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567B1 -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567B1
KR101859567B1 KR1020120005753A KR20120005753A KR101859567B1 KR 101859567 B1 KR101859567 B1 KR 101859567B1 KR 1020120005753 A KR1020120005753 A KR 1020120005753A KR 20120005753 A KR20120005753 A KR 20120005753A KR 101859567 B1 KR101859567 B1 KR 101859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brightness
illuminance
tilt
meas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4854A (ko
Inventor
김진수
류형택
정승구
최일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5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567B1/ko
Priority to US13/735,296 priority patent/US9153206B2/en
Publication of KR20130084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06Manual adjust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9G2320/062Adjustment of illumination source parame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8Arrangements within a display terminal for setting, manually or automatically, display parameters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6/00Detection of the display position w.r.t. other display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밝기에 따라 표시부의 휘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과정; 상기 측정된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에 따라 조도 센서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 조도를 측정하는 과정; 및 상기 측정된 외부 조도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휘도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RIGHTNESS OF DISPLAY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밝기에 따라 표시부의 휘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통화 기능, 음악 재생 기능, 문자 메시지 송수신 기능,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사용 시간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한편,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표시부의 크기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가 소모하는 전류의 비중이 증가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의 휘도를 제어하여 전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었다. 즉,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밝기(조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 결과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의 휘도를 조절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조도 센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광원과의 각도에 따라 외부 조도를 오인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조도 센서가 설치된 면)와 광원 사이의 각도가 직각일 때 상기 조도 센서는 정상적으로 외부 밝기를 인식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휴대 단말기가 일정값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조도 센서는 외부 밝기를 정상적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실제 밝기보다 감소된 밝기로 인식한다. 이와 같은 경우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실제 외부 밝기가 감소하지 않았는데 외부 밝기가 감소한 것으로 오인식하여 표시부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에 따라 외부 조도를 오인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에 따라 조도 센서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밝기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외부 밝기에 따라 표시부의 휘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과정; 상기 측정된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에 따라 조도 센서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 조도를 측정하는 과정; 및 상기 측정된 외부 조도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휘도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장치는 휘도 변경이 가능한 표시부;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 노출을 측정할 수 있는 카메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 및 상기 측정된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조도 센서 및 상기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 조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외부 조도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휘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 및 장치는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외부 밝기를 오인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에 따라 조도 센서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 밝기를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외부 밝기가 변하지 않는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 변화로 인하여 표시부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최적의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인식하는 조도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어부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nel Computer),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노트북(Notebook) PC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인식하는 조도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본체는 일반적으로 직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전면에 표시부(130)가 위치한다. 상기 표시부(130)의 상단에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 10)가 위치하며, 상기 스피커(10)의 좌측에는 외부 밝기(조도)를 측정할 수 있는 조도 센서(17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의 하단에는 다수의 기능키(예컨대 취소키(41), 홈키(42), 메뉴키(43))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후면에는 카메라(19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90) 하단에는 플레쉬(Flash)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LED(Light Emitting Diode, 2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본체 내부에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기울기 센서(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외부 조도의 변화에 따라 표시부(130)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조도 센서(170)를 이용하여 외부의 조도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표시부(130)의 휘도를 조절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이 동일한 경우 즉, 외부 조도의 변화가 없더라도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에 따라 조도 센서(170)가 인식하는 외부 조도값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부호 210의 도면과 같이 광원과 휴대 단말기(100)가 직각을 이루는 경우 상기 조도 센서(170)는 외부 조도를 정상적으로 인식한다. 하지만, 식별 부호 220, 식별 부호 230 및 식별 부호 240의 도면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와 광원이 직각이 아닌 경우 조도 센서(170)는 외부 조도를 정상적으로 인식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에 따라 조도 센서(170) 및 카메라(19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조도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표시부(130)의 휘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도 2의 식별 부호 210과 같이 외부 조도를 정상적으로 인식 가능한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조도 센서(170)를 통해 인식되는 외부 조도에 따라 상기 표시부(130)의 휘도를 제어하고, 상기 식별 부호 220 및 식별 부호 230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조도 센서(170)를 통해 인식되는 조도값 및 카메라(190)의 노출값의 조합을 통해 인식되는 외부 조도에 따라 상기 표시부(130)의 휘도를 제어하며, 식별 부호 240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카메라(190)의 노출값을 통해 인식되는 외부 조도에 따라 상기 표시부(130)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특정 기울기 범위를 가지는 경우 예컨대 식별 부호 220 내지 240과 같이 조도 센서(170)가 정상적으로 외부 조도를 측정하지 못하는 기울기 범위를 가지는 경우 카메라(190)를 주기적으로 활성화하여 노출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어부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카메라(190), 기울기 센서(180), 조도 센서(170), 무선 통신부(150), 입력부(140), 표시부(130), 저장부(120) 및 제어부(11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휘도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10)는 휘도 제어 모드 설정부(111), 기울기 산출부(112), 조도 산출부(113), 노출값 산출부(114) 및 휘도 제어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기지국과 통화(음성 통화 및 화상 통화 포함)를 위한 통신 채널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통신 채널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미도시),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미도시) 및 수신 신호와 송신 신호를 분리하는 송수신 분리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40)는 숫자 또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입력부(140)는 외부 밝기에 따라 표시부(130)의 휘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 휘도 제어 모드를 온/오프(ON/OFF)하는 입력 신호를 제어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40)는 버튼식 키패드(Key Pad), 볼 조이스틱(Ball Joystick), 옵티컬 조이스틱(Optical Joystick), 휠 키(Wheel Key), 터치 키(Touch key), 터치 패드(Touch Pad), 터치스크린(130) 등과 같은 입력 수단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즉, 상기 표시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대기 화면(홈 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일정 관리 화면, 주소록 화면, 웹 페이지 출력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조도 센서(170) 및 카메라(19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측정된 외부 밝기에 따라 휘도가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입력부(140)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기울기 센서(180)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기울기 센서(180)는 자동 휘도 제어 모드에서 활성화되어,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변화에 따른 정보를 제어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기울기 센서(180)는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기울기 센서(Tilt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ravity Sensor)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90)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로, 피사체를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90)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방식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9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190)는 자동 휘도 제어 모드가 활성화(ON)되고,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가 특정 범위인 경우 활성화되어 노출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19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주기적으로 노출값을 측정하여 외부 밝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카메라(190)는 노출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190)의 노출값을 통해 외부 밝기를 측정하는 방법은 주지 관용의 기술이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조도 센서(170)는 외부 밝기(조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 자동 휘도 제어 모드 시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조도 센서(170)는 트랜지스터(Transistor) 또는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등과 같은 광 감지 소자를 구비하는 광 센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광 감지 소자는 빛의 량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된다. 즉, 상기 조도 센서(170)는 저항값의 변화를 통해 외부 조도를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조도 센서(170)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부(120)는 휴대 단말기(100)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비롯하여,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방송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 데이터 및 통신 시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20)는 동영상 파일, 게임 파일, 음악 파일, 영화 파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20)는 외부 밝기에 따라 표시부(130)의 휘도를 제어하는 자동 휘도 제어 응용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자동 휘도 제어 응용프로그램은 자동 휘도 제어 모드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루틴, 상기 자동 휘도 제어 모드 온 시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변화를 검출하는 루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조도 센서(170) 및 카메라(19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 밝기를 측정하는 루틴, 상기 측정된 외부 밝기에 따라 표시부(130)의 휘도를 제어하는 루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밝기를 측정하는 루틴은 조도 센서(170)를 통해 외부 밝기를 산출하는 루틴, 카메라(190)의 노출값을 통해 외부 밝기를 산출하는 루틴 및 상기 산출된 조도값과 노출값을 조합하여 외부 밝기를 산출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기울기 범위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울기 범위는 조도 센서(170) 및 카메라(190)의 활성화 상태에 따라 3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기울기 범위는 조도 센서(170)만 활성화되는 0도 이상 20도 미만이 될 수 있다. 제2기울기 범위는 조도 센서(170) 및 카메라(190)가 활성화되는 20도 이상 160도 미만이 될 수 있다. 제3기울기 범위는 카메라(190)만 활성화되는 160도 이상 180도 이하가 될 수 있다. 한편, 360도 회전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제1기울기 범위는 340도 이상 360도 미만의 범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기울기 범위는 200도 이상 340도 미만의 범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3기울기 범위는 180도 이상 200도 이하의 범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기울기 범위는 다수의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기울기 범위는 20도 이상 50도 미만, 50도 이상 90도 미만, 90도 이상 120도 미만, 120도 이상 160도 미만 즉, 4 단계로 분류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제2기울기 범위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단계로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기울기, 조도 및 노출값과 휘도를 매핑한 아래 <표 1>과 같은 휘도 테이블(121)을 저장할 수 있다.
휘도
(cd/m2)
야외 2(300) 야외 1(220) 실내 2(160) 실내 1(110) 야간(40)
조도
(lux)
980 이상 860 이상
980 미만
740 이상
860 미만
620 이상
740 미만
620 미만
노출 580 이상 490 이상
580 미만
400 이상
490 미만
310 이상
400 미만
310 미만
상기 <표 1>의 휘도 테이블(121)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130)의 휘도는 조도값 또는 노출값에 따라 5 단계로 조절될 수 있다. 하지만, 5 단계 조절은 일 예일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상기 표시부(130)의 휘도 조절 단계 수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표 1>의 조도값은 휴대 단말기(100)가 제1기울기 범위를 가지는 상태를 기준으로 한 값 이고, 상기 <표 1>의 노출값은 휴대 단말기(100)가 제3기울기 범위를 가지는 상태를 기준으로 한 값 이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제1기울기 범위를 가지는 경우 상기 표시부(130)의 휘도는 조도값에 따라 제어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제3기울기 범위를 가지는 경우 상기 표시부(130)의 휘도는 카메라(190)의 노출값에 따라 제어된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의 휘도 테이블(121)은 아래 <표 2>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노출값 및 조도값의 조합에 휘도값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휘도
(cd/m2)
야외2(300) 야외1(220) 실내2(160) 실내1(110) 야간(40)
기울기
(20도 이상
50도 미만)
조도 800 이상 680 이상
800 미만
560 이상
680 미만
440 이상
560 미만
440 미만
노출 330 미만 300 이상
330 미만
270 이상
300 미만
240 이상
270 미만
240 미만
기울기
(50도 이상
90도 미만)
조도 750 이상 630 이상
750 미만
510 이상
630 미만
390 이상
510 미만
390 미만
노출 380 미만 350 이상
380 미만
320 이상
350 미만
290 이상
320 미만
290 미만
기울기
(90도 이상
120도 미만)
조도 700 이상 580 이상
700 미만
460 이상
580 미만
440 이상
460 미만
340 미만
노출 430 미만 400 이상
430 미만
370 이상
400 미만
340 이상
370 미만
340 미만
기울기
(120도 이상
160도 미만)
조도 650 이상 530 이상
650 미만
410 이상
530 미만
290 이상
410 미만
290 미만
노출 480 미만 450 이상
480 미만
420 이상
450 미만
390 이상
420 미만
390 미만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상기 제2기울기 범위는 4 단계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각 단계별로 노출값 및 조도값의 조합에 표시부(130)의 휘도값이 매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가 제2기울기 범위를 가지는 경우 조도값 및 노출값의 조합에 따라 표시부(130)의 휘도는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가 95도이고, 조도가 600이며, 노출값이 410인 경우 야외 1(220)에 대응하도록 표시부(130)의 휘도는 제어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가 130도이고, 조도가 300이며, 노출값이 400인 경우 실내 1(110)에 대응하도록 표시부(130)의 휘도는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 2>에서는 제2기울기 범위가 4단계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제2기울기 범위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수치는 일 예일뿐 본 발명이 상기 수치로 한정되지 않음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즉, 상기 휘도 테이블은 실험을 통해 최적화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휘도 테이블을 이용하여 표시부(130)의 휘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제2기울기 범위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조도값 및 상기 노출값의 조합을 통해 제1기울기 범위에서의 외부 조도로 변환하기 위한 계산식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계산식은 측정된 조도값에 기 설정된 제1가중치를 곱한 값과 측정된 노출값에 기 설정된 제2가중치를 곱한값을 더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기울기 범위가 다수의 단계로 구분된 경우 상기 계산식은 각 단계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각 단계에 따라 상기 제1가중치 및 제2가중치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가중치 및 제2가중치는 실험을 통해 최적화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0)는 자동 휘도 제어 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자동 휘도 제어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를 측정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에 따라 조도 센서(170) 및 카메라(19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 밝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외부 밝기에 따라 표시부(130)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도 제어 모드 설정부(111), 기울기 산출부(112), 조도 산출부(113), 노출값 산출부(114) 및 휘도 제어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휘도 제어 모드 설정부(111)는 입력부(140)의 입력 신호에 따라 표시부(130)의 휘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 휘도 제어 모드의 온/오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자동 휘도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기울기 산출부(112)는 기울기 센서(180)를 통해 주기적으로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기울기 상태에 따라 상기 기울기 산출부(112)는 조도 산출부(113) 및 노출값 산출부(114)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조도 산출부(113)는 조도 센서(170)를 통해 외부 조도(밝기)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조도 산출부(113)는 휴대 단말기(100)가 제1기울기 범위 및 제2기울기 범위를 가지는 경우 활성화되고, 상기 산출된 조도를 휘도 제어부(115)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노출값 산출부(114)는 카메라(190)를 통해 외부 밝기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노출값 산출부(114)는 휴대 단말기(100)가 제2기울기 범위 및 제3기울기 범위를 가지는 경우 활성화되고, 상기 산출된 노출값을 휘도 제어부(115)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휘도 제어부(115)는 기울기 산출부(112)를 통해 인식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조도 산출부(113) 및 노출값 산출부(114)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인식되는 조도값과 노출값에 따라 표시부(130)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휘도 제어부(115)는 표시부(130) 구동을 위해 공급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조절하여 표시부(113)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30)의 휘도 제어 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휘도 제어부(115)는 상기 자동 휘도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 되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부(140)를 통해 수동으로 설정한 휘도로 상기 표시부(130)의 휘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상기 제어부(110)가 일정 주기마다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표시부(130)의 휘도 변경이 요청되는 경우에만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는 빈번한 기울기 센서(180), 조도 센서(170) 및 카메라(190)의 구동으로 인한 전류 소모 문제를 개선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 3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위치 정보 수신을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방송 수신을 위한 방송 수신 모듈, MP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및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 통신 모듈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전원이 공급되면,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을 초기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초기화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501 단계에서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503 단계에서 휘도 제어 모드를 확인하고, 505 단계에서 현재 모드가 자동 휘도 제어 모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자동 휘도 제어 모드가 아닌 경우 즉, 수동 휘도 제어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후술하는 517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자동 휘도 제어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507 단계로 진행하여 일정 주기(제1주기)로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기울기 센서(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509 단계에서 측정된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범위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울기 범위는 조도 센서(170) 및 카메라(190)의 활성화 상태에 따라 3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기울기 범위는 조도 센서(170)만 활성화되는 0도 이상 20도 미만이 될 수 있다. 제2기울기 범위는 조도 센서(170) 및 카메라(190)가 활성화되는 20도 이상 160도 미만이 될 수 있다. 제3기울기 범위는 카메라(190)만 활성화되는 160도 이상 180도 이하가 될 수 있다. 한편, 360도 회전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제1기울기 범위는 340도 이상 360도 미만의 범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기울기 범위는 200도 이상 340도 미만의 범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3기울기 범위는 180도 이상 200도 이하의 범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기울기 범위는 다수의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기울기 범위는 20도 이상 50도 미만, 50도 이상 90도 미만, 90도 이상 120도 미만, 120도 이상 160도 미만 즉, 4 단계로 분류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제2기울기 범위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단계를 가지도록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제1기울기 범위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511 단계로 진행하여 일정 주기(제2주기)로 조도 센서(170)를 통해 외부 조도값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513 단계에서 상기 측정된 조도값에 따라 표시부(130)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10)는 외부 조도값(범위를 가지는 값)과 표시부(130)의 휘도를 매핑한 휘도 테이블(121)을 검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확인 결과 제2기울기 범위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521 단계로 진행하여 일정 주기(제3주기)로 카메라(190) 및 조도 센서(170)를 통해 노출값 및 조도값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523 단계에서 상기 측정된 노출값 및 조도값의 조합에 따라 표시부(130)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표 2>의 휘도 테이블(121)을 참조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노출값 및 조도값의 조합에 매핑한 휘도로 표시부(130)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휘도 테이블(121)은 실험을 통해 최적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확인 결과 제3기울기 범위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531 단계에서 일정 주기(제4주기)로 카메라(190)의 노출값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533 단계에서 상기 측정된 노출값에 따라 표시부(130)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10)는 카메라(190)의 노출값(범위를 가지는 값)과 표시부(130)의 휘도를 매핑한 휘도 테이블(121)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515 단계에서 자동 휘도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OFF)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자동 휘도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507 단계로 복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자동 휘도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517 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휘도값으로 표시부(130)의 휘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동 휘도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주기 내지 제4주기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지거나, 적어도 하나는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제2기울기 범위를 가지는 경우 기울기, 조도값 및 노출값을 매핑하여 저장한 휘도 테이블(121)을 이용하여 표시부(130)의 휘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기울기 범위를 가지는 상태에서 측정된 노출값과 조도값을 기 정의된 계산식에 대입하여 제1기울기 범위에서의 조도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측정된 조도값과 노출값을 상기 계산식에 대입하여 제1기울기 범위에서의 조도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표 1>을 참조하여 표시부(130)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기울기 범위가 다수의 단계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저장부(120)는 다수의 단계에 대응하여 다수개의 계산식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기울기 범위가 4 단계로 분류되는 경우 상기 저장부(120)는 4개의 계산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상기 제어부(110)가 일정 주기마다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표시부(130)의 휘도 변경이 요청되는 경우에만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는 외부 밝기가 변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불필요한 전류 소모 발생 즉, 빈번한 기울기 센서(180), 조도 센서(170) 및 카메라(190)의 구동으로 인한 전류 소모 문제를 개선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휴대 단말기 110 : 제어부
120 : 저장부 130 : 표시부
140 : 입력부 150 : 무선통신부
170 : 조도 센서 180 : 기울기 센서
190 : 카메라 111 : 휘도 제어 모드 설정부
112 : 기울기 산출부 113 : 조도 산출부
114 : 노출값 산출부 115 : 휘도 제어부
121 : 휘도 테이블

Claims (17)

  1.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과정;
    상기 측정된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에 따라 조도 센서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 조도를 측정하는 과정; 및
    상기 측정된 외부 조도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휘도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조도 센서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 조도를 측정하는 과정은
    상기 측정된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제1기울기 범위를 가지는 경우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상기 외부 조도를 측정하는 과정;
    상기 측정된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제2기울기 범위를 가지는 경우 상기 조도 센서 및 상기 카메라의 조합을 통해 외부 조도를 측정하는 과정; 및
    상기 측정된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제3기울기 범위를 가지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외부 조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 센서 및 상기 카메라의 조합을 통해 외부 조도를 측정하는 과정은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조도값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측정된 노출값의 조합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휘도값을 매핑하여 저장한 휘도 테이블을 검색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울기 범위는
    다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테이블은
    상기 제2기울기 범위의 각 단계별로 상기 조도값 및 상기 노출값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휘도값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과정은
    기 설정된 일정 주기마다 수행되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의 휘도 변경 요청이 감지되는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
  7.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장치에 있어서,
    휘도 변경이 가능한 표시부;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
    노출을 측정할 수 있는 카메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 및
    상기 측정된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제1기울기 범위를 가지는 경우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외부 조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제2기울기 범위를 가지는 경우 상기 조도 센서 및 상기 카메라의 조합을 통해 외부 조도를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제3기울기 범위를 가지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외부 조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외부 조도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휘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 센서의 조도값 및 상기 카메라의 노출값 중 적어도 하나와 휘도값을 매핑한 휘도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가 상기 제1기울기 범위를 가지는 경우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조도값에 매핑된 휘도값으로 상기 표시부의 휘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가 상기 제2기울기 범위를 가지는 경우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조도값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측정된 노출값의 조합에 매핑된 휘도값으로 상기 표시부의 휘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울기 범위는
    다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테이블은
    상기 제2기울기 범위의 각 단계별로 상기 조도값 및 상기 노출값의 조합과 상기 표시부의 휘도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가 상기 제3기울기 범위를 가지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측정된 노출값에 매핑된 휘도값으로 상기 표시부의 휘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장치.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일정 주기마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하거나, 상기 표시부의 휘도 변경 요청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장치.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와 상기 조도 센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 본체의 서로 반대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장치.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에 상기 조도 센서 및 상기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측정된 외부 조도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휘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 휘도 제어 모드의 온/오프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장치.
KR1020120005753A 2012-01-18 2012-01-18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859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753A KR101859567B1 (ko) 2012-01-18 2012-01-18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 및 장치
US13/735,296 US9153206B2 (en) 2012-01-18 2013-01-07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rightness of display in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753A KR101859567B1 (ko) 2012-01-18 2012-01-18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854A KR20130084854A (ko) 2013-07-26
KR101859567B1 true KR101859567B1 (ko) 2018-06-28

Family

ID=48779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753A KR101859567B1 (ko) 2012-01-18 2012-01-18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53206B2 (ko)
KR (1) KR1018595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0285B2 (en) 2019-02-19 2022-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brightness of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102B1 (ko) * 2013-08-19 2020-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552966B1 (ko) * 2018-12-13 2023-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CN111341284A (zh) * 2018-12-19 2020-06-26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显示屏亮度调节方法
WO2020149646A1 (en) * 2019-01-17 2020-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acquiring outside luminance using camera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applying the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2821A1 (en) * 2006-11-24 2008-05-2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Luminance control for a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18501A1 (en) * 2003-05-30 2008-09-11 Diamond Michael B Display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KR101208974B1 (ko) * 2005-04-29 201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밝기 조절 장치와 방법
KR100689458B1 (ko) * 2005-07-08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표시부의 밝기조절 방법
JP2010014827A (ja) * 2008-07-02 2010-01-21 Nec Saitama Ltd 端末装置およびそのディスプレイのバックライト点灯方法
JP4995783B2 (ja) 2008-07-30 2012-08-0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機
US20100141571A1 (en) * 2008-12-09 2010-06-10 Tony Chiang Image Sensor with Integrated Light Meter for Controlling Display Brightness
US8686981B2 (en) * 2010-07-26 2014-04-01 Apple Inc. Display brightness control based on ambient light ang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2821A1 (en) * 2006-11-24 2008-05-2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Luminance control for a displ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0285B2 (en) 2019-02-19 2022-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brightness of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854A (ko) 2013-07-26
US9153206B2 (en) 2015-10-06
US20130181960A1 (en)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1137B2 (en) Ambient light and proximity detection method, photographing method, and terminal
US1003392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s,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and terminal
KR101760695B1 (ko)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67019B1 (ko) 휴대 단말기의 충전 경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59567B1 (ko) 휴대 단말기의 휘도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40267021A1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20150177865A1 (en) Alternative input device for press/release simulations
EP3691234B1 (en) Photographing method and terminal
US9691332B2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backlight brightness
CN106603856A (zh) 一种屏幕亮度调整方法及终端
US20210150965A1 (en) Gray-level compensation method and apparatus, display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04519269B (zh) 一种照相设备的取景框显示方法和装置
US2014030694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backlight of electronic device
CN104423840A (zh) 一种进度指示条的实现方法和装置
US20160098973A1 (en) Method for image display and image control module using the same
EP3249999A1 (en) Intelligent matching method for filter and terminal
CN111355843A (zh) 亮度调整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102495326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863005A1 (en) Electronic device, light sensing and brightness 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40102902A (ko)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환경 설정 장치 및 방법
US20100271355A1 (en) Intelligent digital photo frame
WO2019080777A1 (zh) 镜头组件、摄像头及电子设备
CN109638912B (zh) 一种充电指示装置、终端
KR20240025308A (ko) 전자 장치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30105211A (ko) 휴대형 프로젝터 및 휴대형 프로젝터에서 영상 투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