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078B1 -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078B1
KR101598078B1 KR1020080097883A KR20080097883A KR101598078B1 KR 101598078 B1 KR101598078 B1 KR 101598078B1 KR 1020080097883 A KR1020080097883 A KR 1020080097883A KR 20080097883 A KR20080097883 A KR 20080097883A KR 101598078 B1 KR101598078 B1 KR 101598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sensor
function
portable terminal
key
piezo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8791A (ko
Inventor
박상춘
전영목
김홍배
이병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7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078B1/ko
Priority to US12/573,988 priority patent/US8284567B2/en
Publication of KR20100038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1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single handed use or left/right hand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측면에 위치하는 종래 버튼식 기능키를 압전 센서로 구현함으로서 휴대 단말기 디자인의 심플함을 강조할 수 있으며, 상기 압전 센서에 설정된 기능들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도록 하여 왼손 사용자 및 오른손 사용자에 관계없이 동일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압전 센서, 기능키, 단축키, 휴대 단말기

Description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Input apparatus using piezoelectric sensor and op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기능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 단말기 측면에 위치하는 기능키들을 압전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서 디자인의 심플함을 강조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어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현재의 휴대 단말기는 통화 기능 이외에 메시지 송수신 기능, 무선 인터넷 기능, 폰북 관리 기능, 스케줄 관리 기능, 카메라 기능, 화상 통화 기능, 녹음 기능, MP3 기능 등의 각종 편의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부를 가지고 있다. 특히, 특정 기능을 신속하게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 또는 단축키들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의 측면에 볼륨키, 카메라키, MP3키 등이 위치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 휴대 단말기의 디자인은 심플(Simple)함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버튼 식으로 휴대 단말기의 측면에 구현된 기능키 또는 단축키들은 휴대 단말기의 심플함을 강조 하는 디자인을 방해하는 요소였다. 다시 말해, 종래 휴대 단말기의 측면에 돌출하도록 위치한 기능키(예컨대 볼륨키, 카메라키, MP3키 등)들은 디자인의 심플함을 방해하는 요소가 되었다.
또한, 이러한 기능키 또는 단축키들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위치를 결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기능키 또는 단축키들은 일반적으로 오른손 사용자를 고려한 위치에 존재하기 때문에 왼손 사용자에게 사용상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휴대 단말기의 측면에 위치하는 기능키를 압전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서 사용자의 편의성 뿐만 아니라 간결한 디자인을 가능하게 하는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제1측면에 위치하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기능에 대응하는 제1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가 설정된 제1압전 센서 및 상기 바디의 제2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1특정 기능과 구분되는 제2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가 설정된 제2압전 센서를 포함하는 압전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의 운용 방법은 제1압전 센서와 제2압전 센서가 서로 다른 측면에 위치하는 휴대 단말기의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기능에 대응하는 제1특정 기능을 제1압전 센서에 매핑하는 과정; 상기 제1특정 기능과 구분되는 제2특정 기능을 제2압전 센서에 매핑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은 압전 센서를 이용하여 기능키를 구현함으로서 휴대 단말기의 디자인을 심플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 사용에 있어서 오른손 사용자와 왼손 사용자 모두에게 동일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는 측면에 기능키를 포함하는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하에서, "압전 센서부의 동작 방식"은 휴대 단말기의 측면에 실장된 제1압전 센서와 제2압전 센서의 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오른손 방식과 왼손 방식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 "기능키"는 메뉴 방식의 프로그램에서 하위 메뉴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데 이러한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 지정한 키로서, 특정 기능을 빠르게 실행하기 위한 일종의 단축키를 의미한다. 이러한 기능키는 휴대 단말기의 일정 부위(예컨대 측면)에 실장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이 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센서부의 동작 방식이 오른손 방식인 경우 제1압전 센서 및 제2압전 센서에 설정된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센서의 동작 방식이 왼손 방식인 경우 제1압전 센서 및 제2압전 센서에 설정된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디의 정면에는 표시부(130)가 위치하며, 상기 표시부(130)를 마주보는 상황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오른쪽 측면(이하 제1측면)에 제1압전 센서(1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측면의 반대 쪽 측면 즉, 사용자의 왼쪽 측면(이하 제2측면)에 제2압전 센서(20)가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압전 센서(Piezoelectric Sensor)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압전 센서는 일정 간격을 가지면 서로 마주보는 판넬의 일 측을 인장하거나 압축시키면 전하를 발생시켜 한쪽 면은 양으로 대전되고, 반대편은 음으로 대전되어 양쪽 면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는 센서이다. 상기 양쪽면 사이에 발생된 전위차는 인가된 압력에 비례하며, 압력 변화에 의하여 생성된 전하는 오래 유지되지 않고 곧 사라지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는 압전 센서는 전위차의 변화를 체크하여 압력이 발생한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 센서는 박막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 제1압전 센서(10) 및 상기 제2압전 센서(20)는 각각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 기능에 대응하는 제1특정 기능 및 제2특정 기능을 빠르게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압전 센서(10) 및 제2압전 센서(20)는 스피커의 음량을 조절하는 볼륨키(Volume Key),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하는 카메 라키(Camera Key),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를 녹음하는 녹음 기능을 활성화하는 녹음키(Record Key), 화상 통화 기능을 활성화하는 화상 통화키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압전 센서(10) 및 제2압전 센서(20)는 휴대 단말기의 디자인을 심플하게 하기 위해 박막형 압전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1압전 센서(10) 및 제2압전 센서(20) 중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구분된 각 영역마다 서로 다른 사용자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압전 센서(10)는 세 개의 영역(11, 12, 13)으로 구분되어, 제1영역(11)은 볼륨 업키(Volume Up Key), 제2영역은 볼륨 다운키(Volume Down Key), 제3영역(13)은 MP3키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제1압전 센서(10)의 특정 위치에 전위차가 발생하면, 상기 전위차가 발생한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영역에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정확한 위치를 터치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이 제1압전 센서(10)를 세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제1압전 센서(10)가 볼륨 업 키, 볼륨 다운 키, MP3 키로 설정된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제1압전 센서(10)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고, 구분된 영역은 화상 통화키, 녹음키, 디지털 방송키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압전 센서(20)도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 영역으로 구분되고, 각 영역에 특정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측면 및 제2측면에는 상기 제1압전 센서(10)가 실장되는 제1 홈(15), 상기 제2압전 센서(20)가 실장되는 제2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홈(15)은 상기 제1압전 센서(10)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압전 센서(10)보다 수 밀리미터(mm) 내지 수 센치미터(cm)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홈(미도시)도 상기 제2압전 센서(20)보다 수 밀리미터(mm) 내지 수 센치미터(cm)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압전 센서(10) 및 제2압전 센서(20)는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눌러져 오동작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100)의 바디 표면 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즉, 상기 바디 표면 이하의 높이를 가지도록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압전 센서(10)와 상기 제2압전 센서(20)는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 방식에 따라 설정된 기능이 변경될 수 있다. 이는 오른손 사용자와 왼손 사용자에게 동일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전화 통화 도중 자주 이용하는 볼륨키는 오른손 사용자의 입장에서 제1측면에 위치하는 것이 편의성이 높은 반면 왼손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볼륨키가 제2측면에 위치하는 것이 편의성이 높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동작 방식 설정 메뉴를 제공함으로서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도 1b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동작 방식을 오른손 방식으로 선택한 경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압전 센서(10)에는 제1특정 기능 예컨대 볼륨 업키, 볼륨 다운키, MP3키로 설정되고, 제2압전 센서(20)에는 제2특정 기능 예컨대 카메라키, 화상 통화키, 녹음키로 설정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동작 방식을 왼손 방식으로 선택한 경우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압전 센서(10)는 카메라키, 화상 통화 키, 녹음키로 설정되고, 상기 제2압전 센서(20)는 볼륨 업키, 볼륨 다운키, MP3키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는 사용자가 압전 센서부의 동작 방식을 변경하는 경우 제1특정 기능을 상기 제2압전 센서(20)에 설정하고, 상기 제2특정 기능을 제1압전 센서(10)에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오른손 사용자와 왼손 사용자에게 동일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표시부(130), 제어부(120), 저장부(140), 압전 센서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전 센서부(110)는 압력이 발생하면 전위차가 발생하는 센서로서, 제1압전 센서(10) 및 제2압전 센서(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압전 센서(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제1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2압전 센서는 제2측면에 위치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압전 센서(10)에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기능에 대응하는 제1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가 설정되고, 제2압전 센서(20)에는 상기 제1특정 기능과 구분되는 제2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가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압전 센서(10) 및 제2압 전 센서(20)는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구분된 각 영역에 특정 기능을 빠르게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압전 센서(10)는 세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각 영역에는 볼륨 업키, 볼륨 다운키, MP3키가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2압전 센서(20)는 세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각 영역에는 카메라키, 화상 통화키, 녹음키가 설정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제1압전 센서(10) 및 제2압전 센서(20)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고, 구분된 영역에는 디지털 방송을 활성화하는 디지털 방송키, 블루투스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블루투스 키 등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120)는 디폴트(Default)로 설정되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압전 센서부(110)의 동작 방식에 따라 상기 제1압전 센서(10) 및 제2압전 센서(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20)는 압전 센서부(110)의 동작 방식 설정 메뉴 활성화 시 압전 센서부(110)의 동작 방식을 선택하는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오른손 방식 또는 왼손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동작 방식을 저장부(1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20)는 상기 압전 센서부(110)의 동작 방식이 오른손 방식인 경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기능에 대응하는 제1특정 기능을 제1압전 센서(10)에 설정하고, 상기 제1특정 기능과 구분되는 제2특정 기능을 제2압전 센서(10)에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동작 방식 설정 메뉴에서 압전 센서부(110)의 동작 방식을 왼손 방식으로 변경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제1특정 기능을 제2압전 센서(20)에 설정하고, 상기 제2특정 기능을 제1압전 센서(20)에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제1압전 센서(10) 및 제2압전 센서(20)의 구분된 영역 중 다수의 영역에 전위차가 발생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구분된 영역의 경계 지점을 누른 경우 상대적으로 전위차가 높은 곳 즉, 전하가 집중된 특정 지점을 누른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영역에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특정 동작을 반복하는 경우 압전 센서부(110)의 동작 방식을 확인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압전 센서부(110)의 동작 방식이 왼손 방식으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가 제1압전 센서(10)의 제1영역을 눌러 카메라 기능 활성화한 후 상기 카메라 기능을 종료하는 동작을 연속해서 2회 이상 반복하면 사용자가 압전 센서부(110)의 동작 방식을 착각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14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휴대 단말기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에 필 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사용자가 선택한 압전 센서부(110)의 동작 방식에 따라 제1압전 센서(10) 및 제2압전 센서(2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폰 북, 오디오 데이터 및 해당 컨텐츠 또는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가 선택한 압전 센서부(110)의 동작 방식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방식은 오른손 방식 또는 왼손 방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제1압전 센서(10) 및 제2압전 센서(20)의 구분된 영역과 상기 구분된 영역에 매핑된 기능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제1압전 센서(10)의 제1영역에는 볼륨 업키, 제2영역에는 볼륨 다운키, 제3영역에는 MP3키 기능이 설정되었다는 매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동일하게 상기 데이터 영역은 제2압전 센서(20)의 구분된 영역과 매핑된 기능들에 대한 매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매핑 정보는 상기 압전 센서부(110)의 동작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전 센서부(110)의 동작 방식이 오른손 방식인 경우 제1압전 센서(10)는 볼륨 업키, 볼륨 다운키, MP3키가 설정되고, 제2압전 센서(20)는 카메라키, 화상 통화키, 녹음키가 설정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압전 센서부(110)의 동작 방식이 왼손 방식인 경우 상기 제1압전 센서(20)는 카메라키, 화상 통화키, 녹음키의 기능으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2압전 센서(20)는 볼륨 업키, 볼륨 다운키, MP3키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 화면을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표시부(130)는 입력 수단으로 동작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30)는 상기 제1압전 센서(10) 또는 제2압전 센서(20)의 일정 영역이 눌리는 경우 상기 눌린 영역에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통화키가 설정된 영역이 눌린 경우 화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특정 동작을 반복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 하에 압전 센서부(110)의 동작 방식을 확인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130)는 사용자가 카메라 기능 활성화하고 종료하는 동작을 연속해서 2회 이상 반복하면 제어부(120)의 제어 하에 압전 센서부(110)의 동작 방식을 변경하라는 메시지 예컨대 "압전 센서 동작 방식이 왼손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동작 방식을 오른손 방식으로 변경 하십시요."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입력부, 카메라 모듈, 방송수신모듈,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신호 출력장치, 마이크로폰과 같은 음성 신호 입력 장치, MP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들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센서부의 동작 방식 설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 방식 설정 메뉴의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전원이 공급되어 부팅이 완료되면, S301 단계에서 대기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는 S303 단계에서 압전 센서부의 동작 방식 설정 메뉴가 활성화 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S303단계에서 압전 센서부의 동작 방식 설정 메뉴가 활성화 되지 않으면 제어부는 S304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악 재생, 동영상 재생, 디지털 방송 재생 등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S301 단계의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디폴트(Default)로 설정되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압전 센서부의 동작 방식에 따라 제1압전 센서 및 제2압전 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압전 센서 및 제2압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구분된 각 영역마다 서로 다른 사용자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S303 단계에서 압전 센서부의 동작 방식 설정 메뉴가 활성화 되면 제어부는 S305 단계로 진행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압전 센서부 동작 방식 설정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S307 단계에서 입력부 또는 표시부가 터치스크린인 경우 터치를 통해 사용자가 왼손 방식 또는 오른손 방식 중 어느 동작 방식을 선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S309 단계에서 표시부의 우측 하단에 위치하는 저장 메뉴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압전 센서부의 동작 방식을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저장된 동작 방식에 따라 상기 제1압전 센서 및 제2압전 센서의 기능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기능에 대응하는 제1특정 기능을 제1압전 센서에 설정하고, 상기 제1특정 기능과 구분되는 제2특정 기능을 제2압전 센서에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동작 방식 설정 메뉴에서 압전 센서부의 동작 방식을 변경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제1특정 기능을 제2압전 센서에 설정하고, 상기 제2특정 기능을 제1압전 센서에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측면에 위치하는 종래 버튼식 기능키를 압전 센서로 구현함으로서 휴대 단말기 디자인의 심플함을 강조할 수 있으며, 상기 압전 센서에 설정된 기능들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여 왼손 사용자 및 오른손 사용자에 관계없이 동일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게 자명한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센서의 동작 방식이 오른손 방식인 경우 제1압전 센서와 제2압전 센서에 설정된 기능을 도시한 도면,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센서의 동작 방식이 왼손 방식인 경우 제1압전 센서와 제2압전 센서에 설정된 기능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센서부의 동작 방식 설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센서부의 동작 방식 설정 메뉴의 화면 예시도.

Claims (11)

  1.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제1측면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로 설정된 제1압전 센서 및 상기 바디의 제2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능과 구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로 설정된 제2압전 센서를 포함하는 압전 센서부; 및
    상기 제1압전 센서 또는 상기 제2압전 센서의 특정 위치에서 전위차 발생 시 상기 전위차가 발생한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압전 센서 및 상기 제2압전 센서는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각 영역 마다 서로 다른 기능이 설정되며,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압력이 인가된 위치에서 상기 인가된 압력에 대응하는 전위차가 발생하며,
    상기 제1측면은 상기 바디 표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압전 센서를 실장하기 위한 제1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측면은 상기 바디 표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압전 센서를 실장하기 위한 제2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센서부의 동작 방식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동작 방식에 따라 상기 제1압전 센서 및 상기 제2압전 센서에 설정된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상기 저장된 압전 센서부의 동작 방식을 변경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능을 상기 제2압전 센서에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기능을 상기 제1압전 센서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9. 제1압전 센서와 제2압전 센서가 서로 다른 측면에 위치하는 휴대 단말기의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능을 상기 제1압전 센서에 설정하는 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능과 구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능을 상기 제2압전 센서에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제1압전 센서 또는 상기 제2압전 센서의 특정 위치에서 전위차 발생 시 상기 전위차가 발생한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제1압전 센서 및 상기 제2압전 센서는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구분된 각 영역마다 서로 다른 기능이 설정되며,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압력이 인가된 위치에서 상기 인가된 압력에 대응하는 전위차가 발생하며, 상기 서로 다른 측면에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의 운용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전 센서와 상기 제2압전 센서를 포함하는 압전 센서부의 동작 방식의 변경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능을 상기 제2압전 센서에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능을 상기 제1압전 센서에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의 운용 방법.
KR1020080097883A 2008-10-06 2008-10-06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1598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883A KR101598078B1 (ko) 2008-10-06 2008-10-06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US12/573,988 US8284567B2 (en) 2008-10-06 2009-10-06 Mobile terminal including input device having piezoelectric sens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883A KR101598078B1 (ko) 2008-10-06 2008-10-06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791A KR20100038791A (ko) 2010-04-15
KR101598078B1 true KR101598078B1 (ko) 2016-02-29

Family

ID=42075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883A KR101598078B1 (ko) 2008-10-06 2008-10-06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84567B2 (ko)
KR (1) KR1015980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3071B2 (ja) * 2012-04-25 2017-02-01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8774855B2 (en) * 2012-11-09 2014-07-08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to estimate head relative handset location
US9466872B2 (en) 2012-11-09 2016-10-11 Futurewei Technologies, Inc. Tunable dual loop antenna system
WO2014112494A1 (ja) * 2013-01-18 2014-07-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変位検出センサおよび操作入力装置
CN104317523A (zh) * 2014-11-14 2015-01-2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触控输入装置及方法
CN104935688B (zh) * 2015-03-18 2018-01-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触摸式移动终端
WO2017011968A1 (zh) * 2015-07-18 2017-01-26 秦玲娟 基于横竖换屏而调整音量键的方法和移动终端
CN106125881B (zh) * 2016-06-13 2018-10-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控制工作状态的方法和装置
US10095342B2 (en) 2016-11-14 2018-10-09 Google Llc Apparatus for sensing user input
US10001808B1 (en) * 2017-03-29 2018-06-19 Google Llc Mobile device accessory equipped to communicate with mobile device
US10013081B1 (en) 2017-04-04 2018-07-03 Google Llc Electronic circuit and method to account for strain gauge variation
US10635255B2 (en) * 2017-04-18 2020-04-28 Google Llc Electronic device response to force-sensitive interface
US10514797B2 (en) 2017-04-18 2019-12-24 Google Llc Force-sensitive user input interface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210009216A (ko) 2019-07-16 2021-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스 키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2486346B (zh) * 2019-09-12 2023-05-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按键模式设置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210041785A (ko) 2019-10-08 2021-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구조, 키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217A (ko) * 2001-07-12 2003-01-2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커서조작장치
KR100457141B1 (ko) * 2002-03-02 2004-11-16 주식회사 레인콤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및장치
US7379762B2 (en) * 2003-09-04 2008-05-27 Creative Technology Ltd. Portable digital device orientation
KR20060118270A (ko) * 2005-05-16 200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운용 방법
JP5044196B2 (ja) * 2006-11-13 2012-10-1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圧電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94918B1 (ko) * 2007-01-29 2008-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 제어 방법 및장치
KR101467513B1 (ko) * 2008-02-11 2014-1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85724A1 (en) 2010-04-08
KR20100038791A (ko) 2010-04-15
US8284567B2 (en) 2012-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8078B1 (ko)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1555511B1 (ko) 압전 센서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홀드 기능 제어 방법 및장치
US9733767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RU2596980C2 (ru) Способ операций над данными для терминала, включающего в себя блоки трехсекционного дисплея, и терминал, поддерживающий способ
KR10187374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1340765B2 (e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displaying a dynamically adjusted control in an interface of a multimedia information application
EP1926294B1 (en) Mobile terminal having dual display unit and method of changing display screen using the same
RU2471223C2 (ru)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дачей данных связи и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списка связи в нем
US9575655B2 (en) Transparent layer application
KR101785323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8934949B2 (en) Mobile terminal
US201001317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ng mode of mobile terminal
EP2384022A2 (en) Earphone system for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60210111A1 (en) Apparatus for enabling Control Input Modes and Associated Methods
KR20110012309A (ko) 전자기기에서 볼륨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2505568A (ja) 移動通信装置のためのマルチメディアモジュール
KR10198070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5013446A1 (en) Method and device for loudness level determination
KR20150001461A (ko) 사용자 전자기기의 애플리케이션에서 페이지 표시 모드 관리 방법 및 장치
JP4990582B2 (ja) 携帯電子機器
CN109918014B (zh) 页面显示方法、可穿戴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6648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호기능 자동 등록 및 실행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863654B1 (ko) 입력 신호에 따른 화면 변화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JP2014075722A (ja) 携帯端末装置
KR20140102902A (ko)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환경 설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