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918B1 -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 제어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 제어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918B1
KR100794918B1 KR1020070008919A KR20070008919A KR100794918B1 KR 100794918 B1 KR100794918 B1 KR 100794918B1 KR 1020070008919 A KR1020070008919 A KR 1020070008919A KR 20070008919 A KR20070008919 A KR 20070008919A KR 100794918 B1 KR100794918 B1 KR 100794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peaker
input unit
key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8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918B1/ko
Priority to US11/965,529 priority patent/US796218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1/10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 B25B1/1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with mechanical or hydraulic power ampl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02Vices with sliding ja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면에 제1 스피커 및 제1 입력부를 구비하며, 타면에 제2 스피커 및 제2 입력부를 구비하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대기 모드 수행 중에 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호 착신에 따른 통화 정보를 양면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호 착신을 알리는 착신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및 제2 키 입력부 중 어느 한 면의 통화 수락키가 눌려지는지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 결과 통화 수락키가 눌려진 면과 동일면의 스피커를 활성화는 과정과, 상기 활성화된 스피커를 통해 수화음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양면 모두를 사용하여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dual LCD

Description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of controlling bar-type portable terminal having dual display unit and appa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제2 몸체가 180도 회전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제2 몸체가 180도 회전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 타입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각종 휴대 단말기들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 단말기들은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기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휴대폰의 경우에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외에도 TV시청 기능(예컨대 DMB나 DVB와 같은 이동방송), 음악 재생 기능(예컨대 MP3), 사진 촬영 기능 등의 각종 멀티미디어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 기능의 다양화와 함께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위한 메뉴와 각 메뉴에 따른 다양한 콘텐츠(예컨대, DMB의 다양한 채널 등)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기능을 특징적 분류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가 개발되었고,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바 형의 휴대 단말기로 양면 표시부를 구비하며, 그 양면 표시부에 따라 양면에 키 입력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호 착신 시, 어느 일면만을 사용하여 통화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는 감촉으로 각 면을 구분하기 힘들고 사용자가 주머니 등에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할 때, 통화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면으로 뒤집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의 양면 모두를 이용하여 통화를 가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 타입 휴대 단말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면에 위치하는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 상기 제1 스피커와 동일면에 위치하는 제1 입력부 상기 제2 스피커와 동일면에 위치하는 제2 입력부 호 착신 시, 상기 제1 및 제2 입력부 중 어느 쪽의 통화 수락키를 통해 통화수락신호가 입력되는지 감지하는 키 입력 감지부 및 상기 키 입력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통화수락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시킨 스피커를 통해 수화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제1 입력부를 통해 통화수락신호를 감지하면, 제1 스피커를 활성화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제2 입력부를 통해 통화수락신호를 감지하면, 제2 스피커를 활성화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 타입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일면에 제1 스피커 및 제1 입력부를 구비하며, 타면에 제2 스피커 및 제2 입력부를 구비하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대기 모드 수행 중에 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및 제2 키 입력부 중 어느 한 면의 통화 수락키가 눌려지는지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 결과 통화 수락키가 눌려진 면과 동일면의 스피커를 활성화는 과정과, 상기 활성화된 스피커를 통해 수화음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감지 결과 통화 수락키가 눌려진 면과 동일면의 스피커를 활성화는 과정은, 제1 입력부의 통화 수락키가 눌려진 경우, 제1 스피커를 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 결과 통화 수락키가 눌려진 면과 동일면의 스피커를 활성화는 과정은, 제2 입력부의 통화 수락키가 눌려진 경우, 제2 스피커를 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를 수신하는 과정은, 호가 수신되면, 호 수신에 따른 통화 정보를 양면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표시하고, 호 수신을 알리는 착신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착신 신호는 링 톤 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 톤 음은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 중 어느 하나의 스피커를 통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신 신호는 진동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 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예컨대, 이하에서 설명되는 수신 및 착신의 의미는 동일한 것이며, 혼용해서 사용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제2 몸체가 180도 회전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제2 몸체가 180도 회전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제1 몸체(102)와 제2 몸체(104)가 연결된 바형(bar type)의 휴대 단말기로서, 제1 몸체(102)와 제2 몸체(104)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모듈(10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몸체(102)는 그 전면과 후면에 각각 표시부(120, 130)와 스피커(181, 191)를 구비한다. 제2 몸체(104)는 그 전면과 후면에 각각 입력부(140, 150)를 구비한다. 또한, 도면부호 183 및 193은 마이크로써, 도면부호의 위치에 중 어느 한쪽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양쪽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힌지 모듈(106)은 제1 몸체(102)와 제2 몸체(104)의 마주보는 양측면 의 일측에 수직으로 관통하게 설치되어 제1 및 제2 몸체(102, 104)가 힌지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몸체(102)의 양면 표시부(120, 13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 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다른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전면에 장착된 제1 표시부(120)는 후면에 장착된 제2 표시부(130)보다 상대적으로 화면 크기가 크고 해상도가 우수하다. 예를 들어, 제1 표시부(120)는 대형 QVGA(quarter video graphics array) LCD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표시부(130)는 소형 QCIF(quarter common intermediate format) LCD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면 표시부(120, 130)가 동일한 크기와 해상도를 가지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과 후면은 설명을 위하여 편의상 구분한 것이다.
제1 표시부(120)는 멀티미디어 기능의 수행화면을 표시하는 멀티미디어 모드(multimedia mode)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표시부(130)는 통신 기능과 같은 일반적 기능의 수행화면을 표시하는 통신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화면을 표시할 때, 제1 표시부(120)는 도 1과 같이 가로 모드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표시부(130)는 도 2와 같이 세로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양면 표시부(120, 130)가 반드시 이러한 모드 구분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몸체(102)의 양면 스피커(181, 191)는 제1 표시부(120)와 동일면에 설치 되는 제1 스피커(181)와, 제2 표시부(130)와 동일면에 설치되는 제2 스피커(19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양면 스피커(181, 191)는 제2 몸체(104)에서 먼 쪽에 설치된다.
제2 몸체(104)의 양면 입력부(140, 150)는, 휴대 단말기(100)가 정상상태일 때, 전면에 설치된 제1 입력부(140)와, 후면에 설치된 제2 입력부(150)를 구비하며, 측면에도 다수개의 입력 버튼으로 구성된 제3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부(140)는 터치패드(touchpad)이고, 제2 입력부(145)는 키패드(keypad)이다. 제1 입력부(140)의 터치패드는 예컨대 모두 12개의 터치 버튼으로 구성된다. 터치 버튼은 4방향 버튼, 메뉴 버튼, 취소 버튼, 확인 버튼, 사업자전용 버튼 등이다. 제2 입력부(150)의 키패드는 예컨대 3*4 문자숫자키, 4 방향 검색키, 각종 기능키로 구성된다.
제2 몸체(104)의 양면 마이크(183, 193)는 제1 입력부(140)와 동일면에 설치되는 제1 마이크(183)와, 제2 입력부(150)와 동일면에 설치되는 제2 마이크(193)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마이크 모두 구비될 수 있으나, 이하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2 마이크(193) 하나만 구비한 것으로 하여 설명할 것이다. 양면 마이크(183, 193)는 제1 몸체(102)에서 먼 쪽에 설치된다.
그리고 힌지 모듈(106)은 제1 몸체(102)와 제2 몸체(104)가 접하는 경계면에 각각 결합된다. 힌지 모듈(106)의 구동원은 제1 몸체(102) 또는 제2 몸체(104)의 회전 동작을 수동, 반자동 또는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수동 또는 반자동인 경우, 힌지 모듈(106)은 제1 몸체(102)에 대해서 제2 몸 체(104)가 일정 각도로 회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일정 각도는 0도, 30도 내지 45도, 180도일 수 있다. 여기서, 0도는 정상상태를 의미하고, 나머지는 회전상태를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는 정상상태를 나타내고, 도 3 및 도 4는 회전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몸체(102, 104)가 정상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힌지 모듈(106)의 반대편에 로킹 모듈(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도 1 및 도 2의 정상상태에서 도 3 및 도 4의 회전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물론 반대로 회전상태에서 정상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제1 및 제2 표시부(120, 130), 제1 및 제2 입력부(140, 150), 저장부(160), 오디오 처리부(170), 무선 통신부(180) 및 제어부(190)를 구비한다. 그 밖에 디지털 방송 수신부, 카메라부 등의 부가 기능을 위한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및 제2 표시부(120, 130)는 각각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 및 기능 수행과 관련된 각종 영상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제1 및 제2 표시부(120, 13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활성화되어 영상 정보를 표시한다.
제1 및 제2 입력부(140, 150)는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90)로 전송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링 톤음 이 발생하는 상황의 경우, 제1 및 제2 입력부(140, 150)의 모든 키들은 통화수락키가 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160)는 소정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프로그램 영역 및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를 부팅(booting)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문자 메시지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한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통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텍스트, 정지 영상 및 동영상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폰북(Phone book) 데이터 등의 사용자의 설정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170)는 제어부(19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9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오디오처리부(130)는 음성/음향 데이터를 제어부(190)의 제어에 상응하여 제1 및 제2 스피커(SPK1, SPK2)(181, 191)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킨다. 아울러, 활성화시킨 스피커를 통해 음성/음향 데이터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출력한다.
무선 통신부(180)는 사용자 데이터 예컨대, 메시지를 외부 다른 휴대 단말기 등으로 무선 송수신하는 일련의 통신을 담당한다. 무선 통신부(18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90)는 제1 및 제2 표시부(120, 130), 제1 및 제2 입력부(140, 150), 저장부(160), 오디오 처리부(170), 무선 통신부(180)의 각 구성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하나 또는 두 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칩으로 구성된다. 제어부(190)가 두 개의 칩으로 이루어질 경우, 그 중 하나는 멀티미디어 전용 제어 칩이다. 특히 제어부(190)는 양면 스피커(181, 191)와 마이크(193)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90)는 무선통신부(180)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부와,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데이터처리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처리장치는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모뎀(MODEM) 및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이러한 데이터처리장치는 무선통신부(18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무선통신부(180)와 제어부(190)의 사이에 독립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90)는 키 입력 감지부(200)를 구비한다. 키 입력 감지부(2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에 행위에 의해 통화 수락키가 눌려지면, 제1 또는 제2 입력부(140, 150) 중 어느 쪽의 통화 수락키가 눌려졌는지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190)에 전달한다.
이하로는 상기한 구성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 방법 중 통화 수락에 따른 스피커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 타입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S601 단계에서 대기 모드에 있다. 대기 모드중에 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90)는 S603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여, S605 단계에서 호 수신 알림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모드가 링 모드인지 진동 모드인지 판단한다.
S60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링 모드 이면, 제어부(190)는 S607 단계에서 제1 스피커(181)를 활성화시키고, S609 단계에서 제1 스피커(181)를 통해 링 톤(ring tone)음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링 톤 음은 상대방(발신자)의 휴대 단말기로부터 호 연결 신호를 받는 경우 발생하며, 이때, 발신자의 휴대 단말기는 링 백 톤(ring back tome)음을 발생시킨다.
한편, S60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진동 모드이면, 제어부(190)는 S611 단계에서 진동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진동은 진동 모드에서 상술한 링 톤 음을 대신하여 호를 수신함을 알리도록 발생하는 것이다.
이어서, 제어부(190)는 S611 단계에서 양면 표시부(120, 13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통화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통화 정보는 양면 표시부(120, 130)를 통하여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통화 정보는 발신자에 대한 폰북 데이터가 휴대 단말기(100)의 저장부(160)에 저장된 경우, 발신자의 이름과 전화번호가 될 수 있다. 또한, 폰북 데이터가 없는 경우, 발신 전화번호가 될 수 있다.
링 톤 음 또는 진동이 발생할 때,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주머니에 있다고 가정한다. 사용자는 링 톤 음 또는 진동을 통해 호 연결을 시도하고 있음을 인지하고 전화를 받으려 할 것이다. 사용자가 주머니에서 휴대 단말기를 꺼내면, 제어부(190)는 양면 표시부(120, 130)를 통해 통화 정보를 표시하므로, 사용자는 양면 표시부(120, 13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통화 정보를 볼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통화를 위하여 제1 또는 제2 입력부(140, 150)의 통화 수락 키 중 어느 하나의 키를 누르면, 제어부(190)는 S615 단계에서 키 입력 감지부(200)를 통해 어느 입력부(140 또는 150)의 키가 눌렸는지 감지한다. 여기서, 통화 수락 키는 링 톤 음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어떤 키가 눌리든지 상관없이 통화 수락키가 될 수 있다. 즉, 링 톤 음이 발생하는 순간의 모든 키는 통화 수락키가 될 수 있다.
S615 단계에서의 감지 결과, 제1 입력부(140)를 통해 통화 수락키가 눌려졌음을 감지하면, 제어부(190)는 S617 단계에서 제1 스피커(181)를 활성화시킨다. 여기서, 앞선 과정(S607)에서 제1 스피커를 활성화시킨 경우는 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앞서, 제1 입력부(140)와 제1 스피커(181)는 동일면에 위치함을 주지한 바 있 다.
한편, S615 단계에서의 감지 결과, 제2 입력부(150)를 통해 통화 수락키가 눌려졌음을 감지하면, 제어부(190)는 S619 단계에서 제1 스피커(181)를 비활성화시키고, S621 단계에서 제2 스피커(191)를 활성화시킨다. 앞서, 제2 입력부(150)와 제2 스피커(191)는 동일면에 위치함을 주지한 바 있다.
다음으로, S623 단계에서 제어부(190)는 활성화된 제1 또는 제2 스피커(181 또는 191)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도록 수화음을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통화를 위한 통화 수락키를 누르면, 통화 수락키를 누른 입력부와 동일면의 스피커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어떤 면을 바라보고 통화시도를 하든지 휴대 단말기(100)를 뒤집는 일 없이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화 시, 마이크(193)는 휴대 단말기의 하측부에 위치함으로써, 어떤 경우이든지 음성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호 수신 시, 사용자가 통화 수락키를 누른 입력부와 동일면의 스피커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주머니 등에서 어떤 면으로 파지하든지 무관하게 휴대 단말기를 뒤집는 일 없이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사용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바 타입 휴대 단말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면에 위치하는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
    상기 제1 스피커와 동일면에 위치하는 제1 입력부
    상기 제2 스피커와 동일면에 위치하는 제2 입력부
    호 착신 시, 상기 제1 및 제2 입력부 중 어느 쪽의 통화 수락키를 통해 통화수락신호가 입력되는지 감지하는 키 입력 감지부 및
    상기 키 입력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통화수락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시킨 스피커를 통해 수화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타입 휴대 단말기의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입력부를 통해 통화수락신호를 감지하면, 제1 스피커를 활성화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타입 휴대 단말기의 제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 입력부를 통해 통화수락신호를 감지하면, 제2 스피커를 활성화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타입 휴대 단말기의 제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타입 휴대 단말기의 제어 장치.
  5. 일면에 제1 스피커 및 제1 입력부를 구비하며, 타면에 제2 스피커 및 제2 입력부를 구비하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대기 모드 수행 중에 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및 제2 키 입력부 중 어느 한 면의 통화 수락키가 눌려지는지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 결과 통화 수락키가 눌려진 면과 동일면의 스피커를 활성화는 과정과,
    상기 활성화된 스피커를 통해 수화음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감지 결과 통화 수락키가 눌려진 면과 동일면의 스피커를 활성화는 과정은,
    제1 입력부의 통화 수락키가 눌려진 경우, 제1 스피커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타입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감지 결과 통화 수락키가 눌려진 면과 동일면의 스피커를 활성화는 과정은,
    제2 입력부의 통화 수락키가 눌려진 경우, 제2 스피커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호를 수신하는 과정은, 호가 수신되면, 호 수신에 따른 통화 정보를 양면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표시하고, 호 수신을 알리는 착신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착신 신호는 링 톤 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링 톤음은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 중 어느 하나의 스피커를 통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착신 신호는 진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070008919A 2007-01-29 2007-01-29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 제어 방법 및장치 KR100794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919A KR100794918B1 (ko) 2007-01-29 2007-01-29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 제어 방법 및장치
US11/965,529 US7962184B2 (en) 2007-01-29 2007-12-27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ar-type mobile terminal having dual display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919A KR100794918B1 (ko) 2007-01-29 2007-01-29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 제어 방법 및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4918B1 true KR100794918B1 (ko) 2008-01-21

Family

ID=39218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919A KR100794918B1 (ko) 2007-01-29 2007-01-29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 제어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62184B2 (ko)
KR (1) KR1007949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07029B2 (en) * 2007-12-10 2012-11-06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ditional delivery of messages
KR101598078B1 (ko) * 2008-10-06 2016-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전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KR20100093701A (ko) * 2009-02-17 201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시대기 단말 및 그의 통화 중 대기음 제공 방법
JP5364925B2 (ja) * 2009-02-27 2013-12-11 現代自動車株式会社 車載機器の入力装置
US20110273372A1 (en) * 2010-05-09 2011-11-10 Elsid Aliaj Mobile device with unique features
US8326370B2 (en) * 2010-09-23 2012-12-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otating a user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CA2810910C (en) * 2010-09-23 2017-10-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otating a user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KR101398141B1 (ko) * 2013-02-08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205193693U (zh) * 2015-12-11 2016-04-27 乐视移动智能信息技术(北京)有限公司 无物理滑动实体按键的移动终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2590A (ko) * 2004-07-02 2006-01-0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중구조 출력부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를이용한 신호 출력 방법
KR20060002562A (ko) * 2004-07-02 2006-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스피커를 가진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전화수신 방법
KR100778024B1 (ko) 2006-12-28 2007-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양면 스피커와양면 마이크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03476B2 (ja) * 2005-01-24 2009-01-07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情報装置
US7633076B2 (en) * 2005-09-30 2009-12-15 Apple Inc. Automated response to and sensing of user activity in portable de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2590A (ko) * 2004-07-02 2006-01-0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중구조 출력부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를이용한 신호 출력 방법
KR20060002562A (ko) * 2004-07-02 2006-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스피커를 가진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전화수신 방법
KR100778024B1 (ko) 2006-12-28 2007-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양면 스피커와양면 마이크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82632A1 (en) 2008-07-31
US7962184B2 (en) 201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918B1 (ko)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 제어 방법 및장치
US109087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display control of a video image in mobile terminal
KR100778024B1 (ko) 양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양면 스피커와양면 마이크 제어 방법
CN1925652B (zh) 在便携式终端中执行多任务的设备和方法
KR101901720B1 (ko) 더미 장치와의 연동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00075723A1 (en) Potable device including earphone circuit and op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US20100214227A1 (en) Dual scre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07105369A1 (ja) 携帯電話機
KR20110093327A (ko) 3개의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09006788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전화 연결 방법
KR20090100320A (ko)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44844A (ko) 디지털 방송 채널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US90261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a call via speakerphone in a mobile device
JP4907780B2 (ja) 移動通信機及び遠隔制御方法
US20060274039A1 (en) Method of performing communication in a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1638924B1 (ko) 전자장치
US20050088513A1 (en) Open-to-view video telephony ca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547741B1 (ko)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JP2008054069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782075B1 (ko) 휴대 단말에서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US20060277266A1 (en) Wireless terminal having switching function for image attach mode and method thereof
KR100849293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060294541A1 (en) Method of performing a call in a wireless terminal
KR20090100319A (ko)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100772579B1 (ko)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