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4783A - 흑발유발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흑발유발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4783A
KR20120114783A KR1020110032536A KR20110032536A KR20120114783A KR 20120114783 A KR20120114783 A KR 20120114783A KR 1020110032536 A KR1020110032536 A KR 1020110032536A KR 20110032536 A KR20110032536 A KR 20110032536A KR 20120114783 A KR20120114783 A KR 20120114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hair
parts
weight
black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근
Original Assignee
최홍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홍근 filed Critical 최홍근
Priority to KR1020110032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4783A/ko
Publication of KR20120114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7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7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흑발유발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하수오, 다시마, 황기, 김 및 홍삼액기스를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흑발유발 촉진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흑발유발 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omoting Black Hair Growth}
본 발명은 흑발유발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하수오, 다시마, 황기, 김 및 홍삼액기스를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흑발유발 촉진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오늘날 현대사회는 무한 경쟁시대로서 현대인들은 하루도 쉬지 아니하고 타인과 끊임없이 경쟁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학생들도 입시라든가 기타 학교 및 학원에서 끊임없이 경쟁함으로써,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어느 누구를 막론하고 타인과의 경쟁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이와 같은 실정에서 스트레스와 피로감은 증폭되고 이를 해소키 어려움에 따라, 뇌소화 즉, 머리카락이 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하얗게 되는 백발현상이 발생하며 따라서 가정이나 직장에서 무력감을 나타내고 이와 같은 생활을 계속함에 따라 과로사 등의 병 아닌 병도 비일비재함에 따라 현대인의 스트레스, 피로감을 해소함과 동시에 백발현상, 기억력 쇠퇴 및 치매 등등의 뇌 기능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줄여 건강하고 윤택한 삶을 살고자 하는 여러 가지 노력이 현재 진행되고 있으나, 특이할 만한 것은 없으며 가장 좋은 것은 스트레스와 피로를 축적치 아니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이다.
그러나, 현대사회와 같은 무한 경쟁사회에서는 스트레스와 피로감을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받고 있고 이를 해소치 못하는 것이 현실이며, 최소한의 방법이라면 약을 복용함으로서 스트레스 및 피로감을 해소하는 것이 고작이며, 간혹 운동을 꾸준히 하는 현대인도 있으나, 이와 같은 사람은 극소수에 불과한 상황으로서 스트레스와 피로감 더 나아가서 노인의 치매 등 뇌의 쇠퇴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은 너무나 많은 것이다.
모발은 크게 모표피, 모피질, 모수질의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수질을 감싸고 있는 모피질은 모발에서 가장 두터운 부분(80~90%)으로서 멜라노좀이라는 멜라닌색소 및 지질막과 TRP-1(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2(Tyrosinase Related Protein-2) 및 기타단백질로 구성된 과립을 포함하고 있다. 멜라닌 색소는 멜라노사이트내의 소기관인 멜라노좀에서 합성되며, 멜라노사이트의 수지강 돌기를 통하여 주위의 케라티노사이트로 이행한다. 멜라닌의 합성 경로를 보면, 먼저 아미노산인 타이로신이 산화되어 도파로, 다시 산화하여 도파퀴논이 생성되는 단계에서 타이로시나제가 관여하며 그 후의 반응은 자동 산화적으로 진행되지만, TRP-1 및 TRP-2와 같은 효소가 관여하여 반응을 가속화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발의 색상은 아미노산인 타이로신을 원료로 하여 형성되는 유멜라닌 및 페오멜라닌의 유형과 분포양에 따른 정도 등의 요인에 의해 모발의 밝기를 결정시켜 사람마다 독특한 모발색을 드러낸다. 다시 말해 멜라닌의 유형과 과립의 크기에 따른 흑색, 적색, 금발 등의 다양한 모발색상을 결정한다고 볼 수 있다. 모발의 색은 모발의 가운데층인 모피질(cortex)에 있는 두 종류의 멜라닌(melanin) 색조 알갱이인 유멜라닌은 가장 흔하고 제일 진한 색소로서 갈색과 검정 머리의 색을 만든다. 페오멜라닌은 보다 옅은 색의 색조로서 금발머리를 띄게 한다. 붉은 머리의 색상은 붉은 색소와 검정 색소에 의해 나타나며, 금발머리는 붉은 색소와 노랑색소의 혼합인 결과색이다. 모래빛 갈색머리는 붉은 색, 갈색, 검정색 색소의 혼합에 의해 색소가 나타나며 짙은 갈색머리는 모래빛 갈색머리보다 검정색 색소가 더 많이 들어있다. 그리고 흰머리에는 색소 알갱이가 없어 나타나는 머리색이다. 모발색깔은 모발내에 존재하는 색소에 의해 결정이 되며 이러한 색소는 그사람의 유전 정보 인자에 의해 결정된다.
멜라닌은 물에 용해되지 않는 단백질로서 두발에 색상을 부여한다. 모유두에서 생성된 아미노산인 타이로신은 멜라닌의 기질이며. 백모는 도파퀴논에서 그 작용을 멈추므로 모발이 케라틴화 되어 각화 위로 올라가면서 형성된 백발로서 타이로사나제 효소를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산화작용이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이다. 백모는 특히 흑갈색계의 모발을 갖는 인종에서 더욱 명료하게 나타나며, 멜라노사이트에서 멜라닌 생성이 멈추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일종의 노화현상이다.
도파퀴논은 두 가지 경로로 반응이 진행된다. 도파크롬을 거쳐 흑갈색의 유멜라닌을 생성하는 경로와 도파퀴논이 케라틴 단백질에 존재하는 시스테인과 결합한 후 적갈색의 페오멜라닌을 생성하는 경로가 있다. 이와 같이 모발의 산화 염색반응은 모발에서의 중합반응의 결과이다. 이 반응에서는 방향족 아민과 페놀모노머(phenolmonoer)가 산화 중합하고, 또한 모발중의 아미노산 잔기와 결합한다. 유멜라닌은 비교적 크기가 크고 화학적으로 쉽게 파괴될 수 있는데 반하여 페오멜라닌은 비교적 크기가 작고 화학적으로 안정된 구조를 하고 있다. 시스테인 함량이 많은 모발에는 페오멜라닌이 많이 존재하며, 흑갈색의 모발을 과산화수소로 탈색시켰을 때 색상이 약간 붉게 보이는 것은 바로 유멜라닌이 먼저 파괴되고 페오멜라닌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모발에 있어서의 멜라닌은 모발의 색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로서, 모발상부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 내에서 생성된 모발피질세포 케라티노사이트에 전달된 후, 모발의 성장과 함께 위쪽으로 이동한다. 생리적 노화의 한 현상으로서 인식되는 백발은 모발 멜라노사이트의 수적 감소 및 멜라노사이트의 기능저하에 의한 멜라닌 생성의 감소에 의해 유발된다.
백발은 일반적으로 연령이 높아지면 발생하는 것으로, 노령이라는 느낌을 인상깊게하고, 특히 젊은 나이에 있어서의 백발은 일반적으로 싫어한다. 그 때문에 백발을 감추기 위하여 백발 염색 등에 의해 발발을 검게 염색하는 염색제가 많이 연구되고, 또한 널리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흑발염색은 일시적인 방법으로 백발의 성장에 의해 다시 염색하지 않으면 아니 되고, 또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산화형 흑발염색은 산화제 등의 사용에 의해 피부에 손상을 준다. 따라서, 백발의 발생을 방지하는 백발방지제에 대하여 각종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본 발명자는 하수오, 다시마, 황기, 김 및 홍삼액기스의 추출물이 흑발유발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하수오, 다시마, 황기, 김 및 홍삼액기스를 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흑발유발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하수오, 다시마, 황기, 김 및 홍삼액기스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흑발유발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하수오(何首烏)는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하수오는 중국 원산이며 약용식물로 가꾸고 있다. 뿌리줄기가 땅속으로 벋으면서 군데군데 고구마같이 굵은 덩이뿌리가 생긴다. 원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면서 길게 벋어가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턱잎은 원통 모양으로 짧다. 잎자루 밑부분에는 짧은 잎집이 있다.
하수오의 꽃은 8?9월에 흰색으로 피어 원추꽃차례로 달리고 2가화이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처음에는 짧지만 꽃이 피면 좀더 길어진다. 꽃잎은 없고 수술은 8개,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는 수과로서 넓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고 꽃받침으로 싸이며 3개의 날개가 있다.
붉은빛을 띤 갈색 덩이뿌리를 한방에서 하수오라고 하며 강장제?강정제?완하제로 사용한다. 잎은 나물로 하며 생잎을 곪은 데 붙여서 고름을 흡수시킨다. 이와 비슷한 것에는 나도하수오(P. cilinervis)가 있으며, 높은산의 능선과 계곡에서 자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다시마는 갈조식물로서 다시마목 다시마과의 한 속에 속한다. 다시마에는 카로틴류?크산토필류?엽록소 등의 여러 가지 색소 외에 탄소동화작용으로 만들어지는 마니트?라미나린 등의 탄수화물과 세포벽의 성분인 알긴산이 많이 들어 있고, 요오드?비타민 B2?글루탐산 등의 아미노산이 들어 있다.
황기를 이루는 성분은 종류에 따라서 다르지만, 대체로 수분 16%, 단백질 7%, 지방 1.5%, 탄수화물 49%, 무기염류 26.5% 정도이며, 탄수화물의 20%는 섬유소이고 나머지는 알긴산과 라미나린 등 다당류이다. 특히 요오드?칼륨?칼슘 등 무기염류가 많이 들어 있으므로, 다시마를 조금씩 자주 먹는 것은 무기염류의 공급을 위해서 좋다. 다시마에 들어 있는 라미닌이라는 아미노산은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황기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한국?일본?만주?중국 북동부?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흔히 약초로서 재배하며 한방에서는 가을에 채취하여 노두(蘆頭)와 잔뿌리를 제거하고 햇빛에 말린 것을 한약재의 황기라 하며, 강장?지한(止汗)?이뇨(利尿)?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있어 신체허약?피로권태?기혈허탈(氣血虛脫)?탈항(脫肛)?자궁탈?내장하수?식은땀?말초신경 등에 처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김은 해태(海苔)라고도 하는데, 바다의 암초에 이끼처럼 붙어서 자라며, 길이 14?25cm, 나비 5?12cm이다. 김의 몸은 긴 타원 모양 또는 줄처럼 생긴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주름이 있다. 김의 몸 윗부분은 붉은 갈색이고 아랫부분은 파란빛을 띤 녹색이다. 김은 1층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는데, 세포는 불규칙한 3각이나 4각 또는 다각형이며 불규칙하게 늘어선다. 김의 단면은 4각형이고 높이는 폭보다 크거나 거의 같다. 김의 밑부분 세포는 달걀 모양이거나 타원 모양이며 크고 무색인 헛뿌리를 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홍삼은 6년생 인삼의 뿌리를 껍질째 수증기로 쪄서 말린 붉은 인삼을 지칭한다. 홍삼의 중요 성분으로는 백삼과 같이 배당체(glycosides) ?인삼향성분(panacen)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 ?함질소성분 ?플라보노이드 ?비타민(B군) ?미량원소 ?효소 ?항산화물질과 유기산 및 아미노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홍삼은 중추신경에 대해서 진정작용과 흥분작용이 있으며, 순환계에 작용하여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의 예방효과가 있다. 그러면서도 조혈작용(造血作用)과 혈당치(血糖値)를 저하시켜 주고, 간을 보호하며,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성행동(性行動)이나 생식효과에 간접적으로 유효하게 작용하며, 항염(抗炎) 및 항종양작용(抗腫瘍作用)이 있고, 방사선에 대한 방어효과, 피부를 보호하며 부드럽게 하는 작용도 있다.
홍삼의 효과 중 중요한 것은 어댑토겐(adaptogen:適應素) 효과로서 주위 환경으로부터 오는 각종 유해작용인 누병(淚病), 각종 스트레스 등에 대해 방어능력을 증가시켜 생체가 보다 쉽게 적응하도록 하는 능력이 있음이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홍삼엑기스는, 종래의 엑기스(extract) 추출방식에 따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흑발유발 촉진용 조성물은 60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의 하수오, 55 중량부 내지 68 중량부의 다시마, 2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의 황기, 8 중량부 내지 12 중량부의 김 및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의 홍삼엑기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1회당 1 g 내지 20 g씩, 1일 1회 내지 3회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의 흑발유발 촉진용 조성물은 흑발을 효과적으로 촉진하며, 흑발이 백발로 변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흑발유발 촉진용 조성물 복용 전의 모습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흑발유발 촉진용 조성물을 3개월 간 복용한 후의 모습이다.
이하, 다음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태양을 특정하여 설명하고자 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거나 제한해석하고자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흑발유발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
하수오(절편)  500g, 하수오환 300g, 다시마 150g,  다시마환 300g, 황기 250g, 맥청(풀무원다시마) 180g, 김 100g 및 홍삼엑기스(흑삼) 200g을 제분기에 넣고 분말로 만들었다. 상기 분말에 물을 넣고 반죽기에서 반죽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반죽으로부터 면의 형태로 뽑아서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였다. 이렇게 얻은 면을 굴림통으로 다시 다듬은 후 건조시켰다. 최종적으로 환 형태의 제품을 얻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흑발유발 촉진용 조성물의 효능 분석
실시예 1에서 얻은 조성물(환)을 10 내지 15개씩 하루 두번 3개월간 복용하였다. 도 1은 상기 조성물 복용 전의 사진이고, 도 2는 상기 조성물 복용 3개월 후의 모습이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 조성물을 복용함으로써 상당한 양의 흑발이 유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2)

  1. 하수오, 다시마, 황기, 김 및 홍삼액기스를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흑발유발 촉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60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의 하수오, 55 중량부 내지 68 중량부의 다시마, 2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의 황기, 8 중량부 내지 12 중량부의 김 및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의 홍삼엑기스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흑발유발 촉진용 조성물.
KR1020110032536A 2011-04-08 2011-04-08 흑발유발 촉진용 조성물 KR201201147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536A KR20120114783A (ko) 2011-04-08 2011-04-08 흑발유발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536A KR20120114783A (ko) 2011-04-08 2011-04-08 흑발유발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783A true KR20120114783A (ko) 2012-10-17

Family

ID=47283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536A KR20120114783A (ko) 2011-04-08 2011-04-08 흑발유발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47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7288A (zh) * 2015-04-28 2015-08-26 南阳理工学院 治疗白发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975869B1 (ko) * 2017-12-28 2019-05-08 김미경 화장품 제조설비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7288A (zh) * 2015-04-28 2015-08-26 南阳理工学院 治疗白发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975869B1 (ko) * 2017-12-28 2019-05-08 김미경 화장품 제조설비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050B1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09172B1 (ko)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110112231A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30490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육모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29892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2732B1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염증 및 모공축소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20080090806A (ko) 천연 산물의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개선 효과를 가지는화장료 조성물
JP2016145233A (ja) コウゾを含む天然木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美白用化粧料の組成物および化粧品
KR20200063612A (ko) 조롱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10295325A (ja) 健康食品
KR101676603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136090B1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피부항염증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1171761B1 (ko) 피부노화 방지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9891B1 (ko)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5434248A (zh) 一种含有熊果苷、桑叶提取物和甘草提取物的美白化妆品
KR20120114783A (ko) 흑발유발 촉진용 조성물
KR20180089696A (ko) 천연식물 추출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Mariyam Roqaiya et al. A review on traditional uses and phytochemical properties of Mimusops elengi Linn.
KR20200107444A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1028073B1 (ko)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신체 각 부위를 활성화 시키며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작용 및 기전을 가진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80093947A (ko) 한약재를 이용한 가금류의 사육방법
Suman et al. Herbal hair oil: A review
KR102149223B1 (ko) 천연 복합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icuzza Diplazium esculentum (Retz.) Sw. Athyriaceae
Panicker et al. Review on Luffa acutangula L.: ethnobotany, phytochemistry, nutritional value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