되며, 제1몸체(22)는 돌출 형성된 단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단턱은 렌즈가 휴대단말기 패널부(32)에 설치시 일종의 스톱퍼(Stopper)역할을 하게 된다. 제2몸체(24)에는 광원(36)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몸체(22)에는 상면에 빛을 외부로 출사되게 하는 제1출사면(22a)이 형성되고, 내부 벽면에는 빛을 외부로 전반사 시킬 수 있는 제1전반사면(23)이 형성된다. 제2몸체(24)에는 상면에 빛을 제1몸체(22)로 출사되게 하는 제2출사면(24a)이 형성되고, 저면 일측에는 빛을 제1몸체(22)로 전반사 시킬 수 있는 제2전반사면(25)이 형성된다. 또한, 제2전반사면(25)과 인접하여 빛을 집광할 수 있는 집광면(27)이 형성된다.
또한, 제2몸체(24)의 모서리 부분에는 다른 기구물과 결합하기 위한 돌기부(29)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플래시 모듈(30)은 보조기판(34)과 보조기판(34)에 실장되는 광원(36), 광원(36)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렌즈부(20)가 구성된다.
보조기판(34)은 휴대단말기 내부의 메인기판(38)과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기적 연결은 플렉서블 피시비(37)로 연결되거나, 메인기판(38)과 보조기판(34)에 각각 전극이 구성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보조기판(34)은 휴대단말기 패널부(32)에 구성된 융착폴(33)을 통해 융착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메인기판(38)과 보조기판(34)에 각각 구성된 전극(35a,35b)은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기판(38)에 구성된 전극(35a)은 돌기형상으로 구성되고, 보조기판(34)에 형성된 전극(35b)은 플랫한 면으로 구성된다.
보조기판(34)에는 빛을 외부로 출사하는 광원(36)이 실장된다. 광원(36)은 하나 이상의 LED가 채용될 수 있다.
광원(36)에는 렌즈부(20)가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이때, 렌즈부(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카메라 플래시용 렌즈와 동일한 형상으로 동일 축선 상에 제1몸체(22)와 제2몸체(24)로 구성되고, 제2몸체(24)가 제1몸체(22)보다 폭이 더 넓게 구성된다.
렌즈부(20)에는 광원(36)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제2몸체(24) 저면에 구성되는데, 즉, 이러한 수용홈이 구성된 렌즈부(20)는 보조기판(34)에 실장된 광원(36)과 조립할 경우, 광원(36)을 수용홈으로 수용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렌즈부(20)는 모서리 부분에 돌기부(29)가 형성되어 보조기판(34)에 끼워지도록 결합된다.
또한, 렌즈부(20)는 휴대단말기 패널부(32)에 고정 결합되도록 제1몸체(22)가 단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단턱은 렌즈부(20)가 휴대단말기 패널부(32)에 결합시 일종의 스톱퍼(Stoper)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부(20)의 제1몸체(22)가 원기둥 모양이고, 렌즈부(20)의 제2몸체(24)가 사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렌즈부(20) 상단 표면의 모양은 본 실시예처럼 원모양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모양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양이 동물, 별자리, 다각형 등의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모양은 휴대단말기 외관 디자인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렌즈부(20)는 광원(36)에서 출사된 빛을 제1몸체(22)로 반사되도록 제2전반사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제2전반사면과 인접하여 빛을 집광하도록 하는 집광면(27)이 형성된다. 집광면(27)은 중앙부분이 볼록형상의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카메라 플래시모듈에 대한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로부터 전원이 메인기판(38)과 보조기판(34)을 통해 광원(36)으로 공급된다. 이때, 메인기판(38)과 보조기판(34)은 각각 구성된 전극을 통해 전기적 연결이 된다.
이후, 전원을 공급받은 광원(36)은 빛을 출사하게 된다. 출사된 빛은 렌즈부(20) 제2몸체(24) 저면에 구성된 집광면(27)과 제2전반사면(25)으로 전달된다.
집광면(27)은 광원(36)에서 출사된 빛을 집광하는데, 이 과정에서 집광된 빛 중 일부는 제2출사면(24a) 과 제1출사면(22a)을 통과하여 바로 외부로 출사되고, 나머지 빛은 제1전반사면(23)에 반사되어 제1출사면(22a)으로 출사된다. 한편, 제2전반사면(25)은 광원(36)에서 전달된 빛을 반사시키게 되는데, 이때 반사된 빛은 제2출사면(24a)과 제1출사면(22a)을 통과하여 바로 외부로 출사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플래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0 : 카메라 플래시용 렌즈, 렌즈부 22 : 제1몸체
22a : 제1출사면 23 : 제1전반사면
24 : 제2몸체 24a : 제2출사면
25 : 제2전반사면 27 : 집광면
29 : 돌기부 30 : 카메라 플래시 모듈
32 : 휴대단말기 패널부 33 : 융착폴
34 : 보조기판 35a,35b : 전극
36 : 광원 37 : 플렉서블 피시비
38 : 메인기판

Claims (19)

  1. 휴대단말기 패널부에 설치되는 카메라 플래시용 렌즈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동일 축선 상에 제1몸체와 제2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2몸체가 제1몸체보다 폭이 더 넓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용 렌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는 제2몸체에 돌출 형성된 단턱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용 렌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에는 광원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용 렌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에는 빛을 외부로 출사 및 전반사되도록 하는 제1출사면과 제1전반사면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용 렌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에는 빛을 제1몸체로 출사 및 전반사되도록 하는 제2출사면과 제2전반사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전반사면과 인접하여 빛을 집광하도록 하는 집광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용 렌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에는 빛을 외부로 출사 및 전반사되도록 하는 제1출사면과 제1전반사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에는 빛을 제1몸체로 출사 및 전반사되도록 하는 제2출사면과 제2전반사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전반사면과 인접하여 빛을 집광하도록 하는 집광면이 형성되며;
    상기 집광면에서 집광된 빛 중 일부는 제2출사면과 제1출사면을 통과하여 바로 외부로 출사되고, 나머지 빛은 제1전반사면에 반사되어 외부로 출사되며,
    상기 제2전반사면에 반사된 빛은 제2출사면과 제1출사면을 통과하여 바로 외부로 출사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용 렌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에는 상단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으로 문양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용 렌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에는 다른 기구물과의 결합을 위해 돌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용 렌즈.
  9. 휴대단말기 내부의 메인기판과 연결되고, 패널부에 설치되는 카메라 플래시 모듈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판과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기판;
    상기 보조기판에 실장되는 광원;
    상기 광원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렌즈부;가 구성되며:
    상기 렌즈부가 패널부 창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판은 상기 패널부와 융착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 모듈.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판은 메인기판과 플랙서블 피시비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 모듈.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판은 메인기판과 각각 전극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 모듈.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에는 상기 광원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 모듈.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동일 축선 상에 제1몸체와 제2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2몸체가 제1몸체보다 폭이 더 넓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 모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는 제2몸체에 돌출 형성된 단턱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 모듈.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에는 빛을 외부로 출사 및 전반사되도록 하는 제1출사면과 제1전반사면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 모듈.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에는 빛을 제1몸체로 출사 및 전반사되도록 하는 제2출사면과 제2전반사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전반사면과 인접하여 빛을 집광하도록 하는 집광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 모듈.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에는 빛을 외부로 출사 및 전반사되도록 하는 제1출사면과 제1전반사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에는 빛을 제1몸체로 출사 및 전반사되도록 하는 제2출사면과 제2전반사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전반사면과 인접하여 빛을 집광하도록 하는 집광면이 형성되며;
    상기 집광면에서 집광된 빛 중 일부는 제1출사면을 통과하여 바로 외부로 출사되고, 나머지 빛은 제1전반사면에 반사되어 외부로 출사되며,
    상기 제2전반사면에 반사된 빛은 제1출사면을 통과하여 바로 외부로 출사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시 모듈.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플래시용 렌즈 또는 카메라 플래시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KR1020110033637A 2011-04-12 2011-04-12 카메라 플래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KR101319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637A KR101319859B1 (ko) 2011-04-12 2011-04-12 카메라 플래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637A KR101319859B1 (ko) 2011-04-12 2011-04-12 카메라 플래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092A true KR20120116092A (ko) 2012-10-22
KR101319859B1 KR101319859B1 (ko) 2013-10-29

Family

ID=47284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637A KR101319859B1 (ko) 2011-04-12 2011-04-12 카메라 플래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8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01631A (ja) * 2018-09-27 2022-01-06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カメラおよび端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7891A (ja) 2003-04-17 2004-11-11 Nec Saitama Ltd カメラ付き携帯型電子機器
KR101542911B1 (ko) * 2008-05-28 2015-08-10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의 led 플래쉬 모듈
KR101076320B1 (ko) * 2009-06-12 2011-10-26 주식회사 세코닉스 휴대기기용 프레넬 렌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01631A (ja) * 2018-09-27 2022-01-06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カメラおよび端末
US11297175B2 (en) * 2018-09-27 2022-04-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Camera and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9859B1 (ko) 2013-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6173U (ja) 発光レンズ構造
US9728349B2 (en) Button struture and electronic device with same
JP6124059B2 (ja) 照明装置
US20140340893A1 (en) Light-guiding structure and light-emitting device
TWI578051B (zh) 光連接器
CN109040369A (zh) 一种移动终端
CN104871081A (zh) 相机模块以及具有该相机模块的相机装置
US20110141736A1 (en) LED panel
KR101319859B1 (ko) 카메라 플래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CN103718325B (zh) 具有均匀外观的oled/qled发光模块
US20170167717A1 (en) Diffractive and prismatic oled wireless and led wireless underwater pool light sources
KR101764744B1 (ko)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JP5529576B2 (ja) 発光装置
US20140021379A1 (en) Optical connector having alignment portions
CN108390979B (zh) 壳体和终端
CN108200235B (zh) 输出模组和电子装置
CN104251417A (zh) 光源模组
JP2006156231A (ja) バックライト
CN108023985B (zh) 电子装置
KR102396898B1 (ko) 차량용 라이트가이드 시스템
CN209938136U (zh) 一种高识别智能笔
CN108093102B (zh) 电子装置
JP3181918U (ja) 発光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備えた移動通信装置
CN206803061U (zh) 一种光源模组及照明装置
JP6048935B2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