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102B1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102B1
KR102063102B1 KR1020130098043A KR20130098043A KR102063102B1 KR 102063102 B1 KR102063102 B1 KR 102063102B1 KR 1020130098043 A KR1020130098043 A KR 1020130098043A KR 20130098043 A KR20130098043 A KR 20130098043A KR 102063102 B1 KR102063102 B1 KR 102063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
mobile terminal
light sourc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8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0917A (ko
Inventor
임다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8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102B1/ko
Priority to US14/295,079 priority patent/US9538059B2/en
Priority to EP14175122.2A priority patent/EP2840776A1/en
Priority to CN201410352525.1A priority patent/CN104427046B/zh
Publication of KR20150020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4Warning ind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5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에 포착된 영상을 보정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카메라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하여 포착되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영상에 대한 보정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제2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 및 2 카메라에 유입되는 광량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을 보정하며, 보정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에 포착된 영상을 보정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카메라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에 포착된 피사체를 동영상(moving image) 및 정지영상(still image)으로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거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촬영된 영상 화면을 외부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는 줌(Zoom)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영상 촬영 시 촬영되는 영상을 확대 및 축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는 카메라는 촬상소자로서 CCD(Charge 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을 사용하며, 촬영 영상에 대한 광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AE(Auto Exposure)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AE 기능에 의하면, 촬영 화면 중에서 일 영역에 대한 휘도 값의 평균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균이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에 따라 카메라의 조리개 및 셔터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에 의하여 촬영 영상에 대한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피사체에 반사되는 광원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가 의도한 영상과는 다른 영상이 촬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광에서 얼굴이 어둡게 포착되거나, 순광에서 피사체의 윤곽이 구분되지 않을 정도로 밝게 포착될 수 있다.
이러한 광원의 변화에도 일정한 촬영 결과물을 만들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광원의 특성에 따라 카메라에 포착되는 영상을 보정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카메라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하여 포착되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영상에 대한 보정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제2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 및 2 카메라에 유입되는 광량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을 보정하며, 보정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에 유입되는 광량을 이용하여 광원의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상기 영상의 영상 잡음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이 상기 제1 카메라에 대한 순광인 경우, 상기 영상에서 상기 본체에 의하여 형성되는 그림자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이 상기 제1 카메라에 대한 역광인 경우, 상기 영상에서 사람의 얼굴이 포함된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영역이 소정의 밝기를 가지도록 상기 영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변경하고, 상기 영상은, 상기 변경된 촬영 모드에 의하여 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는, ISO 감도, 화이트밸런스, 플래시, 셔터 속도, 조리개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설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광원의 위치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산출된 광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을 변경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에 의해 포착되는 제1 및 제2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보정 모드가 실행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및 2 카메라에 유입되는 광량을 이용하여 보정하고, 보정된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의 평균 휘도 값들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휘도 값들의 차가 제한 기준을 만족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 카메라인 경우, 상기 제1 카메라가 활성화됨과 동시에 보정 모드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카메라에 포착되는 이미지의 패턴을 이용하여 촬영 장소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촬영 장소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에 유입되는 광량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의 장면 모드는 상기 분석된 촬영 장소에 따라 실내 모드 또는 실외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카메라에 포착되는 이미지의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광원의 종류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카메라의 화이트 밸런스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제1 카메라에 의하여 포착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 대한 보정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제1 카메라와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제2 카메라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에 유입되는 광량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을 보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보정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보정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에 유입되는 광량을 이용하여 광원의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에서 상기 광원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영상 잡음이 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보정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서 사람의 얼굴이 포함된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검출된 영역이 소정의 밝기를 가지도록 상기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산출된 위치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산출된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을 변경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보정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촬영 모드는, ISO 감도, 화이트밸런스, 플래시, 셔터 속도, 조리개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설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제1 및 제2 카메라에 유입된 광량을 이용하여 제1 카메라에 포착된 영상을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광원의 특성을 더욱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으며, 광원의 다양한 변화에도 일정한 촬영 결과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광원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영상 잡음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최적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자동으로 보정된 영상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
도 3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어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어방법에서 광원의 위치에 따라 영상을 보정하는 방법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8a, 도 8b, 도 9a 및 도 9b는 도 7에서 살펴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영상의 보정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보정 전 영상과 보정 후 영상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1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을 변경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제어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듀얼 카메라가 작동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은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화상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면서 통화하는 상태를 지칭하고, 음성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지 않으면서 통화를 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112)은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21)에서 획득되는 화상 프레임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등이 산출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또는 센싱부, 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 신호 (또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감지부(140)는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3), 알람부(154) 및 햅틱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body)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체영상은 3차원 입체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을 나타내며, 3차원 입체 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은 모니터나 스크린 상에서 사물이 위치한 점진적 깊이(depth)와 실체(reality)를 현실 공간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한 영상이다. 3차원 입체 영상은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양안시차란 떨어져 있는 두 눈의 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시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두 눈이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고 그 화상들이 망막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어 융합되면 입체 영상의 깊이 및 실제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가정용 텔레비전 수신기 등에 많이 이용되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에는 휘스톤 스테레오스코프 방식 등이 있다.
상기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의 예로서, 패럴렉스 배리어(parallex barrier) 방식,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 집적영상(integral imaging) 방식, 스위츠블 렌즈(switchable lens) 등이 있다. 프로젝션 방식에는 반사형 홀로그래픽 방식, 투과형 홀로그래픽 방식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은 좌 영상(좌안용 영상)과 우 영상(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좌 영상과 우 영상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합쳐지는 방식에 따라,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상하로 배치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좌우로 배치하는 L-to-R(left-to-right, side by side)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조각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열 단위 또는 행 단위로 번갈아 배치하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 그리고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시간 별로 번갈아 표시하는 시분할(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방식 등으로 나뉜다.
또한, 3차원 썸네일 영상은 원본 영상 프레임의 좌 영상 및 우 영상으로부터 각각 좌 영상 썸네일 및 우 영상 썸네일을 생성하고, 이를 합쳐서 하나의 3차원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썸네일(thumbnail)은 축소된 화상 또는 축소된 정지영상을 의미한다. 이렇게 생성된 좌 영상 썸네일과 우 영상 썸네일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시차에 대응하는 깊이감(depth)만큼 화면 상에서 좌우 거리차를 두고 표시됨으로써 입체적인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다.
3차원 입체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좌 영상과 우 영상은 입체 처리부(미도시)에 의하여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 표시될 수 있다. 입체 처리부는 3D 영상을 입력받아 이로부터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추출하거나, 2D 영상을 입력받아 이를 좌 영상과 우 영상으로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상기 센싱부(140)의 일 예로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이하, 포인터라 함)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입체 터치스크린'이라 함)나,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3차원 센서가 서로 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는 3차원의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3차원 센서의 예로서,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 입체 터치센싱부(142), 초음파 센싱부(143), 카메라 센싱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터치를 가하는 감지대상(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와 검출면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단말기는 이러한 거리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의 어느 부분이 터치되었는지를 인식하게 된다. 특히,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감지대상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감지대상의 근접 정도를 검출하고, 이러한 근접 정도를 이용하여 3차원상의 터치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 스크린상에 가해지는 터치의 세기나 지속시간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를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고, 가압력이 강하면 이를 단말기의 내부를 향하여 터치 스크린과 보다 멀리 위치한 객체에 대한 터치로 인식한다.
초음파 센싱부(143)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초음파 센싱부(143)는, 예를 들어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 센서는 광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르기 때문에,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은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르다. 따라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 센싱부(144)는 카메라(121), 포토 센서,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한다.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2차원 영상에 레이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거리정보가 더해지면, 3차원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포토 센서가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가속도 센서(145)는 단말기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는 본체의 공간 움직임을 x축, y축 및 z축을 기준으로 감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속도 센서(145)는 단말기 본체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뿐만 아니라, 이동 속도, 각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4)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 모듈(153)은 알람부(154)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5)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택 모듈(155)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5)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감지되는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 상태에서 표시되는 잠금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실시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먼저, 도 2a를 살펴보면,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0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 및 BSCs(275)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와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2a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BS(27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은 각각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가질 수 있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는,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를 합하여 “기지국”이라고 칭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 수신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2a에서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의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300)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2a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도 2a에 도시된 위성(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가 추적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s(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로 송신하고, MSC(280)는,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와 연결되고, MSC(280)는 BSCs(275)와 연결되고, BSCs(275)는 이동 단말기(100)로 순 링크 신호가 전송되도록 BS(27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에서는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Wireless Fidelity)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 Positioning System, 300)은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WiFi모듈 및 상기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 320)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로서, WiFi를 이용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기반의 위치 측위 기술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300)은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 이동 단말기(100),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30), 임의의 무선 AP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또는 신호)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로 전송되거나, 무선 AP(320)에서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에 근거하여, 추출되는 무선 AP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RSSI,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신호세기(Signal Strength) 및 노이즈 세기(Noise Strength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위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330)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수신된 무선 AP(320)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한다.
한편, 도 2b에서는 일 예로서,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되어 있는 무선 AP를 제1, 제2 및 제3 무선 AP(320)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되는 무선 AP의 수는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무선 통신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추척 시스템(300)은 이동 단말기(100)가 적어도 하나의 무선 AP와 접속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임의의 무선 AP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33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330)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임의의 무선 AP들의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300)에 저장되는 임의의 무선 AP들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RSSI,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무선 AP의 위경도 좌표, 무선 AP가 위치한 건물명, 층수, 실내 상세 위치정보(GPS 좌표 이용가능), AP소유자의 주소, 전화번호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330)에는 임의의 무선 AP정보 및 상기 임의의 무선 AP에 대응되는 위치정보가 함께 저장되어 있으므로,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이동 단말기(100)에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와 대응되는 무선 AP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무선 AP정보에 매칭된 위치정보 추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추출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는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도 1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된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살펴본다.
도 3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안경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배터리(191)를 덮는 배터리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음향출력모듈(153a), 제1카메라(121a), 제1조작유닛(131) 등이 배치되며, 측면에는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 제2조작유닛(132)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게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어느 한 곳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감지수단은 이를 감지하고 그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내용이 입력되게 구성될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터치감지수단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되며, 밝은 곳에서 터치스크린의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한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a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전면(front surface)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음향출력모듈(153a)과 제1카메라(121a)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조작유닛(131)과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제2조작유닛(132, 도 3b 참조), 인터페이스부(170) 등은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모듈(153a)은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 또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모듈(153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홀이 윈도우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카메라(121a)는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조작유닛(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조작유닛(131, 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으며, 터치, 푸쉬,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31)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을 기준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31)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조작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조작유닛(131)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고, 제2조작유닛(132)은 제1음향출력모듈(153a)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형성된다. 마이크(122)는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제2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 도 3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카메라(121a, 121b)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시(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시(123)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제2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음향출력모듈(153b)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모듈(153b)은 제1음향출력모듈(153a, 도 3a 참조)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 도 1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배터리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1 및 제2 카메라를 구비하고, 제1 카메라에서 포착된 영상에 대한 보정 모드가 실행되면, 제2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카메라에서 포착된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제1 카메라에서 포착된 영상을 제2 카메라에서 포착된 영상을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카메라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단말기 주변에 위치한 광원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의 특성에 따라 적합하게 보정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광원의 특성을 파악하고, 상기 광원의 특성에 따라 카메라에 포착되는 영상을 보정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제1 및 제2 카메라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하여 포착되는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410). 본 발명에 있어 제1 및 제2와 같은 서수적 표현은 카메라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특정 카메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동 단말기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카메라가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라도, 광원의 특성에 따라 다른 영상이 포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의 위치가 제1 카메라에 대한 역광인 경우, 피사체가 어둡게 포착될 수 있고, 순광인 경우, 피사체의 윤곽이 구분되지 않을 정도로 밝게 포착될 수 있다. 즉, 광원의 특성에 따라 영상이 달라질 수 있다.
여기에서, 광원의 특성은 광원의 위치, 종류, 밝기, 색온도 및 개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며, 상기 광원의 특성은, 촬영 장소 및 촬영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광원의 특성에 따라 제1 카메라에 포착되는 영상이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정 모드가 실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20)가 진행된다. 보정 모드는 제1 카메라에 의해 포착된 영상을 광원의 특성에 따라 보정하기 위한 모드를 의미하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80, 도 1 참조)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 모드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보정 모드의 실행을 위한 키(key)를 구비하거나,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보정 모드를 실행하도록 형성되는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키(key) 또는 상기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보정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도 보정 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된 면을 전면이라고 할 때, 전면에 배치된 카메라에 포착된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자동으로 보정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후면 카메라와 달리 전면 카메라에 의한 영상이 촬영되는 경우, 셀프 인물 촬영에 해당하고, 인물 촬영은 빛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카메라가 모두 활성화되어 디스플레이부(151)에 제1 및 제2 카메라에 포착된 제1 및 제2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에도, 제어부(180)는 자동으로 보정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이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제1 및 제2 영상의 밝기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보정 모드의 실행에 따라 제2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제1 및 제2 카메라에 유입되는 광량을 이용하여 제1 카메라에 포착되는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430).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 탭은 보정 모드의 실행 이전에 활성화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카메라는 본체에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제1 카메라(121a) 및 제2 카메라(121b)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체에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카메라들이 배치되는 경우, 보정 모드의 실행에 따라 비활성화되어 있던 다른 카메라들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될 수 있다. 활성화되는 카메라가 많아질수록 광원의 특성을 더욱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을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설명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 카메라에 유입된 광량을 이용하여, 광원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에 유입된 광량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광량을 비교함으로써 광원의 특성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및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광원의 특성 중에서 광원의 위치(500 또는 500')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광원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광원의 특성은, 광원이 본체의 전면 방향, 후면 방향 및 측면 방향 중 어느 방향에 위치하는지와 관련된 광원의 위치, 광원의 색온도, 상기 색온도에 근거한 광원의 종류, 광원의 밝기 및 광원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광원의 특성에 따라 제1 카메라에 포착된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의 위치가 제1 카메라에 대한 역광인 경우, 피사체가 일정 수준 이상의 밝기를 가지도록 보정하고, 제1 카메라에 대한 순광인 경우, 피사체 주변에 형성된 그림자가 제거되도록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원의 특성에 근거하여 하드웨어적 방법 및 소프트웨어적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하드웨어적 방법은 제1 카메라의 촬영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의 셔터 속도, 조리개, ISO 감도, 화이트밸런스 등과 관련된 설정을 변경하거나, 촬영에 이용되는 플래시와 관련된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제1 카메라에 의해 포착되는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 방법은 제1 카메라에서 포착된 영상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방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광원의 특성에 따라 얼룩으로 판단되는 일부 영역을 탐색하고, 얼룩을 제거하도록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일부 영역을 보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영상 중에서 목적 피사체에 해당하는 일부 영역을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일부 영역이 소정의 밝기를 가지도록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제1 및 제2 카메라에 유입되는 광량을 이용하여 광원의 특성을 파악하고, 상기 광원의 특성에 따라 제1 카메라에 포착된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보정 전 영상 및 보정 후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광원의 특성에 따라 제1 카메라와 관련된 설정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되는 설정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제1 및 제2 카메라에 유입되는 광량에 근거하여 광원의 특성을 파악히고, 상기 광원의 특성에 따라 제1 카메라에 의해 포착되는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카메라를 이용하기 때문에, 광원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광원의 변화에도 일정한 촬영 결과물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정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와 영상을 보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도 4에 도시된 제어방법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어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화상 통화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카메라(121a), 제2 카메라(미도시) 및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화상 통화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영상(600), 제1 카메라(121a)에 포착된 전면 영상(610) 및 제2 카메라에 포착된 후면 영상(620)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광원(640)의 특성에 따라 전면 영상(610) 및 후면 영상(620)에 밝기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640)이 본체의 전면에 쪽에 위치하는 경우, 전면 영상(610)의 밝기가 후면 영상(620)의 밝기보다 밝을 수 있다.
이때, 보정 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보정 모드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실행되거나,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통화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가 보정 모드가 자동으로 실행되는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보정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및 제2 카메라에 유입된 광량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 중인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및 제2 카메라에 의해 포착된 제1 및 제2 영상 각각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평균 휘도 값들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휘도 값들의 차가 제한 기준을 만족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일부 영역은 영상 중에 사람의 얼굴이 포함된 영역이거나, 평균 휘도 값을 산출하도록 설정된 특정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광원의 위치에 의하여 전면 영상(610)보다 어둡게 포착된 후면 영상(620)을 좀 더 밝게 보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보정을 위하여, 제어부(180)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하드웨적 방법 및 소프트웨어적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후면 영상의 보정 전 영상 대신에 보정 후 영상이 출력되거나, 보정 전 영상 및 보정 후 영상이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보정 전 영상 및 보정 후 영상이 동시에 출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화상 통화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면 영상과 후면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제1 및 제2 카메라에 유입된 광량에 근거하여 보정한 영상을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보정된 영상이 피아가 식별되지 않을 정도로 밝거나 어두운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영상 대신에 대체 화면을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에 포착된 제1 영상이 광원에 의하여 기준 밝기를 넘어서는 경우, 소정의 대체 화면을 상기 제1 영상 대신에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소정의 대체 화면은, 제2 카메라에 포착된 제2 영상이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이미지 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제1 및 제2 카메라에 유입되는 광량에 근거하여 보정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영상의 얼룩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광 또는 역광에 따라 영상에 발생하는 영상 잡음(image noise)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광원의 위치에 따라 영상을 보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어방법에서 광원의 위치에 따라 영상을 보정하는 방법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8a, 도 8b, 도 9a 및 도 9b는 도 7에서 살펴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 도 8a, 도 8b,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제1 카메라(121a) 및 제2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에서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는, 제1 및 제2 카메라에 유입된 광량을 이용하여 광량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S7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의 위치는 본체를 제1 카메라를 기준으로 정면 방향, 후면 방향 및 측면 방향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제1 카메라에 포착된 영상은 광원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영상 잡음을 포함하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카메라에 포착된 영상을 이용하여 광원의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광원의 위치와 관련된 영상 잡음을 검출할 수 있다.
즉, 광원이 제1 카메라에 대한 역광인지 여부(S720) 및 순광인지 여부(S750)에 따라 다른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도 8a를 참조하면, 광원의 위치가 제1 카메라의 정면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 광원이 제1 카메라에 대한 역광에 해당할 수 있다. 광원이 역광에 해당하는 경우, 도 8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의 밝기에 의하여 영상에 포함된 사람의 얼굴에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잡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어부(180)는 영상에 사람의 얼굴이 포함된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S730). 이때, 제어부(180)는 검출된 영역의 밝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밝기와 제한 밝기를 비교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검출된 영역이 소정의 밝기를 가지도록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S740). 이때, 제어부(180)는 검출된 영역만을 보정하거나, 검출된 영역을 포함하는 영상 전체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검출된 영역에 카메라의 초점이 형성 되도록 조리개와 관련된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 검출된 영역이 소정의 밝기를 가지도록 셔터 속도와 관련된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 플래시가 활성화되도록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 카메라의 장면 모드를 역광에 최적화된 모드(예를 들어, high dynamic range mode, 이하 "HDR 모드")로 변경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미리 설정된 보정 인자들에 기초하여 검출된 일부 영역의 휘도를 보정하는 방법, 영상에 포함된 화소들 중에서 노이즈가 있는 화소에 대한 오류를 보상하는 방법, 일부 영역에 대한 감마 보상을 수행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얼굴이 포함된 영역이 탐색되지 않은 경우, 영상의 밝기가 밝아지도록 카메라와 관련된 설정을 보정하거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얼굴이 검출될 때까지 상술한 과정을 기준 횟수만큼 반복할 수 있다. 상기 기준 횟수만큼 반복되는 과정에서 얼굴이 검출되지 않으면, 역광에 의하여 촬영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부(180)는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을 변경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도 9a를 참조하면, 광원의 위치가 제1 카메라(121a)의 후면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광원이 제1 카메라(121a)에 대한 순광에 해당할 수 있다. 광원이 순광에 해당하는 경우, 도 9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기 본체에 의하여 형성된 그림자(910)가 영상 잡음으로 영상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잡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어부(180)는 영상에서 본체에 의하여 형성되는 그림자(910)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광원의 특성에 따라 본체에 의하여 형성되는 그림자의 방향과 길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보와 영상 필터 등을 이용하여 영상에서 그림자를 제거할 수 있다(S770).
한편, 광원이 순광인 경우에도 광원의 위치에 따라 본체에 의한 그림자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순광에서 최적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제2 카메라에 유입된 광량에 근거하여 제1 카메라의 ISO 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영상이 보정된 경우, 도 8a의 (b) 및 도 9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보정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S78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발생하는 영상 잡음을 보정할 수 있다, 이러한 광원의 위치는, 역광이나 순광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영상 잡음을 발견하지 못한 경우에도 제어부(180)는 자동으로 영상 잡음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영상을 보정하기에 앞서 보정과 관련된 정보(101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에 포착된 영상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보정 모드가 실행되면, 제어부(180)는 광원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광원의 위치에 근거하여 제1 카메라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제1 카메라의 설정을 변경하기 전에, 제어부(180)는 변경될 설정과 관련된 정보를 보정과 관련된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보정과 관련된 정보는,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확인" 또는 "취소"와 같은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보정 전 영상을 이용할지 보정 후 영상을 이용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확인"이 선택되는 경우, 보정 후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하고, "취소"가 선택되는 경우, 보정 전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정 전 영상(1120)과 보정 후 영상(1110)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영상들을 확인하고, 현재 광원의 특성에서 보정 모드의 실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보정 후 영상(1110)이 선택되면, 보정 모드를 계속해서 실행하고, 보정된 영상(1110')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보정 전 영상(1120)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보정 모드의 실행을 중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어부(180)가 광원의 특성에 따라 영상을 보정하는 방식으로 촬영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광원의 특성에 따라 영상을 보정하고, 보정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정 모드의 실행에 따라 영상의 보정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를 확인할 수 있고, 보정을 실행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이로써,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보정 모드의 실행에 대응하여 제1 카메라가 포착한 영상을 보정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어부(180)는 광원의 특성에 따라 상기 제1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을 변경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정보(또는,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도 1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을 변경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정보(1210)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정보는, 광원의 특성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광원이 위치, 종류 등)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원의 특성에 의해 발생하는 영상 잡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가이드 정보는,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제1 및 제2 카메라에 포착된 영상을 이용하여 광원의 특성을 산출하고, 산출된 광원의 특성에서 상기 제1 카메라로 촬영하는 것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의 전체 영역 중에서 특정 영역이 기준 밝기보다 밝은 경우, 또는 영상 전체의 평균 휘도가 최대 휘도보다 높거나 최소 휘도보다 낮은 경우 등과 같이 카메라에 포착된 영상이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제1 카메라로 촬영하는 것이 부적절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도 1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원의 특성에 근거하여 영상을 촬영하기에 적합한 위치를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1220, 1230)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부적절한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카메라에 포착된 영상을 출력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그래픽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광원의 특성에 근거하여 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한 방향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방향으로 제1 카메라가 향하도록 안내하는 그래픽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객체는 단말기 본체가 이동되어야 할 방향을 가리키는 마크일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마크의 출력 위치 및 출력 크기를 달리함으로써 단말기 본체를 움직여야 할 방향을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는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1220, 1230)에 따라 제1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이 달라지도록 단말기 본체를 움직일 수 있다. 이때, 본체의 움직임에 따라 그래픽 객체의 출력 위치 및 출력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위쪽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제1 그래픽 객체(1220)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다가 특정 위치에 다다르면 제1 그래픽 객체(1220)가 사라질 수 있다. 모든 그래픽 객체가 사라졌을 때, 사용자는 동영상이나 사진을 촬영하고, 광원의 특성에 따른 최적의 결과물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어부(180)는 제1 카메라에 포착된 영상을 출력하는 중에 제2 카메라에 포착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카메라의 장면 모드(또는 촬영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제어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단계들(S410 내지 S430)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제1 카메라가 단말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 카메라인 경우, 제1 카메라에 포착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경우, 자동으로 보정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2 카메라에 포착되는 이미지의 패턴을 이용하여 촬영 장소를 분석하는 단계가 더 진행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 카메라에 포착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광원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상기 영상에 포함된 이미지의 패턴을 이용하여 촬영 장소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이미지패턴 인식 및 추출 기술을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있는 위치가 실내인지 실외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제1 카메라가 전면 카메라인 경우, 제2 카메라는 후면 카메라일 수 있다. 전면 카메라에서는 주로 셀프 인물 촬영이 수행되기 때문에, 제1 카메라에 포착된 영상은 사람의 얼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와 달리 제2 카메라는 카메라가 위치한 장소의 풍경을 포착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전면 카메라가 활성화되면, 후면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상기 후면 카메라에 포착된 이미지의 패턴을 이용하여 촬영 장소를 분석할 수 있다.
한편, 더욱 정확한 분석을 이용하여,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 모드가 실행되면, 제어부(180)는 위성으로부터 GPS(global position system)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촬영 장소가 실내인지 실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GPS 정보가 수신되면 실외로 판단하고, 수신되지 않으면 실내로 판단할 수 있다.
촬영 장소가 분석되는 경우, 분석된 촬영 장소에 따라 제1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S1220). 예를 들어, 분석된 촬영 장소는 실내 또는 실외일 수 있다.
촬영 장소가 실내로 분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카메라의 장면 모드(scene mode)를 실내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카메라에 유입되는 광원의 특성을 분석하여 제1 카메라와 관련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색온도를 이용하여 광원의 종류를 분석하고, 제1 카메라의 화이트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촬영 장소가 실외로 분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카메라의 장면 모드를 실외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카메라에 포착된 이미지의 패턴을 이용하여 맑은 날인지 흐린 날인지를 파악하고, 파악된 날씨 및 제2 카메라에 유입된 광량의 세기에 따라 ISO 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촬영 장소가 실외로 분석되는 경우, 무선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날씨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날씨 정보에 근거하여 제2 카메라에 포착된 이미지의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이미지의 패턴을 더욱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고, 분석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카메라가 포착한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듀얼 카메라가 작동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듀얼 카메라가 작동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에 제1 및 제2 영상(1410, 1420)이 출력될 수 있다. 듀얼 카메라는 단말기 본체에 배치된 제1 및 제2 카메라가 동시에 활성화되고, 제1 및 제2 카메라가 각각 촬영한 제1 및 제2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듀얼 카메라의 경우, 제1 및 제2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이 상이하기 때문에, 광원에 따라 제1 및 제2 영상의 밝기가 다르게 포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듀얼 카메라가 실행되는 경우, 자동으로 보정 모드를 실행하고, 제1 및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제1 및 제2 영상(1410, 1420)의 평균 휘도 값들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 휘도 값들의 차가 제한 기준을 만족하도록 제1 및 제2 영상(1410, 1420)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저장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및 제2 영상을 각각 저장하거나, 하나의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보정 모드의 실행에 따라 보정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제1 및 제2 카메라에 유입된 광량을 이용하여 제1 카메라에 포착된 영상을 보정함으로써, 빛에 의하여 발생하는 영상 잡음을 자동으로 바로잡을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카메라를 이용하기 때문에, 광원의 특성을 더욱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으며, 광원의 다양한 변화에도 일정한 촬영 결과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영상 잡음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최적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동으로 보정된 영상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의 설정을 수동으로 변경하거나 설정할 필요가 없어지며, 이로써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카메라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하여 포착되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영상에 대한 보정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제2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 및 2 카메라에 유입되는 광량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을 보정하며, 보정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에 유입되는 광량을 이용하여 광원의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을 보정하고,
    상기 산출된 광원의 위치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산출된 광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을 변경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상기 영상의 영상 잡음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이 상기 제1 카메라에 대한 순광인 경우, 상기 영상에서 상기 본체에 의하여 형성되는 그림자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이 상기 제1 카메라에 대한 역광인 경우, 상기 영상에서 사람의 얼굴이 포함된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영역이 소정의 밝기를 가지도록 상기 영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변경하고,
    상기 영상은, 상기 변경된 촬영 모드에 의하여 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는, ISO 감도, 화이트밸런스, 플래시, 셔터 속도, 조리개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설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에 의해 포착되는 제1 및 제2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보정 모드가 실행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및 2 카메라에 유입되는 광량을 이용하여 보정하고, 보정된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의 평균 휘도 값들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휘도 값들의 차가 제한 기준을 만족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 카메라인 경우, 상기 제1 카메라가 활성화됨과 동시에 보정 모드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카메라에 포착되는 이미지의 패턴을 이용하여 촬영 장소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촬영 장소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에 유입되는 광량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의 장면 모드는 상기 분석된 촬영 장소에 따라 실내 모드 또는 실외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카메라에 포착되는 이미지의 패턴을 이용하여 광원의 종류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카메라의 화이트 밸런스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30098043A 2013-08-19 2013-08-19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063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043A KR102063102B1 (ko) 2013-08-19 2013-08-19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4/295,079 US9538059B2 (en) 2013-08-19 2014-06-03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4175122.2A EP2840776A1 (en) 2013-08-19 2014-07-01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410352525.1A CN104427046B (zh) 2013-08-19 2014-07-23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043A KR102063102B1 (ko) 2013-08-19 2013-08-19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917A KR20150020917A (ko) 2015-02-27
KR102063102B1 true KR102063102B1 (ko) 2020-01-07

Family

ID=5117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043A KR102063102B1 (ko) 2013-08-19 2013-08-19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38059B2 (ko)
EP (1) EP2840776A1 (ko)
KR (1) KR102063102B1 (ko)
CN (1) CN1044270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01874A (zh) * 2013-10-31 2015-05-06 索尼公司 工作模式的控制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KR20150106719A (ko) * 2014-03-12 2015-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촬영 위치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US10965924B2 (en) * 2014-11-11 2021-03-30 RealImaging Technology Co., Ltd Correlating illuminant estimation by a plurality of cameras
CN105554411B (zh) * 2016-02-15 2018-03-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屏幕补光的拍照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9762807B1 (en) * 2016-03-10 2017-09-12 Intel Corporation Using display light to improve front facing camera performance
WO2018028585A1 (zh) * 2016-08-10 2018-02-15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具有不同大小光圈的多摄像头模组及其应用
CN107277480B (zh) * 2017-07-10 2019-03-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白平衡同步方法、装置和终端设备
CN108605081B (zh) * 2017-07-18 2020-09-01 杭州他若信息科技有限公司 智能目标追踪
US11364637B2 (en) * 2017-07-18 2022-06-21 Hangzhou Taro Positioning Technology Co., Ltd. Intelligent object tracking
CN107343190A (zh) * 2017-07-25 2017-11-1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白平衡调节方法、装置和终端设备
CN108196624A (zh) * 2018-01-17 2018-06-22 深圳朗特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可穿戴设备系统及其声光控制方法
CN108234891B (zh) * 2018-04-04 2019-11-0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照方法及移动终端
KR102598109B1 (ko) 2018-08-08 2023-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분석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영상과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과 관련하여 알림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9495690A (zh) * 2018-12-30 2019-03-19 深圳市明日实业有限责任公司 一种摄像处理方法
JP2021190925A (ja) * 2020-06-02 2021-12-13 キヤノン株式会社 処理装置、撮像装置、及び処理方法
US20220070425A1 (en) * 2020-08-28 2022-03-03 Viavi Solutions Inc. Multi-sensor system
EP4315827A1 (en) * 2021-03-30 2024-02-07 Snap Inc. Inclusive camera
CN117120816A (zh) * 2021-03-31 2023-11-24 三星电子株式会社 使用相机的照度测量的方法和支持该方法的电子装置
WO2024159546A1 (en) * 2023-02-03 2024-08-08 Orange Method for taking pictures with a device equipped with cameras directed in opposite directions, and associated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49372A1 (en) * 2008-12-15 2010-06-17 Nvidia Corporation Image data processing with multiple cameras

Family Cites Families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6067B2 (ja) * 1990-10-31 1998-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3032542A (ja) * 2001-07-19 2003-01-31 Mitsubishi Electric Corp 撮像装置
US6516154B1 (en) 2001-07-17 2003-02-04 Eastman Kodak Company Image revising camera and method
US7764320B1 (en) * 2002-12-02 2010-07-27 Symbol Technologies, Inc. Portable imaging system for multimode camera with different focal length lens and fixed or moveable image sensors
JP2005094741A (ja) * 2003-08-14 2005-04-07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及び画像合成方法
KR100557219B1 (ko) * 2004-07-06 200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노출 보정 방법 및 보정 장치
US20060170769A1 (en) * 2005-01-31 2006-08-03 Jianpeng Zhou Human and object recognition in digital video
US7724284B2 (en) * 2005-09-29 2010-05-25 Aptina Imaging Corporation Multi-camera system and method having a common processing block
JP4542058B2 (ja) * 2006-03-24 2010-09-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4082714B2 (ja) * 2006-05-29 2008-04-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高解像度化装置、画像高解像度化方法、画像高解像度化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高解像度化システム
US7724296B2 (en) * 2006-06-21 2010-05-2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image orientation
US7626612B2 (en) * 2006-06-30 2009-12-01 Motorola, Inc. Methods and devices for video correction of still camera motion
US7860382B2 (en) * 2006-10-02 2010-12-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electing autofocus area in an image
US20080122821A1 (en) * 2006-11-24 2008-05-2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Luminance control for a display
US20080231726A1 (en) * 2007-03-23 2008-09-25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color correction in a portable device
JP4824627B2 (ja) * 2007-05-18 2011-11-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自動焦点調節装置及び自動焦点調節方法並びに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7817187B2 (en) * 2007-06-27 2010-10-19 Aptina Imaging Corporation Image blur correction using a secondary camera
US20090040170A1 (en) * 2007-08-10 2009-02-1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display with adjustable brightness, chromaticity or both
CN101399998B (zh) * 2007-09-24 2011-06-0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白平衡调整系统及方法
US20090160970A1 (en) * 2007-12-20 2009-06-25 Fredlund John R Remote determination of image-acquisition settings and opportunities
US7920179B2 (en) * 2008-08-05 2011-04-0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hadow and reflection identification in image capturing devices
US8149279B2 (en) * 2008-08-18 2012-04-03 Appl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variations in digital cameras
JP5230376B2 (ja) * 2008-11-28 2013-07-10 三星電子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20100245617A1 (en) * 2009-03-31 2010-09-30 Gary Stephen Shuster Automated white balancing in digital photography
KR101608761B1 (ko) * 2009-05-28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TWI387332B (zh) * 2009-08-26 2013-02-21 Altek Corp A method of backlighting
US8682391B2 (en) * 2009-08-27 2014-03-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451312B2 (en) * 2010-01-06 2013-05-28 Apple Inc. Automatic video stream selection
KR101643612B1 (ko) * 2010-01-29 2016-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방법 및 장치와 그 기록 매체
KR20110088914A (ko) * 2010-01-29 2011-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665340B2 (en) * 2010-04-29 2014-03-04 Intellectual Ventures Fund 83 Llc Indoor/outdoor scene detection using GPS
US8325890B2 (en) * 2010-06-06 2012-12-04 Apple Inc. Auto exposure techniques for variable lighting conditions
KR101727486B1 (ko) * 2010-10-25 2017-04-17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 및 장치
US9584735B2 (en) * 2010-11-12 2017-02-28 Arcsoft, Inc. Front and back facing cameras
US20120135783A1 (en) * 2010-11-29 2012-05-31 Google Inc. Mobile device image feedback
US10200671B2 (en) * 2010-12-27 2019-02-05 3Dmedia Corporation Primary and auxiliary image capture devices for image processing and related methods
US8274552B2 (en) * 2010-12-27 2012-09-25 3Dmedia Corporation Primary and auxiliary image capture devices for image processing and related methods
US8520080B2 (en) * 2011-01-31 2013-08-27 Hand Held Product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e of imaging assembly on mobile terminal
KR101764372B1 (ko) * 2011-04-19 2017-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 합성 방법 및 장치
US9813632B2 (en) * 2011-05-19 2017-11-07 Foveon, Inc. Method of adjusting digital camera image processing parameters
US8564684B2 (en) * 2011-08-17 2013-10-22 Digimarc Corporation Emotional illumination, and related arrangements
KR101303236B1 (ko) 2011-10-21 2013-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922673B2 (en) * 2011-12-21 2014-12-30 Xerox Corporation Color correction of digital color image
KR101859567B1 (ko) * 2012-01-18 2018-06-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 및 장치
EP2629506A1 (en) 2012-02-15 2013-08-21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Two-step brightness adjustment in around-view systems
US8866943B2 (en) * 2012-03-09 2014-10-21 Apple Inc. Video camera providing a composite video sequence
US20140063288A1 (en) * 2012-08-30 2014-03-06 Pantech Co., Ltd. Imaging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providing exposure compensation
KR101545883B1 (ko) * 2012-10-30 2015-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카메라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US9253433B2 (en) * 2012-11-27 2016-0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agging media with identity of creator or scene
US8964062B1 (en) * 2012-12-18 2015-02-24 Amazon Technologies, Inc. Integrated light sensor for dynamic exposure adjustment
US9165371B2 (en) * 2012-12-24 2015-10-20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User location system
US9247223B2 (en) * 2013-01-25 2016-01-26 Blackberry Limited Reduce operating environment effect using multiple cameras
US9167147B2 (en) * 2013-02-15 2015-10-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bile device field of view region determination
US9041645B2 (en) * 2013-02-15 2015-05-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nsparent display field of view region determination
KR102022444B1 (ko) * 2013-02-21 2019-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에서 유효한 영상들을 합성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US9384551B2 (en) * 2013-04-08 2016-07-05 Amazon Technologies, Inc. Automatic rectification of stereo imaging cameras
US10055013B2 (en) * 2013-09-17 2018-08-21 Amazon Technologies, Inc. Dynamic object tracking for user interfaces
US9224237B2 (en) * 2013-09-27 2015-12-29 Amazon Technologies, Inc. Simulating three-dimensional views using planes of content
KR102153436B1 (ko) * 2014-01-15 2020-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50213303A1 (en) * 2014-01-28 2015-07-30 Nvidia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with facial reference images
US9269009B1 (en) * 2014-05-20 2016-02-23 Amazon Technologies, Inc. Using a front-facing camera to improve OCR with a rear-facing camera
US9131150B1 (en) * 2014-06-06 2015-09-08 Amazon Technologies, Inc. Automatic exposure control and illumination for head track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49372A1 (en) * 2008-12-15 2010-06-17 Nvidia Corporation Image data processing with multiple camer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49211A1 (en) 2015-02-19
CN104427046A (zh) 2015-03-18
CN104427046B (zh) 2019-11-15
EP2840776A1 (en) 2015-02-25
KR20150020917A (ko) 2015-02-27
US9538059B2 (en) 201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310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08359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8074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5109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8074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3205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5004703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4011315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6456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커버
KR2015003008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0900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WO2016024668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0293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79063A (ko)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41451A (ko) 이동 단말기
KR20140085039A (ko)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96894A (ko) 입력장치 및 이에 의하여 제어되는 이동 단말기(100)
KR20180047694A (ko) 이동 단말기
KR2015000948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4010293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4010256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12255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11187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9973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0028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