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486B1 -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486B1
KR101727486B1 KR1020100103970A KR20100103970A KR101727486B1 KR 101727486 B1 KR101727486 B1 KR 101727486B1 KR 1020100103970 A KR1020100103970 A KR 1020100103970A KR 20100103970 A KR20100103970 A KR 20100103970A KR 101727486 B1 KR101727486 B1 KR 101727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camera module
determined
illumina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1122A (ko
Inventor
김문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3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486B1/ko
Priority to US13/276,656 priority patent/US8725207B2/en
Publication of KR20120061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8Compa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은 제1카메라 모듈이 후면에 형성되고 제2카메라 모듈이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카메라 모듈과 제2카메라 모듈에서 각각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카메라 모듈에서 측정한 조도값(A)을 상기 제2카메라 모듈에서 측정한 조도값(B)으로 나눈 값(A/B)과 기 설정된 임계값(K)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A/B와 K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면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지 않고도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TTITUDE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판단하는 방법과 이를 구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 보급률의 급속한 증가로 휴대 단말기는 이제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고유의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능상 멀티미디어 통신기기로 변모하게 되었다.
현재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판단하여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전환하거나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기술이 구현되어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에는 일반적으로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또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등이 내장되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판단하게 된다. 즉, 상기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휴대 단말기에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가 내장되어야 한다는 제약 조건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을 구비하지 않고도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과 이를 구현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은 제1카메라 모듈이 후면에 형성되고 제2카메라 모듈이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카메라 모듈과 제2카메라 모듈에서 각각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카메라 모듈에서 측정한 조도값(A)을 상기 제2카메라 모듈에서 측정한 조도값(B)으로 나눈 값(A/B)과 기 설정된 임계값(K)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A/B와 K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은 제1카메라 모듈이 후면에 형성되고 제2카메라 모듈이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카메라 모듈과 제2카메라 모듈에서 각각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카메라 모듈에서 측정한 조도값(A)에서 상기 제2카메라 모듈에서 측정한 조도값(B)을 뺀 값(A-B)과 기 설정된 임계값(M)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A-B와 M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은 제1카메라 모듈이 후면에 형성되고 제2카메라 모듈이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카메라 모듈과 제2카메라 모듈에서 각각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카메라 모듈에서 측정한 조도값(A)과 상기 제2카메라 모듈에서 측정한 조도값(B)을 각각 기 설정된 임계 조도값(L)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A 및 B와 L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의 전면에 형성되고 조도를 측정하는 제1카메라 모듈; 상기 휴대 단말기의 후면에 형성되고 조도를 측정하는 제2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제1카메라 모듈에서 측정한 조도값(A)을 상기 제2카메라 모듈에서 측정한 조도값(B)으로 나눈 값(A/B)과 기 설정된 임계값(K)을 비교하고, A/B가 K 이상인 경우, 후면이 개방된 상태로 휴대 단말기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A/B가 1/K 이하인 경우,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휴대 단말기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의 전면에 형성되고 조도를 측정하는 제1카메라 모듈; 상기 휴대 단말기의 후면에 형성되고 조도를 측정하는 제2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제1카메라 모듈에서 측정한 조도값(A)에서 상기 제2카메라 모듈에서 측정한 조도값(B)을 뺀 값(A-B)과 기 설정된 임계값(M)을 비교하고, A-B가 M 이상인 경우, 후면이 개방된 상태로 휴대 단말기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A-B가 -M 이하인 경우,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휴대 단말기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의 전면에 형성되고 조도를 측정하는 제1카메라 모듈; 상기 휴대 단말기의 후면에 형성되고 조도를 측정하는 제2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제1카메라 모듈에서 측정한 조도값(A)과 상기 제2카메라 모듈에서 측정한 조도값(B)을 각각 기 설정된 임계값(L)과 비교하고, A가 L 이상이고 B가 L 미만인 경우, 후면이 개방된 상태로 휴대 단말기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B가 L 이상이고 A가 L 미만인 경우,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휴대 단말기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면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지 않고도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과 후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 판단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 형태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 판단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 판단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기의 '전면'은 휴대 단말기에서 표시부가 형성되는 면에 해당하며, 휴대 단말기의 '후면'은 상기 표시부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에 해당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을 설명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등의 단말기가 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 오디오처리부(120), 입력부(130), 저장부(140), 제1카메라 모듈부(150), 제2카메라 모듈부(160), 표시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하고, 제어부(18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120)는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입력부(130)는 3*4 패드, Qwerty 패드 등 숫자 키, 문자 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touch panel)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입력부(130)는 버튼 키(button key), 조그 키(jog key), 휠 키(wheel key)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들(통화 기능, 음악 재생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이미지 디스플레이 기능, 카메라 촬영 기능, DMB 방송 출력 기능 등)을 실행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80)에 전달한다.
저장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휴대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이미지, 동영상, 폰 북, 오디오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부(150) 및 제2카메라 모듈부(160)는 피사체를 촬영하며,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미도시)와, 아날로그 이미지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semiconductor) 센서가 될 수 있으며, 신호 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센서 및 신호 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1카메라 모듈부(150) 및 제2카메라 모듈부(160)는 휴대 단말기(100)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조도값을 제어부(180)로 송신한다. 본 발명에서 제1카메라 모듈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후면에 형성되고, 제2카메라 모듈부(16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에 형성된다.
표시부(17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제1카메라 모듈부(150) 및 제2카메라 모듈부(160)를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 주변의 조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주기(T) 마다 제1카메라 모듈부(150) 및 제2카메라 모듈부(160)를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 주변의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카메라 모듈부(150)를 통해 측정한 조도값인 제1조도값(A)과 제2카메라 모듈부(160)를 통해 측정한 조도값인 제2조도값(B)을 확인하고, 제1조도값을 제2조도값으로 나눈 값(A/B)이 기 설정된 임계 배수값(K) 이상인지 판단한다. A/B가 K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후면이 개방되고 전면이 가려진 상태로 휴대 단말기(100)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A/B가 1/K 이하인 경우, 제어부(180)는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가려진 상태로 휴대 단말기(100)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A/B가 1/K와 K 사이의 값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전면과 후면이 모두 개방되도록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제1카메라 모듈부(150)를 통해 측정한 조도값인 제1조도값(A)과 제2카메라 모듈부(160)를 통해 측정한 조도값인 제2조도값(B)을 확인하고, A와 B각각을 기 설정된 임계 조도값(L)과 비교할 수 있다. 이 때, A가 L 이상이고 B가 L 미만인 경우, 제어부(180)는 후면이 개방되고 전면이 가려진 상태로 휴대 단말기(100)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B가 L 이상이고 A가 L 미만인 경우, 제어부(180)는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가려진 상태로 휴대 단말기(100)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A와 B 모두가 L 이상이거나 L 미만인 경우, 제어부(180)는 전면과 후면이 모두 개방되도록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제1카메라 모듈부(150)를 통해 측정한 조도값인 제1조도값(A)과 제2카메라 모듈부(160)를 통해 측정한 조도값인 제2조도값(B)을 확인하고, 제1조도값에서 제2조도값을 뺀 값(A-B)과 기 설정된 임계값(M)을 비교할 수 있다. 이 때, A-B가 M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후면이 개방되고 전면이 가려진 상태로 휴대 단말기(100)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A-B가 -M 이하인 경우, 제어부(180)는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가려진 상태로 휴대 단말기(100)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A-B가 -M과 M 사이의 값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전면과 후면이 모두 개방되도록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과 후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에는 제2카메라 모듈부(160)와 표시부(170)가 형성된다. 도 2의 [b]는 휴대 단말기(100)의 후면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후면에는 제1카메라 모듈부(15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전면'과 '후면'은 상대적인 개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a]를 휴대 단말기(100)의 후면으로, 도 2의 [b]를 휴대 단말기의 전면으로 지칭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 판단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 판단 방법의 순서도이다.
301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제1카메라 모듈부(150) 및 제2카메라 모듈부(160)를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 주변의 조도를 측정한다. 제어부(180)는 제1카메라 모듈부(150) 및 제2카메라 모듈부(160)를 구동시키며, 제1카메라 모듈부(150)는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고 조도값을 제어부(180)로 송신하고, 제2카메라 모듈부(160)는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고 조도값을 제어부(180)로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타이머(timer)를 포함하고, 타이머의 일정 주기(T)에 따라 제1카메라 모듈부(150) 및 제2카메라 모듈부(160)를 구동시키고, 상기 카메라 모듈부들(150, 160)을 제어하여 주변의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카메라 모듈부(150)와 제2카메라 모듈부(160)는 일정 주기(T) 마다 조도값을 제어부(180)로 송신하게 된다.
302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제1카메라 모듈부(150)에서 측정한 제1조도값(A)과 제2카메라 모듈부(160)에서 측정한 제2조도값(B)을 확인한다. 제어부(180)는 제1카메라 모듈부(150)로부터 조도값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조도값을 제1조도값(A)으로 인식하고, 제2카메라 모듈부(160)로부터 조도값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조도값을 제2조도값(B)으로 인식한다.
제어부(180)는 제1조도값(A)을 제2조도값(B)으로 나눈 값(A/B)을 구한 후, 303단계에서 A/B가 기 설정된 임계 배수값(K)의 이상인지 판단한다. 휴대 단말기(100)가 빛이 투과되지 않는 평면 상에 올려져 있는 경우, 제1카메라 모듈부(150)와 제2카메라 모듈부(16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평면에 의해 가려지고 다른 하나는 개방된다. 이 경우, 제1카메라 모듈부(150)에서 측정하는 제1조도값(A)과 제2카메라 모듈부(160)에서 측정하는 제2조도값(B) 사이에는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제1조도값(A)을 제2조도값(B)으로 나눈 값은 제1조도값(A)에 대한 제2조도값(B)의 배수값에 해당하며, K는 제1카메라 모듈부(150)가 개방되고 제2카메라 모듈부(160)가 가려져 있는지 판단하기 위한 임계 배수값에 해당한다. A/B가 K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제1조도값(A)이 제2조도값(B)보다 K배 높은 수치인지 판단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A/B가 K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304단계에서 제어부(180)는 후면이 개방되고 전면이 가려진 상태로 휴대 단말기(100)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K가 10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A가 300(lux), B가 20(lux)로 측정되었을 때, 제어부(180)는 A/B('15')가 K('10')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후면이 개방되고 전면이 가려진 상태로 휴대 단말기(100)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부(170)가 위를 향하도록 놓여있는 방향을 정방향이라고 했을 때,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100)가 엎어져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도 4는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 형태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며, 도 4의 [a]는 후면이 개방되고 전면이 가려진 상태로 놓여 있는 휴대 단말기(100)를 도시한다. 도 4의 [a]에서 제1카메라 모듈부(150)는 개방되어 있고 제2카메라 모듈부(160)는 평면(200)에 의해 가려져 있기 때문에, 제2카메라 모듈부(160)에서 측정하는 조도값은 제1카메라 모듈부(150)에서 측정하는 조도값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된다. 제어부(180)는 상기 조도값들의 비교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가 후면이 개방되고 전면이 가려진 상태로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A/B가 K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A/B가 1/K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1/K는 제2카메라 모듈부(160)가 개방되고 제1카메라 모듈부(150)가 가려져 있는지 판단하기 위한 임계 배수값에 해당한다.
A/B가 1/K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306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가려진 상태로 휴대 단말기(100)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K가 10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A가 20(lux), B가 300(lux)로 측정되었을 때, 제어부(180)는 A/B('1/15')가 1/K('1/10')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고,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가려진 상태로 휴대 단말기(100)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100)가 정방향으로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도 4의 [b]는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가려진 상태로 놓여 있는 휴대 단말기(100)를 도시한다. 도 4의 [b]에서 제2카메라 모듈부(160)는 개방되어 있고 제1카메라 모듈부(150)는 평면(200)에 의해 가려져 있기 때문에, 제1카메라 모듈부(150)에서 측정하는 조도값은 제2카메라 모듈부(160)에서 측정하는 조도값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갖게 된다. 제어부(180)는 상기 조도값들의 비교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가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가려진 상태로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A/B가 1/K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전면과 후면이 모두 개방되도록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A/B가 1/K와 K 사이의 값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들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가방이나 주머니에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 4의 [c]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형태의 휴대 단말기(100)를 도시한다. 도 4의 [c]에서 제1카메라 모듈부(150)와 제2카메라 모듈부(160)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제1카메라 모듈부(150)에서 측정하는 조도값과 제2카메라 모듈부(160)에서 측정하는 조도값은 동일하거나 거의 비슷한 값이 된다. 제어부(180)는 상기 조도값들의 비교를 통해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도록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305단계에서 A/B가 1/K 이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휴대 단말기(100)가 제1조도값(A)과 제2조도값(B) 각각을 특정 임계 조도값(L)과 비교하고, A와 B 모두가 L 이상인지, L 미만인지 판단할 수 있다. A와 B 모두가 L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들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A와 B 모두가 L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100)가 주머니나 가방 속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이 30(lux)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A가 300(lux), B가 310(lux)로 측정되었을 때, 제어부(180)는 A와 B 모두가 L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들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L이 30(lux)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A가 5(lux), B가 6(lux)로 측정되었을 때, 제어부(180)는 A와 B 모두가 L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고, 휴대 단말기(100)가 주머니나 가방 속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의 [d]는 휴대 단말기(100)가 가방 속에 들어 있는 형태를 도시한다. 제어부(180)는 제1카메라 모듈부(150)와 제2카메라 모듈부(160)로부터 각각 수신한 조도값들과 임계 조도값을 비교하여 모두 임계 조도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하면, 휴대 단말기(100)가 가방이나 주머니 등 빛이 투과되지 않는 공간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 판단 방법의 순서도이다.
501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제1카메라 모듈부(150) 및 제2카메라 모듈부(160)를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고, 502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제1카메라 모듈부(150)에서 측정한 제1조도값(A)과 제2카메라 모듈부(160)에서 측정한 제2조도값(B)을 확인한다. 501단계 및 502단계는 도 3의 301단계 및 302단계와 동일한 단계에 해당하며, 도 3의 301단계 및 302단계와 관련된 설명은 501단계 및 502단계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어부(180)는 303단계에서 A가 기 설정된 임계 조도값(L) 이상이고, B가 L 미만인지 판단한다. 휴대 단말기(100)가 빛이 투과되지 않는 평면 상에 올려져 있는 경우, 제1카메라 모듈부(150)와 제2카메라 모듈부(16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평면에 의해 가려져 낮은 조도값을 측정하게 된다. L은 제1카메라 모듈부(150) 또는 제2카메라 모듈부(160)가 가려져 있는지 판단하기 위한 임계 조도값에 해당한다.
A가 L 이상이고 B가 L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504단계에서 제어부(180)는 후면이 개방되고 전면이 가려진 상태로 휴대 단말기(100)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L이 30(lux)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A가 300(lux), B가 20(lux)로 측정되었을 때, 제어부(180)는 A가 L 이상이고, B가 L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며, 후면이 개방되고 전면이 가려진 상태로 휴대 단말기(100)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A가 L 이상이고 B가 L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505단계로 진행하여 B가 L 이상이고 A가 L 미만인지 판단하며, B가 L 이상이고 A가 L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506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가려진 상태로 휴대 단말기(100)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L이 30(lux)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A가 20(lux), B가 300(lux)로 측정되었을 때, 제어부(180)는 A가 L 미만이고, B가 L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가려진 상태로 휴대 단말기(100)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B가 L 이상이고 A가 L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507단계로 진행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과 후면이 모두 개방되도록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A와 B 모두가 L 이상이거나 L 미만인 경우로서,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들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가방이나 주머니에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100)가 측면으로 세워져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305단계에서 B가 L 이상이고 A가 L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 경우, A와 B 모두가 L 이상인지, L 미만인지 판단할 수 있다. A와 B 모두가 L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들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A와 B 모두가 L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100)가 주머니나 가방 속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이 30(lux)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A가 300(lux), B가 310(lux)로 측정되었을 때, 제어부(180)는 A와 B 모두가 L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들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L이 30(lux)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A가 5(lux), B가 6(lux)로 측정되었을 때, 제어부(180)는 A와 B 모두가 L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고, 휴대 단말기(100)가 주머니나 가방 속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자세 판단 방법의 순서도이다.
601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제1카메라 모듈부(150) 및 제2카메라 모듈부(160)를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고, 602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제1카메라 모듈부(150)에서 측정한 제1조도값(A)과 제2카메라 모듈부(160)에서 측정한 제2조도값(B)을 확인한다. 601단계 및 602단계는 도 3의 301단계 및 302단계와 동일한 단계에 해당하며, 도 3의 301단계 및 302단계와 관련된 설명은 601단계 및 602단계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어부(180)는 제1조도값(A)과 제2조도값(B)의 차이값(A-B)을 계산하고, 603단계에서 A-B가 기 설정된 임계값(M) 이상인지 판단한다. 휴대 단말기(100)가 빛이 투과되지 않는 평면 상에 올려져 있는 경우, 제1카메라 모듈부(150)와 제2카메라 모듈부(16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평면에 의해 가려지고 다른 하나는 개방된다. 이 경우, 제1카메라 모듈부(150)에서 측정하는 제1조도값(A)과 제2카메라 모듈부(160)에서 측정하는 제2조도값(B) 사이에는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M은 제1카메라 모듈부(150) 또는 제2카메라 모듈부(160)가 가려져 있는지 판단하기 위한 조도 차이값에 해당한다.
A-B가 M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604단계에서 제어부(180)는 후면이 개방되고 전면이 가려진 상태로 휴대 단말기(100)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100)가 엎어져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M이 200(lux)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A가 300(lux), B가 20(lux)로 측정되었을 때, 제어부(180)는 A-B(280(lux))가 M(200(lux))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후면이 개방되고 전면이 가려진 상태로 휴대 단말기(100)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A-B가 M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605단계로 진행하여 A-B가 -M 이하인지 판단한다. A-B가 -M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606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가려진 상태로 휴대 단말기(100)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100)가 정방향으로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M이 200(lux)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A가 20(lux), B가 300(lux)로 측정되었을 때, 제어부(180)는 A-B(-280(lux))가 -M(-200(lux))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고,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가려진 상태로 휴대 단말기(100)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A-B가 -M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607단계로 진행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과 후면이 모두 개방되도록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A-B가 -M과 M 사이의 값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들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가방이나 밀폐된 주머니에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100)가 측면으로 세워져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605단계에서 A-B가 -M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 경우, 제1조도값(A)과 제2조도값(B) 각각을 기 설정된 임계 조도값(L)과 비교하여, A와 B 모두가 L 이상인지 또는 L 미만인지 판단할 수 있다. A와 B 모두가 L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들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A와 B 모두가 L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100)가 주머니나 가방 속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이 30(lux)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A가 300(lux), B가 310(lux)로 측정되었을 때, 제어부(180)는 A와 B 모두가 L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들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L이 30(lux)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A가 5(lux), B가 6(lux)로 측정되었을 때, 제어부(180)는 A와 B 모두가 L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고, 휴대 단말기(100)가 주머니나 가방 속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후면이 개방되고 전면이 가려진 상태로 휴대 단말기(100)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사운드를 출력하지 않는 무음 모드로 휴대 단말기(100)의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가려진 상태로 휴대 단말기(100)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사운드를 출력하는 일반 모드로 휴대 단말기(100)의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들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부재중 이벤트 알림을 위해 오디오 처리부(120)를 제어하여 소정의 사운드를 출력하거나 표시부(170)를 제어하여 소정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가 가방이나 주머니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표시부(170)를 오프(OFF)하여 휴대 단말기(100)를 저전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휴대 단말기
110 : 무선통신부
120 : 오디오처리부
130 : 입력부
140 : 저장부
150 : 제1카메라 모듈부
160 : 제2카메라 모듈부
170 : 표시부
180 : 제어부

Claims (13)

  1. 제1카메라 모듈이 후면에 형성되고 제2카메라 모듈이 전면에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카메라 모듈과 제2카메라 모듈에서 각각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카메라 모듈에서 측정한 조도값(A)을 상기 제2카메라 모듈에서 측정한 조도값(B)으로 나눈 값(A/B)과 기 설정된 임계값(K)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A/B와 K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휴대 단말기의 자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제1카메라 모듈 및 제2카메라 모듈에서 각각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A/B가 K 이상인 경우, 후면이 개방된 상태로 휴대 단말기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A/B가 1/K 이하인 경우,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휴대 단말기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이고,
    상기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후면이 개방된 상태로 휴대 단말기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무음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휴대 단말기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A/B가 1/K와 K 사이의 값인 경우, 전면과 후면이 모두 개방되도록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전면과 후면이 모두 개방되도록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부재중 이벤트 알림 모드 및 저전력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
  5. 제1카메라 모듈이 후면에 형성되고 제2카메라 모듈이 전면에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카메라 모듈과 제2카메라 모듈에서 각각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카메라 모듈에서 측정한 조도값(A)에서 상기 제2카메라 모듈에서 측정한 조도값(B)을 뺀 값(A-B)과 기 설정된 임계값(M)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A-B와 M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휴대 단말기의 자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A-B가 M 이상인 경우, 후면이 개방된 상태로 휴대 단말기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A-B가 -M 이하인 경우,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휴대 단말기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후면이 개방된 상태로 휴대 단말기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무음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휴대 단말기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A-B가 -M과 M 사이의 값인 경우, 전면과 후면이 모두 개방되도록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전면과 후면이 모두 개방되도록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부재중 이벤트 알림 모드 및 저전력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
  8. 제1카메라 모듈이 후면에 형성되고 제2카메라 모듈이 전면에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카메라 모듈과 제2카메라 모듈에서 각각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카메라 모듈에서 측정한 조도값(A)과 상기 제2카메라 모듈에서 측정한 조도값(B)을 각각 기 설정된 임계 조도값(L)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A 및 B와 L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자세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휴대 단말기의 자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A가 L 이상이고 B가 L 미만인 경우, 후면이 개방된 상태로 휴대 단말기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B가 L 이상이고 A가 L 미만인 경우,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휴대 단말기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후면이 개방된 상태로 휴대 단말기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무음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휴대 단말기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A가 L 이상이고 B도 L 이상이거나, A가 L 미만이고 B도 L 미만인 경우, 전면과 후면이 모두 개방되도록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전면과 후면이 모두 개방되도록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부재중 이벤트 알림 모드 및 저전력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
  11. 휴대 단말기의 전면에 형성되고 조도를 측정하는 제1카메라 모듈;
    상기 휴대 단말기의 후면에 형성되고 조도를 측정하는 제2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제1카메라 모듈에서 측정한 조도값(A)을 상기 제2카메라 모듈에서 측정한 조도값(B)으로 나눈 값(A/B)과 기 설정된 임계값(K)을 비교하고, A/B가 K 이상인 경우, 후면이 개방된 상태로 휴대 단말기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A/B가 1/K 이하인 경우,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휴대 단말기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휴대 단말기의 자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휴대 단말기의 전면에 형성되고 조도를 측정하는 제1카메라 모듈;
    상기 휴대 단말기의 후면에 형성되고 조도를 측정하는 제2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제1카메라 모듈에서 측정한 조도값(A)에서 상기 제2카메라 모듈에서 측정한 조도값(B)을 뺀 값(A-B)과 기 설정된 임계값(M)을 비교하고, A-B가 M 이상인 경우, 후면이 개방된 상태로 휴대 단말기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A-B가 -M 이하인 경우,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휴대 단말기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휴대 단말기의 자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휴대 단말기의 전면에 형성되고 조도를 측정하는 제1카메라 모듈;
    상기 휴대 단말기의 후면에 형성되고 조도를 측정하는 제2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제1카메라 모듈에서 측정한 조도값(A)과 상기 제2카메라 모듈에서 측정한 조도값(B)을 각각 기 설정된 임계값(L)과 비교하고, A가 L 이상이고 B가 L 미만인 경우, 후면이 개방된 상태로 휴대 단말기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B가 L 이상이고 A가 L 미만인 경우,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휴대 단말기가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휴대 단말기의 자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00103970A 2010-10-25 2010-10-25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 및 장치 KR101727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970A KR101727486B1 (ko) 2010-10-25 2010-10-25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 및 장치
US13/276,656 US8725207B2 (en) 2010-10-25 2011-10-19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osture of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970A KR101727486B1 (ko) 2010-10-25 2010-10-25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122A KR20120061122A (ko) 2012-06-13
KR101727486B1 true KR101727486B1 (ko) 2017-04-17

Family

ID=45973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970A KR101727486B1 (ko) 2010-10-25 2010-10-25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25207B2 (ko)
KR (1) KR1017274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0080B2 (en) 2011-01-31 2013-08-27 Hand Held Product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e of imaging assembly on mobile terminal
US9160923B1 (en) * 2013-07-15 2015-10-13 Amaz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information display using optical data
KR102063102B1 (ko) * 2013-08-19 2020-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912853B2 (en) * 2014-07-31 2018-03-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witching between cameras of an electronic device
TWI522900B (zh) * 2014-09-05 2016-02-21 浩鑫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的螢幕控制方法及其應用程式
CN105575361A (zh) * 2014-10-16 2016-05-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屏幕亮度调节的方法和装置
CN107135341B (zh) 2017-05-03 2019-12-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影像传感器、相机模组及电子装置
CN107465881B (zh) * 2017-09-30 2020-06-2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双摄像头对焦方法、移动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1340A (ja) * 2000-11-30 2002-06-14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
JP2004312742A (ja) * 2003-04-04 2004-11-04 Lg Electronics Inc 携帯端末機の画面明るさ調節装置及びそ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4013A (ja) 1998-12-17 2000-06-30 Nec Corp カメラ付き携帯電話装置
JP4124037B2 (ja) * 2003-06-30 2008-07-23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その動作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U2004285183A1 (en) * 2003-10-30 2005-05-12 Nec Corporation Estimation system, estimation method, and estimation program for estimating object state
KR100833106B1 (ko) 2006-11-29 200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1340A (ja) * 2000-11-30 2002-06-14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
JP2004312742A (ja) * 2003-04-04 2004-11-04 Lg Electronics Inc 携帯端末機の画面明るさ調節装置及びそ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00888A1 (en) 2012-04-26
KR20120061122A (ko) 2012-06-13
US8725207B2 (en) 201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486B1 (ko) 휴대 단말기의 자세 판단 방법 및 장치
EP4030276B1 (en) Content continu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10764730B (zh) 播放音频数据的方法和装置
KR10139292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백라이트 조명 제어 장치
CN110244893B (zh) 一种分屏显示的操作方法及电子设备
US8131322B2 (en) Enabling speaker phone mode of a portable voice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a built-in camera
KR101613953B1 (ko) 휴대 단말기
KR101598078B1 (ko)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CN110798568B (zh) 具有折叠屏的电子设备的显示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102527178B1 (ko) 음성 제어 명령 생성 방법 및 단말
ES2659076T3 (es) Procedimiento y sistema para una aplicación de cámara de inicio rápido en una cámara y un terminal de radio móvil equipado con cámara
CN113722030A (zh) 一种显示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EP3849049A1 (en)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device, foldable-screen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3273530A1 (zh) 手写笔检测方法、装置及终端设备
JP7473029B2 (ja) 携帯情報端末、携帯情報端末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10808021B (zh) 音频播放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WO2020038149A1 (zh) 移动终端
WO2020082954A1 (zh) 终端设备壳体和移动终端
WO2021013106A1 (zh) 一种折叠屏照明方法和装置
KR10199219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용 파우치
CN110851107B (zh) 一种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9922203B (zh) 终端、熄屏方法和装置
EP3768003A1 (en) Mobile terminal performing power control
KR20150061931A (ko) 이동단말기
WO2020038153A1 (zh) 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