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014A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 깊이감 조절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 깊이감 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5014A
KR20120115014A KR1020110032914A KR20110032914A KR20120115014A KR 20120115014 A KR20120115014 A KR 20120115014A KR 1020110032914 A KR1020110032914 A KR 1020110032914A KR 20110032914 A KR20110032914 A KR 20110032914A KR 20120115014 A KR20120115014 A KR 20120115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th
content
mobile terminal
shap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4005B1 (ko
Inventor
김종환
아비나쉬 말리파틸
아누모드 오. 티.
센틸 씨. 피.
비핀 티. 에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2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005B1/ko
Priority to EP11189772A priority patent/EP2509323A3/en
Priority to US13/313,166 priority patent/US20120257795A1/en
Publication of KR20120115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46Calibration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71Image signal generators wherein the generated image signals comprise depth maps or disparity 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75Image signal generators from 3D object models, e.g. computer-generated stereoscopic image signals
    • H04N13/279Image signal generators from 3D object models, e.g. computer-generated stereoscopic image signals the virtual viewpoint locations being selected by the viewers or determined by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04N13/373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for tracking forward-backward translational head movements, i.e. longitudinal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 깊이감 조절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청 거리, 얼굴인식결과, 화면크기, 컨텐츠 속성 및 주변환경에 따라 동적인 3차원(3D) 컨텐츠(영상)의 깊이감을 자동으로 조절(보정)함으로써 사용자의 3D피로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 깊이감 조절방법{MOBILE TERMINAL AND IMAGE DEPTH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3D 영상의 깊이감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 깊이감 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이동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이동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이동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이동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 그 중에서 이동 단말기의 터치 기능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버튼/키 입력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편리하게 단말기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최근에는 단순한 입력뿐만 아니라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함께 단말기의 중요한 기능으로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기능이 이동단말기에 더욱 다양한 형태로 적용됨에 따라 그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개발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2차원 영상 표시의 수준을 넘어서 깊이 지각(depth perception) 내지 입체시(stereovision)를 가능하게 하는 3차원(3D)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진화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3차원 입체 영상을 통하여 보다 실감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이동 단말기에서는 3D 영상을 표시할 때 갑자기 그리고 큰 폭으로 3D영상의 크기가 변하면 그에 따라 해당 영상의 깊이감(depth)도 함께 변하게 되며, 그러한 상황이 장시간 지속될 경우 사용자는 눈에 상당한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3D 영상을 표시할 때 일반적으로 영상의 깊이감은 평균값으로 고정되어 있다. 하지만, 동일한 영상의 깊이감이라고 해도 거리, 연령(어른 또는 어린이), 성별(남여), 해당 3D영상을 재생하는 시간대 또는 주위환경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느끼는 피로감 역시 달라지게 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상황에서 눈의 피로감을 줄이기 위하여 3D 영상의 깊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가 충분히 제공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3D 컨텐츠(영상)의 깊이감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 깊이감 조절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령, 성별, 3D영상의 재생 시간대 및 주위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3D컨텐츠(영상)의 깊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 깊이감 조절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깊이감 조절방법은, 3차원 입체(3D)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3D컨텐츠의 표시각 전방에 위치하는 형상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형상의 거리 및 해당 형상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3D컨텐츠의 깊이감을 자동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형상의 거리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를 통해 측정되며, 상기 3차원 입체(3D) 컨텐츠의 표시 이전 또는 이후에 측정한다.
상기 깊이감은 형상의 거리가 멀면 증가되고 가까우면 자동으로 감소된다.
상기 인식된 형상이 복수인 경우 3D컨텐츠의 깊이감은 가장 가까운 형상을 기준으로 조절된다. 특히 인식된 형상이 얼굴인 경우에는 가장 어린 사용자를 기준으로 3D컨텐츠의 깊이감을 조절한다.
상기 분석결과는 사용자, 성별, 연령, 인종, 기분 및 두 눈사이의 거리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3D컨텐츠의 속성,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크기 및 주변환경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3D컨텐츠의 깊이감을 세밀하게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3D컨텐츠의 재생시간이 긴 경우에는 재생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깊이감 한계점을 점점 낮춘다.
상기 입체감이 많이 필요한 3D컨텐츠는 깊이감 한계점을 낮추고, 입체감이 별로 필요 없는 3D컨텐츠는 깊이감 한계점을 더욱 낮춘다. 또한, 상기 주변환경은 밤낮, 조명 및 위치를 포함하며, 조명이 어둡거나 야간시간대에는 깊이감 한계점을 낮게 조정한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3차원 입체(3D) 컨텐츠를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 3D컨텐츠의 표시각 전방에 위치하는 형상을 인식하는 감지부; 및 상기 인식된 형상의 거리 및 해당 형상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3D컨텐츠의 깊이감을 자동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는 카메라,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및 레이저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의 출력을 근거로 이동 단말기와 사용자간 시청거리를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형상의 거리가 멀면 깊이감을 증가시키고 가까우면 감소시키며, 인식된 형상이 복수인 경우 가장 가까운 형상을 기준으로 3D컨텐츠의 깊이감을 조정한다. 특히 인식된 형상중에서 아기얼굴이 포함된 경우 제어부는 최우선적으로 아기를 기준으로 3D컨텐츠의 깊이감을 조절한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성별, 연령, 인종, 기분 및 두 눈사이의 거리에 따라 3D컨텐츠의 깊이감을 추가로 보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3D컨텐츠의 속성,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크기 및 주변환경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3D컨텐츠의 깊이감을 세밀하게 보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3D컨텐츠의 재생시간이 긴 경우에는 재생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깊이감 한계점을 점점 낮추고, 입체감이 많이 필요한 3D컨텐츠는 깊이감 한계점을 낮추며, 입체감이 별로 필요 없는 3D컨텐츠는 깊이감 한계점을 더욱 낮춘다.
상기 주변환경은 밤낮, 조명 및 위치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조명이 어둡거나 야간시간대에는 깊이감 한계점을 낮게 조정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등록한 형상의 거리 및 형상 분석결과에 따른 3D컨텐츠의 깊이감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때 상기 3D컨텐츠의 깊이감은 디폴트로 제공되거나 사용자가 깊이감 자동 제어 메뉴에서 설정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 깊이감 조절방법은, 시청 거리, 형상 인식결과, 화면크기, 컨텐츠 속성 및 주변환경에 따라 동적인 3차원(3D) 컨텐츠(영상)의 깊이감을 자동으로 조절(보정)함으로써 사용자의 3D피로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3D영상의 시청거리에 따라 실제로 보이는 3D영상의 크기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거리에 따라 깊이감을 조정하는 예.
도 6는 본 발명에 적용된 얼굴인식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깊이감 자동 제어메뉴에서 수치화된 깊이감 또는 계층화된 깊이감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서 이미지 바를 통하여 수동으로 깊이감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서 깊이감 한계점 및 연령에 따라 깊이감을 보정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a 및 도 10b에는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 변화에 따라 3D영상의 깊이감을 보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는 본 발명에서 3D컨텐츠의 종류 및 재생시간에 따라 3D컨텐츠의 깊이감을 보정하는 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12a 및 도 12b는 3D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깊이감을 조정하는 일 예.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3D컨텐츠의 깊이감 보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4a 및 14b는 도 13에서 시청거리에 따라 3D컨텐츠의 깊이감 한계점을 조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3), 알람부(154) 및 햅틱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또는 디스플레이 소자)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이하, 감지객체라 한다)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감지객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감지객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체영상은 3차원 입체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을 나타내며, 3차원 입체 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은 모니터나 스크린 상에서 사물이 위치한 점진적 깊이(depth)와 실체(reality)를 현실 공간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한 영상이다. 3차원 입체 영상은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양안시차란 약 65 밀리미터 떨어져 있는 두 눈의 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시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두 눈이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고 그 화상들이 망막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어 융합되면 입체 영상의 깊이 및 실제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가정용 텔레비전 수신기 등에 많이 이용되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에는 휘스톤 스테레오스코프 방식 등이 있다.
상기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의 예로서, 패럴렉스 배리어(parallex barrier) 방식,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 집적영상(integral imaging) 방식 등이 있다. 프로젝션 방식에는 반사형 홀로그래픽 방식, 투과형 홀로그래픽 방식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은 좌 영상(좌안용 영상)과 우 영상(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좌 영상과 우 영상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합쳐지는 방식에 따라,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상하로 배치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좌우로 배치하는 L-to-R(left-to-right, side by side)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조각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열 단위 또는 행 단위로 번갈아 배치하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 그리고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시간 별로 번갈아 표시하는 시분할(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방식 등으로 나뉜다.
또한, 3차원 썸네일 영상은 원본 영상 프레임의 좌 영상 및 우 영상으로부터 각각 좌 영상 썸네일 및 우 영상 썸네일을 생성하고, 이를 합쳐서 하나의 3차원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썸네일(thumbnail)은 축소된 화상 또는 축소된 정지영상을 의미한다. 이렇게 생성된 좌 영상 썸네일과 우 영상 썸네일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시차에 대응하는 깊이감(depth)만큼 화면 상에서 좌우 거리차를 두고 표시됨으로써 입체적인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입체 처리부(152a)에 의하여 3차원 입체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좌 영상과 우 영상이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 표시된다. 입체 처리부(152a)는 3D 영상을 입력받아 이로부터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추출하거나, 2D 영상을 입력받아 이를 좌 영상과 우 영상으로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입체 터치스크린'이라 함)나,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3차원 센서가 서로 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는 3차원의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3차원 센서의 예로서,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 입체 터치센싱부(142), 초음파 센싱부(143), 카메라 센싱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터치를 가하는 감지객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와 검출면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단말기는 이러한 거리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의 어느 부분이 터치되었는지를 인식하게 된다. 특히,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감지객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감지객체의 근접 정도를 검출하고, 이러한 근접 정도을 이용하여 3차원상의 터치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 스크린상에 가해지는 터치의 세기나 지속시간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를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고, 가압력이 강하면 이를 단말기의 내부를 향하여 터치 스크린과 보다 멀리 위치한 객체에 대한 터치로 인식한다.
초음파 센싱부(143)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객체의 위치정보를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초음파 센싱부(143)는, 예를 들어 광 센서(121)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 센서는 광을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광은 적외선이 될 수 있고, 광 센서는 적외선 포트(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가 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초음파 센서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이를 통하여 복수의 초음파 센서는 동일하거나 인접한 지점으로부터 발생한 초음파를 감지하는 시간차를 가지게 된다.
초음파 및 광은 파동 발생원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파동 발생원은 감지객체,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 등에 구비된다.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르기 때문에,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은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르다. 따라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파동 발생원에서 발생한 초음파가 복수의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은 차이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이 이동하면, 상기 도달하는 시간의 차이에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의 이동 경로에 따라 위치 정보가 산출가능하게 된다.
카메라 센싱부(144)는 카메라, 포토 센서,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객체의 터치를 감지한다.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2차원 영상에 레이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거리정보가 더해지면, 3차원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포토 센서가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객체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객체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객체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4)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3)은 알람부(154)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5)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5)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이동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3차원 입체영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과 입력창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출력창과 입력창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가 출력될 수 있다. 소프트키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에 표시된다. 조작 유닛이 조작되면 출력창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되거나 출력창에 표시된 텍스트가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스크린) 및 터치 패드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입체영상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다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메커니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200)는 바 형태의 휴대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201)에는 입체 디스플레이부(252), 감지부(240), 음향출력부(253), 카메라(221), 사용자 입력부(230/231,232), 마이크(222), 인터페이스(2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입체 디스플레이부(252)는 프론트 케이스(2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입체 디스플레이부(252)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253)와 카메라(2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231)와 마이크(2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232)와 인터페이스(270) 등은 프론트 케이스(201) 및 리어 케이스(2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휴대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231,2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231,2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231, 2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2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232)은 음향출력부(253)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입체 디스플레이부(252)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체 디스플레이부(252)는 감지부(240)와 함께 입체 터치 스크린을 형성하며, 입체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230)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감지부(240)는, 3차원 센서로서 터치를 가하는 감지객체의 3차원 위치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감지부(240)는 카메라(221)와 레이저 센서(24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이저 센서(244)는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며, 레이저를 주사하고, 반사되는 레이저를 검출하며, 이를 통하여 단말기 바디와 감지객체의 이격 거리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접 센서, 입체 터치센싱부, 초음파 센싱부 등의 형태도 가능하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202)에는 카메라(2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카메라(2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2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2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2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221,2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2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23)와 거울(2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223)는 카메라(2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224)은 사용자가 카메라(2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후면의 음향 출력부는 전면의 음향 출력부(253,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2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가 장착될 뿐만 아니라,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 블루투스(Bluetooth) 안테나, 위성신호 수신 안테나, 무선 인터넷의 데이터 수신 안테나 등이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바디에는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을 구현하는 메커니즘이 내장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3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수신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3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3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
3차원3(D) 입체 영상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이하 3D영상으로 약칭 함)은 모니터 또는 스크린 상에서 사물이 위치하는 깊이(depth)와 실제감(reality)을 현실 공간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한 영상이다. 3차원 입체 영상은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상기 양안시차란 서로 떨어져 있는 두 눈에 의해 형성되는 시차(視差)를 말한다. 따라서, 두 눈이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고 그 화상들이 망막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어 융합되면 사용자는 입체 영상의 깊이 및 실제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 3D영상은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및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디스플레이 방식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은 보통 가정용 텔레비전 수신기 등에 많이 이용되며 휘스톤 스테레오스코프 방식 등이 포함된다. 상기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은 이동 단말기 등에 많이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에는 패럴렉스 배리어(parallex barrier) 방식 및 렌티큘러 (lenticular) 방식을 포함한다. 또한, 프로젝션 방식에는 반사형 홀로그래픽 방식, 투과형 홀로그래픽 방식 등이 있다.
3D 영상의 생성 및 디스플레이
일반적으로 3D 영상은 좌 영상(좌안용 영상)과 우 영상(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좌 영상과 우 영상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합쳐지는 방식에 따라, 상기 좌 우 영상을 한 프레임내에서 상하로 배치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 좌우로 배치하는 L-to-R(left-to-right, side by side) 방식, 상기 좌우 영상의 조각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 좌우 영상을 열 단위 또는 행 단위로 번갈아 배치하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 그리고 좌우 영상을 시간 별로 번갈아 표시하는 시분할(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방식 등으로 나뉜다.
3D 영상의 깊이감(Depth)
3D영상에서 깊이감(depth)(또는 depth value)은 영상내의 사물들 간의 3차원 거리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를 의미한다. 상기 깊이감(depth)은 256 레벨(최대값이 255~최소값)로 정의되며 높은 값을 가질수록 시청자 또는 사용자와 가까운 곳을 나타낸다. 따라서, 3D 영상에서 깊이감을 조정한다는 의미는 3D영상이 원래의 크기로 표시되는 경우에는 원래의 깊이감으로 표시되고, 그 컨텐츠가 작은 이미지로 표시되는 경우에는 원래보다 낮은 깊이감으로 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깊이감(depth)이 256 레벨로 정의되어 최대값이 255, 최소값이 0인 경우, 3D 영상을 원래 크기대로 표시하는 경우에는 깊이감을 255로 조절하고, 원래 보다 작은 크기로 표시하는 경우에는 255보다 작은 값으로 조절한다.
또한, 동일한 이미지로 표시되는 경우 3D 영상에서 깊이감을 조정한다는 의미는 거리가 가까워지면 깊이감을 낮게 조정하고 멀어지면 깊이감을 높게 조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것은 거리가 가까워지면 3D영상이 크게 보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3차원(3D) 영상은 입체감 있는 영상이기 때문에 시청거리 및 시간 및 주변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느끼는 피로도가 다르다.
본 발명은 동적인 3차원(3D) 영상의 깊이감을 자동으로 조절(보정)하여 사용자의 3D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3D영상의 깊이감을 조절하는 정보로서, 시청 거리, 형상(또는 대상) 인식결과(사용자, 성별, 인종, 연령, 두 눈사이의 거리), 화면크기, 컨텐츠 속성(컨텐츠 종류, 재생시간), 재생 패턴(재생시간 또는 시간대) 및 주변상황(조명 및 장소)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서 이동 단말기와 형상(사용자의 얼굴)과의 거리는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센서를 통해 측정된다. 즉, 초음파 센서의 발광부에서 송출된 파가 사용자의 얼굴(형상)로부터 반사되는 시간에 따라 이동 단말기와 얼굴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적외센 선세의 발광부에서 송출된 빛이 반사되어 돌아오는 양 또는 각도를 측정하여 이동 단말기와 얼굴간의 거리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 3D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얼굴은 공지된 다양한 얼굴 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인식된다. 즉,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3D영상을 시청하려는/시청하는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특정 사용자), 그 인식된 사용자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 정보(연령, 성별 및 우선순위)를 3D영상의 깊이감 조절에 이용한다.
본 발명에서 디바이스 정보는 이동 단말기의 기종을 통해 판단하거나, 사용자의 설정정보 및 보기형태(가로보기 또는 세로보기)에 따라 판단하고,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3D영상)의 저장정보로부터 해당 컨텐츠의 종류(교육방송, 애니메이션, 액션영화 및 기타) 및 타입(높은 depth가 포함된 정보 또는 부분)을 판단한다. 또한, 하나의 3D영상에서 깊이감 분포가 미리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동 단말기의 주변상황은 조도센서에 의해 빛의 양을 측정하여 밤 또는 낮을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위치 또는 장소는 GPS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시청거리에 따라 실제로 보이는 3D영상의 크기 변화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3D영상(3D컨텐츠)을 시청할 때 눈이 화면으로부터 멀어지면 사용자는 3D영상의 크기가 마치 작아진 것처럼 느끼게 된다. 예를들어 A위치에서 3D영상을 보는 경우에는 크게 보이고 B위치로 이동하여 3D영상을 보는 경우에는 작게 보인다.
그런데, 소정의 깊이감이 설정된 소정의 3D영상(움직임이 입체로 발생하는 3D영상)을 시청할 경우 사용자는 동일한 깊이감이라 하더라도 시청거리에 따라 피로감을 다르게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센서를 통해 이동 단말기와 형상(사용자의 얼굴과의 거리 또는 거리변화)를 측정한 후 측정된 거리에 따라 3D영상의 한계점을 자동으로 변경한다. 특히 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는 형상(얼굴)의 크의 변화에 따라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3D영상을 시청하려는/시청하는 형상(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형상 및 해당 형상의 분석결과에 따라 기 설정된 형상 정보, 예를들면 사람인지 아닌지, 사람인 경우 특정 사용자별, 연령, 성별 및 우선순위)를 3D영상의 깊이감을 세밀하게 보정한다.
상기 세밀한 깊이감 조절에 사용되는 정보는 시청시간(또는 시간대), 디바이스 정보(화면크기), 컨텐츠 정보(재생시간, 컨텐츠 종류 또는 타입), 사용자 정보(인원, 연령, 성별 및 우선순위) 및 주변상황(조명 및 장소)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다양한 3D영상의 깊이감 조정 항목은 3D제어 메뉴를 통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깊이감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거리에 따라 깊이감을 조정하는 예이다.
본 발명에서 깊이감을 조정한다는 의미는 깊이감의 한계점을 조정한다는 의미이다. 상기 한계점은 제로를 기준으로 양의 깊이감 한계점(Positive depth throsuld) 및 음의 깊이감 한계점(Negative depth throsuld)으로 구성된다.
제어부(180)는 측정된 이동 단말기와 얼굴과의 거리(위치 A 또는 B)에 따라 3D영상을 한계점을 자동으로 변경한다.
이후 제어부(18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3D영상을 시청하려는/시청하는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상기 설정된 입체감 한계점내로 입체감의 정도를 실시간으로 자동으로 보정한다. 특히 얼굴인 인식결과 복수의 얼굴이 검출되는 경우 깊이감의 한계점은 거리가 가장 가까운 사용자를 기준으로 변경한다.
그리고 이동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여 깊이감의 한계점을 지나는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통보하여 임계값의 보정여부를 선택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얼굴인식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얼굴 인식기술은 카메라의 프리뷰 이미지 또는 촬영된 이미지에서 얼굴 부분을 감지하는 기술로서 현재는 상기 인식된 얼굴을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까지도 인식하는 기술을 포함한다.
상기 얼굴인식 기술을 통하여 사용자의 이름, 성별, 나이 및 해당 사용자에게 설정된 3D시청 정보(이력 포함)를 파악할 수 있다. 만약 인식된 얼굴인식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얼굴크기 및 윤곽을 근거로 성별 및 나이를 판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거리뿐만 아니라 얼굴인식 결과에 따라 깊이감의 한계점을변경하여 변동되는 입체감의 정도를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사용자, 성별, 나이(어른이냐 아이냐)에 따른 깊이감 한계점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저장된 한계점 정보는 디폴트로 제공되거나 사용자가 깊이감 자동 제어메뉴에서 소정 모드를 선택하거나 이미지 바를 직접 이동시켜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깊이감 자동 제어메뉴 기능을 "on"으로 설정한 경우 수치화된 깊이감(0~255) 또는 계층화된(1~7레벨 계층) 깊이감을 설정하는 예이다.
도 8a 및 도 8b는 이미지 바를 통하여 수동으로 깊이감을 설정하는 예이다.
도 8a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깊이감 자동 제어메뉴에 포함된 복수의 모드중에서 소정의 모드, 예를들면 "CHILD 또는 adult모드를 선택하면 테스트용 또는 재생하는 3D영상과 함께 이미지 바를 표시한다. 이때 자동제어 메뉴내에는 연령, 성별 및 시간에 관련된 다양한 모드가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는 직접 이미지 바를 조작하여 도 8b에 도시된 바와같이, 최대 양의 깊이감 한계점(최대 깊이감) 및 최대 음의 깊이감 한계점(최소 깊이감)을 설정한다. 상기 설정된 깊이감(또는 깊이감 한계점)은 메모리(160)에 저장된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3D컨텐츠 재생시 또는 재생 전후에 해당 3D컨텐츠를 시청하려는 사용자의 얼굴을 카메라를 통해 인식하여 인식결과에 따라 3D영상의 깊이감을 자동으로 보정한다. 즉, 제어부(180)는 사용자, 성별, 나이(어른이냐 아이냐)에 따라 기 저장된 깊이감 한계점을 자동으로 보정한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깊이감 조정항목(사용자, 성별, 나이, 인종, 형상, 사용자 수 및 기타)이 검출되면 우선순위에 따라 깊이감 한계점을 보정한다.
기본적으로 복수의 형상이 검출되면 얼굴형상을 우선으로 보정하고, 복수의 복수의 얼굴이 인식되는 경우는 등록된 사용자의 얼굴을 우선으로 보정하며, 그 중에서 깊이감 한계점이 낮은 사용자의 얼굴, 즉, 가까운 사용자의 깊이감 한계점을 우성적으로 보정한다.
그리고, 등록된 사용자의 얼굴이 복수개 검출될 경우에도 아기 얼굴(형상)이 검출될 경우에는 최우선적으로 깊이감 한계점을 보정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령별, 인종별 및 성별로 기준 깊이감 한계점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설정값에 따라 깊이감 한계점을 보정하며, 두 눈 사이의 거리값에 따라 깊이감 한계점을 보정한다. 이는 성인이라하더라도 두 눈사이의 거리가 다르며, 두 눈 사이의 거리차에 의해 3D영상에 대한 입체감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 눈 사이의 거리값에 따라 기준값을 다르게 설정하여 깊이감 한계점을 보정할 때 이용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얼굴인식을 통하여 사용자의 기분을 파악하여 3D영상에 대한 깊이감을 조정해 줄 수 있다. 일 예로 기분이 좋은 경우에는 깊이감을 더 주고, 기분이 안좋은 경우에는 깊이감을 적게 주는 식으로 깊이감을 조정하여,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3D영상의 깊이감을 적응적으로 보정한다.
도 9a 및 도 9b는 깊이감 한계점 및 연령에 따라 깊이감을 보정하는 일 예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같이 먼저 형상인식결과 3사람(Tom, Alice 및 Bin)이 인식 된 경우 제어부는 메모리(160)에 기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3사람의 정보를 검색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800는 3사람중에서 깊이감 한계점이 낮은(가장 가까운) Alice를 기준으로 깊이감을 보정한다.
그리고, 형상분석결과 등록된 2사람(Jane 및 Lopez)이 인식되었을 경우 제어부(180)는 깊이감을 아기인 Jane을 기준으로 보정한다(깊이감을 낮게 설정한다). 또한, 복수의 형상(얼굴 또는 객체)이 인식된 경우 특정 얼굴 또는 객체에 다른 얼굴과 다른 갚이감 기준값을 설정하여 별도로 깊이감을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3D영상을 시청하는 거리, 다양한 연령과 인종 및 성별에 따라 효과적으로 3D영상의 깊이감을 조정함으로써 3D피로감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3D영상(컨텐츠)의 깊이감은 주로 3D영상에서 보여지는 객체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보통 객체의 크기가 커지면 깊이감도 커지게 도니다. 상기 객체의 크기는 객체 자체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지만 해당 객체를 표시하는 표시화면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그리고, 상기 표시화면의 크기는 이동 단말기의 종류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화면 크기를 설정한 상태라 하더라도 보기전화(세로보기에서 가로보기로 전환)등에 의해서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3D영상 시청중에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가 변하는 경우에도 3D피로도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 변화에 따라 3D영상의 깊이감을 보정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부(180)는 작은 화면에서 큰 화면으로 변경되면 3D영상의 깊이감을 증가시키고, 도 10b에 도시된 바와같이 세로보기에서 가로보기로 변경된 경우에도 3D영상의 깊이감을 증가시킨다. 반대의 경우 제어부(180)는 각각 3D영상의 깊이감을 감소시킨다. 이 경우에도 관심있는 특정 객체 또는 얼굴에 대하여 깊이감의 기준값을 설정하여 다른 객체 또는 얼굴과 다른 깊이감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앞에서는 주로 이동 단말기와 3D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간의 다양한 용소에 기초하여 3D컨텐츠의 깊이감을 설정 및 보정하는 내용을 기술하였다. 하지만, 3D컨텐츠의 깊이감은 3D컨텐츠의 속성 및 주변환경 그리고 사용자의 시청 패턴에 따라 보정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80)는 3D컨텐츠의 속성(재생시간, 컨텐츠의 종류), 주변환경(장소, 낮과 밤) 및 시청패턴(실제 시청시간 및 시청시간대에 따라 적응적으로 ) 3D컨텐츠의 깊이감을 보정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3D컨텐츠의 종류 및 재생시간에 따라 3D컨텐츠의 깊이감을 보정하는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3D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깊이감을 조정하는 일 예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부(180)는 3D컨텐츠의 속성(컨텐츠의 종류 및 재생시간)을 확인한다(S10, S11). 확인결과 3D컨텐츠가 도 12a와 같이 액션영화와 같이 입체감이 많은 영상이면, 눈의 피로도를 줄이기 위하여 깊이감 한계점을 낮추어 주고(S12), 도 12b처럼 3D컨텐츠가 교육방송과 같이 입체감이 필요없는 영상인경우에는 깊이감 한계점을 더 낮게 조정한다(S13).
일단 3D컨텐츠의 속성에 대한 깊이감 조정이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해당 3D컨텐츠의 재생시간을 체크한다(S14). 체크결과 재생시간이 긴 경우 제어부(180)는 후반부로 갈수로 깊이감 한계점을 점점 낮추어주고(S15), 재생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기설정된 깊이감 한계점을 유지한다(S16).
그리고, 제어부(180)는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주변환경에 따라 주위가 어두우면 깊이감 한계점을 낮게 보정하고, 밝으면 높게 보정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80)는 GPS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특정 장소에 대하여 특정 깊이감 한계점을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실제 시청시간 및 시청시간대에 따라서, 주간에는 깊이감 높게 보정하고, 야간에는 낮게 보정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3D컨텐츠의 깊이감 보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선택한 3D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20).
상기 3D컨텐츠가 표시되면 제어부(180)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및 레이저 센서를 통하여 시청할 사용자와의 시청거리를 측정하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얼굴인식을 수행한다(S21). 이 경우 카메라를 통해 얼굴크기의 변화를 이용하여 시청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측정된 시청거리 및 얼굴인식 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깊이감 한계점을 적용함으로써 3D컨텐츠의 깊이감 한계점을 조정한다.
이 경우 도 14a 및 14b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청거리에 근거하여 깊이감 한계점을 설정한 후 얼굴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설정된 깊이감 한계점을 보정할 수 있다. 즉, 시청거리가 가까워지면 제어부(180)는 도 14a에 표시된 3D컨텐츠의 깊이감 한계점을 도 14b에 도시된 바와같이, 깊이감 한계점(Negative depth threshold, Positive depth threshold)을 낮게 설정한다. 반대로 제어부(180)는 얼굴인식결과에 따라 설정한 후 시청거리에 따라 보정할 수도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3D컨텐츠의 속성, 주변환경 및 시청패턴을 체크하여, 상기 보정된 3D컨텐츠의 깊이감 한계점을 추가로 보정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시청 거리, 얼굴인식결과(사용자, 성별, 인종, 연령, 두 눈사이의 거리), 화면크기, 컨텐츠 속성(컨텐츠 종류, 재생시간), 재생 패턴(재생시간 또는 시간대) 및 주변상황(조명 및 장소)에 따라 3D영상의 깊이감을 조절하는 자동으로 조절(보정)함으로써 사용자의 3D피로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D영상 및 3D깊이감 한계점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3D영상과 깊이감 한계점은 3D컨텐츠 및 3D깊이감과 각각 동일한 의미로 사용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시청거리에 따라 3D컨텐츠의 깊이감을 조정하는 예를 먼저 설명하였지만, 상기 3D컨텐츠의 깊이감은 시청 거리, 시간(또는 시간대), 디바이스 정보(화면크기), 컨텐츠 속성(재생시간, 컨텐츠 종류 또는 타입), 사용자 정보(인원, 연령, 성별 및 시청시간) 및 주변상황에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조정되며, 적용여부는 깊이감 자동제어메뉴에서의 설정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그리고 상술한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무선통신부 111 : 방송수신모듈
112 : 이동통신모듈 113 ; 무선인터넷모듈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80 : 제어부

Claims (26)

  1. 3차원 입체(3D)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3D컨텐츠의 표시각 전방에 위치하는 형상을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형상의 거리 및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3D컨텐츠의 깊이감을 자동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깊이감 조절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은
    얼굴 및 객체를 포함하며, 상기 3D컨텐츠는 기 설정된 깊이감 한계점 내로 실시간으로 보정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이동 단말기의 깊이감 조절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의 거리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를 통해 측정되며, 상기 3차원 입체(3D) 컨텐츠의 표시 이전 또는 이후에 측정하는 이동 단말기의 깊이감 조절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감은
    형상의 거리가 멀면 증가되고 가까우면 자동으로 감소되는 이동 단말기의 깊이감 조절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형상이 복수인 경우에는 가장 가까운 형상을 기준으로 3D컨텐츠의 깊이감이 조절되는 이동 단말기의 깊이감 조절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형상이 얼굴에는 가장 어린 사용자를 기준으로 3D컨텐츠의 깊이감을 조절하는 이동 단말기의 깊이감 조절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결과는
    특정 사용자, 성별, 연령, 인종, 기분 및 두 눈사이의 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이동 단말기의 깊이감 조절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감은
    형상 분석결과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추가적으로 보정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이동 단말기의 깊이감 조절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컨텐츠의 깊이감을 3D컨텐츠의 속성, 디스플레이 화면 크기 및 주변환경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세밀하게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깊이감 조절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3D컨텐츠의 재생시간이 긴 경우에는 재생시간의 경과에 따라 깊이감 한계점을 점점 낮추는 이동 단말기의 깊이감 조절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감이 많이 필요한 3D컨텐츠는 깊이감 한계점을 낮추고, 입체감이 별로 필요 없는 3D컨텐츠는 깊이감 한계점을 더욱 낮추는 이동 단말기의 깊이감 조절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환경은
    밤낮, 조명 및 위치를 포함하며, 조명이 어둡거나 야간시간대에는 깊이감 한계점을 낮게 조정하는 이동 단말기의 깊이감 조절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의 거리 및 형상 분석결과에 따른 3D컨텐츠의 깊이감을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깊이감 조절방법.
  14. 3차원 입체(3D) 컨텐츠를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
    3D컨텐츠의 표시각 전방에 위치하는 형상을 인식하는 감지부; 및
    인식된 형상의 거리 및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3D컨텐츠의 깊이감을 자동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은
    얼굴 및 객체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카메라,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및 레이저 센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및 레이저 센서의 출력을 근거로 이동 단말기와 형상간의 시청거리를 측정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형상의 거리가 멀면 깊이감을 증가시키고 가까우면 감소시키는 이동 단말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형상이 인식된 경우에는 가장 가까운 형상을 기준으로 3D컨텐츠의 깊이감을 조정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식된 형상이 얼굴인 경우에는 가장 어린 사용자를 기준으로 3D컨텐츠의 깊이감을 조절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성별, 연령, 인종, 기분 및 두 눈사이의 거리에 따라 3D컨텐츠의 깊이감을 추가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이동 단말기.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3D컨텐츠의 속성,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크기 및 주변환경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3D컨텐츠의 깊이감을 세밀하게 보정하는 이동 단말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3D컨텐츠의 재생시간이 긴 경우에는 재생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깊이감 한계점을 점점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체감이 많이 필요한 3D컨텐츠는 깊이감 한계점을 낮추고, 입체감이 별로 필요 없는 3D컨텐츠는 깊이감 한계점을 더욱 낮추는 이동 단말기.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환경은
    밤낮, 조명 및 위치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조명이 어둡거나 야간시간대에는 깊이감 한계점을 낮게 조정하는 이동 단말기.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형상의 거리 및 형상 인식결과에 따른 3D컨텐츠의 깊이감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3D컨텐츠의 깊이감은 디폴트로 제공되거나 사용자가 깊이감 자동 제어 메뉴에서 설정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10032914A 2011-04-08 2011-04-08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 깊이감 조절방법 KR101824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914A KR101824005B1 (ko) 2011-04-08 2011-04-08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 깊이감 조절방법
EP11189772A EP2509323A3 (en) 2011-04-08 2011-11-18 Mobile terminal and image depth control method thereof
US13/313,166 US20120257795A1 (en) 2011-04-08 2011-12-07 Mobile terminal and image depth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914A KR101824005B1 (ko) 2011-04-08 2011-04-08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 깊이감 조절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014A true KR20120115014A (ko) 2012-10-17
KR101824005B1 KR101824005B1 (ko) 2018-01-31

Family

ID=45349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914A KR101824005B1 (ko) 2011-04-08 2011-04-08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 깊이감 조절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257795A1 (ko)
EP (1) EP2509323A3 (ko)
KR (1) KR1018240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0804A (ko) * 2012-10-22 2014-04-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14137053A1 (ko) * 2013-03-05 2014-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508071B1 (ko) * 2013-12-24 2015-04-07 박매호 모바일 게임 기반의 어린이 시력보호를 위한 영상제어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게임 기반의 영상 제어 시스템
US10742968B2 (en) 2014-12-01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recognizing pupillary distance for 3D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98834B2 (en) 2006-12-01 2019-05-21 Google Llc Video refocusing
JP5050094B2 (ja) * 2010-12-21 2012-10-17 株式会社東芝 映像処理装置及び映像処理方法
JP2013182209A (ja) * 2012-03-02 2013-09-12 Toshiba Corp 立体画像表示装置、立体画像表示方法、および制御装置
US9807362B2 (en) * 2012-03-30 2017-10-31 Intel Corporation Intelligent depth control
WO2013143113A1 (en) * 2012-03-30 2013-10-03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media quality control
US9934614B2 (en) 2012-05-31 2018-04-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ixed size augmented reality objects
US9858649B2 (en) 2015-09-30 2018-01-02 Lytro, Inc. Depth-based image blurring
US9081994B2 (en) 2012-10-05 2015-07-14 Hand Held Products, Inc. Portable RFID reading terminal with visual indication of scan trace
US8997021B2 (en) * 2012-11-06 2015-03-31 Lytro, Inc. Parallax and/or three-dimensional effects for thumbnail image displays
TWI528785B (zh) * 2013-02-08 2016-04-0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立體影像的調整裝置及其方法
US9483111B2 (en) 2013-03-14 2016-11-01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improve viewing comfort for three-dimensional content
US10334151B2 (en) 2013-04-22 2019-06-25 Google Llc Phase detection autofocus using subaperture images
US10509533B2 (en) * 2013-05-14 2019-12-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of generating augmented reality (AR) objects
US9594461B1 (en) * 2013-06-06 2017-03-14 Isaac S. Daniel Apparatus and method of hosting or accepting hologram images and transferring the same through a holographic or 3-D camera projecting in the air from a flat surface
US9594939B2 (en) 2013-09-09 2017-03-14 Hand Held Products, Inc. Initial point establishment using an image of a portion of an object
CN104519331B (zh) * 2013-09-27 2019-02-0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2106135B1 (ko) * 2013-10-01 2020-05-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행동 인식 기반의 응용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N105306918B (zh) * 2014-07-31 2018-02-09 优视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立体显示的处理方法及装置
KR102364084B1 (ko) 2014-10-21 2022-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TW201617786A (zh) * 2014-11-06 2016-05-16 富智康(香港)有限公司 自動控制電子裝置使用時間的系統及方法
US20160139662A1 (en) * 2014-11-14 2016-05-19 Sachin Dabhade Controlling a visual device based on a proximity between a user and the visual device
CN104539924A (zh) * 2014-12-03 2015-04-22 深圳市亿思达科技集团有限公司 基于人眼追踪的全息显示方法及全息显示装置
US10469873B2 (en) 2015-04-15 2019-11-05 Google Llc Encoding and decoding virtual reality video
US10546424B2 (en) 2015-04-15 2020-01-28 Google Llc Layered content delivery for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US10565734B2 (en) 2015-04-15 2020-02-18 Google Llc Video capture, processing, calibration, computational fiber artifact removal, and light-field pipeline
US10419737B2 (en) 2015-04-15 2019-09-17 Google Llc Data structures and delivery methods for expediting virtual reality playback
US10567464B2 (en) 2015-04-15 2020-02-18 Google Llc Video compression with adaptive view-dependent lighting removal
US10341632B2 (en) 2015-04-15 2019-07-02 Google Llc. Spatial random access enabled video system with a three-dimensional viewing volume
US11328446B2 (en) 2015-04-15 2022-05-10 Google Llc Combining light-field data with active depth data for depth map generation
US10444931B2 (en) 2017-05-09 2019-10-15 Google Llc Vantage generation and interactive playback
US10412373B2 (en) 2015-04-15 2019-09-10 Google Llc Image capture for virtual reality displays
US10275898B1 (en) 2015-04-15 2019-04-30 Google Llc Wedge-based light-field video capture
US10540818B2 (en) 2015-04-15 2020-01-21 Google Llc Stereo image generation and interactive playback
US10440407B2 (en) 2017-05-09 2019-10-08 Google Llc Adaptive control for immersive experience delivery
US9979909B2 (en) 2015-07-24 2018-05-22 Lytro, Inc. Automatic lens flare detection and correction for light-field images
US9934605B2 (en) * 2016-02-24 2018-04-03 Disney Enterprises, Inc. Depth buffering for subsequent scene rendering
US10275892B2 (en) 2016-06-09 2019-04-30 Google Llc Multi-view scene segmentation and propagation
US10679361B2 (en) 2016-12-05 2020-06-09 Google Llc Multi-view rotoscope contour propagation
US10594945B2 (en) 2017-04-03 2020-03-17 Google Llc Generating dolly zoom effect using light field image data
US10474227B2 (en) 2017-05-09 2019-11-12 Google Llc Generation of virtual reality with 6 degrees of freedom from limited viewer data
US10354399B2 (en) 2017-05-25 2019-07-16 Google Llc Multi-view back-projection to a light-field
US10545215B2 (en) 2017-09-13 2020-01-28 Google Llc 4D camera tracking and optical stabilization
US10965862B2 (en) 2018-01-18 2021-03-30 Google Llc Multi-camera navigation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17680A1 (en) * 2001-08-15 2003-02-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3d video conferencing system
WO2004084560A1 (ja) * 2003-03-20 2004-09-30 Seijiro Tomita 立体映像撮影表示システム
JP4148811B2 (ja) * 2003-03-24 2008-09-10 三洋電機株式会社 立体画像表示装置
US8094927B2 (en) * 2004-02-27 2012-01-10 Eastman Kodak Company Stereoscopic display system with flexible rendering of disparity map according to the stereoscopic fusing capability of the observer
US8510462B2 (en) * 2009-03-31 2013-08-13 Canon Kabushiki Kaisha Network streaming of a video media from a media server to a media client
JP2011064894A (ja) * 2009-09-16 2011-03-31 Fujifilm Corp 立体画像表示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0804A (ko) * 2012-10-22 2014-04-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14137053A1 (ko) * 2013-03-05 2014-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508071B1 (ko) * 2013-12-24 2015-04-07 박매호 모바일 게임 기반의 어린이 시력보호를 위한 영상제어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게임 기반의 영상 제어 시스템
US10742968B2 (en) 2014-12-01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recognizing pupillary distance for 3D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09323A2 (en) 2012-10-10
US20120257795A1 (en) 2012-10-11
EP2509323A3 (en) 2013-01-23
KR101824005B1 (ko)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00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 깊이감 조절방법
KR10147446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8970629B2 (en) Mobile terminal and 3D object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8074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6310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4012872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0901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4011315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26338A (ko) 이동 단말기
KR2012011629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15003205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50008733A (ko) 안경형 휴대기기 및 그의 정보 투사면 탐색방법
KR201401106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10031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6127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3d영상 제어방법
KR10196852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8889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오디오 줌잉 공유방법
KR2015003008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80716A (ko)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85039A (ko)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0948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97708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40051804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0293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4010256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